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463B1 -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463B1
KR101889463B1 KR1020170098621A KR20170098621A KR101889463B1 KR 101889463 B1 KR101889463 B1 KR 101889463B1 KR 1020170098621 A KR1020170098621 A KR 1020170098621A KR 20170098621 A KR20170098621 A KR 20170098621A KR 101889463 B1 KR101889463 B1 KR 101889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user terminal
distanc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
최웅락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8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463B1/ko
Priority to CN201880050206.1A priority patent/CN110998490A/zh
Priority to JP2020505868A priority patent/JP6916955B2/ja
Priority to US16/635,949 priority patent/US11571121B2/en
Priority to PCT/KR2018/008526 priority patent/WO201902718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25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e.g. eye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33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user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41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component is an input/output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4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 G06F11/3438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computer activity, e.g. of down time, of input/output operation ; Recording or statistical evaluation of user activity, e.g. usability assessment monitoring of user 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 G06T5/7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의 사용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고,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거나 근시 진행자가 보이는 초점 이탈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고 있던 정보는 연속적으로 제공하면서도 자발적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멀어질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Display of Terminal and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휴대 전화에 인터넷 통신 또는 정보 검색 등과 같은 데이터 통신 기능을 포함하고, 각종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사용자의 시선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본인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근거리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장시간 동안 응시하는 상태가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일어나게 되며 눈 깜박임이 급격하게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도한 눈의 사용으로 인해 눈의 피로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눈이 건조해질 수 있으며, 눈의 건조함이 증가되면 시야가 흐려지고 시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시간의 근거리 작업이 지속적으로 반복될 경우 근시가 진행될 확률이 높아진다. 최근 동아시아 지역에서는 높은 근시 유병률의 통계가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으며, 특히 고도 근시의 경우 망막박리, 망막열공, 망막 밑 신생혈관 생성 등 안과적 질병이 발생할 확률의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근래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디스플레이 위주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연령층이 점차로 어려져서 자기 통제력이 약한 유아 또는 어린이들까지 시력 저하가 발생하고 있으므로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일정 시간 이상 연속하여 사용하면 자동으로 동작을 중지하거나 제한하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 시간에 따라 동작을 단순히 중지하거나 제한하도록 하는 방법은 시력 저하를 감소시키는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76666호(공개일 2014. 06. 23)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장시간 동안 가까운 거리에서 이용할 경우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흐리게 보이게 만들거나 원본 크기보다 확대시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고 있던 정보는 연속적으로 제공하면서도 자발적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멀어질 수 있게 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목적 이외에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다른 목적도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고, 상기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는 비율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하고 나서, 상기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상이 되면, 상기 정보를 원본 크기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하고 나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반응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시점의 정보 확대 비율, 상기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 및 상기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반응은 상기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이 되거나 사용자로부터 화면 크기 조정에 대응하는 조작이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집된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확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은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고, 상기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근시 진행자가 보이는 초점 이탈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는 상기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으로 계속 감소하거나 상기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으로 계속 증가할수록 상기 초점 이탈이 높아지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검출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 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검출부, 그리고 상기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고, 상기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는 비율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검출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 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검출부, 그리고 상기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고, 상기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근시 진행자가 보이는 초점 이탈 형태로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장시간 동안 가까운 거리에서 이용할 경우,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시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고 있던 정보는 연속적으로 제공하면서도 자발적으로 사용자 단말에서 멀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을 장시간 동안 가까운 거리에서 이용할 경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근시 진행자가 보이는 초점 이탈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각심을 주면서 경고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자신에게 닥칠 수 있는 실제 근시의 증상을 나타낼 수 있는 사진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근시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와 경계심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는 원본 크기의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이고, 도 2b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본 크기보다 정보가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3a는 정상적인 형태의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이고, 도 3b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초점 이탈이 단계적으로 높아지는 형태로 표시되는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및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카메라(110), 거리 검출부(120), 시간 검출부(130), 제어부(140), 저장부(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거리 검출부(120)는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한다. 