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703A - 호스 클램프 - Google Patents

호스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703A
KR20140078703A KR1020147010869A KR20147010869A KR20140078703A KR 20140078703 A KR20140078703 A KR 20140078703A KR 1020147010869 A KR1020147010869 A KR 1020147010869A KR 20147010869 A KR20147010869 A KR 20147010869A KR 20140078703 A KR20140078703 A KR 20140078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hose
hook
hose clamp
drive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215B1 (ko
Inventor
데이비드 와트
브라이언 티 이그낙자크
Original Assignee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9096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7870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filed Critical 노마 유.에스. 홀딩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07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8Hose-clips in which a worm coacts with a part of the hose-encircling member that is toothed like a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12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with tighteners
    • Y10T24/1427Worm and to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호스 클램프는 밴드와 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밴드는 밴드의 제 1 외주 단부와 제 2 외주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한 세트의 슬롯을 가진다. 웜 구동 메커니즘은 밴드에 연결되고, 밴드의 반경방향 수축을 일으켜서 밴드를 조인다. 웜 구동 메커니즘은 밴드의 반경방향 수축을 위하여 한 세트의 슬롯에 맞물리는 스크루를 포함한다. 고정 압력 회복 구성은, 호스 클램프의 사용 동안 및 밑에 있는 호스가, 예컨대 온도 변동에 의한 크기 팽창과 수축을 겪을 때 호스 클램프와 밑에 있는 호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Description

호스 클램프{HOSE CLAMP}
본 발명은 대체로 어느 정도 유연한 호스를 보다 경질의 튜브나 구성요소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호스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호스 클램프는 통상 조인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밑에 있는 호스, 튜브,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하여 반경방향 수축력을 가하는데 사용된다. 밑에 있는 호스는 통상 고무나 다른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지만, 튜브나 구성요소는 통상 플라스틱, 금속 또는 다른 경질 재료로 제조된다.
호스 클램프는 일반적으로 밴드, 및 호스, 튜브 또는 구성요소 상에서 밴드를 조이는(tighten) 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유효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호스 클램프는 조인트에서 유체 기밀을 제공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밴드와 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호스 클램프가 제공되어 있다. 밴드는 제 1 외주 단부, 제 2 외주 단부, 및 제 1 외주 단부와 제 2 외주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한 세트의 슬롯을 가진다. 밴드는 또한 제 1 축 단부, 제 2 축 단부, 및 제 1 축 단부와 제 2 축 단부 사이에 축방향 단면 프로파일이 대체로 아치형인 형상부를 가진다. 밴드는 또한 대체로 아치형인 형상부에 의하여 밴드의 하면에 형성된 포켓을 가진다. 웜 구동 메커니즘은 밴드에 연결되어 있고, 호스 클램프를 조이는 동작 동안 밴드를 반경방향으로 수축시키도록 조작될 수 있다. 웜 구동 메커니즘은 부분적으로 또는 그 이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섕크를 가진 스크루를 포함하고, 부분적으로 또는 그 이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섕크는 밴드의 반경방향 수축을 일으키기 위하여 스크루의 회전 동안 밴드의 슬롯에 맞물린다. 웜 구동 메커니즘과 밴드 사이의 연결부는 포켓에 위치되어 있는 자유 단부를 가진 하나 이상의 후크를 포함한다. 이 호스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모든 조합에 따라 또는 단독으로, 하나 이상의 다음의 추가적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 사용시, 밴드는 하나 이상의 후크에 의한 실질적인 중단없이 밴드의 접촉 외주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밑에 있는 호스와 밀봉 접촉할 수 있다.
- 밴드는 제 1 축 단부에 있는 제 1 라운드 받침부(foot)를 가질 수 있고, 제 2 축 단부에 있는 제 2 라운드 받침부를 가질 수 있으며, 제 1 라운드 받침부와 제 2 라운드 받침부는 상기 포켓에서의 상기 밴드에 의한 밀봉 접촉보다 밑에 있는 호스와 더 강한 밀봉 접촉을 가질 수 있다.
- 하나 이상의 후크의 자유 단부는 호스 클램프의 중심 축에 대하여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이 위치는 밴드의 가장 반경방향 안쪽에 위치한 표면의 반경방향 바깥쪽 위치보다도 중심 축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다.
- 밴드는 절결부(cutout)를 가질 수 있고, 웜 구동 메커니즘은 새들(saddle)을 포함할 수 있되, 새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후크는 뻗어 있을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크는 포켓에서 절결부를 통과하여 뻗어 있을 수 있다.
- 하나 이상의 후크는 절결부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경사진 단부를 가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크의 자유 단부와 경사진 단부 사이에서, 하나 이상의 후크는 대체로 밴드의 외주를 따라 향하고 있을 수 있고 포켓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 밴드의 축방향 단면 프로파일이 대체로 아치형인 형상부는 첨단부를 가질 수 있고, 밴드는 첨단부에 절결부를 가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크는 절결부를 통과하여 뻗어 있을 수 있고, 첨단부에 인접한 밴드의 하면에 놓여 있을 수 있다.
- 밴드는 제 1 절결부를 가질 수 있고 제 2 절결부를 가질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크는 제 1 후크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후크를 포함할 수 있고, 웜 구동 메커니즘과 밴드 사이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 1 후크는 제 1 절결부를 통과하여 뻗어 있을 수 있고 제 2 후크는 제 2 절결부를 통과하여 뻗어 있을 수 있다.
- 웜 구동 메커니즘은 측벽을 가지는 새들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크는 측벽으로부터 뻗어 있을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크는 새들을 밴드에 연결하기 위해서 밴드의 제 1 축 단부 또는 제 2 축 단부 둘레에 뻗어 있을 수 있고, 축 단부에서 하나 이상의 후크의 측면방향 길이가 측벽의 측면방향 길이보다 작을 수 있도록, 측벽과 하나 이상의 후크 사이의 전이부에는 리세스가 위치될 수 있다.
- 웜 구동 메커니즘은 커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새들의 탭 또는 커버의 탭을 통하여 커버에 연결되어 있는 새들을 포함할 수 있되, 새들의 탭 또는 커버의 탭은 탭이 형성되지 않은 커버 또는 새들 중 다른 하나의 개구부 속에 삽입되며, 커버는 스크루의 일부나 그 이상을 둘러쌀 수 있고, 새들은 웜 구동 메커니즘에서 밴드를 지지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크는 새들로부터 뻗어 있을 수 있다.
