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109A - 윈드쉴드 글라스 부착형 룸미러 - Google Patents

윈드쉴드 글라스 부착형 룸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109A
KR20140081109A KR1020120150491A KR20120150491A KR20140081109A KR 20140081109 A KR20140081109 A KR 20140081109A KR 1020120150491 A KR1020120150491 A KR 1020120150491A KR 20120150491 A KR20120150491 A KR 20120150491A KR 20140081109 A KR20140081109 A KR 20140081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windshield glass
mirror
vehicle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창한
은 천
권혜인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0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81109A/ko
Publication of KR20140081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윈드쉴드 글라스 부착형 룸미러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입사광을 반사하는 거울 상태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차량의 윈드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또는 윈드쉴드 글라스 상부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윈드쉴드 글라스 부착형 룸미러를 제공한다. 또한, 윈드쉴드 글라스의 기울어진 각도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후방 영역이 거울 상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비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중앙부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상태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구비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을 피봇 장치를 통해 적어도 2-자유도 이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윈드쉴드글라스에 결합시키거나, 프레넬 프리즘 필름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사되는 입사광의 입사각을 굴절시키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부에 스트립 형태의 다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분할되어 정렬되고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반투과성 하프 미러(Half Mirror)를 구비하는 등의 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윈드쉴드 글라스 부착형 룸미러{Room Mirror Attached to Windshield Glass}
본 실시예는 윈드쉴드 글라스 부착형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입사광을 반사하는 거울 상태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룸미러 기능을 갖춘, 윈드쉴드 글라스에 부착할 수 있는 차량용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안전 운전을 위한 수단으로 각종 시청각적인 경보장치들이 갖추어져 있지만 운전자의 시야가 미치지 못하는 차량의 후방 지역의 위험한 상황을 알려주는 경보장치는 설치가 미흡하며 차량의 내외부 여러 곳에 미러들이 부착되어 운전자가 직접 차량의 후방 지역의 상황을 살펴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미러에는 측면도어에 설치되어 후방을 관찰하도록 설치된 사이드미러와 차실 내의 루프라이닝(Rooflining)에 설치되어 차량의 정후방 지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설치된 룸미러가 있다.
이러한 미러들을 이용하면 일정 수준까지는 후방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나 후방상황을 인지하는 데 불충분한 지역, 즉 미러들에 의해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사각지대에 장애물이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차량과 충돌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원인이 될 수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차량과 접촉시 경고음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장치가 구비되어 차량에 장애물이 근접하게 될 때 운전자에게 이 상황을 알려 후방물체와의 추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물 경보장치 등이 설치되고 있다.
또한, 차량에 후방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 촬영된 후방의 영상을 운전자에게 확인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출력시켜주는 모니터를 차량 내부에 설치하여 후진이나 주차시 후방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니터를 차량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이러한 모니터의 설치로 인해 운전에 방해를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모니터가 룸미러에 설치된 경우에는 돌출된 룸미러에 머리를 부딪히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도 존재한다.
