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870B1 -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및 그 개선시스템을 이용한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방법 - Google Patents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및 그 개선시스템을 이용한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870B1
KR101383870B1 KR1020130070549A KR20130070549A KR101383870B1 KR 101383870 B1 KR101383870 B1 KR 101383870B1 KR 1020130070549 A KR1020130070549 A KR 1020130070549A KR 20130070549 A KR20130070549 A KR 20130070549A KR 101383870 B1 KR101383870 B1 KR 101383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ing
distance
unit
viewer
image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석
박재은
Original Assignee
(주) 라이트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라이트플러스 filed Critical (주) 라이트플러스
Priority to KR1020130070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3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들의 티브이(TV)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및 그 개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티브이와 시청자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검출수단과, 티브이 시청시간 설정을 위한 타이머와, 티브이에 연결되어 티브이의 입력전원을 감지하는 티브이 전원감지수단 및 전원공급제어부와, 상기 거리검출수단 및 타이머에 입력된 정보가 연산 및 저장되어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마이콤을 구비한 시청(視聽)감시기를 티브이에 부착하여 유아들의 시력보호와 올바른 티브이 시청습관을 유도하기 위한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청감시기는 시청자의 자세 및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모션 검출수단과, 부모 또는 관리자의 음성을 녹음할 수 있는 음성녹음수단과,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및 이미지모션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과,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종료시에 상기 음성녹음수단에 의해 녹음된 음성을 시청자에게 출력시키는 알람수단과, 상기 마이콤에 저장된 시청자의 이미지모션, 시청거리 및 시청시간 정보를 유무선통신으로 외부로 송출하는 유무선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시청감시기와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유무선 통신수단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유아들의 시청 패턴을 분석할 수 있도록 시청관리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관리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및 그 개선시스템을 이용한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방법{A system for improving the habit of watching TV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유아들의 티브이(TV)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및 그 개선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들이 티브이를 시청할 때 시청(視聽) 거리와 자세정보를 획득하여 저장된 알고리즘을 통해 설정된 거리와 자세가 유지되지 않을 경우 경고하고, 시청시간, 거리, 자세 등을 획득 및 관리컴퓨터로 전송하여 부모나 관리자가 유아들의 티브이 시청습관을 분석하여 올바른 티브이 시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및 그 개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및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일반 가정에서도 다양한 방송매체를 티브이를 통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날로 증가되고 있다.
또한, 방송사업자의 증가와 인터넷방송 등의 발달로 다양한 장르의 방송물을 누구나 쉽게 티브이를 통해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다양한 방송기술과 통신기술의 발달은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티브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소비자들의 삶의 패턴까지 변화시키는 매우 막대한 영향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방송 및 정보가 무분별하게 제공됨으로 인해서 올바른 판단력이나 자제력이 부족한 유아들이나 청소년들게에는 많은 부작용을 제공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즉, 한번 티브이를 켜게 되면, 매우 많은 채널을 통해 자신이 좋아하는 프로그램을 골라 보는 재미로 인해서 유아들이나 청소년들의 경우, 티브이에서 방영되는 왜곡된 내용으로 올바른 정서발달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인 요소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아 부모들이 자녀들의 티브이 시청시간이나 프로그램 등을 통제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자녀들은 부모의 통제에 반하는 행동들을 하는 경우가 많고, 자녀들은 부모의 통제에서 벗어 날려는 욕구로 인해 부모와 자녀간에 잦은 충돌이 발생하게 되어 가정문제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양상이다.
따라서, 부모들은 자녀들의 올바른 티브이 시청습관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필요가 있고, 자녀들의 경우도 스스로 티브이 시청에 대한 자율적인 제어를 해야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마땅한 방법이나 대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근래의 티브이는 각종 기술이 집합된 고도의 정보통신제품으로 그 색상이나 밝기, 즉 화질이 매우 선명하고 크기가 커져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티브이를 시청할 경우, 시청자들에게 생동감과 사실감을 제공하는 유익한 장점을 가진 반면에, 감각 및 인지능력이 부족한 유아들의 경우 티브이 시청거리를 적절하게 유지하지 않은 상태로 티브이를 시청하는 경우가 많아 성장기에 시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과, 바른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기 어려워 흐트러진 자세로 티브이를 시청함으로써 신체의 일부가 변형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티브이 시청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도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안되고 특허가 출원되기도 하였다.
