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965A - 미세기포를 함유한 크림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세기포를 함유한 크림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965A
KR20140081965A KR1020120150301A KR20120150301A KR20140081965A KR 20140081965 A KR20140081965 A KR 20140081965A KR 1020120150301 A KR1020120150301 A KR 1020120150301A KR 20120150301 A KR20120150301 A KR 20120150301A KR 20140081965 A KR20140081965 A KR 20140081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formulation
weight
cream
bub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7210B1 (ko
Inventor
윤세영
김정일
김현동
Original Assignee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20150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7210B1/ko
Priority to PCT/KR2012/011517 priority patent/WO2014098294A1/ko
Publication of KR20140081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7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7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기포를 함유한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수용성 폴리머로는 한천이 0.1 내지 2.0중량%, 지방산이 2.0 내지 10.0 중량%, 알카리염 0.1내지 2.0 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0.0 중량%, 오일 1.0 내지 10.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 화장료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지방산과 알카리염의 비누화 반응으로 인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한천을 이용한 유화기술로 유화시 미세 기포가 크림내에 다량 함유하여 경도가 높은 제형임에도 불구하고 무겁거나 끈적이지 않고 매우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내며 고온에서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미세기포를 함유한 크림 화장료 조성물{Cream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micro bubble}
본 발명은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도가 높은 단단한 제형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지방산과 알카리염의 비누화 반응으로 인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한천을 이용한 유화기술로 미세 기포를 함유하게 하여 사용감을 보다 부드럽게 만든 크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크림상 화장료는 그 제형 또는 성상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도가 높은 하드한 크림 제형의 화장료는 고급 알코올, 왁스, 고체상의 계면활성제 및 수용성 폴리머(주로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가 배합된 것이고 이러한 성분들이 크림의 점도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하지만 하드한 크림 제형(경도 40dyne/cm2상)은 외관이 영양감 있어 보이나, 다량의 고급알코올과 왁스를 함유한 경우에는 사용감이 무겁고 부드럽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성분들은 온도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제조시 많은 주의를 요하고 제형 및 경시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다. 수용성 폴리머 중 대표적인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계통의 고분자의 경우 전해질이 포함될 경우 점도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어 배합원료에 어느 정도의 제약이 있다. 위와 같은 제형은 일반적으로 제조 공정시 냉각과정에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탈포 하는 것이 일반적인 제조 방법으로 이러한 탈포과정은 제품의 외관을 윤기 나게 한다. 기존 일반적인 크림 처방으로는 제형내에 기포를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포하게 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만약 제형내 기포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고온에서 일정시간 보관 시 점도가 감소하여 기포를 제형내에 유지하지 못한다.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를 사용하여야 한다.
흔히 지방산과 알카리염을 이용한 비누화 반응으로 생성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폼클렌징과 같은 세안 용품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특2001-100302453, 특2011-101042717) 하지만 본 연구는 일반 기초 제품인 크림에 사용하는 것으로 제형내 미세하고 균일한 기포를 분포시킬 수 있어 사용감을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피부 안정성 측면에서는 처방 시 보다 깊은 주의를 필요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경도가 높은 하드한 크림 제품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경도가 높으면서도 고온 안정성이 우수하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지방산과 알카리염의 비누화 반응으로 인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한천을 이용한 유화기술로 미세기포가 함유되어 사용시 보다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내는 크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천 0.1 내지 2.0 중량%;
탄소수 16~22 지방산 2 내지 10 중량%;
알카리염 0.1내지 2.0 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0.0 중량%;
오일 1.0 내지 10.0 중량%;
를 포함하는 크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 기포를 함유한 크림상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지방산과 알카리염에 의한 비누화 반응으로 인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한천을 이용한 유화기술로 유화시 균일한 미세 기포가 크림내에 다량 함유하여 경도가 높은 제형임에도 불구하고 무겁거나 끈적이지 않고 매우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내며 고온에서 경시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한천 0.1 내지 2.0 중량%;
탄소수 16~22 지방산 2 내지 10 중량%;
알카리염 0.1내지 2.0 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0.0 중량%;
오일 1.0 내지 10.0 중량%;
를 포함하는 크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경도가 50 내지 120 dyne/㎠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인 고급알코올,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의 원료로는 균일한 미세기포를 포함된 제형을 제조하기가 불가능하고 제조 공정시 유입되는 불균일한 기포는 제품의 외관을 저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 중 냉각과정에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탈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조 시 유입되는 기포를 지방산과 알카리염의 비누화 반응으로 생성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보다 미세하고 균일하게 하여 이를 제형내에 함유시키는 기술이다. 지방산과 알카리염과의 비누화 반응에 의해 생성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흔히 폼클렌징 제품에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세정능력과 사용 시 기포를 생성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면 크림 제조시 다량의 미세 기포를 생성할 수 있다. 그렇지만 주의할 점은 피부안정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탄소수가 적은 지방산의 경우 탄소수가 많은 지방산보다 피부 안정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피부안정성을 위하여 탄소수 16개 이상의 지방산을 사용하였다. 