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160A - 낭형 견인 장치 - Google Patents

낭형 견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160A
KR20140080160A KR1020120149650A KR20120149650A KR20140080160A KR 20140080160 A KR20140080160 A KR 20140080160A KR 1020120149650 A KR1020120149650 A KR 1020120149650A KR 20120149650 A KR20120149650 A KR 20120149650A KR 20140080160 A KR20140080160 A KR 20140080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ing
receptacle
elastic wire
ba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044B1 (ko
Inventor
이주리
Original Assignee
이주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리 filed Critical 이주리
Priority to KR1020120149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04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87Bag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22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flexible, e.g. fabrics, meshes, or membra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수술 부위를 수술 부위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견인하기 위한 낭형 견인 장치의 입구부가 체강 내에서 열린 상태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으므로 비수술 부위를 낭형 견인 장치 내부로 쉽게 담아서 견인할 수 있는 낭형 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낭형 견인 장치는, 체강 내로 삽입되어 비수술 부위를 수술 부위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견인하기 위한 낭형 견인 장치로서, 비수술 부위를 담기 위한 수용 낭 및 상기 수용 낭의 입구부가 체강 내에서 열린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낭형 견인 장치 {Pouch type retractor}
본 발명은 낭형 견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강 내로 삽입되어 비수술 부위를 수술 부위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견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낭형 견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강경 수술(laparoscopic surgery)은 수술 상처가 작아 미용적으로 유리하고, 절개부로 인한 통증이 훨씬 작으며, 빠른 회복이 가능하여 일상생활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복강경 수술은 복부에 0.5 ~ 1.5cm 크기로 형성된 절개부에 트로카(trocar)를 설치하고, 이 트로카를 통해 내시경과 각종 수술 기구 등을 삽입하여 시행하는 수술 방법으로서, 상기 내시경을 통해 복강의 수술 부위를 관찰하면서 상기 각종 수술 기구들을 조작하여 수술하게 되며, 예를 들어, 담낭 절제술, 담도 결석 제거술, 간 결석 제거술, 위 절제술, 대장 절제술, 소장 절제술, 갑상선 절제술 등 거의 대부분의 외과 수술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복강경 수술 중에는 처치 또는 치료가 요구되는 체강 내의 수술 부위를 적당히 노출시킨 상태로 수술이 이뤄진다.
예를 들어, 대장암 환자의 암조직을 절제하는 수술의 경우에는, 소장에 의해 가려진 대장이 노출될 수 있도록 환자의 신체를 기울여 소장이 자중에 의해 이동되도록 한 상태에서 수술이 이뤄진다.
한편, 환자의 체형에 따라 신체를 기울이더라도 대장이 노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수술 기구를 사용하여 소장을 한쪽으로 밀어줘 수술하고자 하는 대장 부위가 노출된 상태에서 수술이 이뤄진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수술 기구를 사용하여 소장을 한쪽으로 밀어서 대장의 수술부위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수술을 진행하는 중에 상기 소장이 자중에 의해 다시 대장을 덮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특히, 몸무게가 무거운 환자들의 경우에는 상술한 방법으로 수술하고자 하는 대장의 수술부위를 노출시키기가 상당히 어려우며, 이로 인한 수술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방식으로 수술을 할 경우에는, 암조직을 절제하는 조작을 행하는 외과의 이외에도 소장을 한쪽으로 밀어주는 조작을 행하는 외과의 또는 어시스턴트가 수술에 참여해야만 하며, 특히 소장을 한쪽으로 밀어주는 조작이 요구되는 부위가 복수 부위인 경우에는 더욱 많은 인원의 외과의 또는 어시스턴트가 복강경 수술에 참여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방식으로 수술을 할 경우에는, 암조직을 절제하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절개부, 소장을 한쪽으로 밀어주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절개부 등 다수의 절개부를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는, 수술 상처를 작게 하여 미용적으로 유리하게 하고자 하는 복강경 수술의 목적에 맞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체강 내로 삽입되어 비수술 부위를 수술 부위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견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낭형 견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낭형 견인 장치는, 체강 내로 삽입되어 비수술 부위를 수술 부위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견인하기 위한 낭형 견인 장치로서, 비수술 부위를 담기 위한 수용 낭(pouch); 및 상기 수용 낭의 입구부가 체강 내에서 열린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지수단은 탄성거동(elastic behavior)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체강 내로 삽입 시 삽입 통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된 제1 상태와, 체강 내에서 비수술 부위를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수용 낭의 입구부를 열린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제2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수용 낭의 입구부 테두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 구비된 탄성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와이어는, 일부분이 견인 