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686B1 - 안테나 위상 변위기 - Google Patents

안테나 위상 변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686B1
KR102099686B1 KR1020190020176A KR20190020176A KR102099686B1 KR 102099686 B1 KR102099686 B1 KR 102099686B1 KR 1020190020176 A KR1020190020176 A KR 1020190020176A KR 20190020176 A KR20190020176 A KR 20190020176A KR 102099686 B1 KR102099686 B1 KR 102099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stem
phase
phase adjustment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후동
김성열
신봉철
유동균
신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프텍
Priority to KR1020190020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3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 H01Q3/3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 H01Q3/3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varying the relative phase between the radiating elements of an array by electrical means with variable phase-shifters

Landscapes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Abstract

하나의 축을 사용하면서도, 다양한 위상변화값을 갖는 출력단을 갖는 안테나 위상 변위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안테나 위상 변위기는 위상조절 플레이트 및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는, 입력단, 상기 입력단과 동일한 위상의 제1 출력단, 상기 입력단과 임의의 θ의 위상이 변화된 제2 출력단, -θ의 위상이 변화된 제3 출력단, nθ의 위상이 변화된 제4 출력단 및 -nθ의 위상이 변화된 제5 출력단을 포함한다(n은 2 이상의 자연수).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는 제2 면이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의 제1 면과, 회전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상기 θ값을 조절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위상 변위기{ANTENNA PHASE SHIFTER}
본 발명은 안테나 위상 변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틸트 조절을 위한 안테나 위상 변위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지역별 및 시간대별로 가입자들의 사용밀도가 변하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해주기 위하여 기지국 안테나의 수직빔 각도를 조절하여 기지국 커버리지를 조정하는 망관리를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기구적 틸트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기구적 틸트 방식은 안테나에 장착된 기구적 틸트 장치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안테나 복사빔의 방향을 직접적으로 가변하는 방식이다.
기구적 빔틸트 방식의 장점으로는 안테나의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기지국 운영을 위해서 기지국 안테나 타워에 기술자가 직접 올라가 틸트 기구물을 고정하고 있는 여러 개의 볼트를 풀고 안테나 각도를 바꾼 다음 다시 볼트를 조여주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낙사와 같은 위험이 있으며 많은 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수리의 신속성이 떨어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격으로 기지국 안테나의 빔틸트를 조절할 수 있는 전기적 빔틸트 방식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전기적 빔틸트 장치는 원격으로 전달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기지국 안테나의 빔틸트를 조절하게 되며, 이를 위해 전기적 빔틸트 장치는 내부에 빔의 위상을 변위시키기 위한 위상 가변기를 구비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23747, "안테나 위상 변위기"는 원호형의 패턴을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하여 위상기의 작은 회전으로 상당한 크기의 위상차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위상 변위기는, 위상이 변위된 두 개의 출력포트만을 구비하여, 다양한 위상 변화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치유하기 위해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13989, "다축 위상 변위기"는, 3개의 축을 구비하여 다양한 위상변화 요구를 충족시켰다. 그러나, 3개의 축을 수평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전체적인 사이즈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2374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13989
그에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축을 사용하면서도, 다양한 위상변화값을 갖는 출력단을 갖는 안테나 위상 변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 위상 변위기는 위상조절 플레이트 및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는, 입력단, 상기 입력단과 동일한 위상의 제1 출력단, 상기 입력단과 임의의 θ의 위상이 변화된 제2 출력단, -θ의 위상이 변화된 제3 출력단, nθ의 위상이 변화된 제4 출력단 및 -nθ의 위상이 변화된 제5 출력단을 포함한다(n은 2 이상의 자연수).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는 제2 면이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의 제1 면과, 회전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상기 θ값을 조절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안테나 위상 변위기는,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의 제2 면과 회전가능하도록 접촉하고,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와 결합하여,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가 상기 위상조절플레이트의 상기 제1 면에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착 플레이트는,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 상측에 배치된 위상조절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의 상기 제1 면에는, 제1 줄기패턴, 제2 줄기패턴, 입력가지패턴, 제1 내지 제5 출력가지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줄기패턴은 회전축 위로부터,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줄기패턴은 상기 제1 줄기패턴 상단부로부터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입력가지패턴은 상기 입력단으로부터 상기 제1 줄기패턴의 하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1 출력가지패턴은 상기 제1 줄기패턴을 중심으로 상기 입력가지패턴과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제1 줄기패턴의 상기 하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2 출력가지패턴은 상기 제2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제1 줄기패턴 상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3 출력가지패턴은 상기 제1 줄기패턴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출력가지패턴과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제1 줄기패턴의 상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4 출력가지패턴은 상기 제4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제2 