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9216A -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 Google Patents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9216A
KR20140079216A KR1020120148927A KR20120148927A KR20140079216A KR 20140079216 A KR20140079216 A KR 20140079216A KR 1020120148927 A KR1020120148927 A KR 1020120148927A KR 20120148927 A KR20120148927 A KR 20120148927A KR 20140079216 A KR20140079216 A KR 20140079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polarizing film
organic light
polarizing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9725B1 (ko
Inventor
이문연
정명섭
문득규
신직수
이용주
김진숙
인규열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8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725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장치용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코팅층, 선편광자, 원편광층 및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420nm 이하 및 630nm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Polarizing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시광선 중 특정 영역을 흡수하는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OLED 패널 자체는 자기 발광을 위해 양극/음극의 반사판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반사판은 외광에 의한 반사를 발생시켜 contrast나 color shift가 생기게 할 수 있고 휘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편광 필름이 필요하다.
편광 필름 중 λ/4 형태의 원편광보상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원편광 보상필름으로 사용되는 모든 고분자 수지는 정파장 분산의 특성이 있어 단파장과 장파장의 고유 파장을 왜곡한 파장을 통과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역파장분산 형태의 보상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역파장분산 형태의 보상 필름은 광탄성계수가 높아 제조시 위상값의 변형이 생길 수 있고 가격이 또한 고가이다. 또한 편광 필름의 흡수축과 보상 필름의 광학축이 45도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경사 연신 과정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반사 방지용 편광 필름은 코팅층으로 저반사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사용하고 편광자의 경우 경사연신된 보상 필름 및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한다. 이러한 반사 방지용 편광 필름으로부터 도 1에서와 같은 반사 스팩트럼을 얻을 수 있는데, 역파장분산성 보상 필름 대비 단파장과 장파장에서 반사율이 증가하여 blue 색상이 나올 수 있다. 그렇다고, OLED 패널에서 자기 발광하는 고유의 적(R), 녹(G) 및 청(B)에 영향을 주게 되면 색 순도 저하 또는 color shift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고 OLED의 발광 스펙트럼의 영향 없이 OLED 고유의 색상을 발현할 수 있고 색 순도 저하 또는 color shift가 발생하지 않는 편광 필름을 제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럽특허 1,881,349호는 안트라퀴논 유도체 혹은 안트라퀴논 유도체의 부분적 구조를 갖는 아조계 염료를 포함하는 LCD 또는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고 반사율을 낮출 수 있는 편광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기발광물질의 색순도 저하 또는 color shift가 발생하지 않는 편광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랙화를 구현하고 시인성이 향상된 편광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편광 필름은 코팅층, 선편광자, 원편광층 및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 필름은 420nm 이하 및 630nm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인 유기발광장치는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광 반사를 최소화하고 반사율을 낮출 수 있는 편광 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유기발광장치에서 색순도 저하 또는 color shift가 발생하지 않는 편광 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neutral gray를 구현하고 시인성을 향상시키며 유기발광물질의 색순도 저하 또는 color shift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편광 필름의 8도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도 1에서 실선은 역파장분산필름의 반사율, 점선은 정파장분산필름의 반사율이다.
도 2는 일반적인 OLED의 청(B), 녹(G), 적(R)의 발광 스펙트럼을 왼쪽부터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의 8도 반사 스펙트럼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도 3에서 실선은 본 발명의 필름(염료+정파장분산필름)의 반사율, 점선은 종래 정파장분산필름의 반사율, 1점 쇄선은 역파장분산필름의 반사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편광 필름에 포함되는 염료의 흡수 파장과 OLED의 청(B), 녹(G), 적(R)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도 4에서 실선은 OLED의 청, 녹, 적의 발광 스펙트럼이고, 점선은 630nm 이상의 흡수파장을 갖는 염료의 흡수스펙트럼이고, 3점쇄선은 420nm 이하의 흡수파장을 갖는 염료의 흡수스펙트럼이다)
도 5 내지 8은 유기발광소자에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이 적층된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편광 필름에 포함되는 염료의 흡수 파장과 OLED의 청(B), 녹(G), 적(R)의 발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도 9에서 실선은 OLED의 청, 녹, 적의 발광 스펙트럼이고, 점선은 630nm 이상의 흡수파장을 갖는 염료의 흡수스펙트럼이고, 3점쇄선은 420nm 이하의 흡수파장을 갖는 염료의 흡수스펙트럼이고, 1점쇄선은 480-550nm의 흡수파장을 갖는 염료의 흡수스펙트럼이고, 2점쇄선은 570-600nm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의 흡수스펙트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구체예의 유기발광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편광 필름은 코팅층, 선편광자, 원편광층 및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염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료는 가시광선 중 특정 영역을 흡수함으로써 외광 반사를 방지하고 색순도 저하 또는 color shift를 억제할 수 있다.
