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192A -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192A
KR20140081192A KR1020120150693A KR20120150693A KR20140081192A KR 20140081192 A KR20140081192 A KR 20140081192A KR 1020120150693 A KR1020120150693 A KR 1020120150693A KR 20120150693 A KR20120150693 A KR 20120150693A KR 20140081192 A KR20140081192 A KR 20140081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storage unit
image
unit
external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중
박영귀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0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1192A/ko
Publication of KR20140081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1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외부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처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출력을 위한 제1 코드를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단계; 상기 외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제1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처리를 위한 제2 코드를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은 외부 카메라의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전원인가 후 영상출력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from separate camera}
본 발명은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인식 시스템에서는 전원 인가 후,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입력 받아 출력 장치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SoC(ECU, MCU)의 F/W(S/W) 코드를 RAM에 복사한 이후에 F/W가 실행되어, 영상 출력 되는 속도가 느리다. 예를 들면, 전장용 후방 카메라에서는 후진 기어로 변속하는 동시에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며, 카메라 초기화, 메모리 처리, F/W 복사 등의 여러 단계를 거친 후에 영상이 출력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87842호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과정이 진행된다. 먼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은 시스템은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지난다. 이때, 입력이 NTSC 아날로그인 경우 디코더 구성이 필요하다. 이후 MCU는 초기 부트로더(Boot Loader)를 통해서 ROM에 있는 코드를 RAM에 복사한다. 이때 메모리 카피 또는 DMA 카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복사가 완료되면 메인 함수가 있는 DRAM 영역의 어드레스로 점프하여 메인 함수를 수행한다. 메인 함수 내에는 카메라와의 통신은 I2C등을 이용하여 카메라를 초기화하고, 카메라로부터 받은 영상을 필요시 메모리에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 후, 영상처리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후진 기아 변속, 즉, 전원이 인가된 후 곧바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이 출력되기를 원하지만, ROM에 있는 코드를 RAM에 복사하는 과정은 데이터양에 따라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영상 출력까지의 시간이 지연이 될 수가 있다. 이러한 현상은 영상인식 및 OS 구동을 위해 MCU에 기능이 많이 요구 되는 현 상황에서 코드 사이즈가 크게 요구되어 더욱 문제된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87842호
본 발명은 외부 카메라의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전원인가 후 영상출력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시하는 이외의 기술적 과제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처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출력을 위한 제1 코드를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단계; 상기 외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제1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처리를 위한 제2 코드를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상기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이후에, 부트로더를 이용하여 초기 MCU,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를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카메라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제1 코드를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코드의 메인 함수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카메라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제2 코드를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코드의 메인 함수를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코드는 시스템 초기화 기능 및 영상 출력 기능을 위한 초기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코드는 노이즈 제거 기능, 선명도 향상 기능, 영상 인식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코드는 상기 제1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원을 인가받은 전원 인가부; 영상 출력을 위한 제1 코드 및 영상 처리를 위한 제2 코드가 저장된 제1 저장부; 외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전달받는 영상 수신부;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코드와 상기 제2 코드를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코드 복사부; 상기 코드 복사부에 의해 상기 제1 저장부로부터 복사된 상기 제1 코드와 상기 제2 코드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 상기 코드 복사부가 상기 제1 코드를 상기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경우 상기 제1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및 상기 코드 복사부가 상기 제2 코드를 상기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경우 상기 제2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저장부는 롬(ROM)이고, 상기 제2 저장부는 램(RAM)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부트로더를 이용하여 초기 MCU,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세팅하는 초기화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드 복사부는 상기 제2 저장부에 상기 제1 코드를 복사한 후 상기 제2 코드를 복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드 복사부는 상기 제2 코드를 복사하면서 상기 제1 코드를 다시 상기 제2 저장부에 복사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외부 카메라의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전원인가 후 영상출력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외부의 카메라를 이용하는 영상시스템에서 상용의 MCU를 사용할 때, MCU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외부의 ROM 코드를 RAM에 저장한 이후에, FW가 동작 하여, 영상 출력시간까지의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카메라 출력코드와 나머지 기능의 코드를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서, 영상 출력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중 제1 저장부의 저장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카메라 영상 처리시 종래 기술과의 영상 타이밍을 비교 분석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100)는 전원 인가부(110), 제1 저장부(120), 제2 저장부(130), 초기화 처리부(140), 영상 수신부(150), 코드 복사부(160), 영상 출력부(170), 영상 처리부(180),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외부 카메라의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전원인가 후 영상출력이 될 때까지의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롬(ROM)에 저장되는 코드(code)는 제1 코드와 제2 코드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코드 영역은 카메라를 초기화 하고, 영상 출력을 해주는 간단한 함수로만 구성하고, 제2 코드 영역은 제1 코드를 포함한 영상 인식이나 OS를 포함한 대용량 영역이 될 수 있다.
