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6666A -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6666A
KR20140076666A KR1020120144108A KR20120144108A KR20140076666A KR 20140076666 A KR20140076666 A KR 20140076666A KR 1020120144108 A KR1020120144108 A KR 1020120144108A KR 20120144108 A KR20120144108 A KR 20120144108A KR 20140076666 A KR20140076666 A KR 20140076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display unit
time
viewab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898B1 (ko
Inventor
김효민
안성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898B1/ko
Publication of KR20140076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6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04N5/58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in dependence upon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는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밝기와 센싱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청 가능 시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시력 보호 모드(eye care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image output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켜주기 위한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TV를 포함하여 노트북, 스마트폰, 디지털 사이지니 장치, 프로젝터 등의 다양한 영상 출력 장치들이 상용화되어 있다. 이러한 영상 출력 장치들을 통하여 영상을 장시간 시청할 경우 시청자의 눈의 피로도가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시청자의 시력 자체가 나빠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여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에 영상 출력 상태를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는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여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에, 장시간 영상 시청으로 인한 눈의 피로가 누적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나아가 영상 출력 상태를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주변의 밝기를 센싱하는 제1 센싱 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와 상기 센싱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청 가능 시간을 누적 시청 시간과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시력 보호 모드(eye care mode)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비교 결과를 반영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은, 제1 센싱 수단을 통하여 주변의 밝기를 센싱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의 밝기와 상기 센싱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청 가능 시간을 누적 시청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시력 보호 모드(eye care mode)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비교 결과를 반영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력 보호 모드라 함은 상기 영상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영상 출력 장치와 상기 주변의 밝기의 차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모드를 말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영상을 시청하였다는 알림, 시청 가능 시간 알림, 시력 보호 모드 진입 알림, 시력 보호 모드 진입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기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여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에 영상 출력 상태가 변경되어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 누적도가 완화될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시력 저하가 완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장시간 영상 시청으로 인한 눈의 피로가 누적되었음을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장시간 영상 시청 시에 상기 영상 출력 장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출력 상태를 눈의 피로도의 누적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의 블락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평균 밝기와 주변의 밝기의 차이와 영상 시청자의 눈의 피로도 및 시청 가능 시간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에 따라서, 영상 출력 장치(100)의 밝기와 주변의 밝기에 따른 시청 가능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의하여 산출되는, TV의 휘도가 100 cd/m2인 경우의 시청 가능 시간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의하여 산출되는, TV의 휘도가 300 cd/m2인 경우의 시청 가능 시간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되는, TV의 휘도가 500 cd/m2인 경우의 시청 가능 시간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에 따라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에서 시청자의 영상 시청 여부를 판단하는 예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영상 출력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의 블락도(block diagram)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영상 출력 장치에는 TV, 모니터, 노트북, 스마트폰, 프로젝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는 통신부(110), A/V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음향 출력부(160), 메모리(170), 전원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영상 출력 장치(100)는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통신부(110)는 영상 출력 장치(100)와 통신 네트워크 사이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AV 입력부(120)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마이크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영상 출력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거나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 주변 환경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140)에 의하여 센싱된 데이터는 영상 출력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초가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영상 출력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부(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부(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flexible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영상을 소정의 편광각으로 필터링하여 출력하는 편광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사용자가 3차원 입체 영상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하여 편광 안경 방식, 셔터 글라스 방식에 따른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3차원 입체 영상 구현을 위한 방식이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향 출력부(160)는 영상 출력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6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출력부(160)는 이어폰잭을 통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9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 및 그에 대응되는 음향 데이터를 일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70)에는 색약의 종류에 따라서 정상인용 영상 데이터를 색약자용 영상 데이터로 전환하기 위한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출력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190)는 통상적으로 영상 출력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190)는 영상 출력 장치(100)의 시청자의 시력을 보호하기 위한 영상 출력 상태 제어 기능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상기 제어부(190)가 시청자의 시력 보호를 위하여 영상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모드를 시력 보호 모드라 명명한다. 시력 보호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90)는 영상 출력 장치(100)를 통하여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와 상기 주변의 밝기의 차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시청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면, 사용자가 일정 시간 이상 영상을 시청하였다는 알림, 시청 가능 시간 알림, 시력 보호 모드 진입 알림, 시력 보호 모드 진입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90)의 기능 수행은 향후 도 2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 본다.
