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743A - 특히 의자를 위한 틸트 제어 장치 및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특히 의자를 위한 틸트 제어 장치 및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743A
KR20140079743A KR1020130159046A KR20130159046A KR20140079743A KR 20140079743 A KR20140079743 A KR 20140079743A KR 1020130159046 A KR1020130159046 A KR 1020130159046A KR 20130159046 A KR20130159046 A KR 20130159046A KR 20140079743 A KR20140079743 A KR 20140079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control device
tilt control
actuating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프 바트달
할슈타인 크반그레이븐
Original Assignee
스칸디나비안 비지니스 시팅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칸디나비안 비지니스 시팅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스칸디나비안 비지니스 시팅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40079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7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3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틸트 제어 장치 및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의자 부재(5)와 제 2 의자 부재(6) 사이의 상대 운동(M)을 제어하기 위한 관련된 방법. 제 1 부재(5)는 하나의 리셉터클(18)을 포함하고, 제 2 부재(6)는 가이드(30)를 포함하고, 틸트 제어 장치는 가이드(30) 및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18) 내에 후퇴 가능하게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가능한 틸트 로킹 부재(16)를 더 포함한다. 작동 부재(7)는 작동 부재와 로킹 부재 사이의 상대 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는 탄성 작동 수단(26, 27)을 통해 로킹 부재(16)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작동 부재(7) 및 로킹 부재(16)는 직접 연결되지 않지만, 작동 부재는 중간 탄성 요소, 예를 들면, 스프링(26, 27)을 통해 로킹 부재의 운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특히 의자를 위한 틸트 제어 장치 및 작동 방법{A TILT CONTROL DEVICE, IN PARTICULAR FOR A CHAIR, AND A METHOD OF OPERATION}
본 발명은 의자용 틸트 제어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특정된 바와 같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의 상대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틸트 제어 장치, 및 청구항 7 및 청구항 8의 전제부에 특정된 바와 같은 상대 운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사무실 의자의 분야에서 틸팅될 수 있는 시트를 구비하는 의자는 주지되어 있다. 사무실 의자의 틸팅 메커니즘은 전형적으로 2 개의 하우징 부품, 즉 시트에 부착되는 하나의 부품 및 의자 페디스털(pedestal)에 부착되는 다른 부품을 포함한다. 하우징 부품은 축에 연결되어 페디스털에 대한 시트의 선회, 또는 틸팅을 가능하게 한다. 스프링은 선회 운동을 완충시키도록 하우징 부품들 사이에 배치되고, 또 통상적으로 스프링의 중립(평형) 상태가 다소 수평한 시트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로킹 장치는 임의의 소정의 틸팅 각도로 하우징 부품을 서로에 대해 로킹 또는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사용 시, 시트 틸트 각도는 사용자에 의해(시트 상에서 사용자의 체중을 이동시킴으로써) 제어되고, 시트는 원하는 틸트 각도에 로킹될 수 있다. 공지된 틸트 로킹 메커니즘은 마찰 플레이트 및 로킹 핀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틸팅 각도를 변화시키기를 원하여 틸트 로킹 메커니즘을 해제시키는 경우(예를 들면, 로킹 핀의 리셉터클로부터 로킹 핀을 후퇴시킴), 프리로딩(preloaded)된 스프링이 시트를 수평한 위치로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 순간 사용자가 의자 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이동시키면, 틸트 로킹 메커니즘의 급격한 해제로 인해 시트 및 등받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급격한 운동이 유발된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급격한 운동을 방지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본 발명을 안출 및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주 청구항에서 개시되고, 또 주 청구항을 특징으로 하고, 종속 청구항은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을 기술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의 상대 운동(M)을 제어하기 위한 틸트 제어 장치로서, 제 1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을 포함하고, 제 2 부재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틸트 제어 장치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서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 및 언로킹하도록 가이드 및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내에 후퇴 가능하게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가능한 