대상인 비수술 부위의 형상에 맞춰 굴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와이어는, 복수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 낭의 입구부 테두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낭형 견인 장치를 견인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견인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와이어의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어 낭형 견인 장치를 견인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견인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견인끈은, 단부에 바늘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견인끈은, 단부에 결속용 체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견인끈은, 상기 수용 낭의 저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와이어는 상기 수용 낭의 입구부 테두리의 일측을 따라서 구비되고, 상기 견인끈은 상기 수용 낭의 입구부 테두리의 타측을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견인끈의 단부가 상기 탄성와이어의 단부를 관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와이어는 상기 수용 낭의 입구부 테두리를 따라서 복수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 낭은, 적어도 일측에 견인 대상인 비수술 부위의 일부가 노출되기 위한 노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 낭은, 견인 대상인 비수술 부위의 형상에 맞춰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 낭은, 망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낭형 견인 장치가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하는 원통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낭형 견인 장치는 상기 원통 파이프로부터 배출시 입구부가 열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수술 부위는 소장이고, 상기 수술 부위는 대장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수술 부위로부터 비수술 부위를 이격된 상태로 견인하기 위한 낭형 견인 장치의 수용 낭의 입구부가 유지수단에 의해 체강 내에서 열린 상태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으므로 비수술 부위를 수용 낭의 내부로 쉽게 담아서 견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낭형 견인 장치는 복강경 수술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복 수술 등 다양한 외과 수술 시 견인이 요구되는 부위에 적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존의 장기 견인기구의 대부분은 환자의 몸보다 높은 위치에 견인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기구가 설치되고, 이러한 고정기구에 견인기구가 고정된 상태로 견인기구의 일부가 환자의 절개부위로 삽입되어 장기를 견인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수술자의 움직임에 방해가 되었으나, 본 발명의 낭형 견인 장치는 환자의 몸 자체에 견인끈을 고정, 부착하거나 수술대에 별도의 견인대(bar)를 사용하여 견인끈을 고정, 부착하는 방식으로 견인이 이뤄지므로 수술자의 수술활동에 방해가 적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낭형 견인 장치의 형상이나 크기를 다양하게 변형시킴에 따라 간, 횡행결장, 위, 소장 등과 같은 다양한 장기에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 크기를 작게 하여 직장 수술 시 자궁이나 방광의 견인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지수단이 탄성거동(elastic behavior)이 가능한 탄성와이어로 구성되므로 낭형 견인 장치를 체강 내로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탄성와이어의 일부분이 견인 대상인 비수술 부위의 형상에 맞춰 굴곡형성됨에 따라 견인 부위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수용 낭의 내부로 쉽게 담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탄성와이어가 복수로 분할되어 구성됨에 따라 수용 낭의 입구부가 비수술 부위의 형상에 맞춰 유연하게 형상변형될 수 있으므로 비수술 부위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수용 낭의 내부로 쉽게 담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용 낭의 입구부 테두리 또는 탄성와이어의 적어도 일측에 견인끈이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견인용 와이어를 연결하지 않더라도 견인 조작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견인끈의 단부에 구비된 바늘을 복벽으로 관통시킴에 따라 상기 견인끈의 단부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배출된 견인끈을 외부에서 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용 낭에 구비된 노출구멍을 통해 수용 낭 내에 수용된 부위의 조직을 쉽게 채취하여 조직검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용 낭이 견인 대상인 비수술 부위의 형상에 맞춰 굴곡형성됨에 따라 견인 부위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수용 낭의 내부로 쉽게 담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용 낭이 망사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수용 낭의 내부에 체액 등의 액체가 담겨지지 않게 되므로 비수술 부위 자체만 견인하여 견인끈에 걸리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낭형 견인 장치가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하는 원통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상기 낭형 견인 장치를 체강 내로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소장과 대장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를 이용하여 소장을 견인시켜 대장을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가 원통 파이프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가 원통 파이프의 내부에서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가 원통 파이프의 내부에서 배출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가 유지수단에 의해 체강 내에서 열린 상태로 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낭형 견인 장치는, 체강 내로 삽입되어 비수술 부위를 수술 부위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견인하기 위한 낭형 견인 장치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는, 예를 들어, 대장(LI)의 수술부위(P)에 수술적 처리를 하기 위하여, 상기 대장(LI)의 수술부위(P)를 가리고 있는 비수술 부위인 소장(SI)을 대장(LI)의 수술부위(P)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견인할 수 있다.