전원 인가부(110)는 외부 전원을 인가받은 기능부이다. 전원 인가부(110)는 영상 처리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1 저장부(120)는 영상 출력을 위한 제1 코드 및 영상 처리를 위한 제2 코드가 저장한다. 제2 저장부(130)는 제1 저장부(120)로부터 복사된 제1 코드와 제2 코드를 저장한다. 제1 저장부(120)는 롬(ROM)이고, 제2 저장부(130)는 램(RAM)이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저장부(120) 중 제1 코드 저장 영역(121)은 저용량, 예를 들면, 1MB 이하의 영역이며, 제2 코드 저장 영역(122)은 상대적으로 고용량, 예를 들면, 수십 MB 이상의 영역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드는 시스템 초기화 기능 및 영상 출력 기능을 위한 초기 함수가 될 수 있으며, 제2 코드는 노이즈 제거 기능, 선명도 향상 기능, 영상 인식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코드는 예외 상황 벡터 (리셋, 인터럽트 등), 시스템 초기화, 주변 장치 초기화 (메모리 컨트롤러, DMA, I2C통신 등), 이미지 센서 초기화, 이미지 처리 함수, 이미지 처리를 위한 인터럽트 처리 함수, 필요시 제2코드 영역 복사를 위한 주변 장치 초기화 및 세팅, 메모리에서 제2코드 영역을 복사하는 내용 기술, 복사가 완료 되면 제 2코드의 시작 지점으로 분기 등을 위한 코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제2 코드는 필요시 예외 상황 벡터 (리셋, 인터럽트 등), 주변 장치 초기화 함수 및 세팅 변수, 영상 처리를 위한 함수, 영상 인식을 위한 함수, 영상 처리/인식에 필요한 인터럽트 처리 함수, 필요시 OS 이미지 처리 등을 위한 코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코드에는 영상 처리나 영상 인식에 대한 함수가 아닌, 전원 인가후 빠른 영상 출력을 위한 초기 함수로 구성되므로, 재1 코드만으로도 영상을 정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노이즈제거, 선명도 향상 등) 또는 영상 인식(사람/물체 인식 등)은 제2 코드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종래에는 제2 코드의 내용이 크지 않았으므로(수 메가 바이트 이내), 전원 인가 후, 해당 코드를 메모리에 복사한 후 출력하여도 시간적인 지연이 적었으나, 추후, 영상 인식이나 OS 탑재 등 제2 코드라고 규정되는 부분이 커짐에 따라, 제 2코드를 모두 복사하면 시간 지연이 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제2 코드를 영상 출력 후 복사함으로써 영상 출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코드는 제1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시스템 초기화나 다른 초기화 등은 제2코드의 사용 도중에도 사용 가능한 함수로써, 만약, 제2 코드에 기술 없이, 제1 코드를 사용하면, 다시 제2 코드 복사등의 중복 작업이 이루어 질수 있으므로, 제1 코드의 필수적인 함수 등을 제2 코드 영역 내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호출하기 위해서, 제2 코드 내에 제1 코드의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코드 복사부(160)는 제2 코드를 복사하면서 제1 코드를 다시 제2 저장부(130)에 복사할 수 있다.
초기화 처리부(140)는 전원이 인가되면, 부트로더를 이용하여 초기 MCU,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를 초기화하여 세팅한다. 영상 수신부(150)는 외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전달받는다. 여기서, 외부 카메라는 차량용 전방 및/또는 후방 카메라가 될 수 있으며, 영상 처리 장치(100)는 차량 내부에서 외부 촬영 영상을 처리하여 출력하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코드 복사부(160)는 제1 저장부(120)에 저장된 제1 코드와 제2 코드를 제2 저장부(130)에 복사한다. 코드 복사부(160)는 제2 저장부(130)에 제1 코드를 복사한 후 제2 코드를 복사한다.