전원부(19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9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제어부(19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의 시청자의 시력을 보호하기 위한 영상 출력 상태 제어 기능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기능을 살펴 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영상이 출력되면, 제어부(190)는 영상 출력 장치(100) 주변의 밝기를 센싱하도록 센싱부(140)를 제어한다(S10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주변의 밝기와 디스플레이부(150)의 밝기에 기초하여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한다(S110). 참고로, 본 명세서의 영상 출력 장치(100)의 밝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밝기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주변의 밝기와 디스플레이부(150)의 밝기는 시청자가 영상 시청을 시작한 시점부터의 평균 밝기일 있다. 한편, 시청 가능 시간이라 함은 시청자의 영상 출력 장치(100)의 눈의 피로도와 영상 출력 장치의 밝기 및 주변의 밝기를 고려하여 산출되는 값으로, 시청자의 시력 저하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영상 출력 장치(100)에서 추천하는 시청시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청 가능 시간의 산출 방법은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주변의 발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밝기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아래의 수학식 1은 영상 출력 장치(100) 주변의 밝기와 영상 출력 장치(100)의 밝기의 차이를 계산하는 과정의 일예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보다 상세하게는, 수학식 1은 주변의 발기(즉, 조도)가 200 lux이고 영상 출력 장치(100)의 밝기가 200 cd/m2인 경우, 이를 휘도로 환산할 경우,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가 226.4 cd/m2 더 밝은 것을 나타낸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주변의 밝기와 주변의 조도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영상 출력 장치(100)의 밝기와 영상 출력 장치(100)의 휘도 역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시청 가능 시간을 누적 시청 시간과 비교하고(S120),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하거나 상기 비교 결과를 반영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한다(S130).
시력 보호 모드라 함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0)의 밝기와 그 주변의 밝기의 차이를 줄임으로써 시청자의 눈의 피로도의 누적을 완화시키는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영상 출력 모드를 말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구동 방법을 일정 시간을 주기하여 정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방법에 수행되는 주기는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 출고 시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0)의 평균 밝기와 주변의 밝기의 차이와 영상 시청자의 눈의 피로도 및 시청 가능 시간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0)의 평균 밝기와 주변의 밝기의 차이가 증가할수록 시청자의 눈의 피로도는 증가하고 시청 가능 시간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50)의 평균 밝기와 주변의 밝기의 차이가 작을수록 사용자는 눈의 피로를 덜 느끼게 된다.
이를 참조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는 시력 보호 모드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의 밝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영상 출력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시청자의 눈의 피로도의 누적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가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밝기와 주변의 밝기 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에는, 디스플레이부(150)가 백 라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백 라이트의 밝기를 제어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영상 출력 장치(100)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디스플레이부로 포함하는 TV, 모니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상 출력 장치가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밝기와 주변의 밝기 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에는, 디스플레이부(150)로 제공되는 영상 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에서 영상 출력 장치(100)의 밝기와 주변의 밝기 차이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영상 출력 장치(100) 구동 방법에 따라서, 영상 출력 장치(100)의 밝기와 주변의 밝기에 따른 시청 가능 시간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참고로 도 4에서는 영상 출력 장치(100)는 TV로 구현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하는데 이용된 공식인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살펴본다. 참고로, 수학식 2 및 수학식 3는 TV의 최대 시청 가능 시간을 3시간으로 가정하고 주변의 밝기와 TV(100)의 밝기에 기초하여 시청 가능 기간을 계산한 것이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서 TV(100)의 밝기와 주변의 밝기의 비율에 곱해지는 2 시간을 미리 정해진 최대 시청 가능 시간인 3 시간에 기초하여 정해진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서 단순히 더해지는 1시간은 최대 시청 시간인 3시간에서 앞서 곱해지는 2시간을 뺀 시간일 수 있다. 이는 TV(100)를 소정의 밝기로 나눈 값에 곱해지는 1시간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한편, TV(100)의 밝기를 나누는 1000 cd/m2은 TV(100)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값일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값일 수도 있다.
한편, 수학식 3이 적용되는 경우(즉, 주변의 밝기가 TV(100)의 밝기가 주변의 밝기보다 어두운 경우)는 극히 드문 경우이다. 예컨대, TV(100)의 밝기가 300 cd/m2인 경우에 수학식 3이 적용되려면 주변의 밝기가 943 lux가 되어야 하는데 이는 지극히 드문 경우라 할 것이다. 수학식 3은 TV(100)의 화면이 지극히 어두운 경우에는 적용될 수 있다.