거리 검출부(120)는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데, 예컨대,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에서 눈, 코 또는 입 등을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거리 검출부(120)는 초음파 센서 또는 광센서(적외선) 등으로 이루어져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외에 거리 검출부(120)는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시간 검출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 시간을 검출한다. 시간 검출부(130)는 전원 버튼을 누르거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조작이 감지되는 시점으로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 간의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고,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면,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한 눈 보호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장시간 동안 가까운 거리에서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고 있던 정보는 연속적으로 제공되면서도 자발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멀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하고 나서,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이 되면, 정보를 원본 크기로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 간의 거리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다시 유지할 경우, 화면의 정보를 원본 크기로 다시 조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100)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a는 원본 크기의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이고, 도 2b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원본 크기보다 정보가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하기 시작하거나 사용한지 얼마 안 된 초기에는 도 2a와 같이 원본 크기를 가지는 정보가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원본 크기는 사용자 단말(100) 자체 내에서 설정된 글자, 이미지 또는 사진 등과 같은 정보의 사이즈이거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조정되어 설정된 사이즈로서, 사용자가 평소에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할 때 화면에서 출력되는 정보의 사이즈를 말한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100)을 장시간 동안 가까운 거리에서 이용할 경우, 눈의 피로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눈이 건조해져서 시야가 흐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 잘 보기 위하여 화면에 얼굴이 더욱 가까이 다가가게 된다.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가까운 거리에서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눈 보호 모드로 동작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서 자연스럽게 멀어질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원본 크기보다 확대되어 표시되면, 정보들이 화면에서 충분히 보이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화면의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100)과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때 화면의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는 비율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예컨대, 눈 보호 모드로 동작한 시점이 초기일 경우에는 도 2b와 같이,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조금 확대되어 표시될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하여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가까이 접근한 상태로 화면을 계속 응시할 경우, 도 2c와 같이,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도 2b의 정보보다 더 확대되어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너무 가까이 접근한 상태로 오랜 시간 이용하면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도 2d와 같이, 아주 크게 확대되어 정보들이 화면에서 충분히 보이지 않게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화면의 정보가 단시간에 원본 크기보다 급격히 확대된 크기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도 2b 내지 도 2d와 같이, 정보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확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거부감 없이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단계적으로 확대시키기 위한 정보의 비율은 학습이나 실험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을 장시간 동안 가까운 거리에서 이용할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화면의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단계적으로 확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보고 있던 정보는 연속적으로 제공하면서도 자발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멀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확대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네이버에서 실시간 상승 순위에 대한 정보를 보고 있을 경우, 제어부(140)는 실시간 상승 순위를 중심으로 정보의 확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확대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고 있던 정보는 놓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제어부(140)는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하고 나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반응이 감지되면, 감지된 시점의 정보 확대 비율,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 간의 거리 및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저장부(150)에 저장하여 수집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반응은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이 되거나 사용자로부터 화면 크기 조정에 대응하는 조작이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원본 크기보다 확대되어 표시되고 난 후,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껴 사용자 단말(100)을 멀리 떨어뜨리거나 사용자 단말(100)을 조작하는 것이 감지되면, 이 시점에 해당되는 정보의 확대 비율, 이 시점에서의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 간의 거리 및 정보가 원본 크기보다 확대되어 표시되고 난 후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정보 확대 비율이 얼마일 때 사용자가 반응을 보였는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어느 정도 접근했다가 멀어졌는지 또는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한 시간이 얼마나 경과한 후부터 기준 거리 이상으로 멀어졌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면, 수집된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눈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단말 사용 패턴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하기 시작한 시점에서의 초기 거리 또는 시청 패턴 정보 등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눈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40)는 수집된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수집된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눈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데, 제어부(140)에서 직접 사용자의 눈 건강 상태를 판단하거나 서비스 서버(200)나 병원 서버 등에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200)나 병원 서버 등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눈 건강 상태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의사가 의학적으로 직접 분석한 사용자의 