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2533A - 편광판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2533A
KR20140082533A KR1020120152626A KR20120152626A KR20140082533A KR 20140082533 A KR20140082533 A KR 20140082533A KR 1020120152626 A KR1020120152626 A KR 1020120152626A KR 20120152626 A KR20120152626 A KR 20120152626A KR 20140082533 A KR20140082533 A KR 20140082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polyvinyl alcohol
film
plate according
pola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996B1 (ko
Inventor
신직수
김도원
김종훈
김진숙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2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996B1/ko
Priority to PCT/KR2013/006818 priority patent/WO2014104519A1/ko
Publication of KR20140082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2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산을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탈수 및 건식 연신하여 폴리엔 편광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광판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METHOD FOR PREPARING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PREPARED FROM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의 제조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자체 발광으로 편광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OLED 구동 패널의 Al 판에 의해 외부광 반사로 휘도가 떨어지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편광판을 포함한다.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필름 등의 보호필름을 폴리비닐알콜계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수계 접착제로 합지시킨 구조를 갖는다.
상기 편광자로 폴리비닐알콜계 분자 사슬이 일정 방향으로 배향되고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편광자가 사용된다. 또는 폴리비닐알콜 필름의 탈수 반응으로 폴리비닐렌 구조를 갖는 폴리엔(polyene) 구조를 갖는 편광자가 사용되고 있다.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편광자는 편광자가 박막일 경우 편광 성능은 높지만 내구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폴리엔형 편광자는 박막의 경우에도 내구성은 우수하다. 그러나, 폴리엔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염산에서 침지하고 팽윤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산 처리 공정은 폴리엔화를 위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것으로 생산 공정이 복잡해지고 편광자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등록특허 제4269939호는 폴리비닐알콜 시트를 탈수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비닐렌블록을 갖는 고성능의 k형 편광자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산 처리 공정이 필요없게 하는 폴리엔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막 형태로서 편광 성능을 가지며 내구성이 좋은 폴리엔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유기산을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탈수 및 건식 연신하여 폴리엔 편광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편광판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인 광학표시장치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산 처리 공정이 필요없게 하는 폴리엔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박막 형태로 편광 성능을 갖는 폴리엔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 일 구체예의 편광판 제조방법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 구체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구체예의 광학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유기산을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탈수 및 건식 연신하여 폴리엔 편광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구체예의 편광판의 제조방법의 모식도이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폴리비닐알콜계 필름 제조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은 유기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포함되어 폴리비닐알콜의 폴리엔화 탈수 반응에서 탈수 촉진제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이 유기산을 이미 포함하고 있으므로 추가적인 산 처리 공정이 필요하지 않는다. 또한, 소량의 유기산으로도 폴리엔화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어 추후 편광자에서 산 제거를 할 필요가 없고 산이 있더라도 쉽게 제거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을 탈수 반응시켜 폴리엔화하기 위한 탈수 촉진제로서 산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염산의 경우 휘발성으로 인해 필름 내에서 산 농도가 불안정하여 온도와 습도 제어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고,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박막으로 제조하여야 할 때 일반 오븐에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폴리엔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황산은 최종 제조된 편광자의 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고 산 제거가 어려워 내열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인산은 폴리비닐알콜을 폴리엔화하기 위해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20중량부 이상이 필요하며 폴리엔화 후에 산 제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산 촉매로서 유기산을 사용하였다. 상기 유기산은 휘발성이 낮아 탈수 반응시 산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폴리비닐알콜 수지와의 조합도 가능하며, 폴리엔화 후에 산 제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기산은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 중 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비닐알콜의 폴리엔화가 충분히 되도록 할 수 있고 최종 제조된 편광자에서 쉽게 제거될 수 있어 편광자에 산이 남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기산은 방향족 탄화수소의 술폰산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의 술폰산은 휘발성이 낮아 탈수 반응시 산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폴리비닐알콜 수지와의 조합도 가능하며, 폴리엔화 후에 산 제거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산은 탄소수 6-20의 방향족 탄화수소 술폰산으로서, 톨루엔 술폰산, 예를 들면 파라 톨루엔 술폰산 또는 이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와 유기산을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용액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중합도는 2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2600-4000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필름의 습식 연신에도 필름이 파단되는 문제점이 없을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검화도는 99mol% 이상, 바람직하게는 99-99.9mol%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고연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5-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비닐알콜의 폴리엔화가 충분히 되도록 할 수 있고 쉽게 제거될 수 있어 편광자에 산이 남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용액은 통상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유기 용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은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용액을 사용하여 통상의 필름 제조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용액을 기재에 코팅하여 기재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기재 일체형으로 제조함으로써 박형의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제조할 수 있고 추후 연신시 필름이 파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기재 일체형"은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이 상기 기재에 적층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기재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폴리에스테르계 등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두께는 5㎛-100㎛, 바람직하게는 5㎛-3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연신시 파단을 막을 수 있고 박형의 편광자를 제조할 수 있다.