영상 출력부(170)는 코드 복사부(160)가 제1 코드를 제2 저장부(130)에 복사하는 경우 제1 코드를 이용하여 외부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출력한다.
여기서, 영상 출력부(170)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VFD, FED, 3D 디스플레이, 기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전방 표시 장치(Head up display) 등 다양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가 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80)는 코드 복사부(160)가 제2 코드를 제2 저장부(130)에 복사하는 경우 제2 코드를 이용하여 외부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처리한다.
제어부(190)는 상술한 전원 인가부(110), 제1 저장부(120), 제2 저장부(130), 초기화 처리부(140), 영상 수신부(150), 코드 복사부(160), 영상 출력부(170), 영상 처리부(180)가 서로 연동하면서 자신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 기능부를 제어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서술할 각 단계는 상술한 영상 처리 장치(100)가 주체가 되어 수행할 수 있다. 각 단계별로 기술되는 과정은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305에서,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단계 S310에서, 부트로더를 이용하여 초기 MCU, 제1 저장부(120) 및 제2 저장부(1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세팅한다.
단계 S315에서, 제1 저장부(120)에 저장된 영상 출력을 위한 제1 코드를 제2 저장부(130)에 복사한다.
단계 S320에서, 제1 코드가 모두 복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1 코드가 모두 복사된 경우, 단계 S325에서, 제1 코드의 메인 함수를 호출하고, 단계 S330에서, 외부 카메라를 초기화한다. 제1 코드의 메인 함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초기화 기능 및 영상 출력 기능을 위한 초기 함수가 될 수 있다.
단계 S335에서, 외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전달받고, 제1 코드를 이용하여 외부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출력한다.
단계 S340에서, 제1 저장부(120)에 저장된 영상 처리를 위한 제2 코드를 제2 저장부(130)에 복사한다.
단계 S345에서, 제2 코드가 모두 복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2 코드가 모두 복사된 경우, 단계 S350에서, 제2 코드의 메인 함수를 호출하고, 단계 S355에서, 제2 코드를 이용하여 외부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처리한다. 여기서, 제2 코드의 메인 함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노이즈 제거 기능, 선명도 향상 기능, 영상 인식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함수가 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카메라 영상 처리시 종래 기술과의 영상 타이밍을 비교 분석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서는, 전원인가시점으로부터 MCU/저장부(메모리)가 초기화되는 시간은 T1, 제1 저장부(120)인 ROM 영역의 코드를 제2 저장부(130)인 RAM 영역으로 복사하는 시간이 T2, 복사된 코드의 메인 함수를 호출하여 카메라를 초기화하고 카메라의 영상을 출력하는 시간이 T3이 된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 처리 과정이 수행된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인가시점으로부터 MCU/저장부(메모리)가 초기화되는 시간은 T1, 제1 저장부(120)인 ROM 영역에서 영상 출력에 관련된 제1 코드를 제2 저장부(130)인 RAM 영역으로 복사하는 시간이 T2, 제1 코드에서 메인 함수를 호출하여 카메라를 초기화하고 영상출력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T3, 제1 저장부(120)인 ROM 영역에서 영상 처리에 관련된 제2 코드를 제2 저장부(130)인 RAM 영역으로 복사하는 시간이 T4가 된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코드에서 메인 함수를 호출하여 영상 처리 과정이 수행된다.