눈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1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internet), 3G(generation), 4G(generation) 이동통신망, 와이파이(Wi-Fi),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서비스 서버(2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송된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단말 사용 패턴 정보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눈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서버(200)는 하루 총 몇 시간 이하를 사용해야 근시가 예방되는지를 예측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총 사용 시간을 분석하고 근시 진행 정도를 측정하여 여러 사람의 데이터를 모아 기준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비스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전송된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저장하여 미리 정해진 그룹의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아빠, 엄마, 자식 1, 자식 2 마다 사용자 단말이 각각 있을 경우, 가족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각 가족 구성원에 대응하는 단말 사용 패턴 정보가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되어 가족 그룹의 사용 패턴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가족 그룹의 눈 관리 방법을 코칭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고,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면, 눈 보호 모드로 동작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근시 진행자가 보이는 초점 이탈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a는 정상적인 형태의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이고, 도 3b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초점 이탈이 단계적으로 높아지는 형태로 표시되는 정보를 보여주는 화면이다.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하기 시작하거나 사용한지 얼마 안 된 초기에는 도 3a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초점이 정확하게 맺히는 정상적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다가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100) 간의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고,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면,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도 3b 내지 도 3d와 같이, 근시 진행자가 보이는 초점 이탈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각심을 주면서 경고할 수 있다. 여기서 초점 이탈 형태는 멀리서 들어온 빛이 망막에 정확히 초점을 맺지 못하여 정보가 먼 곳이 잘 안보이거나 흐리게 보이는 형태를 말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40)는 사용자에게 닥칠 수 있는 실제 근시의 증상을 나타낼 수 있는 사진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근시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와 경계심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단순히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지속적으로 가까이 보면 근시가 진행되고 다음처럼 보일 수 있게 됩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화면의 정보가 근시를 가진 사람이 보이는 정보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으로 계속 감소하거나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으로 계속 증가할수록 초점 이탈이 높아지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40)는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으로 감소하거나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으로 증가한 시점이 초기일 경우에는 정보가 도 3b와 같은 초점 이탈 형태로 표시되지만 사용자가 너무 가깝거나 너무 긴 시간 동안 사용자 단말을 사용할 경우 도 3d와 같이 근시 정도가 심한 사람이 보이는 정보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일 경우, 화면에 움직임 이미지가 표시되게 할 수 있거나 연속 사용 시간을 설정 받아 정해진 주기마다 사용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연속 사용 시간을 50분으로 설정한 경우 타이머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연속으로 얼마나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였는지 표시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연속 사용 시간이 다가오면 “연속 사용 시간 10분 전입니다.” 등의 메시지가 표시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연속 사용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화면 자체가 녹색으로 변하거나 움직이는 이미지가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눈 깜빡임과 휴식을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눈 깜빡임이나 눈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눈 운동 동영상이 제공되어 눈 운동 동영상이 끝나면 다시 정상 화면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S400).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데, 예컨대,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에서 눈, 코 또는 입 등을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거리 검출부는 초음파 센서 또는 광센서(적외선) 등으로 이루어져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의 사용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S410). 예컨대, 전원 버튼을 누르거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조작이 감지되는 시점으로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고, 사용자 단말의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지 판단(S420)하여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고,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면(S420-Y),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S430).
예컨대,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기 시작하거나 사용한지 얼마 안 된 초기에는 도 2a와 같이 원본 크기를 가지는 정보가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원본 크기는 사용자 단말 자체 내에서 설정된 글자, 이미지 또는 사진 등과 같은 정보의 사이즈이거나, 사용자에 의해 미리 조정되어 설정된 사이즈로서, 사용자가 평소에 사용자 단말을 사용할 때 화면에서 출력되는 정보의 사이즈를 말한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을 장시간 동안 가까운 거리에서 이용할 경우, 눈의 피로도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눈이 건조해져서 시야가 흐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 잘 보기 위하여 화면에 얼굴이 더욱 가까이 다가가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가까운 거리에서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눈 보호 모드로 동작하여 도 2b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서 자연스럽게 멀어질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면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너무 크게 확대되어 정보들이 화면에서 충분히 보이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화면의 정보를 보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과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때 화면의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는 비율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화면의 정보가 단시간에 원본 크기보다 급격히 확대된 크기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정보의 크기를 단계적으로 확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거부감 없이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도록 단계적으로 확대시키기 위한 정보의 비율은 학습이나 실험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확대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네이버에서 실시간 상승 순위에 대한 정보를 보고 있을 경우, 실시간 상승 순위를 중심으로 정보의 확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시선이 향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확대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고 있던 정보는 놓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하고 