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4727A - 락 검출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락 검출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4727A
KR20140084727A KR1020120154507A KR20120154507A KR20140084727A KR 20140084727 A KR20140084727 A KR 20140084727A KR 1020120154507 A KR1020120154507 A KR 1020120154507A KR 20120154507 A KR20120154507 A KR 20120154507A KR 20140084727 A KR20140084727 A KR 20140084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signal
lock
reference signal
lock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충현
김봉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즈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즈텍
Priority to KR1020120154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4727A/ko
Publication of KR20140084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47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87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at least two phase detectors or a frequency and phase detector in the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8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the phase or frequency detector generating up-down puls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a lock detec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7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a comparator for comparing the voltages obtained from two frequency to voltag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5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time reference signals, e.g. clock signals

Landscapes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 Manipulation Of Pulses (AREA)

Abstract

락 검출 회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락 검출 회로는 기준 신호의 위상이 피드백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하는 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른 검증 신호를 출력하는 검증부 및 상기 출력된 검증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이 상기 피드백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한다고 검출되는 경우 위상이 고정되었음을 알리는 락 신호를 출력하는 락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락 검출 회로 및 방법{LOCK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락 검출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락 검출 회로는 위상 고정 루프의 위상이 고정되었는지의 여부, 즉 위상이 락(Lock) 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회로를 의미한다. 종래에도 락 검출 회로가 존재하였으나, 락 검출 회로가 많은 회로 소자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락 검출 회로의 면적이 증가하고 오동작이 자주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0-0051491호 등의 종래의 락 검출 회로는 다수의 D 플립플롭들 및 트랜지스터 등으로 이루어졌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락 검출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 검출 회로는 기준 신호의 위상이 피드백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하는 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른 검증 신호를 출력하는 검증부; 및 상기 출력된 검증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이 상기 피드백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한다고 검출되는 경우 위상이 고정되었음을 알리는 락 신호를 출력하는 락 판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 검출 회로는 기준 신호의 위상과 제 1 위상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제 1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위상 비교기;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과 상기 제 1 위상 신호와 위상차를 가지는 제 2 위상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제 2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위상 비교기; 및 상기 출력된 비교 신호들을 통하여 위상이 고정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락 판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 검출 방법은 기준 신호의 위상이 위상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이 상기 위상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하면 락 검출값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락 검출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위상이 고정되었음을 알리는 락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락 검출 회로는 기준 신호와 피드백 신호의 위상차가 기설정된 지연 시간보다 작은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른 검증 신호를 출력하는 검증부; 및 상기 출력된 검증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신호와 상기 피드백 신호의 위상차가 상기 지연 시간보다 작다고 검출되는 경우 위상이 고정되었음을 알리는 락 신호를 출력하는 락 판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연 시간은 상기 기준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시간이다.
본 발명의 락 검출 회로는 적은 수의 회로 소자들로 구성되며, 따라서 상기 락 검출 회로의 구조가 간단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하여 상기 락 검출 회로의 오동작 발생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락 검출 방법은 기준 신호와 피드백 신호들을 간단히 비교하는 방법을 통하여 락을 검출하므로, 상기 락 검출 회로의 동작이 간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 검출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락 검출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락 검출 회로에서의 신호들을 도시한 타이밍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5는 도 2의 락 검출 회로에 따른 락 검출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락 검출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락 검출 회로에서의 신호들을 도시한 타이밍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락 검출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락 검출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 검출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락 검출 회로(108)는 위상 고정 루프에 사용되는 회로로서, 위상 고정 여부, 즉 락(Lock)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위상 고정 루프는 락 검출 회로(108) 이외에도 위상 주파수 검출기(100), 전하 펌프(102), 루프 필터(104) 및 전압 제어 발진기(106, VCO)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위상 주파수 검출기(100), 전하 펌프(102), 루프 필터(104) 및 전압 제어 발진기(106)의 동작은 종래에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락 검출 회로(10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신호(FREF) 및 전압 제어 발진기(106)로부터 출력되어 위상 주파수 검출기(100)로 피드백되는 피드백 신호(FVCO)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를 통하여 위상이 고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락 검출 회로(10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락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락 검출 회로(108)의 다양한 구조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락 검출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락 검출 회로에서의 신호들을 도시한 타이밍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5는 도 2의 락 검출 회로에 따른 락 검출 실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락 검출 회로(10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신호(FREF) 및 피드백 신호들, 예를 들어 제 (n-i) 피드백 신호(FVCO(n-i)) 및 제 (n+j) 피드백 신호(FVCO(n+j)를 이용하여 위상이 고정되었는 지의 여부, 즉 락을 검출한다.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고 i 및 j는 각기 정수이며, 위상 고정해야할 신호는 제 n 피드백 신호이다. i 및 j는 임의의 정수로서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또한, i 및 j는 기준 클록의 1/2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락 검출 회로(108)는 기준 신호(FREF)의 위상이 2개의 피드백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통하여 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 검출 회로(108)는 기준 신호(FREF)의 위상이 상기 피드백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할 때마다 락 검출값을 기준값(예를 들어, 1)만큼 증가시키며, 락 검출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락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기준 신호(FREF)의 위상이 상기 피드백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하는 횟수가 연속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값에 해당하는 횟수 이상이면, 락 검출 회로(108)는 상기 위상 고정 루프가 락되었다고 판단한다.
