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945A -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945A
KR20070020945A KR1020050075341A KR20050075341A KR20070020945A KR 20070020945 A KR20070020945 A KR 20070020945A KR 1020050075341 A KR1020050075341 A KR 1020050075341A KR 20050075341 A KR20050075341 A KR 20050075341A KR 20070020945 A KR20070020945 A KR 20070020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liquid crystal
image
optical image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5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5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0945A/ko
Publication of KR20070020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광학적 영상으로 처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할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고 빛이 투과되어 상기 데이터의 투사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빛을 투사하는 램프와, 상기 액정패널로부터 출력된 상기 투사영상을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하는 렌즈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액정패널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램프를 구동시켜 빛을 상기 액정패널에 투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 광학적 영상, 프로젝터, 투과성 액정패널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DATA IN WIRELESS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광학적 영상으로 처리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광학적 영상으로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광학적 영상으로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광학적 영상으로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에 투사영상 처리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외부 투사장치 없이 휴대용 단말기만을 이 용해 데이터를 스크린이나 벽면에 투사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셀룰러 폰(Cellular Phone), 개인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용 통신 서비스 폰(PCS: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hone), IMT-2000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단말기 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화를 하거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전화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러한 전화 통화 기능 이외에 단문 메시지 송수신 기능, 전화번호 저장 및 검색을 위한 메모리 기능, 잠금 기능, 경보 기능, 배경화면 설정 기능, 지역번호 확인 기능을 비롯하여 최근에는 카메라 기능,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 게임 기능, MP-3(MPEG Audio layer-3)파일 재생 기능 및 전자사전 기능 등과 같은 각종 부가적인 기능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사용자들에게 있어 많은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은 주로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자체에 구비된 화면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 그런데 휴대용 단말기들이 구비하고 있는 화면 표시 장치는 휴대 장치의 외형 크기가 작아야 한다는 제한 때문에 그 크기가 대체로 작다.
사용자는 이처럼 휴대용 단말기의 작은 화면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정보를 혼자서는 볼 수 있지만 다수의 인원에게 보여주기 어렵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TV-OUT 기능, 외부 프로젝터 장치에 커넥터 연결 등과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를 외부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여 다수의 인원이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 경우 별도의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투사영상 처리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만을 이용해 데이터를 스크린이나 벽면에 투사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광학적 영상으로 처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할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고 빛이 투과되어 상기 데이터의 투사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빛을 투사하는 램프와, 상기 액정패널로부터 출력된 상기 투사영상을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하는 렌즈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액정패널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램프를 구동시켜 빛을 상기 액정패널에 투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투사영상 처리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만을 이용해 데이터를 스크린이나 벽면에 투사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빛을 투사하는 램프, 상기 램프로부터 투사된 빛이 투과되는 액정패널 및 상기 액정패널로부터 출력되는 투사영상을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하는 렌즈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광학적 영상으로 처리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터 모드키가 입력되면, 상기 렌즈를 통하여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할 데이터를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액정패널에 빛을 투사하기 위해 상기 램프를 구동하여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된 데이터의 투사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투사영상이 상기 렌즈에 제공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에서 설명될 데이터의 투사영상은 투과형 액정패널 또는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출력되는 화상(데이터)의 평행광선을 의미하고 광학적 영상은 상기 투사영상을 렌즈에 투과시켜 외부 스크린에 표시되는 실질적인 영상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를 광학적 영상으로 처리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RF부(21)는 휴대용 전화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DMB 모듈(24)은 안테나를 통해 DMB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부분과 복조 부분(demodulator)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을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코덱을 구비한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모뎀(23)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뎀(23)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거나 또는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패드(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 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프로젝터 모드키, 데이터 선택키 및 프로젝터 모드 종료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전화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프로젝터 모드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젝터 모드 실행으로 외부에 광학적 영상으로 표시 가능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가 될 수 있다.