나서,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이 되면, 정보를 원본 크기로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일정 거리 이상으로 다시 유지할 경우, 화면의 정보를 원본 크기로 다시 조정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하고 나서,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반응이 감지되면, 감지된 시점의 정보 확대 비율,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 및 사용자 단말의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여 수집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반응은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이 되거나 사용자로부터 화면 크기 조정에 대응하는 조작이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가 원본 크기보다 확대되어 표시되고 난 후,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껴 사용자 단말을 멀리 떨어뜨리거나 사용자 단말을 조작하는 것이 감지되면, 이 시점에 해당되는 정보의 확대 비율, 이 시점에서의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 및 정보가 원본 크기보다 확대되어 표시되고 난 후 사용자 단말을 사용한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정보 확대 비율이 얼마일 때 사용자가 반응을 보였는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에 어느 정도 접근했다가 멀어졌는지 또는 사용자 단말을 사용한 시간이 얼마나 경과한 후부터 기준 거리 이상으로 멀어졌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면, 수집된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눈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단말 사용 패턴 정보는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기 시작한 시점에서의 초기 거리 또는 시청 패턴 정보 등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눈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수집된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집된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눈 건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데, 제어부에서 직접 사용자의 눈 건강 상태를 판단하거나 서비스 서버나 병원 서버 등에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전송하고 서비스 서버나 병원 서버 등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눈 건강 상태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의사가 의학적으로 직접 분석한 사용자의 눈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S500).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데, 예컨대,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에서 눈, 코 또는 입 등을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거리 검출부는 초음파 센서 또는 광센서(적외선) 등으로 이루어져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의 사용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S510). 예컨대, 전원 버튼을 누르거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등과 같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조작이 감지되는 시점으로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고, 사용자 단말의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인지 판단(S520)하여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고,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면(S520-Y),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근시 진행자가 보이는 초점 이탈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S530).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을 사용하기 시작하거나 사용한지 얼마 안 된 초기에는 도 3a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초점이 정확하게 맺히는 정상적인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러다가 사용자와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고, 사용자 단말의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면,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근시 진행자가 보이는 초점 이탈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각심을 주면서 경고할 수 있다. 여기서 초점 이탈 형태는 멀리서 들어온 빛이 망막에 정확히 초점을 맺지 못하여 정보가 먼 곳이 잘 안보이거나 흐리게 보이는 형태를 말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닥칠 수 있는 실제 근시의 증상을 나타낼 수 있는 사진을 보여줌으로써 사용자에게 근시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와 경계심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단순히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지속적으로 가까이 보면 근시가 진행되고 다음처럼 보일 수 있게 됩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화면의 정보가 근시를 가진 사람이 보이는 정보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한편,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으로 계속 감소하거나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으로 계속 증가할수록 초점 이탈이 높아지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너무 가깝거나 너무 긴 시간 동안 사용자 단말을 사용할 경우 근시 정도가 심한 사람이 보이는 정보로 표시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의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일 경우, 화면에 움직임 이미지가 표시되게 할 수 있거나 연속 사용 시간을 설정 받아 정해진 주기마다 사용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연속 사용 시간을 50분으로 설정한 경우 타이머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연속으로 얼마나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였는지 표시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연속 사용 시간이 다가오면 “연속 사용 시간 10분 전입니다.” 등의 메시지가 표시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연속 사용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화면 자체가 녹색으로 변하거나 움직이는 이미지가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눈 깜빡임과 휴식을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눈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눈 운동 동영상이 제공되어 눈 운동 동영상이 끝나면 다시 정상 화면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110: 카메라
120: 거리 검출부
130: 시간 검출부
140: 제어부
150: 저장부
160: 통신부
200: 서비스 서버

Claims (12)

  1.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고, 상기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는 비율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높아지며,
    상기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하고 나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반응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시점의 정보 확대 비율, 상기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 및 상기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서,
    상기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하고 나서, 상기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상이 되면, 상기 정보를 원본 크기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반응은,
    상기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이 되거나 사용자로부터 화면 크기 조정에 대응하는 조작이 입력되는 것인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6. 제 1 항에서,
    상기 수집된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7. 제 1 항에서,
    상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를 중심으로 확대되는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를 검출하는 거리 검출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 시간을 검출하는 시간 검출부, 그리고
