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745A -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745A
KR20150139745A KR1020140068001A KR20140068001A KR20150139745A KR 20150139745 A KR20150139745 A KR 20150139745A KR 1020140068001 A KR1020140068001 A KR 1020140068001A KR 20140068001 A KR20140068001 A KR 20140068001A KR 20150139745 A KR20150139745 A KR 20150139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ser
smartphone
application
proxim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웅
Original Assignee
윤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웅 filed Critical 윤재웅
Priority to KR1020140068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9745A/ko
Publication of KR20150139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7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이용자의 근접 이용에 대해 이용자의 몰입 환경을 환기시킴으로써 눈의 피로 및 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사용자의 화면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화면 근접 여부 판단을 통해 미리 설정한 접근 거리 이내로 판단되면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 이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 화면 근접 여부에 대한 판단은 스마트폰에 장착된 근접센서 및/또는 카메라 자동 초점 탐색 등의 방법을 통해 근접 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자의 스마트폰 근접에 따른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 이용을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에 대해 블러(blur) 영상으로 표현되도록 화면을 처리하거나 근접 경고 안내 메시지 등을 스마트폰 화면에 노출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이용자가 스스로 너무 접근하여 이용하고 있음을 자각할 수 있도록 하여 스스로 건강을 돌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Processing method for using smart phone closely to screen}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 이용자의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면을 통해 사람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기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예로써 스마트폰, 태블릿, 게임기, 스마트 TV 등과 같은 기기 등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등장한 스마트폰은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음악을 듣거나 게임 또는 채팅(문자 대화)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자가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언제 어디서나 대상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 메신저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지인들과 즉시 공유할 수 있어 크게 각광받고 있으며, 그에 따라 남녀노소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모습을 주변 어디에서나 흔히 볼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외관을 나타낸 모습이다. 스마트폰은 전면 전반을 화면으로 이용하는 터치 패널(105)이 위치한다. 그리고 전면 상단부 일부에 카메라 모듈의 렌즈부(110)와 스피커의 사운드 출력부(140), 그리고 근접 센서(120) 및 조도 센서(130)가 장착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하단부에 마이크로폰의 오디오 입력부(150)와 통합 홈 버튼(160)이 위치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마트폰 후면부에는 전면의 카메라 모듈 렌즈부(110)와 별도로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있다.
상단부에 배치된 근접 센서(120)는 통화시에 사용자 얼굴이 근접됨에 따라 화면을 오프시킴으로써 얼굴 일부의 터치로 인한 입력 오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 전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있다. 조도 센서(130)는 실내 및 실외에서 화면 밝기를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의 밝기를 검출하기 위하여 장착된다. 두 센서는 모두 배터리 용량이 한정된 스마트폰의 최대 절전을 위해서 장착된다.
상단부의 스피커 사운드 출력부(140) 및 하단부의 마이크로폰 오디오 입력부(150)는 음성 통화시에 이용되며, 또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시 오디오 입력 및 사운드 출력에 각각 이용된다.
또한, 전면부의 카메라(11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하는 셀프 카메라로 주로 이용하며, 후면부의 카메라는 원하는 대상을 촬영하는 용도로 주로 이용한다.
위와 같이 다양한 기술이 집약된 스마트폰은 이용 방식에 따라 이용자에게 매우 큰 가치가 있는 개인 도구로 인식되고 있지만 때로는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예로써 사용자가 중독성 강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 과도한 몰입으로 인해 눈의 피로감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로 인해 안구건조증과 같은 눈 질환 발생자가 증가한다고 보도되고 있다. 또한, 게임이나 동영상 등을 시청하는 경우 기기의 특성상 장시간 좁은 화면을 바라보며 이용하는 행태를 취하므로 이용자는 몰입 정도에 따라 점점 화면에 근접하게 되어 눈의 피로감과 더불어 두통 등을 호소하기도 한다.