(2)폴리엔 편광자의 제조
상기 폴리엔 편광자는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탈수 및 건식(dry) 연신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탈수는 폴리비닐알콜을 탈수 촉매인 유기산 존재 하에 폴리엔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수와 건식 연신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건식 연신하는 중에 탈수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탈수 에 의한 폴리엔화 효과와 함께 연신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탈수와 건식 연신은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160℃에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충분한 탈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탈수와 건식 연신은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1분-10분 동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충분한 탈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건식 연신은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연신비 2-6배로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배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건식 연신 단계 이후에,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습식(wet) 연신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식 연신은 폴리엔의 이중 결합을 고정시키고 가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습식 연신은 붕산 수용액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붕산 수용액은 붕산 1-10중량%의 수용액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엔의 이중 결합 고정화 효과가 좋을 수 있다.
상기 습식 연신에서 연신비는 상기 건식 연신을 거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대해 1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1-1.5배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폴리비닐알콜계필름의 연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건식 연신과 상기 습식 연신에 의한 전체 연신비는 최초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대해 6-8배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박형 고기능 편광막의 광학 특성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습식 연신은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85℃에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연신 효과와 함께 이중결합의 고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폴리엔 편광자에서 유기산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이 편광자에 남을 경우 고온에서 편광자의 편광 성능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엔 편광자를 물, 약알칼리수 용액, 식염수 등의 무기물 수용액에 침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폴리엔 편광자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엔 편광자를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120℃에서 1분-10분 동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요오드 또는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요오드 또는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상기 편광자는 편광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엔 편광자의 두께는 5㎛ 이하, 바람직하게는 1㎛-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박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폴리엔 편광자 중 요오드 또는 이색성 색소의 함량은 0.3중량%이하, 바람직하게는 0-0.3중량%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엔 편광자는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편광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폴리엔 편광자 중 요오드 또는 이색성 색소의 함량이 0.3 중량%를 초과할 경우 편광판의 투과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엔 편광자 중 상기 유기산의 함량은 0.001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01중량%가 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광학필름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필름은 보호필름, 또는 위상차필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광학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아크릴계, 고리형 폴리올레핀(COP)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술폰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릴레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된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광학필름의 두께는 20㎛-1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학필름은 통상의 방법으로 상기 편광자에 적층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광학필름은 편광판용 접착제,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계 수계 접착제, 감압형 접착제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80nm-200nm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편광판은 폴리엔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광학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 일 구체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에 의하면, 편광판(100)은 폴리엔 편광자(10); 상기 폴리엔 편광자(10)의 상부에 형성된 제1광학필름(20); 및 상기 폴리엔 편광자(10)의 하부에 형성된 제2광학필름(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편의상 정의한 것으로서, 보는 시각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편광도(PE) 변화율이 3% 미만, 바람직하게는 0.1-2.9%가 될 수 있다:
<식 1>
편광도 변화율(%) = B-A/A x 100
(상기에서, A는 편광판의 초기 편광도이고,
B는 상기 편광판을 80℃, 90% 상대습도 조건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편광판의 편광도이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의 내구성과 신뢰성이 좋을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은 투과율이 42.5% 이상, 바람직하게는 43-4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고투과율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은 파장 380nm-780nm에서 측정된 값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인 광학표시장치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표시장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 일 구체예의 광학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에 의하면, 광학표시장치는 OLED 패널(200); 및 상기 OLED 패널(200)의 상부에 형성된 편광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1
PVA(중합도 2600, 검화도 99.9mol%) 수지 100중량부, 유기산(pTSA, p-toluenesulfonic acid) 5중량부를 포함하는 PVA 수지 수용액을 A-PET 필름에 코팅하여 두께 15㎛의 기재 일체형의 PVA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필름을 열풍 순환식 OVEN 140℃에서 4배 건식 연신했다. 다음에 5wt% 붕산 수용액에 2분간 침지하고 1.5배 습식 연신을 85℃에서 동시에 진행했다. 80℃ OVEN에서 3분 건조시켜, 두께 5㎛(Mitutoyo사 micrometer로 측정) 폴리엔 구조를 가지는 편광자를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중합도 2600 PVA 수지 대신에 중합도 3300 PVA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편광자를 얻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중합도 2600 PVA 수지 대신에 중합도 4000 PVA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편광자를 얻었다.