도 5의 (a)와 (b)를 비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저장부(120)인 ROM 영역에서 영상 처리에 관련된 제2 코드를 제2 저장부(130)인 RAM 영역으로 복사하는 시간인 T4 시간만큼 영상 출력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T4와 같이 영상 출력 단축 시간은 영상인식 및 OS 등의 유저 사용 코드의 크기에 비례하며, 유저 코드의 크기는 커지는 추세이므로 향후 단축되는 시간은 보다 커질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시스템 구성, 임베디드 시스템, O/S 등의 공통 플랫폼 기술과 통신 프로토콜, I/O 인터페이스 등 인터페이스 표준화 기술 및 엑추에이터, 배터리, 카메라, 센서 등 부품 표준화 기술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즉, 기록 매체는 컴퓨터에 상술한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한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각 구성 요소는 물리적으로 인접한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되거나 서로 다른 부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각 구성 요소는 인접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구역에 위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은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수단 또는 제어실을 구비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에서,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 및/또는 기능은 서로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영상 처리 장치 110 : 전원 인가부
120 : 제1 저장부 121 : 제1 코드 저장 영역
122 : 제2 코드 저장 영역 130 : 제2 저장부
140 : 초기화 처리부 150 : 영상 수신부
160 : 코드 복사부 170 : 영상 출력부
180 : 영상 처리부 190 : 제어부

Claims (17)

  1. 외부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처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출력을 위한 제1 코드를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단계;
    상기 외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제1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처리를 위한 제2 코드를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이 인가되는 단계 이후에,
    부트로더를 이용하여 초기 MCU,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를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카메라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인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제1 코드를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코드의 메인 함수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카메라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제2 코드를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2 코드의 메인 함수를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드는 시스템 초기화 기능 및 영상 출력 기능을 위한 초기 함수를 포함하는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드는 노이즈 제거 기능, 선명도 향상 기능, 영상 인식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인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드는 상기 제1 코드를 포함하는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을 수행하며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0. 전원을 인가받은 전원 인가부;
    영상 출력을 위한 제1 코드 및 영상 처리를 위한 제2 코드가 저장된 제1 저장부;
    외부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전달받는 영상 수신부;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코드와 상기 제2 코드를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코드 복사부;
    상기 코드 복사부에 의해 상기 제1 저장부로부터 복사된 상기 제1 코드와 상기 제2 코드를 저장하는 제2 저장부;
    상기 코드 복사부가 상기 제1 코드를 상기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경우 상기 제1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및
    상기 코드 복사부가 상기 제2 코드를 상기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경우 상기 제2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장부는 롬(ROM)이고, 상기 제2 저장부는 램(RAM)인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부트로더를 이용하여 초기 MCU, 상기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2 저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세팅하는 초기화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카메라는 차량용 후방 카메라인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드는 시스템 초기화 기능 및 영상 출력 기능을 위한 초기 함수를 포함하는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드는 노이즈 제거 기능, 선명도 향상 기능, 영상 인식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인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복사부는 상기 제2 저장부에 상기 제1 코드를 복사한 후 상기 제2 코드를 복사하는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복사부는 상기 제2 코드를 복사하면서 상기 제1 코드를 다시 상기 제2 저장부에 복사하는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KR1020120150693A 2012-12-21 2012-12-21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811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693A KR20140081192A (ko) 2012-12-21 2012-12-21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693A KR20140081192A (ko) 2012-12-21 2012-12-21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192A true KR20140081192A (ko) 2014-07-01

Family

ID=5173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693A KR20140081192A (ko) 2012-12-21 2012-12-21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11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6717A (zh) * 2019-09-05 2020-01-17 成都亿盟恒信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分体式主动安全和智能处理的车载系统
CN113194298A (zh) * 2021-05-07 2021-07-30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实现非智能相机图像结构化的方法、装置、系统及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6717A (zh) * 2019-09-05 2020-01-17 成都亿盟恒信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分体式主动安全和智能处理的车载系统
CN113194298A (zh) * 2021-05-07 2021-07-30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实现非智能相机图像结构化的方法、装置、系统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4558B2 (en) Vehicular device
US9760461B2 (en) Electronic device and firmware recovery program that ensure recovery of firmware
US817630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ctivation method, and program
JP5783809B2 (ja) 情報処理装置、起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331274B (ko)
KR20080014649A (ko) 전자 기기 및 기동 방법
US965886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102139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inimum boot image
CA2837398A1 (en) Integrated system for media playback during startup
US20130061090A1 (en) Partial rebooting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TW201525869A (zh) 用於雙作業系統記憶體切換的系統及方法
CN108351775B (zh) 嵌入式多处理器系统的启动时间优化的方法和系统
JP6109340B2 (ja) 情報機器
US2015018111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ing apparatus
KR20140081192A (ko) 외부 카메라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2006020058A (ja) 画像形成装置
KR102116096B1 (ko) 다중시스템 및 이의 부팅 방법
US10481675B2 (en) Dual-processo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1114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7350655B2 (ja) 3dビューシステムへのシームレスな遷移を備えるサラウンドビュー及び方法
US99045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ctivation method therefor for processing data of a hibernation image
US20150317181A1 (en) Operating system switching method
JP2007122089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それにおける基本プログラムの起動方法、及びローダプログラム
KR20180101848A (ko) 고속 부팅이 가능한 차량용 블랙박스 및 그 이미지 촬영방법
US20160231938A1 (en) Storag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in storage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