지금까지 스마트폰의 이용 행태에 따른 위해성이 정확하게 입증된 바는 없지만 다양한 매체에서 스마트폰 이용에 따른 위해성에 대해 경고성 내용들을 자주 보도하고 있으며, 특히 아이들의 경우에는 자신의 신체에서 느낄 수 있는 피로감이나 두통 등을 무시하면서까지 과도하게 게임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아 성장기 신체에 무리가 발생할 것임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성장기 신체에 가해지는 지속적인 무리한 행동 및 습관은 성인이 되었을 때에 정신 및 신체 건강 악화로 나타날 것임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결코 적지 않은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것임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이용자의 근접 이용에 대해 이용자의 몰입 환경을 자각하도록 환기시킴으로써 눈의 피로 및 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불어 정신 및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은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사용자의 화면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화면 근접 여부 판단 단계에서 미리 설정한 접근 거리 이내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 이용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에서, 상기 사용자의 화면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장착된 전면 카메라를 백그라운드 데몬 방식으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전면 카메라를 통해 자동 초점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전면 카메라 자동 초점 탐색 단계를 통해 초점이 결정되면 해당 초점 거리를 통해 화면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사용자의 화면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스마트폰에 장착된 근접센서를 통해 판단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스마트폰에 적외선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은 거리 감지수단을 스마트폰 전면부 일부에 장착하여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 이용 제한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에 대해 블러(Blur) 처리를 수행하여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르게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 이용 제한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에 근접되어 있음을 경고하는 안내메시지가 노출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의 스마트폰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 이용 제한 단계를 통해 제한한 화면에 대해 설정 시간 동안 유지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화면으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 이용 제한 단계를 통해 제한한 화면에 대해 사용자 화면 근접 조건이 해소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화면으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은 비교적 적은 화면을 갖는 스마트폰의 이용자에게 근접 이용시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을 장시간 몰입하여 주시하는 상태를 잠시나마 멈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눈의 깜박임을 유도하여 눈 건강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근접 이용시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을 제한함에 따라 자신이 스마트폰 화면에 근접하였음을 스스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화면을 다소나마 거리를 두고 이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눈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장시간 근접 이용에 따른 눈 건강 악화 환경을 예방함으로써 장기적으로 발생이 예측되는 사회적 비용을 감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출고시에 기본 탑재되거나 또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사용자에 의해 다운로드 되어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본 발명의 화면처리 애플리케이션이라 통칭하며, 그 외의 스마트폰에 기본 탑재 또는 사용자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되어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이라 통칭함을 명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스마트폰의 전원이 켜진 상태(S210)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설치한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S220)하면, 사전 설치된 본 발명의 화면처리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스마트폰에 장착된 시스템 요소를 통해 이용자가 근접거리 이내로 접근하여 화면을 이용하고 있는지를 판단(S230)한다. 그리고 이용자가 근접거리 이내에서 화면을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화면처리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구동되고 있는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에 대해 이용자의 화면 이용을 제한하는 화면 처리를 수행(S240)한다.
도 2에 보인 본 발명의 화면처리방법에서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른 본 발명의 화면처리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하게 구동 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예로써, 본 발명의 화면처리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의 전원이 켜짐과 함께 자동으로 백그라운드 데몬 형태로 구동하고,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여부를 감시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화면에서 본 발명의 화면처리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면처리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에 기본 또는 특수 용도로 장착된 다양한 시스템 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 요소는 스마트폰에 장착된 카메라, 근접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센서, 레이저 센서 등 다양한 장치 모듈을 말하며, 열거한 모듈 외에도 스마트폰 이용자의 화면 근접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에 대한 이용자의 화면 이용을 제한하는 화면 처리 역시 다양한 제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화면 이용 제한 방법으로써 화면을 잠깐 동안 꺼짐 상태로 처리하거나 흐릿하게 보이도록 블러(blur)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카메라 셔터 동작처럼 원이 점점 좁아졌다가 다시 넓혀지는 동작을 수행하는 화면 처리를 통해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이용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 제한의 해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화면처리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제한한 화면 처리는 미리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사용자의 근접 상태가 해소되면 화면 제한을 해제할 수도 있다. 또한, 제한한 화면 처리는 임의의 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화면 터치 동작을 통해 해제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화면에 표시되거나 전면에 위치하는 특정 위치의 버튼 요소에 대한 입력 동작에 대하여 화면 제한을 해제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의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스마트폰의 전원이 켜진 상태(S310)에서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S320)되면 본 발명의 화면처리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시간을 카운트(S330)한다. 이후 본 발명의 화면처리 애플리케이션은 카운트를 통한 시간이 미리 설정한 시간에 도달하면 스마트폰 시스템 내부적으로 구동되는 형태인 백그라운드 데몬 형태로 카메라를 구동하고, 카메라에 포착되는 대상에 대해 자동으로 초점을 포착하는 동작인 자동초점 탐색 작업을 수행(S340)한다. 그리고 자동 초점 탐색 작업을 통해 초점 거리가 결정되면 초점 거리와 미리 설정한 근접 거리를 비교(S350)한 후, 초점거리가 미리 설정한 근접 거리 이내이면 사용자가 화면에 근접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 구동되고 있는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에 대해 흐릿한 영상으로 보이도록 화면 블러(Blur) 처리를 수행(S360)한다. 이후,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S370) 본 발명의 화면처리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화면으로 복귀하도록 블러(Blur) 처리를 해제(S380)한다.
