KR101230507B1 -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 Google Patents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507B1
KR101230507B1 KR1020110048239A KR20110048239A KR101230507B1 KR 101230507 B1 KR101230507 B1 KR 101230507B1 KR 1020110048239 A KR1020110048239 A KR 1020110048239A KR 20110048239 A KR20110048239 A KR 20110048239A KR 101230507 B1 KR101230507 B1 KR 101230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ne
arm
central axis
ground p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0362A (ko
Inventor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텔
Priority to KR1020110048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50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0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8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 H01Q3/3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with variable phase-shifters

Landscapes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에 관한 것으로, 위상가변기에 사용되는 유전체 기판의 적층방법을 개선하여 커플링에 의한 전파의 분리도 특성과 손실을 감소시켜 RF신호의 전기적 특성이 향상되고, 적층구조에서 발생하는 열화 현상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는 제 1중심축, 제 1암부, 제 1기판, 제 2중심축, 제 2암부, 제 2기판 및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중심축은 제 1기판과 제 1암부에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제 1암부의 회전축을 형성한다. 제 1암부는 제 1중심축에 삽입되고, 제 1중심축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다. 제 1기판은 제 1암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 1중심축에 삽입고정되어, 상부면에 접지면을 가지고 하부면에 제 1선로와 제 2선로가 곡선형태로 축에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제 2중심축은 제 2기판과 제 2암부에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제 2암부의 회전축을 형성한다. 제 2기판은 제 2중심축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제 1기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유전체 기판으로 상부면에 제 4선로와 제 5선로가 축에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하부면에 접지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 2암부는 상기 제 2중심축에 삽입되고 제 2중심축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제 1암부와 상기 제 2 암부를 회전시킨다.

Description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Phaseshifter Having Ground Planes Facing Each Other}
본 발명은 위상가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전체 기판의 적층 방법을 개선하여 전파의 분리도 특성과 손실을 개선하고, 적층구조에서 발생하는 열화 현상을 줄이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에 관한 것이다.
위상가변기는 방사소자들로 전송되는 RF신호의 위상을 가변시키는 장치로서 이를 통하여 빔틸트를 조절하고, 안테나의 빔의 방향을 원하는 곳으로 향하게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위상가변기는 위상을 바꾸기 위해서 신호가 통과하는 전송선로의 물리적인 길이를 바꾸는 방법을 사용한다.
종래의 위상가변기는 유전체 기판에 회전축을 형성하고 막대형태로써 도체 선로가 일측면에 형성된 암부를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암부의 도체 선로는 각각 길이가 다른 2개의 선로에 접촉하여 입력선로로부터 수신한 전기신호를 커플링하고 2개의 신호로 분기시킨다. 암부가 회전함으로써 위상을 변화시키는데, 암부의 물리적 길이를 주파수의 λ/4와 일치시킨다. 분기된 신호는 유전체 기판의 영역을 통하여 방사소자로 출력되거나 유전체 기판 중 암부의 하부에 위치된 유전체 기판영역으로 진행된다. 또한, 각 선로의 종단부에서 커플링되고 복사소자로 전송된다.
종래의 위상가변기는 이러한 구조의 유전체 기판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적층방법은 상, 하부기판에서 발생하는 커플링에 의해 전파의 분리도 특성이 나빠지고 이로 인해 RF신호전달에 손실이 발생한다.