수학식 2 및 수학식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상기 주변의 밝기와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 밝기의 비율을 상기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인자로 고려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주변의 밝기와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밝기 중 더 밝은 것을 상기 시청 가능 시간의 감소 인자로 고려하고 덜 밝은 값을 상기 시청 가능 시간의 증가 인자로 고려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TV(100)의 밝기가 주변의 밝기보다 더 밝은 수학식 2에서는 분모가 TV(100)의 밝기이고 분자가 주변의 밝기이나, TV(100)의 밝기보다 주변의 밝기보다 더 어두운 수학식 3에서는 그 반대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수학식 2 및 수학식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TV(100)의 밝기 자체만을 상기 시청 가능 시간의 감소 인자로 더 고려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서 TV(100)의 밝기를 소정의 값으로 나눈 다음, 1시간을 곱한 값을 시청 가능 시간에서 빼는 것에 대응된다.
도 5는,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의하여 산출되는, TV(100)의 휘도가 100 cd/m2인 경우의 시청 가능 시간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주변의 조도가 점점 증가하면서 일정 조도까지는 시청 가능 시간이 증가한다. 그러나 그 이상으로 주변의 조도가 높아지면, 반대로 시청 가능 시간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TV(100)의 제어부는 시청자의 영상 시청 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이 되면, 사용자에게 장기간의 영상 시청을 환기시키고, TV(100)를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하도록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 의하여 산출되는, TV(100)의 휘도가 300 cd/m2인 경우의 시청 가능 시간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되는, TV(100)의 휘도가 500 cd/m2인 경우의 시청 가능 시간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다.
도 4,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주변의 조도가 점점 증가하면 시청 가능 시간을 계속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조도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시청 가능 시간이 감소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TV(100)는 누적 시청 시간을 알리고, 현 시점에서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시력 보호 모드로 진입함을 알리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소정의 누적 시청 시간 시점에 제공할 수 있다(도 6 참조).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TV(100)는 단순히 시청 가능 시간과 현재까지의 누적 시청 시간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도 7 참조).
이상에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를 요약하면, 영상 출력 장치(100)인 TV의 밝기가 일정한 경우, 주변의 밝기가 증가하면 시청 가능 시간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TV의 밝기가 주변의 밝기보다 밝기 때문이다. 그리고 TV의 밝기가 높아질수록 시청 가능 시간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가 TV로 구현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TV(100)를 켜고 시력 보호 기능을 활성화시킨다(S200). 그러면, 제어부(190)는 시청 시간 타이머를 리셋하고, 시청 시간을 카운팅하기 시작한다(S210). 카운팅되는 시청 시간은 누적 시청 시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90)는 주변의 밝기 및 TV(100)의 밝기를 획득한다(S220). 여기서 상기 주변의 밝기 및 TV(100)의 밝기는 획득 시점까지의 평균 밝기일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획득된 주변의 밝기 및 TV(100)의 밝기에 기초하여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한다(S23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카운팅된 시청 시간과 상기 시청 가능 시간을 비교한다.
만약, 시청 시간이 시청 가능 시간보다 크면(S240), 상기 제어부(190)는 장시간 시청을 알리는 경고 문구와 시력 보호 모드 진입 선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한다(S250). 그런 다음, 시청자가 시력 보호 모드 진입을 선택하면(S260),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TV(100)를 시력 보호 모드로 진입시킨다음(S270), 다시 S210 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나 시청자가 상기 시력 모드 진입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다시 S210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S260 또는 S270 단계 이후에 다시 수행되는 S210 단계부터는 상기 제어부(190)는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각종 변수들을 새로이 설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미 시청자의 시청 시간이 TV(100)에서 추천하는 시청 시간을 한번 초과한 경우이기 때문이다.