    상기 거리가 기준 거리 미만이고, 상기 사용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는 비율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높아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를 원본 크기보다 확대하여 표시하고 나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미리 정해진 반응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시점의 정보 확대 비율, 상기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간의 거리 및 상기 사용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사용 패턴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 단말.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098621A 2017-08-03 2017-08-03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KR101889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21A KR101889463B1 (ko) 2017-08-03 2017-08-03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CN201880050206.1A CN110998490A (zh) 2017-08-03 2018-07-27 终端使用模式信息收集管理方法及系统
JP2020505868A JP6916955B2 (ja) 2017-08-03 2018-07-27 端末使用パターン情報の収集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US16/635,949 US11571121B2 (en) 2017-08-03 2018-07-27 Terminal use pattern information colle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PCT/KR2018/008526 WO2019027184A1 (ko) 2017-08-03 2018-07-27 단말 사용 패턴 정보 수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621A KR101889463B1 (ko) 2017-08-03 2017-08-03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463B1 true KR101889463B1 (ko) 2018-08-17

Family

ID=6340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621A KR101889463B1 (ko) 2017-08-03 2017-08-03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71121B2 (ko)
JP (1) JP6916955B2 (ko)
KR (1) KR101889463B1 (ko)
CN (1) CN110998490A (ko)
WO (1) WO20190271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405A1 (ko) * 2022-09-15 2024-03-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3501A (ja) * 2010-12-28 2011-06-23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140076666A (ko) 2012-12-12 201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139745A (ko) * 2014-06-04 2015-12-14 윤재웅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
JP2017514186A (ja) * 2015-03-31 2017-06-01 小米科技有限責任公司Xiaomi Inc. 表示制御方法及び装置、電子機器
KR20170085835A (ko) * 2016-01-15 2017-07-25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기의 시력보호모드 제공방법 및 그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7695A (ja) 2005-09-30 2007-04-19 Funai Electric Co Ltd テレビジョンおよび受像機
KR20090111131A (ko) 2008-04-21 2009-10-26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및 이를 위한 단말기
JP2010004118A (ja) * 2008-06-18 2010-01-07 Olympus Corp デジタルフォトフレーム、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101544371B1 (ko) * 2009-08-07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상황을 반영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CN101964883A (zh) * 2010-09-21 2011-02-02 冠捷显示科技(厦门)有限公司 显示装置健康观看距离提醒及节能方法
CN102542739A (zh) * 2012-02-09 2012-07-04 苏州大学 一种视力保护方法及系统
CN103024163A (zh) * 2012-12-03 2013-04-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保护视力的处理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3294910A (zh) * 2013-05-23 2013-09-11 西北工业大学 一种视屏显示终端前的护眼方法
KR102121592B1 (ko) 2013-05-31 2020-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력 보호 방법 및 장치
KR101383870B1 (ko) 2013-06-19 2014-04-10 (주) 라이트플러스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및 그 개선시스템을 이용한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방법
JP2015082729A (ja) * 2013-10-22 2015-04-27 株式会社ニコン 携帯端末
CN103793052B (zh) * 2013-11-21 2017-01-11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视力保护控制方法
CN105022981B (zh) * 2014-04-18 2019-08-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人眼健康状态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4052871A (zh) * 2014-05-27 2014-09-17 上海电力学院 移动终端护眼装置及方法
EP3035656B1 (en) * 2014-12-18 2021-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KR102362042B1 (ko) * 2014-12-18 2022-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9942532B2 (en) 2015-11-03 2018-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ye-fatigue reduction system for head-mounted displays
CN105468147B (zh) * 2015-11-19 2018-07-27 宁波力芯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预防近视的智能设备、系统及方法
CN105575365A (zh) * 2016-02-04 2016-05-11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保护用户视力的方法及装置
CN105677042A (zh) * 2016-02-24 2016-06-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的显示模式的控制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3501A (ja) * 2010-12-28 2011-06-23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20140076666A (ko) 2012-12-12 2014-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50139745A (ko) * 2014-06-04 2015-12-14 윤재웅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
JP2017514186A (ja) * 2015-03-31 2017-06-01 小米科技有限責任公司Xiaomi Inc. 表示制御方法及び装置、電子機器
KR20170085835A (ko) * 2016-01-15 2017-07-25 백석문화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기의 시력보호모드 제공방법 및 그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8405A1 (ko) * 2022-09-15 2024-03-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37549A1 (en) 2020-10-29
JP6916955B2 (ja) 2021-08-11
CN110998490A (zh) 2020-04-10
US11571121B2 (en) 2023-02-07
WO2019027184A1 (ko) 2019-02-07
JP2020530131A (ja)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40974B (zh) 用於監控裝置的使用的設備與方法
JP5286371B2 (ja)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CN106471419B (zh) 管理信息显示
US89376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triggered action
JP5475893B2 (ja) 視覚疲労度測定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6529144B2 (ja) 読影支援装置及び方法
KR20140104661A (ko) 시선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CN109600555A (zh) 一种对焦控制方法、系统及拍照设备
CN106572795A (zh) 眼睛状况确定系统
JP2010104754A (ja) 情動分析装置
KR20190077639A (ko) 시력 취약계층을 위한 시력 보조장치와 원격관리장치 및 시력 보조방법
CN106681509A (zh) 界面操作的方法和系统
KR101889463B1 (ko)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KR101769506B1 (ko)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 글라스의 구동 방법
KR102121510B1 (ko) 단말 사용 패턴 정보 수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6650788A (zh) 一种基于增强现实的前庭康复训练系统及方法
JP6637757B2 (ja) 眼調節機能支援システム
KR101727155B1 (ko) 뇌파를 이용한 스마트 글라스
CN114740966A (zh) 多模态图像显示控制方法、系统及计算机设备
CN113238700A (zh) 一种头戴式电子辅助视觉设备及其图像自动放大方法
KR102477699B1 (ko) 안구의 돌출도 분석을 위한 측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촬영 장치 및 기록 매체
JP2010063621A (ja) 視認情景に対する視認者感性反応装置
Bačić et al. Towards Real-Time Drowsiness Detection for Elderly Care
KR20200098150A (ko) 시선추적 데이터 처리 방법
JP2020032238A (ja) 眼調節機能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