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3427A -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3427A
KR20140083427A KR1020120153158A KR20120153158A KR20140083427A KR 20140083427 A KR20140083427 A KR 20140083427A KR 1020120153158 A KR1020120153158 A KR 1020120153158A KR 20120153158 A KR20120153158 A KR 20120153158A KR 20140083427 A KR20140083427 A KR 20140083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horizontal
fixing frame
ho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8318B1 (ko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3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318B1/ko
Publication of KR20140083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4Transverse 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24Hydrostatic bearings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기와 열간교정기 사이에 배치되는 장치베이스 및 상기 장치베이스에 설치되며, 열간교정기로의 스트립 선단부의 진입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되는 스트립 진입 유도수단을 포함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열간 교정기로 진입되는 스트립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후판 제품의 손상 및 제철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Apparatus for guiding approach of strip}
본 발명은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열간 교정기로 진입되는 스트립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판(S)을 원하는 두께로 생산하기 위해, 후판(S)을 이송롤러(2)를 이용하여 압연기(4)로 유입시킨다. 압연기(4)의 주변부에 배치된 사이드 가이드블록(3)에 의해 후판(S)의 이동은 안내되고, 압연기(4)에 수회에 걸쳐 전,후진되며 두께가 조절되게 된다.
이때 후판(S)이 균일한 두께로 압연되도록 하기 위해, 후판(S)의 일부에 두께가 일정하지 않는 부분이 발생되면, 열간교정기(5)로 보내어 그 부위를 교정하게 된다.
그런데 후판(S)의 전,후면부는 수회에 걸친 압연 과정에서 캠버(C)가 발생되어 약간 들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열간교정기(5)로 진입되는 과정에서 정확히 교정롤(5a) 사이로 투입되지 못하고, 열간교정기(5)의 교정롤(5a)이나 또는 지지프레임(미도시)에 충돌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후판(S)을 다시 압연기(4)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이드 가이드블록(3)으로 위치를 바로잡은 후 열간교정기(5)로 재진입시켰다. 이러한 추가적인 지연 단계로 인해 후판(S)의 온도가 하락하고, 여러회에 걸쳐 사이드 가이드와 이송롤러(2)를 접하게 되어 후판(S) 표면의 스크레치 등이 발생되어, 궁극적으로 후판(S)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열간 교정기로 진입되는 스트립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후판 제품의 손상 및 제철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압연기와 열간교정기 사이에 배치되는 장치베이스 및 상기 장치베이스에 설치되며, 열간교정기로의 스트립 선단부의 진입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되는 스트립 진입 유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트립 진입 유도수단은, 열간교정기의 일측에 배치되며, 열간교정기로 진입하는 스트립의 방향을 조향토록 제공되는 진입조향부 및 상기 장치베이스에 상기 진입조향부와 연결되며 설치되고, 상기 진입조향부의 수평위치를 조정토록 제공되는 제1 수평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수평이동부는, 상기 장치베이스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1 고정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수평실린더 및 일측은 상기 제1 수평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장착되고, 상측에는 상기 진입조향부가 설치되는 제1 이동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입조향부는, 상기 제1 이동블록의 상단에 고정되는 조향실린더 및 상기 조향실린더와 상기 제1 이동블록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스트립이 진입하는 측이 외향 절곡되어 제공되는 가이드빔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치베이스에 설치되며, 열간교정기로 진입하는 스트립의 위치를 이동토록 제공되는 스트립 위치 이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트립 위치 이동수단은, 상기 장치베이스에 설치되며, 스트립의 수평위치를 조정토록 제공되는 제2 수평이동부 및 상기 제2 수평이동부에 설치되며, 스트립이 압연기와 열간교정기 사이에 배치된 이송롤러로부터 승강토록 제공되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수평이동부는, 상기 장치베이스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2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 고정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수평실린더 및 일측은 상기 제2 수평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장착되고, 상측에는 상기 상하이동부가 설치되는 제2 이동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제2 이동블록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승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스트립을 지지하며 승강토록 제공되는 승강블록 및 상기 승강블록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블록의 스트립 지지간에 스트립의 표면 손상을 방지토록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제공되는 안착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고정프레임 또는 제2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축적된 이물을 제거토록, 상기 제1 고정프레임 또는 제2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클린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클린수단은, 상기 제1 고정프레임 또는 제2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된 에어공급라인과 연결되는 노즐 및 상기 제1 고정프레임 또는 제2 고정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고, 이물이 배출되는 이물배출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의 일 실시예는 열간교정기로 진입되는 스트립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후판의 캠버 