종래에 안출된 일례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297601호(등록일: 2002.11.28, 고안의 명칭: 텔레비전 근접시청 제한장치)가 안출되었다.
상기 종래 실시예의 경우, 텔레비전(TV)과 시청자 사이의 거리를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가 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소정의 적외선 송수신 장치를 통해 TV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근거리에서의 TV 시청으로 인한 시청자(특히 어린이 및 유아들)의 시력저하를 방지함은 물론 TV에서 발생하는 유해 전자파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실시예는 설정된 거리 이내에 시청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있을 경우 자동으로 티브이의 전원을 강제 오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티브이를 켜 놓은 상태에서는 티브이 주변에서 다른 작업을 하기가 불편하고, 단순히 티브이를 시청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불편함을 줄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실시예는 단지 설정된 거리로 시청자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지나가거나 주변을 서성이게 되면 설정된 거리 이내의 사물을 모두 시청자로 오인하여 티브이 전원을 강제 오프하기 때문에 시청자에게 일방적인 강제성을 부여하게 되어 시청자의 의지와 상관없는 수동적인 티브이 시청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 다른 종래의 일 실시예로, 한국 공개특허 제199-0031446호에서 ‘시력보호기능을 갖는 티브이’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시력보호모드를 설정하는 키가 구비되어, 시력보호모드를 설정하면 티브이의 정면에 설치된 감지기가 티브이의 정면에 있는 시청자를 감지하여, 시청자의 위치가 설정된 기준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일정시간 카운트하여 시청자에게 경고메시지를 표시하고, 계속해서 시청자가 기준거리 이내에 있으면 강제로 티브이의 전원을 오프시키도록 구성되어 상술한 종래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시청자의 시청권을 강제로 종료시키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 안출된 시력보호기능을 갖는 티브이나 근접시청 제한장치는 시청자의 시청위치가 설정된 기준 이내이면 강제로 티브이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수동적인 티브이 시청환경을 제시하였으며, 실제 상품화될 경우 각각의 발명 및 고안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시청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는 것이어서 그 실효성이 의문시되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97601호(등록일:2002.11.28, 고안의 명칭 : 텔레비전 근접시청 제한장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31446호(공개일 : 1999. 5.6, 발명의 명칭: 시력보호기능을 갖는 티브이) 한국 등록특허공보 특0127331호(등록일: 1997.10.21, 발명의 명칭 : 티브이의 시청거리 경고메시지 출력 및 부재시 메세지전달을 위한 음성녹음재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이 시청자의 시청권을 수동적이고 강제적으로 제어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청자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티브이 시청습관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및 그 개선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들의 티브이 시청정보를 D/B화 하여 메인컴퓨터나 사용자의 휴대폰 등에 전송, 저장하여 유아들의 티브이 시청시간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및 그 개선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기는 티브이와 시청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검출수단과, 티브이 시청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와, 티브이에 연결되어 티브이의 전원 온/오프를 감지하는 티브이 전원 감지수단과, 상기 거리검출수단 및 타이머에서 입력된 정보가 연산처리되고 저장되어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마이콤(MCU)을 구비한 본체가 티브이에 부착되어 시청자의 시력 보호 및 올바른 티브이 시청습관을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시청자의 자세 및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모션 검출수단과, 부모 또는 관리자의 음성을 녹음할 수 있는 음성녹음수단과,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및 메모리부에 저장된 이미지모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과,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종료시에 상기 음성녹음수단에 의해 녹음된 음성을 시청자에게 출력시키는 알람수단과, 상기 본체에 저장된 시청자의 이미지모션, 시청시간 및 시청거리 정보를 별도의 관리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시청관리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시청자의 시청 패턴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유무선통신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관리컴퓨터는 가정에 설치된 퍼스널컴퓨터 또는 