위상 고정되어야 할 신호인 제 n 피드백 신호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피드백 신호들은 제 n 피드백 신호 이전에 출력된 피드백 신호 및 제 n 피드백 신호 이후에 출력된 피드백 신호를 포함한다. 즉, 락 검출 회로(108)는 제 n 피드백 신호 이전에 출력된 피드백 신호 및 제 n 피드백 신호 이후에 출력된 피드백 신호의 위상들 사이에 기준 신호(FREF)의 위상이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통하여 락을 검출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n 피드백 신호 이전의 신호를 제 1 피드백 신호(FVCO(n-1))라 하고, 제 n 피드백 신호 이후의 신호를 제 2 피드백 신호(FVCO(n+1))로 가정하겠다. 또한, i 및 j를 각기 1로 설정하였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 검출 회로(108)는 위상 비교부(200), 검증부(202) 및 락 판단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위상 비교부(200)는 기준 신호(FREF)와 제 1 피드백 신호(FVCO(n-1))를 비교하는 제 1 위상 비교기(D1) 및 기준 신호(FREF)와 제 2 피드백 신호(FVCO(n+1))를 비교하는 제 2 위상 비교기(D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위상 비교부(200)는 기준 신호(FREF)의 위상과 피드백 신호들(FVCO(n-1) 및 FVCO(n+1))의 위상들을 각기 비교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상 비교기들(D1 및 D2)은 각기 하나의 D 플립플롭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준 신호(FREF)가 제 1 위상 비교기(D1)의 입력단으로 입력되고 제 1 위상 비교기(D1)의 클록으로 제 1 피드백 신호(FVCO(n-1))가 사용되며, 기준 신호(FREF)가 제 2 위상 비교기(D2)의 입력단으로 입력되고 제 2 위상 비교기(D2)의 클록으로 제 2 피드백 신호(FVCO(n+1))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제 1 위상 비교기(D1)는 제 1 피드백 신호(FVCO(n-1))를 클록으로 사용하여 기준 신호(FREF)의 위상을 검출하고, 제 2 위상 비교기(D2)는 제 2 피드백 신호(FVCO(n+1))를 클록으로 사용하여 기준 신호(FREF)의 위상을 검출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제 1 위상 비교기(D1)는 기준 신호(FREF)의 위상과 제 1 피드백 신호(FVCO(n-1))의 위상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로서 제 1 비교 신호(Q1)를 출력하며, 제 2 위상 비교기(D2)는 기준 신호(FREF)의 위상과 제 2 피드백 호(FVCO(n+1))의 위상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로서 제 2 비교 신호(Q2)를 출력한다. 다만, 제 1 비교 신호(Q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D 플립플롭의 출력의 반전 신호일 수 있다.
검증부(202)는 위상 비교기들(D1 및 D2)로부터 출력된 비교 신호들(Q1 및 Q2)을 통하여 기준 신호(FREF)의 위상이 피드백 신호들(FVCO(n-1) 및 FVCO(n+1))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증부(202)는 하나의 앤드 게이트(AND gate)로 구성될 수 있다. 검증부(202)는 확인 결과를 가지는 검증 신호(LOCK_I)를 출력시킨다.