- 밴드의 축방향 프로파일이 대체로 아치형인 형상부는, 호스 클램프를 조이는 동작 동안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변위될 수 있고, 이로써 조이는 동작 후에 밑에 있는 호스에 대하여 힘을 가하여, 호스 클램프의 사용 동안 호스 클램프와 밑에 있는 호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할 수 있다.
- 웜 구동 메커니즘은 호스 클램프의 사용 동안 호스 클램프와 밑에 있는 호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하여, 밴드의 반경방향 수축을 달성하도록 스크루를 바이어스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 하나 이상의 스프링 와셔는 스크루 둘레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고, 호스 클램프의 사용 동안 호스 클램프와 밑에 있는 호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하여 밴드의 반경방향 수죽을 달성하도록 웜 구동 메커니즘에 대항하여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밴드, 웜 구동 메커니즘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호스 클램프가 제공되어 있다. 밴드는 제 1 외주 단부, 제 2 외주 단부, 및 제 1 외주 단부와 제 2 외주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한 세트의 슬롯을 가진다. 웜 구동 메커니즘은 밴드에 연결되어 있고, 호스 클램프를 조이는 동작 동안 밴드를 반경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웜 구동 메커니즘은 부분적으로 또는 그 이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섕크를 가진 스크루를 포함하고, 부분적으로 또는 그 이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섕크는 밴드의 반경방향 수축을 일으키기 위하여 스크루의 회전 시 밴드의 슬롯에 맞물린다. 스프링은 밴드와 밑에 있는 호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하여 호스 클램프의 사용 동안 밑에 있는 호스에 대항하여 밴드의 지속적인 반경방향 수축을 일으킨다. 이 호스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모든 조합에 따라 또는 단독으로, 하나 이상의 다음의 추가적인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 스프링은, 밑에 있는 호스가 호스 클램프의 사용 동안 온도 변동에 의한 크기 팽창과 수축을 겪을 때, 밑에 있는 호스에 대항하여 밴드의 지속적인 반경방향 수축을 일으킬 수 있다.
- 스프링은 밴드의 제 1 축 단부와 밴드의 제 2 축 단부 사이에서 밴드의 축방향 단면 프로파일이 대체로 아치형인 형상부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사용 동안 축방향 단면 프로파일은 호스 클램프를 조이는 동작 동안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변위되고, 이로써 조이는 동작 후에 밑에 있는 호스에 대하여 힘을 가하여, 밴드와 밑에 있는 호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한다.
- 스프링은 밴드와 밑에 있는 호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하여 밴드의 반경방향 수축을 달성하도록 스크루를 바어어스할 수 있다.
- 스프링은, 스크루 둘레에 배치되어 있고 밴드와 밑에 있는 호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하여 웜 구동 메커니즘에 대항하여 지지하는 복수 개의 스프링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밴드, 웜 구동 메커니즘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호스 클램프가 제공되어 있다. 밴드는 제 1 외주 단부, 제 2 외주 단부, 및 제 1 외주 단부와 제 2 외주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한 세트의 슬롯을 가진다. 밴드는 또한 제 1 축 단부, 제 2 축 단부, 및 제 1 축 단부와 제 2 축 단부 사이에 축방향 단면 프로파일이 대체로 아치형인 형상부를 가진다. 웜 구동 메커니즘은 밴드에 연결되어 있고, 호스 클램프를 조이는 동작 동안 밴드를 반경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웜 구동 메커니즘은 부분적으로 또는 그 이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섕크를 가진 스크루를 포함하고, 부분적으로 또는 그 이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섕크는 밴드의 반경방향 수축을 일으키기 위하여 스크루의 회전시 밴드의 슬롯에 맞물린다. 스프링은 스크루에 대항하여 지지되고, 밴드의 반경방향 수축을 달성하도록 스크루를 바어어스하기 위하여 웜 구동 메커니즘에 대항하여 지지된다. 스프링과 밴드의 대체로 아치형인 형상부는 밴드와 밑에 있는 호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하여 호스 클램프의 사용 동안 밑에 있는 호스에 대항하여 밴드의 지속적인 반경방향 수축을 일으킨다.
앞선 단락에 개시되어 있는 여러 가지 양태, 실시예, 예시, 특징 및 대체 실시예가 특허청구범위 및/또는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서 독자적으로 인용될 수도 있고 또는 그 임의의 조합형태로 인용될 수도 있다는 것은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느 정도 유연한 호스를 보다 경질의 튜브나 구성요소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호스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될 것이고, 여기에서 유사한 지시번호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호스 클램프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2-2에서 자른, 호스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호스 클램프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4는 호스 클램프의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도 5는 호스 클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도 6은 호스 클램프의 또 다른 실시예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호스 클램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호스 클램프의 웜 구동 메커니즘과 밴드 사이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에는 호스 클램프의 몇몇 실시예가 나타나 있는데, 이 호스 클램프는 이전에 알려진 일부 호스 클램프와 비교하여 개선된 고정 압력을 가진 유체-기밀(fluid-tight seal)을 제공한다. 호스 클램프는 자동차, 항공기, 선박, 중장비 및 농업 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분야 및 다른 적용처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호스(들)"라는 용어는 냉각수 라인, 유체 라인, 오일 라인 및 공기 덕트뿐만 아니라 다른 라인에서 사용되는 고무 호스나 플라스틱 호스와 같은 관형 몸체를 지칭한다. 더욱이, 이와 달리 특정되지 않는다면, 반경방향, 축방향 및 외주방향이라는 용어는 호스 클램프의 대체로 원 형상 및 약간 실린더 형상에 대한 방향을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호스 클램프(10)의 제 1 실시예는 밴드(12)와 웜 구동 메커니즘(14)을 포함한다. 밴드(12)는 결합되어 밑에 있는 호스 둘레를 감싸고, 웜 구동 메커니즘(14)에 의하여 호스 및 튜브나 구성요소에 접하여 아래쪽이 조여져 있다. 밴드(12)는 열처리 된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다른 적합한 금속과 같은 금속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적합한 금속가공 공정에 의하여 그 최종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밴드(12)는 제 1 외주 단부(16)와 제 2 외주 단부(18) 사이에서 외주방향으로 뻗어 있다. 웜 구동 메커니즘(14)에 대한 연결부는 제 1 외주 단부(16)나 그 부근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제 2 외주 단부(18)나 그 부근에 위치될 수 있고, 또는 제 1 외주 단부와 제 2 외주 단부 사이의 어느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외주 단부(16)는 호스 클램프(10)의 조임 및 조임해제 동안 웜 구동 메커니즘(14)의 전후 및 안팎으로 자유롭게 움직인다. 제 1 외주 단부(16)와 제 2 외주 단부(18) 사이에서, 밴드(12)는 구조적으로 연속하고 외주방향으로 뻗어 있는 몸체를 가진다.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하고 있는 측면에서, 밴드(12)는 사용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호스를 대면하는 내측 표면(20)을 가지고;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고 있는 측면에서, 밴드는 외측 표면(22)을 가진다.
