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5827A -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안경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안경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5827A
KR20140075827A KR1020120133927A KR20120133927A KR20140075827A KR 20140075827 A KR20140075827 A KR 20140075827A KR 1020120133927 A KR1020120133927 A KR 1020120133927A KR 20120133927 A KR20120133927 A KR 20120133927A KR 20140075827 A KR20140075827 A KR 20140075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display
display device
uni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9180B1 (ko
Inventor
장영익
김연배
김창용
박승권
한제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3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180B1/ko
Priority to EP13856312.7A priority patent/EP2923494B1/en
Priority to CN201380061383.7A priority patent/CN104813676B/zh
Priority to PCT/KR2013/010189 priority patent/WO2014081146A1/en
Priority to US14/085,389 priority patent/US9554127B2/en
Publication of KR20140075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5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3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monoscop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2013/40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 H04N2013/405Privacy aspects, i.e. devices show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the images not being viewpoints of the same scene the images being stereoscopic or three dimensio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8Aspects relating to glasses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안경 장치와 함께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통화 수행부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가 수행되면,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안경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과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를 멀티 뷰 모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안경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GLAS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GLASSES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안경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안경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사용이 늘면서 좀 더 다양한 기능에 대한 사용자 니즈(needs)도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각 제조사들의 노력도 커져서, 3D 컨텐츠의 제공 등 종래에 없던 새로운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인터넷 등에 접속하여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각 사용자가 서로 다른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는 상황에서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각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시청할 때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안경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장치와 함께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통화 수행부;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가 수행되면,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안경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안경 장치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며, 상기 화상 통화 수행부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화상 통화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된 화상 통화 영상 및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생성된 화상 통화 영상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화상 통화 연결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UI 화면을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와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와 나머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중복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장치는 제1 셔터 글래스 및, 제2 셔터 글래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상기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를 오픈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장치는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는 음성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수집부에서 수집한 사용자 음성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장치와 함께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가 수행되면,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안경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상기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상기 안경 장치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를 촬영하여 생성된 화상 통화 영상 및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생성된 화상 통화 영상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화상 통화 연결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UI 화면을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와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와 나머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중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 신호를 상기 안경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제어 방법은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상기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상기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를 오픈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 뷰 모드 상황에서도 사용자는 타 사용자와 간편하게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화상 통화가 수행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안경 장치(2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폰, PDA, 노트북 PC, 모니터, 태블릿 PC, 전자 책, 전자 액자, 키오스크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한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은 멀티 뷰 모드로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서로 다른 안경 장치(200)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멀티 뷰 모드란, 서로 다른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멀티 뷰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안경 장치(200)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도록 한다. 다만, 도 2 및 도 3은 멀티 뷰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동작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라는 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안경 장치(200-1, 200-2)만을 도시하였다.
먼저, 도 2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컨텐츠 A, B)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각 컨텐츠에 대응되는 안경 장치 1, 2(200-1, 200-2)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안경 장치(200-1, 200-2)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안경 장치(200-1, 200-2)는 액티브 셔터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 1(200-1)은 동기화 신호에 따라 하나의 컨텐츠(A)가 디스플레이될 때, 좌측 셔터 글래스 및 우측 셔터 글래스 모두를 오픈시키고, 다른 컨텐츠(B)가 디스플레이될 때 좌측 셔터 글래스 및 우측 셔터 글래스 모두를 오프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안경 장치 2(200-2)는 동기화 신호에 따라 하나의 컨텐츠(B)가 디스플레이될 때, 좌측 셔터 글래스 및 우측 셔터 글래스 모두를 오픈시키고, 다른 컨텐츠(A)가 디스플레이될 때 좌측 셔터 글래스 및 우측 셔터 글래스 모두를 오프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 장치 1(200-1)을 착용한 사용자 1(user 1)은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A, B) 중 안경 장치 1(200-1)과 동기화된 컨텐츠(A) 만을 시청할 수 있으며, 안경 장치 2(200-2)를 착용한 사용자 2(user 2)는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A, B) 중 안경 장치 2(200-2)와 동기화된 컨텐츠(B) 만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컨텐츠 A, B)를 라인 단위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 중 컨텐츠(A)를 제1 수평 화소 라인에 디스플레이하고 컨텐츠(B)를 제2 수평 화소 라인에 디스플레이하고,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를 이용하여 컨텐츠(A)와 컨텐츠(B)가 서로 다른 편광을 갖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1 수평 화소 라인과 제2 수평 화소 라인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안경 장치(200-1, 200-2)는 편광 타입(또는, 패시브 편광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경 장치 1(20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수평 화소 라인 중 하나의 수평 화소 라인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갖는 편광 방향을 투과시키는 렌즈로 구현되고, 안경 장치 2(200-2)는 다른 수평 화소 라인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갖는 편광 방향을 투과시키는 렌즈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 1(200-1)을 착용한 사용자 1(user 1)은 라인 단위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A, B) 중 안경 장치 1(200-1)과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갖는 컨텐츠(A)만을 시청할 수 있으며, 안경 장치 2(200-2)를 착용한 사용자 2(user 2)는 라인 단위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A, B) 중 안경 장치 2(200-2)과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갖는 컨텐츠(B)만을 시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멀티 뷰 모드로 컨텐츠를 출력한다는 것은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시간적으로 번갈아 디스플레이하거나,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라인 단위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멀티 뷰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2개의 안경 장치(200-1, 200-2)를 통해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3개 이상의 안경 장치를 통해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안경 장치의 오픈/오프 타이밍을 동기화시킬 수 있는 동기화 신호를 각 안경 장치로 전송하여, 3개 이상의 안경 장치와 멀티 뷰 모드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한편,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라인 