부분 등이 열간교정기에서 이탈하거나 기타 제철설비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면의 스크레치, 교정 불량 등에 의한 후판 품질의 저하 및 제철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후판이 열간교정기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이동경로를 이탈하여 열간교정기에 충돌한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도 2는 열간교정기에 충돌한 후판의 위치를 바라잡기 위해 압연기의 주변부에 배치된 스트립 사이드 가이드장치를 조작하는 상태가 도시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가 압연기와 열간교정기 사이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열간교정기로 이동 중인 스트립의 진입 위치를 교정하는 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스트립 진입 유도수단과 스트립 위치 이동수단이 배치된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발명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열간 교정기로 진입되는 스트립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후판 제품의 손상 및 제철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에 의한 일 실시예가 압연기와 열간교정기 사이에 배치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열간교정기로 이동 중인 스트립의 진입 위치를 교정하는 상태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발명에서 스트립 진입 유도수단과 스트립 위치 이동수단이 배치된 상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발명에 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의 일 실시예는 압연기(4)와 열간교정기(5) 사이에 배치되는 장치베이스(20) 및 상기 장치베이스(20)에 설치되며, 열간교정기(5)로의 스트립 선단부의 진입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되는 스트립 진입 유도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장치베이스(20)는 제철설비상에서 압연기(4)와 열간교정기(5) 사이에 배치된 이송롤러(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단 구조로 이뤄질 수 있다. 특히 1층단과 2층단으로 이뤄진 2단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스트립 진입 유도수단(30)은 상기 장치베이스(20)에서 2층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열간교정기(5)와 압연기(4) 사이에서 이송롤러(2)상을 이동하는 스트립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스트립 진입 유도수단(30)은 진입조향부(31)와 제1 수평이동부(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진입조향부(31)는 열간교정기(5)의 일측에 배치되며, 압연기(4)에서 열간교정기(5)로 진입하는 스트립의 전면부를 조향하여 스트립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평이동부(36)는 상기 장치베이스(20)에서 상기 진입조향부(31)와 연결되며 설치되고, 상기 진입조향부(31)의 수평위치를 조정하여 스트립 전면부의 수평방향 교정을 가능케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수평이동부(36)는 제1 고정프레임(37), 제1 수평실린더(38) 및 제1 이동블록(3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프레임(37)은 상기 장치베이스(20)의 2층단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직사각 블록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프레임(37)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 이동홈(37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실린더(38)는 상기 제1 고정프레임(37)의 일측 내부에 고정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동블록(39)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이동블록(39)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토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블록(39)은 상기 제1 이동홈(37a)에 안착되고, 일측은 상기 제1 수평실린더(38)의 로드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수평실린더(38)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고정프레임(37)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토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이동블록(39)의 상단에는 상기 진입조향부(31)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이동블록(39)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진입조향부(31)도 함께 이송롤러(2)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진입조향부(31)는 조향실린더(32) 및 가이드빔(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향실린더(32)는 상기 제1 이동블록(39)의 상단에 일정 범위를 유동할 수 있도록 샤프트(32c)에 의해 고정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조향실린더(32)의 로드(32b) 단부는 상기 가이드빔(33)의 절곡부(33a) 일부와 역시 유동 가능하게 샤프트(32d)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빔(33)은 상기 조향실린더(32)의 로드(32b) 단부와 절곡부(33a) 일부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빔(33)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이동블록(39)의 상단에 일정 범위를 회동할 수 있도록 샤프트(33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조향실린더(32)의 구동시 상기 가이드빔(33)이 간섭없이 일정범위를 움직일 수 있도록 샤프트(32d, 33b)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가이드빔(33)은 열간교정기(5)의 일측에 배치되어, 열간교정기(5)로 진입하는 스트립의 진입 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스트립이 진입하는 측이 외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열간교정기(5)로 진입하는 스트립의 전면부는 진입 위치가 이탈되더라도 상기 절곡부(33a)를 따라 열간교정기(5) 정진입 방향으로 유도되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조향실린더(32)를 작동시키면서 스트립의 전면부를 일방향으로 밀어 스트립의 진입 방향을 함께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립의 전면부 진입 방향이 크게 이탈된 경우에는 상기 제1 수평실린더(38)를 작동시켜 상기 제1 이동블록(39)을 수평방향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이동블록(39)의 상단에 배치된 상기 조향실린더(32) 및 상기 가이드빔(33)에 의해 스트립의 진입 방향을 