틸트 로킹 부재를 더 포함하고, 작동 부재가 작동 수단을 통해 로킹 부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작동 수단은 작동 부재와 로킹 부재 사이의 상대 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고, 작동 부재 및 로킹 부재는 직접 연결되지 않지만, 작동 부재는 작동 수단을 통해 로킹 부재(16)의 운동을 제어하는, 틸트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작동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를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작동 수단은, 하나의 스프링이 압축 상태에서 로킹 부재 상에 구동력을 가할 때, 다른 스프링은 긴장된 상태 또는 이완된 상태가 되도록, 그리고 반대로도 동일하도록, 로킹 부재의 확대된 부분의 대향측 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제 1 부재는 의자 컬럼에 연결되고, 제 2 부재는 의자 시트에 연결되고, 로킹 부재는 제 2 부재에 연결되는 본체 내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제 2 부재에 연결되고 또 로킹 부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보어를 포함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고, 작동 부재는 본체의 외측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제 1 부재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틸트 제어 장치에 의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의 상대적 틸팅 운동을 허용하고, 제 1 부재는 의자 컬럼에 연결되고, 제 2 부재는 의자 시트에 연결되고, 로킹 부재는 최초에 제 1 부재 내의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 내의 정 위치에 있고, 이것에 의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의 틸팅 운동을 방지하는, 상대적 틸팅 운동을 허용하는 방법으로서,
a)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운동을 유발하고, 이것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이 로킹 부재의 스템 부분을 핀칭(pinching) 및 홀딩하도록 하는 단계;
b) 작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도록 작동 부재를 작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틸트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로부터 스템 부분을 후퇴시키도록 프리세팅되는 단계; 및
c) 단계 a)에서 발생된 핀칭 힘이 중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것에 의해 스템 부분이 리셉터클로부터 후퇴되고,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의 상대적 틸팅 운동이 허용되는, 상대적 틸팅 운동을 허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틸트 제어 장치에 의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의 상대적 틸팅 운동을 방지하고, 제 1 부재는 의자 컬럼에 연결되고, 제 2 부재는 의자 시트에 연결되고, 로킹 부재는 최초에 제 1 부재 내의 복수의 리셉터클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후퇴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의 틸팅 운동을 허용하는, 상대적 틸팅 운동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a)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의 운동을 유발하고, 이것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과 가이드 사이의 오정렬을 유발하는 단계;
b) 작동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기 위해 작동 부재를 작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스템 부분이 제 1 부재를 향해 압박되고 또 인접하는 리셉터클 사이에서 제 1 부재에 맞닿고, 따라서 틸트 제어 장치는 로킹되도록 프리세팅되는 단계; 및
c) 스템 부분에 인접하는 리셉터클과 가이드가 정렬되도록 제 1 부재와 제 2 부재 사이에 운동을 유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것에 의해 스템 부분은 리셉터클 내에 진입하여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서로에 대해 로킹시키도록 허용되는, 상대적 틸팅 운동을 방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위의 방법의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상기 운동은 상기 의자 시트 상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의자 컬럼에 대해 자신의 체중을 이동시킴으로써 유발된다.
본 발명의 이들 특징 및 기타 특징은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틸트 제어 장치의 실시형태를 갖는 틸팅 조립체를 구비하는 의자 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틸팅 조립체의 외측면도이고;
도 3a는 도 2의 A-A 평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의 B-B 평단면도이고;
도 4a는 틸팅 조립체 및 틸트 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틸트 제어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c는 도 4b에서 "C"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틸팅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 3a에서 "A"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로서,
도 5a는 로킹 볼트 및 노브는 후퇴되고, 틸팅 조립체는 언로킹된 상태이고;
