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888B1 - 프로젝션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888B1
KR102135888B1 KR1020180133148A KR20180133148A KR102135888B1 KR 102135888 B1 KR102135888 B1 KR 102135888B1 KR 1020180133148 A KR1020180133148 A KR 1020180133148A KR 20180133148 A KR20180133148 A KR 20180133148A KR 102135888 B1 KR102135888 B1 KR 102135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isplay module
image
predetermined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290A (ko
Inventor
조영진
이승재
유동헌
이병호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888B1/ko
Priority to US17/290,696 priority patent/US11429016B2/en
Priority to PCT/KR2019/014598 priority patent/WO2020091460A1/ko
Publication of KR20200050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53Intensity control of illuminating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Convergence or focusing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arrays of controllable light sources; using moving apertures or moving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2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varifocal lenses or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8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with gaze detection, i.e. detecting the lines of sight of the viewer's ey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스크린에 소정의 영상을 제공하는 프로젝터 모듈; 사용자의 눈과 상기 스크린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소정의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광을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된 영상이 상기 스크린 상에 맺히도록 하는 백라이트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백라이트 모듈과 상기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의 눈에 수렴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스크린에 맺혀진 영상이 소정의 수렴 거리를 갖도록 하며, 상기 렌즈 모듈은, 사용자의 눈에 초점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재현되는 영상의 초점 거리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가변시키게 구성되는 프로젝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젝션 장치{PROJECTION DEVICE}
본 발명은 프로젝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스크린에 소정의 영상을 제공하는 프로젝터 모듈; 사용자의 눈과 상기 스크린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소정의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광을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된 영상이 상기 스크린 상에 맺히도록 하는 백라이트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백라이트 모듈과 상기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의 눈에 수렴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스크린에 맺혀진 영상이 소정의 수렴 거리를 갖도록 하며, 상기 렌즈 모듈은, 사용자의 눈에 초점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재현되는 영상의 초점 거리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가변시키게 구성되는 프로젝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양안식 디스플레이는 일반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상 이미지(virtual image)를 사용자에게 멀리 떨어진 위치에 맺히게 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러한 양안 디스플레이는 수렴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양안에 서로 다른 두 영상을 제공한다. 일 예로, 영화관의 경우 프로젝터 2 대를 사용하는 패시브 스테레오 방식을 사용하며, 일반 가정집의 경우에는 120 Hz 로 구동하며 좌안/우안에 영상을 번갈아 제공하는 액티브 스테레오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양안 디스플레이는 양안에 보여주는 가상 이미지에 원하는 깊이에 따라 적절한 시차를 주어 사용자에게 수렴 반응을 유도한다. 반면, 단안에 들어오는 각각의 가상 이미지는 2차원 영상이며 깊이 방향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초점 반응은 유도할 수 없다. 따라서 양안 시차를 사용하는 일반 양안식 디스플레이는 초점-수렴 거리 불일치를 유발한다.
수렴 반응은 사용자의 양 눈이 바라보는 방향이 모이는 각도에 대응되며, 초점 반응은 사용자의 각 눈의 수정체 두께에 대응된다. 이 두 반응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물체의 위치 및 깊이에 따라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며, 서로 연관되어 있어 가역적으로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 수렴 반응에 따라 느껴지는 깊이에 수정체의 두께가 조절되기도 하며, 초점 반응에 따라 느껴지는 깊이에 양 눈의 각도가 조절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 두 반응이 유도되는 깊이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수렴 및 초점이 계속해서 바뀌는 초점-수렴 불일치가 발생한다.
