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439B1 -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439B1
KR101306439B1 KR1020090127945A KR20090127945A KR101306439B1 KR 101306439 B1 KR101306439 B1 KR 101306439B1 KR 1020090127945 A KR1020090127945 A KR 1020090127945A KR 20090127945 A KR20090127945 A KR 20090127945A KR 101306439 B1 KR101306439 B1 KR 10130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mb
image
processing unit
for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1389A (ko
Inventor
이봉호
윤국진
이현
이광순
허남호
정광희
김진웅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7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439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2Improving the 3D impression of stereoscopic images by modifying image signal contents, e.g. by filtering or adding monoscopic depth c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08Direct viewing projectors, e.g. an image displayed on a video CRT or LCD display being projected on a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Abstract

본 발명은 DMB망을 통해 전송되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DMB 처리부, 상기 DMB 데이터를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3D 영상 처리부, 및 상기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영사하는 프로젝션 처리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단말 장치를 제안한다.
DMB, 3D, 프로젝션

Description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IGITAL DEVICE HAVING STEREOSCOPIC 3D CONTENTS PROJEC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GITAL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망을 통해 수신 되거나 또는 디지털 단말 상에 저장된 스테레오스코픽 3D 비디오 및 3D 콘텐츠를 디지털 단말에 탑재된 3D 프로젝터를 통해 외부로 영사하는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과 단말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단말을 통해 DMB와 같은 라이브 방송을 시청하거나 단말의 내, 외장 메모리를 통해 저장된 멀티미디어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이동 TV를 시청하거나 보고 싶은 콘텐츠를 단말에 저장하여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동영상은 단말에 부착된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통해 시청하거나 단말과 연결된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단말에 부착된 빔 프로젝터를 통해 외부로 화면을 출력하여 보다 큰 환경에서 시청 할 수도 있다.
현재 이동 통신 단말에서 빔 프로젝터를 통해 멀티미디어 동영상을 출력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관점에서 보면 2차원 형태로 표현된다.
하지만 최근 3D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동 통신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3차원 화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2D 형태의 모노 영상뿐만 아니라 3D 형태의 입체 영상을 디지털 단말을 통해 출력할 수 있는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단말 장치는 DMB망을 통해 전송되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DMB 처리부, 상기 DMB 데이터를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3D 영상 처리부, 및 상기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영사하는 프로젝션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DMB망을 통해 전송되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DMB 데이터를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영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에 장착된 3D 프로젝터를 통해 DMB 망 또는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3D 데이터나 단말에 저장된 3D 데이터를 직접 영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2D 형태의 영상뿐만 아니라 3D 형태의 영상까지도 하나의 프로젝터에 의해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향후 이동 통신 단말에서 3D 콘텐츠를 DMB망,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거나 또는 단말의 메모리에 미리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3D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을 포함한 다양한 디지털 단말 장치에 3D 프로젝션 장치를 부착하고, 이동 통신 단말에 3D 처리 기능을 부가하여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를 영사할 수 있는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는 DMB 처리부(110), 3D 영상 처리부(120), 프로젝션 처리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는 카메라 처리부(140), 이동 통신 처리부(160), 데이터 저장부(170), 및 LCD 구동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MB 처리부(110)는 각 DMB망을 통해 전송되는 오디오/비디오/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여기서 DMB 데이터는 위성 DMB 데이터 및 지상파 DMB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DMB 처리부(11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이동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DMB 처리부(11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2D 및 3D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DMB 처리부(110)를 통해 수신된 2D 및 3D 데이터는 3D 영상 처리부(120)를 통해 프로젝션 영상에 적합한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고, 프로젝션 처리부(130)를 통해 외부로 영사될 수 있다.
여기서 DMB 처리부(110)는, 예를 들어, Side-by-side 방식 및 독립 구성 방식으로 포맷된 3D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차원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Side-by-side 방식 및 독립 구성 방식과 같은 각각의 3D 데이터 포맷 방식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DMB처리부(110)에 대하여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단말 장치의 DMB 처리부(2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DMB 처리부(200)는 RF 신호 처리부(210), 베이스밴드 처리부(230), 멀티미디어 처리부(250)를 포함하고, 또한, DMB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RF 신호 처리부(210)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원하는 주파수의 데이터를 추출한다. 즉, RF 신호 처리부(210)는 지상파 또는 위성 DMB 규격에 따라 전송되는 송신 신호(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원하는 주파수의 신호(데이터)만을 추출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처리부(230)는 RF 신호 처리부(210)에서 추출된 원하는 주파수의 데이터로부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를 분리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230)는 RF 신호 처리부(2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 관련 제어 및 서비스 정보와 다중화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를 분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처리부(250)는 베이스밴드 처리부(230)에서 분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를 복호화하여 재생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처리부(250)는 오디오 및 2D 비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재생할 뿐만 아니라 3D 비디오에 대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한 복호화 할 수 있다.