만약, S24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카운팅된 시청 시간이 시청 가능 시간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90)는 사용자가 TV(100)를 시청중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TV(100) 시청 여부를 AV 입력부(120)에 포함된 카메라에 의하여 획득되는 영상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를 통하여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TV(100) 시청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에서 수행하는 시청 여부 판단의 일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사용자가 TV(100)를 시청 중이면 상기 제어부(190)는 다시 S210 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TV(100)를 시청 중이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90)는 소저의 카운터의 카운팅 값을 증가시킨 다음(S290), 카운팅된 값이 10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295). 카운팅된 값이 10보다 크면, 상기 제어부(190)는 다시 S210 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나, 카운팅된 값이 10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90)는 S220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S280, S290 및 S295 단계는 시청 가능 시간이 1분 단위로 산출되고, 10분 동안 사용자가 TV(100)를 시청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력 보호 모드 진입 여부 판단 과정 자체가 리셋되는 것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영상 미시청 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누적 시청 시간을 리셋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는 상기 소정의 시간을 초과하는 사용자의 영상 미시청 시간을 누적 시청 시간에서 차감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는 S280 단계 수행시마다 시청 가능 시간 산출 주기에 해당되는 시간을 누적 영상 시간에서 차감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에 따라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를 통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들을 나타낸다.
먼저, 도 9의 (a)는 단순히 시청 가능 시간과 현재까지의 시청 시간을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1)가 TV(10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9의 (b)는 시청 시간이 시청 가능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TV(100)를 통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1)를 나타낸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상기 TV(100)는 사용자에게 시력 보호 모드 진입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52)를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9의 (b)에서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153)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의 (c)는 TV(100)가 시력 보호 모드로 진입한 다음, 상기 TV(100)를 통하여 시력 보호 모드 진입을 알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1)가 제공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도 9의 (c)에서 화면이 어두워진 이유는, TV(100)의 밝기가 주변의 밝기보다 높은 경우에, 상기 TV(100)의 밝기와 주변의 밝기와의 차이를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영상 출력 장치(100)는 카메라로 시청자의 영상을 촬영한다(S300). 그런 다음, 상기 영상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190)는 시청자의 영상 시청 여부를 판단한다(S310). 시청자의 영상 시청 여부는 상기 촬영된 영상에 대한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에서 시청자의 영상 시청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에 상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청자가 영상을 시청 중이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S300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그러나, 시청자가 영상을 시청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90)는 영상 미시청 시간을 누적된 시청 시간에서 제외한다(S330).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90)는 미시청 시간이 미리 정해진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S340).
만약, 영상 미시청 시간이 상기 임계 시간을 초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190)는 다시 S300 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나, 영상 미시청 시간이 상기 임계 시간을 초과한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시청 시간을 리셋한 다음(S350), 다시 S300 단계를 수행한다.
도 10에 도시된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은,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구동 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가 영상 출력 상태를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제어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에서 시청자의 영상 시청 여부를 판단하는 예들을 나타낸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시청자의 영상 시청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는 단순히 적외선 센서(141)를 통한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시청자의 영상 시청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의 시청자 영상 시청 여부 판단 방법이 상술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100) 구동 방법들 각각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영상 출력 장치 110: 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디스플레이부
160: 음향 출력부 170: 메모리
180: 전원부 190: 제어부

Claims (15)

  1. 디스플레이부;
    주변의 밝기를 센싱하는 제1 센싱 수단;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와 상기 센싱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청 가능 시간을 누적 시청 시간과 비교하며,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시력 보호 모드(eye care mode)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비교 결과를 반영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력 보호 모드에서는 상기 주변의 밝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의 차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주기로 상기 주변의 밝기의 평균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의 평균을 산출하고, 상기 주변 밝기의 평균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의 평균에 기초하여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의 밝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의 비율을 상기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인자로 고려하되, 상기 주변의 밝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 중 더 밝은 것을 상기 시청 가능 시간의 감소 인자로 고려하고 덜 밝은 값을 상기 시청 가능 시간의 증가 인자로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상기 시청 가능 시간의 감소 인자로 더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이 수신되거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 장치는,
    사용자의 영상 시청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발생하기 위한 제2 센싱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싱 수단에 의하여 발생한 데이터에 의하여 판단되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 미시청 시간은 상기 누적 시청 시간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영상 미시청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누적 시청 시간을 리셋하거나 상기 누적 시간의 일부를 차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백 라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시력 보호 모드에서는 상기 백 라이트의 밝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주변의 밝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는 영상 신호의 이득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주변의 밝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11. 제1 센싱 수단을 통하여 주변의 밝기를 센싱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의 밝기와 상기 센싱된 주변 밝기에 기초하여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청 가능 시간을 누적 시청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시력 보호 모드(eye care mode)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비교 결과를 반영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의 밝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의 차이가 감소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일정 시간 주기로 상기 주변의 밝기의 평균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의 평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밝기의 평균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의 평균에 기초하여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주변의 밝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의 비율을 상기 시청 가능 시간을 산출하기 위한 인자로 고려하되, 상기 주변의 밝기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밝기 중 더 밝은 것을 상기 시청 가능 시간의 감소 인자로 고려하고 덜 밝은 값을 상기 시청 가능 시간의 증가 인자로 고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이 수신되거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상기 시력 보호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출력 장치 구동 방법.