도 1 을 참조하여 초점-수렴 불일치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안구의 수정체가 조절하는 초점 거리(N)는 영상이 형성되는 화면에 맞춰져 있지만, 양안시차로 인해 양안이 물체를 바라보는 각도는 화면과 동떨어진 거리에서 형성이 되어 수렴 거리(M)가 상기 초점 거리(N)과 불일치하게 된다. 실제 사물을 눈으로 바라볼 때는 이러한 초점-수렴거리가 불일치하는 일은 없다. 양안시차는 기술 특성상 이러한 초점-수렴거리가 불일치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눈의 피로감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보고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초점-수렴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가상 이미지의 깊이를 변조 가능한 가변 초점 접안 디스플레이가 제안된바 있다.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확대 광학계에 가변 초점 렌즈를 더하여, 물리적인 가상 이미지의 깊이를 변조하는 방식이 있다. 사용자의 시점에 따라 알맞은 깊이에 가상 이미지를 띄워주어 초점-수렴 불일치를 최소화 하는 것이 위 기술의 특징이다.
가변 초점 접안 디스플레이의 경우 여전히 2차원 영상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완전한 초점 반응 유도가 어렵고, 사용자의 시점을 정확히 추적해야 한다는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여러 깊이의 영상을 적절히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한번에 보여주는 방식을 활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해상도와 프레임 저하를 불러온다. 현재 사용되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의 경우 60~240Hz 속도로 구동한다는 것을 고려하면, 관련 기술은 60Hz 기준 최대 4개의 깊이만을 한 프레임 내에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넓은 초점 범위를 고려했을 때, 4개의 깊이는 초점-수렴 불일치를 해결하기에 부족하다.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깊이 표현 범위를 1개의 깊이당 0.6 디옵터(최대 약 2.4 디옵터)까지 가질 수 있으나, 이 경우 해상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와 다른 방식으로 초점-수렴 불일치를 해결할 수 있는 프로젝션 장치가 필요하다.
공개특허 10-2008-009760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초점-수렴 불일치를 해결하는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스크린에 소정의 영상을 제공하는 프로젝터 모듈; 사용자의 눈과 상기 스크린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소정의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광을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된 영상이 상기 스크린 상에 맺히도록 하는 백라이트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백라이트 모듈과 상기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의 눈에 수렴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스크린에 맺혀진 영상이 소정의 수렴 거리를 갖도록 하며, 상기 렌즈 모듈은, 사용자의 눈에 초점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재현되는 영상의 초점 거리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가변시키게 구성되는 프로젝션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소정의 스크린에 소정의 영상을 제공하는 프로젝터 모듈; 사용자의 눈과 상기 스크린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소정의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광을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된 영상이 상기 스크린 상에 맺히도록 하는 백라이트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백라이트 모듈과 상기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의 눈에 수렴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스크린에 맺혀진 영상이 소정의 수렴 거리를 갖도록 하며, 상기 렌즈 모듈은, 사용자의 눈에 초점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재현되는 영상의 초점 거리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가변시키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렌즈 모듈 의 작동과 상기 백라이트 모듈의 작동을 서로 동기화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되는 영상의 수렴 거리와 상기 렌즈 모듈의 초점거리가 일치하도록 유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된 영상이 상기 렌즈 모듈에 의해서 특정 값의 초점 거리를 가질 때, 상기 백라이트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해서 광을 제공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모듈을 작동시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된 영상이 특정한 초점 거리를 가지며 사용자의 눈에 입사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되는 영상은 영상 데이터와 깊이 거리 데이터를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되는 영상의 깊이 거리와, 상기 렌즈 모듈에 의한 초점 거리가 일치할 때, 상기 백라이트 모듈이 광을 제공하여, 초점-수렴 거리가 일치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라이트 모듈은,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소정의 어레이를 가지며 