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244A -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원격 버튼 제어 기술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원격 버튼 제어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244A
KR20140078244A KR1020120147397A KR20120147397A KR20140078244A KR 20140078244 A KR20140078244 A KR 20140078244A KR 1020120147397 A KR1020120147397 A KR 1020120147397A KR 20120147397 A KR20120147397 A KR 20120147397A KR 20140078244 A KR20140078244 A KR 20140078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ontrol
information
uni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김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영 filed Critical 김지영
Priority to KR1020120147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8244A/ko
Publication of KR20140078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31Sequential evaluation of plurality of criteria
    • B66B2201/232Sequential evaluation of plurality of criteria where the time needed for a passenger to arrive at the allocated elevator car from where the call is made is taken into accou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원격 제어 방법을 지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GPS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추적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에 도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알려줄 수 있으며, 또한 원격으로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원격 버튼 제어 기술 {Elevator positioning and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GPS를 장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서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추적하고 제어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에 관한 기술들을 제시한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기기들이 출 시되었으며, 그에 따른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출시되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몇번의 클릭만으로도 버스의 위치, 지하철 도착 예정 시간, 내일의 날씨를 알 수 있다.
나날이 발전해나가는 기술을 통하여 예전보다는 편리하게 생활하고 있지만, 그래도 현대인들은 아직 많은 부분에 있어서 미흡함을 느끼고 있다.
특히 시간적 여유가 없는 현대인들은 엘리베이터를 기다리는 시간, 버스를 기다리는 시간, 지하철을 기다리는 시간 등으로 시간을 허비하고 싶지 않아 하며, 조금이라도 시간을 이런 곳에 소비되는 단축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추적하고, 미리 이동통신 단말기로써 엘리베이터 버튼을 눌러서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요구가 많아 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엘리베이터에 GPS를 달아서 엘리베이터의 위치 각 이동통신 단말기에 송신하여 그 건물 내 어떤 엘리베이터를 타는 것이 시간상 효율적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엘리베이터에 직접 가서 버튼을 누르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편하고 빠르게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제어 장치는 한 개 이상의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추적하는 GPS, GPS로 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와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에 따라 시간을 계산해주고 이러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게 전달해주는 중간부, 또한 목적지를 입력받고, 결과를 출력하며 제어버튼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 신호를 받아와서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 제어된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면 그에 맞는 한 개 이상의 엘리베이터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그에 따라 걸리는 시간을 계산하는 단계, 계산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송신해주는 단계, 사용자에게 시간 정보를 출력해주는 단계, 만일 제어버튼을 클릭 혹은 터치했을 시에는 제어정보를 받아오는 단계, 받아온 제어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정보에 따른 곳을 제어하는 단계, 제어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목적지를 입력하고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한 뒤 위치를 확인하여 엘리베이터의 도착 예정 시간을 알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해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위치를 확인하여 원격으로 엘리베이터를 제어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위치추적 및 제어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위치추적 및 제어장치의 순서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전달하다" 또는 "보내다" 라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도 있지만, 적외선 통신을 통하여 정보가 전달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엘리베이터 위치추적 및 제어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이 장치는 엘리베이터(110), 중간부(120) 이동통신단말기(130), 기능부(140)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110)는 엘리베이터GPS(111)와 스위치(112)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GPS(111)는 엘리베이터(110)의 위치를 추적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중간부(120)의 정보수집부(121)로 전달한다. 이때 엘리베이터GPS(111)는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112)는 직접적인 엘리베이터 사용자가 엘리베이터(110)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들을 가지고 있다.
중간부(120)는 정보수집부(121), 계산부(122), 송신부(123)를 포함하고 있다.
정보수집부(121)는 이동통신 단말기(130)의 입력부(131)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아오고 엘리베이터GPS(111)를 통해 얻은 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계산부(122)는 정보수집부(121)에서 얻어진 1개 이상의 정보들을 가지고 목적지까지 엘리베이터(110)가 도착하는 시간을 계산한다.
그리고 송신부(123)는 이러한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30)로 보내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30)는 입력부(131), 정보 출력부(132), 제어버튼(133)을 포함하고 있다.
입력부(131)는 사용자가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하며, 정보수집부(121)에게 이러한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정보출력부(132)는 송신부(123)에서부터 받아온 한개 이상의 정보를 출력한다.
제어버튼(133)은 정보출력부(132)의 정보를 본 사용자가 엘리베이터(110)를 제어할지 안할지 판단하여, 제어할 경우에 사용하는 버튼이며 제어버튼을 얼마나 오래 누르고 있느냐는 제어의 시간에 영향을 주지않으며 제어버튼으로 제어의 유무만 선택할 수 있다.
기능부(140)는 조작부(141)와 디스플레이부(142)를 포함한다.
도 2는 기능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기능부(140)의 조작부(141)는 수신부(210), 제어부(220), 작동부(23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130)의 제어버튼(133)으로부터 정보를 받아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어부(220)는 수신부(210)가 받아온 정보를 바탕으로 어디를 어떻게 제어할 것인지 판단하며, 동일한 제어가 또 들어올 시에는 제어되어 있던게 취소가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작동부(230)는 제어부(220)의 제어명령을 받아서 상층탑승작동버튼(231)과 하층탑승작동버튼(232)을 제어하는 실질적 제어기능을 한다.
기능부(140)의 디스플레이부(142)는 상층탑승디스플레이(241)와 하층 탑승디스플레이(242)를 포함하며, 이들은 상,하층탑승작동버튼(231,232)이 눌려있을 시 상태를 보여주는 기능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위치추적 및 제어장치의 순서도이다.
단계(S310)에서는 사용자가 목적지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한다.
단계(S320)에서는 목적지가 포함된 건물의 엘리베이터 내에 부착되어 있는 GPS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정보통신부에 전달한다.
단계(S330)에서는 계산부에서 현재 엘리베이터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시간을 계산한다.
단계(S340)에서는 계산된 정보를 송신부를 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달한다.
단계(S350)에서는 중간부로부터 받은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출력부에 출력한다.
만약 단계(S360)에서 엘리베이터를 제어한다면, 다음 단계(S370)로 넘어간다.
단계(S370)에서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어한 내용에 대한 정보가 조작부분의 수신부로 전달된다.
단계(S380)에서는 송신 받은 내용을 제어부에서 확인하여 어디를 어떻게 제어할 지 분석한다.
단계(S390)에서는 제어부에서 분석한 정보를 가지고 작동부에서 엘리베이터 버튼을 실직적으로 제어하고 그와 동시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다.
만약 단계(S360)에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지 않는다면, 엘리베이터 위치추적 및 제어장치는 종료된다.
110 : 엘리베이터 111 : GPS 수신부
112 : 엘리베이터 스위치 120 : 중간부
121 : 정보 수집부 122 : 계산부
123 : 송신부 130 : 이동통신 단말기 131 : 입력부 132 : 정보출력부 133 : 제어버튼 140 : 기능부
141 : 작동부 142 : 디스플레이부
210 : 수신부 220 : 제어부
230 : 작동부 231 : 상층탑승작동버튼
232 : 하층탑승작동버튼 241,242 : 상층, 하층 탑승디스플레이