락 판단부(204)는 검증부(202)로부터 입력되는 검증 신호(LOCK_I)를 이용하여 락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검증부(202)는 매 클록마다 검증 신호(LOCK_I)를 출력하며, 락 판단부(204)는 입력되는 검증 신호들(LOCK_I)을 분석하여 락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락 판단부(204)는 기준 신호(FREF)의 위상이 피드백 신호들(FVCO(n-1) 및 FVCO(n+1))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할 때마다 락 검출값을 1만큼씩 증가시키며, 락 검출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락 되었다고 판단하고 락 신호(LOCK)를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검증부(202)가 하이 로직을 가지는 검증 신호를 락 판단부(204)로 제공하면 락 검출값은 1만큼 증가하는 반면에, 검증부(202)가 로우 로직을 가지는 검증 신호를 락 판단부(204)로 제공하면 락 검출값이 0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물론, 로우 로직을 가지는 검증 신호가 락 판단부(204)로 입력될 때 락 검출값이 1만큼 증가하도록 락 검출 회로(108)를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락 판단부(204)는 하나의 계수기(카운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락 판단부(204)는 계수기 외에도 하나의 비교기(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수기는 위상 고정 루프가 락되지 않은 경우에 인에이블(enable)되며, 전압 제어 발진기(106)로부터의 피드백 신호(FVCO)를 클록으로 사용한다. 또한, 계수기는 검증 신호(LOCK_I)에 따라 리셋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수기는 기준 신호(FREF)의 위상이 피드백 신호들(FVCO(n-1) 및 FVCO(n+1))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한다는 확인 결과를 가지는 검증 신호(LOCK_I)가 입력되면 리셋되지 않고, 기준 신호(FREF)의 위상이 피드백 신호들(FVCO(n-1) 및 FVCO(n+1))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하지 않다는 확인 결과를 가지는 검증 신호(LOCK_I)가 입력되면 리셋된다. 결과적으로, 계수기는 기준 신호(FREF)의 위상이 피드백 신호들(FVCO(n-1) 및 FVCO(n+1))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할 때의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계수기는 기준 신호(FREF)의 위상이 피드백 신호들(FVCO(n-1) 및 FVCO(n+1))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할 때마다 락 검출값을 1만큼씩 증가시키므로, 기준 신호(FREF)의 위상이 연속적으로 피드백 신호들(FVCO(n-1) 및 FVCO(n+1))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하지 않으면 락 검출값은 즉시 0으로 초기화되게 된다. 이러한 리셋을 위하여 검증부(202)의 출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수기의 리셋 단자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셋은 동기 리셋이 사용될 수도 있고 비동기 리셋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락 검출 회로(108)는 기준 신호(FREF)의 위상이 피드백 신호들(FVCO(n-1) 및 FVCO(n+1))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통하여 락을 검출한다. 특히, 락 검출 회로(108)는 2개의 D 플립플롭, 하나의 AND 게이트 및 하나의 계수기로 이루어지므로, 락 검출 회로(108)의 구조가 상당히 간단할 수 있다. 따라서, 락 검출 회로(108)의 오동작 가능성이 낮으며, 락 검출 회로(108)가 차지하는 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신호들의 위상이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락 검출 회로(108)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더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종래의 락 검출 회로와 비교하면, 종래의 락 검출 회로는 다수의 D 플립플롭들 및 트랜지스터들을 사용하여 락을 검출하였다. 따라서, 락 검출 회로의 면적이 증가하고 오동작 발생 확률이 높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락 검출 회로(108)는 작은 수의 회로 소자들만을 사용하므로, 락 검출 회로(108)의 면적이 작고 오동작 발생 확률이 낮아질 수 있다.
이하, 도 2의 락 검출 회로(108)의 신호 흐름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상은 상승 에지(rising edge)를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겠으나, 하강 에지 등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신호(FREF)와 피드백 신호들(FVCO(n-1) 및 FVCO(n+1))이 위상 비교부(200)로 입력될 수 있다. 피드백 신호들(FVCO(n-1) 및 FVCO(n+1))은 위상 고정되어야 할 피드백 신호(FVCO(n))을 기준으로 하여 이전 피드백 신호 및 이후 피드백 신호를 의미한다.
