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6875A -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86875A KR20130086875A KR1020120007943A KR20120007943A KR20130086875A KR 20130086875 A KR20130086875 A KR 20130086875A KR 1020120007943 A KR1020120007943 A KR 1020120007943A KR 20120007943 A KR20120007943 A KR 20120007943A KR 20130086875 A KR20130086875 A KR 201300868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ea
- sensing
- upper substrate
- substrate
- line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7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9719 polyimide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M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UHESRSKEBRADOO-UHFFFAOYSA-N ethyl carbamate;prop-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OC(N)=O UHESRSKEBRADO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65—Intermediate layers comprising a mixture of materials of the adjoining active lay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 발광 표시패널의 상부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직접 형성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 상에 윈도우가 부착되는 구조로서, 상기 윈도우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데코레이션층이 터치 스크린 패널의 표시영역에 인접한 보조 표시영역과 중첩되지 않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을 통해 소정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보조 표시부가 구비됨으로써,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최대화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 등의 화면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입력장치이다.
이를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은 영상표시장치의 전면(front face)에 구비되어 사람의 손 또는 물체에 직접 접촉된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에 따라, 접촉위치에서 선택된 지시 내용이 입력신호로 받아들여진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범위가 점차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방식으로는 저항막 방식, 광감지 방식 및 정전용량 방식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접촉될 때 도전성 감지패턴이 주변의 다른 감지패턴 또는 접지전극 등과 형성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접촉위치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
이와 같은 터치 스크린 패널은 일반적으로 별도로 제작하여 액정표시장치,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와 같은 평판표시장치의 표시패널 외면에 부착되어 구성되며, 기구 강도 향상을 위해 터치 스크린 패널의 상부면에 윈도우(Window)가 추가로 구비된다.
또한, 종래의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표시패널의 표시영역 외곽 즉,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영역의 테두리 부분에 대응되는 윈도우의 영역에는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는 배선 등이 가시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랙 테두리로 구현되는 데코레이션(decoration) 층이 형성된다.
그러나, 최근 들어 최대한 넓은 화면 즉,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최대화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는 바, 종래와 같이 표시영역에 인접한 비표시영역까지 데코레이션층이 형성될 경우 상기 데코레이션층과 중첩되는 영역으로는 화면을 확장할 수 없어 디자인 측면에서 큰 제약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유기전계 발광 표시패널의 상부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직접 형성되고,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 상에 윈도우가 부착되는 구조로서, 상기 윈도우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데코레이션층이 터치 스크린 패널의 표시영역에 인접한 보조 표시영역과 중첩되지 않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을 통해 소정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보조 표시부가 구비됨으로써,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최대화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인접한 외곽에 형성된 제 1영역 및 상기 제 1영역의 외곽에 형성된 제 2영역으로 각각 구획되는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의 표시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센싱패턴들과; 상기 상부기판의 제 1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센싱패턴들과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감지라인들과; 상기 감자라인들이 형성되는 상부기판의 제 1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보조표시부와; 상기 상부기판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상부기판의 제 1영역과는 중첩되지 않고 제 2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데코레이션층이 형성된 윈도우와; 상기 하부기판의 표시영역에는 복수의 화소들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기판의 제 1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화소들과 제 2영역에 형성된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신호선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하부기판의 표시영역에 형성된 각 화소는 유기발광 소자, 박막트랜지스터들, 캐패시터가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화소들은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으로 구동되고, 상기 상부기판의 제 1영역에 형성된 보조 표시부는 복수의 화소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각 화소들은 유기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하부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으로 구동된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의 제 2영역에는 각각의 감지라인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본딩 패드들로 구성되는 본딩 