더욱이, 밴드(12)는 밴드의 몸체 내에 위치되어 있는 다수의 천공 또는 한 세트의 슬롯(24)을 포함하는데, 이 실시예에서 천공 또는 슬롯은 제 1 외주 단부(16) 근처에 위치되어 있다. 슬롯(24)은 호스 클램프(10)의 조임 동작과 조임해제 동작 동안 웜 구동 메커니즘(14)에 의하여 맞물린다. 슬롯(24)들은 서로 떨어져 이격되어 있고, 특정 적용처에서의 기대되거나 바람직한 반경방향 수축량과 팽창량에 의하여 결정된 간격으로 밴드(12)의 외주의 일 구역을 따라 걸쳐 있다(span). 다른 실시예에서, 슬롯은 밴드의 전체 외주를 따라 끝에서 끝까지 걸쳐 있을 수 있고 또는 다른 량만큼 밴드의 외주 둘레에 펼쳐져 있을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슬롯(24)은, 축방향 단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으로 기하학적으로 직선이고 편평한, 밴드(12)의 일 구역을 따라 위치되어 있는데, 이는 웜 구동 메커니즘(14)의 스크루와 밴드(12) 사이의 상호동작을 수월하게 할 수 있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제 1 실시예에서, 슬롯(24) 각각은 내측 표면(20)과 외측 표면(22) 사이에서 밴드(12)의 몸체를 통과하여 반경방향으로 완전히 뻗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롯은 몸체를 통과하여 완전히 뻗어 있을 필요가 없지만, 그 대신 밴드 내에 형성된 핀치(pinched) 구조 또는 단차(stepped) 구조일 수 있고 또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슬롯(24)은 제 1 외주 단부(16)와 제 2 외주 단부(18) 중 하나를 향하고 있는 아치형 에지를 가질 수 있고, 아치형 에지 반대쪽에 위치되어 있는 평평한 에지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에지 라인과 슬롯 형상도 가능하다.
웜 구동 메커니즘(14)은 밴드(12)의 반경방향 수축과 팽창을 일으키도록 작동되고, 작동 후에는 밴드를 바람직한 반경방향 위치 및 직경 상태를 유지한다. 대체로, 웜 구동 메커니즘(14)은 밴드(12)의 외측 외부 측면 상에 위치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웜 구동 메커니즘(14)은 커버(26), 새들(28) 및 스크루(3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더 참조하면, 커버(26)는 웜 구동 메커니즘(14)의 지붕 역할을 하고 스크루(30)의 나사산 섕크(32)를 둘러싼다. 커버(26)는 대체로 반(half) 실린더와 같은 형상인 상부 벽(34)을 가지고, 상부 벽으로부터 뻗어 있는 한 쌍의 측벽(36)을 가진다. 측벽(36)은 각각 새들(28)의 일체형 연장부인 탭(38)을 받아들이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고, 함께 상호연결되어 있는 개구부와 탭은 기계적인 연결 및 연동을 커버(26)와 새들 사이에 제공한다. 또한 커버(26)는 스커트부(40)를 가지는데, 이 스커트부는 각각의 측벽(36)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아래쪽으로 뻗어 있고 대체로 각각의 측벽(36)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아래쪽을 향하고 있다. 커버(26)는 스크루(30)의 돌출된 부분을 수용하는 상부 벽(34)의 양쪽 측면 상에 제 1 개방 단부(42)와 제 2 개방 단부(44)를 가진다. 새들(28)은 웜 구동 메커니즘(14)의 바닥 역할을 하고, 조임 동작과 조임해제 동작 동안 웜 구동 메커니즘에서 안팎으로의 밴드(12)의 이동을 지지하고 안내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새들(28)은 또한 웜 구동 메커니즘(14)과 밴드(12) 사이에서 연결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특히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새들(28)은 하부 벽(46), 하부 벽의 일체형 연장부이기도 하는 제 1 측벽(48), 및 하부 벽의 일체형 연장부이기도 하는 제 2 측벽(50)을 가진다. 하부 벽(46)은 밴드(12)와 직접 접하여 접촉하고, 밴드의 외주 프로파일을 보완하고 수용하기 위하여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주 프로파일 단면이 약간 아치 형상일 수 있다. 제 1 측벽(48)과 제 2 측벽(50)은 하부 벽(46)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위쪽으로 뻗어 있고 하부 벽(46)으로부터 반경방향 위쪽을 향하고 있다. 탭(38)은 측벽(48, 50)으로부터 더 반경방향으로 위쪽으로 뻗어 있고, 측벽 사이에서의 연결을 위하여 커버(26)의 개구부 속에 각각 삽입된다. 이 실시예에는 총 4개의 탭과 4개의 개구부가 있다. 커버(26)와 새들(28)을 연결하는 다른 방법이 가능하고, 예컨대 새들 내에는 개구부를 제공하고 커버 내에는 상응하는 탭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스크루(30)는 커버(26)와 새들(28) 사이에 유지되어 있고, 조임 동작과 조임해제 동작 동안 밴드(12)의 슬롯(24)에 맞물리도록 회전된다.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스크루(30)는 밴드(12)의 외주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대체로 정렬되어 있다. 스크루(30)는 헤드(52)를 가지고, 헤드의 일체형 연장부로서 나사산 섕크(32)를 가진다. 조립체에서, 헤드(52)는 접근가능성을 위하여 커버(26)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는 한편, 나사산 섕크(32)는 대부분 커버의 내부에 둘러싸여 있다. 나사산 섕크(32)는 나사산을 가지는데, 이 나사산은 슬롯(24) 속에 삽입되고 스크루(30)의 회전시에는 밴드(12)를 새들(28)과 커버(26) 안팎으로 이동시킨다. 이 실시예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스크루(30)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질 수 있는데, 이 돌출부는, 스크루가 회전되는 동안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보조하게 하기 위하여 그리고 스크루가 커버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커버(26)에 대항하여 지지하는 종료 단부 캡과 같은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웜 구동 메커니즘은, 도면에 나타나 있으면서 상술된 것과 다른 설계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웜 구동 메커니즘은 커버와 새들이 단일 피스를 이루는 부분에 해당하는 원피스형 구성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커버와 새들 사이의 상호연결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조인트의 수명이 지나서도 고정 압력을 유지하는 것은 종종 바람직하고 때때로 주어진 적용처에서 필요로 한다. 그러나, 일부 공지의 호스 클램프에서, 고정 압력은 노후화, 온도 변동 및 유발된 열적 팽창과 수축, 및 다른 원인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한다. 