종래 반사 방지용 편광 필름은 도 1과 같은 반사율 스펙트럼을 생성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정파장분산 보상필름은 역파장 분산성 보상필름 대비 단파장과 장파장에서 반사율이 증가하여 blue 색상이 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파장별로 흡수하는 염료를 첨가하면 neutral gray를 구현하여 반사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OLED 패널에서 자기 발광하는 고유의 적(R), 녹(G) 및 청(B)에 영향을 주게 되면 색 순도 저하 또는 color shift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OLED의 청(B), 녹(G), 적(R)의 발광 스펙트럼을 왼쪽부터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다. 청(B)의 최대파장은 470nm, 녹(G)의 최대파장은 550nm, 적(R)의 최대파장은 615nm가 된다.
본 발명은 파장별로 광을 흡수하되 OLED의 R, G, B에 영향을 주지 않는 특정 염료를 편광 필름에 첨가함으로써 반사 방지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색 순도 저하 또는 color shift의 발생을 방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염료의 흡수 파장을 OLED의 적(R), 녹(G), 청(B)의 발광 스펙트럼과 함께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편광 필름에 염료를 포함할 경우 8도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염료를 포함시킬 경우 외광 반사율을 낮출 수 있었다.
상기 염료는 상기 원편광층과 유기발광소자 사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유기발광소자 위에 적층될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상기 염료는 점착제층 안에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염료는 (메타)아크릴계 점착제와 혼합물로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일 구체예의 편광 필름이 유기발광소자에 적층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유기발광소자 또는 유기발광소자에 포함되는 패널을 포함한다.
도 5에 따르면, 상기 편광 필름은 유기발광소자(1) 위에 점착제층(2), 원편광층(3), 선편광자(4) 및 코팅층(5)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점착제층(2)은 염료(도시하지 않았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점착제는 편광 필름의 점착제층 형성 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점착제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메타)아크릴계 점착제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0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0.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효과적인 흡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염료와 (메타)아크릴계 점착제를 혼합하고 유기발광소자에 코팅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염료는 편광 필름 내에 필름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은 염료를 포함하는 필름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편광 필름이 유기발광소자에 적층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8에 따르면,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유기발광소자(1) 위에 적층되어 있고, 점착제층(2), 원편광층(3), 선편광자(4) 및 코팅층(5)을 포함하되, 염료를 포함하는 필름(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료를 포함하는 필름(6)은 점착제층(2) 안에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염료를 포함하는 필름(6)은 점착제층(2)과 원편광층(3) 사이에 형성되거나(바람직하게는 접할 수 있다)(도 7 참조), 유기발광소자(1)와 점착제층(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바람직하게는 접할 수 있다)(도 8 참조).
상기 염료를 포함하는 필름은 염료와 (메타)아크릴계 점착제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제조 방법은 필름을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메타)아크릴계 점착제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해 0.0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0.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효과적인 흡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염료를 포함하는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5nm-5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염료는 420nm 이하 및 630nm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상기 파장 범위에서 1~2.5의 이색성비를 갖는다.
상기 420nm 이하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는 바람직하게는 360-420nm의 흡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630nm 이상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는 바람직하게는 630-780nm의 흡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염료는 420nm 이하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 단독, 630nm 이상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 단독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염료는 420nm 이하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와 630nm 이상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 중 420nm 이하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 : 630nm 이상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는 1:0.1 내지 1:3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각 파장별 흡수 효과 및 외광의 빛을 Neutral Black화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3 내지 1:2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염료는 상기 흡수 파장을 갖는 것이라면 종래 알려진 염료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염료는 안트라퀴논계, 아조계, 프탈로시아닌계, 아조메틴계, 디임모늄계, 인디고계, 티오인디고계, 디옥사딘계, 퀴나크리돈계, 이소인돌리논계, 스틸벤계, 금속산화물계 및 금속착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은 480-550nm 및 570-600nm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료를 더 포함할 경우, 유기발광소자의 적(R), 녹(G), 청(B)을 제외한 입사광을 완전히 흡수함으로써 외광 반사를 방지하고 내광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편광 필름에 포함되는 염료의 흡수 파장을 OLED의 적(R), 녹(G), 청(B)의 발광 스펙트럼과 함께 나타낸 것이다.