패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영역에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밀봉을 위해 실링재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패턴들은, 제 1방향을 따라 각 행라인 별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센싱셀들과; 상기 제1 센싱셀들을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1 연결라인들과; 제 2방향을 따라 각 열라인 별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센싱셀들과; 상기 제2 센싱셀들을 상기 제 2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싱패턴들은 동일 레이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패턴들 및 감지라인들은 상기 하부기판과 대면하는 상부기판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보조 표시부는 상부기판의 내측면에서 상기 감지라인들을 덮는 절연층 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싱패턴들 및 감지라인들은 상기 하부기판과 대면하는 상부기판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보조 표시부는 상기 감지라인들과 중첩되는 상부기판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은 복수의 유기막 및 무기막의 적층 구조로 구현되는 봉지박막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봉지박막은 제1 유기막, 제1 무기막, 제 2 유기막 및 제2 무기막이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부기판 및 윈도우는 플렉서블 재질의 기재로 구현되고, 상기 플렉서블 재질의 기재는 폴리이미드계 수지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전계 발광 표시패널의 상부 즉, 봉지기판 또는 봉지박막을 터치 스크린 패널의 기판으로 활용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하며, 기판의 수를 줄임으로써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윈도우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데코레이션층이 터치 스크린 패널의 표시영역에 인접한 보조 표시영역과 중첩되지 않고, 상기 보조 표시영역을 통해 소정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보조 표시부가 형성됨으로써,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최대화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상부기판, 하부기판, 윈도우에 대한 분리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싱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싱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상부기판, 하부기판, 윈도우에 대한 분리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싱패턴의 일례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기전계 발광 표시패널을 구성하는 하부기판(100) 및 상부기판(200)에 있어서, 하부기판(100)의 표시영역(500)에 형성된 복수의 화소들(112)에 대하여 상기 화소들을 밀봉하는 상부기판(200)의 내측면에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센싱패턴들(220) 및 감지라인들(230)이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로서, 상기 상부기판(200) 상에는 윈도우(300)가 부착되며 상기 윈도우의 테두리에는 데코레이션층(3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기판(100)의 표시영역(500)에 형성된 각 화소(112)에는 유기발광 소자(미도시), 박막트랜지스터들(미도시), 캐패시터(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화소들은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으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각 화소(112)들에서 발생된 화상은 상부기판(200)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하부기판(100) 및 상부기판(200)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상부기판(200)의 상기 하부기판(100)을 향하는 배면에 형성된 센싱패턴들(220) 및 감지 라인들(230)을 포함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표시패널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하부기판(100)은 복수의 화소들(112)이 형성된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외곽부에 구비되는 비표시영역으로 나뉘어 지며, 이 때 상기 하부기판(100)의 표시영역은 상부기판(200)의 표시영역(500)과 중첩되고, 하부기판(100)의 비표시영역은 상부기판(200)의 보조 표시영역(510) 및 비표시영역(520)과 중첩된다.
또한, 상기 하부기판(100)의 비표시영역은 신호선들(114, 116)이 형성된 제 1영역(510)와 상기 상부기판(200)과의 밀봉을 위해 실링재(400)가 도포되는 제 2영역(520)로 나뉘어 진다.
이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영역(520)에 하측 끝단부에는 상기 신호선들과 접속되는 패드들(118)이 더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상부 기판(200)은 유기전계 발광 표시패널의 봉지 기판으로서 유리기판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봉지 기판의 상면에는 기구 강도 향상 등의 목적을 위해 윈도우(300)가 부착되고, 상기 윈도우(300)의 부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OCA 등과 같은 투명 점착층(700)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윈도우(300)의 테두리 영역으로서 상기 상부기판(200)의 비표시영역(520)과 중첩되는 영역에만 데코레이션층(31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의 경우에는 상부기판(200)의 표시영역(500) 외곽에 대응되는 영역(510, 520)이 모두 중첩되도록 데코레이션층이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데코레이션층(310)이 상부기판(200)의 보조표시영역(510)과는 중첩되지 않고, 비표시영역(520)에만 중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기존보다 얇은 너비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기판(200) 즉, 봉지기판의 역할을 수행하는 투명 기판의 배면에 형성된 센싱패턴들(220)과, 상기 센싱패턴들(220)을 본딩 패드부(20a)를 통해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하기 위한 감지라인들(23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다수의 센싱패턴들(220)이 형성된 영역은 화상이 표시되어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표시영역(500)이며, 상기 센싱패턴들(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감지라인들(230) 및 본딩 패드부(20a)가 형성된 영역은 상기 표시영역(500) 외곽에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감지라인들(230)이 형성된 제 1영역(510)과 중첩되어 소정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보조 표시부(60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표시부(600)는 감지라인들(230)을 덮는 절연층(240) 상에 형성된다.
