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8097A -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8097A
KR20140078097A KR1020120147052A KR20120147052A KR20140078097A KR 20140078097 A KR20140078097 A KR 20140078097A KR 1020120147052 A KR1020120147052 A KR 1020120147052A KR 20120147052 A KR20120147052 A KR 20120147052A KR 20140078097 A KR20140078097 A KR 20140078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ood waste
garbage
food
bubble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7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to KR1020120147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8097A/ko
Publication of KR20140078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8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에서 버블(bubble)을 발생하여 악취를 제거하고, 미관을 개선하여 주변 환경에 동화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는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내장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내부로 악취 제거용 버블을 발생하는 버블 발생기; 상기 버블 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System for collecting food wast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수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에서 버블(bubble)을 발생하여 악취를 제거하고, 수거장치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특히, 음식물 쓰레기) 배출과 관련한 과금 방법은 각 음식물 쓰레기통에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에 대한 산정이 어려웠던 관계로 각 가정별로 일률적으로 과금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과금 방법은 실제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과 무관하게 일률적으로 비용이 부과되어 형평성 논란에 휩싸이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형평성 논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이 종량제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이다. 이러한 종량제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는 지역 및 배출주체별(공동주택, 단독주택, 상가, 기타)로 일반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량을 정확하게 집계 및 계근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배출량에 따라 차등적으로 과금을 하도록 한 방식이다.
종량제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이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0-1149076호(2012.05.16)(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0-1166551호(2012.07.11)(발명의 명칭: 충전카드식 쓰레기처리 시스템),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0990456호(2010.10.21)(발명의 명칭: RFID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수거방법),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12-00623372호(2012.06.14)(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0859012호(2008.09.10)(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12-0030122호(2012.03.27)(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12-0012670호(2012.02.10)(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11-0138854호(발명의 명칭: 쓰레기 수거 장치),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11-0002945호(2011.12.29)(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155425호(2012.06.05)(발명의 명칭: 쓰레기처리 관제시스템에 사용되는 쓰레기수거장치),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10-2011-0085016(2011.07.27)(종량제 쓰레기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10-2011-0026721호(2012.03.07)(발명의 명칭: 충전카드를 이용한 종량제 쓰레기 처리장치),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10-2009-0036488호(2009.04.14)(발명의 명칭: 음식물류쓰레기 배출수수료 부과장치),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10-2008-0010106(2008.01.30)(발명의 명칭: 전자카드 개폐형 음식물쓰레기 수거통),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10-2012-0003234(2012.05.09)(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호퍼장치),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10-2011-0000257(2011.01.10)(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호퍼장치),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155269호(2012.06.04)(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호퍼장치),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145908호(2012.05.07)(발명의 명칭: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장치),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113174호(2012.01.31)(발명의 명칭: 음식물류 폐기물 수거장치),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0947312호(2010.03.05)(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0869348호(2008.11.12)(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용 수거용기)에 개시된다.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0-1149076호(2012.05.16) 2.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0-1166551호(2012.07.11) 3.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0990456호(2010.10.21) 4.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12-00623372호(2012.06.14) 5.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0859012호(2008.09.10) 6.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12-0030122호(2012.03.27) 7.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12-0012670호(2012.02.10) 8.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11-0138854호 9.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10-2011-0002945호(2011.12.29) 10.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155425호(2012.06.05) 1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10-2011-0085016(2011.07.27) 12.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10-2011-0026721호(2012.03.07) 13.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10-2009-0036488호(2009.04.14) 14.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10-2008-0010106(2008.01.30) 15.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10-2012-0003234(2012.05.09) 16.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10-2011-0000257(2011.01.10) 17.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155269호(2012.06.04) 18.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145908호(2012.05.07) 19.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113174호(2012.01.31) 20.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0947312호(2010.03.05) 2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0869348호(2008.11.12)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음식물 쓰레기에 대해서 종량제 방식으로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으며, 수거장치의 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에서 버블(bubble)을 발생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고, 수거장치의 미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는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내장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내부로 악취 제거용 버블을 발생하는 버블 발생기;
상기 버블 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무게 감지부에서 감지된 무게와 이전에 저장된 무게를 비교하여 상기 버블 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장치는 현재 감지된 무게가 증가한 경우에만 상기 버블 발생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버블 발생기는 음식물 쓰레기의 상부에 버블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는 이물질이 상기 본체에 유입되거나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의 도어가 설정 시간 이상으로 열린 경우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 음성을 송출하는 음성 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 방법은,
(a)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가 인식될 경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감지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무게와 메모리에 기저장된 이전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무게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버블 발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단계는 (c-1) 현재 감지한 무게와 메모리에 기저장된 무게를 비교하는 단계;
(c-2) 상기 현재 감지한 무게가 상기 기저장된 무게보다 클 경우 현재 감지한 무게를 기저장된 무게로 저장하는 단계;
(c-3) 버블 발생기를 동작시켜 음식물 쓰레기 상부로 버블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의 상부에 버블을 발생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한 악취가 외부로 새어나와 주위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거장치의 미관을 미려하게 개선함으로써, 주변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 주변환경과 융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예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단면도로서, 본체(101), 전면 도어(102), 이물질 방지수단(103), 도어(104), 음식물쓰레기 수거함(105), 버블 발생기(106), 무게 감지부(107), 제어장치(110)로 구성된다.