부모나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알람수단에서 음성출력시 일정한 광원이 동시에 출력되는 광원발광수단이 더 포함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을 이용하여 시청습관을 개선하는 방법은 부모 또는 관리자의 음성이나 안내멘트가 음성녹음수단을 통해 녹음되는 제1단계; 티브이의 전면 또는 측면에 설치된 본체에서 티브이의 전원입력여부를 판단하여 전원입력시 거리검출수단과 이미지모션 검출수단을 통해 티브이의 전방에 위치한 시청자의 시청거리와 이미지모션을 검출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획득한 시청자의 티브이 시청거리와 이미지모션 정보가 저장되고, 저장된 정보가 알고리즘을 통해 비교 판단이 이루어지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비교 판단된 후 설정된 시청거리와 이미지모션이 기준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시청자에게 경고음, 안내멘트 및 광원발광이 이루어져 시청거리 유지와 바른 시청자세가 유도되도록 알람수단을 통해 경고가 이루어지는 제4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획득 저장된 시청자의 티브이 시청거리와 이미지모션 정보, 시청시간에 티브이 시청정보를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부모 또는 관리자의 관리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전송된 티브이 시청정보가 관리프로그램이 설치된 관리컴퓨터나 어플리테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에 수신되어 분류 저장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 관리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저장된 시청정보를 일자별, 시간대별로 시청거리와 이미지모션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시청패턴의 파악 및 분석이 이루어지는 제7단계;로 이루어져 유아들의 티브이 시청습관을 파악하여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은 티브이에 장착되어 티브이에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동작되어 티브이 앞 일정영역 내에 위치하는 시청자의 거리 및 이미지 모션을 감지하여 마이콤에 저장된 D/B와 비교 판단을 통해 설정된 기준과 불일치할 경우, 알람수단을 통해 경고하여 티브이와 적정거리가 유지되도록 하거나 바른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지능력이 부족한 유아들에게 올바른 티브이 시청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시력보호와 올바른 신체발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순한 경고음으로 유아들에게 인지시키는 것보다 부모의 음성을 직접 녹음하여 경고음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모가 없는 경우나 부모와 떨어져서 홀로 티브이를 시청하는 경우에도 부모 음성이 녹음된 알람수단에 의해 항상 부모가 곁에 있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의 마이콤에 저장된 유아의 티브이 시청시간이나 이미지모션이 관리컴퓨터로 전송되어 이를 통해 부모나 관리자들이 유아들의 티브이 시청패턴을 분석하여 올바르지 못한 티브이 시청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된 티브이 시청감시기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관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의 주요구성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상태도,
도 5는 관리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관리컴퓨터나 스마트폰에서 시청정보가 저장되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의 이용방법에 따른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티브이의 전면이나 측면에 설치되어 티브이의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동작되어 티브이를 보는 시청자(이하, 본 발명에서는 ‘유아’로 지칭한다)의 거리를 검출하여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티브이를 시청할 경우 녹음된 경고음과 광원을 발생하여 기준거리 밖에서 자발적으로 티브이의 시청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아들의 시력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티브이 시청거리 검출과 동시에 티브이를 시청하는 유아의 이미지 및 모션을 획득하여 프로그래밍된 알고리즘을 통해 올바른 자세에서 티브이를 시청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자세가 바르지 않은 상태로 티브이를 시청할 경우 바른 자세로 시청할 수 있도록 녹음된 경고음과 광원을 발생하여 바른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티브이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검출된 시청자의 시청정보를 저장한 후에 관리프로그램이 설치된 관리컴퓨터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으로 송신하여 부모나 관리자가 유아들의 티브이 시청패턴을 파악 및 분석한 후에 적절한 티브이 시청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에 적용된 일부 수단은 상술한 배경기술에 공지된 종래의 일부 실시예와 유사하여 그 설명을 간략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 위주로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유아의 티브이 시청습관을 감시하기 위한 시청감시기의 외관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은 일정 크기로 형성되어 티브이의 전면이나 측면에 