상기 보조 표시부(600)는 복수의 화소들(612)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 화소(612)에는 유기발광 소자(미도시),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캐패시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화소들(612)은 하부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으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각 화소(612)들에서 발생된 화상은 상부기판(200)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보조 표시부(600)에 구비된 화소들(612)는 상기 하부기판(100)의 표시영역(500) 상에 형성된 액티브 매트릭스 구조의 화소들(112)과는 달리 패시브 매트릭스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종래의 경우 상기 표시영역(500)에 인접한 감지라인들(230)이 형성된 영역(510)은 비표시영역으로서, 윈도우의 테두리에 형성된 데코레이션층과 중첩되어 시인되지 않는 영역이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영역(510)에 별도의 보조 표시부(600)를 형성함을 통해 사용자가 시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표시부(600)에 구비된 화소들(612)은 상기 보조 표시부(600)과 중첩되는 감지라인들(230)과는 교차되지 않는 영역에 형성됨을 통해 상기 감지라인들(230)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표시부(600)에 구비된 화소들(612) 사이의 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감지라인들(230)이 배열되며, 이를 통해 소정의 화상이 표시되는 화소들(612)과 상기 감지라인들(230)은 서로 교차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 표시부(600)에 의해 이와 중첩되는 하부기판(100)의 제 1영역(510)에 형성된 신호선들(114, 116)이 시인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 표시부(600)를 통해서는 하부기판(100)에 형성된 표시영역(5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메인 화면 이외에 상기 메인 화면을 보조하는 아이콘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제 1영역 즉, 보조표시영역(510) 외곽부는 상기 각각의 감지라인들(230)과 연결되는 복수의 본딩 패드들(21)로 구성되는 본딩 패드부(20a)가 형성된 제 2영역 즉, 비표시영역(520)이며, 상기 비표시영역(520)은 상기 상부기판(200)과 하부기판(100)을 합착하기 위해 상기 상부기판(200)과 하부기판(100) 사이에 형성된 실링재(400)가 도포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제 2비표시영역(510b)에 레이저가 조사되어 상기 실링재(400)가 경화됨을 통해 상기 상부기판(200)과 하부기판(100)이 합착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비표시영역(520)은 상기 윈도우(300)에 형성된데코레이션층(310)과 중첩됨으로써, 본딩 패드들(21)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센싱패턴들(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방향(X축 방향)을 따라 각 행 라인 별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 센싱셀들(220a)과, 제1 센싱셀들(220a)을 제 1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1 연결라인들(220a1) 및 제 2방향(Y축 방향)을 따라 각 열라인 별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센싱셀들(220b)과, 제2 센싱셀들(220b)을 제 2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들(220b1)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센싱셀들(220a) 및 제2 센싱셀들(220b)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교호적으로 배치되고, 제1 연결라인들(220a1)과 제2 연결라인들(220b1)은 서로 교차된다. 이때, 제1 연결라인들(220a1)과 제2 연결라인들(220b1) 사이에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절연막(미도시)이 개재된다.
한편, 제1 센싱셀들(220a) 및 제2 센싱셀들(220b)은 인듐??틴??옥사이드(이하, ITO)와 같은 투명전극물질을 이용하여 각각 제1 연결라인들(220a1) 및 제2 연결라인들(220b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혹은 이들과 별도로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센싱셀들(220b)은 제2 연결라인들(220b1)과 일체로 제 2방향으로 패터닝되어 형성되고, 제1 센싱셀들(220a)은 제2 센싱셀들(220b)의 사이에 각각이 독립된 패턴을 갖도록 패터닝되되 그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제1 연결라인들(220a1)에 의해 제 1방향을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라인들(220a1)은 제1 센싱셀들(220a)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제1 센싱셀들(220a)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혹은 컨택홀 등을 통해 제1 센싱셀들(22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라인들(220a1)은 ITO와 같은 투명전극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거나, 혹은 불투명한 저저항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되되 패턴의 가시화가 방지되도록 그 폭 등이 조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감지라인들(230)은, 각각 행 라인 단위 및 열 라인 단위의 제1 및 제2 센싱셀들(220a, 22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을 본딩 패드부(20a)를 통해 위치검출회로와 같은 외부의 구동회로(미도시)와 연결한다.