도 5b는 로킹 볼트는 후퇴되고, 노브는 연장되고, 틸팅 조립체는 언로킹되고, 로킹을 위해 프리세팅(pre-set)된 상태이고;
도 5c는 로킹 볼트 및 노브는 연장되고, 틸팅 조립체는 로킹된 상태이고;
도 5d는로킹 볼트는 연장되고, 노브는 후퇴되고, 틸팅 조립체는 로킹되고, 언로킹을 위해 프리세팅된 상태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틸팅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 3b에서 "B"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도로서,
도 6a는 로킹 볼트 및 노브는 후퇴되고, 틸팅 조립체는 언로킹된 상태이고;
도 6b는 로킹 볼트는 후퇴되고, 노브는 연장되고, 틸팅 조립체는 언로킹되고, 로킹을 위해 프리세팅된 상태이고;
도 6c는 로킹 볼트 및 노브는 연장되고, 틸팅 조립체는 로킹된 상태이고;
도 6d는 로킹 볼트는 연장되고, 노브는 후퇴되고, 틸팅 조립체는 로킹되고, 언로킹을 위해 프리세팅된 상태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수평", "수직", "횡방향", "전후", "상하", "상부", "하부", "내부", "외부" 등과 같은 용어가 사용된다. 이러한 용어는 일반적으로 의자의 정상적인 사용과 관련되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점 및 배향을 말한다. 이 용어는 독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것일 뿐 제한적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도 1은 컬럼(2)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3)를 가지는 사무실 의자 상의 틸팅 조립체(4) 상의 틸트 제어 장치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컬럼(2)은 본 기술 분야에 주지된 방식으로 페디스털(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의자는 또한 편리하게 등받이(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틸팅 조립체는 본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유형의 것으로서, 컬럼(2)에 연결되는 하부 하우징 부품(5) 및 시트(3)에 연결되는 상부 하우징 부품(6)을 갖는다. 하우징 부품(5, 6)은 구멍(8)을 통해 축(도 4a에서 도면부호 28)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우징 부품들 사이에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되고, 이 스프링은 선회 운동을 제동시키는 작용을 하고, 또 스프링의 중립(평형) 상태가 다소 수평한 시트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의 구성은 본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이므로 더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도 2, 도 3a, 도 3b,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틸트 제어 장치의 도시된 실시형태는 푸팅 기초(footing foundation; 9) 및 볼트(10)를 통해 상부 하우징 부품(6)에 연결되는 본체(12)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본체(12)는 대체로 원통 형상을 갖고, 로킹 볼트(16)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관통 축방향 보어(31)를 갖는다. 볼트(16)는 스템 부분(17), 헤드 부분(20) 및 중간 숄더 부분(19)을 갖는다. 보어는 양단부에서 개방되고, 내부 단부(33)(도 3a)는 헤드 부분이 아닌 스템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스템 부분(17)은 상부 하우징 부품(6) 내의 내부 단부(33) 및 가이드 개구(30)를 통해 부분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내부 코일 스프링(27)은 스템 부분(17)의 둘레에 스템 부분(17)와 동축으로 배치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본체(12)의 보어 내에, 내부 스프링(27)의 일단부는 숄더 부분(19)에 맞닿도록, 그리고 타단부는 내부 벽 부분(32)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제어 노브(7)는 본체의 외측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노브(7)는 내측 공동부 및 본체(12)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환형 그루브(29)를 갖는다.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 코일 스프링(26)은 노브 내측 공동부 내에 배치되고, 외부 코일 스프링(26)의 일단부는 볼트 헤드 부분(20)에 맞닿고, 타단부는 노브 공동부(34)의 저면에 맞닿는다.
노브(7)는 (상호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2 개의 그루브(14)를 포함하고, 이 그루브(14)의 각각은 각각의 캠(24) 및 본체(12) 상의 디텐트(detent; 23)와 공동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노브(7)가 본체(12) 상에 조립된 경우, 디텐트(23)는 본체 상에서 노브의 왕복 운동에 대한 외부 제한기(limiter)로서 작용한다. 도 5a는 이 외부 위치에서 노브를 도시하고, 노브 칼라(25)는 본체 디텐트(23)에 맞닿아 있다. 캠(24)은 캠이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굴곡될 수 있도록 스트립 부분(21)(도 4c 참조)을 통해 본체(12)에 연결된다. 따라서, 노브(7)가 도 5b에 도시된 위치로 밀려지면, 캠은 칼라(25)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압된다. 그러면 캠은 도 5b에 도시된 위치에서 노브를 홀딩하는 작용을 한다. 도 5a에 도시된 위치로 노브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노브를 뒤로 당기면, 칼라는 가요성 캠 상에 스냅 백(snap back) 결합된다.
따라서, 제어 노브(7)와 로킹 볼트(16)는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제어 노브(7)는 중간 탄성 요소(스프링(26, 27))를 통해 로킹 볼트(16)의 운동을 제어한다.