DMB 제어부(270)는 원하는 주파수의 데이터를 베이스밴드 처리부(230)에게 제공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를 분리시키고, 멀티미디어 처리부(250)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를 재생시키며, 프로그램 가이드 및 DMB 환경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3D 영상 처리부(120)는 DMB 처리부(110)로부터 제공받은 DMB 데이터를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3D 영상 처리부(120)는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3D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변환을 위해, 3D 영상 처리부(120)는 DMB 처리부(110)로부터 제공받은 DMB 데이터를 좌우 영상으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좌우 영상을 재구성하 여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3D 영상 처리부(120)는 서로 다른 편광을 이용하여 분리된 좌우 영상을 재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3D 영상 처리부(120)는 분리된 좌우 영상을 원하는 3D 포맷 및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재구성할 수 있다.
3D 데이터를 구성하는 방법에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3D 데이터를 구성하는 side-by-side 방식 및 별도의 독립된 프레임으로 구성하는 독립 구성 방식이 있다.
Side-by-side 방식은 송신 측이 좌우로 구성된 스테레오스코픽 각 영상에 대해 원영상을 세로 반으로 구성한 후, 이를 하나로 합한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한다. 그 후 기존 DMB 비디오 알고리즘(H.264/AVC)을 사용하여 2D와 동일한 형태로 부호화하여 압축하여 송신한다.
수신 측은 이를 다시 좌우 영상으로 분리한 후 원하는 3D 포맷 및 디스플레이 방식에 따라 재 구성하여 3차원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독립 구성 방법은 좌우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별도의 독립된 프레임으로 구성하는 방법으로 부호화 시 독립적으로 부호화하여 전송하는 simulcast 방식과 좌우 영상의 상관 정보를 이용하여 참조 부호화를 수행하는 two stream 방식이 있다.
프로젝션 처리부(130)는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영사한다.
프로젝션 처리부(130)는 예를 들어,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Digital Micromirror Device, 이하 DM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털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좌우로 번갈아 영사할 수 있다.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DMD)는 초당 120Hz로 좌우 영상을 시간적으로 번 갈아(time sequential) 영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좌 우 영상 각각은 페이지 전환 모드(page-flipping mode)로 초당 60frames으로 구성되어 프로젝션 처리부(130)에 입력되며, 입력된 3D 좌우 영상은 번갈아 영사되는 구조를 갖는다.
60Hz로 구동되는 프로젝션 처리부의 경우 좌 우 영상 각각을 30Hz로 입력 받아 다시 각각 60Hz로 영사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시간적으로 번갈아 영사되는 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별도의 안경, 즉 셔터링 방식의 안경(이하 셔터 글래스로 칭함)을 착용하여야 한다.
또한, 프로젝션 처리부(130)는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셔터링 글래스(shuttering glass)와 동기화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젝션 처리부(130)는 적외선 신호, RF 신호 또는 화이트 라이트 펄스(White Light Pulse)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동기화할 수 있다. 셔터링 글래스를 이용하는 실시예에 대하여는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또한, 프로젝션 처리부(130)는 단말에서 구성된 화면을 외부로 영사(projection)시키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 DMB 데이터의 2D 영상 및 3D 영상 등을 외부로 영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프로젝션 처리부(130)를 제어하여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와 2D 영상을 선택적으로 영사시킬 수 있다.
이 밖에도, 프로젝션 처리부(130)에서 외부로 영사되는 정보는 2D/3D를 포함한 각종 영상 및 문서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3D 영상이나 3D 형태의 문서 정보를 영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영사 방법이나, 사용자가 이를 시청하기 위한 별도의 안경이 필요할 수 있다.
이처럼 3D 영상을 시청하기 위하여 별도의 안경이 필요한 실시예에 대하여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카메라 처리부(140)는, 2D 실사 영상 또는 3D 실사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실사 영상은 LCD 화면에 도시하거나 또는 프로젝션 처리부를 통해 프로젝터를 통해 출력(영사)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처리부(140)는 2D 카메라를 기본으로 양안 스테레오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3D 카메라에 의해 사용자가 직접 촬영한 3D 입체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카메라 처리부(140)로부터 획득된 3D 입체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은 LCD 구동부(180)를 통해 LCD로 출력되거나 또는 프로젝션 처리부(130)를 통해 실시간으로 외부로 영사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DMB 데이터를 3D 영상 처리부(120)로 제공하여 변환시키고, 변환된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를 프로젝션 처리부(130)로 제공하여 영사시킨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50)는, 전체 단말의 구동 및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할 수 있다.