본 실시예는, 입사광을 반사하는 거울 상태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룸미러 기능을 갖추면서도 돌출 정도가 덜하여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감소시킬 수 있는, 윈드쉴드에 부착할 수 있는 차량용 룸미러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입사광을 반사하는 거울 상태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차량의 윈드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또는 상기 윈드쉴드 글라스 상부에 부착 또는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미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외광을 반사하는 거울 상태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차량의 윈드쉴드 글라스 또는 상기 윈드쉴드 글라스 상부에 부착 또는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부유리에 필름 형태로 부착된 프레넬 프리즘(Fresnel Prism) 렌즈를 포함하는 윈드쉴드 부착형 룸미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외광을 반사하는 거울 상태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차량의 윈드쉴드 글라스 또는 상기 윈드쉴드 글라스 상부에 부착 또는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부에 스트립 형태의 다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분할되어 정렬된 반투과성 하프 미러(Half Mirror)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미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외광을 반사하는 거울 상태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차량의 윈드쉴드 글라스 또는 상기 윈드쉴드 글라스 상부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부에 스트립 형태의 다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분할되어 정렬된 반투과성 하프 미러(Half Mirror)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미러를 제공한다.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는 전후방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윈드 실드 글라스의 표면에 부착되어 룸미러에 의한 전방 시야의 간섭을 방지하고, 넓은 후방 시야의 확보를 가능케하며, 부품 수의 감소에 따른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윈드쉴드 글라스에 결합한 룸미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부에 프레넬 프리즘 필름층을 형성한 룸미러의 분리 사시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프레넬 프리즘 필름 및 일반 프리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운전자가 프레넬 프리즘 필름을 부착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야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다수의 스트립 형태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반투과성 하프 미러의 구조 및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윈드쉴드 글라스와 결합하기 위한 피봇 장치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전방으로 휘어진 곡면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도면의 참조번호에서 제일 앞의 숫자는 대응하는 도면의 번호를 나타내지만, 예외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가 다수의 도면들에 표시된 경우에는 가능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룸미러는 윈드실드 글라스 내측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위치하며,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제어신호에 따라 외광을 반사하는 단순 거울 상태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룸미러는 운전자가 차량 후방의 상태를 잘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중간 지점 바로 위쪽에 설치되며, 운전자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뒷유리 전체가 보일 수 있도록 운전자의 체형 또는 운전 습관에 따라 룸미러의 반사각도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울 상태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된 룸미러(100)는 윈드실드 글라스에 부착 또는 결합된 형태로 위치하는데, 이 경우 윈드실드 글라스의 경사각으로 인해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운전자에게 뒷유리 전체가 비치게 하는 방법이 문제된다. 즉, 차량 좌측의 운전석에서 윈드실드에 부착된 거울을 바라볼 경우, 거울에는 차량의 뒷유리가 아니라 차량 본넷의 우측부분이 비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다른 기능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수단들을 제공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중앙부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상태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구비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을 피봇 장치를 통해 적어도 2-자유도 이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윈드쉴드 글라스에 결합시키거나, 프레넬 프리즘 필름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사되는 입사광의 입사각을 굴절시키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부에 스트립 형태의 다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분할되어 정렬되고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반투과성 하프 미러(Half Mirror)를 구비하는 등의 수단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수단들의 예시적인 구현 형태 및 이를 구비한 윈드쉴드 글라스 부착형 룸미러의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프레넬 프리즘 필름을 이용한다. 즉, 수평의 삼각 형태의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의 구조로 구현된 프레넬 프리즘 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부착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에 프레넬 프리즘 필름 레이어를 추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사하는, 보다 정확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하프 미러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어에 입사하는, 입사광의 굴절각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도 2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부에 프레넬 프리즘 필름층을 형성한 룸미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윈드쉴드 글라스와 접착하는 접착층(210), 접착층(210)을 통해 윈드쉴드 글라스와 결합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프레임의 바닥면(220), 하판유리와 액정층과 상판유리 등으로 구성된 패널층(230) 및 패널층의 상판유리 위에 부착되는 프레넬 프리즘 필름층(2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프레넬 프리즘 필름 및 일반 프리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넬 프리즘 필름은 표면에 미세하고 가늘고 긴 톱니모양의 렌즈(310)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필름이다. 프레넬 프리즘 필름에 입사된 입사광은 필름의 굴절률에 따라 일정한 굴절각도로 굴절된다. 도 3의 (b)는 일반 프리즘 렌즈를 나타낸다.
프레넬 원리는 기존 렌즈의 비굴절 부분의 대부분을 제거하는 것에 기초한다. 빛은 광학 소자의 표면에서만 굴절하고 그외의 영역에서는 직선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렌즈 또는 프리즘의 굴절율은 단지 두 개의 굴절면 간의 상대적인 각도에 주로 의존하게 된다. 프레넬 프리즘 렌즈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굴절에 기여하지 않는 비굴절 부분을 줄임으로써 동일한 굴절파워(Refractive Power)를 갖는 일반 프리즘 렌즈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고 가벼운 필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운전자가 프레넬 프리즘 필름을 부착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야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반투과성 하프 미러층이 갖는 굴절율을 고려하지 않고, 미러 상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프레넬 프리즘 필름을 붙임에 따라 달라지는 시야각을 예시하였다.
