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921A -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921A
KR20140078921A KR1020120148228A KR20120148228A KR20140078921A KR 20140078921 A KR20140078921 A KR 20140078921A KR 1020120148228 A KR1020120148228 A KR 1020120148228A KR 20120148228 A KR20120148228 A KR 20120148228A KR 20140078921 A KR20140078921 A KR 20140078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attern
insulating member
outer pattern
black matr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6240B1 (ko
Inventor
김규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8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240B1/ko
Priority to US14/105,529 priority patent/US9448671B2/en
Publication of KR20140078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5Switch making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터치스크린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패널은,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면 비활성영역에 형성되는 불투명 외곽패턴과; 상기 외곽패턴과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되도록 상기 외곽패턴의 내측 활성영역에 배치되는 절연부재와; 상기 절연부재 상에 형성되는 도전성 감지셀들과; 상기 도전성 감지셀들에 연결되며 상기 외곽패턴 상에 형성되는 외곽배선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윈도우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스크린패널은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를 위해, 터치스크린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은 터치스크린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터치스크린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영역에 도전성 감지셀을 형성함에 의하여 화면영역 내에서 발생되는 터치 이벤트를 입력신호로서 인식한다. 즉, 터치스크린패널이 구비된 영상표시장치의 경우 화면영역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임과 동시에 터치입력이 가능한 활성영역으로 설정된다.
한편, 화면영역의 외곽은 화소들 및 감지셀들과 연결되는 신호선들이나 전원선 등의 외곽배선들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이는 비활성영역으로 설정됨과 아울러 상기 배선의 가시화를 방지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 영역으로 설정된다.
이를 위해, 영상표시장치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윈도우 기판에는 비활성영역에 대응하여 블랙 매트릭스가 형성된다.
이때, 터치스크린패널 등은 블랙 매트릭스가 형성된 윈도우 기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투명점착제(OCA)에 의해 상기 블랙 매트릭스가 형성된 윈도우 기판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부착과정에서 블랙 매트릭스에 의한 단차로 인하여 활성영역과 비활성영역의 경계에서 기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기판과 터치스크린패널용 기판이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 외에도, 터치감지를 위한 도전성 감지셀 등이 형성되는 터치스크린패널용 기판과, 그 상부에 배치되는 윈도우 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는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되며 두께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함과 아울러 블랙 매트릭스에 의한 단차로 인한 기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윈도우 일체형으로 구현되면서 블랙 매트릭스에 의한 단차를 개선한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면 비활성영역에 형성되는 불투명 외곽패턴과; 상기 외곽패턴과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되도록 상기 외곽패턴의 내측 활성영역에 배치되는 절연부재와; 상기 절연부재 상에 형성되는 도전성 감지셀들과; 상기 도전성 감지셀들에 연결되며 상기 외곽패턴 상에 형성되는 외곽배선들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패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곽패턴은 블랙 매트릭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곽패턴은, 상기 기판 측에 배치되는 장식층과; 상기 장식층과 상기 외곽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한 적층구조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식층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화이트 컬러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는 투명필름 또는 유기절연막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곽패턴 및 상기 절연부재의 높이는 서로 동일하거나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 속하도록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에 위치되어 터치입력을 제공받기 위한 터치스크린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은,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패널을 향하는 일면 상의 비활성영역에 형성되는 불투명 외곽패턴과, 상기 외곽패턴과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되도록 상기 외곽패턴의 내측 활성영역에 배치되는 절연부재와, 상기 절연부재 상에 형성되는 도전성 감지셀들과, 상기 도전성 감지셀들에 연결되며 상기 외곽패턴 상에 형성되는 외곽배선들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외곽패턴은 적어도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곽패턴은, 상기 기판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 사이에 배치되는 장식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재는 투명필름 또는 유기절연막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의 일면 비활성영역에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불투명 외곽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외곽패턴과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되도록 상기 외곽패턴의 내측 활성영역에 절연부재를 형성함과 아울러, 터치감지를 위한 도전성 감지셀들은 상기 절연부재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도전성 감지셀들에 연결되는 외곽배선들은 상기 외곽패턴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이에 의해, 구조가 단순화됨과 아울러 두께가 감소된 윈도우 일체형의 터치스크린패널을 구현하면서, 블랙 매트릭스에 의한 단차를 개선하여 제조 공정 시의 기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터치스크린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터치스크린패널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패널은 기판(10)과,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된 다수의 도전성 감지셀들(30)과, 상기 감지셀들(30)을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을 따라 연결하기 위한 연결패턴들(32)과, 상기 감지셀들(30)을 패드부(37)를 통해 외부의 구동회로와 연결하기 위한 외곽배선들(35)을 포함한다.