이는 조인트에서의 밀봉을 약화시킬 수 있고, 밀봉의 무력화나 누출을 야기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에서, 호스 클램프(10)는 고정 압력 회복 구성 및 성능, 또는 미리 가해진 밀봉력이 제공되어서, 적합한 고정 압력은 호스 클램프의 유효 수명이 지나서도 실질적으로 유지되고, 그 결과 효과적인 밀봉이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 압력 회복 구성은 아치 형상의 밴드 몸체로 구성된 스프링의 형태로 제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밴드(12)는 제 1 축 단부(56)와 제 2 축 단부(58) 사이의 축 프로파일이 대체로 아치형이고 곡선형인 단면을 가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아치 형상부는 슬롯(24)을 가진 밴드(12)의 편평한 형상 구역에는 없을 수 있다. 아치 형상부가 있는 경우,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축 단부(56)와 제 2 축 단부(58) 사이에 걸쳐 있는 단일의 원호형상부(arc)만 있을 수 있다. 아치 형상부의 첨단부(apex) 또는 마루부(crest)(60)는 제 1 축 단부(56)와 제 2 축 단부(58) 사이에 있되, 이 실시예에서는 밴드(12)의 대략 중앙 영역에 있다. 포켓(62)은 밴드(12)의 반경방향 하면에 위치되고, 선단부(60), 내측 표면(20), 및 제 1 축 단부(56)와 제 2 축 단부(58)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포켓(62)은 밴드의 대체로 오목한 만곡부의 결과물이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축 단부(56)와 제 2 축 단부(58)는 자유 단부와 종료 말단 근처에 라운드 받침부(64)를 가지는데, 이는, 일부 실시예에서 선택사항이지만 라운드처리되지 않은 받침부로부터 나와 있을 수 있는 더 예리한 인터페이스와 비교하여, 밑에 놓여있는 호스에 대항하여 약간 무딘 접촉 인터페이스(contact interface)을 제공하기 위해서 그러하다. 라운드 받침부(64)는 밴드(12)의 말려있는(curled) 단부이다. 사용시, 라운드 받침부(64)는 받침부가 없는 상태로 이전에 알려진 편평한 프로파일이 형성된 밴드와 비교하여 더 큰 크기의 고정 압력을 가할 수 있는데, 이는 조이는 힘이 가해지는 면적이 라운드 받침부에서는 더 좁기 때문이다.
밴드(12)의 아치형 프로파일은 웜 구동 메커니즘(14)을 다시 조일 필요없이 호스 클램프(10)의 사용 내내 고정 압력에 대해 회복 효과를 부여한다. 처음 조일 때, 축 단부(56, 58)는 구부려지고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변위되고, 첨단부(60)는 정지해 있을 때보다 더 큰 정도로 물리적으로 평평해지고, 그 결과 밴드(12)는 오목 만곡부 중 일부가 없어진다. 금속 재료의 탄성은 밴드(12)로 하여금 호스에 대하여 지속적인 힘과 장력을 가하게 한다. 어떤 의미에서, 밴드의 아치형 프로파일은 판 스프링과 같은 기능을 한다. 평평해지는 량이 증감하더라도, 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온도 변동 동안에도 잔존하고, 호스 클램프(10)의 고정 압력은 실질적으로 회복되고 사용 동안 유지된다.
도 1 내지 도 3의 제 1 실시예에서, 후크(66)는 밴드(12)와 웜 구동 메커니즘(14)을 함께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후크(66)는 스스로를 향하여 뒤로 접힌 새들(28)의 하부 벽(46)의 일체형 연장부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후크는 새들에 부착되는 분리된 별개의 피스일 수 있다.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후크(66)는 하부 벽(46)의 외주방향 종료 단부로부터 뻗어 있고, 조립체에서 후크의 길이방향 축과 최대 치수는 대체로 밴드(12)의 외주를 따라 향하고 있고 후크의 길이방향 축과 최대 치수는 대체로 밴드(12)의 외주를 따라간다. 후크(66)는 경사진(nosed) 단부(68), 자유 단부(70), 제 1 축 단부(72) 및 제 2 축 단부(74)를 가진다.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하고 있는 측면에서, 후크(66)는 사용시 호스에 직접 대면하는 내측 표면(76)을 가지고,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하고 있는 측면에서, 후크는, 후크의 외측 표면과 밴드의 내측 표면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공간을 가로질러 밴드(12)의 내측 표면을 직접 대면하는, 외측 표면(78)을 가진다.
제 1 실시예의 조립체에서, 후크(66)는 밴드(12) 내의 단일의 절결부(80)를 지나서 뻗어 있다. 절결부(80)는 밴드(12)의 첨단부(60)에 대체로 위치되어서, 첨단부를 통과하여 돌출되고 경로형성될 때 후크(66)는 밴드 아래에 반경방향으로 놓여 있고 포켓(62) 내부에 접혀 있다. 여기에서, 그리고 도 2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후크(66)의 제 1 축 단부(72)는 축 방향으로 밴드(12)의 내측 표면(20)을 직접 대면하고, 후크의 제 2 축 단부(74)는 반대쪽 축 방향으로 밴드의 내측 표면을 직접 대면한다. 그리고,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후크(66)의 외측 표면(78)은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밴드(12)의 내측 표면(20)을 직접 대면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단부(56)와 제 2 단부(58)에서, 밴드(12)의 내측 표면(20)은 후크(66)의 내측 표면(76)의 중심 축(A)으로부터의 반경방향 위치와 비교하여 더 작은 간격만큼 호스 클램프(10)의 중심 축(A)으로부터 반경방향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축 단부(56, 58)의 내측 표면(20)은 후크(66)의 내측 표면(76)보다 중심 축(A)에 물리적으로 더 가까이 있다. 이는, 밴드(12)의 축 단부(56, 58)가 호스 클램프에서의 호스 클램프(10)의 초기 배치시 그리고 그 다음의 웜 구동 메커니즘(14)의 조임 동안 밑에 있는 호스와 접하여 접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밴드(12)와 웜 구동 메커니즘(14)을 함께 유지하는 연결부는 호스 클램프(10)의 외주 둘레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유체 기밀에 도움이 된다. 이전에 알려진 일부 호스 클램프에서, 밀봉은 클램브의 외주 둘레에서 불연속적이고, 밴드와 웜 구동 메커니즘의 연결부에서 차단된다. 연결부에서, 웜 구동 메커니즘의 일부는, 밑에 있는 호스와 밴드 사이의 접촉이 자주 중단되고 이 접촉을 물리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또는 연결부에 가해지는 고정 압력이 다른 방법으로 중단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부에서는 누출이 더 용이하게 발생한다. 제 1 실시예에서, 바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후크(66)는 밴드(12) 아래의 포켓(62) 및 첨단부(60)에서 접혀 있고, 그 결과 외주 둘레의 유체-기밀을 제한적으로 중단하거나 중단하지 않는다. 밴드(12)는 밴드의 모든 외주 둘레와 연결부에 있는 제 1 축 단부(56)와 제 2 축 단부(58)에서 호스와 적합한 밀봉 접촉한다.