첫번째 네모 박스를 살펴보면, 기준 신호(RREF)의 위상은 피드백 신호들(FVCO(n-1) 및 FVCO(n+1)) 사이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제 1 비교 신호(Q1)는 하이(High) 로직을 가지며, 제 2 비교 신호(Q2)는 로우 로직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검증 신호(LOCK_I)는 FVCO(n+1)의 상승 에지에서 하이 로직을 가지게 된다. 다만, 락 판단부(204)의 계수기가 FVCO(n)을 클록으로 사용하므로, 기준 신호(RREF)의 위상은 피드백 신호들(FVCO(n-1) 및 FVCO(n+1)) 사이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락 검출값(CNT_OUT)은 증가하지 않는다.
그러나, 두번째 네모박스 및 세번째 네모박스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기준 신호(RREF)의 위상은 피드백 신호들(FVCO(n-1) 및 FVCO(n+1)) 사이에 위치하면 락 검출값(CNT_OUT)이 1만큼씩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락 검출 회로(108)는 FVCO(n)의 상승 에지마다 락 검출값(CNT_OUT)과 기설정된 값을 비교할 수 있으며, 락 검출값(CNT_OUT)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락 신호(LOCK)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값이 2인 경우, 락 검출 회로(108)는 세번째 박스의 FVCO(n)의 상승 에지에서 위상이 고정되었음을 알리는 락 신호(LOCK)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세번째 박스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준 신호(RREF)의 위상이 피드백 신호들(FVCO(n-1) 및 FVCO(n+1)) 사이에 위치하지 않으면, 락 판단부(204)는 락 검출값(CNT_OUT)을 0으로 초기화시킨다. 즉, 검증부(202)에서 출력된 검증 신호들(LOCK_I)이 연속적으로 하이 로직을 가질 때마다 락 검출값(CNT_OUT)이 1만큼씩 상승하다가 로우 로직을 가지는 검증 신호(LOCK_I)가 락 판단부(204)로 입력되면 락 검출값(CNT_OUT)은 0으로 초기화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락 판단부(204)는 기설정된 값이 4인 경우 락 신호(LOCK) 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것이며, 기설정된 값이 3인 경우 도 4의 두번째 박스의 FVCO(n)의 상승 에지에서 락 신호(FVCO)를 출력할 것이다. 실제 실험 결과, 도 5의 두번째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락 검출값(CNT_OUT)이 기설정된 값에 도달하면, 락 판단부(204)가 락이 되었음을 알리는 하이 로직을 가지는 락 신호(LOCK)를 출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위 도 3 및 도 4에서는 피드백 신호들(FVCO(n-1) 및 FVCO(n+1))을 사용하였지만, i 및 j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승 에지가 아닌 하강 에지를 기준으로 하여 락 검출 동작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락 검출 회로(108)의 일 예이며, 기준 신호(RREF)의 위상은 피드백 신호들 사이에 위치하는 지의 여부를 통하여 락을 검출하는 한 락 검출 회로(108)의 회로 구성 및 락 검출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 검출 회로(108)는 기준 신호(FREF)와 상호 위상차를 가지는 위상 신호들을 이용하여 락을 검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락 검출 회로(108)는 기준 신호(FREF)의 위상이 상기 위상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할 때마다 락 검출값을 1만큼씩 증가시키고, 상기 락 검출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락을 알리는 락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준 신호(FREF) 및 상기 위상 신호들은 동일한 주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위상 신호들은 전압 제어 발진기의 출력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이러한 락 검출 회로(108)의 락 검출 동작은 도 3 및 도 4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락 검출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락 검출 회로에서의 신호들을 도시한 타이밍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락 검출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락 검출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의 락 검출 회로(108)는 기준 신호(FREF) 및 피드백 신호(FVCO)를 이용하여 락을 검출하되, 기준 신호(FREF)와 피드백 신호(FVCO)의 위상차가 지연 시간보다 작은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위상 고정 루프의 락을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지연 시간은 기준 신호(FREF) 및 피드백 신호(FVCO)를 지연시키는 시간을 의미하며, 지연된 기준 신호(FREF) 및 피드백 신호(FVCO)는 피드백 신호(FVCO) 및 기준 신호(FREF)와 각기 비교된다.
이하,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락 검출 회로(108)의 구조를 살펴보겠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락 검출 회로(108)는 위상 비교부(600), 검증부(602) 및 락 판단부(604)를 포함한다.