근거리통신 모듈(30)은 블루투스, 적외선 데이터통신(Irda), 초광대역(Ultra Wide Band:UWB)가 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가 될 수 있다. 블루투스는 2.4GHz의 고주파를 사용하여 장애물과 상관없이 전송이 가능하고 데이터 전송방식에서는 최대 79개의 채널을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소비 전력은 대기상태에서 0.3mA, 데이터 교환 시에는 약 30mA정도 소비된다.
제어부(1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모뎀(23) 및 코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프로젝터 모드키가 입력되면, 데이터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데이터 목록 중 외부에 광학적 영상으로 표시 할 데이터가 선택되면, 이를 독출하여 액정패널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액정패널에 빛을 투사하기 위하여 램프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라 프로젝터 모드키가 입력되면, 근거리통신 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외부에 광학적 영상으로 표시 할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액정패널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 예에 따라 프로젝터 모드키가 입력되면, 광학적 영상으로 표시 할 데이터를 독출여 프로젝터 모듈에 제공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데이터의 투사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카메라(50)는 영상 데이터를 촬영하며,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CCD센서라 가정한다.
신호처리부(60)는 상기 카메라(5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이미지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처리부(6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로 구현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70)는 상기 신호처리부(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7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수신되는 영상신호 및 DMB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80)의 규격에 맞춰 하는 전송하며,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 및 DMB 데이터를 압축 및 신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표시부(80)에 출력되는 영상데이터의 시작주소 값을 전송하거나 제어부(10)의 제어 하에 상기 시작주소 값을 변경 설정하여 전송한다.
표시부(80)는 상기 영상처리부(70)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80)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일반 LCD가 되거나 투과형 패널 즉, 투과형 액정 표시장치(backlit liquid crystal display)가 될 수 있다. 상기 투과형 패널은 빛의 투과 또는 반사를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자체 발광을 하지 않는다. 때문에 광원이 필요한데, 투과형 액정 뒷면으로부터 형광등, 냉음극 방전관, 램프(LAMP) 등의 빛을 투과하여 표시한다.
램프(LAMP)(100)는 상기 표시부(80)인 투과형 패널에 빛을 투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램프는 냉음극 형광 램프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냉음극 형광 램프는 필라멘트의 가열 없이 저온에서 점등되는 형광등으로서, 액정 표시 장치(LCD) 디스플레이의 후면광(Back Light), 팩스, 스캐너, 복사기, 패널 디스플레이, 장식용 광원으로 활용된다.
X-PRISM(105)는 광학 장치의 일종으로 상기 램프(LAMP)(100)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세기를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렌즈(90)는 유리와 같이 투명한 물질의 면을 구면으로 만들어 물체로부터 오는 투사 영상의 빛을 모으거나 발산시켜 광학적 영상을 맺게 하는 기능을 한다.
프로젝터 모듈(110)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여 투사영상으로 출력한다.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은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회로적인 부분과, 렌즈 및 액정을 포함하는 기계적 부분을 포함하여 투사영상을 처리하며 하나의 칩으로 구현할 수 있다. 프로젝터의 원리 및 프로젝터 기능을 할 수 있는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칩에 관련된 기술은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을 통해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모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얼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를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모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 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모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80) 상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광학적 영상으로 처리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프로젝터 모드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프로젝트 모드로 진입하고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외부에 광학적 영상으로 표시 가능한 데이터 목록을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된 데이터 목록 중 소정 데이터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이를 감지하고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독출하고 이를 표시부(80)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램프(100)를 구동하여 표시부(80)에 빛을 투사한다. 그러면 상기 표시부(80)로부터 출력되는 선택된 데이터의 투사영상이 렌즈(90)를 통하여 광학적 영상으로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광학적 영상으로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빛을 투사하는 램프, 상기 램프로부터 투사된 빛이 투과되는 액정패널 및 상기 액정패널로부터 출력되는 투사영상을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하는 렌즈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투사영상으로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201단계에서 사용자가 키패드(29)를 이용하여 프로젝터 모드 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2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5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저장된 데이터 목록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는 빛이 투과되는 액정패널이고 상기 데이터 목록은 텍스트 데이터, 영상데이터 및/또는 DMB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된 데이터 목록 중 외부에 광학적 영상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2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09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211단계에서 램프(100)를 구동(ON)시킨다.