하부 하우징 부품(5)은 아치형 틸팅 운동(M)에 대응하는 아치형 구성으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리셉터클(18)을 포함한다. 각각의 리셉터클(18)은 로킹 볼트 스템 부분(17)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 부품(6) 및 하부 하우징 부품(5)은 (예를 들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18) 중 임의의 하나 내에 로킹 볼트(16)를 삽입함으로써 복수의 틸팅 각도로 상호 로킹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6a의 양자 모두는 "비작동 및 언로킹" 상태의 틸트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칼라(25)가 디텐트(23)에 맞닿는 위치로, 그리고 또한 로킹 볼트(16)가 본체(12) 내로 후퇴된 위치로 노브(7)는 뒤로 당겨져 있다. 볼트는 리셉터클(18) 중 어느 것과도 맞물리지 않고, 하부 하우징 부품(5) 및 상부 하우징 부품(6)은 서로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즉, 축(28)을 중심으로 선회, 도 4a 참조)한다. 이러한 상태의 틸트 제어 장치에서, 외부 스프링(26) 및 내부 스프링(27)은 평형 상태에 있다.
도 5b 및 도 6b의 양자는 "작동 및 언로킹된" 상태의 틸트 제어 장치를 도시한다. 하부 하우징 부품(5) 및 상부 하우징 부품(6)은, 로킹 볼트(16)가 리셉터클 중 어느 것과도 정렬되지 않도록, 서로에 대해 이동된다. 칼라(25)가 캠(24)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위치를 향해 노브(7)가 내측으로 밀려지면, 외부 스프링(26)을 가압하고, 따라서 하부 하우징 부품(5)을 향해 로킹 볼트(16)를 압박하고, 이 곳에서 스템 부분(17)의 자유 단부는 인접하는 리셉터클(18) 사이에서 하부 하우징 부품(5)에 맞닿는다. 따라서, 본 장치는 로킹되도록 설정된다. 이 상태(도 5b 및 도 6b에 도시된 상태)에서, 하우징 부품(5, 6)은 서로에 대해 약간 이동할 수 있으나, 일단 스템 부분(17)이 리셉터클(18)과 정렬되면, 스템은 (압축된 외부 스프링(26)에 의해) 그 리셉터클 내로 압박되고, 하우징 부품(5, 6)을 서로에 대해 로킹시킨다. 이 상태는 도 5c 및 도 6c에 도시되어 있다.
도 5c 및 도 6c의 양자는 "비작동 및 로킹된" 상태에 있는 틸트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노브(7)는 도 5b 및 도 6b에 대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밀려지고, 스템(17)의 전방 부분은 리셉터클(18)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 부품(5, 6)은 서로에 대해 로킹된다. 이 상태의 틸트 제어 장치에서, 외부 스프링(26)은 약간 연장(이완)되고, 내부 스프링(27)은 도 5b 및 도 6b에 도시된 스프링의 상태에 비해 압축되었다.
하우징 부품(5, 6)이 도 5c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노브(7)를 후방으로 당기면, 내부 스프링(27)은 볼트를 노브를 향해 압박하고, 리셉터클(18)로부터 스템 부분(17)을 제거한다. 하우징 부품(5, 6)은 다시 서로에 대해(즉,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롭게 선회된다.
도 5d 및 도 6d의 양자는 "작동 및 로킹된" 상태의 틸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스템(17)의 일부는 (도 5c 및 도 6c와 같이) 여전히 리셉터클 내에 있으나, 하우징 부품(5, 6)은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의자 시트 상에서 자신의 체중을 이동시킴으로써) 서로에 대해 약간 이동되었으므로, 그 결과 리셉터클(18)이 스템 부분(17)을 핀칭 및 홀딩하게 된다. 노브(7)는 외측으로 당겨져 있고, 스템 부분은(로킹된 상태에서) 리셉터클 내의 정 위치에 홀딩(핀칭)되어 있으므로, 내부 스프링(27)은 도 5c 및 도 6c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상태에 있다. 외부 스프링(26)은 도 5c 및 도 6c에 도시된 상태에 비해 팽창이 허용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노브가 본 장치를 언로킹하도록 설정되고, 또 리셉터클과 스템 부분 사이의 핀칭 힘이 중단되면, 압축된 내부 스프링(27)에 의해 로킹 볼트 스템(17)은 리셉터클의 외부로 이동하고, 따라서 하우징 부품(5, 6)은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선회 가능해 진다.