KR1020120144108A 2012-12-12 2012-12-12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055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108A KR102055898B1 (ko) 2012-12-12 2012-12-12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108A KR102055898B1 (ko) 2012-12-12 2012-12-12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6666A true KR20140076666A (ko) 2014-06-23
KR102055898B1 KR102055898B1 (ko) 2019-12-13

Family

ID=5112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108A KR102055898B1 (ko) 2012-12-12 2012-12-12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89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965A1 (ko) * 2015-10-01 2017-04-06 장헌영 이동단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889463B1 (ko) 2017-08-03 2018-08-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CN108874122A (zh) * 2018-04-28 2018-11-23 深圳市赛亿科技开发有限公司 智能眼镜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90099847A (ko) * 2018-02-20 2019-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자세 교정 방법
KR20200012405A (ko) 2018-07-27 2020-02-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 사용 패턴 정보 수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01035A (ko) * 2021-06-25 2023-01-04 주식회사 에스지엠 시각 보호 이미지를 제공하는 가상 스포츠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297A (ko) * 2003-07-22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0044256A1 (ja) * 2008-10-15 2010-04-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輝度補正装置及び輝度補正方法
JP2011022447A (ja) * 2009-07-17 2011-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297A (ko) * 2003-07-22 2005-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0044256A1 (ja) * 2008-10-15 2010-04-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輝度補正装置及び輝度補正方法
JP2011022447A (ja) * 2009-07-17 2011-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表示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7965A1 (ko) * 2015-10-01 2017-04-06 장헌영 이동단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889463B1 (ko) 2017-08-03 2018-08-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US11571121B2 (en) 2017-08-03 2023-02-07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Terminal use pattern information colle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20190099847A (ko) * 2018-02-20 2019-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자세 교정 방법
WO2019164145A1 (ko) * 2018-02-20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자세 교정 방법
CN108874122A (zh) * 2018-04-28 2018-11-23 深圳市赛亿科技开发有限公司 智能眼镜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012405A (ko) 2018-07-27 2020-02-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 사용 패턴 정보 수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01035A (ko) * 2021-06-25 2023-01-04 주식회사 에스지엠 시각 보호 이미지를 제공하는 가상 스포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898B1 (ko)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898B1 (ko)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861093B1 (ko) 스크린의 밝기를 세팅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9461406B (zh) 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KR101596751B1 (ko) 운전자 맞춤형 사각 영역 표시 방법 및 장치
EP2395383B1 (en) Display controlling program, display controlling apparatus,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controlling system
US999719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layback
EP3076382B1 (en) Metho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 control
US8937678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CN108427630B (zh) 性能信息获取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411907B2 (en) Device function modification method and system
TW201743166A (zh) 護眼系統及方法
EP2733925A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processing thereof
US11640782B2 (en) Gamma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panel
US1109429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mbient light and terminal
KR101580918B1 (ko) 디스플레이 유니트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단말기 사용자의 시력보호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출력 화면 제어 방법
US20150103059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brightness of display
US10685621B1 (en) Contextual display dimension control in rollable display device to reduce the addiction of mobile device
KR20190059666A (ko)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
KR20180112335A (ko) 안개 제거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안개 제거 시스템
KR20140120158A (ko) 시력 보호 기능을 가진 휴대가 용이한 단말장치 및 시력 보호 방법
CN113504832B (zh) 一种移动终端显示调整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2991729B (zh) 时段划分方法、装置以及计算机存储介质
CN112908228B (zh) 显示亮度的调整方法、装置、头戴显示设备及存储介质
KR20100127138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
CN110784764A (zh) 电视画面自动调节方法、电视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