상기 염료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안트라퀴논계, 아조계, 프탈로시아닌계, 아조메틴계, 디임모늄계, 인디고계, 티오인디고계, 디옥사딘계, 퀴나크리돈계, 이소인돌리논계, 스틸벤계, 금속산화물계 및 금속착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료를 사용하여 편광필름화 할 경우 파장별 편광상태에 대해서 시뮬레이션을 하였으며 Poincare Sphere로 개선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파장분산이 정파장의 분산 형태를 가질 경우 가시광선에서 Blue에 해당되는 단파장과 Red에 해당되는 장파장이 원편광이 아닌 타원편광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와 같이 염료를 사용해서 단파장/장파장의 빛을 흡수시키게 되면 두 파장에서도 동일한 원편광을 확보할 수 있어 Black시감이 개선된 반사방지편광필름 확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코팅층, 선편광자, 원편광층 및 점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도 5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제층 상부에 원편광층이 적층되어 있고, 원편광층 상부에 선편광자가 적층되어 있고, 선편광자 상부에 코팅층이 적층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은 유기발광소자 위에 적층될 수 있고, 유기발광소자와 점착제층이 접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편광자의 보호 또는 지지 역할을 하는 보호필름이 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반사율이 1.5% 이하인 저반사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코팅층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노르보넨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투명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이나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나 노르보넨계 수지가 보다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특히,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2㎛-5㎛가 될 수 있다.
상기 선편광자로는 통상의 편광자가 될 수 있다.
상기 선편광자는 통상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요소계의 편광자, 이색 염료계의 편광자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편광자는 이물질 제거를 위해 미리 세정 및 건조 처리 등이 실시될 수 있다. 선편광자는 투과율 41-44%, 편광도 99.90% 이상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VA계 수지의 필름을 연속적으로 연신하여 편광자로 가공하고, 수득된 선편광자와 코팅층을 접합한다.
상기 선편광자의 두께는 20㎛-30㎛가 될 수 있다.
상기 원편광층은 위상차필름이 될 수 있다.
상기 원편광층은 입사광을 λ/4의 지연값으로 위상 지연시킬 수 있다. 원편광층은 보상 필름으로 경사 연신된 시클로올레핀폴리머(COP)계 필름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원편광층의 두께는 30㎛-80㎛가 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PSA)층은 편광 필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글래스 점착용 (메타)아크릴계 점착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제층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또는 1종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와 1종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로부터 합성되는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은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가교제로는 과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10㎛-25㎛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OLED 패널의 반사방지 편광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를 제공한다. 편광 필름은 통상의 방법으로 유기발광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 일 구체예의 유기발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의하면, 유기발광장치는 유기발광소자(200);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200)의 상부에 적층된 편광 필름(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하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구체적인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1. 아크릴 점착 수지로 OS-207(Soken社)을 사용하였다.
2. 염료로 420nm 이하의 흡수 파장을 갖는 안트라퀴논계 염료 Y300(욱성화학)와 630nm 이상의 흡수 파장을 갖는 프탈로시아닌계 염료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아크릴 점착 수지 100중량부에 안트라퀴논계 염료 0.025중량부와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0.025중량부를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20㎛의 두께로 OLED에 코팅하고, COP계 λ/4 필름을 선편광자 흡수축과 45도 각도로 형성하였다. 선편광자를 적층하고 반사율 1.5% 이하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적층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9
상기 실시예 1에서 안트라퀴논계 염료와 프탈로시아닌계 염료의 함량을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안트라퀴논계 염료와 프탈로시아닌계 염료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안트라퀴논계 염료와 프탈로시아닌계 염료를 사용하지 않고 역파장 분산특성을 갖는 λ/4 보상 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 필름에 대해 투과율, 색상, 반사율, 휘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방법
(1)투과율과 색상: 무라카미색채연구소 DOT-41 필름과 할로겐 램프를 사용하여 편광 필름 1매의 투과율과 색상을 측정하였다.
(2)반사율: 코니카미놀타 CM-3600d를 사용하여 8도 반사율을 가시광선 영역에서 측정하였다.
(3)휘도: 14" AMOLED 패널에 실장하고 패널 온도가 일정하게 되는 1시간 후 코니카미놀타 CA-210 접촉식 휘도계를 사용하여 백색휘도를 측정하였다.