단위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각 컨텐츠의 편광 방향과 3개 이상의 안경 장치의 편광 방향이 일치되도록 구현하여 멀티 뷰 모드를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로 돌아와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화상 통화 영상 및 사용자 음성을 송수신하여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네트워크(10)는 VoBB(voice over broadband) 또는 레거시(legacy)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화상 통화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VoBB는 VoCM(voice over cable modem), VoDSL(voice over DSL),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FWA(fixed wireless access), FTTH(fiber to the home) 또는 VoATM(voice over ATM) 등의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레거시 서비스는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셀룰러 또는 3G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무선 네트워크, 종래의 전화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 케이블 모뎀 시스템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 등을 이용해 화상 통화 영상 및 사용자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터넷을 통해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인터넷에는 화상 통화를 제공하는 업체의 화상통화 서버가 존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인터넷 전화를 통해 화상 통화를 이용하는 경우, 인터넷 상에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또는 MoIP(Multimedia over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가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화 서비스 제공 업체의 서버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에 화상 통화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화 서비스 제공 업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화번호를 할당받을 수도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로 간에 설정된 규격에 따라 화상 통화 영상 및 사용자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상 통화 영상의 코딩을 위한 H.261 표준, 화상 통화 영상 및 사용자 음성의 통신을 H.221 표준 및 호출 설정 및 해제를 위한 H.242 표준 등과 같은 프로토콜들을 이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인터넷 망을 이용한 화상 통신 시스템의 경우, 영상 코딩을 위한 H.323, H.263 및 H264 표준과 음성 코딩을 위한 G723.1, G.711 및 G.729 등과 같은 화상 통신 표준에서 구현된 프로토콜들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화상 통화 수행을 위한 통신 서비스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표준 이외에 SIP, RTP/RTCP 프로토콜과 같은 표준들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공지된 다양한 화상 통화를 위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화상 통화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도 2와 같이, 안경 장치(200-1, 200-2)가 액티브 셔터 타입으로 구현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와 화상 통화 영상을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안경 장치 1(200-1)에 동기화된 컨텐츠 즉, 컨텐츠(A)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 1(200-1)을 착용한 사용자 1(user 1)은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화상 통화 영상 및 컨텐츠(B) 중 안경 장치 1(200-1)과 동기화된 화상 통화 영상만을 시청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안경 장치 2(200-1)에 동기화된 컨텐츠 즉, 컨텐츠(B)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2(user 2)가 화상 통화 영상만을 시청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과 같이, 안경 장치(200-1, 200-2)가 편광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와 화상 통화 영상을 라인 단위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안경 장치 1(200-1)와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갖는 제1 수평 화소 라인에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안경 장치 2(200-2)와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갖는 제2 수평 화소 라인에 컨텐츠(B)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 1(200-1)을 착용한 사용자 1(user 1)은 화상 통화 영상만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안경 장치 2(200-2)와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갖는 제2 수평 화소 라인에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안경 장치 1(200-1)과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갖는 제1 수평 화소 라인에 컨텐츠(A)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 2(200-2)를 착용한 사용자 2(user 2)는 화상 통화 영상만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 컨텐츠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구성된 3D 컨텐츠일 수 있다. 3D 컨텐츠란 동일한 객체(object)를 서로 다른 관점에서 표현한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한편, 동기화 신호를 이용하여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방식의 경우, 3D 컨텐츠를 멀티 뷰 모드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3D 컨텐츠(컨텐츠 A, B)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각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또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컨텐츠 A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AL, AR)을 디스플레이하고, 3D 컨텐츠 B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BL, BR)을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안경 장치 1(200-1)은 동기화 신호에 따라 3D 컨텐츠 A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AL, AR)의 디스플레이 시점에 좌안 및 우안 글래스를 오픈시키고, 안경 장치 2(200-2)는 동기화 신호에 따라 3D 컨텐츠 B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BL, BR)의 디스플레이 시점에 좌안 및 우안 글래스를 오픈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 1(200)을 착용한 사용자 1(user 1)은 3D 컨텐츠 A만을 시청하게 되고, 안경 장치 2(300)는 착용한 사용자 2(user 2)은 3D 컨텐츠 B 만을 시청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2D 컨텐츠 또는 3D 컨텐츠만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2D 컨텐츠와 3D 컨텐츠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화상 통화 수행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안경 장치(200)와 함께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적어도 하나씩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제2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제n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컨텐츠는 2D 컨텐츠 또는 3D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D 컨텐츠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고(가령, 제1 2D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제2 2D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제n 2D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3D 컨텐츠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3D 컨텐츠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 각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프레임 및 우안 영상 프레임을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가령, 제1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프레임, 제1 3D 컨텐츠의 우안 영상 프레임, 제2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프레임, 제2 3D 컨텐츠의 우안 영상 프레임,..., 제n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프레임, 제n 3D 컨텐츠의 우안 영상 프레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10)는 2D 컨텐츠와 3D 컨텐츠를 조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가령, 제1 2D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제2 2D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제3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프레임, 제3 3D 컨텐츠의 우안 영상 프레임,...)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라인 단위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홀수 번째 수평 화소 라인 및 제2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짝수 번째 수평 화소 라인을 하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여,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이 라인 단위로 적어도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를 구비하여, 교번적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라인별로 서로 다른 편광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수 번째 수평 화소 라인과 짝수 번째 수평 화소 라인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서로 다른 편광 방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각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안경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를 안경 장치 각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과 같은 경우, 통신부(120)는 컨텐츠(A)에 대한 오디오를 안경 장치 1(200-1)로 전송하고, 컨텐츠(B)에 대한 오디오를 안경 장치 2(200-2)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안경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안경 장치에서 수집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가 수집한 사용자 음성을 해당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과 같은 경우, 통신부(120)는 안경 장치 1(200-1) 및 안경 장치 2(200-2)중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안경 장치 1(200-1) 및 안경 장치 2(200-2)중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로부터 해당 안경 장치가 수집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0)는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전송한다. 즉, 도 2와 같이 안경 장치가 액티브 셔터 타입으로 구현된 경우, 통신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각각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각 안경 장치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화 신호를 안경 장치 각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2개의 컨텐츠가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통신부(120)는 컨텐츠(A)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안경 장치 1(200-1)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화 신호를 안경 장치 1(200-1)로 전송하고, 컨텐츠(B)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안경 장치 2(200-2)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화 신호를 안경 장치 2(200-2)로 전송할 수 있다.