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수술 부위를 담기 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 낭(110, pouch), 상기 수용 낭(110)의 입구부가 체강 내에서 열린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유지수단(120) 및 상기 수용 낭(110)의 입구부 테두리 또는 상기 유지수단(120)의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를 견인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견인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또 다른 일실시예의 낭형 견인 장치(100A)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3을 참조하여 낭형 견인 장치(100A)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A)는, 수용 낭(110), 유지수단(120) 및 견인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 낭(110)은 비수술 부위를 담기 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수용 낭(110)은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연하게 형상이 변형가능한 합성수지 또는 필름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유지수단(120)은 상기 수용 낭(110)의 입구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 낭(110)의 입구부가 열린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유지수단(120)은 탄성거동(elastic behavior)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상기 수용 낭(110)의 입구부 테두리의 일측을 따라서 구비된 탄성와이어(120)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 낭(110)의 입구부에는 테두리를 따라서 채널형태의 공간(s)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와이어(120)는 상기 채널형태의 공간(s) 일측에 삽입되어 내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와이어(120)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와이어(120)의 제1 상태는, 체강 내로 삽입 시 삽입 통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된 상태이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와이어(120)의 제1 상태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벽(AW)의 절개부에 설치된 원통 파이프(200)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 통로 내에 위치되어 상기 원통 파이프(200)로부터 배출될 때까지 전체적으로 대략 봉형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이다.
상기 탄성와이어(120)의 제2 상태는, 체강 내에서 비수술 부위를 담을 수 있도록 입구부를 열린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와이어(120)의 제2 상태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 파이프(200)로부터 체강 내로 배출이 완료되어 비수술 부위를 담을 수 있도록 수용 낭(110)의 입구부가 열린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상태로서, 탄성와이어(120)의 중앙 부분이 대략 직선형이고, 탄성와이어(120)의 양단부가 소정각도로 절곡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U'자 형인 상태이다.
상기 견인끈(130)은 낭형 견인 장치(100A)를 견인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끈(130)은 상기 수용 낭(110)의 입구부 테두리의 타측을 따라서 구비된다.
즉, 상기 수용 낭(110)의 테두리를 따라서 형성된 채널형태의 공간(s) 타측을 따라서 삽입되어 내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견인끈(130)의 양단은 상기 탄성와이어(120)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홀(120h)을 각각 관통하여 배출됨에 따라 상기 탄성와이어(1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견인끈(130)에 견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수용 낭(110)의 입구부 테두리의 일측은 상기 견인끈(130)과 연결된 탄성와이어(120)에 의해 견인력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수용 낭(110)의 입구부 테두리의 타측은 상기 견인끈(130)에 의해 견인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수용 낭(110) 내에 수용된 비수술 부위가 견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견인끈(130)의 단부에 바늘(13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바늘(132)을 복벽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시킴에 따라 상기 바늘(132)이 연결된 견인끈(130)이 복벽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환자의 신체 외부로 배출된 견인끈(130)은 환자의 신체 외부에 위치하도록 고정 설치된 수술 도구 또는 신체 자체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끈(130)의 단부에 바늘(132)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낭형 견인 장치(100B)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견인끈(130)의 단부를 복강경 수술 시 복부의 절개부에 설치되는 트로카(trocar) 상에 묶어서 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견인끈(130)의 단부에 결속용 체결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끈(130)의 단부에 결속용 집게(133)가 구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견인끈(130)의 양단이 트로카에 구비된 고리 부분에 결속되도록 낭형 견인 장치(100C)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결속용 체결수단으로서는 예시된 집게 이외에 클립형 체결수단 등 다양한 공지의 체결수단이 적용 가능하다.