위상 비교부(600)는 기준 신호(FREF)와 피드백 신호(FVCO)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부(610) 및 위상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연부(610)는 피드백 신호(FVCO)를 지연시키기 위한 제 1 지연 소자(620) 및 기준 신호(FREF)를 지연시키기 위한 제 2 지연 소자(6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연 소자들(620 및 622)의 지연 시간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지연 소자들(620 및 622)로부터의 출력들(D_FVCO 및 D_FREF)은 각기 비교부(612)의 위상 비교기들(D1 및 D2)로 각기 입력된다. 출력들(D_FVCO 및 D_FREF)은 위상 비교기들(D1 및 D2)의 클록으로서 각기 사용된다.
제 1 위상 비교기(D1)는 지연된 피드백 신호(D_FVCO)의 위상과 기준 신호(FREF)의 위상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로서 제 1 비교 신호(Q1)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 1 위상 비교기(D1)는 D 플립플롭이다.
제 2 위상 비교기(D2)는 지연된 기준 신호(D_FREF)의 위상과 피드백 신호(FVCO)의 위상을 비교하며, 비교 결과로서 제 2 비교 신호(Q2)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 2 위상 비교기(D2)는 D 플립플롭이다.
검증부(602)는 입력되는 비교 신호들(Q1 및 Q2)을 통하여 기준 신호(FREF)와 피드백 신호(FVCO)의 위상차가 지연 시간보다 작은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로서 검증 신호(LOCK_I)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검증부(602)는 하나의 AND 게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검증부(602)는 기준 신호(FREF)와 피드백 신호(FVCO)의 위상차가 지연 시간보다 작으면 하이 로직을 가지는 검증 신호(LOCK_I)를 출력하고, 기준 신호(FREF)와 피드백 신호(FVCO)의 위상차가 지연 시간 이상이면 로우 로직을 가지는 검증 신호(LOCK_I)를 출력할 수 있다.
락 판단부(604)는 하이 로직을 가지는 검증 신호(LOCK_I)가 입력될 때마다 락 검출값(CNT_OUT)을 1만큼씩 증가시키며, 로우 로직을 가지는 검증 신호(LOCK_I)가 입력되면 락 검출값(CNT_OUT)을 0으로 초기화시킨다. 결과적으로, 하이 로직을 가지는 검증 신호들(LOCK_I)이 연속적으로 입력될 때에만 락 검출값(CNT_OUT)이 계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락 판단부(604)는 락 검출값(CNT_OUT)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위상이 고정되었음을 알리는 락 신호(LOCK)를 출력시킨다. 한편, 락 판단부(604)는 검증 신호(LOCK_I)가 하이 로직을 가질 때 락 검출값(CNT_OUT)을 1씩 증가시켰으나 검증 신호(LOCK_I)가 로우 로직을 가질 때 락 검출값(CNT_OUT)이 1씩 증가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락 판단부(604)는 하나의 계수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계수기의 동작은 도 2에서와 유사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락 판단 동작도 도 2에서와 유사하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락 검출 회로(108)는 기준 신호(FREF)와 피드백 신호(FVCO)의 위상차와 지연 시간을 비교하여 락 여부를 검출한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 검출 회로(108)는 작은 수의 회로 소자들로 이루어지므로, 락 검출 회로(108)의 면적이 감소하고 오동작 발생 확률이 낮아질 수 있다.
이하, 도 6의 락 검출 회로(108)의 신호 흐름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위상은 상승 에지를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겠으나, 하강 에지 등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도 7의 2번째 및 세번째 박스를 살펴보면, 기준 신호(FREF)와 피드백 신호(FVCO)의 위상차가 지연 시간(예를 들어, FREF와 D_FREF의 상승 에지들의 시간차)보다 작으며, 그 결과 락 판단부(604)는 락 검출값(CNT_OUT)을 1만큼씩 증가시킨다.
도 8의 세번째 박스를 살펴보면, 기준 신호(FREF)와 피드백 신호(FVCO)의 위상차가 지연 시간보다 크며, 그 결과 락 판단부(604)는 락 검출값(CNT_OUT)을 0으로 초기화시킨다.
이 경우, 락 판단부(604)는 기설정된 값이 3이면 도 8의 세번째 박스에서 락이 되었음을 알리는 락 신호(LOCK)를 출력하지만, 기설정된 4이면 락 검출값(CNT_OUT)이 4가 되기 전에 다시 0으로 초기화되었으므로 락 신호(LOCK)를 출력시키지 않는다.