안경 장치는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중 자신과 동기화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는 좌안 셔터 글래스 및 우안 셔터 글래스를 오픈하고, 다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는 좌안 셔터 글래스 및 우안 셔터 글래스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 중 자신이 착용한 안경 장치에 동기화된 컨텐츠만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부(120)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전송 패킷 형태로 다양한 데이터를 안경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하나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복수의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각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안경 장치 각각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주파수 대역(가령, 2.4GHz 대역의 ISM(Industrial Sciwntific Medical) 대역)을 이용하여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비록,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안경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블루투스 방식 이외에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RF 통신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고, 기타 근거리에서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동기화 신호를 안경 장치로 전송하고, 별도의 RF(Radio Frequency) 채널을 통해 안경 장치와 사용자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20)는 RF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RF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중 기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안경 장치 1(200-1)과 사용자 음성을 송수신하고, 기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안경 장치 2(200-2)와 사용자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화상 통화 수행부(13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화상 통화 수행부(130)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화상 통화 영상을 생성하고, 촬영된 화상 통화 영상 및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통화 수행부(13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생성된 화상 통화 영상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상 통화 수행부(130)는 네트워크(도 1의 10)를 통해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부(120)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안경 장치에 구비된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안경 장치는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인쿼리 메시지(Inquiry Message)를 브로드 캐스트하여,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검색한다. 인쿼리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40)는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Extended Inquiry Response, EIR)를 안경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응답 메시지에는 블루투스 어드레스(Bluetooth device Address), 기기 명칭(Name), COD(Class of Device) 및 클럭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안경 장치는 블루투스 어드레스, 기기 타입(Type) 등을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통신부(120)를 통해 해당 전송 패킷을 수신받으면,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와 핀코드(PIN Code)를 송수신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하여, 안경 장치와 페어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핀코드를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입력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등록함으로써, 페어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핀코드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을 통해 페어링 과정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어부(140)는 통신부(120)가 안경 장치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제어부(140)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통신부(120)와 안경 장치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와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컨텐츠(A)와 컨텐츠(B)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통신부(120)는 안경 장치 1(200-1) 및 안경 장치 2(200-2)와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주파수 대역 내의 기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동기화 신호 및 컨텐츠(A)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안경 장치 1(200-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주파수 대역 내의 기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동기화 신호 및 컨텐츠(B)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안경 장치 2(220-2)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안경 장치 1(200)로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 중 컨텐츠(A)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안경 장치 1(200-1)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신호이며, 안경 장치 2(200-2)로 전송되는 동기화 신호는 컨텐츠(B)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안경 장치 2(200-2)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신호이다. 또한, 안경 장치 1(200-1)로 전송되는 오디오는 컨텐츠(A)를 구성하는 오디오이고, 안경 장치 2(200-2)로 전송되는 오디오는 컨텐츠(B)를 구성하는 오디오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컨텐츠(A)와 컨텐츠(B)를 라인 단위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통신부(120)는 안경 장치 1(200-1) 및 안경 장치 2(200-2)와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주파수 대역 내의 기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컨텐츠(A)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안경 장치 1(200-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주파수 대역 내의 기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컨텐츠(B)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안경 장치 2(220-2)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안경 장치 1(200-1)로 전송되는 오디오는 컨텐츠(A)를 구성하는 오디오이고, 안경 장치 2(200-2)로 전송되는 오디오는 컨텐츠(B)를 구성하는 오디오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각 안경 장치로 동기화 신호, 오디오 등을 전송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화상 통화가 수행되면,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안경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대신,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안경 장치로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화상 통화 요청이 화상 통화 수행부(130)를 통해 수신되면, 제어부(14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안경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사용자 음성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에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의 전송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서 안경 장치 1(200-1)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4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안경 장치 1(200-1)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 안경 장치 2(200-2)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4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안경 장치 2(200-2)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과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를 멀티 뷰 모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액티브 셔터 타입으로 구현된 안경 장치와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경우를 가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를 대신하여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여,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화상 통화 영상을 시청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안경 장치 1(200-1)가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교번적으로 출력되는 복수의 컨텐츠 중 안경 장치 1(200-1)과 동기화된 컨텐츠(A)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컨텐츠(A)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는 화상 통화 영상과 안경 장치 2(200-2)와 동기화된 컨텐츠(B)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화상 통화 영상을 구성하는 제1 영상 프레임, 컨텐츠(B)의 제1 영상 프레임, 화상 통화 영상을 구성하는 제2 영상 프레임, 컨텐츠(B)의 제2 영상 프레임,... 순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 1(200-1)을 착용한 사용자 1(user 1)은 화상 통화 영상만을 시청하고, 안경 장치 2(200-2)를 착용한 사용자 2(user 2)는 컨텐츠(B)만을 시청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안경 장치 2(200-2)에서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경우,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 1(200-1)에 동기화된 컨텐츠(A)와 화상 통화 영상을 교번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컨텐츠(A)의 제1 영상 프레임, 화상 통화 영상을 구성하는 제1 영상 프레임, 컨텐츠(A)의 제2 영상 프레임, 화상 통화 영상을 구성하는 제2 영상 프레임,... 순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 1(200-1)을 착용한 사용자 1(user 1)은 컨텐츠(A)만을 시청하고, 안경 장치 2(200-2)를 착용한 사용자 2(user 2)는 화상 통화 영상만을 시청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와 나머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중복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교번적으로 출력되는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2개의 컨텐츠와 동기화된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 각각이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화상 통화 영상을 중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안경 장치 1(200-1)과 안경 장치 2(200-2)가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교번적으로 출력되는 컨텐츠(A) 및 컨텐츠(B)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각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화상 통화 영상을 중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 1(200-1)과 동기화된 컨텐츠(A)를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화상 통화 영상을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하고, 이와 동일한 영상 프레임을 안경 장치 2(200-2)와 동기화된 컨텐츠를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화상 통화 영상을 구성하는 제1 영상 프레임, 제1 영상 프레임, 제2 영상 프레임, 제2 영상 프레임,... 