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593A -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593A
KR20140079593A KR1020120147486A KR20120147486A KR20140079593A KR 20140079593 A KR20140079593 A KR 20140079593A KR 1020120147486 A KR1020120147486 A KR 1020120147486A KR 20120147486 A KR20120147486 A KR 20120147486A KR 20140079593 A KR20140079593 A KR 20140079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harging station
vehicle
uni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9170B1 (ko
Inventor
최유태
김영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7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170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에 따라 충전소 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정보, 충전소 정보, 교통 정보 및 도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여 주행 가능 거리에 있는 충전소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충전소 산출부, 및 충전소 산출부에서 산출된 충전소 위치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는 충전소 정보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Charging station guide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주행 가능 거리에 따라 충전소 위치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최근 대기 오염 등 환경 문제의 인식 변화에 따라 무공해차량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런 추세와 함께 전기자동차의 관심과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이전에는 저속 전기자동차(최고속도 60km 이하)의 주행가능 도로가 제한적 경로에 한정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최고시속 160km 이상 가능한 전기자동차의 등장으로 운행도로 제한이 일반 자동차의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전기자동차는 주행 동력원으로서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고, 이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이용하는 모터 구동에 의하여 주행이 이루어진다. 전기자동차의 주행중, 회생제동시 모터에 의한 발전이 이루어져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주행중에는 그 충전량 이상의 배터리 방전이 이루어지므로 일정 거리 및 시간이 지나면 반드시 배터리에 대한 충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기자동차의 상용화에 따라, 가정이나 연구소 등 한정된 공간에서 배터리를 직접 충전하는 플러그 인 타입이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장거리 주행과 같은 상황에서는 충전소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충전소의 인프라가 아직까지 완전하게 갖추어져 있지 않지만, 향후에는 전기자동차를 위한 충전소가 일반 주유소와 같이 많은 장소에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현재 전기자동차에는 배터리 충전이 필요할 때, 주변의 충전소 위치를 안내해주는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종래의 충전소 안내 방법을 첨부한 도 2를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충전소 안내 방법은, 배터리의 충전상태(SOC)를 모니터링하여 충전이 필요한 경우, 기존에 입력되어 있는 충전소 위치와 현위치를 비교하여 특정 반경내에 있는 충전소를 모두 표시하고, 이 중에 거리가 가장 가까운 충전소로 안내하는 단방향 안내 알고리즘이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전소 안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종래의 충전소 안내 장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10,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차량 제어유니트(VCU: Vehicle Control Unit, 20) 및 디스플레이 수단(30)을 포함한다.
먼저, 전기자동차에 탑재된 배터리의 충방전 및 충전 상태 등을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10,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에서 배터리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상위제어기인 차량 제어유니트(VCU: Vehicle Control Unit, 20)로 전송한다.
이어서, 차량 제어유니트(20)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10)의 모니터링 신호를 수신하여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여 충전이 필요한 것으로 판정하면,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수단(30,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가 통합된 AVN)에 충전소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것을 명령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수단(30)의 네비게이션에서 충전소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동시에 검출된 충전소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운전자는 주변의 가까운 충전소 위치를 안내받게 된다.
이렇게 전기자동차에 탑재된 고전압 배터리가 일정 SOC(state of charge, 배터리 충전상태) 미만으로 떨어지게 되면, 운전자의 요구시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현위치로부터 특정 반경 이내의 충전시설을 차량 내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운전자는 제일 가까운 충전소를 안내받을 수 있게 된다.
기존의 경로 탐색 서비스는 사용자가 목적지를 설정하면 목적지까지의 최단 거리, 최적 경로, 실시간 이동 경로 안내 및 현재 주행 속도 안내 등 운전자의 편의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는 일반 내연 기관 자동차에 국한되어 있다. 또한, 기존의 경로 탐색 방법은 차량 내 장착된 네비게이션을 이용해야만 하는 제한적 환경을 가진다.