도 4에는 호스 클램프(110)의 제 2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제 2 실시예의 호스 클램프(110)는 제 1 실시예의 호스 클램프(10)에 대해 유사점이 있고, 이들 유사점들 중 일부는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호스 클램프(110)의 웜 구동 메커니즘(114)과 밴드(112) 사이의 연결부는 제 1 실시예의 연결부에 비해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후크(165)와 제 2 후크(167)는 밴드(112)와 웜 구동 메커니즘(114)을 함께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제 1 후크(165)와 제 2 후크(167)는 새들(128)의 하부 벽의 연장부일 수 있고, 또는 제 1 측벽(148)과 제 2 측벽(150)(한쪽 측벽만 나타나 있음)의 연장부일 수 있다. 후크(165, 167) 각각은 밴드(112) 아래에서 말리거나 다른 방법으로 구부려질 수 있는 자유 단부(170)를 가진다. 제 2 실시예의 조립체에서, 제 1 후크(165)는 밴드(112)의 제 1 절결부(179)를 통과하여 뻗어 있고, 제 2 후크(167)는 밴드의 제 2 절결부(181)를 통과하여 뻗어 있다. 제 1 절결부(179)와 제 2 절결부(181)는 아치형으로 프로파일이 형성된 밴드(112)의 첨단부(160)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될 수 있고, 그 결과 첨단부를 통과하여 돌출될 때 제 1 후크(165)와 제 2 후크(167)는 밴드의 아래에 반경방향으로 놓여 있고 포켓(162) 내에 접혀 있다.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밴드(112)의 제 1 축 단부(156)와 제 2 축 단부(158)는 후크(165, 167)의 자유 단부의 중심 축(A)으로부터의 반경방향 위치와 비교하여 더 작은 간격만큼 호스 클램프(110)의 중심 축(A)으로부터의 반경방향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 밴드(112)와 웜 구동 메커니즘(114)을 함께 유지하는 이 연결부는 호스 클램프(110)의 외주 둘레에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유체 기밀에 도움이 된다. 제 2 실시예에 대한 대안으로, 밴드에는 새들로부터 뻗어 있는 더 많은 후크와, 이에 상응하는 더 많은 절결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쌍의 후크는 한쪽 축방향 측면 상의 하부 벽으로부터 뻗어 있을 수 있고, 제 2 쌍의 후크는 반대쪽 축방향 측면 상의 하부 벽으로부터 뻗어 있을 수 있다.
도 5에는 호스 클램프(210)의 제 3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제 3 실시예의 호스 클램프(210)는 제 1 실시예의 호스 클램프(10)에 대해 유사점이 있고, 이 유사점들 중 일부는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호스 클램프(210)의 웜 구동 메커니즘(214)과 밴드(212) 사이의 연결부는 제 1 실시예의 연결부에 비해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후크(269)와 제 2 후크(271)는 밴드(212)와 웜 구동 메커니즘(214)을 함께 연결하는데 사용된다(호스 클램프(210)의 일 측면만 나타나 있음; 나타나 있지 않은 측면은 도 5의 측면과 비슷함). 제 1 후크(269)와 제 2 후크(271)는 제 1 측벽(248)과 제 2 측벽(250) 각각의 일체형 연장부이다. 제 1 후크(269)는 제 1 측벽(248)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하여 뻗어 있고, 밴드(212)의 제 1 축 단부(256) 둘레와 밴드의 반경방향으로 아래를 감싸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후크(271)는 제 2 측벽(250)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안쪽을 향하여 뻗어 있고, 밴드(212)의 제 2 축 단부(258) 둘레와 밴드의 반경방향으로 아래를 감싸고 있다. 후크(269, 271)의 자유 단부는 아치형으로 프로파일이 형성된 밴드(212)의 첨단부 또는 그 근처에 위치될 수 있고, 그 결과 자유 단부는 이전 실시예에서 유사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거기에 있는 포켓 내에 접혀 있다.
리세스 또는 단차부(290)는 각각의 측벽(248, 250)과 후크(269, 271) 사이에 있는 전이부, 즉 교차지점의 양쪽 측면 상에 위치되어 있다. 각 후크(269, 271)는 각각의 측벽(248, 250)의 외주방향 내지 측면방향 길이(L2) 보다 작은 외주방향 내지 측면방향 길이(L1)를 가지고, 이로써 후크와 측벽 사이에는 단차부와 유사한 전이부가 생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3 실시예에서도, 밴드(212)와 웜 구동 메커니즘(214)을 함께 유지하는 이 연결부는 호스 클램프(210)의 외주 둘레에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유체 기밀에 도움이 된다. 외주 길이(L1)를 최소화하는 것은 밑에 있는 호스와 밴드(212) 사이의 접촉에 대한 중단과 차단을 감소시키거나 완전히 제거한다. 제 3 실시예에 대한 대안으로, 리세스는 감소된 외주 길이를 가지는 후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후크와 측벽의 테이퍼처리된 에지의 형태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호스 클램프(310)의 제 4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제 4 실시예의 호스 클램프(310)는 제 1 실시예의 호스 클램프(10)에 대해 유사점이 있고, 이들 유사점들 중 일부는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제 4 실시예에서의 고정 압력 회복 구성 및 효과는 제 1 실시예에서의 고정 압력 회복 구성 및 효과와는 다른 방법으로 제공된다. 특히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벨빌 와셔(Belleville washer)라고 알려진 다수의 절두-원추형 스프링 와셔의 형태로 제공되는데, 이 와셔는 웜 구동 부재(314)의 커버(326)와 스크루(330) 사이에서 서로에 대항하여 쌓아 올려져 있다. 쌓아 올려진 와셔는 제 1 와셔(311), 제 2 와셔(313), 제 3 와셔(315), 제 4 와셔(317), 제 5 와셔(319), 제 6 와셔(321), 제 7 와셔(323), 제 8 와셔(325), 제 9 와셔(327) 및 제 10 와셔(329)를 포함하는데, 이 와셔들은 스크루 헤드(352)의 플랜지 표면(351)과 커버(326)의 개방 자유 단부(343) 사이에서 서로 접하고 나란히 연속하여 정렬되어 있다. 제 1 와셔(311)는 개방 자유 단부(343)에 직접 접하고, 제 10 와셔(329)는 플랜지 표면(351)에 직접 접한다. 