본체(101)에는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105)이 내장되며, 상기 본체(101)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105)의 내부로 악취 제거용 버블을 발생하는 버블 발생기(106)가 구비된다. 여기서 버블 발생기(106)는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함(105)의 내부에 발생한 버블을 용이하게 투사하기 위해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함(105)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 도어(102)는 본체(101)에 내장된 음식물쓰레기 수거함(105)을 인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도어(104)는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함(105)에 음식물을 투척할 수 있는 공간을 열고 닫기 위한 역할을 한다.
이물질 방지수단(103)은 상기 본체(101)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1)에 빗물이나 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쌓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101)의 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 감지부(107)가 내장되는 데, 이러한 무게 감지부(107)는 음식물쓰레기 수거함(105)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게 감지부(107)는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무게 측정 센서들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로드 셀을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로드 셀의 출력은 본체(101)에 내장된 제어장치(110)에 제공된다.
상기 제어장치(110)는 상기 무게 감지부(107)에서 감지된 무게와 이전에 저장된 무게를 비교하여 상기 버블 발생기(106)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어장치(11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용 프로그램이 내장되며 측정된 음식물쓰레기 무게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11),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2), 도어 열림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 감지부(115), 일정 시간 이상시 동어 열림을 경고해주기 위한 음성을 송출하는 음성 안내부(113), 스피커(11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량제 음식물 수거를 위해 사용자를 인식하는 인식부(108)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인식부(108)는 RFID 태그 방식일 경우 RFID 리더기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카드를 사용할 경우 카드 리더기가 될 수 있다. 이 밖에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다양한 식별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는 초기에 로드 셀로 이루어진 무게 감지부(107)에서 본체(101)에 내장된 음식물쓰레기 수거함(105)의 무게를 측정하여 메모리(111)에 음식물쓰레기 무게로 저장한다. 이때 음식물쓰레기 수거함(105)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전혀 없는 상태이고, 단순히 음식물쓰레기 수거함(105)의 무게만을 측정하여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기 위해서 리더기에 태그 또는 카드 등을 근접시키거나(비접촉식) 접촉시키면(접촉식), 인식부(108)에서 사용자를 인식한 후 인식 정보를 제어부(112)에 전달한다.
제어부(112)는 전달되는 사용자 인식정보를 메모리(111)에 저장한다. 여기서 미리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를 몰래 음식물쓰레기 수거함(105)에 버릴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112)에서 인식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일 경우에는 자동으로 본체(101)의 상부에 구비된 도어(104)를 록킹시킨다. 그리고 음성 안내부(113)를 통해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라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를 사용할 수 없음을 음성으로 안내해주게 된다. 이러한 가정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등록된 사용자만이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하고 설명한다.
사용자 인식정보를 메모리(111)에 저장한 후, 도어(104)가 열리고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를 투척하고 도어(104)를 닫게 되면, 음식물쓰레기 수거함(105)의 하부에 구비된 무게 감지부(107)에서 음식물쓰레기 수거함(105)의 무게를 측정한다. 여기서 측정한 무게 값이 음식물쓰레기 무게 값이 된다. 사용자가 버린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정확히 산출하기 위해서는 이전에 메모리(111)에 기저장된 음식물쓰레기 무게 값과 현재 측정한 음식물쓰레기 무게 값을 비교하여 그 차이 값을 산출하면 된다.