또 다른 한편, 견인끈(130)이 결합된 바늘(132)을 복벽을 관통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낭(110)의 입구부에 꿰매는 방식으로 견인끈(130)을 낭형 견인 장치(100D)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낭형 견인 장치(100A)의 구성에 따르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A)의 수용 낭(110)을 탄성와이어(120)에 감아서 원통 파이프(200)의 내측으로 삽입함에 따라 상기 탄성와이어(120)가 제1 상태로 변형된 상태에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 파이프(200)의 일측에 구비된 피스톤 밀대(210)를 밀어서 원통 파이프(200) 내의 낭형 견인 장치(100A)를 체강 내로 삽입하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강 내로 삽입된 낭형 견인 장치(100A)의 탄성와이어(120)가 제2 상태로 탄성거동하여 수용 낭(110)의 입구부가 열린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와이어(120)는, 예를 들어, 인체 유해성이 없는 일반 금속와이어, 형상기억합금 등으로 구성되거나, 합성수지재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일실시예의 낭형 견인 장치(100E)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7을 참조하여 낭형 견인 장치(100E)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E)는 탄성와이어(120a)를 제외한 구성요소는 낭형 견인 장치(100A)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기 탄성와이어(120a)의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E)를 구성하는 탄성와이어(120a)의 일부분은 견인 대상인 비수술 부위의 형상에 맞춰 굴곡되도록 형성되며,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와이어(120a)의 제1 상태는 체강 내로 삽입 시 삽입 통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된 상태이고, 상기 탄성와이어(120a)의 제2 상태는 체강 내에서 비수술 부위를 담을 수 있도록 입구부를 열린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와이어(120a)의 제2 상태는 견인 대상인 비수술 부위의 형상에 맞춰 굴곡된 상태이다.
여기서, 형상에 맞춰 굴곡된다는 의미는, 견인대상인 비수술부위가 비견인대상부위(수술부위 또는 비수술부위)로부터 잘 분리되어 견인될 수 있도록 해당 부위의 형상 특성을 고려하여 굴곡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와이어(120a)의 제2 상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와이어(120a)의 중앙 부분과 양단부가 각각 절곡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W'자로 굴곡된 상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낭형 견인 장치(100E)를 구성하는 탄성와이어(120a)에 따르면, 상기 탄성와이어(120a)가 견인 대상인 비수술 부위의 형상에 맞춰 굴곡된 형상으로 탄성거동함에 따라 상기 수용 낭(110)의 입구부가 비수술 부위의 형상에 맞춰 열린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비수술 부위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수용 낭(110)의 내부로 쉽게 담을 수 있게 된다.
도 8은 또 다른 일실시예의 낭형 견인 장치(100F)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8을 참조하여 낭형 견인 장치(100F)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F)는 탄성와이어(120b) 및 견인끈(130)을 제외한 구성요소는 낭형 견인 장치(100A)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기 탄성와이어(120b) 및 견인끈(130)의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F)를 구성하는 탄성와이어(120b)는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F)의 입구부 테두리를 따라서 복수로 분할되어 구비되어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견인끈(130)의 단부가 상기 분할된 각 탄성와이어(120b)의 양단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탄성와이어(120b)는 양단에 각각 관통홀(120b-1)이 형성되고, 상기 견인끈(130)은 각 탄성와이어(120b)의 양단에 형성된 관통홀(120b-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견인끈(130)의 양단은 상기 수용 낭(110)의 양측으로 각각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외에, 복수로 분할된 탄성와이어(120b)가 소정 간격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변형 구성이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탄성와이어가 낭형 견인 장치에 소정 간격으로 부착되던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다른 얇은 와이어(120c)를 매개체로 직렬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낭형 견인 장치(100G)가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낭형 견인 장치(100F)를 구성하는 탄성와이어(120b)와 견인끈(130)에 따르면, 탄성와이어(120b)가 복수로 분할되어 구성됨에 따라 견인 대상인 비수술 부위의 형상에 맞춰 유연하게 형상변형될 수 있으므로 비수술 부위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수용 낭(110)의 내부로 쉽게 담을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또 다른 일실시예의 낭형 견인 장치(100H)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0을 참조하여 낭형 견인 장치(100H)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H)는 수용 낭(110a)을 제외한 구성요소는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A)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기 수용 낭(110a)의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H)를 구성하는 수용 낭(110a)은, 적어도 일측에 견인 대상인 비수술 부위의 일부가 노출되기 위한 노출구멍(110a-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 낭(110a)에 구비된 노출구멍(110a-1)을 통해 수용 낭(110a) 내에 수용된 부위의 조직을 쉽게 채취하여 조직검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낭형 견인 장치(100H)를 구성하는 수용 낭(110a)에 따르면, 예를 들어, 대장(LI)의 수술부위(P)에 수술적 처리를 하기 위하여, 상기 대장(LI)의 수술부위(P)를 가리고 있는 비수술 부위인 소장(SI)을 상기 수용 낭(110a)에 수용하여 견인하는 경우에, 상기 수용 낭(110a)에 수용된 소장(SI) 중 상기 노출구멍(110a-1)으로 노출된 소중(SI) 부위의 조직을 쉽게 채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또 다른 일실시예의 낭형 견인 장치(100I)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1을 참조하여 낭형 견인 장치(100I)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I)는 수용 낭(110b)을 제외한 구성요소는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A)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기 수용 낭(110b)의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I)를 구성하는 수용 낭(110b)은, 견인 대상인 비수술 부위의 형상에 맞춰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낭(110b)의 하단 중앙부가 오목하고, 양단이 볼록하게 굴곡되어, 수용 낭(110b)의 하단부가 전체적으로 대략 'W'자 형의 외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 낭(110b)의 형상은 견인 대상인 비수술 부위의 형상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낭형 견인 장치(100I)를 구성하는 수용 낭(110b)에 따르면, 상기 