순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 1(200)을 착용한 사용자 1(user 1) 및 안경 장치 2(300)를 착용한 사용자 2(user 2) 모두는 화상 통화 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화상 통화 연결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UI 화면을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UI 화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의 영상 프레임에 UI 화면을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컨텐츠의 제1 영상 프레임 + UI 화면, 제2 컨텐츠의 제1 영상 프레임 + UI 화면, 제1 컨텐츠의 제2 영상 프레임 + UI 화면, 제2 컨텐츠의 제2 영상 프레임 + UI 화면,...과 같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들은 UI 화면을 통해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화상 통화 연결을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로부터 통신부(120)를 통해 화상 통화 연결 명령 또는 화상 통화 연결 거부 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UI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UI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를 대신하여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거부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UI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기존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화상 통화 연결 거부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디스플레이되는 UI 화면의 디스플레이만을 중단할 수 있으며, 화상 통화 연결 거부 명령을 전송하지 않은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는 UI 화면을 컨텐츠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 또는 화상 통화 연결 거부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UI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40)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시점부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화상 통화 연결 명령 또는 화상 통화 연결 거부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UI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안경 장치가 액티브 셔터 타입으로 구현된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안경 장치가 편광 타입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도, 제어부(14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과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를 멀티 뷰 모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컨텐트 중 하나의 컨텐츠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라인 단위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와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갖는 컨텐츠를 대신하여 해당 수평 화소 라인에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안경 장치 1(200-1)가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 1(200-1)과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갖는 컨텐츠(A)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해당 라인에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화상 통화 영상의 홀수 번째 수평 화소 라인과 컨텐츠(B)의 영상 프레임의 짝수 번째 수평 화소 라인을 하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 1(200-1)을 착용한 사용자 1(user 1)은 화상 통화 영상만을 시청하고, 안경 장치 2(200-2)를 착용한 사용자 2(user 2)는 컨텐츠(B)만을 시청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안경 장치 2(200-2)가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경우,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 2(200-2)와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갖는 컨텐츠(B)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해당 라인에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컨텐츠(A)의 영상 프레임의 홀수 번째 수평 화소 라인과 화상 통화 영상의 짝수 번째 수평 화소 라인을 하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 2(200-2)를 착용한 사용자 2(user 2)는 화상 통화 영상만을 시청하고, 안경 장치 1(200-1)를 착용한 사용자 1(user 1)는 컨텐츠(A)만을 시청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모든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안경 장치 1(200-1)과 안경 장치 2(200-2)가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라인 단위로 교번적으로 출력되는 컨텐츠(A) 및 컨텐츠(B)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화상 통화 영상을 중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 1(200)을 착용한 사용자 1(user 1) 및 안경 장치 2(300)를 착용한 사용자 2(user 2) 모두는 화상 통화 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화상 통화 연결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UI 화면을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에 UI 화면을 중첩하고, 각 컨텐츠를 라인 단위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UI 화면을 중첩된 제1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홀수 번째 수평 화소 라인과 UI 화면을 중첩된 제2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짝수 번째 수평 화소 라인을 하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들은 UI 화면을 통해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화상 통화 연결을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로부터 통신부(120)를 통해 화상 통화 연결 명령 또는 화상 통화 연결 거부 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UI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해당 UI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와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갖는 라인에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거부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UI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기존에 디스플레이되었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화상 통화 연결 거부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와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갖는 라인에 디스플레이되는 UI 화면의 디스플레이만을 중단할 수 있으며, 화상 통화 연결 거부 명령을 전송하지 않은 안경 장치와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갖는 라인에는 UI 화면을 컨텐츠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통신부(120), 화상 통화 수행부(130), 제어부(140), 복수의 수신부(150-1, 150-2,..., 150-n), 복수의 신호 처리부(160-1, 160-2,..., 160-n) 및 동기화 신호 생성부(170)를 포함한다. 도 3을 설명함에 있어, 도 2와 동일한 도면 부호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화상 통화 수행부(130)는 촬영부(131), 인터페이스부(133) 및 화상 통화 처리부(135)를 포함한다.
촬영부(131)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화상 통화 영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촬영부(131)는 카메라 등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하여 화상 통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내장되어 있거나, 외장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평소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에 숨겨져 있다가, 화상 통화를 이용할 때에 외부로 나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촬영된 영상은 화상 통화 처리부(135)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부(11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형태로 처리되거나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는 형태로 처리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3)는 촬영된 화상 통화 영상 및 안경 장치(200, 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생성된 화상 통화 영상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33)는 유/무선 LAN, WAN, 이더넷, 와이파이(Wifi) 등을 이용하여,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33)는 각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칩 또는 외부 입력 포트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화상 통화 처리부(135)는 화상 통화 데이터 즉, 화상 통화 영상 및 사용자 음성을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화상 통화 처리부(135)는 촬영부(131)에서 생성된 화상 통화 영상 및 통신부(120)에서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처리하여, 인터페이스부(133)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화상 통화 처리부(135)는 촬영부(131)로부터 전달받은 화상 통화 영상을 H.323, H.263, 및 H.264 등의 표준에 따라 부호화(encode)하며, 안경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G.723.1, G.711, 및 G.729 등의 표준에 따라 부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 통화 처리부(135)는 부호화된 화상 통화 데이터를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기 위해, 해당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33)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통화 처리부(135)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 및 사용자 음성을 복호화(decod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통화 처리부(135)는 H.323, H.263, 및 H.264 등의 표준에 따라 부호화 화상 통화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G.723.1, G.711, 및 G.729 등의 표준에 따라 부호화된 사용자 음성을 복호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화상 통화 영상 및 음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화상 통화 처리부(135)는 복호화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사이즈에 맞추어 업 또는 다운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스케일러(미도시), 화상 통화 영상에 대한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하기 위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화상 통화 처리부(135)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미도시)에 대응되는 데이터 포맷으로 화상 통화 영상을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포맷 변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화상 통화 영상이 탑-투-바텀(top-to-bottom) 포맷인데 반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미도시)에서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포맷으로 프레임을 처리하는 경우라면, 데이터 포맷 변환부(미도시)는 화상 통화 영상의 각 영상 프레임을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하여 사이드-바이-사이드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미도시)는 화상 통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레이트를 참조하여 변환한다. 예를 들어,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가능한 프레임 레이트는 초당 60 프레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미도시)는 각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60Hz로 변환한다.