배열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각각의 발광 소자가 이진 구동(on/off)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라이트 모듈은, 복수 개의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서 생성되는 광을 반사시켜서 반사광을 생성하는 미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미러부의 각도를 가변시켜서, 상기 반사광이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사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재현된 영상의 수렴 거리와, 상기 렌즈 모듈에 의한 상기 영상의 초점 거리가 일치할 때, 상기 미러부에 의해서 반사된 반사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입사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미러 모듈에서 반사된 반사 광이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하는 광학 모듈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생성되는 영상의 초점 거리를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스윕 범위 내에서 선형적으로 증감시키는 가변 초점 렌즈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변 초점 렌즈의 스윕 범위를 이동(shift)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재현된 영상이 상기 렌즈 모듈에 의해서 특정 값의 초점 거리를 가질 때 백라이트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해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생성된 영상이 특정한 초점 거리를 가진 상태로 스크린에 맺혀서 사용자의 눈에 입사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렌즈 모듈이 그 외의 초점 거리를 가질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해 광이 제공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영상이 사용자의 눈에 입사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재현되는 영상의 수렴 거리와 초점 거리가 일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유도되는 수렴 거리와, 렌즈 모듈에 의해 유도되는 초점 거리가 서로 일치할 때, 상기 백라이트 모듈이 작동함으로써, 초점-수렴 거리가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프로젝션 장치의 문제점인, 초점-수렴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 은 초점-수렴 불일치 현상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작동례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프로젝터 모듈(100), 및 렌즈 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터 모듈(110)은, 백라이트 모듈(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00)은 소정의 프로젝션 장치로서, 스크린(S)에 대해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소정의 영상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사용자의 눈에 수렴 반응을 유도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재현된 영상은 소정의 수렴 거리를 가지며 사용자의 눈(T)에 맺힌다.
수렴 반응을 유도하는 장치 및 작동 방법에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수렴 반응을 유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장치 및 작동 방법은 실시 형태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특정한 방법 및 장치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사용자의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수렴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3D 안경을 사용하는 경우, 스크린에 프로젝션 되는 영상을 분리하고, 좌안 및 우안에 각각 상이한 색의 영상을 제공하여 양안 시차 및 수렴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백라이트 모듈(120)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후방에 위치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10)이 스크린(S)과 백라이트 모듈(120)사이에 위치하는 배치를 갖는다. 백라이트 모듈(120)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광을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제공되는 영상이 스크린(S)에 맺히도록 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백라이트 모듈(120)은, 소정의 PCB(122)와, 상기 PCB(122) 상에 실장되는 복수 개의 발광 소자(124)를 포함할 수 있다.
PCB(122)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발광 소자(124)는 상기 PCB(122) 상에 실장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 소자(124)는 PCB(122) 상에 복수 개 실장되되 소정의 어레이 형태를 갖고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 소자(124)는 소정의 단위 면적당 소정의 개수가 배열될 수 있으며, 예컨대 1 픽셀 당 하나의 발광 소자(124)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사용자의 눈(T)과 스크린(S)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렌즈 모듈(200)은, 사용자의 눈(T)에 초점 반응을 유도한다. 따라서, 프로젝터 모듈(100)에서 재현된 영상이 소정의 초점 거리를 가지며 사용자의 눈(T)에 맺히도록 한다. 예컨대, 이러한 렌즈 모듈(200)은, 사용자가 두부에 쓰는 안경에 장착되는 장치일 수 있다.