또한, 유전체 기판이 적층되고 층간에 구비된 암부가 회전하기 때문에, 열화 현상이 나타나 위상가변기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파의 분리도를 개선하고 손실을 줄이며 열화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상,하부기판의 간격을 늘리면 위상가변기의 부피가 커지는 설계상 문제가 발생하며 상,하부기판을 지지하는 구조적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위상가변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파의 분리도를 개선하고 손실을 감소시키며, 적층구조에서 발생하는 열화 현상을 줄이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상가변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위상가변기의 부피를 작게 할 수 있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전체 기판에 형성된 접지면을 마주보도록 배열함으로써, 커플링으로 인한 영향을 줄여 전파의 분리도 특성과 손실을 개선한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는 제 1중심축, 제 1암부, 제 1기판, 제 2중심축, 제 2암부, 제 2기판 및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중심축은 상기 제 1기판과 상기 제 1암부에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제 1암부의 회전축을 형성한다. 상기 제 1암부는 상기 제 1중심축에 삽입되고, 상기 제 1중심축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다. 상기 제 1기판은 상기 제 1암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중심축에 삽입고정되어, 상부면에 제 1접지면을 가지고 하부면에 제 1선로와 제 2선로 및 제 1입력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 2중심축은 상기 제 1기판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 제 1중심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축과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 2기판은 상기 제 1기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중심축에 삽입고정되어, 상부면에 제 4선로와 제 5선로 및 제 2입력선로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제 2접지면을 가진다. 상기 제 2암부는 상기 제 2중심축에 삽입되고 제 2중심축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다. 그리고 구동부재는 상기 제 1암부와 상기 제 2 암부를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제 1기판은 상기 제 1선로, 상기 제 2선로, 제 1홀 및 상기 제 1입력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선로는 호 형태의 도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선로는 상기 제 1선로와 상기 제 1중심축의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선로보다 작은 지름의 호 형태이다. 상기 제 1입력선로는 상기 제 1기판의 말단에서 외부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암부는 상부면에 도체로 이루어지고, 양 말단이 상기 제 1선로와 상기 제 2선로에 접촉하는 제 3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기판은 상기 제 4선로, 상기 제 5선로, 제 2홀 및 상기 제 2입력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선로는 호 형태의 도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5선로는 상기 제 4선로와 상기 제 2중심축의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 4선로보다 작은 지름의 호 형태이다. 상기 제 2홀은 상기 제 2중심축이 관통하는 구멍에 형성되고, 상기 제 2기판의 하부 제 2접지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 2입력선로는 상기 제 2기판의 말단에서 외부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2암부는 하부면에 도체로 이루어지고, 양 말단이 상기 제 4선로와 상기 제 5선로에 접촉하는 제 6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긴 막대 형태로 직선운동을 하는 조절부와 상기 조절부와 상기 제 1암부, 상기 제 2암부를 매개하고, 상기 조절부의 직선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1암부와 상기 제 2암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1암부와 상기 제 1선로 길이 방향 말단과 상기 제 2암부의 상기 제 4선로 길이 방향 말단을 연결하는 제 1연결부, 상기 제 1암부의 상기 제 2선로 길이 방향 말단과 상기 제 2암부의 상기 제 5선로 길이 방향 말단을 연결고정하는 제 2연결부, 상기 조절부의 말단과 결합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 2연결부를 연결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암부의 하부면과 고정결합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직립한 형태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 2연결부를 관통하는 구멍에 삽입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절부의 말단과 결합하는 조절결합부와 상기 조절결합부와 연결된 형태로, 상기 고정부의 회전축이 하부로부터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연결부와 체결가능한 회전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선로, 상기 제 2선로, 상기 제 4선로 또는 상기 제 5선로는 분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판은 상기 제 1기판 또는 상기 제 2기판이 설치되는 판 형태이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 1기판 또는 상기 제 2기판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탠드홀이 상기 제 1기판의 양쪽에 형성되고, 복수의 스탠드볼트홀이 상기 제 2기판의 양쪽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복수의 제 1스탠드, 복수의 제 2스탠드, 복수의 제 1스탠드볼트, 복수의 제 2스탠드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복수의 제 1스탠드는 상기 지지판에 결합하고 직립한 관 형태로 상기 제 1기판의 상기 스탠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2기판을 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스탠드는 상기 지지판에 결합하고 직립한 관 형태로 상기 제 1기판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스탠드볼트는 상기 제 1스탠드에 삽입되어 상기 제 2기판을 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스탠드볼트는 상기 제 2스탠드에 삽입되어 상기 제 1기판을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는 중심축, 제 1암부, 기판, 제 2암부 및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중심축은 상기 기판에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제 1암부와 상기 제 2암부의 회전축을 형성한다. 상기 제 1암부는 상기 중심축에 삽입되고,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다. 기판은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지고 중심부분에 접지면을 가지며, 상기 하부면에 상기 제 1암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중심축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부면에 제 1선로와 제 2선로 및 제 1입력선로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에 제 4선로와 제 5선로 및 제 2입력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 2암부는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에 삽입되며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상가변기는 유전체 기판의 적층방법을 개선하여 접지면을 마주 보도록 적층함으로써, 커플링에 의한 전파의 분리도 특성과 손실을 개선된다.