도 3의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의 실시 예에서 스마트폰 이용자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스마트폰 이용자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스마트폰에 장착된 근접 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또 다르게는 스마트폰에 별도의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의 거리 산출 가능한 센서를 장착하고, 해당 센서를 통해 이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여 이용자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 다르게는 이용자 근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카메라와 센서를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스마트폰 화면과 거리 산출 센서를 통해 카메라 초점 거리를 산출하여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또는 카메라의 초점 거리와 거리 산출 센서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스마트폰 화면과 이용자와의 거리 정보를 산출하고 두 정보가 모두 미리 설정한 근접 조건에 해당할 때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의 실시 예에서는 미리 설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스마트폰 카메라를 백그라운드 데몬 형태로 구동하는 방식을 설명하였지만 미리 설정한 시간에 관계없이 스마트폰에 장착된 근접 센서를 통해 스마트폰 이용자가 근접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카메라를 구동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스마트폰 이용자의 구동 화면 제한 방법으로서, 화면이 흐릿하게 보이도록 블러(blur) 처리를 수행하였으나, 화면을 제한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 이용자가 화면에 근접되었음을 경고하는 안내 메시지를 화면에 노출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스마트폰 구동 화면 제한 방법으로서, 사람의 눈을 형상화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눈을 깜박이는 동작이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자의 눈 깜박임을 유도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스마트폰 이용자의 구동 화면을 제한하는 처리에서 소정시간이 지나면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 구동화면으로 복귀하도록 블러(blur) 처리를 해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스마트폰 이용자의 근접 조건이 해소되면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 구동화면으로 즉시 복귀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과는 별도로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작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과는 별도로 제작되는 화면 처리 애플리케이션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게임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중독성 강한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화면처리 기능을 갖는 애플리케이션이 하나의 모듈 형태로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 내에 포함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 내에 모듈 형태로 본 발명의 화면처리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므로 별도로 본 발명의 화면처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고도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 이용시에 근접 이용에 따른 눈 건강 악화 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은 자신도 모르게 스마트폰 화면에 몰입하고 있는 상태에서 잠시나마 화면에 대한 몰입 환경을 환기할 수 있음에 따라 근접 이용에 따른 눈의 피로 및 신체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마트폰 이용자에게 눈의 깜박임을 유도하여 안구 건조증과 같은 눈 관련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자신이 화면에 근접하였음을 스스로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건강을 돌볼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가능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실일 것이다.
105: 터치 패널
110: 전면 카메라 모듈 렌즈부 120: 근접센서
130: 조도센서 140: 스피커 사운드 출력부
150: 마이크로폰 오디오 입력부 160: 통합 홈 버튼

Claims (6)

  1.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사용자의 화면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화면 근접 여부 판단 단계에서 미리 설정한 접근 거리 이내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설치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 이용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화면 근접 여부 판단 단계는,
    장착된 전면 카메라를 백그라운드 데몬 방식으로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전면 카메라를 통해 자동 초점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전면 카메라 자동 초점 탐색 단계를 통해 초점이 결정되면 해당 초점 거리를 통해 화면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 이용 제한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에 대해 블러(Blur)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 이용 제한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에 근접되어 있음을 경고하는 안내메시지가 노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 이용 제한 단계를 통해 제한한 화면에 대해 설정 시간 동안 유지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화면으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 이용 제한 단계를 통해 제한한 화면에 대해 사용자 화면 근접 조건이 해소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구동화면으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
KR1020140068001A 2014-06-04 2014-06-04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 KR201501397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001A KR20150139745A (ko) 2014-06-04 2014-06-04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001A KR20150139745A (ko) 2014-06-04 2014-06-04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745A true KR20150139745A (ko) 2015-12-14

Family

ID=5502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001A KR20150139745A (ko) 2014-06-04 2014-06-04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97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463B1 (ko) * 2017-08-03 2018-08-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KR20200026363A (ko) 2018-08-29 2020-03-11 한국성전(주) 컴퓨터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 자세나 거리 유지 기능을 가지는 컴퓨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자세나 거리 유지 방법
CN113524182A (zh) * 2021-07-13 2021-10-22 东北石油大学 一种智能调节人与屏幕距离的装置及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463B1 (ko) * 2017-08-03 2018-08-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WO2019027184A1 (ko) * 2017-08-03 2019-02-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 사용 패턴 정보 수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0998490A (zh) * 2017-08-03 2020-04-10 延世大学校产学协力团 终端使用模式信息收集管理方法及系统
US11571121B2 (en) 2017-08-03 2023-02-07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Terminal use pattern information colle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20200026363A (ko) 2018-08-29 2020-03-11 한국성전(주) 컴퓨터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 자세나 거리 유지 기능을 가지는 컴퓨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자세나 거리 유지 방법
CN113524182A (zh) * 2021-07-13 2021-10-22 东北石油大学 一种智能调节人与屏幕距离的装置及方法
CN113524182B (zh) * 2021-07-13 2023-05-16 东北石油大学 一种智能调节人与屏幕距离的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5296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storage mediums for adjusting camera shooting angle
JP6268285B2 (ja) スクリーン輝度の設定方法及び設定装置
JP6580059B2 (ja) 輝度調整方法および輝度調整装置
RU261850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подсказок по очистке воздуха,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и система
US95074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to assist in capturing images
US999719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layback
TWI628583B (zh) 電子裝置及其顯示介面調整方法
US10133957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object
US1021748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playback
US201600887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light
US201902357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descriptive information
JP6293909B2 (ja) バックライト輝度制御方法及び装置
US10359839B2 (en) Performing output control based on user behaviour
US20160349856A1 (en) Button operation processing method in single-hand mode
US2020001340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4503683A (zh) 保护视力的方法及装置
US10026293B2 (en) Screen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EP27575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mobile terminal
CN105530385B (zh) 一种移动终端音圈马达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EP30159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mpting device connection
US2017010498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rt detection
US20180139790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a wireless connection
KR20150139745A (ko) 스마트폰 근접 이용에 대한 화면처리방법
JP201909221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211879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capturing photograph,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