와셔들은 섕크(335)의 비나사산 구역(333)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와셔들 각각은 오목면(339)과, 반대쪽의 볼록면(341)을 가진다. 10개의 와셔들 중에서, 인접하는 와셔들은 총 5개의 쌍으로 짝을 이루고, 각각의 쌍은 그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345)를 가로질러 서로 대면하고 서로를 향하고 있는 오목면(339)들을 가진다. 도 7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면하는 오목면(339)은 최외측 단부의 원형 인터페이스에서 선 접촉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스프링은 헬리컬 스프링과 같은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헬리컬 스프링은 스크루와 밴드를 조이는 방향을 향하여 바이어스하기 위해서 스크루 둘레에 배치되거나 단지 스크루에 대항하여 배치된다. 다른 개수의 와셔들은 제공될 수 있어서, 거의 10개의 와셔를 포함할 수도 있고 단일의 와셔를 포함할 수도 있다. 와셔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것과는 달리 스크루의 반대쪽 단부를 포함하는 다른 위치의 스크루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헬리컬 스프링과 같은 다른 형태의 스프링의 경우에는, 스프링은 커버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스크루(330)를 회전하여 호스 클램프(310)를 조일 때, 제 1 와셔 내지 제 10 와셔(311-329)는 압축되고 서로를 향하여 측면방향으로 안쪽을 향하여 변위된다. 즉, 와셔는 개방 자유 단부(343)와 플랜지 표면(351) 사이에서 압착된다. 캐비티(345)의 크기는 각각의 와셔가 정지해 있을 때보다 더 큰 정도로 물리적으로 평평해질 때 축소된다. 압착된 와셔는 지속적인 힘과 장력을 스크루(330)와 커버(326)에 대하여 가하고, 이 힘과 장력은 잔존하고 고정 압력 회복 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밑에 있는 호스, 튜브 또는 이들 모두가 감소된 온도에 의해 크기가 축소된다면, 압착된 와셔는 측면방향으로 바깥쪽을 향하여 변위하고 팽창함으로써 이러한 수축을 수용한다. 스크루(330)는 적절히 이동하고, 밴드를 반경방향으로 수축하기 위해서 밴드(312)를 당기며, 호스 클램프(310)를 밑에 있는 약간 더 작은 호스와 튜브에 접하여 아래로 조인다. 이러한 방식으로, 호스 클램프(310)의 고정 압력은 실질적으로 회복되고 호스 클램프의 유효 수명이 지나서도 유지되며, 그 결과 효과적인 밀봉이 제공된다.
더욱이, 제 4 실시예에서, 스크루(330)는 종료 단부 캡(331)을 포함한다. 종료 단부 캡(331)은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고, 스크루(330)의 플랜지와 유사한 부분이고, 이는 와셔와 같이 커버의 반대쪽 측면 상에서 커버(326)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다. 스크루(330)를 회전하여 호스 클램프(310)를 조일 때, 종료 단부 캡(331)은 커버(326)에 대항하여 지지할 수 있는데, 이는 스크루가 회전되는 동안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보조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스크루가 커버의 내부에서 대체로 회전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도 7을 참조하면, 종료 단부 캡(331)에 바로 인접한, 섕크(335)의 비나사산 구역(337)은, 스크루가 조여지고 와셔가 측면방향으로 안쪽과 바깥쪽을 향하여 변위할 때, 제 2 개방 단부(344)를 지나는 스크루(330)의 움직임과 약간 제한된 범위의 길이방향 이동을 허용한다.
도 8에는 밴드(312)의 하면이 나타나 있고, 밴드와 웜 구동 메커니즘(314) 사이의 연결부가 나타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후크(366)는 제 4 실시예에서 밴드와 웜 구동 메커니즘 사이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실제로, 도 8에 나타나 있는 연결부와 후크(366)는, 도 2와 도 3에 나타나 있고 제 1 실시예에 설명되어 있는 후크(66)와 연결부와 동일한 것이다. 도 8에는 단지 후크(66, 366)의 다른 측면이 제공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후크(366)는 스스로 뒤로 접힌 새들(328)의 일체형 연장부이다. 후크(366)의 길이방향과 최대 치수는 대체로 밴드(312)의 외주를 따라 향하고 있고 후크(366)의 길이방향과 최대 크기는 대체로 밴드(312)의 외주를 따라간다. 후크(366)는 경사진 단부(368), 자유 단부(370), 제 1 축 단부(372) 및 제 2 축 단부(374)를 가진다. 후크(366)는 밴드(312) 내의 단일의 절결부(380)를 통과하여 뻗어 있고, 도 7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후크는 밴드의 내측 표면(320)에 대하여 구부려지고 밴드의 내측 표면(320)과 접하여 접촉한다. 이 실시예에서도, 밴드(312)는 전술된 아치형 프로파일을 가지고, 그 결과 후크(366)는 포켓(362) 내부에 접혀 있다. 도 8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후크(366)는 밴드의 제 1 축 단부(356)와 제 2 축 단부(358) 사이에 있는 밴드(312)의 하면에서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중심에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밴드는 전술된 아치형 프로파일을 가질 필요는 없고, 그 대신 스프링 와셔는 고정 압력 회복 효과를 적합한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을 뿐이다.
전술한 설명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한 설명이라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지만,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더욱이, 전술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은 특정 실시예에 관한 것이고, 어떤 용어나 표현이 위에서 명확하게 정의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범위에 관한 제한이나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에 관한 제한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여러 가지 다른 실시예, 및 개시된 실시예에 대한 여러 가지 변경과 수정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 변경 및 수정 모두는 첨부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도록 의도되어 있다.