또한, 접지면을 마주 보도록 적층함으로써, 적층구조에서 오는 열화현상을 차단하여 위상가변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접지면을 마주 보도록 적층함으로써, 유전체 기판의 적층 간 거리에 대한 제약이 완화되어 작은 위상가변기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아래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I-I' 라인을 따라 절취한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b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Ⅱ-Ⅱ' 라인을 따라 철취하여 체결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의 제 1기판에서 손실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의 제 2기판에서 손실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아래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100)는 제 1중심축(110), 제 1암부(130), 제 1기판(120), 제 2중심축(210), 제 2기판(220), 제 2암부(230) 및 구동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중심축(110)은 제 1기판(120)과 제 1암부(130)에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제 1암부(130)의 회전축을 형성한다. 제 1암부(130)는 제 1중심축(110)에 삽입되고, 제 1중심축(110)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다. 제 1기판(120)은 제 1암부(130)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 1중심축(110)에 삽입고정되어, 상부면에 접지면을 가지고 하부면에 제 1선로(121)와 제 2선로(122) 및 제 1입력선로(140)가 형성된다. 제 2중심축(210)은 제 1기판(12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제 1중심축(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축과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제 2기판(220)은 제 1기판(1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 2중심축(210)에 삽입고정되어, 상부면에 제 4선로(221)와 제 5선로(222) 및 제 2입력선로(240)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접지면을 가진다. 제 2암부(230)는 제 2중심축(210)에 삽입되고 제 2중심축(210)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다. 제 1암부(130)와 제 2 암부(2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3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100)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중심축(110)은 제 1암부(130)의 회전축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제 1암부(130)와 제 1기판(120)에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삽입된다. 제 1중심축(110)의 길이는 제 1암부(130)와 제 1기판(120)을 관통하고 약간 돌출되어 제 1암부(130)와 제 1기판(120)이 체결될 수 있는 길이이다. 제 1중심축(110)의 말단은 볼트형태로 가공되어 너트(402)로 체결될 수 있으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암부(130)는 제 1중심축(110)에 삽입되고, 제 1중심축(110)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막대 형태이다. 제 1암부(130)는 유전체 기판으로, 제 1암부(130)의 상부면에 도체로 형성된 제 3선로(131)가 인쇄되고, 제 3선로(131)의 양 말단은 제 1기판(120)의 제 1선로(121)와 제 2선로(122)와 접촉한다. 제 1입력선로(14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신호는 제 1중심축(110)에서 커플링 된 후, 제 1선로(121) 방향과 제 2선로(122) 방향으로 분기하고 회전하여 제 1선로(121)와 제 2선로(122)의 물리적 길이를 변화시켜 위상을 변화시킨다.
제 1기판(120)은 유전체 기판으로 상부면에 제 1접지면(150)을 가지고 하부면에 제 1선로(121)와 제 2선로(122) 및 제 1입력선로(140)가 형성된다. 제 1중심축(11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 1기판(120)의 중심에 구멍이 형성되고, 제 1기판(120)은 제 1중심축(110)에 삽입고정된다. 제 1선로(121)는 호 형태의 도체로 형성되고, 제 1중심축(110)에 대향되는 위치에 제 1선로(121)보다 작은 지름의 호 형태인 제 2선로(122)가 형성된다.
한편, 제 1기판(120)의 상부면에 제 1접지면(150)이 형성되고, 제 2기판(22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 1기판(120)의 상부에 적층되고 제 2기판(220)의 하부면에 제 2접지면(250))이 형성되어 제 1기판(120)의 제 1접지면(150)과 제 2기판(220)의 제 2접지면(250)이 마주보는 적층구조를 이룬다.
또한, 제 1기판(120)과 제 2기판(220)은 마주보는 제 1접지면(150)과 제 2접지면(250)에 대해 상,하부의 구성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므로 제 1중심축(110), 제 1암부(130) 및 제 1기판(120)을 참조하여 제 2중심축(210), 제 2암부(230) 및 제 2기판(22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중심축(210)은 제 1중심축(110)의 상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제 1중심축(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축과 일치하도록 설치된다. 제 1중심축(110)과 마찬가지로 축의 길이는 제 2암부(230)와 제 2기판(220)에 관통하고 약간 돌출되어 체결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되고, 양 말단에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기판(220)은 유전체 기판으로 하부면에 제 2접지면(250)을 가지고 상부면에 제 4선로(221)와 제 5선로(222) 및 제 2입력선로(240)가 형성된다. 제 2중심축(21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제 2기판(220)의 중심에 구멍이 형성되고, 제 2기판(220)은 제 2중심축(210)에 삽입고정된다. 제 4선로(221)는 호 형태의 도체로 형성되고, 제 2중심축(210)에 대향되는 위치에 제 4선로(221)보다 작은 지름의 호 형태인 제 5선로(222)가 형성된다.