정리하면, 락 검출 회로(108)는 기준 신호(FREF)와 피드백 신호(FVCO)의 위상차가 지연 시간을 비교하여 위상 고정 루프의 락 여부를 검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락 검출 회로(108)의 일 예이며, 기준 신호(FREF)와 피드백 신호(FVCO)의 위상차가 지연 시간을 비교하여 위상 고정 루프의 락 여부를 검출하는 한 락 검출 회로(108)의 회로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 검출 회로(108)는 위상 비교부(900), 검증부(902) 및 락 판단부(904) 외에 락 검출부(90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락 검출부(906)는 락 검출값(CNT_OUT)과 기설정된 값(N)을 비교하여 락 신호(LOCK)를 출력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락 검출부(906)는 비교기일 수 있다. 물론, 락 검출부(906)는 락 판단부(904) 내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 검출 회로(108)는 위상 비교부(1000), 검증부(1002) 및 락 판단부(1004)를 포함하되, 락 판단부(1004)는 비교기를 이용하지 않고 계수기의 MSB(Most Significant Bit)를 락 신호(LOCK)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락 판단부(1004)는 MSB, MSB-1, MSB-2 등의 신호를 콤비네이션 로직(combination logic)으로 조합하여 락 신호(LOCK)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8 : 락 검출 회로 200 : 위상 비교부
202 : 검증부 204 : 락 판단부
600 : 위상 비교부 602 : 검증부
604 : 락 판단부 610 : 지연부
612 : 비교부 620, 622 : 지연 소자

Claims (14)

  1. 기준 신호의 위상이 피드백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하는 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른 검증 신호를 출력하는 검증부; 및
    상기 출력된 검증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이 상기 피드백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한다고 검출되는 경우 위상이 고정되었음을 알리는 락 신호를 출력하는 락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검출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신호들은 위상 고정 루프의 전압 제어 발진기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이며, 상기 피드백 신호들 중 하나(FVCO(n-i))는 위상 고정될 신호(FVCO(n)) 이전의 피드백 신호이고, 상기 피드백 신호들 중 다른 하나(FVCO(n+j))는 위상 고정될 신호(FVCO(n)) 이후의 피드백 신호이되,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고, i 및 j는 각기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검출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 판단부는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이 상기 피드백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할 때마다 락 검출값을 1만큼씩 증가시키며, 상기 락 검출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위상이 고정되었음을 알리는 락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이 상기 피드백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락 검출값을 0으로 초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검출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락 판단부는 계수기를 포함하되,
    상기 검증부로부터 출력된 검증 신호는 상기 계수기의 리셋 단자로 입력되며, 위상 고정될 신호(FVCO(n))가 상기 계수기의 클록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검출 회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하나의 AND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AND 게이트의 출력은 상기 락 판단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검출 회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과 상기 피드백 신호들의 위상들을 비교하는 위상 비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상 비교부의 출력은 상기 검증부로 연결되며,
    상기 위상 비교부는,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과 상기 피드백 신호 중 하나의 위상을 비교하는 제 1 위상 비교기; 및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과 상기 피드백 신호 중 다른 하나의 위상을 비교하는 제 2 위상 비교기를 포함하되,
    상기 위상 비교기들의 출력은 상기 검증부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검출 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비교기들은 각기 하나의 D 플립플롭을 포함하되,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D 플립플롭들의 입력으로 각기 입력되고, 상기 피드백 신호들 중 하나는 상기 D 플립플롭들 중 하나의 클록으로 사용되며, 다른 피드백 신호는 다른 D 플립플롭의 클록으로 사용되고,
    상기 D 플립플롭들 중 하나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반전 신호 및 다른 D 플립플롭으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상기 검증부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검출 회로.
  8. 기준 신호의 위상과 제 1 위상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제 1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위상 비교기;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과 상기 제 1 위상 신호와 위상차를 가지는 제 2 위상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른 제 2 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 2 위상 비교기; 및
    상기 출력된 비교 신호들을 통하여 위상이 고정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락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검출 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락 판단부는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이 상기 위상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할 때마다 락 검출값을 1만큼씩 증가시키며, 상기 락 검출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위상이 고정되었음을 알리는 락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이 상기 위상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락 검출값을 0으로 초기화시키며,
    상기 락 판단부는,
    상기 락 검출값을 증가시키는 계수기; 및
    상기 락 검출값과 상기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며,
    상기 검증부의 출력은 상기 계수기의 리셋 단자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검출 회로.