부착되는 시청(視聽)감시기(20)와, 상기 시청감시기에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유아의 티브이 시청정보를 수신하여 시청패턴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컴퓨터(30) 또는 스마트폰(4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상기 시청감시기(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브이의 프레임 전면이나 측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소형크기로 제작되며, 그 형상이나 모양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시청감시기(20)의 전면에는 티브이와 티브이를 시청하는 유아들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검출수단(21)과, 티브이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이미지 및 모션을 검출하는 이미지모션 검출수단(22)과, 티브이의 시청시간을 자율적으로 설정하여 능동적인 티브이 시청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타이머(24)와, 상기 타이머(24)에 의해 설정된 시간 및 상기 이미지모션 검출수단(22)과 거리검출수단(21)에 의해 획득되어 저장된 정보를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수단(23)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시청감시기(20)의 전면 일측에는 일정한 광원을 발광하는 광원발광수단(29)이 구비되고, 측면 테두리부에는 부모 또는 관리자가 필요한 음성을 녹음할 수 있는 음성녹음수단(27)과, 상기 음성녹음수단(27)에서 녹음된 음성 또는 내부에 저장된 경고음이 출력되는 알람수단(26)과, 시청감시기(20) 자체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공급제어부(28)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시청감시기(20)의 내부에는 티브이에 연결되어 티브이의 전원이 온/오프되는 것을 감지하는 티브이 전원 감지수단과, 외부로부터 입력된 시청자의 시청정보 데이터를 가정에 있는 관리컴퓨터나 부모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수단(25)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시청감시기(20)의 내부에는 상술한 각 부의 구성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기능을 수행하고 입력된 정보에 대한 처리와 제어를 마이콤(MCU)이 내장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의 주요구성간의 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 시스템의 전체적인 동작 상태도를 블럭도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청감시기에는 티브이 측과 연결되어 티브이의 온/오프 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티브이 전원감지수단(52)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티브이에 전원이 공급되어 티브이가 켜지게 되면 자동으로 상기 마이콤(50)에서 티브이가 켜진 상태를 인지한 후에 각 수단의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마이콤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부의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 거리검출수단(21)이나 이미지모션 검출수단(22)도 활성화되어 티브이 앞에 있는 티브이 시청자의 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상기 거리검출수단(21)에서는 티브이로부터 일정 기준거리 이내의 사물을 일정한 신호를 통해 파악하여 검출한 거리를 마이콤(50)에 저장하게 되고, 이미지모션 검출수단(22)은 티브이로부터 일정 기준거리 이내의 사물에 형상이나 동작상태를 파악하여 마이콤(50)에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마이콤(50)에 저장된 거리나 이미지모션 정보는 일정한 데이터변환과 처리가 이루어진 후에 저장되며, 그 저장된 시청정보를 유무선통신수단(25)을 통해 관리컴퓨터(30)나 스마트폰(40)으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물론,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관리컴퓨터(30)나 스마트폰(40)에 관리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상기 시청감시기(20)와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이 갖춰져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부모나 관리자는 시청감시기(20)의 외측에 구비된 음성녹음수단(27)을 통해 필요한 음성을 녹음할 수 있고, 타이머를 통해 티브이 시청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수단을 통해 설정된 정보는 마이콤(50)에 저장되도록 구성되며, 티브이와 전원이 연결된 상태에서도 시청감시기의 사용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일측에 구비된 전원공급제어부(28)를 통해 강제로 시청감시기(20)의 전원을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제어부(28)의 스위치를 켜게 되면, 티브이의 전원입력케이블이나 티브이의 단자에 연결된 티브이 전원감지수단(52)에서 티브이로 입력되는 전류량 및 세기나 영상신호에 대한 파장을 검출하여 티브이가 켜진 상태인지 여부를 감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청감시기(20)는 전원공급제어부(28)에 의해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거리검출수단 및 이미지모션 검출수단에서는 티브이의 전면에 위치하는 티브이 시청자, 즉 유아를 감지하도록 상기 거리검출수단(21)은 초음파센서나 광센서(적외선, 포토센서 등), 온도센서, 자기센서 등을 이용하여 