제 2암부(230)는 제 2중심축(210)에 삽입되고, 제 2중심축(210)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막대 형태이다. 제 2암부(230)는 유전체 기판으로, 제 2암부(230)의 하부면에 도체로 형성된 제 6선로(231)가 인쇄되고, 제 6선로(231)의 양 말단은 제 2기판(220)의 제 4선로(221)와 제 5선로(222)와 접촉한다. 제 1암부(130)와 제 1기판(120)에 의해 위상이 바뀌어진 전기신호는 제 4선로(221)와 제 5선로(222)를 통해 수신되고 제 2중심축(210)에서 커플링 된 후, 제 2입력선로(240)로 송신된다.
또한, 도 5 내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기판(120)의 제 1선로(121), 제 2선로(122) 또는 제 2기판(220)의 제 4선로(221), 제 5선로(222)는 분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100)에서 제 1기판(120)의 제 1선로(121), 제 2선로(122) 또는 제 2기판(220)의 제 4선로(221), 제 5선로(222)는 각각 저항이 있는 단일 도선이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600, 700, 710)에 따르면, 제 1기판(120)의 제 1선로(121), 제 2선로(122) 또는 제 2기판(220)의 제 4선로(221), 제 5선로(222)는 각각 저항을 가진 두 개의 분기 된 도선을 가진다. 하지만, 도선의 수나 저항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b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3실시예(700) 또는 제 4실시예(710)에 따르면, 선로(121, 122, 221, 222)에 평행하게 기생소자(721, 722)가 더 부착될 수 있다. 기생소자(721, 722)는 굴곡된 형태가 반복되거나 호와 같은 곡률로 형성된 도체로, 선로(121, 122, 221, 222)를 따라 흐르는 전기 신호의 주파수 영역대를 확장할 수 있다.
한편, 위상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제 1암부(130)와 제 2암부(230)가 회전운동을 해야하는데, 이를 위해 구동부재(300)가 구비된다.
구동부재(300)는 조절부(310)와 회전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조절부(310)는 위상을 변화시키기 위해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이 가해진다. 회전부재(320)는 조절부(310)와 제 1암부(130), 제 2암부(230)를 매개하여 조절부(310)의 움직임을 제 1암부(130)와 제 2암부(23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한다.
조절부(310)는 긴 막대 형태로 막대의 길이방향으로 전진과 후진이 가능한 직선운동을 한다. 외부로부터 연결된 말단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하는 모터나 롤러, 또는 손잡이에 의해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또는, 모터와 크랭크 축에 의해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다만, 조절부(310)가 직선운동을 하는 구조나 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회전부재(320)와 연결되는 조절부(310)의 말단은 회전부재(320)의 지지부(33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회전부재(320)는 조절부(310)와 제 1암부(130), 제 2암부(230)를 매개한다. 회전부재(320)는 제 1연결부(321), 제 2연결부(322), 지지부(330) 및 고정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연결부(321)는 제 1암부(130)의 제 1선로(121) 길이 방향 말단과 제 2암부(230)의 제 4선로(221) 길이 방향 말단을 연결한다.
제 2연결부(322)는 제 1암부(130)의 제 2선로(122) 길이 방향 말단과 제 2암부(230)의 제 5선로(222) 길이 방향 말단을 연결한다.
제 1연결부(321)와 제 2연결부(322)는 제 1암부(130)와 제 2암부(230)를 연결하여 함께 회전하기 위해 구비되므로, 제 1연결부(321)와 제 2연결부(322)의 두께는 층간 간격에 대응한다.
지지부(330)는 조절부(310)의 말단과 결합하는 조절결합부(331)와 조절결합부(331)와 연결된 형태로, 고정부(340)의 회전축(342)이 하부로부터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제 2연결부(322)와 체결가능한 회전지지부(332)를 포함한다.
조절결합부(331)는 조절부(310)의 말단과 결합하기 위해 조절부(310)의 말단 형태에 대응하도록 가공된다.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100)는 조절부(310)의 말단이 사각 형태이고 구멍을 형성하고, 조절결합부(331)는 조절부(310)의 말단을 감싸는 형태로 가공하고 구멍을 내어, 구멍이 서로 일치되도록 하고, 볼트(401)와 너트(402) 결합을 통해 조절결합부(331)와 조절부(310)를 체결할 수 있다.