줄기패턴의 상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5 출력가지패턴은 상기 제2 줄기패턴을 중심으로 상기 제4 출력가지패턴과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5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제2 줄기패턴의 상단부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2 및 제3 출력가지패턴은, 각각,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은 상기 제1 줄기패턴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반지름 R1인 원의 원호을 따라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제1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반지름 R1 보다 큰 제2 반지름 R2인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되고, 각각 상기 제2 출력단 및 상기 제3 출력단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4 및 제5 출력가지패턴은, 각각, 제3 패턴 및 제4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패턴은 상기 제2 줄기패턴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반지름 R2 보다 큰 제3 반지름 R3인 원의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4 패턴은, 상기 제3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3 반지름 R3 보다 큰 제4 반지름 R4인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되고, 각각 상기 제4 출력단 및 상기 제5 출력단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3 및 제4 반지름 R3 및 R4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반지름 R1 및 R2의 n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n은 2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면에는 제1 연결패턴 및 제2 연결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패턴은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의 원호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2 연결패턴은 상기 제3 패턴 및 상기 제4 패턴의 원호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제3 패턴 및 상기 제4 패턴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연결한다.
한편, 상기 제1 줄기패턴의 폭은 상기 제2 줄기패턴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5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파워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단과 상기 제1 줄기패턴을 연결하는 입력가지패턴은, 그 폭이 변경되어 임피던스를 매칭하기 위한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위상 변위기는 단일의 회전축을 사용하면서도, 회전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반지름만큼 이격된 다수의 원호형상의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위상변화 값을 갖는 출력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위상변화 값을 갖는 출력단을 구비한 안테나 위상 변위기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위상 변위기는 압착 플레이트 및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 사이에 위상조절 플레이트를 배치시켜,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 및 위상조절 플레이트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기되는 출력가지패턴들 사이의 줄기패턴의 두께를 달리함으로써, 각 출력가지패턴들로부터 출력되는 파워를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위상 변위기의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의 제2 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위상 변위기의 위상조절 플레이트의 제1 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위상 변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과장하여 도시한 것일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A와 B가'연결된다', '결합된다'라는 의미는 A와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결합하는 것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 C가 A와 B 사이에 포함되어 A와 B가 연결되거나 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방법 발명에 대한 특허청구범위에서, 각 단계가 명확하게 순서에 구속되지 않는 한, 각 단계들은 그 순서가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위상 변위기의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의 제2 면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위상 변위기의 위상조절 플레이트의 제1 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위상 변위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의한 안테나 위상 변위기(100)는 위상조절 플레이트(120) 및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110)를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안테나 위상 변위기(100)는,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120)의 제2 면과 회전가능하도록 접촉하고,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110)와 결합하여,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110)가 상기 위상조절플레이트(120)의 상기 제1 면에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 플레이트(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 면은 상면, 상기 제2 면은 하면을 도시한다.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120)는, 입력단(123c), 상기 입력단(123c)과 동일한 위상의 제1 출력단(123d), 상기 입력단(123c)과 임의의 θ의 위상이 변화된 제2 출력단(125c), -θ의 위상이 변화된 제3 출력단(126c), nθ의 위상이 변화된 제4 출력단(127c) 및 -nθ의 위상이 변화된 제5 출력단(128c)을 포함한다(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다). 상기 입력단(123c), 상기 제1 내지 제 5 출력단(123d, 125c, 126c, 127c, 128c)은 절연기판의 제1 면위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절연기판은 합성수지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120)를 구성하는 절연기판은 예컨대, 직사각형 위에 돔형의 상부가 부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110)는 제2 면이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120)의 제1 면과, 회전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상기 θ값을 조절한다.
상기 압착 플레이트(130)는,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120)를 관통하는 회전축(B) 및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120) 상측에 배치된 위상조절 레버(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110) 및 상기 압착 플레이트(130)는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120)와 동일하게 절연기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110) 및 상기 압착 플레이트(130)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착 플레이트(130)는 회전축(B)과 위상조절 레버(131)를 포함한다.