시청자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거리검출수단(21)에는 미세신호 검출을 위해 증폭회로가 채택되고, 시청자의 방향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얻기 위해 프리넬렌즈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청감시기(20)에는 디스플레이수단(23)이 구비되어 기설정되어 있거나 외부 입력된 각종 시청조건(시간, 거리 값)이 디스플레이되어 관리자가 육안으로 설정된 시청조건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알람수단(26)과 더불어 동작되도록 광원발광수단(29)이 구비되어 유아들에게 경고음과 광원으로 시각적 및 청각적 경고를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리검출수단(21)이나 이미지모션검출수단(22)에 의해 검출된 티브이 시청거리 및 유아들의 시청자세나 타이머에 의해 검출된 시청시간에 대한 데이터는 마이콤(50)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후에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별로 관리자의 관리컴퓨터(30)나 스마트폰(40)으로 전송되어 저장되도록 유무선 통신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주요 구성의 동작상태가 플로우 챠트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청감시기(20)의 마이콤(50)에는 각 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연산처리부(56)와, 처리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54)와, 입력되어 변환 처리된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해 일정한 알고리즘으로 프로그래밍되어 검출된 데이터와 설정된 데이터간 연산 비교 처리하는 중앙처리부(55)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은 음성녹음수단을 통해 유아의 부모 또는 관리자가 시청감시기를 티브이에 설치하기 전에 필요한 음성이나 안내멘트를 녹음할 수 있다.
또한, 시청시간에 대하여 상기 알람 및 타이머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별도로 설정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되면 프로그래밍되어 마이콤에 내장된 데이터보다 우선하여 명령을 수행하도록 내부적으로 알고리즘이 구성되어 있다.
티브이 시청시간은 티브이가 전원이 켜진 직후부터 시간이 계산되어 티브이의 연속시청시간으로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 될 경우, 상기 마이콤에서 알람수단 및 광원발광수단으로 신호를 보내 시청자에게 경고음과 일정한 광원을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 시청시간은 시간 또는 분 단위로 프로그래밍되어 기준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거리검출수단에서는 티브이 전면에 있는 사물, 즉 유아를 거리를 감지하여 획득된 정보를 디지털화된 데이터로 신호처리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프로그래밍된 기 설정된 값과 비교된 후에 기준치 이내의 거리 값을 초과한 경우, 알람수단을 통해 녹음된 경고음 또는 설정된 경고음 또는 안내멘트를 출력하여 유아에게 티브이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지도록 안내하고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티브이 시청이 계속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이미지모션 검출수단은 시청자의 이미지 및 모션을 획득한 후에 신체의 크기, 얼굴형상 등을 통해 성인인지 유아인지를 저장된 알고리즘을 통해 비교 판단한 후에 기준치 이하의 값으로 확인될 경우 알람수단을 통해 녹음된 경고음 또는 설정된 경고음을 출력하여 시청자에게 알리고,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티브이 시청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이미지모션 검출수단에서 획득하여 디지털로 변환된 데이터는 프로그래밍된 알고리즘에 의해 성인인지 유아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설정된 알고리즘에는 두상(頭狀)이나 팔의 위치 등을 파악하여 시청자의 자세를 파악하며, 획득된 이미지모션 데이터와 비교판단이 이루어지는 저장부에는 일반 성인들에 대한 신체 사이즈가 각각 입력되어 있어 획득된 데이터와 단계별로 대비를 통해 성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입력된 이미지 및 모션데이터를 토대로 유아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유아로 판별될 경우, 그 입력정보들 토대로 두상(頭狀)이나 팔의 위치를 파악하여 티브이를 시청하는 자세가 바르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유아에게 티브이 시청자세를 바르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멘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음성녹음수단을 통해 녹음된 음성은 마이콤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다가 거리감지센서 또는 이미지모션 감지센서의 동작을 통해 안내멘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상기 메모리부에 외부에서 저장된 녹음내용이 우선적으로 안내멘트로 이용되며, 외부로부터 녹음내용이 없을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저장된 안내멘트가 자동으로 안내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그리고, 검출된 티브이 시청거리 및 유아들의 시청자세나 시청시간에 대한 데이터는 마이콤의 메모리부에 저장된 후에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실시간 또는 일정 주기별로 관리자의 관리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전송되어 