회전지지부(332)는 조절결합부(331)의 일측면에서 수직으로 연결된 직사각형의 고리 형태이다. 내부 고리의 직경은 고정부(340)의 회전축(342)이 하부로부터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축(342)의 직경에 대응한다.
고정부(340)는 제 1암부(130)의 제 2선로(122) 방향 말단 하부면과 고정결합하는 고정판(341)과 고정판(341)에 직립한 형태로 회전지지부(332)와 제 2연결부(322)를 관통하는 구멍에 삽입되는 회전축(342)을 포함한다.
한편, 회전지지부(332)는 체결부재(400)에 의해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100)가 지지판(500)에 고정되도록 가공하고, 지지판(500)은 체결부재(400)가 결합가능한 구멍이나 홈을 내어 가공한다. 또한, 조절부(31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고리형태를 가지고, 고리형태에 연결되고 화살촉 모양이 형성된 조절부지지부구조물(410)은 조절부(310)의 말단으로부터 삽입하여 지지판(500)에 조절부(310)의 위치고정 및 직선운동시 방향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판(500)은 화살촉 모양의 조절부지지부구조물(410)이 삽입되도록, 조절부지지부구조물(4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지지판(500)에 구멍이나 홈을 내어 가공한다.
체결부재(400)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100)의 제 1기판(120), 제 2기판(220), 조절부(10) 등을 지지판(500)에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401), 너트(402), 조절부지지구조물(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볼트(401), 너트(402)는 제 1연결부(321), 제 2연결부(322), 제 1중심축(110) 또는 제 2중심축(210) 등을 체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실시예(800)에서 체결부재(400)는 제 1스탠드(431), 제 2스탠드(432), 제 1스탠드볼트(433) 및 제 2스탠드볼트(4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800)에서 개시된 복수의 스탠드홀(450)은 제 1기판(120)의 양쪽에 형성되고, 복수의 스탠드볼트홀(451)은 제 2기판의 양쪽에 형성된다. 복수의 제 1스탠드(431)는 지지판(500)에 결합하고 직립한 관 형태로 제 1기판(120)에 삽입되어 제 2기판(220)을 지지한다. 복수의 제 2스탠드(432)는 지지판(500)에 결합하고 직립한 관 형태로 제 1기판(120)을 지지한다. 제 1스탠드(431)과 제 2스탠드(432)는 지지판(500)에 압착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구리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스탠드홀(450)과 제 1스탠드(431)의 위치가 대응하고, 스탠드볼트(451)와 제 2스탠드(432)의 위치가 대응한다. 스탠드홀(450)은 제 1스탠드(43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가공되며, 스탠드볼트홀(451)은 스탠드볼트(433, 434)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가공된다. 또한, 제 1스탠드(431)와 제 2스탠드(432)의 위치에 대응하여, 스탠드볼트(433, 434)가 조립될 수 있도록 제 1기판(120)과 제 2기판(220)의 양측에 구멍을 내어 가공한다. 따라서, 제 1스탠드(431)와 제 2스탠드(432)의 내측면은 나사선을 형성하여 제 1스탠드볼트(433)와 제 1스탠드(431)가 체결되고, 제 2스탠드볼트(434)와 제 2스탠드(432)가 체결된다.
스탠드홀(450), 스탠드볼트홀(451), 스탠드(431, 432) 및 스탠드볼트(433, 434)에 의한 결합방식은 종래의 체결방식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종래의 결합방식은 납땜에 의한 결합방식으로, 조립시 불량에 의해 다시 체결할 수 없기 때문에, 불량률이 커진다. 위상가변기를 이루는 구성에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고, 납땜 결합시 불량이 생길 수 있지만,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재조립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스탠드홀(450), 스탠드볼트홀(451), 스탠드(431, 432) 및 스탠드볼트(433, 434)에 의한 결합방식은 재조립이 언제든지 가능하기 때문에, 불량률을 낮출 수 있어서 불량률 개선, 작업성 개선 및 수리시 편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 기판(120, 220)에 형성된 스탠드홀(450)과 스탠드볼트홀(451)을 스탠드(431, 432)의 위치에 맞추어 삽입하고, 스탠드볼트(433, 434)를 스탠드(431, 432)에 각각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스탠드볼트홀(451)이 있어서, 제 2스탠드볼트(434)의 체결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개선되고 불량률 감소에 도움이 된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 6실시예의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900)는 중심축(1), 제 1암부(130), 기판(2), 제 2암부(230) 및 구동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도 4a에 도시한 바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의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100)에 구비된 제 1접지면(150)과 제 2접지면(250) 사이의 간격을 줄여, 하나의 접지면(5)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단일 기판의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900)를 구성하여, 단가 절감, 생산성 향상 및 조립시간 단축 등 작업성 개선에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 6실시예의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90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심축(1)은 기판(2)에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제 1암부(130)와 제 2암부(230)의 회전축을 형성한다.