기판(10)은 터치스크린패널의 기재로서, 유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아크릴 등의 투명한 기판기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이라 함은 100% 투명함은 물론, 높은 광투과율을 갖는 정도로 투명함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감지셀들(30)은 기판(10)의 일면 활성영역(101)에 형성되는 것으로, 인듐-틴-옥사이드(ITO) 등으로 형성된 투명전극이나, 소정의 투과도 이상이 확보되도록 패터닝된 금속전극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셀들(30)은 터치입력에 따른 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1 방향으로 연결된 제1 감지셀들(30a)과, 제2 방향으로 연결된 제2 감지셀들(30b)을 포함한다.
제1 감지셀들(30a)은 제1 연결패턴들(32a)에 의해 제1 방향, 예컨대 열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열 라인 단위로 외곽배선들(35)에 연결된다.
제2 감지셀들(30b)은 제1 감지셀들(30a)과 절연되도록 제1 감지셀들(30a)의 사이에 배치되며 제2 연결패턴들(32b)에 의해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 예컨대 행 방향을 따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각각의 행 라인 단위로 외곽배선들(35)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1 감지셀들(30a) 및 제2 감지셀들(30b)은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되되, 절연막을 사이에 개재하고 서로 절연되는 제1 연결패턴들(32a) 및 제2 연결패턴들(32b)에 의해 각각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을 따라 연결되거나, 혹은 절연막을 사이에 개재하고 서로 다른 레이어에 위치될 수 있다.
외곽배선들(35)은 기판(10)의 일면 비활성영역(102)에 형성되는 것으로, 패드부(37)를 통해 감지셀들(30)을 위치검출회로와 같은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한다.
이러한 외곽배선들(35)은 영상이 표시되는 활성영역(101)을 피해 터치스크린패널 외곽의 비활성영역(102)에 배치되므로, 재료 선택의 폭이 넓어 감지셀들(30)의 형성에 이용되는 전극물질 외에도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Al),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저저항 물질로 형성 가능하며 그 두께나 폭 등에 대한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다.
전술한 바와 같은 터치스크린패널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패널을 일례로서 개시한 것으로, 사람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접촉물체가 접촉되면, 감지셀들(30)로부터 외곽배선들(35) 및 패드부(37)를 경유하여 구동회로(미도시) 측으로 접촉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달된다.
그러면, X 및 Y 입력처리회로(미도시) 등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됨에 의해 접촉위치가 파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한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패널에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구성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패널 등 다른 방식의 터치스크린패널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편의상 도 2 내지 도 3을 설명할 때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스크린패널은, 기판(10)과, 상기 기판(10)의 일면 비활성영역(102)에 형성되는 불투명 외곽패턴(20)과, 상기 외곽패턴(20)과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되도록 상기 외곽패턴의 내측 활성영역(101)에 배치되는 절연부재(25)와, 상기 절연부재(25) 상에 형성되는 도전성 감지셀들(30)과, 상기 도전성 감지셀들(30)에 연결되며 상기 외곽패턴(20) 상에 형성되는 외곽배선들(35)을 포함한다.
기판(10)은 윈도우의 역할을 함과 더불어 터치스크린패널의 기재도 될 수 있는 것으로, 유리나 투명필름과 같은 투명기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10)이 윈도우 및 터치스크린패널용 기판으로 모두 활용되는 경우, 기판(10)의 일면, 예컨대 표시패널 측을 향하는 배면에는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불투명 외곽패턴(20)과 더불어 터치감지를 위한 도전성 감지셀들(30) 및/또는 외곽배선들(35)이 형성된다.