따라서, 사용 시, 본 발명의 틸트 제어 장치는, 본 장치가 로킹되도록 설정되었을 때(도 5b 및 도 6b), 로킹 볼트 스템(17)이 항상 가장 가까운 리셉터클(18) 내로 진입하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틸트 제어 장치는 또한, 사용자가 시트 상에 앉아 있지 않고 또 도 5d 및 도 6d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핀칭 힘을 해제하지 않는 한, 하우징 부품(5 6)이 서로에 대해 해제되지 않도록(선회 가능하지 않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의 틸트 제어 장치에 대한 개조 및/또는 추가가 실시될 수 있으나, 이들은 본 발명의 분야 및 범위 내에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26, 27)에 관하여 설명되었으나, 임의의 다른 탄성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나의 탄성 요소만을 사용하는 실시형태가 예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 틸팅 기구에 관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등받이 틸팅 기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9)

  1.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부재(5)와 제 2 부재(6) 사이의 상대 운동(M)을 제어하기 위한 틸트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제 1 부재(5)는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18)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재(6)는 가이드(30)를 포함하고; 상기 틸트 제어 장치는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를 서로에 대해 선택적으로 로킹 및 언로킹하도록 상기 가이드(3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18) 내에 후퇴 가능하게 진입하도록 구성되는 이동 가능한 틸트 로킹 부재(16)를 더 포함하고, 작동 부재(7)가 작동 수단(26, 27)을 통해 상기 로킹 부재(16)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 수단은 상기 작동 부재와 상기 로킹 부재 사이의 상대 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고, 상기 작동 부재(7) 및 상기 로킹 부재(16)는 직접 연결되지 않지만,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작동 수단(26, 27)을 통해 상기 로킹 부재(16)의 운동을 제어하는, 틸트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를 포함하는, 틸트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은, 하나의 스프링(26)이 압축 상태에서 상기 로킹 부재 상에 구동력을 가할 때, 다른 스프링(27)은 긴장된 상태 또는 이완된 상태가 되도록, 그리고 반대로도 동일하도록, 상기 로킹 부재(16)의 확대된 부분(20)의 대향측 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26, 27)을 포함하는, 틸트 제어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5)는 의자 컬럼(2)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부재(6)는 의자 시트(3)에 연결되고, 상기 로킹 부재(16)는 상기 제 2 부재(6)에 연결되는 본체(12) 내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배치되는, 틸트 제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6)에 연결되고 또 상기 로킹 부재(16)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보어(31)를 포함하는 본체(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 부재(7)는 상기 본체(12)의 외측면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틸트 제어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5)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리셉터클(18)을 포함하는, 틸트 제어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틸트 제어 장치에 의해 제 1 부재(5)와 제 2 부재(6) 사이의 상대적 틸팅 운동을 허용하고, 상기 제 1 부재(5)는 의자 컬럼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부재(6)는 의자 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로킹 부재(16)는 최초에 상기 제 1 부재(5)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18) 내의 정 위치에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제 1 부재(5)와 상기 제 2 부재(6) 사이의 틸팅 운동을 방지하는, 상대적 틸팅 운동을 허용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제 1 부재(5)와 상기 제 2 부재(6) 사이에 운동을 유발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18)이 상기 로킹 부재의 스템 부분(17)을 핀칭(pinching) 및 홀딩하도록 하는 단계;
    b) 상기 작동 수단(26, 27)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작동 부재(7)를 작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상기 틸트 제어 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18)로부터 상기 스템 부분(17)을 후퇴시키도록 프리세팅되는 단계;
    c) 단계 a)에서 발생된 핀칭 힘이 중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스템 부분이 상기 리셉터클로부터 후퇴되고, 상기 제 1 부재(5)와 상기 제 2 부재 사이의 상대적 틸팅 운동이 허용되는, 상대적 틸팅 운동을 허용하는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틸트 제어 장치에 의해 제 1 부재(5)와 제 2 부재(6) 사이의 상대적 틸팅 운동을 방지하고, 상기 제 1 부재(5)는 의자 컬럼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부재(6)는 의자 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로킹 부재(16)는 최초에 상기 제 1 부재(5) 내의 복수의 리셉터클(18) 중 상기 적어도 하나로부터 후퇴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제 1 부재(5)와 상기 제 2 부재(6) 사이의 틸팅 운동을 허용하는, 상대적 틸팅 운동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제 1 부재(5)와 상기 제 2 부재(6) 사이의 운동을 유발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18)과 상기 가이드(30) 사이의 오정렬을 유발하는 단계;
    b) 상기 작동 수단(26, 27)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작동 부재(7)를 작동시키고, 이것에 의해 상기 스템 부분(17)이 상기 제 1 부재(5)를 향해 압박되고 또 인접하는 리셉터클(18) 사이에서 상기 제 1 부재(5)에 맞닿고, 따라서 상기 틸트 제어 장치는 로킹되도록 프리세팅되는 단계; 및
    c) 상기 스템 부분(17)에 인접하는 리셉터클(18)과 상기 가이드가 정렬되도록 상기 제 1 부재(5)와 상기 제 2 부재(6) 사이에 운동을 유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스템 부분은 상기 리셉터클 내에 진입하여 상기 제 1 부재(5)와 상기 제 2 부재(6)를 서로에 대해 로킹시키도록 허용되는, 상대적 틸팅 운동을 방지하는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은 상기 의자 시트 상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상기 의자 컬럼에 대해 자신의 체중을 이동시킴으로써 유발되는, 상대적 틸팅 운동을 허용 또는 방지하는 방법.