비교예 1
PVA(중합도 3300, 검화도 99.9mol%) 수지 100중량부를 포함하는 PVA 수지 수용액을 A-PET 필름에 코팅하여 두께 15㎛의 기재 일체형의 PVA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필름을 염산 수용액에 2분간 침지하여 산 처리하고 4배 건식 연신하며 2분 동안 탈수했다. 5wt% 붕산 수용액에 2분 침지와 1.5배 습식 연신을 85℃에서 동시에 진행했다. 80℃ OVEN에서 3분 건조하는 것에 의해 두께 5㎛ 폴리엔 구조를 가지는 편광자를 얻었다.
비교예 2
PVA(중합도 3300, 검화도 99.9mol%) 수지 100중량부를 포함하는 PVA 수지 수용액을 A-PET 필름에 코팅하여 두께 15㎛의 기재 일체형의 PVA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필름을 요오드계 화합물에 염착하여 전체 6배로 연신하고 70℃ OVEN에서 3분 건조하는 것에 의해 두께 5㎛ 폴리엔 구조를 가지는 편광자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자의 양면에 보호필름인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Konica社 40UA)을 붙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편광판에 대해 하기 물성을 평가하였다.
(1)투과율(%)과 편광도(%): 편광판에 대해 V-7100(JASCO사, 일본)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신뢰성: V-7100(JASCO사, 일본)을 사용하여 편광도를 측정하였다. 편광판의 초기 편광도(A)을 측정하였다. 상기 편광판을 80℃, 90% 상대습도(RH) 조건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편광판에 대해 편광도(B)을 측정하였다. 신뢰성은 편광도 변화율 B-A/A x 100으로 평가하였다. 편광도 변화율이 3% 미만인 경우 ○로 평가하고, 편광도 변화율이 3% 이상인 경우 ×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2
편광자 두께 (㎛) 5㎛ 5㎛ 5㎛ 5㎛ 5㎛
투과율 (%) 44.8 44.9 44.2 44.8 45.3
편광도(%) 98.9 98.9 98.6 98.8 98.8
신뢰성
(80℃, 90% RH, 500시간) (편광도 변화율)
×
0.3% 0.3% 0.2% 0.3% 3.5%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자로 제조된 편광판은 박막 두께의 편광자에도 투과율과 편광도가 좋았으며, 신뢰성이 좋아 내구성이 좋았고,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산 처리 공정을 포함하지 않아 제조 공정이 간단하였다.
반면에, 기존의 염산 산 처리 공정으로 제조된 비교예 1의 편광판은 산 처리 공정이 필요하여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요오드로 염색된 편광자를 포함하는 비교예 2의 편광판은 신뢰성이 좋지 않아 내구성이 좋지 않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8)

  1. 유기산을 포함하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탈수 및 건식 연신하여 폴리엔 편광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와 상기 건식 연신은 동시에 수행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연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필름을 습식 연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 중 5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탄소수 6-20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술폰산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은 상기 유기산과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을 기재에 코팅하여 기재 일체형의 필름으로 제조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5-5중량부로 포함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중합도는 2600-4000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는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100℃-160℃에서 1분-10분 동안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연신은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2-6배의 연신비로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 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연신은 상기 건식 연신을 거친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대해 연신비 1-1.5배로 붕산 1-10중량%의 붕산 수용액에서 연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엔 편광자의 두께는 5㎛ 이하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엔 편광자 중 요오드 또는 이색성 색소의 함량은 0.3중량% 이하인, 편광판의 제조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엔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광학필름을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보호필름, 위상차필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편광판의 제조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편광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편광도 변화율이 3% 미만인 편광판:
    <식 1>
    편광도 변화율(%) = B-A/A x 100
    (상기에서, A는 편광판의 초기 편광도이고,
    B는 상기 편광판을 80℃, 90% 상대습도 조건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편광판의 편광도이다).