이러한 감지라인들(230)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외곽부에 위치한 보조표시영역(510)에 배치되는 것으로, 재료 선택의 폭이 넓어 센싱패턴(220)의 형성에 이용되는 투명전극물질 외에도 몰리브덴(Mo), 은(Ag), 티타늄(Ti), 구리(Cu), 알루미늄(Ti), 몰리브덴/알루미늄/몰리브덴(Mo/Al/Mo) 등의 저저항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터치패널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패널로, 사람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과 같은 접촉물체가 접촉되면, 센싱패턴(220)으로부터 감지라인들(230) 및 본딩 패드부(20a)를 경유하여 구동회로(미도시) 측으로 접촉위치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달된다. 그러면, X 및 Y 입력처리회로(미도시) 등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됨을 통해 접촉위치가 파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할 때,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현하는 구성요소들 즉, 센싱패턴들(220) 및 감지라인들(230)이 상부기판(200)의 내면이 아닌 상부기판(200)의 외면에 형성되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의 실시예에 의하면, 감지라인들(230)과 보조표시부(600)이 동일면 상에 형성되지 않으므로, 도 1의 실시예에서 감지라인들(230)과 보조표시부(600) 사이에 구비된 절연층(240)은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할 때, 터치 스크린 패널 및 보조표시부(600)가 형성된 상부기판(200)이 봉지기판으로서의 유리기판이 아닌 봉지박막(210)으로 구현되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봉지박막(210)은 하부기판(100)의 각 화소(112) 내에 구비된 유기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복수의 유기막 및 무기막의 적층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봉지박막(210)은 외부로부터 침투될 수 있는 산소와 수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일 예로 제1 유기막(212), 제1 무기막(214), 제 2 유기막(216) 및 제2 무기막(218)이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지박막(210)의 제1 및 제2 유기막(212, 216)은 제1 및 제2 무기막(214, 218)에 형성된 나노크랙 및 마이크로 크랙의 결함(defect)이 계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분과 산소의 침투 경로를 연장시켜 투습율을 낮추고, 제1 및 제2 무기막(214, 218)에 남아있는 스트레스(stress)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및 제2 유기막(212, 216)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무기막(214, 218)은 AlXOy 및 SiXOy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의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상기 봉지 박막(2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터치 스크린 패널 및 보조 표시부(60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 및 보조 표시부(600)가 형성된 봉지 박막(210)은 하부기판에 투명 점착층(800)을 이용하여 하부기판(100)에 라미네이션된다.