그러면, 상기 램프(100)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X-PRISM(105)을 통하여 증폭되고 상기 증폭된 빛은 상기 표시부(80)인 액정패널의 뒷부분으로 투과되어 상기 표시부(80)에 표시된 데이터의 투사영상이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데이터의 투사영상은 렌즈(90)를 통하여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됨으로 외부에 상기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종료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2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5단계에서 구동되는 램프(100)를 종료(OFF)시키고 프로젝터 모드를 종료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광학적 영 상으로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빛을 투사하는 램프, 상기 램프로부터 투사된 빛이 투과되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로부터 출력되는 투사영상을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하는 렌즈 및 근거리통신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투사영상을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301단계에서 사용자가 키패드(29)를 이용하여 프로젝터 모드 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3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5단계에서 근거리통신 모듈(30)을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구동된 근거리통신 모듈(30)은 근거리통신이 가능한 외부 데이터 저장장치와 하나의 채널을 공유하기 위하여 피코넷(pico net)을 형성한다. 상기 피코넷을 통하여 외부 데이터 저장장치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10)는 3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09단계에서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는 빛이 투과되는 액정패널이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또는 DMB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30)을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표시부(80)인 액정패널에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메모리(29)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선택을 통하여 표시부(80)인 액정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램프(100)를 구동(ON)시킨다. 그러면, 상기 램프(100)로부터 발산되는 빛은 X-PRISM(105)을 통하여 증폭되고 상기 증폭된 빛은 상기 표시부(80)인 액정패널의 뒷부분으로 투과되어 상기 표시부(80)에 표시된 데이터의 투사영상이 출력되고 상기 출력된 데이터의 투사영상은 렌즈(90) 를 통하여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됨으로 외부에 상기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종료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3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5단계에서 구동되는 램프(100)를 종료(OFF)시키고 프로젝터 모드를 종료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광학적 영상으로 처리하는 동작의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여 데이터의 투사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투사영상을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하는 렌즈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투사영상을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대기상태인 401단계에서 사용자가 키패드(29)를 이용하여 프로젝터 모드 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40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5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저장된 데이터목록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목록은 텍스트 데이터, 영상데이터 및/또는 DMB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된 데이터 목록 중 외부에 광학적 영상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4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09단계에서 메모리(29)와 표시부(80)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데이터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80)는 일반적인 LCD이고 상기 데이터를 표시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데이터 목록을 표 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하여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인터넷 통신과 같은 패킷통신을 이용하여 외부의 데이터 저장장치와 접속하고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DMB 방송장치(방송국)로부터 DMB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는 411단계에서 프로젝터 모듈(110)을 구동(ON)시켜서 상기 선택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의 투사영상을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11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데이터의 투사영상은 렌즈(90)를 통하여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됨으로 외부에 상기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젝터의 원리 및 프로젝터 기능을 할 수 있는 DSP(Digital Signal Processing)칩에 관련된 기술은 이 출원 이전에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시행되는 통상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27)를 이용하여 종료키를 입력하면, 제어부(10)는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5단계에서 구동되는 프로젝터 모듈(110)을 종료(OFF)시키고 프로젝터 모드를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특히 광학적 영상으로 표시할 데이터는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데이터는 실시간 또는 저장 후 선택하여 광학적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투사영상 처리 기술을 적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작은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외부 스크린 상에 투사하여 볼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작은 화면 시청에 따른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인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 필요 없이 사용자 외의 다른 여러 사람들이 동시에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광학적 영상으로 처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할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고 빛이 투과되어 상기 데이터의 투사영상을 출력하는 액정패널과,
    상기 액정패널에 빛을 투사하는 램프와,
    상기 액정패널로부터 출력된 상기 투사영상을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하는 렌즈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액정패널에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램프를 구동시켜 빛을 상기 액정패널에 투사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은 투과형 액정 표시장치(backlit liquid crystal display)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로부터 투사되는 빛의 세기를 증폭하기 위하여 프리즘(X-PRISM)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에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할 데이터가 상기 메모리에 없는 경우 이를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모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DMB데이터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6.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광학적 영상으로 처리장치에 있어서,