  18. 제16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120152626A 2012-12-24 2012-12-24 편광판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610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626A KR101610996B1 (ko) 2012-12-24 2012-12-24 편광판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CT/KR2013/006818 WO2014104519A1 (ko) 2012-12-24 2013-07-30 편광판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2626A KR101610996B1 (ko) 2012-12-24 2012-12-24 편광판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2533A true KR20140082533A (ko) 2014-07-02
KR101610996B1 KR101610996B1 (ko) 2016-04-08

Family

ID=5102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2626A KR101610996B1 (ko) 2012-12-24 2012-12-24 편광판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0996B1 (ko)
WO (1) WO201410451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2796A (ja) * 2013-12-12 2015-07-23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ポリエン(polyene)系偏光フィルム(film)の製造方法、ポリエン系偏光フィルム、積層偏光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WO2016159645A1 (ko) * 2015-03-31 2016-10-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1177621A1 (ko) * 2020-03-06 2021-09-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2731A (ja) * 2002-03-12 2003-09-19 Sumitomo Chem Co Ltd ヨウ素系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035681A1 (en) * 2003-09-19 2007-02-15 Masaru Okada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950855B1 (ko) * 2008-04-10 2010-03-31 주식회사 에이스 디지텍 폴리비닐알콜 편광자 제조방법
KR20110062853A (ko) * 2009-12-04 2011-06-1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의 제조방법
KR20110069352A (ko) * 2009-12-17 2011-06-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자 보호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방법
JP5631241B2 (ja) 2010-03-12 2014-11-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樹脂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32796A (ja) * 2013-12-12 2015-07-23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ポリエン(polyene)系偏光フィルム(film)の製造方法、ポリエン系偏光フィルム、積層偏光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WO2016159645A1 (ko) * 2015-03-31 2016-10-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1177621A1 (ko) * 2020-03-06 2021-09-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KR20210112947A (ko) * 2020-03-06 2021-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4519A1 (ko) 2014-07-03
KR101610996B1 (ko) 2016-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6011B (zh) 層合體、延伸層合體、延伸層合體之製造方法、使用此等之包括偏光膜之光學膜層合體之製造方法、及偏光膜
JP5860449B2 (ja) 偏光膜および偏光膜の製造方法
KR102600802B1 (ko) 편광자, 편광 필름, 적층 편광 필름, 화상 표시 패널, 및 화상 표시 장치
TWI739941B (zh) 寬頻帶波長薄膜及其製造方法以及圓偏光薄膜的製造方法
JP7376494B2 (ja)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該偏光板を含む画像表示装置
KR101610996B1 (ko) 편광판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1010591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polarizer, and thin polarizer manufactured using same
KR101648243B1 (ko) 폴리엔 편광자,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광학표시장치
KR101718937B1 (ko) Led용 편광자의 제조방법
KR20210015841A (ko) 편광막 및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KR20160001513A (ko) 편광 필름, 반사방지 필름 및 표시 장치
KR20200054186A (ko) 편광판, 편광판 롤 및 편광막의 제조 방법
KR20200054185A (ko) 편광판, 편광판 롤 및 편광막의 제조 방법
KR20200042412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200042411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CN107111043B (zh) 偏振片及其制造方法
KR20190030522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KR101621161B1 (ko) 박형 편광자의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박형 편광자 및 편광판
CN107850723A (zh) 偏振板及其制造方法
KR20200054184A (ko) 편광판, 편광판 롤 및 편광막의 제조 방법
KR20200054189A (ko) 편광판, 편광판 롤 및 편광막의 제조 방법
KR20200054183A (ko) 편광판, 편광판 롤 및 편광막의 제조 방법
KR20210071970A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2563131B1 (ko) 염색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해당 필름을 이용한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의 화상 조정 방법
KR20230080773A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