한편, 화상 통화 처리부(135)는 사용자 음성을 통신부(120)로 전달하여,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이 통신부(120)를 통해 안경 장치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통화 처리부(135)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복호화하여 통신부(12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복수의 수신부(150-1, 150-2,..., 150-n)는 서로 다른 컨텐츠 각각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각 수신부(150-1, 150-2,..., 150-n)는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송국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컨텐츠 파일을 전송하는 웹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마련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각종 기록 매체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기록 매체 재생 장치란 CD, DVD, 하드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방송국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복수의 수신부(150-1, 150-2,..., 150-n)는 튜너(미도시), 복조기(미도시), 등화기(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반면, 웹 서버와 같은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복수의 수신부(150-1, 150-2,..., 150-n)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각종 기록 매체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복수의 수신부(150-1, 150-2,..., 150-n)는 기록 매체 재생 장치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수신부(150-1, 150-2,..., 150-n)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수신부(150-1, 150-2,..., 150-n)는 반드시 동일한 유형의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필요는 없으며, 복수의 수신부(150-1, 150-2,..., 150-n)는 서로 다른 유형의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 1(150-1)은 튜너, 복조기, 등화기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고, 수신부 2(150-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신호 처리부(160-1, 160-2,..., 160-n)는 복수의 수신부(150-1, 150-2,..., 150-n)에서 수신된 컨텐츠들을 각각 처리하여 영상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6을 참조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처리부 1(160-1)은 비디오 처리부 1(161-1)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1(162-1)을 포함한다. 비록, 도 4에는 하나의 신호 처리부 1(160-1)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지만, 다른 신호 처리부(160-2,..., 160-n) 모두 도 4와 동일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 1(161-1)은 수신부 1(150-1)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비디오 처리부 1(161-1)은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디코더(미도시),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사이즈에 맞추어 업 또는 다운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스케일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비디오 처리부 1(161-1)은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1(162-1)에 대응되는 데이터 포맷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변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가 탑-투-바텀(top-to-bottom) 포맷인데 반해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1(162-1)에서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포맷으로 프레임을 처리하는 경우라면, 비디오 처리부 1(161-1)은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하여 사이드-바이-사이드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1(162-1)은 비디오 처리부 1(161-1)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레이트를 참조하여 변환한다. 예를 들어,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가능한 프레임 레이트는 초당 60 프레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 1(162-1)은 각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60Hz로 변환한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화상 통화 처리부(135)와 복수의 신호 처리부(160-1, 160-2,..., 160-n)에서 화상 통화 영상 및 컨텐츠를 구성하는 영상을 각각 처리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하나의 비디오 처리부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화부를 통해 화상 통화 영상 및 컨텐츠를 구성하는 영상 모두를 처리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신호 처리부(160-1, 160-2,..., 160-n)에서 구성된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교번적으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신호 처리부(160-1, 160-2,..., 160-n)에서 제공되는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멀티플렉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각 컨텐츠에 대한 영상 프레임을 화면 사이즈에 맞추어 업 또는 다운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제2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제n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 경우, 각 컨텐츠는 초당 60 프레임을 갖도록 변환되었다는 점에서, 디스플레이부(110)는 교번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영상 프레임을 n×60Hz의 구동 주파수로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연동하는 안경 장치를 착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시청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안경 장치에는 좌안 셔터 글래스 및 우안 셔터 글래스가 구비된다. 좌안 셔터 글래스 및 우안 셔터 글래스는 3D 컨텐츠를 시청할 때는 교번적으로 오픈/오프된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안경 장치는 자신과 동기화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때 좌안 및 우안 셔터 글래스를 일괄적으로 오픈시키고, 동기화되지 않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될 때 좌안 및 우안 셔터 글래스를 일괄적으로 오프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타 사용자와 별개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텐츠가 3D 컨텐츠인 경우, ,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62-1, 162-2,..., 162-n)에서 제공되는 각 3D 컨텐츠에 포함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들을 기설정된 배치 형태로 멀티플렉싱하고, 타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과 교번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컨텐츠의 좌안 영상, 우안 영상, 제2 컨텐츠의 좌안 영상, 우안 영상,.. 제n 컨텐츠의 좌안 영상, 우안 영상이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는 안경 장치를 통해서 하나의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이 경우,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은 초당 60 프레임을 갖도록 변환되었다는 점에서, 디스플레이부(110)는 교번적으로 배치된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n×120Hz의 구동 주파수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10)는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화상 통화 처리부(135)에서 처리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안경 장치 1 및 2(200-1, 200-2)와 연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안경 장치 1(200-1)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신호 처리부 1(160-1)에서 처리된 컨텐츠(A) 대신 화상 통화 처리부(135)에서 처리된 화상 통화 영상과 신호 처리부 2(160-2)에서 처리된 컨텐츠(B)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화상 통화 영상을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 각각과 컨텐츠(B)를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 각각을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멀티플렉싱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0)는 교번적으로 배치된 화상 통화 영상 및 컨텐츠에 대한 영상 프레임을 120Hz의 구동 주파수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안경 장치 2(200-2)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10)는 신호 처리부 2(160-2)에서 처리된 컨텐츠(B) 대신 화상 통화 처리부(135)에서 처리된 화상 통화 영상과 신호 처리부 1(160-1)에서 처리된 컨텐츠(A)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컨텐츠(A)를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과 화상 통화 영상을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 각각을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멀티플렉시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0)는 교번적으로 배치된 화상 통화 영상 및 컨텐츠에 대한 영상 프레임을 120Hz의 구동 주파수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안경 장치 1(200)과 안경 장치 2(300) 모두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신호 처리부 1 및 2(160-1, 160-2)에서 처리된 컨텐츠(A) 및 컨텐츠(B)가 아닌, 화상 통화 처리부(135)에서 처리된 화상 통화 영상의 각 영상 프레임을 중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0)는 화상 통화 영상을 구성하는 제1 영상 프레임, 제1 영상 프레임, 제2 영상 프레임, 제2 영상 프레임,... 과 같이 각 영상 프레임을 중복하여 배치하고, 이를 120Hz의 구동 주파수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컨텐츠가 2D 컨텐츠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3D 컨텐츠인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3D 컨텐츠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하나의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해당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화상 통화 영상의 좌안 영상 프레임 및 우안 영상 프레임을 다른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과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멀티플렉싱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안경 장치 1(200-1)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화상 통화 영상의 좌안 영상 프레임, 우안 영상 프레임, 컨텐츠(B)의 좌안 영상 프레임, 우안 영상 프레임,... 순으로 영상 프레임을 교번적으로 배치하고, 이러한 영상 프레임을 240Hz의 구동 주파수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화상 통화 영상의 제1 좌안 영상 프레임, 제1 우안 영상 프레임, 제1 좌안 영상 프레임, 제1 우안 영상 프레임, 제2 좌안 영상 프레임, 제2 우안 영상 프레임, 제2 좌안 영상 프레임, 제2 우안 영상 프레임,... 순으로 영상 프레임을 배치하고, 이러한 영상 프레임을 240Hz의 구동 주파수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10), 화상 통화 수행부(130) 및 신호 처리부(160-1,...,160-n)의 동작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동기화 신호 생성부(170)는 각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따라, 각 컨텐츠에 대응되는 안경 장치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동기화 신호 생성부(170)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영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안경 장치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며,
통신부(120)는 안경 장치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 및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를 안경 장치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전송 패킷을 생성하여 동기화 신호 및 오디오를 안경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부(120)가 안경 장치와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은 도 2에서 상술한바 있다는 점에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전송 패킷은 동기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송 패킷은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동기화되어 안경 장치의 셔터 글래스를 오픈/오프시키기 위한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간 정보는 안경 장치의 좌안 셔터 글래스를 오픈시키는 오프셋 시간(left shutter open offset), 좌안 셔터 글래스를 오프시키는 오프셋 시간(left shutter close offset), 우안 셔터 글래스를 오픈시키는 오프셋 시간(right shutter open offset), 우안 셔터 글래스를 오프시키는 오프셋 시간(right shutter close offset)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오프셋 시간은 컨텐츠마다 설정된 기준 시점으로부터 셔터 글래스의 오픈 또는 오프시점까지의 딜레이 정보이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는 기준 시점으로부터 오프셋 시간이 경과된 때, 좌안 셔터 글래스 및 우안 셔터 글래스를 오픈/오프시킨다.