또한, 현재 전기자동차를 위한 충전소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음에 따라, 충전소의 개수가 제한되어 있는 상태이다. 특히, 한 번 충전시에 걸리는 시간이 장시간(급속 충전 30여 분, 완속 충전 6시간 이상) 소요된다. 이 때문에, 특정 충전소에 차량 들이 동시에 몰리게 되는 경우에는 장시간 대기해야 하는 매우 불편한 상황이 발생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경적 요인과 무공해 차량의 빠른 발전 속도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확대가 예상되는 시점에서 전기자동차에 필수적인 최적의 충전소 검색 방법은 안정적인 운행을 위해 반드시 요구되는 기술이다. 또한, 최적의 충전소 위치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에 있어서 관제 서비스나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 또는 차량 내 경로탐색 장치 등을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이동 위치와 충전 상태를 실시간 파악하고 해당 차량의 이동 가능 범위 내에서 최적의 충전소 위치를 검색하여 안내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간으로 전기 충전소의 위치를 안내할 뿐만 아니라 충전소의 상태, 즉 차량 진입 후 즉시 충전이 가능한지의 여부 등을 고려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 경로 안내 장비 및 이동 통신 장비의 상태를 고려하여 선별된 최적의 충전소 정보를 제공하므로 사용자 편의성과 전기자동차 운행의 안전성을 높이고 그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은, 차량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정보, 충전소 정보, 교통 정보 및 도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여 주행 가능 거리에 있는 충전소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충전소 산출부; 및 충전소 산출부에서 산출된 충전소 위치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는 충전소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방법은, 수집된 차량 정보에 따라 주행 가능 거리 내에 있는 충전소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충전소에 대한 충전소 목록을 생성하고 충전소 목록 중 선택된 충전소와 동일 위치에 차량의 충전기 접속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충전소 목록을 가까운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재정렬하는 단계; 및 차량 내의 헤드/유닛의 연동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으로 충전소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이동 위치에 따라 주변의 충전소 위치와 충전 가능 상태를 확인하고 최적의 충전소 위치를 사용자에게 안내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며 전기자동차 운행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 장비 연동과 무관하게 서비스가 가능하여 그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충전소 안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텔레메틱스 서비스부에 관한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에 관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자동차(100), 텔레메틱스 서비스부(200) 및 충전소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기자동차(100)는 차량단말(110)과, 휴대단말(120)를 포함한다.
차량단말(11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정보, 차량의 상태 정보를 주기적으로 텔레매틱스 서비스부(200)로 전달한다. 여기서, 차량단말(110)은 전기자동차의 차량 제어유니트(VCU; Vehicle Control Unit)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입력받는다. 차량의 상태 정보는 충전상태 정보, 주행가능거리, 급속/완속 충전기 접속 상태 정보, 충전기 장착/탈착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차량단말(110)은 차량의 내부에 포함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충전소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충전소 운영사 또는 해당 정보 운영사를 통해 수집된 충전소의 위치를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충전소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부(200) 내에 포함되어 텔레매틱스 서비스부(200)에 의해 관리될 수 있고, 텔레매틱스 서비스부(20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텔레매틱스 서비스부(200)는 차량단말(110)로부터 전달받은 차량 정보와 충전소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운행중인 전기자동차를 위한 최적의 충전소 위치를 판별한다. 그리고, 텔레매틱스 서비스부(200)는 차량 단말(110) 또는 해당 차량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휴대단말(120)로 선별된 충전소의 위치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텔레매틱스 서비스부(200)의 서비스가 차량단말(110)로 제공되는지 유대단말(120)로 제공되는 지의 여부는 해당 차량의 헤드(Head)/유닛(Unit)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연동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즉, 해당 차량의 헤드/유닛과 차량단말(110)이 연동 되는 시스템의 경우 충전소의 위치 정보는 차량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반면에, 사후 시장(After market)의 네비게이션과 같이 차량의 헤드/유닛과 차량단말(110)이 연동 되지 않는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의 휴대단말(120)로 해당 정보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3은 도 2의 텔레메틱스 서비스부(200)에 관한 상세 구성도이다.