이동 통신 처리부(16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는 3D 데이터를 수신하며, 카메라 처리부(140)에서 촬영된 3D 실사 영상을 3D 영상 통화 서비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통신 처리부(160)는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이 가지는 수신 기능에 더하여 3D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3D 데이터의 송신 기능은 카메라 처리부(140)로부터 촬영된 3D 영상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송신함을 의미하여, 여기서의 송신은 일반적인 3D 영상통화 서비스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 처리부(160)는 3D 데이터(콘텐츠)가 전송되는 경로로 이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동 통신 처리부(160)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 3D 데이터는 수신과 동시에 복원되어 LCD 또는 프로젝터를 통해 외부에 출력되거나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저장부(170)는 오디오, 비디오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DMB 데이터 및 3D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데이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또는 지정된 시간에 복원되어 화면으로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170)에 저장된 DMB 데이터 및 3D 데이터는 프로젝션 처리부()를 통해 외부로 영사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70)는, 내장 또는 외장 형태의 메모리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기타 단말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LCD 구동부(180)는, 단말의 화면 및 DMB를 통해 수신된 TV 화면 및 일반 동영상 화면을 도시한다.
또한 LCD 구동부(180)는 디지털 단말 상의 화면(메인 화면, 이미지, 2D 비디 오 또는 3D 비디오)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LCD로서, 3차원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LCD 패널(parallax barrier LCD 또는 lenticular 렌즈)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디지털 단말 장치는 이동 통신 처리부(160)로부터 수신된 음성 통화 관련 데이터를 복원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 받아 부호화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미도시)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한 GPS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신호 처리부는 이동 통신 처리부(160)로부터 수신한 음성 통화 데이터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또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획득하여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기에 적합한 스트림으로 압축 변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단말 장치가 편광 방식을 이용하여 3D 영상을 프로젝션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단말 장치는 좌우 프로젝터(320,330)를 사용하여 편광 방식으로 영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프로젝터를 좌우 두 개를 사용하여야 하는 특징을 가지며, 각각의 프로젝터 앞에는 편광 필터(350)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 방식으로는 선형(linear) 방식과 회전 (circular)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편광 방식의 편광 안경(310)을 착용 하여야 하며 영사 시는 좋은 화질을 위해서는 실버 스크린(370)에 영사하는 게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430)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410)는 동기화 장치(450)에 의해 3D 안경(470)과 동기화 되어 사용될 수 있다.
3D 안경(470)은 예를 들어, 상술한 셔터 글래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3D 안경(470)은 프로젝터(430)의 셔터링(shuttering)에 동기 될 수 있다.
여기서 셔터 글래스로 구성되는 3D 안경(470)은 3차원 깊이감 효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셔터 글래스는, 예를 들어, 액정(liquid crystal)과 전압이 인가되면 어둡게 변하는 특징을 가진 편광 필터(polarizing filter)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셔터 글래스는 스크린의 재생 율(refresh rate)에 동조(synchronized)되어 좌우 글래스의 필터가 번갈아 가며 On/Off 되고, IR 신호를 출력하는 IR 송신기에 의해서 제어 될 수 있다.
셔터 글래스를 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에 동기화하는 방법으로는 유선을 이용하거나 아니면 별도의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동기화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으며, 여러 명이 시청하고자 할 경우에는 무선 통신 방식이 적합하다.
무선 통신 방식으로 동기화하는 방법의 경우는, IR(Infra Red) 또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사용하여 동기화를 하거나 또는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흰색의 펄스 빛(white light pulse)을 이용하여 동기화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430)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410)는 좌 우 3D 영상을 서로 다른 편광을 사용하여 영사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도 3과 같이 별도의 편광 방식의 안경을 착용 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510),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530), 및 외부로 영사하는 단계(550)를 포함한다.
단계 510은 DMB 처리부가 DMB망을 통해 전송되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DMB 데이터는 위성 DMB 데이터 및 지상파 DMB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30은 DMB 데이터를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로서, 3D 영상 처리부는 DMB 처리부가 수신한 DMB 데이터를 프로젝션 처리부를 통해 3차원 영상으로 영사시키기 위해 그에 맞는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DMB 데이터는 스테레오스코픽 3D 영상일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530에서 3D 영상 처리부는 DMB 데이터를 좌우 영상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좌우 영상을 재구성하여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단계 570은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영사하는 단계로서, 프로젝션 처리부에 의해 외부로 영사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입체적인 영상을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프로젝션 처리부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DMD)를 이용하여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좌우로 번갈아 영사할 수 있다.