여기서 제어부(112)는 사용자가 도어(104)를 열은 시점부터 내부 카운터를 동작시켜 시간의 경과를 확인하게 되고, 이 확인 결과 미리 정해진 일정 시간이 경과했는데도 상기 도어(104)가 닫히지 않게 되면 음성 안내부(113)를 통해 도어 열림을 경고해주게 된다. 상기 일정 시간은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를 버린 사용자는 음식물쓰레기를 버린 후 도어(104)를 닫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경고 음을 통해 이를 인지하고 도어(104)를 다게 된다.
한편, 제어부(112)는 상기 측정한 현재 음식물쓰레기의 무게 값(W)과 메모리(111)에 기 등록된 이전 음식물쓰레기의 무게 값(PW)을 비교하여, 현재 음식물쓰레기 무게 값(W)이 상기 이전 음식물쓰레기의 무게 값(PW)보다 클 경우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를 버린 것으로 판단하고, 버블 발생기(106)를 동작시킨다.
버블 발생기(106)는 제어부(1120의 제어에 따라 소정 시간 동안 상기 음식물쓰레기 수거함(105)의 내부에 버블을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하는 버블은 음식물쓰레기의 상부를 덮게 되고, 이로써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주변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버블로 음식물쓰레기를 덮어 악취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면, 다른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도어(104)를 연 경우에도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맡을 수 없게 되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해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버블 발생 시간은 투척한 음식물쓰레기의 량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2)는 음식물쓰레기의 변화량을 보고 그 변화량이 심한 경우에는 버블 발생 시간을 길게 하고, 상기 변화량이 적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버블 발생 시간을 짧게 하여, 버블 발생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버블의 크기는 다양하나, 본 발명에서는 직경이 수십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매우 미세한 초미세기포인 마이크로 버블 크기를 이용한다. 미세한 공기 방울 입자인 버블은 반도체 웨이퍼의 식각 및 세척 공정, 정화시설, 양식장, 세탁기, 욕실 등에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 버블이 욕실에서 사용될 경우, 물속에 용존된 공기(산소버블)가 피부에 스며들어 모공속 피지, 모낭충, 노폐물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 버블은 그 자체로 목욕 및 마사지의 효과를 제공하여 앞으로 그 사용은 일반 가정에서도 늘어날 전망이다.
상기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방법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물과 공기를 비교적 높은 압력으로 오리피스 등과 같은 감압부에 통과시켜, 물속에 용존된 공기가 상기 감압부에 의해 무수히 작은 입자로 쪼개져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마이크로 버블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된 버블 발생기(106)도 이러한 통상적인 버블 발생기를 이용한다.
<실시 예2>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S는 단계(step)를 나타내고, 도 3의 제어부(112)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름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제어방법은 (a)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S101), (b) 상기 사용자가 인식될 경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S102), (c) 상기 감지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무게(W)와 메모리에 기저장된 이전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무게(PW)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버블 발생을 제어하는 단계(S103 ~ S105)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c)단계는 (c-1) 현재 감지한 무게(W)와 메모리에 기저장된 무게(PW)를 비교하는 단계(S103), (c-2) 상기 현재 감지한 무게(W)가 상기 기저장된 무게(PW)보다 클 경우 현재 감지한 무게(W)를 기저장된 무게(PW)로 저장하는 단계(S104), (c-3) 버블 발생기를 동작시켜 음식물 쓰레기 상부로 버블을 발생하는 단계(S105)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제어방법은 단계 S101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기 위한 사용자가 인식되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사용자 인식은 미리 사용자에게 등록을 하고, 사용자 식별을 위한 태그나 카드 등을 부여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인식되면 그 인식된 사용자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과금을 위해), 단계 S102에서 사용자가 버린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감지한다. 이렇게 감지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무게를 W라 한다.