    외부에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할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여 투사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투사영상을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하는 렌즈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독출하고 이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 제공하여 상기 투사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에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할 데이터가 상기 메모 리에 없는 경우 이를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통신 모듈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DMB데이터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9. 빛을 투사하는 램프, 상기 램프로부터 투사된 빛이 투과되는 액정패널 및 상기 액정패널로부터 출력되는 투사영상을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하는 렌즈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광학적 영상으로 처리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터 모드키가 입력되면, 상기 렌즈를 통하여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할 데이터를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액정패널에 빛을 투사하기 위해 상기 램프를 구동하여 상기 액정패널에 표시된 데이터의 투사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투사영상이 상기 렌즈에 제공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은 투과형 액정 표시장치(backlit liquid crystal display)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통하여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할 데이터를 독출하는 과정은,
    상기 광학적 영상으로 표시 가능한 데이터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목록 중 해당 데이터가 선택되면, 이를 상기 독출할 데이터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DMB데이터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투사영상을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투사영상을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하는 렌즈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광학적 영상으로 처리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터 모드키가 입력되면, 상기 렌즈를 통하여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할 데이터를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 제공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구동하여 상기 데이터의 투사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투사영상을 상기 렌즈에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통하여 광학적 영상으로 맺게 할 데이터를 독출하는 과정은,
    광학적 영상으로 표시 가능한 데이터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목록 중 해당 데이터가 선택되면, 이를 상기 독출할 데이터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할 데이터가 없으면, 패킷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저장장치로부터 상기 독출할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DMB데이터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50075341A 2005-08-17 2005-08-17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70020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341A KR20070020945A (ko) 2005-08-17 2005-08-17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5341A KR20070020945A (ko) 2005-08-17 2005-08-17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354A Division KR20070048695A (ko) 2007-04-27 2007-04-27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945A true KR20070020945A (ko) 2007-02-22

Family

ID=4365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5341A KR20070020945A (ko) 2005-08-17 2005-08-17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09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439B1 (ko) * 2009-12-21 2013-09-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439B1 (ko) * 2009-12-21 2013-09-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9906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received messages of portable television (TV) phone
US6489934B1 (en) Cellular phone with built in optical projector for display of data
US200702855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king image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lurality of camera lenses
US20070132963A1 (en) Panel form light emitting source projector
CN1890963B (zh) 便携式电话装置
US20120105317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010093895A (ko) 배경화면 선택이 가능한 카메라 일체형 휴대폰
JP2001197167A (ja) 携帯電話機
KR2007002094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7004869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56253B1 (ko) 휴대 단말기의 화상 통화 서비스 수행 방법
KR100713355B1 (ko) 휴대용 전화기의 멀티비젼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636982B1 (ko) 영상촬영 제어장치 및 그 방법과 영상촬영 제어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8349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증명사진 촬영 방법
KR20080044941A (ko) 카메라 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050186987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47706B1 (ko) 티브이폰의 배경화면 등록방법
KR20010054455A (ko) 영상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353217B1 (ko) 비디오 메일의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휴대폰 및 동영상재생방법
KR100800835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카메라를 개인용 컴퓨터의 카메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RU43373U1 (ru) Сотовый телефон
KR10045673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KR100613567B1 (ko) 플래시 적정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168091B1 (ko) 거치대의 개폐 여부에 따라 표시 데이터의 표시 동작구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TW201038045A (en) Multi-functio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remote control module and the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426

Effective date: 2007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