이 명세서와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for example)", "예컨대(for instance)" 및 "~와 같은(such as)"이라는 용어와, "구비하는(comprising)", "가지는(having)", "포함하는(including)"이라는 동사 및 이와 다른 동사 형태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나 다른 아이템에 관한 목록과 함께 사용될 때 제한없는(open-ended) 것으로서 각각 이해되어야 하며, 이는 이 목록이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나 아이템을 배제하는 것으로서 여겨져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용어는 다른 해석을 필요로 하는 문맥으로 사용되지 않는다면 최광의의 타당한 의미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호스 클램프에 있어서,
    제 1 외주 단부, 제 2 외주 단부, 및 상기 제 1 외주 단부와 제 2 외주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슬롯을 가지는 밴드; 및
    상기 밴드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호스 클램프를 조이는 동작 동안 상기 밴드를 반경방향으로 수축시키도록 조작가능한 웜 구동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상기 밴드는 제 1 축 단부, 제 2 축 단부, 및 상기 제 1 축 단부와 제 2 축 단부 사이에 축방향 단면 프로파일이 대체로 아치형인 형상부를 가지고,
    상기 밴드는 대체로 아치형인 형상부에 의해 상기 밴드의 하면에 형성된 포켓을 더 가지고,
    상기 웜 구동 메커니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섕크를 가진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섕크는 상기 밴드의 반경방향 수축을 일으키기 위해서 상기 스크루의 회전시 상기 밴드의 상기 슬롯에 맞물리며,
    상기 웜 구동 메커니즘과 상기 밴드 사이의 연결부는 상기 포켓에 위치되어 있는 자유 단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시, 상기 밴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에 의한 실질적인 중단 없이 상기 밴드의 접촉 외주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밑에 있는 호스와 밀봉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제 1 축 단부에 있는 제 1 라운드 받침부와, 상기 제 2 축 단부에 있는 제 2 라운드 받침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라운드 받침부와 제 2 라운드 받침부는 상기 포켓에서의 상기 밴드에 의한 밀봉 접촉보다 밑에 있는 호스와 더 강한 밀봉 접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의 상기 자유 단부는 상기 호스 클램프의 중심 축에 대하여 반경방향 바깥쪽을 향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위치는 상기 밴드의 가장 반경방향 안쪽에 위치한 표면의 반경방향 바깥쪽 위치보다도 상기 중심 축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절결부를 가지고,
    상기 웜 구동 메커니즘은 새들을 포함하되, 상기 새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뻗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상기 포켓에서 상기 절결부를 통과하여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상기 절결부에 인접한 경사진 단부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의 상기 자유 단부와 상기 경사진 단부 사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대체로 상기 밴드의 외주를 따라 향하고 있고 상기 포켓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축방향 단면 프로파일이 대체로 아치형인 형상부는 첨단부를 가지고,
    상기 밴드는 상기 첨단부에 절결부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상기 절결부를 통과하여 뻗어 있고, 상기 첨단부에 인접한 상기 밴드의 상기 하면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제 1 절결부와 제 2 절결부를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제 1 후크와 제 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웜 구동 메커니즘과 상기 밴드 사이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제 1 후크는 상기 제 1 절결부를 통과하여 뻗어 있고 상기 제 2 후크는 상기 제 2 절결부를 통과하여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웜 구동 메커니즘은 측벽을 가지는 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뻗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상기 새들을 상기 밴드에 연결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축 단부 또는 제 2 축 단부 둘레에 뻗어 있고,
    상기 축 단부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의 측면방향 길이가 상기 측벽의 측면방향 길이보다 작도록, 상기 측벽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 사이의 전이부에는 리세스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웜 구동 메커니즘은 커버, 및 상기 새들의 탭 또는 상기 커버의 탭을 통하여 함께 연결되어 있는 새들을 포함하고, 상기 새들의 탭 또는 상기 커버의 탭은 상기 탭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커버 또는 상기 새들 중 다른 하나의 개구부 속에 삽입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스크루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새들은 상기 웜 구동 메커니즘에서 상기 밴드를 지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상기 새들로부터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축방향 프로파일이 대체로 아치형인 형상부는, 호스 클램프를 조이는 동작 동안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변위되고, 이로써 조이는 동작 후에 밑에 있는 호스에 대하여 힘을 가하여, 호스 클램프의 사용 동안 호스 클램프와 밑에 있는 호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12. 제 1 항에 있어서,
    호스 클램프의 사용 동안 호스 클램프와 밑에 있는 호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밴드의 반경방향 수축을 달성하도록 상기 스크루를 바이어스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스크루의 둘레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웜 구동 메커니즘에 대항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일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14. 호스 클램프에 있어서,
    제 1 외주 단부, 제 2 외주 단부, 및 상기 제 1 외주 단부와 제 2 외주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슬롯을 가지는 밴드;
    상기 밴드에 연결되어 있고, 호스 클램프를 조이는 동작 동안 상기 밴드를 반경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조작가능한 웜 구동 메커니즘; 및
    상기 밴드와 밑에 있는 호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하여 호스 클램프의 사용 동안 밑에 있는 호스에 대항하여 상기 밴드의 지속적인 반경방향 수축을 일으키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웜 구동 메커니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섕크를 가진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섕크는 상기 밴드의 반경방향 수축을 일으키기 위해서 상기 스크루의 회전 시 상기 밴드의 상기 슬롯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밑에 있는 호스가 호스 클램프의 사용 동안 온도 변동에 의한 크기 팽창과 수축을 겪을 때, 밑에 있는 호스에 대항하여 상기 밴드의 지속적인 반경방향 수축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밴드의 제 1 축 단부와 상기 밴드의 제 2 축 단부 사이에서 상기 밴드의 축방향 단면 프로파일이 대체로 아치형인 형상부에 의해서 구성되고,
    축방향 단면 프로파일은 호스 클램프를 조이는 동작 동안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변위되고, 이로써 조이는 동작 후에 밑에 있는 호스에 대하여 힘을 가하여, 상기 밴드와 밑에 있는 호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밴드와 밑에 있는 호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밴드의 반경방향 수축을 달성하도록 상기 스크루를 바어어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크루 둘레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밴드와 밑에 있는 호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웜 구동 메커니즘에 대항하여 지지하는 복수 개의 스프링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19. 호스 클램프에 있어서,
    제 1 외주 단부, 제 2 외주 단부, 및 상기 제 1 외주 단부와 제 2 외주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슬롯을 가지고, 제 1 축 단부, 제 2 축 단부, 및 상기 제 1 축 단부와 제 2 축 단부 사이에서 축방향 단면 프로파일이 대체로 아치형인 형상부를 가지는 밴드;
    상기 밴드에 연결되어 있고, 호스 클램프를 조이는 동작 동안 상기 밴드를 반경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조작가능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섕크를 가진 스크루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섕크는 상기 밴드의 반경방향 수축을 일으키기 위해서 상기 스크루의 회전시 상기 밴드의 상기 슬롯에 맞물리는 웜 구동 메커니즘; 및
    상기 밴드의 반경방향 수축을 달성하도록 상기 스크루를 바어어스하기 위하여 상기 웜 구동 메커니즘에 대항하여 지지되고 상기 스크루에 대항하여 지지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과 상기 밴드의 대체로 아치형인 형상부는, 상기 밴드와 밑에 있는 호스 사이의 밀봉을 유지하기 위하여 호스 클램프의 사용 동안 밑에 있는 호스에 대항하여 상기 밴드의 지속적인 반경방향 수축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크루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 개의 스프링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클램프.