외곽패턴(20)은 기판(10)의 일면 비활성영역(102)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의 외곽배선들(35) 등의 가시화가 방지되도록 불투명하게 구현된다. 일례로, 외곽패턴(20)은 블랙 매트릭스로 구현될 수 있다.
절연부재(25)는 외곽패턴(20)의 내측 활성영역(101)에 배치되는 것으로, 투명필름이나 유기절연막 등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절연부재(25)는 그 높이가 외곽패턴(20)과 동일한 정도로 형성되어, 활성영역(101) 및 비활성영역(102)의 경계에서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동일한 정도라 함은 완전히 동일함은 물론, 공정 조건 등에 의한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 속하는 정도로 유사하게 형성됨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이러한 절연부재(25) 상에는 감지셀들(30)이 형성되고, 외곽패턴(20) 상에는 상기 감지셀들(30)과 연결되는 외곽배선들(35)이 형성된다. 외곽배선들(35)은 컨택홀이나 직접적인 컨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감지셀들(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편의상 상기 외곽배선들(35)과 감지셀들(30)의 컨택부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도 2에 도시된 터치스크린패널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기판(10)을 준비하고 상기 기판(10)의 일면에 외곽패턴(20) 및 절연부재(25)를 형성한다. 외곽패턴(20) 및 절연부재(25)는 각각 기판의 비활성영역(102) 및 활성영역(101)에 형성되며, 이들이 형성되는 순서는 외곽패턴(20) 및/또는 절연부재(25)의 재료 및 형성방법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외곽패턴(20)이 스크린 프린팅 기법에 의해 형성되는 블랙 매트릭스로 구현되고 절연부재(25)가 기판(10) 상에 부착되는 투명필름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판(10)의 일면 활성영역(101)에 투명필름을 부착하여 절연부재(25)를 형성한 후, 기판(10)의 동일한 일면 비활성영역(102)에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함에 의해 외곽패턴(20)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랙 매트릭스의 두께는 투명필름의 두께와 동일한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블랙 매트릭스는 2도 이상의 인쇄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투명필름이 두꺼운 경우 블랙 매트릭스는 일례로 10도 이상의 인쇄를 통해 구현되어야 하므로 투명필름의 두께를 가급적 낮추는 것, 일례로, 50㎛ 정도로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얇은 투명필름 위에 도전성 감지셀들(30)을 형성하더라도 상기 투명필름이 기판(10)에 부착되므로 상기 기판(10)이 캐리어의 역할을 수행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감지셀들(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공정 상의 이유로 블랙 매트릭스의 두께가 투명필름의 두께보다 낮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후속되는 외곽배선들(35)의 형성공정 등에서 상기 외곽배선들(35)의 두께에 의해 블랙 매트릭스와 투명필름의 두께 차를 상쇄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외곽패턴(20)이 스크린 프린팅 기법에 의해 형성되는 블랙 매트릭스로 구현되고 절연부재(25)가 기판(10) 상에 부착되는 투명필름으로 구현되는 경우, 투명필름의 부착이 블랙 매트릭스의 형성보다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의 형성순서는 바뀔 수도 있다.
절연부재(25)의 재질에 대한 다른 예로서는 유기절연막을 들 수 있다. 다만 절연부재(25)가 유기절연막으로 구현되는 경우, 외곽패턴(20)으로써 블랙 매트릭스를 먼저 형성한 이후에 외곽패턴(20)의 내측에 유기절연막을 코팅하여 절연부재(25)를 형성하면, 블랙 매트릭스와 유기절연막의 높이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유기절연막은 일례로, 네거 타입(Nega-type)의 UV 경화형 유기절연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판(10) 측에서 노광하게 되면 외곽패턴(20)에 의해 빛을 받지 못한 비활성영역(102)의 유기절연물질은 경화가 되지 않으므로 활성영역(101)에만 용이하게 유기절연막을 형성할 수 있다.