예를 들어, 기준 시점은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에서 수직 동기 신호(즉, 프레임 싱크)가 발생되는 시점일 수 있으며, 기준 시점에 대한 정보는 전송 패킷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송 패킷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클럭 신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 장치는 전송 패킷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클럭 신호에 자신의 클럭 신호를 동기화하고,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수직 동기 신호가 발생되는 시점으로부터 오프셋 시간이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셔터 글래스를 오픈/오프시킬 수 있다. 그 밖에도, 전송 패킷은 프레임 싱크의 주기에 대한 정보, 프레임 싱크의 주기가 소수점을 가질 때 소수점 정보를 표기하기 위한 정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송 패킷은 각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 및 오디오를 각 컨텐츠와 동기화된 안경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2개의 컨텐츠가 서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컨텐츠(A)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따라 안경 장치 1(200-1)을 오픈/오프시키기 위한 시간 정보 및 컨텐츠(A)를 구성하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안경 장치 1(200-1)로 전송하고, 컨텐츠(B)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따라 안경 장치 2(200-2)를 오픈/오프시키기 위한 시간 정보 및 컨텐츠(B)를 구성하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안경 장치 2(200-2)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각 전송 패킷을 안경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어부(140)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주파수 대역 중 기설정된 제1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 패킷을 안경 장치 1(200-1)로 전송하고, 기설정된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송 패킷을 안경 장치 2(200-2)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140)는 해당 안경 장치로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대신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동기화 신호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포함하도록 전송 패킷을 구성하고,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로 해당 전송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안경 장치 1(200-1)이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경우, 제어부(140)는 안경 장치 1(200-1)과 동기화된 컨텐츠(A)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기초하여 안경 장치 1(200)을 오픈/오프시키기 위한 시간 정보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안경 장치 1(200-1)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컨텐츠(A)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컨텐츠(A) 대신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안경 장치 2(200-2)가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경우, 제어부(140)는 컨텐츠(B)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따라 안경 장치 2(200-2)를 오픈/오프시키기 위한 시간 정보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포함하는 전송 패킷을 안경 장치 2(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140)는 컨텐츠(B)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컨텐츠(B) 대신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든 것으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도 4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 2와 같은 방식으로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 3과 같은 방식으로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도 4와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4에서 동기화 신호 생성부(170)를 포함하지 않으며, 복수의 신호 처리부(160-1, 160-2,..., 160-n) 및 디스플레이부(110)의 동작이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신호 처리부(160-1, 160-2,..., 160-n)는 복수의 수신부(150-1, 150-2,..., 150-n) 각각에서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하고, 각 컨텐츠의 프레임을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가능한 프레임 레이트는 초당 60 프레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60Hz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신호 처리부(160-1, 160-2,..., 160-n)는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수평 화소 라인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부 1(160-1)은 제1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제1 수평 화소 라인을 추출하고, 신호 처리부 2(160-2)는 제2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제2 수평 화소 라인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수평 화소 라인은 홀수 번째 화소 라인일 수 있고, 제2 수평 화소 라인은 짝수 번째 화소 라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는 각 신호 처리부(160-1, 160-2)로부터 전달받은 화소 라인을 이용하여, 하나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제1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제1 수평 화소 라인과 다른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제2 수평 화소 라인을 하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패턴드 리타더(patterned retarder)를 구비하여, 교번적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라인별로 서로 다른 편광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평 화소 라인과 제2 수평 화소 라인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서로 다른 편광 방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화상 통화 수행부(130)는 화상 통화 영상에서 수평 화소 라인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통화 수행부(130)에서 추출되는 수평 화소 라인은 제1 수평 화소 라인 또는 제2 수평 화소 라인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수평 화소 라인은 홀수 번째 화소 라인일 수 있고, 제2 수평 화소 라인은 짝수 번째 화소 라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안경 장치 1(200-1)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화상 통화 수행부(130)는 화상 통화 영상에서 제1 수평 화소 라인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0)로 전달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0)는 화상 통화 영상의 제1 수평 화소 라인과 컨텐츠(B)의 제2 수평 화소 라인을 하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안경 장치 2(200-2)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 화상 통화 수행부(130)는 화상 통화 영상에서 제2 수평 화소 라인을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컨텐츠(A)의 제1 수평 화소 라인과 화상 통화 영상의 제2 수평 화소 라인을 하나의 영상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동작은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안경 장치(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제어부(230) 및 음성 출력부(240)를 포함한다. 특히, 본 안경 장치(200)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를 수신하고, 안경 장치(200)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안경 장치(200)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에 구비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은 인쿼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페어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와 함께 상술한 바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부(210)가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면, 통신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2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부(220)를 통해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을 입력하면, 제어부(230)는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안경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안경 장치(200)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안경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210)는 동기화 신호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예를 들어, 안경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전송 패킷을 통해 동기화 신호 및 사용자 음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동기화 신호 및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입력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도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20)는 화상 통화를 거부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도 있으며, 제어부(230)는 화상 통화를 거부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화상 통화 거부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220)는 채널 전환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도 있으며, 제어부(230)는 채널 전환을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채널 전환 명령을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안경 장치(200)로부터 채널 전환 명령을 수신하면, 다른 채널을 선국하고,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채널 전환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위해, 다양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220)는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제1 버튼,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제2 버튼, 화상 통화를 거부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제3 버튼으로 구현되어, 안경 장치(20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하나의 버튼만으로 모든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가령, 하나의 버튼을 사용자가 한번 누른 경우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고, 두 번 누른 경우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고, 세번 누른 경우 화상 통화 거부를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음성 출력부(240)는 오디오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가 수신되면, 수신된 오디오를 음성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출력부(240)는 사용자 음성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음성이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음성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출력부(240)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안경 장치(20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양측 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안경 장치(200)는 통신부(210), 입력부(220), 제어부(230), 음성 출력부(240), 음성 수집부(250) 및 셔터 글래스부(260)를 포함한다. 도 을 설명함에 있어, 도 7과 동일한 도면 부호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음성 수집부(250)는 사용자 음성을 수집한다. 