이상,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구성 요소, 용어 및 기타 부분에 대한 상호 간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단말 장치의 DMB 처리부(2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단말 장치가 편광 방식을 이용하여 3D 영상을 프로젝션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15)

  1. DMB망을 통해 전송되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여 원하는 주파수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원하는 주파수의 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 관련 제어 및 서비스 정보와 다중화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를 분리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를 복호화하여 재생하는 DMB 처리부;
    상기 재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를 프로젝션 영상에 적합한 좌우 영상으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좌우 영상을 재구성하여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3D 영상 처리부; 및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 및 상기 DMB 데이터의 2D 영상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영사하는 프로젝션 처리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3D 실사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처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션 처리부는 상기 촬영된 3D 실사 영상을 영사시키는 디지털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B 처리부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3D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젝션 처리부는 상기 3D 데이터를 외부로 영사하는 디지털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된 상기 DMB 데이터 및 상기 3D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션 처리부는 저장된 상기 DMB 데이터 및 상기 3D 데이터를 외부로 영사하는 디지털 단말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영상 처리부는 서로 다른 편광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된 좌우 영상을 재구성하는 디지털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 처리부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좌우로 번갈아 영사하는 디지털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 처리부는 상기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를 시청하기 위한 셔터링 글래스와 동기화하는 디지털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션 처리부는,
    적외선 신호, RF 신호 또는 화이트 라이트 펄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동기화하는 디지털 단말 장치.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B 데이터는 위성 DMB 데이터 및 지상파 DMB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단말 장치.
  12. 삭제
  13. DMB망을 통해 전송되는 DMB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DMB 데이터로부터 원하는 주파수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원하는 주파수의 데이터로부터 프로그램 관련 제어 및 서비스 정보와 다중화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를 복호화하여 재생하는 단계;
    상기 재생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정보로부터 분리된 프로젝션 영상에 적합한 좌우 영상을 재구성하여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 및 상기 DMB 데이터의 2D 영상을 선택적으로 외부로 영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영사하는 상기 단계는,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3D 포맷의 영상 데이터를 시간적으로 좌우로 번갈아 영사하는 디지털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090127945A 2009-12-21 2009-12-21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0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945A KR101306439B1 (ko) 2009-12-21 2009-12-21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945A KR101306439B1 (ko) 2009-12-21 2009-12-21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389A KR20110071389A (ko) 2011-06-29
KR101306439B1 true KR101306439B1 (ko) 2013-09-09

Family

ID=4440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945A KR101306439B1 (ko) 2009-12-21 2009-12-21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4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224A (ko) 2019-06-24 2021-01-04 주식회사 엠스플랫폼 수신부가 구비된 빔 프로젝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888B1 (ko) * 2018-11-01 2020-07-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프로젝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042A (ko) * 2000-12-20 2002-06-26 박남은 플리커 없는 액정셔터 안경방식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070020945A (ko) * 2005-08-17 200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90123896A (ko) * 2007-02-21 2009-12-0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3d 비디오 인코딩
KR20090124168A (ko) * 2008-05-29 200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042A (ko) * 2000-12-20 2002-06-26 박남은 플리커 없는 액정셔터 안경방식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070020945A (ko) * 2005-08-17 200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90123896A (ko) * 2007-02-21 2009-12-02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3d 비디오 인코딩
KR20090124168A (ko) * 2008-05-29 200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224A (ko) 2019-06-24 2021-01-04 주식회사 엠스플랫폼 수신부가 구비된 빔 프로젝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389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474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splaying and viewing stereoscopic 3D images
EP1737248A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s
KR20110064161A (ko) 3차원 영상에 관한 압축 방법 및 장치, 그리고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시스템
JP2012110068A (ja) 映像送信及び受信方法と装置、及びその伝送ストリーム構造
WO2010092823A1 (ja) 表示制御装置
EP256039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US9438895B2 (en) Receiving apparatus, transmitting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of the receiving apparatus and program
KR100703715B1 (ko) 다시점 3차원 동영상 송수신 시스템
KR101841313B1 (ko) 멀티미디어 흐름 처리 방법 및 대응하는 장치
TW201145977A (en)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3D glasses with 3D video displays
JP2010081001A (ja) 2d互換3d表示装置及び3d視装置
KR20140075827A (ko) 디스플레이 장치, 그의 제어 방법, 안경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30010060A1 (en) IM Client And Method For Implementing 3D Video Communication
JPWO2011089982A1 (ja) 受信装置、送信装置、通信システム、受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047872B (zh) 用于电视的立体音视频装置
WO2011118215A1 (ja) 映像処理装置
KR100874226B1 (ko) 다시점 화상 및 3차원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송수신 방법
JP5390017B2 (ja) 映像処理装置
JP5412404B2 (ja) 情報統合装置、情報表示装置、情報記録装置
KR101306439B1 (ko)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79947B2 (en) Dual mode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3D video
JP2012089906A (ja) 表示制御装置
US20150130897A1 (en) Method for generating, transporting and reconstructing a stereoscopic video stream
KR101733488B1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및 그에 따른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KR20140135473A (ko) 3d 영상의 수신지연 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