KR1020147010869A 2011-09-23 2012-09-21 호스 클램프 KR102041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38233P 2011-09-23 2011-09-23
US61/538,233 2011-09-23
PCT/US2012/056672 WO2013044103A1 (en) 2011-09-23 2012-09-21 Hose cla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703A true KR20140078703A (ko) 2014-06-25
KR102041215B1 KR102041215B1 (ko) 2019-11-06

Family

ID=4790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869A KR102041215B1 (ko) 2011-09-23 2012-09-21 호스 클램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200737B2 (ko)
EP (1) EP2758701B1 (ko)
JP (1) JP6086918B2 (ko)
KR (1) KR102041215B1 (ko)
CN (1) CN103917817B (ko)
BR (1) BR112014006916B1 (ko)
IN (1) IN2014KN00792A (ko)
MX (1) MX352570B (ko)
WO (1) WO20130441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4717B2 (en) 2011-09-23 2017-01-03 Norma U.S. Holding Llc Hose clamp
RU2699270C1 (ru) * 2015-11-30 2019-09-04 Норма Ю.С. Холдинг Ллк Шланговый хомут
DE102017107727A1 (de) * 2017-04-10 2018-10-11 Norma Germany Gmbh Schlauchschelle
US20180340557A1 (en) * 2017-05-26 2018-11-29 Ideal Clamp Products, Inc. Hose clamp with indicator
US10823208B2 (en) * 2017-10-09 2020-11-03 Clamp-It LLC Band clamp
EP3828457B1 (de) * 2019-11-27 2023-07-19 Oetiker Schweiz AG Schlauchklemme
CN113803547A (zh) * 2021-09-03 2021-12-17 安徽宏源钢构有限公司 可拆卸式酸液管道接口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9304A (en) * 1975-06-04 1978-07-11 Tridon-Serflex S.A. Screw type clamping collar
WO1985002894A1 (en) * 1983-12-23 1985-07-04 Saab-Scania Aktiebolag Hose clip
WO1987000602A1 (en) * 1985-07-19 1987-01-29 Research Corporation Limited Hose clamp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700Y2 (ko) * 1986-09-15 1992-04-02
US4887334A (en) * 1988-03-10 1989-12-19 Band-It-Idex, Inc. Clamping assembly with side entry connection of a clamp unit to a band
JPH0623822Y2 (ja) * 1989-02-15 1994-06-22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ウォーム式ホースクランプ
JPH0323286U (ko) * 1989-07-19 1991-03-11
US5315737A (en) * 1992-06-29 1994-05-31 Serge Ouimet Worm drive clamp with band guide channels
JPH078689U (ja) * 1993-06-30 1995-02-07 株式会社土屋製作所 ダクトの連結構造
US5560087A (en) * 1993-07-21 1996-10-01 Stant Corporation Laterally secure hose-clamp assembly
SE500904C2 (sv) * 1993-09-15 1994-09-26 Aba Sweden Ab Anordning vid slangklämmor
US5809619A (en) * 1997-03-05 1998-09-22 Stant Corporation Hose clamp
US5787555A (en) * 1997-07-29 1998-08-04 Chen; Dian-Tai Structure of tube clamp
DE29818193U1 (de) * 1998-10-12 1998-12-24 Chen Dian Tai Schelle
JP2000240873A (ja) * 1999-02-25 2000-09-0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ホースクランプ
US20040098843A1 (en) * 2002-11-25 2004-05-27 Dian-Tai Chen Tube clamp
DE10359799A1 (de) 2003-12-19 2005-07-21 Rasmussen Gmbh Schlauchkupplung
US20060064854A1 (en) * 2004-09-27 2006-03-30 Dian-Tai Chen Hose clamp
US7178204B2 (en) * 2005-01-27 2007-02-20 Epicor Industries, Inc. Hose clamp and spring liner
SE528956C2 (sv) * 2005-09-06 2007-03-20 Aba Sweden Ab Fixering för slangklämma
USD574227S1 (en) * 2006-03-03 2008-08-05 Aba Of Sweden Ab Hose clamp
US7467442B2 (en) * 2007-04-06 2008-12-23 Dian-Tai Chen Hose clamp
DE102009051128A1 (de) * 2009-10-28 2011-05-05 Norma Germany Gmbh Schlauchschel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9304A (en) * 1975-06-04 1978-07-11 Tridon-Serflex S.A. Screw type clamping collar
WO1985002894A1 (en) * 1983-12-23 1985-07-04 Saab-Scania Aktiebolag Hose clip
WO1987000602A1 (en) * 1985-07-19 1987-01-29 Research Corporation Limited Hose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4103A1 (en) 2013-03-28
EP2758701A4 (en) 2015-07-22
US20130074290A1 (en) 2013-03-28
JP2014531564A (ja) 2014-11-27
MX2014003502A (es) 2015-06-02
JP6086918B2 (ja) 2017-03-01
EP2758701B1 (en) 2019-05-08
BR112014006916A2 (pt) 2017-04-11
KR102041215B1 (ko) 2019-11-06
BR112014006916B1 (pt) 2018-03-13
IN2014KN00792A (ko) 2015-10-02
CN103917817B (zh) 2017-04-12
EP2758701A1 (en) 2014-07-30
MX352570B (es) 2017-11-29
US9200737B2 (en) 2015-12-01
CN103917817A (zh)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8703A (ko) 호스 클램프
JP4582316B2 (ja) ホースクランプの保持構造
EP2494249B1 (en) Pipe coupling with seal pressing device
RU2406908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для трубы
US8430432B2 (en) Pipe coupling
JP2008095960A (ja) ホースクランプ
KR20050044634A (ko) 두 개의 튜브를 기밀하게 연결시키는 클램핑 시스템
CN106030179A (zh) 用于将pex管材与包括夹具的配件相连的连接系统
JP2011503467A (ja) ホースクランプ
US9534717B2 (en) Hose clamp
JP2007016990A (ja) ホースクランプの保持構造
KR102183108B1 (ko) 호스 클램프
JP4437613B2 (ja) ホース接続構造
JP6236340B2 (ja) 締付けバンド
US7948146B2 (en) Clip
CN108730650A (zh) 管道连接装置及管道组件
KR200451358Y1 (ko) 주름관 연결구용 패킹부재
US7651139B2 (en) Coupling for a fluid line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