KR1020130159046A 2012-12-19 2013-12-19 특히 의자를 위한 틸트 제어 장치 및 작동 방법 KR201400797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121538 2012-12-19
NO20121538A NO336920B1 (no) 2012-12-19 2012-12-19 Vippestyringsinnretning og fremgangsmå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743A true KR20140079743A (ko) 2014-06-27

Family

ID=49578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046A KR20140079743A (ko) 2012-12-19 2013-12-19 특히 의자를 위한 틸트 제어 장치 및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745740B1 (ko)
KR (1) KR20140079743A (ko)
CN (1) CN103876509B (ko)
NO (1) NO3369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5346A1 (de) * 2018-09-10 2020-03-12 Sedus Stoll Ag Arretierungsvorrichtung für ein verschwenkbares sitzmöbel, sitzmöbe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5912A (en) * 1990-08-10 1994-12-27 Stulik; Edward L. Reclining chair
IT242153Y1 (it) * 1996-01-08 2001-06-04 Alta Srl Dispositivo di regolazione dell'inclinazione della seduta in sedie epoltroncine in genere
ITTO980034A1 (it) * 1998-01-16 1999-07-16 Miotto Int Comp Dispositivo meccanico per il controllo della movimentazione sincrona d i sedile e schienale di una seduta.
US8113586B2 (en) * 2009-01-23 2012-02-14 Chen Yung-Hua Apparatus for adjusting the seat back angle
JP2010233840A (ja) * 2009-03-31 2010-10-21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CN101731861B (zh) * 2009-12-30 2012-05-30 韩汝辉 一种靠背倾斜角度可调的座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45740A1 (en) 2014-06-25
EP2745740B1 (en) 2016-08-10
NO336920B1 (no) 2015-11-23
CN103876509B (zh) 2018-10-26
NO20121538A1 (no) 2014-06-20
CN103876509A (zh)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9556B2 (en) Hinge assembly for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comprising such a hinge assembly
US8408644B2 (en) Head rest for a vehicle
EP2457466B1 (en) Multi-functional chair assembly
EP3556252B1 (en) Tilt mechanism for a chair and chair
KR101504534B1 (ko)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1623817B1 (ko) 다기능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US9380879B2 (en) Chair back swivel mechanism
US11517112B2 (en) Cam adjustment device for lifting and lowering armrest and chair having the same
US8172324B2 (en) Preference control mechanism
KR20140079743A (ko) 특히 의자를 위한 틸트 제어 장치 및 작동 방법
KR101902770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의자
JP2003299547A (ja) アームレスト
KR102016648B1 (ko) 의자의 암레스트 다단계 회전 및 높낮이 조절 장치
US7419219B2 (en) Adjustable arm assembly for a chair
JP5611670B2 (ja) 椅子のロッキング機構用ロック装置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椅子
JP4773801B2 (ja) ロッキング装置のロック機構
EP2986183B1 (en) A chair adjustment device
JP7208766B2 (ja) 椅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350025B2 (ja) 椅子用レバー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椅子
KR101753786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JP4217116B2 (ja) 座のスライド機構
KR200435839Y1 (ko) 의자용 등판 틸팅장치
JP7390096B2 (ja) 背凭れロッキング範囲調整機構及び椅子
KR102629859B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JP5049529B2 (ja) ロッキング機構用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