Claims (9)

  1.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제어장치에 있어서, 위치 확인을 위한 엘리베이터 GPS; 정보를 받아와 시간을 계산하고 시간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보내수는 중간부; 목적지 입력 및 정보출력 및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정보를 받아오고 조작하고 제어를 보여주는 기능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상기 엘리베이터GPS를 통해 얻은 정보를 통해 상기 엘리베이터의 위치를 수신받아와 시간을 계산하고 정보를 송신해주는 위치 추적 및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목적지를 입력받아와 상기 중간부에게 목적지를 알려주는 입력부; 계산된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 제어버튼을 포함하는 위치 추적 및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부는
    제어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정보를 받아오고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조작부;제어의 상태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제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어에 대한 정보를 받아와서 제어를 확인한 후 제어에 맞게 엘리베이터 스위치를 작동시켜주는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층제어를 보여주는 상층탑승디스플레이부과 하층제어를 보여주는 하층탑승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제어시 디스플레이부에 빨간 불이 들어오는 것이 특징인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제어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아오고 상기 엘리베이터 GPS를 통해 얻은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부; 현재 엘리베이터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시간을 계산하는 계산부;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송신해주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위치 추적 및 제어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제어에 대한 정보를 받아오는 수신부; 받아온 정보를 토대로 엘리베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를 작동시키는 상층탑승버튼과 하층탑승버튼이 있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제어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한번 제어 발생 후 또 한번의 중복 제어가 들어오면 제어했던 것이 취소되며, 제어자가 버튼을 누르는 시간만큼 상기 엘리베이터가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제어자가 제어의 유무만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제어장치.


KR1020120147397A 2012-12-17 2012-12-17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원격 버튼 제어 기술 KR20140078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397A KR20140078244A (ko) 2012-12-17 2012-12-17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원격 버튼 제어 기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397A KR20140078244A (ko) 2012-12-17 2012-12-17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원격 버튼 제어 기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244A true KR20140078244A (ko) 2014-06-25

Family

ID=51129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397A KR20140078244A (ko) 2012-12-17 2012-12-17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원격 버튼 제어 기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82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601A1 (ko) * 2020-06-05 2021-12-09 임운학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KR20220066716A (ko) * 2020-11-16 2022-05-24 최창현 엘리베이터 원격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46601A1 (ko) * 2020-06-05 2021-12-09 임운학 엘리베이터 조작 시스템
KR20220066716A (ko) * 2020-11-16 2022-05-24 최창현 엘리베이터 원격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362270B (es) Dispositivo de despliegue, dispositivo de control remoto para controlar el dispositivo de despliegue, metodo para controlar el dispositivo de despliegue, metodo para controlar el servidor y metodo para controlar el dispositivo de control remoto.
CN109071151B (zh) 用于移动装置和固定显示器的电梯分配
CN109384112B (zh) 建筑物使用者的动态信息显示
US20130115587A1 (en) Emergency command system and method
MY165707A (en) Customized elevator passenger interface
CN104122999B (zh) 智能设备交互方法及系统
CN105960372A (zh) 供电梯使用的智能表
JP2018018533A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端末装置、制御装置、および車両運行管理方法
CN108068846B (zh) 一种地铁乘车调度方法及移动终端
MX346510B (es) Sistema de control remoto, control remoto, dispositivo de pantalla y método de control remoto.
KR20110128096A (ko) 건물 환경 정보를 사용한 증강 현실 구현 시스템 및 그 방법
EP3195001B1 (en) Local navigation system
KR20140078244A (ko) 엘리베이터 위치 추적 및 원격 버튼 제어 기술
KR2013013663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소규모지역 또는 건물의 안내방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80176140A1 (en) Method, server, and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O2012008755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emote user interface and system for the same
JP2014203192A (ja)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端末装置、制御装置、および車両運行管理方法
KR102282909B1 (ko) 버스 하차벨 원격 시스템
KR101370507B1 (ko) 교통 약자를 위한 버스 탑승 안내 시스템
JP2007184738A (ja) 位置管理システム
KR101748777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안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내 방법
CN109076268B (zh) 管理装置以及空调系统
CN104243908A (zh) 用于安全系统的免持用户接口
KR102056937B1 (ko) 반지를 이용한 긴급 구조 시스템
KR100865149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