예를 들어, 음성 수집부(250)는 마이크(미도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안경 장치(20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입 부분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음성 수집부(250)에서 수집한 사용자 음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음성 수집부(250)에서 사용자 음성이 수집되면, 사용자 음성을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전송 패킷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230)는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주파수 대역 중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사용자 음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셔터 글래스부(260)는 제1 셔터 글래스(261) 및 제2 셔터 글래스(26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셔터 글래스(261)는 좌안 셔터 글래스이고 제2 셔터 글래스(263)는 우안 셔터 글래스이거나, 제1 셔터 글래스(261)는 우안 셔터 글래스이고 제2 셔터 글래스(263)는 좌안 셔터 글래스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230)는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제1 셔터 글래스(261) 및 제2 셔터 글래스(263)를 오픈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안경 장치(200)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수신한 경우, 안경 장치(200)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함은 전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동기화 신호에 포함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안경 장치(200)와 동기화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기초하여 제1 셔터 글래스(261) 및 제2 셔터 글래스(263)의 오픈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기화 정보는 안경 장치(200)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대한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어부(230)는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안경 장치(200)와 동기화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제1 셔터 글래스(261) 및 제2 셔터 글래스(263)를 오픈시키고, 다른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될 때 제1 셔터 글래스(261) 및 제2 셔터 글래스(263)를 오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안경 장치(200)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수신한 경우, 안경 장치(200)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는 점에서, 안경 장치(200)를 착용한 사용자는 화상 통화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은 안경 장치(200)에 포함된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든 것으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8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도 7 및 8은 안경 장치(200)가 도 2과 같은 방식으로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안경 장치(200)가 도 3과 같은 방식으로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도 7 및 도 8과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20)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며,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또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안경 장치(200)는 셔터 글래스부(260) 대신 일정한 편광 방향을 투과시키는 렌즈(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경 장치(200)는 좌안 렌즈(미도시) 및 우안 렌즈(미도시)를 포함하는데, 좌안 렌즈(미도시) 및 우안 렌즈(미도시)는 동일한 편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 렌즈(미도시) 및 우안 렌즈(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수평 화소 라인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갖는 편광 방향 또는 제2 수평 화소 라인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갖는 편광 방향을 투과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200)를 착용한 사용자는 제1 수평 화소 라인 또는 제2 수평 화소 라인에서 출력되는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410)과 컨텐츠(420)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각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안경 장치 1(200-1)과 안경 장치 2(200-2)로 각각 전송한다. 이에 따라, 컨텐츠(410)가 디스플레이 시점에만 좌측 및 우측 셔터 글래스가 오픈되는 안경 장치 1(200-1)를 착용한 사용자 1(user 1)은 컨텐츠(410)를 시청하고, 컨텐츠(420)가 디스플레이 시점에만 좌측 및 우측 셔터 글래스가 오픈되는 안경 장치 2(200-2)를 착용한 사용자 2(user 2)는 컨텐츠(420)를 시청하게 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410)를 구성하는 오디오를 안경 장치 1(200)로 전송하고, 컨텐츠 2를 구성하는 오디오를 안경 장치 2(300)로 전송한다는 점에서, 사용자 1 및 2는 각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함께 들을 수 있게 된다.
이후,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화상 통화를 요청한 경우, 도 10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 통화 연결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UI 화면(430)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화상 통화 요청을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안경 장치 1(200-1)에 동기화된 컨텐츠(410)와 안경 장치 2(200-2)에 동기화된 컨텐츠(420) 각각에 화상 통화 연결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UI 화면(430)을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1 및 2는 UI 화면(430)을 볼 수 있게 되며, 각 안경 장치(200-1, 200-2)에 마련된 버튼을 통해 화상 통화를 수행하거나 화상 통화를 거부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하여,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화상 통화를 수행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화상 통화가 수행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1은 도 10과 같은 예에서 안경 장치 1(200-1)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된 경우이다.
도 1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 1(200-1)과 동기화된 컨텐츠(420)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컨텐츠(420)가 디스플레이되던 타이밍에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44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420)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대한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안경 장치 1(200-1)을 착용한 사용자 1(viwer 1)은 화상 통화 영상(440)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420)를 구성하는 오디오의 전송을 중단하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안경 장치 1(200-1)로 전송하며, 안경 장치 1(200-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안경 장치 1(200-1)은 수집한 사용자 1의 음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1(user 1)은 안경 장치 1(200-1)을 통해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와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를 참조하면, 안경 장치 2(200-2)와 동기화된 컨텐츠(420)에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되던 UI 화면(430)이 사라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안경 장치 2(200-2)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거부 명령이 수신하였거나, 기설정된 시간 동안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UI 화면(430)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2은 10과 같은 예에서 안경 장치 1 및 2(200-1, 200-2)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안경 장치 1(200-1)과 동기화된 컨텐츠(420) 및 안경 장치 2(200-2)와 동기화된 컨텐츠(430)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각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던 타이밍에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44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420)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대한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안경 장치 1(200-1)을 착용한 사용자 1(user 1)은 화상 통화 영상(440)을 시청할 수 있으며, 컨텐츠(430)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대한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안경 장치 2(200-2)를 착용한 사용자 2(user 2)는 화상 통화 영상(440)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420)를 구성하는 오디오 대신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안경 장치 1(200-1)로 전송하고, 컨텐츠(430)를 구성하는 오디오 대신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안경 장치 2(200-2)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안경 장치 1, 2(200-1, 200-2)는 각각 수집한 사용자 1 및 사용자 2의 음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1(user 1) 및 사용자 2(user 2)는 각 안경 장치를 통해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와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도 9 내지 도 1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안경 장치(200)가 도 2와 같은 방식으로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일 예이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안경 장치(200)가 도 3과 같은 방식으로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안경 장치(200)를 통해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안경 장치와 연동할 수 있다.
먼저,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디스플레이한다(S510).
이후,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화상 통화가 수행되면(S520-Y),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안경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디스플레이한다(S530).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안경 장치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또한, 사용자를 촬영하여 생성된 화상 통화 영상 및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생성된 화상 통화 영상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화상 통화 연결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UI 화면을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의 영상 프레임에 UI 화면을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의 제1 영상 프레임 + UI 화면, 제2 컨텐츠의 제1 영상 프레임 + UI 화면, 제1 컨텐츠의 제2 영상 프레임 + UI 화면, 제2 컨텐츠의 제2 영상 프레임 + UI 화면,...과 같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들은 UI 화면을 통해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화상 통화 연결을 요청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S510 단계는,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를 대신하여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여,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전송한 안경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화상 통화 영상을 시청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S510 단계는,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와 나머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중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교번적으로 출력되는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2개의 컨텐츠와 동기화된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 각각이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화상 통화 영상을 중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경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되면(S610-Y),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한다(S620)
그리고, 사용자 음성을 출력한다(S630).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100')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를 오픈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및 도 14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는 상술한바 있다는 점에서 중복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안경 장치가 도 2와 같은 형태로 구현된 경우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도 3과 같은 형태로 구현된 경우에도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는 상술한 바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통신부 130 : 화상 통화 수행부
140 : 제어부

Claims (25)

  1. 안경 장치와 함께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통화 수행부;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가 수행되면,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안경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안경 장치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며,
    상기 화상 통화 수행부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화상 통화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된 화상 통화 영상 및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생성된 화상 통화 영상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화상 통화 연결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UI 화면을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와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와 나머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중복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안경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안경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제1 셔터 글래스; 및,
    제2 셔터 글래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상기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를 오픈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 음성을 수집하는 음성 수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수집부에서 수집한 사용자 음성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장치.