외곽패턴(20) 및 절연부재(25)가 형성되면, 상기 외곽패턴(20) 및 절연부재(25) 상에 각각 외곽배선들(35) 및 도전성 감지셀들(30)을 형성하여 터치스크린패널을 구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터치스크린패널에 의하면, 기판(10)의 일면 비활성영역(102)에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불투명 외곽패턴(20)을 형성하되, 상기 외곽패턴(20)과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되도록 이의 내측 활성영역(101)에 절연부재(25)를 형성함과 아울러, 터치감지를 위한 도전성 감지셀들(30)은 상기 절연부재(25)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외곽배선(35)들은 상기 외곽패턴(20)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이에 의해, 구조가 단순화됨과 아울러 두께가 감소된 윈도우 일체형의 터치스크린패널을 구현하면서, 불투명 외곽패턴(20)에 의한 단차를 개선하여 제조 공정 시의 기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부재(25)가 투명필름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상기 투명필름을 OCA와 같은 두꺼운 투명점착제에 기판(10)에 부착하는 대신, 접착제 성분으로 접착이 가능하여 두께 저감에 유리한 장점이 있으며, 기판(10)을, 박막의 필름 상에 패턴 형성시 이용되는 캐리어 기판으로도 활용할 수 있으므로, 투명필름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여 이 역시 두께 저감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패널의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50)이 부착되며,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패널은 OCA와 같은 투명점착제(40)에 의해 표시패널(50)의 상부에서 결합되어 터치입력을 제공받는다. 이때, 외곽패턴(20), 절연부재(25), 감지셀들(30) 및 외곽배선들(35)이 형성되는 기판(10)의 일면은 표시패널(50) 측을 향하는 일면, 예컨대 배면으로 설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도 4는 색상이 상이한 적어도 두 층의 적층구조로 외곽패턴을 형성한 일례를 개시한 것으로, 편의상 도 4를 설명할 때 도 2와 유사 또는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불투명 외곽패턴(20')은 기판(10) 측에 배치되는 장식층(20a)과, 상기 장식층(20a)과 외곽배선들(35) 사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20b)를 포함한 적층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적층구조로 불투명 외곽패턴(20')을 형성하는 경우, 장식층(20a)을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하면서 컬러테두리를 갖는 윈도우 일체형 터치스크린패널을 구현할 수 있어, 디자인 자유도를 높이고 심미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장식층(20a)은 화이트 컬러층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장식층(20a)의 두께를 블랙 매트릭스(20b)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함에 의하여 선명한 화이트 컬러를 구현할 수 있으며, 장식층(20a)의 하부에는 블랙 매트릭스(20b)가 위치되므로 외곽배선들(35) 등의 가시화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기판 20, 20': 외곽패턴
20a: 장식층 20b: 블랙 매트릭스
25: 절연부재 30: 감지셀
35: 외곽배선 40: 투명점착제
50: 표시패널 101: 활성영역
102: 비활성영역

Claims (10)

  1. 기판과;
    상기 기판의 일면 비활성영역에 형성되는 불투명 외곽패턴과;
    상기 외곽패턴과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되도록 상기 외곽패턴의 내측 활성영역에 배치되는 절연부재와;
    상기 절연부재 상에 형성되는 도전성 감지셀들과;
    상기 도전성 감지셀들에 연결되며 상기 외곽패턴 상에 형성되는 외곽배선들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패턴은 블랙 매트릭스인 터치스크린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패턴은, 상기 기판 측에 배치되는 장식층과; 상기 장식층과 상기 외곽배선들 사이에 배치되는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한 적층구조를 갖는 터치스크린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층은, 상기 블랙 매트릭스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화이트 컬러층으로 구현되는 터치스크린패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투명필름 또는 유기절연막으로 구현되는 터치스크린패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패턴 및 상기 절연부재의 높이는 서로 동일하거나 소정의 오차범위 내에 속하도록 유사하게 형성되는 터치스크린패널.