저장되며, 관리자의 관리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수신된 티브이 시청정보는 기 설치된 관리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류 저장되고, 분류저장된 티브이 시청정보를 토대로 부모나 관리자는 유아들의 티브이 시청패턴을 분석하여 필요한 사항이 개선될 수 있도록 유아들을 지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리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설치된 관리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시청감시기에서 테이터가 전송될 경우, 도 5에 도시된 일례와 같이 일자별, 시청시간대별로 시청거리와 시청자세 등이 통합 또는 각 그룹별로 폴더로 저장되며, 일정기간 저장된 시청데이터는 한정된 백업공간 내에서 오래된 데이터부터 순서대로 삭제되면서 새로운 데이터가 계속해서 저장되는 형태로 메모리가 관리된다.
따라서, 부모나 관리자는 일정 주기별로 메인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저장된 티브이 시청데이터를 토대로 유아들의 티브이 시청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유아들에게 지속적으로 인지시켜 올바른 티브이 시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에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의 이용방법에 따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기를 이용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먼저 부모 또는 관리자의 음성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음성녹음수단을 통해 경고 음성이나 안내멘트를 녹음하는 제1단계와, 티브이의 전면 또는 측면에 시청감시기를 설치하고, 티브이와 연결된 시청감시기에서 티브이의 전원입력시 거리검출수단과 이미지모션 검출수단을 통해 티브이의 전방에 위치한 시청자의 거리와 이미지 모션을 획득하고 시청시간을 카운팅하는 제2단계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에서 획득한 티브이 시청정보는 마이콤에 저장되고, 저장된 시청정보는 기설정된 알고리즘을 통해 기준치와 비교 판단이 이루어지는 제3단계가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 시청자의 티브이 시청정보와 설정된 기준치가 비교 판단된 후, 설정된 시청거리 이하이거나 이미지 또는 모션패턴의 불일치시 유아들에게 녹음된 경고음성이나 안내멘트를 출력하여 적정한 유아들이 적정한 시청거리를 유지하고 바른 시청자세를 유도하도록 알람수단을 통해 경고가 이루어지는 제4단계가 수행된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 획득 저장된 티브이 시청거리와 이미지모션 정보, 시청시간에 대한 티브이 시청정보를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부모 또는 관리자의 관리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제5단계가 이루어지며, 상기 제5단계에서 전송되어 관리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수신된 시청정보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일자별, 시간대별로 분류저장되는 제6단계가 이루어지고, 관리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저장된 데이터는 부모나 관리자를 통해 유아들의 티브이 시청시간에 대한 정보를 파악, 분석하도록 이용되는 제7단계로 이루어져 유아들의 티브이 시청시 잘못된 시청습관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
10 : 티브이 20 : 시청감시기
21 : 거리검출수단 22 : 이미지모션 검출수단
23 : 디스플레이 수단 24 : 타이머
25 : 유무선통신수단 26 : 알람수단
27 : 음성녹음수단 28 : 전원공급제어부
29 : 광원발광수단 30 : 관리컴퓨터
40 : 스마트폰 50 : 마이콤(MCU)
52 : 티브이 전원 감지수단 54 : 메모리부
55 : CPU 56 : 연산처리부

Claims (3)

  1. 티브이와 시청자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검출수단과, 티브이 시청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와, 티브이에 연결되어 티브이의 전원 온/오프를 감지하는 티브이 전원감지수단 및 전원공급제어부와, 상기 거리검출수단 및 타이머에서 입력된 정보가 연산 및 저장되어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는 마이콤을 구비한 시청(視聽)감시기를 티브이에 부착하여 유아들의 시력 보호 및 올바른 티브이 시청습관을 개선시키는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청감시기는 시청자의 자세 및 모션을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모션 검출수단과, 부모 또는 관리자의 음성을 녹음할 수 있는 음성녹음수단과,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및 이미지모션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수단과,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 종료시에 상기 음성녹음수단에 의해 녹음된 음성을 시청자에게 출력시키는 알람수단과, 상기 마이콤에 저장된 시청자의 이미지모션, 시청거리 및 시청시간 정보를 유무선통신으로 외부로 송출하는 유무선 통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시청감시기와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유무선 통신수단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유아들의 티브이 시청패턴을 분석할 수 있도록 시청관리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관리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감시기에는 상기 알람수단에서 음성출력시 일정한 광원이 동시에 발광되는 광원발광수단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의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을 이용하여 부모 또는 관리자의 음성이나 안내멘트가 음성녹음수단을 통해 녹음되는 제1단계;