렌즈 모듈(200)은, 사용자의 눈(T)의 초점 거리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가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렌즈 모듈(200)은, 사용자의 눈(T)의 초점 거리를 소정의 깊이 범위 내에서 선형적으로 증감시키는 가변 초점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변 초점 렌즈는 상기 소정의 깊이 범위를 1 초에 60 회 스윕할 수 있다. 여기서, 1/60 초는 1 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초점 렌즈에 의한 초점 거리는 1 프레임 동안 소정의 깊이 범위를 1 회 왕복하며, 또한 1 초 동안 상기 소정의 깊이 범위를 60 회 왕복할 수 있다. 예컨대, 60Hz 의 구동 속도로 마이너스 디옵터(오목렌즈)에서 플러스 디옵터(볼록렌즈)까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변 초점 렌즈의 초점거리가 50 mm 부터 출발하여 1/120 초 동안 120 mm 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다시 1/120 초 동안 50 mm 로 돌아올 수 있다. 이때, 가변 초점 렌즈에 의해서 맺히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허상은 ∞ m ~ 8.5 cm 범위 내에서 스윕될 수 있다. 상기 1/60 초는 시청자가 관측하는 1 프레임에 해당하는 시간이므로, 사용자는 이 사이에 띄워지는 영상들을 시간적으로 합쳐진 하나의 이미지로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스윕 범위는 이동(shift) 가능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스윕 범위의 이동은 제어 장치(300)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변 초점 렌즈는, 상기와 같이 초점 거리를 가변하도록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렌즈의 위치가 선형적으로 가변하거나, 또는 두께가 가변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렌즈가 구비되고 렌즈 간의 거리가 가변하는 구성 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정 광학계나 물리적 시스템이 상기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경우, 상기 형태를 대체할 수 있다. 아울러, 가변 초점 렌즈는 화각(field of view), 시청 영역(eye-box) 등을 위해 다른 가변 초점 광학계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광학계 내에 가변 초점렌즈를 위치시키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100)과, 렌즈 모듈(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 장치(300)는, 상기 각각의 발광 소자(124)가 이진 구동(on/off)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는 각각의 발광 소자(124)가 on/off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픽셀에 위치한 발광 소자(124)가 off 될 경우에는, 상기 발광 소자(124)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일 픽셀의 영상은 사용자의 눈(T)에 입사하지 않는다. 아울러, 특정 위치에 위치한 발광 소자(124)가 on 될 경우에는, 상기 발광 소자(124)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점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일 픽셀의 영상은 사용자의 눈(T)에 입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300)는, 각각의 발광 소자(124)가 특정 시점에 on/off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영상은 발광 소자(124)가 on 되는 시점에는 사용자의 눈(T)에 입사하며, 발광 소자(124)가 off 되는 시점에는 사용자의 눈(T)에 입사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장치(300)에 의한 발광 소자(124)의 이진 구동 속도는 60 Hz 이상의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즉, 1 프레임 동안 여러 번의 on/off 가 가능하며, on/off 작동에 의한 공간 변조를 할 수 있다. 예컨대, 백라이트 모듈(120)의 공간 변조 반응 속도를 1/6000 초(6000 Hz)라고 가정할 경우, 각각의 발광 소자(124)에 의한 공간 변조는 1 프레임 당 100 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어 장치(300)는 렌즈 모듈(200)의 작동을 제어하여 초점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렌즈 모듈(200)은 사용자의 눈(T)의 초점 거리를 소정의 깊이 범위 내에서 선형적으로 증감시키는 가변 초점 렌즈로 구성되며, 제어 장치(300)는 상기 가변 초점 렌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00), 렌즈 모듈(200), 및 제어 장치(300)의 작동 예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일 예로 가변 초점 렌즈에 의한 초점 거리는 1 프레임 동안 소정의 깊이 범위를 1 회 왕복할 수 있다. 이때, 백라이트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영상이 상기 가변 초점 렌즈에 의해서 특정한 초점 거리를 가질 때 광을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생성된 영상이 특정한 초점 거리를 가지며 사용자의 눈(T)에 입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백라이트 모듈(120)이 광을 제공하는 시점은 가변 초점 렌즈에 의한 초점 거리와 디스플레이 모듈(110)의 수렴 거리가 일치하는 시점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초점 거리와 수렴 거리가 서로 일치하는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수렴 거리와 초점 거리의 불일치가 해소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300)에 의해서, 상기 렌즈 모듈(200)의 작동과 상기 발광 소자(124)의 작동이 서로 동기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 장치(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제공되는 영상에 의한 수렴 거리와, 상기 렌즈 모듈(200)에 의한 상기 영상의 초점 거리가 일치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대해서 광을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재현되는 