바로잡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인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장치베이스(20)에 설치되며, 열간교정기(5)로 진입하는 스트립의 위치를 이동토록 제공되는 스트립 위치 이동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트립 위치 이동수단(50)은 열간교정기(5)와 압연기(4)간에 배치된 복수개의 이송롤러(2) 사이 사이에 배치되며 열간교정기(5)로 유입되는 스트립의 전체 위치 자체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스트립 위치 이동수단(50)은 제2 수평이동부(51) 및 상하이동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이동부(51)는 상기 장치베이스(20)의 상단에 설치되며, 스트립의 수평위치를 조정토록 제공되며, 상기 상하이동부(56)는 상기 제2 수평이동부(51)의 상단에 설치되며, 스트립이 압연기(4)와 열간교정기(5) 사이에 배치된 이송롤러(2)에서 승강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수평이동부(51)는 제2 고정프레임(52), 제2 수평실린더(53) 및 제2 이동블록(5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프레임(52)은 상기 장치베이스(20)의 1층단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직사각 블록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프레임(52)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제2 이동홈(5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평실린더(53)는 상기 제2 고정프레임(52)의 일측 내부에 고정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동블록(54)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이동블록(54)을 수평방향으로 이동토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블록(54)은 상기 제2 이동홈(52a)에 안착되고, 일측은 상기 제2 수평실린더(53)의 로드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2 수평실린더(53)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 고정프레임(5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토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이동블록(54)의 상단에는 상기 상하이동부(56)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이동블록(54)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상하이동부(56)도 함께 이송롤러(2)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이동부(56)는 승강실린더(57), 승강블록(58) 및 안착구(5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승강실린더(57)는 상기 제2 이동블록(54)의 상단에 볼트체결 또는 용접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블록(58)은 상기 승강실린더(57)의 로드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승강실린더(57) 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토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안착구(59)는 상기 승강블록(58)의 상단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배치되며, 상기 승강블록(58)이 스트립을 지지할 때, 스트립의 표면에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안착구(59)는 스트립의 표면과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이송롤러(2)와 직각 방향으로 배치된 원기둥 형태로 제공되거나 또는 이송롤러(2)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립 위치 이동수단(50)은 상기 스트립 진입 유도수단(30)과 달리 상기 장치베이스(20)상에서 1층단에 설치된다. 즉 상기 스트립 진입 유도수단(30)은 항시 이송롤러(2)보다 상부까지 돌출되어 스트립 전면부의 진입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설치되지만, 상기 스트립 위치 이동수단(50)은 스트립의 전체 위치에 대한 조정이 필요할 때만 작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트립 진입 유도수단(30)은 상기 제2 수평이동부(51)와 상기 상하이동부(56)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하이동부(56)를 구동하지 않을 때는 상기 장치베이스(20)의 1층단에 위치하게 되어 이송롤러(2)보다 하부에 위치하므로, 스트립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스트립의 전체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상하이동부(56)를 구동하여 상기 승강블록(58)을 이송롤러(2) 상부로 돌출되게 위치시키면, 상기 승강블록(58)의 상단에는 스트립이 안착되며 함께 상승하여, 이후 상기 제2 수평이동부(51)를 작동시켜 스트립의 전체 위치를 변경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인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 고정프레임(37) 또는 제2 고정프레임(52)의 내부에 축적된 이물을 제거토록, 상기 제1 고정프레임(37) 또는 제2 고정프레임(52)의 내부에 배치되는 클린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린수단(70)은 노즐(73) 및 이물배출구(75)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노즐(73)은 상기 제1 고정프레임(37) 또는 제2 고정프레임(52)의 일측에 연결되고 에어제어밸브(71b) 및 에어공급부(71a)를 포함하는 에어공급라인(71)과 연결되며 장착되고, 상기 이물배출구(75)는 상기 제1 고정프레임(37) 또는 제2 고정프레임(52)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2 고정프레임(37,52)의 일측에서 상기 노즐(73)을 통해 에어를 분사하면, 상기 제1,2 고정프레임(37,52) 내부에 축적된 이물이 상기 제1,2 고정프레임(37,52)의 타측에 배치된 상기 이물배출구(7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는 스트립의 이동간에 분리되는 산화스케일 등의 이물로 인한 장치 내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물로 인한 상기 제1,2 수평이동부의 움직임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20...장치베이스 30...스트립 진입 유도수단
31...진입조향부 32...조향실린더
33...가이드빔 36...제1 수평이동부
37...제1 고정프레임 38...제1 수평실린더
39...제1 이동블록 50...스트립 위치 이동수단
51...제2 수평이동부 52...제2 고정프레임
53...제2 수평실린더 54...제2 이동블록
56...상하이동부 57...승강실린더
58...승강블록 59...안착구
70...클린수단 71...에어공급배관
73...노즐 75...이물배출구

Claims (9)

  1. 압연기와 열간교정기 사이에 배치되는 장치베이스; 및
    상기 장치베이스에 설치되며, 열간교정기로의 스트립 선단부의 진입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되는 스트립 진입 유도수단;
    을 포함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진입 유도수단은,
    열간교정기의 일측에 배치되며, 열간교정기로 진입하는 스트립의 방향을 조향토록 제공되는 진입조향부; 및