이후 단계 S103에서 상기 현재 감지한 무게(W)와 메모리에 기저장된 이전 음식물쓰레기의 무게(PW)를 비교한다. 여기서 메모리에는 이전에 측정한 음식물쓰레기 무게가 저장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 비교 결과 현재 감지한 무게(W)가 메모리에 기저장된 이전 무게(PW)보다 크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투척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을 하고, 무게 감지 단계(S102)로 리턴을 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현재의 무게(W)가 상기 이전 무게(PW)보다 클 경우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를 투척한 것으로 판단을 하고, 단계 S104로 이동하여 현재 감지한 무게(W)를 이전 무게(PW)로 저장한다. 이때 현재 무게와 이전 무게와의 차이 값을 산출하고, 그 차이 값을 사용자가 버린 음식물쓰레기 량으로 책정하여 상기 저장한 사용자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추후 사용자가 버린 음식물쓰레기 량을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과금을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단계 S105로 이동하여 버블 발생기를 구동시켜 버블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버블 량은 주지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린 음식물쓰레기의 량에 따라 비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버린 음식물쓰레기의 량이 많으면 버블 발생량이 증가하도록, 버린 음식물쓰레기의 량이 적으면 상대적으로 발생하는 버블 량이 감소하도록 버블 발생기의 구동 시간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게 되면, 그 음식물쓰레기의 상부에 버블을 발생시킴으로써,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한 악취가 유출되어 주변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거나, 다른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기 위해서 도어를 열었을 경우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로 인해 겪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101… 본체
102… 전면 도어
103… 이물질 방지수단
105… 음식물쓰레기 수거함
106… 버블 발생기
107… 무게 감지부

Claims (9)

  1.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이 내장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내부로 악취 제거용 버블을 발생하는 버블 발생기;
    상기 버블 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무게 감지부에서 감지된 무게와 이전에 저장된 무게를 비교하여 상기 버블 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현재 감지된 무게가 증가한 경우에만 상기 버블 발생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블 발생기는 음식물 쓰레기의 상부에 버블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투척되는 음식물쓰레기의 량에 따라 버블 발생량을 비례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물질이 상기 본체에 유입되거나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수거함의 도어가 설정 시간 이상으로 열린 경우를 경고하기 위한 경고 음성을 송출하는 음성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8.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를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가 인식될 경우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무게를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감지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무게와 메모리에 기저장된 이전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의 무게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버블 발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제어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현재 감지한 무게와 메모리에 기저장된 무게를 비교하는 단계;
    (c-2) 상기 현재 감지한 무게가 상기 기저장된 무게보다 클 경우 현재 감지한 무게를 기저장된 무게로 저장하는 단계;
    (c-3) 버블 발생기를 동작시켜 음식물 쓰레기 상부로 버블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제어방법.

KR1020120147052A 2012-12-17 2012-12-17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78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052A KR20140078097A (ko) 2012-12-17 2012-12-17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7052A KR20140078097A (ko) 2012-12-17 2012-12-17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8097A true KR20140078097A (ko) 2014-06-25

Family

ID=51129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7052A KR20140078097A (ko) 2012-12-17 2012-12-17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80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9105A (zh) * 2016-09-05 2016-12-14 北京三辰环卫机械有限公司 餐厨垃圾收集系统和收集方法
KR20220086758A (ko) * 2020-12-16 2022-06-2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물 수거 경로 탐색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9105A (zh) * 2016-09-05 2016-12-14 北京三辰环卫机械有限公司 餐厨垃圾收集系统和收集方法
KR20220086758A (ko) * 2020-12-16 2022-06-24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폐기물 수거 경로 탐색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908B1 (ko) 음식물쓰레기 계량장치
CN109230031A (zh) 垃圾分类回收系统
KR100993983B1 (ko)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CN106653014A (zh) 智能家居的语音控制方法和智能家居的语音控制装置
KR101017284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KR101482535B1 (ko) 슬라이딩 도어와 악취제거 기능을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N109165811A (zh) 社区垃圾处理方法、系统、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302962B1 (ko) Rfid 음식물 개별 계량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10847A (ko) Rfid기반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개별 계량 및 수거장치
KR20120107427A (ko) 조작자 제어 이벤트의 센서 검출 방법
KR100854117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N110897555A (zh) 垃圾分类方法、装置、介质和电子设备
KR20150133579A (ko) 재활용품 및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 관리 서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20140078097A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99780B1 (ko) 상부 중량측정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371230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517037A (zh) 智能透视分类垃圾桶的垃圾分类监管方法及装置
CN215324729U (zh) 一种垃圾主动分类回收设备
CN207192003U (zh) 物联网智能无臭味垃圾分类装置
CN115349776B (zh) 检测扫地机状态的方法、装置、扫地机及存储介质
CN202809780U (zh) 一种厕所用多功能冲水控制器
JP2016141499A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
KR102052323B1 (ko) 스마트 쓰레기 관리 시스템
CN212580676U (zh) 一种多层级减轻异味的智能垃圾桶
KR100958105B1 (ko) 쓰레기 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