영상은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와 수렴 거리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장치(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저장된 영상의 수렴 거리와 렌즈 모듈(200)에 의한 초점 거리가 동일할 때 상기 발광 소자(124)가 광을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어 장치(300)는 소정의 제어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는, 렌즈 모듈(200)이 특정한 초점 거리를 가질 때, 상기 제어 장치(300) 내의 제어 알고리즘이 상기 발광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어 장치(300)는 렌즈 모듈(200)의 가변 초점 렌즈의 스윕 범위를 이동(shift)시킬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시청 위치에 따라서 영상 깊이의 왜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데, 제어 장치(300)는 사용자의 시청 위치에 따라서 렌즈 모듈(200)의 스윕 범위를 이동(shift)시킴에 따라서, 이러한 영상 깊이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0)는 이러한 렌즈 모듈(200)의 스윕 범위의 이동을 수행하는 소정의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 렌즈 모듈(20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프로젝터 모듈(400), 및 제어 장치(500)만이 상이한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된 설명은 피하며, 프로젝터 모듈(400), 및 제어 장치(5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프로젝터 모듈(400)은, 디스플레이 모듈(410), 및 백라이트 모듈(420)을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410)은, 영상의 프로젝션에 적합하도록 소정의 프로젝션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410)은, 미러(412), 프리즘(414), LCD(416), 및 프로젝터(418)를 포함한 소정의 광학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광학 모듈은 콜리메이팅 렌즈, 릴레이 광학계, 프리즘 모듈 등의 각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모듈은 소정의 확대 및 릴레이 광학계일 수 있다. 확대 및 릴레이 광학계는 후술하는 미러 모듈(440)에서 제공되는 광의 면적을 확대하고, 디스플레이 면으로 릴레이 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릴레이 광학계로 구성된 광학 모듈이 구비됨으로써, 마치 DMD가 바로 디스플레이 모듈(410) 면에 있는 것처럼 재현할 수 있다. 또 상기 광학 모듈이 확대 기능을 수행할 경우, 백라이트 모듈(420)의 미러 모듈(440)이 실제 DMD 크기(1인치)보다 큰 백라이트처럼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부재들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백라이트 모듈(420)은, 광원부(430), 및 미러 모듈(44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430)는 백라이트 모듈(420)의 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430)는 소정의 PCB 와 발광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광원부(430)는 백라이트 모듈(420)의 일 측부에 배치되며 일 측 방향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미러 모듈(440)은 상기 광원부(430)에서 생성된 광을 반사시켜서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제공한다. 미러 모듈(440)은 광을 반사시키며 배향각이 가변되는 복수 개의 미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러 모듈(440)은 제어 장치(500)에 의해서 작동 제어되거나, 또는 상기 미러 모듈(440)의 배향각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미러 모듈(440)은 소정의 어레이 형태를 갖고 배치될 수 있다. 즉, 미러 모듈(440)은 소정의 단위 면적당 소정의 개수가 배열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픽셀마다 하나의 미러 모듈(440)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 장치(500)는 각각의 미러 모듈(440)의 배향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미러 모듈(440)은 소형 디지털 미러 장치(DMD)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장치(500) 또는 제어부에 의한 미러 모듈(440)의 구동 속도는 60 Hz 이상의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즉, 1 프레임 동안 여러 번의 작동이 가능하며, 이러한 작동에 의한 공간 변조를 할 수 있다. 예컨대, 미러 모듈(440)의 변조 반응 속도를 1/6000 초(6000 Hz)라고 가정할 경우, 각각의 소형 디지털 미러 장치는 1 프레임 당 100 회의 변조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공간 변조의 의미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가변초점 렌즈로 구성된 렌즈 모듈(200)은 1초에 60번 정해진 깊이 범위를 스캐닝 하게 된다. 가변초점 렌즈는 계속 이 작업을 반복하고, 디스플레이 모듈(410)에는 적절한 동영상이 60Hz로 재현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때 1/60초, 즉 1 프레임 동안에는, 가변초점 렌즈는 정해진 깊이 범위를 1회 왕복하며, 디스플레이 모듈(410)에는 정지 영상이 재현된 상태이다. 만일에 백라이트 모듈(420)이 고정된 값으로 모든 픽셀에 광을 제공할 경우, 정지 영상은 모든 깊이에서 균일하게 관측되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1프레임 동안 백라이트 모듈(420)이 여러 번 작동하여, 특정 타이밍에만 광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컨대 100번의 공간변조가 가능하다는 것은, 가변초점 렌즈가 왕복하는 깊이를 100등분하여 백라이트 모듈(420)이 광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정해진 깊이에 도달했을 때 해당 픽셀에 광을 제공하면, 초점 반응을 정확히 줄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모듈(420)의 작동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광원부(430)는 광을 생성하여 미러 모듈(440)로 입사하도록 한다.