도 4의 (a)와 같이, 프레넬 프리즘 필름을 부착하지 않은 미러 상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야각에는 차량의 후방 영역이 포함되지 않아 룸미러로서 기능할 수 없다. 반면, 도 4의 (b)와 같이, 프레넬 프리즘 필름(240)을 부착한 미러 상태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야각은 보다 넓게 형성되어 차량의 후방 영역을 용이하게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부에 다수 개로 분할되어 정렬된 반투과성 하프 미러로 형성하고, 각각의 반투과성 하프 미러를 전후방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함된 반투과성 하프 미러를 블라인드와 같이 다수의 스트립 형태의 세그먼트(Segment)들로 분할하고, 각각의 세그먼트의 기울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각도 조절 수단을 추가적으로 채용함으로써 운전자의 눈높이에 따라 차량의 뒷유리 전체가 보일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반투과성 하프 미러의 구성 및 각 세그먼트들의 각도 조절 수단을 도 5에 예시하였다. 도 5에서 (a)는 다수의 스트립 형태의 세그먼트(510)들로 구성된 반투과성 하프 미러(500)의 정면도를 예시한 도면이다. (b) 및 (c)는 다수의 스트립 형태의 세그먼트(510)들로 구성된 반투과성 하프 미러(500)의 측면도로서, 각 세그먼트(510)의 각도가 조절되기 전/후의 형상을 도시하였다.
각 세그먼트(510)들은 조절바(514)와 연결링(51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조절바(51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각 세그먼트(510)들이 회동하게 된다. 정렬된 각 세그먼트(510)들의 양단은 힌지부(530)를 연결한 바(Bar) 형태의 지지대(5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회동 동작 중에도 정렬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하프 미러를 다수의 세그먼트로 분할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블럭화 현상을 줄이기 위해,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각의 세그먼트를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술의 일종인 표면 미세 가공 기술을 이용한 마이크로 미러(Micro Mirror)로 형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차량의 윈드쉴드 글라스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윈드쉴드 글라스에 대해 적어도 2-자유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피봇(Pivot) 장치를 이용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피봇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윈드쉴드 글라스에 결합함으로써 운전자가 자신의 눈높이 등에 맞추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피봇 장치는 윈드실드 글라스(400)에 압착되는 압착부(620), 압착부(620)에 연결되는 피봇 연결체(640) 및 피봇 연결체(640)와 결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후면에 형성되는 피봇 결합부(6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거울 상태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중앙부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곡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울 상태로 전환되어 외광을 반사하는 경우에 볼록 거울과 유사하게 기능하여, 그 시야각 즉, 디스플레이 패널 전면부에 비치는 화상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더불어 위와 같은 형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채용할 경우 넓은 시야각을 형성함으로써 운전자별 눈높이 또는 운전습관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각도를 조절할 필요성이 줄어든다.
필요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 정도를 조절하는 별도의 수단을 결합함으로써 거울 상태에서 운전자의 제어명령 등에 따라 시야각의 크기를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드쉴드 글라스(400)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요(凹)홈(72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고정부재 쌍(710, 711)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700)을 삽입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중앙부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고정부재 쌍(710, 711)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중 하나로서, 차량의 전면 양측을 볼 수 있도록 차량의 전면에 설치된 전방 카메라나, 차량이 후진할 때 차량의 후방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차량의 후면에 설치된 후방 카메라, 차량의 측면 전후방을 촬영할 수 있도록 차량의 측면에 설치된 측방 카메라 등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OBD(On Board Diagnostics) 단자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차량 내 각종 ECU(Electronic Control Unit)가 수집한 차량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디스플레이 패널 210: 접착층
220: 프레임의 바닥면 230: 패널층
240: 프레넬 프리즘 필름층 400: 윈드쉴드 글라스
500: 반투과성 하프 미러 510: 세그먼트
512: 연결링 514: 조절바
520: 지지대 530: 힌지부
610: 디스플레이 패널 620: 압착부
630: 피봇 결합부 640: 피봇 연결체
70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710: 고정부재
711: 고정부재 720: 요(凹)홈

Claims (9)

  1.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입사광을 반사하는 거울 상태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차량의 윈드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또는 상기 윈드쉴드 글라스 상부에 부착 또는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길이 방향으로 요(凹)홈이 형성된 고정부재 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미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휨 정도는
    상기 고정부재 쌍의 간격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미러.