    상기 장치베이스에 상기 진입조향부와 연결되며 설치되고, 상기 진입조향부의 수평위치를 조정토록 제공되는 제1 수평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이동부는,
    상기 장치베이스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 고정프레임;
    상기 제1 고정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수평실린더; 및
    일측은 상기 제1 수평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장착되고, 상측에는 상기 진입조향부가 설치되는 제1 이동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조향부는,
    상기 제1 이동블록의 상단에 고정되는 조향실린더; 및
    상기 조향실린더와 상기 제1 이동블록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스트립이 진입하는 측이 외향 절곡되어 제공되는 가이드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베이스에 설치되며, 열간교정기로 진입하는 스트립의 위치를 이동토록 제공되는 스트립 위치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위치 이동수단은,
    상기 장치베이스에 설치되며, 스트립의 수평위치를 조정토록 제공되는 제2 수평이동부; 및
    상기 제2 수평이동부에 설치되며, 스트립이 압연기와 열간교정기 사이에 배치된 이송롤러로부터 승강되도록 제공되는 상하이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평이동부는,
    상기 장치베이스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2 고정프레임;
    상기 제2 고정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수평실린더; 및
    일측은 상기 제2 수평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장착되고, 상측에는 상기 상하이동부가 설치되는 제2 이동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제2 이동블록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승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스트립을 지지하며 승강토록 제공되는 승강블록; 및
    상기 승강블록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블록의 스트립 지지간에 스트립의 표면 손상을 방지토록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제공되는 안착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프레임 또는 제2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축적된 이물을 제거토록, 상기 제1 고정프레임 또는 제2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는 클린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클린수단은,
    상기 제1 고정프레임 또는 제2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된 에어공급라인과 연결되는 노즐; 및
    상기 제1 고정프레임 또는 제2 고정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고, 이물이 배출되는 이물배출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KR1020120153158A 2012-12-26 2012-12-26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KR101428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158A KR101428318B1 (ko) 2012-12-26 2012-12-26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158A KR101428318B1 (ko) 2012-12-26 2012-12-26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427A true KR20140083427A (ko) 2014-07-04
KR101428318B1 KR101428318B1 (ko) 2014-08-07

Family

ID=5173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158A KR101428318B1 (ko) 2012-12-26 2012-12-26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83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355B1 (ko) 2015-06-17 2016-04-28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냉각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213B1 (ko) * 1996-12-20 2003-04-08 주식회사 포스코 후강판의 폭방향 휨변형 방지방법
KR200296395Y1 (ko) * 1998-12-22 2003-02-19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설비에서의 스트립 휨 교정장치
KR100919220B1 (ko) * 2007-12-07 2009-09-28 주식회사 포스코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101225770B1 (ko) * 2010-10-27 2013-01-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스트립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355B1 (ko) 2015-06-17 2016-04-28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냉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318B1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757B1 (ko) 판재 교정장치
KR101511336B1 (ko) 강관 성형 중 스프링 백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조관기의 i-스페셜 성형 장치
JP2008503349A (ja) 冷間ロール成形装置
KR101642984B1 (ko) 롤 포밍 시스템
CN110560912B (zh) 一种激光雕刻机
CN109226351B (zh) 一种全自动h型钢卧式矫正机
KR101320126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KR101428318B1 (ko) 스트립 진입 유도장치
KR101086002B1 (ko) 상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금속파이프의 심용접 가이드 장치
KR101009433B1 (ko) 냉연강판의 장력 조절장치 및 방법
RU231341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прокатной заготовки на участке охлаждения прокатной установки
KR101569141B1 (ko) 연속도금설비의 롤장치
KR20120032283A (ko) 포지셔너 횡형 이동 동조장치
KR200216123Y1 (ko) 파이프 진원 및 진직도 교정기
KR101536907B1 (ko) 노즐 검사 장치
KR100544670B1 (ko) 소둔로내 진입 스트립 포지션 교정장치
US3515289A (en) Bar feeding apparatus
US2592469A (en) Adjustable feed table for rolled sheet stock
KR101079536B1 (ko) 선재압연설비의 가변식 터널 가이드장치
KR20110046630A (ko) 형강의 횡방향 이송 냉각대
KR101898860B1 (ko) 머플러용 판재의 경로 자동조절 및 엠보싱 장치
KR101129983B1 (ko) 교정기용 형강 이송 가이드 롤 장치
CN111744841B (zh) 一种用于钢带的清边装置
JP5336166B2 (ja) 冷却床
KR20120075215A (ko) 판재 교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