결합시, 상기 회전축(B)은 위상조절 플레이트(120)를 관통하여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110)의 회전축홀(A)과 결합된다. 예컨대, 상기 회전축(B)은 상기 회전축홀(A)과 억지끼움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상기 회전축(B) 상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위상조절 레버(130)는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120)의 상부를 통해서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110)와 체결되어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110)의 회전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110)의 상면에는 상기 위상조절 레버(130)에 대응하는 반원형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110)에는 걸림턱(131a)이 형성되어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110)를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120)에 압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120)의 상기 제1 면에는, 제1 줄기패턴(121), 제2 줄기패턴(122), 입력가지패턴(123a), 제1 내지 제5 출력가지패턴(123b, 125, 126, 127, 12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줄기패턴(121), 상기 제2 줄기패턴(122), 상기 입력가지패턴(123a), 상기 제1 내지 제5 출력가지패턴(123b, 125, 126, 127, 128)들은 도체의 배선으로서, 금속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1 내지 제5 출력가지패턴(123b, 125, 126, 127, 128)들은 절연기판 상에 금속박막을 부착하고, 상기 금속박막을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줄기패턴(121)은 회전축 위로부터,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줄기패턴(122)은 상기 제1 줄기패턴(121) 상단부로부터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 제1 줄기패턴(121)의 폭(d1)은 상기 제2 줄기패턴(122)의 폭(d2)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5 출력단(123d, 125c, 126c, 127c, 128c)으로 출력되는 파워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가지패턴(123a)은 상기 입력단(123c)으로부터 상기 제1 줄기패턴(121)의 하단부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입력단(123c)과 상기 제1 줄기패턴(121)을 연결하는 입력가지패턴(123a)은, 그 폭이 변경되어 임피던스를 매칭하기 위한 임피던스 매칭부(123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가지패턴(123b)은 상기 제1 줄기패턴(121)을 중심으로 상기 입력가지패턴(123a)과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출력단(123d)으로부터 상기 제1 줄기패턴(121)의 상기 하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2 출력가지패턴(125)은 상기 제2 출력단(125c)으로부터 상기 제1 줄기패턴(121) 상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3 출력가지패턴(126)은 상기 제1 줄기패턴(121)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출력가지패턴(125)과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출력단(126c)으로부터 상기 제1 줄기패턴(121)의 상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4 출력가지패턴(127)은 상기 제4 출력단(127c)으로부터 상기 제2 줄기패턴(122)의 상단부를 연결한다.
상기 제5 출력가지패턴128)은 상기 제2 줄기패턴(122)을 중심으로 상기 제4 출력가지패턴(127)과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5 출력단(128c)으로부터 상기 제2 줄기패턴(122)의 상단부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2 및 제3 출력가지패턴(125, 126)은, 각각, 제1 패턴(125b, 126b) 및 제2 패턴(125a, 126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턴(125b, 126b)은 상기 제1 줄기패턴(121)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B)을 중심으로 제1 반지름 R1인 원의 원호을 따라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패턴(125a, 126a)은 상기 제1 패턴(125b, 126b)과 이격되고, 상기 회전축(B)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반지름 R1 보다 큰 제2 반지름 R2인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되고, 각각 상기 제2 출력단(125c) 및 상기 제3 출력단(126c)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4 및 제5 출력가지패턴(127, 128)은, 각각, 제3 패턴(127b, 128b) 및 제4 패턴(127a, 128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패턴(127b, 128b)은 상기 제2 줄기패턴(122)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B)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반지름 R2 보다 큰 제3 반지름 R3인 원의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4 패턴(127a, 128a)은, 상기 제3 패턴(127b, 128b)과 이격되고, 상기 회전축(B)을 중심으로 상기 제3 반지름 R3 보다 큰 제4 반지름 R4인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되고, 각각 상기 제4 출력단(127c) 및 상기 제5 출력단(128c)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3 및 제4 반지름 R3 및 R4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반지름 R1 및 R2의 n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n은 2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110)의 상기 제2 면에는 제1 연결패턴(111) 및 제2 연결패턴(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패턴(111)은 상기 제1 패턴(125b, 126b) 및 상기 제2 패턴(125a, 126a)의 원호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패턴(125b, 126b) 및 상기 제2 패턴(125a, 126a)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2 연결패턴(112)은 상기 제3 패턴(127b, 128b) 및 상기 제4 패턴(127a, 128a)의 원호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제3 패턴(127b, 128b) 및 상기 제4 패턴(127a, 128a)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연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안테나 위상 변위기(100)는 단일의 회전축(B)을 사용하면서도, 회전축(B)으로부터 서로 다른 반지름만큼 이격된 다수의 원호형상의 패턴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위상변화 값을 갖는 출력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위상변화 값을 갖는 출력단을 구비한 안테나 위상 변위기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안테나 위상 변위기