제 1암부(130)는 중심축(1)에 삽입되고, 중심축(1)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다.
기판(2)은 상부면(4)과 하부면(3)을 가지고 중심부분에 접지면(5)을 가지며, 하부면(3)에 제 1암부(130)가 설치되고, 상부면(4)과 하부면(3)을 관통하여 중심축(1)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하부면(3)에 제 1선로(121)와 제 2선로(122) 및 제 1입력선로(140)가 형성되며, 상부면(4)에 제 4선로(221)와 제 5선로(222) 및 제 2입력선로(240)가 형성된다. 이때, 기판(2)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이나 에어스트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접지면(5)은 공용접지형태로, 기판(2)의 상부면(4)과 하부면(3)에 접지면(5)으로 적어도 하나의 쓰루홀을 형성할 수 있고, 접지면(5)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접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암부(230)는 기판(2)의 상부면(4)에 배치되고 중심축(1)에 삽입되며, 중심축(1)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다.
구동부재(300)는 제 1암부(130)와 제 2암부(23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100)의 구성들이 위상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구조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조절부(310)가 직선운동을 한다. 예를 들어, 모터와 크랭크 축 또는 캠축이 구비되어 외부에 자극에 의해 모터가 회전하면, 크랭크 축의 움직임으로 조절부(310)를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가변기(100)를 참조하면, 조절부(310)의 말단이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직선운동할 수 있다.
조절부(310)의 말단은 지지부의 조절결합부(33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조절결합부(331)도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조절결합부(331)는 회전지지부(332)와 연결되어 있어서, 회전지지부(332)도 직선운동을 한다. 고정부(340)의 회전축이 회전지지부(332)의 고리 형태에 의해 움직이면서, 고정부(340)를 회전시키게 된다. 고정부(340)는 제 2연결부 및 제 1암부(130)의 제5선로(222) 방향 말단과 체결되어 있으므로, 제 2연결부도 회전운동을 하는데, 제 2연결부가 제 1암부(130)의 말단과 제 2암부(230)의 말단을 연결하고 있으므로, 제 1암부(130)와 제 2암부(230) 및 제 1연결부도 제 1중심축(110) 및 제 2중심축(21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상술한 대로 제 1암부(130)와 제 2암부(230)가 회전하면서, 선로의 물리적 길이 변화로 각 복사소자로 전달되는 위상이 변화한다. 입력신호가 복사소자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제 1기판(120)과 제 2기판(220)에서 누설 신호에 의해, 노이즈가 발생한다. 제 1기판(120)과 제 2기판(220)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신호는 상호간의 노이즈에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의 손실특성을 살펴보자.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의 손실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의 제 1기판에서 손실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의 제 2기판에서 손실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주파수, 측정위치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전체적인 특성은 제 1기판(120)과 제 2기판(220)의 손실특성이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상호간의 누설에 의한 손실의 증가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제 1입력선로(140)로부터 송신된 전기신호가 위상을 바꾼다. 전기신호는 제 2입력선로(240)로 나가기까지 유전체 기판 상의 도선을 통과하며 커플링이 된다. 제 1기판(120)과 제 2기판(220)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신호는 커플링에 영향을 받게 된다. 커플링에 의한 전파의 분리도와 손실을 감소시켜 RF신호의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다. 따라서, 적층구조에서 오는 열화현상을 차단하여 위상가변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유전체 기판의 적층 간 거리에 대한 제약이 완화되어 작은 위상가변기를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600, 700, 710, 800, 900: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1: 중심축 2: 기판
3: 기판의 하부면 4: 기판의 상부면
5: 접지면 110: 제 1중심축
120: 제 1기판 121: 제 1선로
122: 제 2선로 130: 제 1암부
131: 제 3선로 140: 제 1입력선로
145: 제 1홀 150: 제 1접지면
210: 제 2중심축 220: 제 2기판
221: 제 4선로 222: 제 5선로
230: 제 2암부 231: 제 6선로
240: 제 2입력선로 245: 제 2홀
250: 제 2접지면 300: 구동부재
310: 조절부 320: 회전부재
321: 제 1연결부 322: 제 2연결부
330: 지지부 331: 조절결합부
332: 회전지지부 340: 고정부
341: 고정판 342: 회전축
400: 체결부재 401: 볼트
402: 너트 410: 조절부지지구조물
431: 제 1스탠드 432: 제 2스탠드
433: 제 1스탠드볼트 434: 제 2스탠드볼트
450: 스탠드홀 451: 스탠드볼트홀
500: 지지판 721, 722: 기생소자

Claims (13)

  1. 제 1중심축;
    상기 제 1중심축에 삽입되고, 상기 제 1중심축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 제 1암부;
    상기 제 1암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중심축에 삽입고정되어, 상부면에 제 1접지면을 가지고, 하부면에 제 1선로와 제 2선로 및 제 1입력선로가 형성된 제 1기판;