  4.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외광을 반사하는 거울 상태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차량의 윈드쉴드 글라스 또는 상기 윈드쉴드 글라스 상부에 부착 또는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부유리에 필름 형태로 부착된 프레넬 프리즘(Fresnel Prism) 렌즈를 포함하는 윈드쉴드 부착형 룸미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프리즘 렌즈는,
    입사된 입사광을 일정한 각도로 굴절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입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쉴드 부착형 룸미러.
  6.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외광을 반사하는 거울 상태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차량의 윈드쉴드 글라스 또는 상기 윈드쉴드 글라스 상부에 부착 또는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부에 스트립 형태의 다수 개의 세그먼트(Segment)로 분할되어 정렬된 반투과성 하프 미러(Half Mirror)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미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는,
    전후방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미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는,
    미소 거울 어레이(Micro Mirror Array)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미러.
  9.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되 외광을 반사하는 거울 상태로 전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차량의 윈드쉴드 글라스 또는 상기 윈드쉴드 글라스 상부에 부착 또는 결합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상기 윈드쉴드 글라스 또는 상기 윈드쉴드 글라스 상부에 대해 적어도 2-자유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피봇(Pivot)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미러.
KR1020120150491A 2012-12-21 2012-12-21 윈드쉴드 글라스 부착형 룸미러 KR20140081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491A KR20140081109A (ko) 2012-12-21 2012-12-21 윈드쉴드 글라스 부착형 룸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491A KR20140081109A (ko) 2012-12-21 2012-12-21 윈드쉴드 글라스 부착형 룸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109A true KR20140081109A (ko) 2014-07-01

Family

ID=5173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491A KR20140081109A (ko) 2012-12-21 2012-12-21 윈드쉴드 글라스 부착형 룸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811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7909A (zh) * 2020-01-19 2020-05-29 北京现代汽车有限公司 模拟显示屏在前挡风玻璃成像的测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7909A (zh) * 2020-01-19 2020-05-29 北京现代汽车有限公司 模拟显示屏在前挡风玻璃成像的测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83664B (zh) 抬头显示装置及装有该抬头显示装置的车辆
US10953799B2 (en) Display system, electronic mirror system and movable-body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US9242606B2 (en) Exterior mirror assembly with actuator
US10046705B2 (en) Blind spot assist device
JP2009229752A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6551930B2 (ja) 電子ミラー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S62225429A (ja) 車載用ヘツドアツプデイスプレイ装置
US20090079829A1 (en) Multi-functional side rear view mirror for vehicles
CN112346251A (zh) 一种大eyebox的AR-HUD
JP2017165211A (ja) 電子ミラー
JP2015120477A (ja) 死角補助装置
WO2012028061A1 (zh) 一种车用视野扩展透镜
JP2018058521A (ja) 仮想表示ミラー装置
KR20140081109A (ko) 윈드쉴드 글라스 부착형 룸미러
JP2009056932A (ja) 車両用後写鏡
KR102105657B1 (ko) 차량용 사이드 전방위 카메라 장치
KR20060005302A (ko)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JP6299471B2 (ja) 死角補助装置
TW201531420A (zh) 後視鏡裝置
KR101627241B1 (ko) 광각 투명 패널을 이용한 차량용 광각형 사이드미러장치
KR20130005140U (ko) 카메라가 내장된 절첩 자동차용 룸미러
KR102038514B1 (ko) 프리즘을 이용한 차량용 사이드미러
KR100714792B1 (ko)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방법
KR101904604B1 (ko) 차량용 영상 장치
CN210191327U (zh) 车用盲区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