즉, 도 5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에는 도 1 및 도 4의 실시예에 구비된 상부기판(200) 및 하부기판(100)을 합착하기 위한 실링재(400)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조 표시부(600)의 영역을 더 넓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봉지박막(210)은 4개 층의 적층 구조로 구현되더라도, 기존의 봉지 기판 즉, 일반적인 유리 기판에 비해서는 상당히 얇은 두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플렉서블한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하부기판(100) 및 윈도우(300)를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기재 일 예로 폴리이미드계 수지로 구현하게 되면, 표시 패널 전체가 플렉서블 특성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하부기판 200: 상부기판
210: 봉지박막 220: 센싱패턴
230: 감지라인 300: 윈도우
310: 데코레이션층 500: 표시영역
510: 보조표시영역 520: 비표시영역
600: 보조표시부
210: 봉지박막 220: 센싱패턴
230: 감지라인 300: 윈도우
310: 데코레이션층 500: 표시영역
510: 보조표시영역 520: 비표시영역
600: 보조표시부
Claims (15)
-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인접한 외곽에 형성된 제 1영역 및 상기 제 1영역의 외곽에 형성된 제 2영역으로 각각 구획되는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과;
상기 상부기판의 표시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센싱패턴들과;
상기 상부기판의 제 1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센싱패턴들과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감지라인들과;
상기 감자라인들이 형성되는 상부기판의 제 1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구비되는 보조표시부와;
상기 상부기판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상부기판의 제 1영역과는 중첩되지않고 제 2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 데코레이션층이 형성된 윈도우와;
상기 하부기판의 표시영역에는 복수의 화소들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기판의 제 1영역에는 상기 복수의 화소들과 제 2영역에 형성된 패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신호선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의 표시영역에 형성된 각 화소는 유기발광 소자, 박막트랜지스터들, 캐패시터가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화소들은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으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의 제 1영역에 형성된 보조 표시부는 복수의 화소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각 화소들은 유기발광 소자를 포함하며 하부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으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의 제 2영역에는 각각의 감지라인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본딩 패드들로 구성되는 본딩 패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영역에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밀봉을 위해 실링재가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패턴들은,
제 1방향을 따라 각 행라인 별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1 센싱셀들과;
상기 제1 센싱셀들을 상기 제 1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1 연결라인들과;
제 2방향을 따라 각 열라인 별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센싱셀들과;
상기 제2 센싱셀들을 상기 제 2방향을 따라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패턴들은 동일 레이어 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패턴들 및 감지라인들은 상기 하부기판과 대면하는 상부기판의 내측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시부는 상부기판의 내측면에서 상기 감지라인들을 덮는 절연층 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패턴들 및 감지라인들은 상기 하부기판과 대면하는 상부기판의 외측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시부는 상기 감지라인들과 중첩되는 상부기판의 내측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은 복수의 유기막 및 무기막의 적층 구조로 구현되는 봉지박막으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박막은 제1 유기막, 제1 무기막, 제 2 유기막 및 제2 무기막이 교대로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 및 윈도우는 플렉서블 재질의 기재로 구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재질의 기재는 폴리이미드계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7943A KR101902006B1 (ko) | 2012-01-26 | 2012-01-26 |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
US13/477,227 US20130194204A1 (en) | 2012-01-26 | 2012-05-22 |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7943A KR101902006B1 (ko) | 2012-01-26 | 2012-01-26 |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6875A true KR20130086875A (ko) | 2013-08-05 |
KR101902006B1 KR101902006B1 (ko) | 2018-10-01 |
Family
ID=4886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7943A KR101902006B1 (ko) | 2012-01-26 | 2012-01-26 |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194204A1 (ko) |
KR (1) | KR101902006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9903A (ko) * | 2013-09-11 | 2015-03-1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고저항성 봉지재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및 이들의 제조 방법 |
WO2015037898A1 (ko) * | 2013-09-10 | 2015-03-19 | 미래나노텍 주식회사 |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센서,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영상표시장치 |
KR20160012399A (ko) * | 2014-07-24 | 2016-02-0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터치 패널 |
KR20160026379A (ko) * | 2014-09-01 | 2016-03-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KR20160120854A (ko) * | 2015-04-08 | 2016-10-1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20170140495A (ko) * | 2016-06-10 | 2017-12-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US9864409B2 (en) | 2014-04-28 | 2018-01-09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device |
US9910550B2 (en) | 2013-09-10 | 2018-03-06 | Miraenanotech Co., Ltd. | Capacitive-type touch screen sensor, touch screen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