제형내 기포를 함유하게 되면 보다 사용감이 부드러워지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아이스크림의 제조과정에서 기포를 넣어 보다 부드러운 맛을 내는 효과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될 또 다른 과제는 기포를 함유한 제형은 고온에서 보관 시 제형의 점도가 감소하여 기포가 자연적으로 탈포되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형내에 포함된 균일한 미세기포를 고온에서 유지할 수 있는 제형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균일한 미세기포는 지방산과 알카리염의 비누화 반응으로 생성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발생하였고 이러한 기포를 고온에서 안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수용성 폴리머로 본 발명자는 한천을 사용하였다. 한천은 90도 이상에서 정제수에 용해되고 이를 냉각시키면 묵처럼 굳어버리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고온에서 기포가 자연 탈포되는 현상을 막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 화장료 조성물은 경도가 50 내지 120 dyne/㎠ 의 경도가 높은 단단한 제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같은 경도를 갖는 일반적인 크림 조성물 보다 독특한 외관과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물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림 화장료 조성물은 한천; 탄소수 16~22개 이상의 지방산; 알카리 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한천은 제형내 기포가 유지될 수 있도록 0.1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0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탄소수 16~22개 이상의 지방산은 팔미틱 애씨드, 스테아릭 애씨드, 베헤닉 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2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16~22개 이상의 지방산은 기포 발생과 제형 안정성 측면을 고려할 때 2.0 내지 10.0 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알카리염은 수산화칼륨(KOH)과 수산화나트륨(NaOH)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이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방산의 산가와 제형의 pH를 감안하여 0.1내지 2.0 중량% 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피이지-50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피이지-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솔비탄 올리베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제형 안정성을 고려하여 1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감을 위하여 1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상기 오일 성분은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오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스쿠알란 및 미네랄 오일을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 2-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리트, 세틸 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카놀, 및 글리세릴 트리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오일;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및 마카다미아 오일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 및  사이클로 메치콘 및 디메치콘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오일 성분을 1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오일성분은 제형 안정성을 위하여 1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감을 위하여 1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도 본 발명에 따른 크림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조성물의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향료, 색소, 방부제, 살균제 및 산화 안정화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 및 비교예1 ~ 2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 비율로, 실시예 1은 수상인 정제수와 보습제 글리세린에 폴리머 한천이 용해되도록 90℃에서 충분히 교반한다. 비교예 1은 한천대신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를 사용하였으며 비교예 2는 지방산 대신 고급 알코올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2는 수상인 정제수와 글리세린에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를 넣고 75℃로 가열한다. 유상을 구성하는 오일인 스쿠알란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비이온성 유화제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피이지-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지방산인 팔미틱 애씨드, 스테라릭 애씨드, 고급알콜인 세토스테아릴 알코올을 75℃ 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실시예 1과 비교예 1,2의 수상과 유상을 75℃로 유지한 후 수상에 유상을 투입하여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4,500rpm으로 10분간 1차 유화한다. 1차 유화 후 수산화칼륨 또는 트리에탄올아민을 넣어 4,500rpm으로 3분간 중화한다.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예시이고 비교예1은 한천 대신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를 사용하였고 비교예 2는 일반적인 크림 제형이다.
실시예 1은 굳어지는 제형 특성상 75℃에서 제조 후 바로 내용물을 용기에 충진하여 실온까지 냉각하고 비교예 1은 28℃까지 냉각 후 용기에 충진한다.
성     분 함량 (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스쿠알란 1.0 1.0 1.0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3.5 3.5 3.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3.5 3.5 3.5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2.0 2.0 2.0
팔미틱 애씨드 3.0 3.0 -
베헤닐 애씨드 3.5 3.5 -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 - 2.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8.0 8.0 8.0
한천 0.6 - -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 0.25 0.25
수산화 칼륨 0.8 0.8 -
트리에탄올아민 - - 0.25
[실험예1: 기포 안정성]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2를 통해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기포의 고온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상세한 평가방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과 비교예1을 40, 45℃항온조에 2주간 보관 후 기포의 자연 탈포 현상을 관찰하였다.
시 료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40도 항온조 제형내 기포가
그대로 유지됨
표면에 기포가 탈포된
흔적이 다수 발생
표면에 기포가 탈포된
흔적이 다수 발생
45도 항온조 제형내 기포가
그대로 유지됨
표면에 기포가 탈포된
흔적이 다수 발생
표면에 기포가 탈포된
흔적이 다수 발생
이 결과로 기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보다는 한천의 역할이 우수하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험예 2: 사용감
20 내지 35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에 대한 부드러움, 영양감, 끈적임 및 전반적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비교예 2는 일반적인 크림 제형으로 경우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탈포과정을 실시한 후 사용감 품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매우나쁨: 1,   나쁨: 2,   보통: 3,   좋음: 4,  매우좋음: 5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 2
부드러움 4.4 3.9
영양감 4.1 4.0
끈적임 4.1 3.7
전반적 만족도 4.3 3.9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함유한 실시예 1이 기포를 함유하지 않은 일반 크림 제형인 비교예 2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우수하였다.