텔레메틱스 서비스부(200)는 차량 정보 수신부(210), 교통정보 수신부(220), 도로 정보 수신부(230), 충전소 산출부(240), 충전소 정보 전송부(250), 충전소 정보 수신부(2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 정보 수신부(210)는 GPS를 이용하여 차량단말(110)로부터 차량의 위치정보, 차량의 충전상태(충전 잔량 포함) 정보 및 주행가능거리 등의 정보를 전달받아 충전소 산출부(240)에 출력한다.
그리고, 교통정보 수신부는(220)는 교통정보를 수신하여 충전소 산출부(240)에 출력한다. 여기서, 교통정보 수신부(220)는 티팩(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티팩 서비스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주파수를 이용해 자동차의 단말기에 실시간 교통 정보, 여행 정보 등을 보여주는 기술을 말한다.
또한, 도로 정보 수신부(230)는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이용하여 도로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소 산출부(240)에 출력한다. 여기서, 지리정보시스템(GIS)은 지리적으로 참조 가능한 모든 형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조정, 분석,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지리적 자료 그리고 인적자원의 통합체를 말하며, 지표면에 위치한 장소를 설명하는 자료를 모으고, 이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충전소 정보 수신부(260)는 충전소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부터 충전기의 종류 충전소의 위치 정보 등을 추출하여 충전소 산출부(240)로 전달한다.
충전소 산출부(240)는 차량 정보, 교통정보, 도로 정보, 충전소 정보 등을 조합하여 해당 차량의 충전에 적합한 후보 충전소를 산출하고 최적의 충전소를 선택한다. 그리고, 충전소 정보 전송부(250)는 선택된 충전소 정보를 차량단말(100) 또는 휴대단말(12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운행 중인 전기자동차(100)는 차량단말(110)을 통해 차량 정보를 주기적으로 텔레매틱스 서비스부(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텔레매틱스 서비스부(200)는 차량 정보 수신부(210)를 통해 차량단말(110)로부터 수신되는 차량 정보를 수집한다.(단계 S1) 여기서, 이동가능한 충전소까지의 거리는 최단 거리 알고리즘으로 계산한다.
그리고, 텔레매틱스 서비스부(200)는 도로정보 수신부(230)로부터 인가되는 도로 정보와, 교통정보 수신부(220)로부터 인가되는 실시간 교통정보와, 차량 정보 수신부(210)로부터 인가되는 차량 정보 및 충전소 정보 수신부(260)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소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와 주행 가능 거리 내에 있는 충전소의 위치를 검색한다.(단계 S2)
이후에, 검색된 충전소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 만약, 검색된 충전소가 없는 경우 해당 차량의 사용자에게 해당 차량이 안정적인 운행 범위를 벗어나 있음을 경고하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S4)
반면에, 검색된 충전소가 있는 경우 검색된 충전소 목록 ⓐ를 생성한다. 그리고, 충전소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검색된 충전소 목록 ⓐ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단계 S5)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충전소 목록 ⓐ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것을 그 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수도 있다.
이어서, 선별된 충전소의 목록 ⓐ 중 해당 차량과 충전소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가장 가까운 충전소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차량의 유무를 판단하고, 동일한 위치에 있는 차량의 충전기 접속 상태를 판단한다.(단계 S6)
즉, 충전소 목록 ⓐ 중 사용중인 충전소가 있는지를 판별하는 기준은 충전소 위치 안내를 수행하려는 해당 전기자동차(100) 외에 인접한 시간 안에 수집된 다른 전기자동차들의 정보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다른 전기자동차들이 해당 충전소를 이용한 인접한 시간의 범위는 급속 충전기의 완충 시간을 기준으로 약 15분 이내를 기준으로 한다. 이때, 인접한 시간 안에 충전소를 이용한 차량 들의 정보는 차량 정보 수신부(210)에 저장하여 충전소 안내 대상 차량의 충전소 선택을 위한 데이터로 이용한다. 여기서, 충전소 선택을 위해 데이터로 이용되는 정보는 해당 차량 외 다른 전기자동차의 위치와 충전기 접속 상태(충전기 장착/탈착 시간) 정보이다. 다른 차량의 충전 정보를 수집하는 이유는 차량 충전에 의해 해당 충전소가 이용되고 있다 하더라도 충전소 이용 시간과 현재 충전소 안내를 위한 차량의 이동 시간에 따라 해당 충전소 이용이 다른 충전소로 이동하는 것보다 최적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만약, 충전소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차량이 있는 경우 완충 시간을 예측하고 사용중인 충전소 목록 ⓒ를 생성한다.(단계 S7) 그리고, 충전소 목록 ⓒ는 검색된 이전의 충전소 목록 ⓐ에서 제외시킨다.(단계 S8)
반면에, 충전소와 동일한 위치에 있는 차량이 없는 경우 충전소의 목록 ⓐ 중 해당 충전소 인근 범위 내 위치에서 운행 중인 차량의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9) 여기서, 인근 범위의 기준은 검색된 충전소 간 인접 거리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한다.