  7.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에 위치되어 터치입력을 제공받기 위한 터치스크린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은,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패널을 향하는 일면 상의 비활성영역에 형성되는 불투명 외곽패턴과,
    상기 외곽패턴과 동일한 레이어에 위치되도록 상기 외곽패턴의 내측 활성영역에 배치되는 절연부재와,
    상기 절연부재 상에 형성되는 도전성 감지셀들과,
    상기 도전성 감지셀들에 연결되며 상기 외곽패턴 상에 형성되는 외곽배선들을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패턴은 적어도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패턴은, 상기 기판과 상기 블랙 매트릭스 사이에 배치되는 장식층을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투명필름 또는 유기절연막으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20148228A 2012-12-18 2012-12-18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102036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228A KR102036240B1 (ko) 2012-12-18 2012-12-18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US14/105,529 US9448671B2 (en) 2012-12-18 2013-12-13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228A KR102036240B1 (ko) 2012-12-18 2012-12-18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921A true KR20140078921A (ko) 2014-06-26
KR102036240B1 KR102036240B1 (ko) 2019-10-25

Family

ID=51130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228A KR102036240B1 (ko) 2012-12-18 2012-12-18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48671B2 (ko)
KR (1) KR102036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537420A (zh) * 2014-03-28 2015-10-01 Ghitron Technology Co Ltd 玻璃基板之黑色邊框強化結構
KR102262470B1 (ko) * 2014-11-28 2021-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제조 방법
US9690463B2 (en) * 2015-01-06 2017-06-2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electing actionable item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puter system
US10353500B2 (en) 2015-01-27 2019-07-16 Lg Innotek Co., Ltd. Touch device
CN105988631B (zh) * 2015-03-05 2019-02-19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KR102390991B1 (ko) * 2015-09-30 2022-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9330A1 (en) * 2010-02-12 2011-08-18 Ching-Fu Hsu Surface capacitive touch panel and its fabrication method
KR20120010828A (ko) * 2010-07-27 2012-02-0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65139A1 (en) * 2007-01-05 2008-07-10 Apple Inc. Touch screen stack-up processing
KR100994608B1 (ko) * 2008-04-18 2010-11-15 (주)멜파스 전극 일체형 윈도우를 포함하는 접촉 감지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21340B1 (ko) 2009-10-23 2016-05-16 엠-솔브 리미티드 정전 용량성 터치 패널들
KR101125701B1 (ko) 2010-10-08 2012-03-27 주식회사 갤럭시아디스플레이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38645B1 (ko) 2010-11-08 2017-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5244938B2 (ja) * 2011-03-29 2013-07-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317852A (zh) * 2011-10-27 2013-05-01 Hannstar Display Corp 觸控感測裝置及其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9330A1 (en) * 2010-02-12 2011-08-18 Ching-Fu Hsu Surface capacitive touch panel and its fabrication method
KR20120010828A (ko) * 2010-07-27 2012-02-0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48671B2 (en) 2016-09-20
KR102036240B1 (ko) 2019-10-25
US20140204054A1 (en)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530B1 (ko)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101113467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048931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20065687A (ko) 터치 스크린 패널
TWI522867B (zh) 內嵌式有源矩陣有機發光二極體觸控面板
KR101082293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JP5262666B2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
US9323400B2 (en) Flat panel display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KR101739797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TWI585659B (zh) 電容式觸控面板及降低電容式觸控面板的金屬導體可見度之觸控面板的製造方法
US8487892B2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0094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US20100127992A1 (en) Multi-touch active display keyboard
KR20120048854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9436336B2 (en) In-cell touch display structure
KR101048918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CN105094482B (zh) Ogs电容式触摸屏及其制造方法
KR20140095278A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00084252A (ko) 터치 스크린 패널
KR20140078921A (ko)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KR20140095279A (ko) 터치 및 휨 감지 기능을 가지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US8610683B2 (en) Touch screen panel
KR20130086875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KR102320639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TW201322075A (zh) 邊框無色差的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