US10319945B2 (en) | 2015-04-24 | 2019-06-1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providing light emission on bezel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9831B1 (ko) * | 2012-03-21 | 2018-07-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플렉시블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시블 표시 장치용 원장 기판 |
KR101862876B1 (ko) * | 2012-03-27 | 2018-05-31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터치 패널 |
CN103855182A (zh) * | 2012-11-28 | 2014-06-11 |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 有机发光二极管触控显示面板及其电磁式触控显示装置 |
TW201525796A (zh) * | 2013-12-25 | 2015-07-01 | Hon Hai Prec Ind Co Ltd | 觸控屏之製造方法 |
KR102239861B1 (ko) | 2014-11-26 | 2021-04-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KR101979444B1 (ko) * | 2016-07-29 | 2019-05-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KR102617968B1 (ko) * | 2016-10-31 | 2023-12-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2601818B1 (ko) * | 2018-07-19 | 2023-11-1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표시장치 |
KR102709634B1 (ko) | 2019-03-06 | 2024-09-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10082316A (ko) * | 2019-12-24 | 2021-07-0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938965A4 (en) * | 2005-09-22 | 2013-01-23 | Tomoegawa Co Ltd | THIN FILM THIN SUBSTRATE, THIN FILM THIN FILM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TWI390277B (zh) * | 2008-05-15 | 2013-03-21 | Au Optronics Corp | 具有感應功能的顯示裝置與方法 |
US8928597B2 (en) * | 2008-07-11 | 2015-01-06 | Samsun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JP2011198009A (ja) * | 2010-03-19 | 2011-10-06 | Sony Corp | 入力機能付き電気光学装置 |
KR101095851B1 (ko) * | 2010-11-10 | 2011-12-21 | 채상우 | 터치스크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1295535B1 (ko) * | 2010-11-22 | 2013-08-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US8804056B2 (en) * | 2010-12-22 | 2014-08-12 | Apple Inc. | Integrated touch screens |
US9477311B2 (en) * | 2011-01-06 | 2016-10-25 | Blackberry Limite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
KR101908492B1 (ko) * | 2011-04-12 | 2018-10-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
CN103597431B (zh) * | 2011-06-09 | 2017-03-22 | 3M创新有限公司 | 具有多层电极和垫层的触敏装置 |
-
2012
- 2012-01-26 KR KR1020120007943A patent/KR10190200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5-22 US US13/477,227 patent/US20130194204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037898A1 (ko) * | 2013-09-10 | 2015-03-19 | 미래나노텍 주식회사 |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 센서,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영상표시장치 |
US9910550B2 (en) | 2013-09-10 | 2018-03-06 | Miraenanotech Co., Ltd. | Capacitive-type touch screen sensor, touch screen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
KR20150029903A (ko) * | 2013-09-11 | 2015-03-1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고저항성 봉지재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장치 및 이들의 제조 방법 |
US9864409B2 (en) | 2014-04-28 | 2018-01-09 | Samsung Display Co., Ltd. | Flexible display device |
KR20160012399A (ko) * | 2014-07-24 | 2016-02-0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터치 패널 |
KR20160026379A (ko) * | 2014-09-01 | 2016-03-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
KR20160120854A (ko) * | 2015-04-08 | 2016-10-1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US10319945B2 (en) | 2015-04-24 | 2019-06-11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providing light emission on bezel reg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US10615371B2 (en) | 2015-04-24 | 2020-04-07 | Samsung Display Co., Ltd. |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providing light emission on bezel region |
KR20170140495A (ko) * | 2016-06-10 | 2017-12-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194204A1 (en) | 2013-08-01 |
KR101902006B1 (ko) | 2018-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09663B2 (en) | Flat panel display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panel | |
KR101902006B1 (ko) |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 |
KR102058699B1 (ko) | 터치 및 휨 감지 기능을 가지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 |
KR101699530B1 (ko) | 터치스크린패널 및 이를 구비한 영상표시장치 | |
KR101178914B1 (ko) |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 |
KR101689331B1 (ko) |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 |
US8487892B2 (en) |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764415B1 (ko) | 터치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 |
KR20140064259A (ko) |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이를 구비한 플렉서블 표시장치 | |
US20150286325A1 (en) | Flat panel display | |
KR20150057441A (ko) |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 |
US9448671B2 (en) |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2693244B1 (ko) | 표시 장치 | |
KR20070103143A (ko) |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85060B1 (ko) | 표시장치 | |
KR102019774B1 (ko) | 표시장치 | |
KR102661842B1 (ko) | 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