수용 낭(110b)의 형상이 견인 대상인 비수술 부위의 형상에 맞춰 굴곡형성됨에 따라, 예를 들어, 소장(SI)과 같은 장기를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수용 낭(110b)의 내부로 쉽게 담을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또 다른 일실시예의 낭형 견인 장치(100J)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2를 참조하여 낭형 견인 장치(100J)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J)는 수용 낭(110c)을 제외한 구성요소는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A)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기 수용 낭(110c)의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J)를 구성하는 수용 낭(110c)은, 망사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낭(110c)의 전체가 망사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수용 낭의 일부가 망사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수용 낭의 일부가 망사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수용 낭의 하단부가 망사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낭형 견인 장치(100J)를 구성하는 수용 낭(110c)에 따르면, 상기 수용 낭(110c)의 일부 또는 전체가 망사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수용 낭(110c)의 내부에 체액 등의 액체 중량물이 담겨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J)는 체액 등의 액체 중량물을 제외한 비수술 부위 자체만 견인할 수 있게 되므로, 견인끈(130)에 걸리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
도 13은 또 다른 일실시예의 낭형 견인 장치(100K)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3을 참조하여 낭형 견인 장치(100K)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K)는 추가된 견인끈(130a)을 제외한 구성요소는 상기 낭형 견인 장치(100A)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상기 추가된 견인끈(130a)의 특징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낭형 견인 장치(100K)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낭(110)의 입구부 테두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낭형 견인 장치(100K)를 견인시키기 위한 견인끈(130a)이 더욱 구성된다. 예를 들어, 소장 견인 시에는 소장의 밑부분이 혈관과 결합된 상태이므로, 아래 부분의 견인끈은 구비될 필요 없이 총 3개 정도의 견인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궁이나 간 같이 돌출되어 있는 기관은 예를 들어, 총 4개의 견인끈이 “X”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견인력 제공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견인끈(130a)이 상기 수용 낭(110)의 저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낭형 견인 장치(100L)가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견인끈(130a)이 상기 수용 낭(110)의 저부를 감싸도록 연장됨에 따라 상기 견인끈(130a)으로 상기 수용 낭(110)을 견인 시 견인력의 조절을 통해 상기 수용 낭(110)의 저부가 더욱 당겨지도록 하여 상기 수용 낭(110)의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수용 낭(110)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견인끈(130a)은 상기 수용 낭(110)의 저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채널형태의 공간(s)에 내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낭형 견인 장치(100K)의 구성에 따르면, 탄성와이어(120)와 연결되어 배출되도록 구성된 견인끈(130) 뿐만 아니라 수용 낭(110)의 입구부 테두리에 견인끈(130a)이 추가적으로 구성됨에 따라 낭형 견인 장치(100K)의 견인력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낭형 견인 장치
110:수용 낭(pouch)
120:탄성와이어
130:견인끈

Claims (18)

  1. 체강 내로 삽입되어 비수술 부위를 수술 부위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견인하기 위한 낭형 견인 장치로서,
    비수술 부위를 담기 위한 수용 낭(pouch); 및
    상기 수용 낭의 입구부가 체강 내에서 열린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유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탄성거동(elastic behavior)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체강 내로 삽입 시 삽입 통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된 제1 상태와,
    체강 내에서 비수술 부위를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수용 낭의 입구부를 열린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제2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수용 낭의 입구부 테두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따라 구비된 탄성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이어는,
    일부분이 견인 대상인 비수술 부위의 형상에 맞춰 굴곡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이어는,
    복수로 분할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낭의 입구부 테두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낭형 견인 장치를 견인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견인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이어의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어 낭형 견인 장치를 견인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견인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끈은,
    단부에 바늘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끈은,
    단부에 결속용 체결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끈은,
    상기 수용 낭의 저부를 감싸도록 연장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이어는 상기 수용 낭의 입구부 테두리의 일측을 따라서 구비되고, 상기 견인끈은 상기 수용 낭의 입구부 테두리의 타측을 따라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끈의 단부가 상기 탄성와이어의 단부를 각각 관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와이어는 상기 수용 낭의 입구부 테두리를 따라서 복수로 분할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낭은,
    적어도 일측에 견인 대상인 비수술 부위의 일부가 노출되기 위한 노출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낭은,
    견인 대상인 비수술 부위의 형상에 맞춰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낭은,
    망사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낭형 견인 장치가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되도록 하는 원통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낭형 견인 장치는 상기 원통 파이프로부터 배출시 입구부가 열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술 부위는 소장이고, 상기 수술 부위는 대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형 견인 장치.