만약, 충전소 인근에 위치한 차량이 있는 경우 충전 요구 차량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10) 그리고, 검색된 충전소 목록 ⓐ에서 해당 충전소를 제외시킨다.(단계 S11) 즉, 충전소 인근 범위 내에서 운행 중인 차량이 이미 충전소 위치 안내를 받았던 차량이라면 해당 충전소를 목록 ⓐ에서 제외한 후 단계 S6으로 복귀한다. 이는 충전소 인근을 운행 중인 전기자동차에게 이미 인접한 충전소를 이용할 것을 안내 했으므로 해당 충전소는 사용될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충전소 인근에 위치한 차량이 없는 경우 검색된 충전소 목록 ⓐ에서 충전소 개수가 2개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 만약, 충전소의 개수가 2개 이상이 아니고 한 개인 경우 사용중인 충전소 목록 ⓒ를 참조하게 된다.(단계 S13) 반면에, 충전소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 충전소까지 가까운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남아있는 충전소 목록 ⓐ를 재정렬한 후 해당 전기자동차(100) 사용자에게 충전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S14) 만약, 충전소 목록 ⓐ가 남아있지 않는 경우 최적 충전소 위치 판별 수행 중 생성된 충전소 목록 ⓒ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해당 차량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다음에, 텔레매틱스 서비스부(200)는 전기자동차(100) 내의 헤드/유닛과 연동된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 만약, 차량 내의 헤드/유닛과 연동된 상태가 아닌 경우 사용자의 휴대단말(120)로 충전소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16) 반면에, 차량 내의 헤드/유닛과 연동된 상태인 경우 차량단말(110)로 충전소 정보를 전송한다.(단계 S17)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 내의 네비게이션과의 연동과 무관하게 능동적으로 충전소 위치를 검색하게 된다. 기존 발명의 충전소 검색과 서비스 방법은 차량 내 네비게이션 장치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연동 되어야만 서비스 안내가 가능하다.
즉, 차량 내 네비게이션을 통해 사용자의 목적지가 수동으로 입력되고, 이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텔레매틱스 서비스부(200)에서 해당 차량의 위치와 이동 경로에 충전소 위치를 판별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네비게이션을 이용하여 차량 내 이동통신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현재 전기차동차 뿐만 아니라 일반 내연 자동차를 포함하여 모든 차량 내 이동통신 장치가 네비게이션과 연동되는 시설을 모두 갖추고 있지는 않다. 즉, 현재 운행되고 있는 모든 차량의 환경을 고려했을 때 기존 발명은 사후 시장(After market)의 네비게이션 장치와 이동통신 장비를 장착한 대부분의 차량에서는 그 적용이 제한적이다.
또한, 현재 상용 운영되는 전기자동차의 경우도 이동통신 장비가 기본 장착되지 않았으므로 기존 발명의 적용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전기자동차 내의 이동통신 장비와 네비게이션이 반드시 연동 되어야 할 필요가 없다. 차량 내 환경에 따라 이동통신 장비가 네비게이션과 연동되는 경우 네비게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선별된 충전소를 안내한다.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장비가 네비게이션과 연동되는 경우 네비게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 선별된 충전소 위치를 안내하게 된다.