    상기 제 1기판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기 제 1중심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축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는 제 2중심축;
    상기 제 1기판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중심축에 삽입고정되어, 상부면에 제 4선로와 제 5선로 및 제 2입력선로가 형성되고, 하부면에 제 2접지면을 가지는 제 2기판;
    상기 제 2기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중심축에 삽입되며, 상기 제 2중심축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 제 2암부;
    상기 제 1암부와 상기 제 2암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판은
    호 형태의 도체로 형성된 상기 제 1선로;
    상기 제 1중심축의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 1선로보다 작은 지름의 호 형태인 상기 제 2선로;
    상기 제 1기판의 말단에서 외부로부터 전기신호를 수신하는 제 1입력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암부는
    상기 제 1암부의 상부면에 도체로 이루어지고, 양 말단이 상기 제 1선로와 상기 제 2선로에 접촉하는 3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판은
    호 형태의 도체로 형성된 상기 제 4선로;
    상기 제 2중심축의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 4선로보다 작은 호의 형태인 상기 제 5선로;
    외부에 전기신호를 송신하는 제 2입력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암부는
    상기 제 2암부의 하부면에 도체로 이루어지고, 양 말단이 상기 제 4선로와 상기 제 5선로에 접촉하는 제 6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긴 막대 형태로 직선운동을 하는 조절부;
    상기 조절부와 상기 제 1암부, 상기 제 2암부를 매개하고, 상기 조절부의 직선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 1암부와 상기 제 2암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제 1암부의 상기 제 1선로 길이 방향 말단과 상기 제 2암부의 상기 제 4선로 길이 방향 말단을 연결하는 제 1연결부;
    상기 제 1암부의 상기 제 2선로 길이 방향 말단과 상기 제 2암부의 상기 제 5선로 길이 방향 말단을 연결고정하는 제 2연결부;
    상기 조절부의 말단과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2연결부를 연결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1암부의 하부면과 고정결합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직립한 형태로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 2연결부를 관통하는 구멍에 삽입되는 회전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절부의 말단과 결합하는 조절결합부;
    상기 조절결합부와 연결된 형태로, 상기 고정부의 회전축이 하부로부터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연결부와 체결가능한 회전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10.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선로, 상기 제 2선로, 상기 제 4선로 또는 상기 제 5선로는 분기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판 또는 상기 제 2기판이 설치되는 판 형태의 지지판;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 1기판 또는 상기 제 2기판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판의 양쪽에 복수의 스탠드홀과 상기 제 2기판의 양쪽에 복수의 스탠드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지지판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판에 대해 직립한 관 형태로, 상기 제 1기판에 형성된 상기 스탠드홀에 삽입되며 상기 제 2기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 1스탠드;
    상기 지지판에 결합하고 상기 지지판에 대해 직립한 관 형태로, 상기 제 1기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제 2스탠드;
    상기 제 1스탠드에 삽입되어 상기 제 2기판을 체결하는 복수의 제 1스탠드볼트;
    상기 제 2스탠드에 삽입되어 상기 제 1기판을 체결하는 복수의 제 2스탠드볼트;
    를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홀과 상기 스탠드볼트홀의 설치 위치가 상기 제 1스탠드 및 상기 제 2스탠드의 설치 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13. 중심축;
    상기 중심축에 삽입되고,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 제 1암부;
    상부면과 하부면을 가지고 중심부분에 접지면을 가지며, 상기 하부면에 상기 제 1암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중심축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부면에 제 1선로와 제 2선로 및 제 1입력선로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에 제 4선로와 제 5선로 및 제 2입력선로가 형성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축에 삽입되며,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길이가 연장된 제 2암부;
    상기 제 1암부와 상기 제 2암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KR1020110048239A 2011-05-23 2011-05-23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KR101230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239A KR101230507B1 (ko) 2011-05-23 2011-05-23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239A KR101230507B1 (ko) 2011-05-23 2011-05-23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362A KR20120130362A (ko) 2012-12-03