KR1020120149650A 2012-12-20 2012-12-20 낭형 견인 장치 KR101441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650A KR101441044B1 (ko) 2012-12-20 2012-12-20 낭형 견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650A KR101441044B1 (ko) 2012-12-20 2012-12-20 낭형 견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160A true KR20140080160A (ko) 2014-06-30
KR101441044B1 KR101441044B1 (ko) 2014-09-17

Family

ID=51130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650A KR101441044B1 (ko) 2012-12-20 2012-12-20 낭형 견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0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0594A (zh) * 2019-11-12 2020-01-14 朱守林 襻式造口气囊式支架
CN113349848A (zh) * 2021-06-04 2021-09-07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腹腔镜结直肠手术用的支撑装置
WO2022240108A1 (ko) * 2021-05-10 2022-11-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강경 수술에서 인체 조직의 견인을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5515B2 (en) * 2007-08-29 2013-06-18 Ethicon Endo-Surgery, Inc. Tissue retractors
KR101063136B1 (ko) * 2009-09-25 2011-09-07 국립암센터 수술용 견인장치
KR101082762B1 (ko) * 2011-02-18 2011-11-10 이정삼 복강경 수술용 견인기구 시스템
KR101198775B1 (ko) * 2012-01-18 2012-11-12 박광태 수술용 도구, 이를 위한 수술용 메쉬와 수술용 견인수단, 이를 이용한 수술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80594A (zh) * 2019-11-12 2020-01-14 朱守林 襻式造口气囊式支架
WO2022240108A1 (ko) * 2021-05-10 2022-11-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복강경 수술에서 인체 조직의 견인을 위한 장치
CN113349848A (zh) * 2021-06-04 2021-09-07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腹腔镜结直肠手术用的支撑装置
CN113349848B (zh) * 2021-06-04 2024-07-02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腹腔镜结直肠手术用的支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044B1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5135B1 (en) Finger-guided suture device
EP2598018B1 (en) Surgical apparatus
Levy et al. Finger-guided surgical instrument
US5147371A (en) Apparatus for removing gallstones and tissue during surgery
RU2567270C2 (ru) Ретрактор, создающий минимум помех
KR101685166B1 (ko) 복강경 수술용 엔도파우치 및 단일공 복강경 수술용 엔도파우치 조립체
US11083443B2 (en) Specimen retrieval device
US20110152923A1 (en) Incision closure device
US20200289159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large tissue specimen removal
US202002536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issue capture and removal
EP2679169A1 (en) Three-dimensional retractor
JP2003523789A (ja) 指誘導式外科用器具
KR101441044B1 (ko) 낭형 견인 장치
CN110037756A (zh) 一种具有连接部件的锚定夹
KR20190078070A (ko) 복강경 수술용 조직 견인기구
CA2690769A1 (en) Access port with sutur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flapper with inserts
EP2796096B1 (en) Medical port
US20190254647A1 (en) Specimen retrieval device
JPH09173337A (ja) 摘出臓器収納袋およびその体腔内挿入装置ならびに摘出臓器収納袋の拡開装置
KR20180077845A (ko) 카테터
Lima et al. NOTES performed using multiple ports of entry: current experience and potential implications for urologic applications
JP2000023989A (ja) ミニループレトラクタ
RU6784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нипуляций в брюшной полости
WO2021053462A1 (en) An external endoluminal fixator device
Kenawy Experimental laparoscopy and instrumentation in do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