또한, 선별된 최적의 충전소 안내 방법의 폭 넓은 적용을 위해 최근 급증하고 있는 스마트 폰 사용자는 물론 비 스마트 폰 사용자의 환경도 고려하여 충전소 안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장착(Before market)과 사후 시장(After market)의 환경과 독립적으로 모두 적용이 가능하여 기존 발명보다 현실적인 차량 내 환경에서 그 적용 범위가 넓고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충전소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적의 충전소를 판별한다. 기존의 발명은 자차(해당 차량)의 정보만을 기준으로 주변 충전소를 검색한다.
이는 해당 차량의 이동 경로 상에서 최단 거리 내 충전소 위치만을 검출할 뿐이다. 해당 충전소의 상태, 즉, 안내된 충전소가 즉시 충전이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와 해당 충전소의 충전 대기 시간 등에 관해서는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일반 내연 자동차와 달리 전기 자동차의 경우 충전기 종류(완속 충전기, 급속 충전기 등)에 따라 완충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전기자동차의 안전적인 운행과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충전소의 종류와 해당 충전소의 충전 수행 상태를 고려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에 안내할 충전소 판별에 있어서 최단 거리 뿐만 아니라, 1 차적으로 선별된 충전소들의 상태를 고려하여 즉시 충전이 가능한 상태 또는 최단 시간 내 충전이 가능한 최적의 충전소들을 판별하여 해당 차량에 정보를 제공한다.

Claims (17)

  1. 차량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차량 정보, 충전소 정보, 교통 정보 및 도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여 주행 가능 거리에 있는 충전소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충전소 산출부; 및
    상기 충전소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충전소 위치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는 충전소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정보 수신부;
    상기 충전소 정보를 수신하는 충전소 정보 수신부;
    상기 교통정보를 수신하는 교통정보 수신부; 및
    상기 도로 정보를 수신하는 도로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충전상태 정보, 주행 가능 거리 정보, 급속/완속 충전기 접속 상태 정보, 충전기 장착/탈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소 정보는 상기 충전소의 위치 정보, 충전기의 종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소 정보를 저장하는 충전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소 정보 전송부는 상기 충전소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소 정보 전송부는 상기 충전소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의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8. 차량 정보를 전송하는 차량단말; 및
    상기 차량 정보와, 충전소 정보, 교통정보, 도로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가능 거리에 있는 충전소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차량으로 전송하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부는
    상기 차량 정보, 상기 충전소 정보, 상기 교통 정보 및 상기 도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수신하여 주행 가능 거리에 있는 상기 충전소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충전소 산출부;
    상기 충전소 산출부에서 산출된 상기 충전소 위치 정보를 차량으로 전송하는 충전소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부는
    상기 차량단말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차량 정보 수신부;
    상기 충전소 정보를 수신하는 충전소 정보 수신부;
    상기 교통정보를 수신하는 교통정보 수신부; 및
    상기 도로 정보를 수신하는 도로정보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차량의 위치 정보, 충전상태 정보, 주행 가능 거리 정보, 급속/완속 충전기 접속 상태 정보, 충전기 장착/탈착 시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부는 상기 충전소 정보를 저장하는 충전소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부는 상기 충전소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단말로 전송하거나 상기 차량의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서비스부는 상기 차량의 헤드/유닛과 상기 차량단말의 연동 여부에 따라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15. 수집된 차량 정보에 따라 주행 가능 거리 내에 있는 충전소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충전소에 대한 충전소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충전소 목록 중 선택된 충전소와 동일 위치에 차량의 충전기 접속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전소 목록을 가까운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재정렬하는 단계; 및
    차량 내의 헤드/유닛의 연동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으로 충전소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소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는
    도로 정보, 교통정보와, 상기 차량 정보 및 충전소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충전소와 동일 위치에 있는 차량이 이미 충전소 안내 서비스를 받은 차량인 경우 상기 충전소 목록에서 제외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방법.