실험예 3: 피부 안전성
본 발명의 제형은 지방산과 알카리염의 비누화 반응으로 인해 생성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제형으로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제형에 비해 피부안정성 측면에서 많은 주의를 요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피부안전성을 판단하였다.
건강한 남, 여 각각 30명의 팔에 패치 테스트용 반창고를 사용하여 24시간 패치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즉, 핀 챔버에 일정량(15mg/15ul)의 시료를 도포한 후, 시료가 도포된 핀 챔버를 시험 부위(팔)에 테이프로 접착시킨 다음, 첩포 24시간 후에 패치를 제거하였다.  이어서 4시간이 경과한 후, 피부에 나타나는 홍반 이상 여부를 관찰하여 하기 표 4에 따라 분류하였다.
상기 판정기준에 따른 스코어로부터 하기 산출방법에 의해 피부자극지수(PII)를 계산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냈다.
[계산식]
Figure pat00001
반응 스코어 증상 및 판단 기준
- 0 아무런 반응이 없음
+/- 0.5 약한 홍반
+ 1.0 명확한 홍반
++ 2.0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
+++ 3.0 수포,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
구  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자극지수 0.09 0.08 0.07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비교예 1,2 모두 피부 안전성이 우수하였다.

Claims (4)

  1. 한천 0.1 내지 2.0 중량%;
    탄소수 16~22 지방산 2 내지 10 중량%;
    알카리염 0.1내지 2.0 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 0.1 내지 10.0 중량%; 및
    오일 1.0 내지 10.0 중량%;
    를 포함하는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도가 50 내지 120 dyne/㎠ 인 것인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6~22인 지방산은 팔미틱 애씨드, 스테아릭 애씨드 및 베헤닉 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2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피이지-50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피이지-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솔비탄 올리베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크림상 화장료 조성물.
KR20120150301A 2012-12-21 2012-12-21 미세기포를 함유한 크림 화장료 조성물 KR101507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0301A KR101507210B1 (ko) 2012-12-21 2012-12-21 미세기포를 함유한 크림 화장료 조성물
PCT/KR2012/011517 WO2014098294A1 (ko) 2012-12-21 2012-12-27 미세기포를 함유한 크림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0301A KR101507210B1 (ko) 2012-12-21 2012-12-21 미세기포를 함유한 크림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965A true KR20140081965A (ko) 2014-07-02
KR101507210B1 KR101507210B1 (ko) 2015-04-08

Family

ID=50978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0301A KR101507210B1 (ko) 2012-12-21 2012-12-21 미세기포를 함유한 크림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7210B1 (ko)
WO (1) WO20140982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842A (ko)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3569A (ko) * 2019-06-13 2020-12-24 코스맥스 주식회사 끈적임이 적은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1310B1 (ko) * 2014-03-13 2021-06-08 (주)아모레퍼시픽 한천을 이용하여 물성을 개질시킨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039B1 (ko) * 1994-12-23 1997-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크림상 세정제 조성물
DE19941933A1 (de) * 1999-09-03 2001-03-15 Cognis Deutschland Gmbh Tensidsysteme
DE10058384B4 (de) * 2000-11-24 2004-12-16 Wella Aktiengesellschaft Kosmetisches oder dermatologisches Mittel in Form eines cremigen Permanentschaums oder einer stabil aufgeschäumten Creme, deren Verwend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Mittels
FR2829693B1 (fr) * 2001-09-20 2004-02-27 Oreal Creme cosmetique moussante
KR20070043449A (ko) * 2005-10-21 2007-04-25 렉슨코리아 (주) 나노에멀젼 피부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842A (ko) * 2014-11-12 2016-05-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3569A (ko) * 2019-06-13 2020-12-24 코스맥스 주식회사 끈적임이 적은 배니싱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7210B1 (ko) 2015-04-08
WO2014098294A1 (ko)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619B1 (ko) 입자 형태의 유상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8688A (ko) 탄력 젤리상 조성물
CN102178611A (zh) 一种高珠光高泡沫的皂基洁面膏及其制备方法
KR101687599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저자극성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02336A (ko) 휘발성물질과 테르펜 알콜을 함유한 개인위생조성물
KR19980703589A (ko) 계면활성제 조성물
KR101507090B1 (ko) 보습력이 우수한 젤 타입의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KR101507210B1 (ko) 미세기포를 함유한 크림 화장료 조성물
KR100712255B1 (ko) 워시오프 타입 클렌징 오일 겔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CN103313694B (zh) 水包油型乳化组合物
KR101448847B1 (ko)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고내상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US20040247678A1 (en) Gel-form composition
AU2014412810B2 (en) Cleansing bars with taurine
KR20200008384A (ko) 몽글몽글한 성상을 갖는 지방산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292423B1 (ko) 산도가 조절된 천연 비누와 그 제조방법
JP3799276B2 (ja) ゲル組成物および乳化組成物
KR20140092491A (ko) 온열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KR20220044256A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2729304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CN104116648A (zh) 通用型润肤霜
JP2785080B2 (ja) 浴用組成物
KR20140040001A (ko) 저융점 버터 또는 왁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824184B2 (ja) 皮膚洗浄料
CA1141298A (en) Cosmet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