  10. 기준 신호의 위상이 위상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이 상기 위상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하면 락 검출값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락 검출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위상이 고정되었음을 알리는 락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검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이 상기 위상 신호들의 위상들 사이에 위치하지 않으면 상기 락 검출값을 0으로 초기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검출 방법.
  12. 기준 신호와 피드백 신호의 위상차가 기설정된 지연 시간보다 작은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른 검증 신호를 출력하는 검증부; 및
    상기 출력된 검증 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신호와 상기 피드백 신호의 위상차가 상기 지연 시간보다 작다고 검출되는 경우 위상이 고정되었음을 알리는 락 신호를 출력하는 락 판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연 시간은 상기 기준 신호 및 상기 피드백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검출 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락 판단부는 상기 기준 신호와 상기 피드백 신호의 위상차가 상기 지연 시간보다 작을 때마다 락 검출값을 1만큼씩 증가시키며, 상기 락 검출값이 기설정된 값 이상이면 위상이 고정되었음을 알리는 락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기준 신호와 상기 피드백 신호의 위상차가 상기 지연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락 검출값을 0으로 초기화시키고,
    상기 락 판단부는 하나의 계수기를 포함하며, 상기 검증부의 출력은 상기 계수기의 리셋 단자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검출 회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를 상기 지연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제 1 지연 소자;
    상기 피드백 신호를 상기 지연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제 2 지연 소자;
    상기 제 1 지연 소자에 의해 지연된 기준 신호의 위상과 상기 피드백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제 1 위상 비교기; 및
    상기 제 2 지연 소자에 의해 지연된 피드백 신호의 위상과 상기 기준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는 제 2 위상 비교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위상 비교기들의 출력들은 상기 검증부로 연결되고, 상기 검증부는 하나의 AND 게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위상 비교기들 중 적어도 하나는 D 플립플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락 검출 회로.




KR1020120154507A 2012-12-27 2012-12-27 락 검출 회로 및 방법 KR201400847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507A KR20140084727A (ko) 2012-12-27 2012-12-27 락 검출 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507A KR20140084727A (ko) 2012-12-27 2012-12-27 락 검출 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4727A true KR20140084727A (ko) 2014-07-07

Family

ID=5173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507A KR20140084727A (ko) 2012-12-27 2012-12-27 락 검출 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472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7381B2 (ja) 誤ロック防止回路、防止方法及びそれを利用した遅延ロックループ
US8040156B2 (en) Lock detection circuit and lock detecting method
US7595672B2 (en) Adjustable digital lock detector
US20020109495A1 (en) Delay lock loop with wide frequency range capability
US6879195B2 (en) PLL lock detection circuit using edge detection
US20130271193A1 (en) Circuits and methods to guarantee lock in delay locked loops and avoid harmonic locking
US7733139B2 (en) Delay locked loop circuit and method for eliminating jitter and offset therein
TWI555338B (zh) 相位偵測器及相關的相位偵測方法
US8686768B2 (en) Phase locked loop
US8373474B2 (en) Delay lock loop and method for generating clock signal
CN111464180B (zh) 一种具有锁定检测功能的锁相环电路
KR100849211B1 (ko) 락 감지부를 구비하는 주파수 조절기 및 주파수 조절 방법
US7859313B2 (en) Edge-missing detector structure
Moon et al. A 2.2-mW 20–135-MHz False-Lock-Free DLL for Display Interface in 0.15-$\mu\hbox {m} $ CMOS
US6456132B1 (en) Phase-locked loop circuit
US6954510B2 (en) Phase-locked loop lock detector circuit and method of lock detection
US9455823B2 (en) Four-phase clock generator with timing sequence self-detection
US9041445B1 (en) Feedback for delay lock loop
EP2804323B1 (en) Phase-detector circuit and clock-data recovery circuit
US6990165B2 (en) Phase and frequency lock detector
CN115021747A (zh) 一种延迟锁相环电路、时钟产生芯片和电子设备
KR20140084727A (ko) 락 검출 회로 및 방법
CN106301354B (zh) 一种占空比校正装置及方法
US7382163B2 (en) Phase frequency detector used in digital PLL system
JP4718388B2 (ja) 周波数比較回路、pll周波数シンセサイザテスト回路及びそのテス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