110: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
111: 제1 연결패턴 112: 제2 연결패턴
120: 위상조절 플레이트
121: 제1 줄기패턴 122: 제2 줄기패턴
123a: 입력가지패턴 123b: 제1 출력가지패턴
123c: 입력단 123d: 제1 출력단
123e: 임피던스 매칭부
125: 제2 출력가지패턴 125a: 제2 패턴
125b: 제1 패턴 125c: 제2 출력단
126: 제3 출력가지패턴 126a: 제2 패턴
126b: 제1 패턴 126c: 제3 출력단
127: 제4 출력가지패턴 127a: 제4 패턴
127b: 제3 패턴 127c: 제4 출력단
128: 제5 출력가지패턴 128a: 제4 패턴
128b: 제3 패턴 128c: 제5 출력단
130: 압착 플레이트
131: 위상조절 레버 131a: 걸림턱
A: 회전축홀 B: 회전축

Claims (10)

  1. 입력단, 상기 입력단과 동일한 위상의 제1 출력단, 상기 입력단과 임의의 θ의 위상이 변화된 제2 출력단, -θ의 위상이 변화된 제3 출력단, nθ의 위상이 변화된 제4 출력단 및 -nθ의 위상이 변화된 제5 출력단을 포함하는 위상조절 플레이트(n은 2 이상의 자연수); 및
    제2 면이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의 제1 면과, 회전가능하도록 접촉하여 상기 θ값을 조절하는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의 상기 제1 면에는,
    회전축 위로부터, Y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줄기패턴;
    상기 입력단으로부터 상기 제1 줄기패턴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입력가지패턴;
    상기 제1 줄기패턴을 중심으로 상기 입력가지패턴과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제1 줄기패턴의 상기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1 출력가지패턴;
    상기 제2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제1 줄기패턴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2 출력가지패턴;
    상기 제1 줄기패턴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출력가지패턴과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제1 줄기패턴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3 출력가지패턴;
    상기 제1 줄기패턴 상단부로부터 Y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줄기패턴;
    상기 제4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제2 줄기패턴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4 출력가지패턴; 및
    상기 제2 줄기패턴을 중심으로 상기 제4 출력가지패턴과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5 출력단으로부터 상기 제2 줄기패턴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제5 출력가지패턴;
    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및 제3 출력가지패턴은, 각각,
    상기 제1 줄기패턴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반지름 R1인 원의 원호을 따라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패턴, 및 상기 제1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반지름 R1 보다 큰 제2 반지름 R2인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되고, 각각 상기 제2 출력단 및 상기 제3 출력단과 연결된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및 제5 출력가지패턴은, 각각,
    상기 제2 줄기패턴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반지름 R2 보다 큰 제3 반지름 R3인 원의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제3 패턴, 및 상기 제3 패턴과 이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3 반지름 R3 보다 큰 제4 반지름 R4인 원의 원호를 따라 형성되고, 각각 상기 제4 출력단 및 상기 제5 출력단과 연결된 제4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상 변위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의 제2 면과 회전가능하도록 접촉하고,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와 결합하여,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가 상기 위상조절플레이트의 상기 제1 면에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상 변위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플레이트는,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회전축; 및
    상기 위상조절 플레이트 상측에 배치된 위상조절 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상 변위기.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반지름 R3 및 R4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반지름 R1 및 R2의 n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상 변위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n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상 변위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조절 레버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면에는,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의 원호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패턴; 및
    상기 제3 패턴 및 상기 제4 패턴의 원호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제3 패턴 및 상기 제4 패턴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패턴;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상 변위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줄기패턴의 폭은 상기 제2 줄기패턴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5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파워가 동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상 변위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과 상기 제1 줄기패턴을 연결하는 입력가지패턴은, 그 폭이 변경되어 임피던스를 매칭하기 위한 임피던스 매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위상 변위기.