  14. 안경 장치와 함께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가 수행되면,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안경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과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를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장치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를 촬영하여 생성된 화상 통화 영상 및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생성된 화상 통화 영상 및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화상 통화 연결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UI 화면을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제어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와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와 나머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중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이용하여 상기 동기화 신호를 상기 안경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1. 안경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타 디스플레이 장치와 화상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동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화상 통화 연결 명령이 상기 안경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통화 영상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상기 제1 및 제2 셔터 글래스를 오픈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KR1020120133927A 2012-11-23 2012-11-23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안경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99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927A KR101999180B1 (ko) 2012-11-23 2012-11-23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안경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13856312.7A EP2923494B1 (en) 2012-11-23 2013-11-11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system
CN201380061383.7A CN104813676B (zh) 2012-11-23 2013-11-11 显示设备、用于控制该显示设备的方法、眼镜和用于控制该眼镜的方法
PCT/KR2013/010189 WO2014081146A1 (en) 2012-11-23 2013-11-11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tus, glas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glasses
US14/085,389 US9554127B2 (en) 2012-11-23 2013-11-20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glas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gla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927A KR101999180B1 (ko) 2012-11-23 2012-11-23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안경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5827A true KR20140075827A (ko) 2014-06-20
KR101999180B1 KR101999180B1 (ko) 2019-10-01

Family

ID=5077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927A KR101999180B1 (ko) 2012-11-23 2012-11-23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안경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54127B2 (ko)
EP (1) EP2923494B1 (ko)
KR (1) KR101999180B1 (ko)
CN (1) CN104813676B (ko)
WO (1) WO20140811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8672B (zh) * 2009-06-16 2015-04-22 Lg电子株式会社 3d显示设备及其选择性图像显示方法
KR102081797B1 (ko) 2012-12-13 2020-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안경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오디오 장치 및 이의 오디오 신호 제공 방법,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
EP3090531B1 (en) * 2014-02-03 2019-04-10 Kopin Corporation Smart bluetooth headset for speech command
KR101595957B1 (ko) * 2014-06-12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제어 시스템
CN104065953B (zh) * 2014-06-27 2017-01-04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显示设备多视图可视化显示控制的方法及装置
WO2016017945A1 (en) 2014-07-29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of pairing the same with electronic device
KR102437104B1 (ko) 2014-07-29 2022-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촬영된 전자 기기와 페어링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59850B1 (ko) * 2015-12-03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및 그래픽 처리 장치
CN105930691B (zh) * 2016-04-14 2019-01-08 卓荣集成电路科技有限公司 基于蓝牙的音乐许可播放系统和方法
JP2018137505A (ja) * 2017-02-20 2018-08-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7995420B (zh) * 2017-11-30 2021-02-0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远程合影控制方法、双面屏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806A (ko) * 2010-04-16 2011-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안경,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20037813A (ko) * 2010-10-12 2012-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6646B2 (en) * 2004-05-10 2013-09-03 Peter V. Boesen Communication device
US8269822B2 (en) * 2007-04-03 2012-09-18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Display viewing system and methods for optimizing display view based on active tracking
KR101479087B1 (ko) * 2007-11-05 201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를 이용한 화상통화 제공방법
JP2009150935A (ja) * 2007-12-18 2009-07-09 Brother Ind Ltd 画像投影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926951B2 (en) 2008-07-11 2011-04-19 Eastman Kodak Company Laser illuminated micro-mirror projector
US20100293502A1 (en) 2009-05-15 2010-11-1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TWI479929B (zh) * 2010-01-11 2015-04-01 Wistron Corp 連線建立方法及藍牙裝置
US8384774B2 (en) * 2010-02-15 2013-02-26 Eastman Kodak Company Glasses for viewing stereo images
KR20110136325A (ko) 2010-06-14 2011-12-21 (주)누리스코프 복수 채널 동시 시청을 위한 영상표시 장치
US20120004919A1 (en) * 2010-06-30 2012-01-05 Broadcom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glasses with bluetooth audio decode
US8760496B2 (en) * 2010-10-26 2014-06-2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adjunct content during a presentation of a media content instance
JP5039201B2 (ja) * 2010-12-28 2012-10-03 株式会社東芝 画像音声通話システム及び受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5806A (ko) * 2010-04-16 2011-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안경,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20037813A (ko) * 2010-10-12 2012-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통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180B1 (ko) 2019-10-01
EP2923494A4 (en) 2016-07-13
CN104813676B (zh) 2018-06-08
US20140146124A1 (en) 2014-05-29
EP2923494B1 (en) 2019-01-09
US9554127B2 (en) 2017-01-24
WO2014081146A1 (en) 2014-05-30
EP2923494A1 (en) 2015-09-30
CN104813676A (zh)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18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안경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30169765A1 (en) Display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display method and imaging processing thereof
EP2611161B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plurality of 3D content,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content, and methods thereof
EP2563026A2 (en) Transmission of video content
US9137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so that viewers selectively view a 2D or a 3D service
US9438895B2 (en)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of the receiv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130169603A1 (en) Glasses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ontent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verting mode of display apparatus
US20130229409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method
US20140015941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nd glasses apparatus
US917913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1018852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N102740015B (zh) 同时播放不同频道的电视系统
KR201300766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처리 시스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영상 처리 방법
KR20140029935A (ko)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76674A (ko) 복수의 컨텐츠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들
KR101306439B1 (ko)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33488B1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CN202121715U (zh) 3d播放系统、3d显示设备以及3d眼镜
US10264241B2 (en) Complimentary video content
KR101558262B1 (ko)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시스템
KR1013222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30088663A (ko) 디스플레이 장치, 안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665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30066A (ko) 영상 회의 시스템
KR20140144463A (ko) 음성 인식에 기반한 멀티 앵글 입체 영상의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시청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