안트라퀴논계 염료
(중량부)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중량부)
투과율(%) 색상 반사율(%) 백색휘도
(cd)
x y
실시예 1 0.025 0.025 41.329 0.33 0.36 1.60 920
실시예 2 0.025 0.05 40.668 0.33 0.36 1.59 925
실시예 3 0.05 0.025 40.997 0.34 0.37 1.59 915
실시예 4 0.05 0.05 40.367 0.35 0.39 1.52 910
실시예 5 0.075 0.025 40.887 0.35 0.40 1.49 907
실시예 6 0.075 0.05 40.161 0.36 0.40 1.49 900
실시예 7 0.1 - 41.432 0.34 0.41 1.53 922
실시예 8 0.3 - 40.965 0.40 0.42 1.60 920
실시예 9 - 0.1 40.241 0.37 0.32 1.65 892
비교예 1 - - 42.969 0.32 0.34 1.80 922
비교예 2 - - 42.895 0.32 0.34 2.00 921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은 염료를 포함하지 않는 편광 필름에 비해 투과율과 반사율을 현저하게 낮추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4)

  1. 코팅층, 선편광자, 원편광층 및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420nm 이하 및 630nm 이상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상기 원편광층과 유기발광소자 사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상기 점착제층 안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염료와 (메타)아크릴계 점착제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필름 형태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점착제층 안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원편광층과 상기 점착제층 사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점착제층과 유기발광소자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염료와 (메타)아크릴계 점착제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360-420nm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 630-780nm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20nm 이하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630nm 이상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는 1:0.1 내지 1:3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안트라퀴논계, 아조계, 프탈로시아닌계, 아조메틴계, 디임모늄계, 인디고계, 티오인디고계, 디옥사딘계, 퀴나크리돈계, 이소인돌리논계, 스틸벤계, 금속산화물계 및 금속착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염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은 480-550nm 및 570-600nm의 흡수 파장을 갖는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 필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KR1020120148927A 2012-12-18 2012-12-18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KR101549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927A KR101549725B1 (ko) 2012-12-18 2012-12-18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927A KR101549725B1 (ko) 2012-12-18 2012-12-18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216A true KR20140079216A (ko) 2014-06-26
KR101549725B1 KR101549725B1 (ko) 2015-09-02

Family

ID=5113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927A KR101549725B1 (ko) 2012-12-18 2012-12-18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72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789A (ko) 2017-02-27 2018-09-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WO2018212528A1 (ko) * 2017-05-18 2018-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1014973A1 (ja) * 2019-07-25 2021-0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波長選択吸収フィルタ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WO2021221122A1 (ja) * 2020-04-30 2021-11-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自発光表示装置
CN114371571A (zh) * 2022-02-28 2022-04-19 武汉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复合偏光片和显示装置
JP2022140096A (ja) * 2021-03-12 2022-09-26 凸版印刷株式会社 粘着シート、光学シート及び表示装置
WO2023228799A1 (ja) * 2022-05-24 2023-11-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波長選択吸収フィルタ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206B1 (ko) * 2017-12-27 2022-10-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 표시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789A (ko) 2017-02-27 2018-09-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WO2018212528A1 (ko) * 2017-05-18 2018-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11592702B2 (en) 2017-05-18 2023-02-28 Samsung Sdi Co., Ltd.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WO2021014973A1 (ja) * 2019-07-25 2021-01-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波長選択吸収フィルタ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JPWO2021014973A1 (ko) * 2019-07-25 2021-01-28
CN114174396A (zh) * 2019-07-25 2022-03-11 富士胶片株式会社 波长选择吸收滤波器及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CN114174396B (zh) * 2019-07-25 2023-10-10 富士胶片株式会社 波长选择吸收滤波器及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WO2021221122A1 (ja) * 2020-04-30 2021-11-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自発光表示装置
JP2022140096A (ja) * 2021-03-12 2022-09-26 凸版印刷株式会社 粘着シート、光学シート及び表示装置
CN114371571A (zh) * 2022-02-28 2022-04-19 武汉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复合偏光片和显示装置
CN114371571B (zh) * 2022-02-28 2024-05-17 武汉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复合偏光片和显示装置
WO2023228799A1 (ja) * 2022-05-24 2023-11-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波長選択吸収フィルタ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725B1 (ko)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725B1 (ko)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장치
KR101106294B1 (ko) 유기발광소자용 휘도 향상 편광판
CN105866871B (zh) 复合偏振板及液晶显示装置
JP4583982B2 (ja) 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525998B1 (ko) 유기발광소자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 장치
US9989688B2 (en)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bright-place contrast in image display apparatus
WO2005085919A1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板の製造方法、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6023822B (zh) Oled显示装置以及其制造方法
KR20150055210A (ko) 보상 필름,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KR101966831B1 (ko) 반사 방지용 광학 필터 및 유기 발광 장치
JP3724801B2 (ja) 偏光子、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04516043A (zh) 偏振片、图像显示装置和图像显示装置的明处对比度的改善方法
JP2008102274A (ja) 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30074667A (ko) 유기발광소자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 장치
JP2005266696A (ja) 円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6267131A (ja) 偏光子の製造方法、偏光板の製造方法、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子、偏光板、積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50055211A (ko) 보상 필름,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JP2017157330A (ja) 画像表示装置
JP5151296B2 (ja) 粘着剤層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複合偏光板のセット
KR20140024636A (ko) 광변색성 및 이색성을 갖는 유기발광소자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JP2005283800A (ja) 楕円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5292225A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3779723B2 (ja) 偏光子、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90005770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2005292719A (ja) 偏光子、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