    티브이의 전면 또는 측면에 설치된 시청감시기에서 티브이의 전원입력여부를 판단하여 전원입력시 거리검출수단과 이미지모션 검출수단을 통해 티브이의 전방에 위치한 시청자의 시청거리와 이미지모션을 검출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획득한 시청자의 티브이 시청거리와 이미지모션 정보가 저장되고, 저장된 정보가 알고리즘을 통해 비교 판단이 이루어지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비교 판단된 티브이 시청거리 및 이미지모션정보가 기 설정된 시청거리와 이미지모션 기준치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 시청자에게 경고음, 안내멘트 및 광원발광이 이루어져 시청거리 유지와 바른 시청자세가 유도되도록 알람수단을 통해 경고가 이루어지는 제4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획득된 시청자의 티브이 시청거리와 이미지모션 정보 및 시청시간 정보를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부모 또는 관리자의 관리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전송된 티브이 시청정보가 관리프로그램이 설치된 관리컴퓨터나 어플리테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에 수신되어 분류 저장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 관리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저장된 티브이 시청정보를 일자별, 시간대별로 시청거리와 이미지모션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시청패턴의 파악 및 분석이 이루어지는 제7단계;로 이루어져 유아들의 티브이 시청습관을 파악하여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을 이용한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방법.
KR1020130070549A 2013-06-19 2013-06-19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및 그 개선시스템을 이용한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방법 KR101383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549A KR101383870B1 (ko) 2013-06-19 2013-06-19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및 그 개선시스템을 이용한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549A KR101383870B1 (ko) 2013-06-19 2013-06-19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및 그 개선시스템을 이용한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870B1 true KR101383870B1 (ko) 2014-04-10

Family

ID=50657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549A KR101383870B1 (ko) 2013-06-19 2013-06-19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및 그 개선시스템을 이용한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87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2645A (zh) * 2016-07-13 2018-01-23 张力 一种智能护眼设备
KR101910094B1 (ko) * 2017-05-11 2018-10-23 이진곤 모니터 화면 제어 시스템
KR102058164B1 (ko) * 2018-10-15 2019-12-23 윤영완 아이 근접 시청 방지 프로그램
KR20200012405A (ko) * 2018-07-27 2020-02-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 사용 패턴 정보 수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1243742A (zh) * 2020-01-14 2020-06-05 中科海微(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分析儿童用眼习惯的智能眼镜
KR20200093214A (ko) * 2019-01-28 2020-08-0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각 증후군 방지 시스템
KR20210088922A (ko) 2020-01-07 2021-07-15 임다은 음성, 얼굴 인식 tv와 그 인식수단 및 연령별 프로그램 추천 장치
KR20210089126A (ko) * 2017-10-31 2021-07-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방송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US11571121B2 (en) 2017-08-03 2023-02-07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Terminal use pattern information colle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335Y1 (ko) 2003-02-17 2003-05-09 김대석 텔레비전 근접시청 제한장치
WO2004004342A1 (en) 2002-06-26 2004-01-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se of electronic devices by user detection
JP2010273276A (ja) 2009-05-25 2010-12-02 Car Mate Mfg Co Ltd テレビ制御装置
KR20110006516U (ko) * 2009-12-22 2011-06-29 최충호 Tv 시청거리 제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04342A1 (en) 2002-06-26 2004-01-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se of electronic devices by user detection