KR1020190020176A 2019-02-21 2019-02-21 안테나 위상 변위기 KR102099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176A KR102099686B1 (ko) 2019-02-21 2019-02-21 안테나 위상 변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176A KR102099686B1 (ko) 2019-02-21 2019-02-21 안테나 위상 변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686B1 true KR102099686B1 (ko) 2020-04-10

Family

ID=7029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176A KR102099686B1 (ko) 2019-02-21 2019-02-21 안테나 위상 변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686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534B1 (ko) * 2003-07-14 2006-03-2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전력 분배 기능을 구비한 위상 가변기
KR101150465B1 (ko) * 2011-12-06 2012-06-01 주식회사 감마누 양방향 적층 위상가변기
KR101223747B1 (ko) 2012-09-18 2013-01-17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안테나 위상 변위기
KR101230507B1 (ko) * 2011-05-23 2013-02-06 주식회사 굿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JP2013042348A (ja) * 2011-08-15 2013-02-28 Hitachi Cable Ltd 移相器及び位相調整方法
KR20130055183A (ko) * 2011-11-18 2013-05-28 주식회사 감마누 빔 틸트를 위한 원형 트롬본 위상가변기
JP2013157785A (ja) * 2012-01-30 2013-08-15 Hitachi Cable Ltd 電力分配型移相器及びアンテナ装置
JP2013239794A (ja) * 2012-05-11 2013-11-28 Hitachi Cable Ltd 移相器
KR101413989B1 (ko) 2014-05-01 2014-08-06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다축 위상 변위기
JP2017224931A (ja) * 2016-06-14 2017-12-21 株式会社日立国際八木ソリューションズ 移相器およびアンテナ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534B1 (ko) * 2003-07-14 2006-03-22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전력 분배 기능을 구비한 위상 가변기
KR101230507B1 (ko) * 2011-05-23 2013-02-06 주식회사 굿텔 마주보는 접지면을 구비한 위상가변기
JP2013042348A (ja) * 2011-08-15 2013-02-28 Hitachi Cable Ltd 移相器及び位相調整方法
KR20130055183A (ko) * 2011-11-18 2013-05-28 주식회사 감마누 빔 틸트를 위한 원형 트롬본 위상가변기
KR101150465B1 (ko) * 2011-12-06 2012-06-01 주식회사 감마누 양방향 적층 위상가변기
JP2013157785A (ja) * 2012-01-30 2013-08-15 Hitachi Cable Ltd 電力分配型移相器及びアンテナ装置
JP2013239794A (ja) * 2012-05-11 2013-11-28 Hitachi Cable Ltd 移相器
KR101223747B1 (ko) 2012-09-18 2013-01-17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안테나 위상 변위기
KR101413989B1 (ko) 2014-05-01 2014-08-06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다축 위상 변위기
JP2017224931A (ja) * 2016-06-14 2017-12-21 株式会社日立国際八木ソリューションズ 移相器およびアンテ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4291B (zh) 具有多级移相器的相控阵天线
US20220006167A1 (en) Base station antennas and phase shifter assemblies adapted for mitigating internal passive intermodulation
KR100562534B1 (ko) 전력 분배 기능을 구비한 위상 가변기
US7903039B2 (en) Broadband multi-loop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U2004310213B2 (en) Phased array antenna system with controllable electrical tilt
US20060229048A1 (en) Remote control of antenna line devices
US10367261B2 (en) Base station antennas with remotely reconfigurable electronic downtilt control paths and related methods of reconfiguring such antennas
WO2018119928A1 (zh) 一种天线及网络设备
KR20070095301A (ko) 삼중 편파 패치 안테나
KR102099686B1 (ko) 안테나 위상 변위기
US7768467B2 (en) Circularly polarized loop antenna
EP2169762B1 (en) A tilt-dependent beam-shape system
JP5933871B1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アレーアンテナ装置
CN107317120A (zh) 一种紧凑型双极化多频天线、阵列及其构造方法
KR101223747B1 (ko) 안테나 위상 변위기
CN106450792A (zh) 一种天线、天线圆极化方法和移动终端
CN206148622U (zh) 裂缝天线
WO2021104069A1 (zh) 一种射频器件
Jean et al. A 30 ghz steerable patch array antenna for software-defined radio platforms
JPH104305A (ja) 電力分配型移相器
CN210926350U (zh) 相位数组天线结构
CN1805211B (zh) 带有匹配的阻抗和/或极化的平面天线
KR101413989B1 (ko) 다축 위상 변위기
JP2017224931A (ja) 移相器およびアンテナ装置
KR102002799B1 (ko) 기생 패치를 포함하는 아크형 위상 가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