KR101230507B1 true KR101230507B1 (ko) 2013-02-06

Family

ID=47514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239A KR101230507B1 (ko) 2011-05-23 2011-05-23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5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1754A1 (zh) * 2013-02-08 2014-08-14 华为技术有限公司 具有滤波元件的移相器以及滤波元件和天线
KR102099686B1 (ko) * 2019-02-21 2020-04-10 주식회사 알에프텍 안테나 위상 변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667B1 (ko) * 2012-12-27 2014-11-03 주식회사 감마누 개선된 구조의 위상 가변기
KR101612288B1 (ko) * 2015-01-09 2016-04-14 주식회사 감마누 다중 포트 위상 가변기
ES2779530T3 (es) * 2015-06-01 2020-08-18 Huawei Tech Co Ltd Desfasador combinado y sistema de red de antena multifrecuencia
KR102016090B1 (ko) * 2018-08-28 2019-08-30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에이디씨 기생 패치를 포함하는 아크형 위상 가변기
KR102002799B1 (ko) * 2018-08-28 2019-07-23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에이디씨 기생 패치를 포함하는 아크형 위상 가변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246A (ko) * 2004-08-20 2006-02-2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가변 이상기
KR20100122252A (ko) * 2009-05-12 2010-11-2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안테나에 있어서 도브 테일 장치
KR20110022224A (ko) * 2009-08-27 2011-03-0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도전부를 이용하여 프린징 필드를 차단하는 페이즈 쉬프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246A (ko) * 2004-08-20 2006-02-2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가변 이상기
KR20100122252A (ko) * 2009-05-12 2010-11-2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안테나에 있어서 도브 테일 장치
KR20110022224A (ko) * 2009-08-27 2011-03-0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도전부를 이용하여 프린징 필드를 차단하는 페이즈 쉬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1754A1 (zh) * 2013-02-08 2014-08-14 华为技术有限公司 具有滤波元件的移相器以及滤波元件和天线
KR102099686B1 (ko) * 2019-02-21 2020-04-10 주식회사 알에프텍 안테나 위상 변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362A (ko) 2012-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507B1 (ko)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US10062939B2 (en) Phase shifter of the cavity type including a feeding network, a slideable dielectric element and a transformation device, which are mounted within the cavity of the phase shifter
WO2017165512A1 (en) Modular base station antennas
US9444148B2 (en) Printed quasi-tapered tape helical array antenna
JP2000091832A (ja) 位相調整可能アンテナ給電ネットワ―ク
US7190310B2 (en) Antenna apparatus
WO2019128216A1 (zh) 移相结构及天线
WO2007077442A1 (en) An electro-magnetic energy coupler and an antenna array
US6806845B2 (en) Time-delayed directional beam phased array antenna
EP2727182A1 (en) Phase-shifter and power splitter
US8810475B2 (en) Antenna device
US9583819B2 (en) Antenna device including a phase shifter and a feeding portion configured as a triplate line with a center conductor
US9905935B2 (en) Antenna device
US7019703B2 (en) Antenna with Rotatable Reflector
PT2532049E (pt) Antena plana com dipolo dobrado
JP6003811B2 (ja) アンテナ装置
US20220166139A1 (en) Phase shifter module arrangement for use in a mobile communications antenna
US20230307831A1 (en) Stripline wiper-type phase shifter for a base station antenna
WO2004008568A1 (en) Phase shifter for antenna
US20200044321A1 (en) Multi-layer phase shifter driving device and related remote electronic tilt systems and antennas
EP1978591A1 (en) Adjustable monopole with adjustable ground plane
US6392601B1 (en) Receiving and transmitting device of antenna
US11855330B2 (en) Reflector for a multi-radiator antenna
JP5407067B2 (ja) アンテナ装置
CN114899590B (zh) 辐射装置、天线以及通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