KR200312335Y1 (ko) 2003-02-17 2003-05-09 김대석 텔레비전 근접시청 제한장치
JP2010273276A (ja) 2009-05-25 2010-12-02 Car Mate Mfg Co Ltd テレビ制御装置
KR20110006516U (ko) * 2009-12-22 2011-06-29 최충호 Tv 시청거리 제한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2645A (zh) * 2016-07-13 2018-01-23 张力 一种智能护眼设备
KR101910094B1 (ko) * 2017-05-11 2018-10-23 이진곤 모니터 화면 제어 시스템
US11571121B2 (en) 2017-08-03 2023-02-07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sei University Terminal use pattern information collec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20210089126A (ko) * 2017-10-31 2021-07-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방송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2464796B1 (ko) * 2017-10-31 2022-11-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방송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200012405A (ko) * 2018-07-27 2020-02-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 사용 패턴 정보 수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121510B1 (ko) * 2018-07-27 2020-06-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단말 사용 패턴 정보 수집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058164B1 (ko) * 2018-10-15 2019-12-23 윤영완 아이 근접 시청 방지 프로그램
KR20200093214A (ko) * 2019-01-28 2020-08-0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각 증후군 방지 시스템
KR102256050B1 (ko) * 2019-01-28 2021-05-25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각 증후군 방지 시스템
KR20210088922A (ko) 2020-01-07 2021-07-15 임다은 음성, 얼굴 인식 tv와 그 인식수단 및 연령별 프로그램 추천 장치
CN111243742A (zh) * 2020-01-14 2020-06-05 中科海微(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分析儿童用眼习惯的智能眼镜
CN111243742B (zh) * 2020-01-14 2023-08-25 中科海微(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能够分析儿童用眼习惯的智能眼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870B1 (ko) 유아용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시스템 및 그 개선시스템을 이용한 티브이 시청습관 개선방법
US6838994B2 (en) Adaptive alarm system
US200201354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sor-based power management of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US10445587B2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monitoring and autonomic response
US201202549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audio/video content in response to detection of user sleeping patterns
CN101188665A (zh) 一种电视机画面智能调节的方法和装置
KR102039857B1 (ko) Tv 제어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tv 제어 장치
TWI627607B (zh) 智慧居家照顧的安全裝置
CA2541729A1 (en) Wireless monitoring device used for childcare and smoke detection
WO2017166462A1 (zh) 一种环境变化提醒方法、系统与头戴式vr设备
KR100912137B1 (ko) 텔레비젼의 시력보호장치
CN109255314B (zh) 信息提示方法、装置、智能眼镜及存储介质
US9832431B2 (en) Public view monitor with tamper deterrent and security
US20140354535A1 (en) System and method of display device
CN104720429A (zh) 一种具有防睡功能的智能座椅
JP2010273276A (ja) テレビ制御装置
US201202936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stereoscopic video stream
KR102228575B1 (ko) 체온 및 온라인 학습 모니터링이 가능한 헤드셋 시스템
US10565031B2 (en) Event notif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40298374A1 (en) Video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and monitoring usage of video device
KR101950398B1 (ko) 영유아 tv 시청 보조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CN206292950U (zh) 一种智能视力保护装置
JP2021111890A (ja) 映像表示装置
CN201054652Y (zh) 红外线感应防近看电视机顶盒
JP2011223169A (ja) 電気機器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