KR1020120147486A 2012-12-17 2012-12-17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49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486A KR101449170B1 (ko) 2012-12-17 2012-12-17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486A KR101449170B1 (ko) 2012-12-17 2012-12-17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593A true KR20140079593A (ko) 2014-06-27
KR101449170B1 KR101449170B1 (ko) 2014-10-10

Family

ID=5113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486A KR101449170B1 (ko) 2012-12-17 2012-12-17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17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76177A (zh) * 2017-07-25 2017-10-20 国网福建晋江市供电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充电引导装置
US9821677B2 (en) 2015-03-10 2017-11-2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KR20190063728A (ko) * 2017-11-30 2019-06-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무선 충전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3752A (ko) * 2017-11-30 2019-06-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 시설물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무선 충전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183414B1 (ko) * 2019-07-11 2020-11-26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전기 차량의 충전기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054158A (ko) * 2019-11-05 2021-05-13 주식회사 소프트베리 전기차 빅데이터 기반의 전기차 충전 플랫폼 및 그 충전 방법
KR20210055515A (ko) 2019-11-07 2021-05-1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데이터 집중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
KR20210061515A (ko) * 2019-11-19 2021-05-28 가가전력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및 e-모빌리티 충전이 가능한 복합 전기 충전 시스템
WO2023085553A1 (ko) *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티비유 충전소 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충전소 정보 제공 애플리케이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070A (ko) 2019-10-23 2021-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95859A (ko) 2020-12-30 2022-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ev 모드 사용 증가를 위한 충전소 관련 정보 제공 방법
KR20230157620A (ko) 2022-05-10 2023-11-17 (주)클린일렉스 충전 동작의 신뢰도에 기반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기 안내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4496A1 (en) * 2008-09-19 2010-04-15 Barak Hershkovitz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 Vehicle
JP5017398B2 (ja) * 2010-03-09 2012-09-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経路計画装置及び経路計画システム
KR101063656B1 (ko) 2010-06-24 2011-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량의 충전소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180806B1 (ko) * 2011-01-31 2012-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지능형 전기자동차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1677B2 (en) 2015-03-10 2017-11-21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CN107276177A (zh) * 2017-07-25 2017-10-20 国网福建晋江市供电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充电引导装置
KR20190063728A (ko) * 2017-11-30 2019-06-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무선 충전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3752A (ko) * 2017-11-30 2019-06-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교통 시설물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를 무선 충전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183414B1 (ko) * 2019-07-11 2020-11-26 (주)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전기 차량의 충전기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10054158A (ko) * 2019-11-05 2021-05-13 주식회사 소프트베리 전기차 빅데이터 기반의 전기차 충전 플랫폼 및 그 충전 방법
KR20210055515A (ko) 2019-11-07 2021-05-17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기능을 포함하는 데이터 집중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
KR20210061515A (ko) * 2019-11-19 2021-05-28 가가전력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및 e-모빌리티 충전이 가능한 복합 전기 충전 시스템
WO2023085553A1 (ko) *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티비유 충전소 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충전소 정보 제공 애플리케이션
KR20230069709A (ko) *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티비유 충전소 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충전소 정보 제공 애플리케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170B1 (ko) 2014-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170B1 (ko) 전기자동차의 충전소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76689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 추천 시스템 및 방법
US10906424B2 (en) System for announcing predicted remaining amount of energy
JP5615090B2 (ja) 管理装置、管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車載器及び通信方法
US20130261953A1 (en) Route search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automobile
JP5604394B2 (ja) 電気自動車の消費電力量提供システム
JP5683722B2 (ja) センター側システム及び車両側システム
US20120089329A1 (en) Navigation system for electric vehicle and navigation service method thereof
US201201095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bev to charging station
GB2531165A (en) Vehicle and electric bicycle charge monitoring interface
JP2010175492A (ja) 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11102515A1 (ja) 電力供給制御装置、及び情報提供装置
JP2012063260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5842476B2 (ja) 電動駆動車両
JP2013167460A (ja) 案内経路検索システム
JP201213281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充電施設登録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97761B2 (ja) センター側システム及び車両側システム
EP42826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harging time window for an electric vehicle
JP2014106046A (ja) 走行可能範囲表示システム
JP5828218B2 (ja) 到着時刻予測システム
CN116981911A (zh) 引导系统、引导方法以及引导程序
US20200355516A1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JP5834634B2 (ja) 電動駆動車両
JP2012091775A (ja) 電動駆動車両
JP2021018058A (ja) 走行支援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