상기 미러 모듈(440)은, 상기 광원부(430)에서 생성된 광을 디스플레이 모듈(410) 방향으로 반사시키거나, 또는 다른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광이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입사하도록 한다.
아울러, 광은 디스플레이 모듈(410)을 통과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410)로 제공되기 전 과정에서, 광학 모듈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광학 모듈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광의 광학적 변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적절한 배광 면적을 갖도록 상기 광이 변조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변조된 광이 디스플레이 모듈(41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미러 모듈(440)이 광원부(430)에서 생성된 광을 디스플레이 모듈(410) 방향으로 반사시킬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광이 제공되며 스크린(S)에 영상이 맺혀 사용자의 눈(T)에 영상이 입사된다. 또한, 미러 모듈(440)이 광원부(430)에서 생성된 광을 다른 방향으로 반사시킬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광이 제공되지 않으며, 따라서 스크린(S)에 맺히지 아니하여 사용자의 눈(T)에 영상이 입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미러 모듈(440)의 작동에 따라서 광원부(430)의 on/off 작동과 같은 형태의 작동이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장치(500)는 렌즈 모듈(200) 및 프로젝터 모듈(400)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 장치(50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10)에서 제공되는 영상에 의한 수렴 거리와, 상기 렌즈 모듈(200)에 의한 상기 영상의 초점 거리가 일치할 때, 상기 백라이트 모듈(420)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대해서 광을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백라이트 모듈(420)에 포함된 상기 광원부(430)의 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10)에서 제공되는 영상에 의한 수렴 거리와 상기 렌즈 모듈(200)에 의한 상기 영상의 초점 거리가 일치할 때, 제어 장치(500)는 상기 광원부(430)의 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제공되도록 미러 모듈(440)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장치(500)에 의한 미러 모듈(440)의 구동 속도는 60 Hz 이상의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 모듈(200)은 사용자의 눈(T)의 초점 거리를 소정의 깊이 범위 내에서 선형적으로 증감시키는 가변 초점 렌즈로 구성되며, 일 예로 가변 초점 렌즈에 의한 초점 거리는 1 프레임 동안 소정의 깊이 범위를 1 회 왕복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 장치(500)는 디스플레이 모듈(410)의 영상이 상기 가변 초점 렌즈에 의해서 특정한 초점 거리를 가질 때 광원부(430)의 광이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제공되도록 미러 모듈(440)을 작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410)에서 생성된 영상이 특정한 초점 거리를 가지며 사용자의 눈(T)에 입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미러 모듈(420)이 광원부(430)의 광을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제공하는 시점은 가변 초점 렌즈에 의한 초점 거리와 수렴 거리가 일치하는 시점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초점 거리와 수렴 거리가 서로 일치하는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수렴 거리와 초점 거리의 불일치가 해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장치(500)에 의해서, 상기 렌즈 모듈(200)의 작동과 상기 미러 모듈(440)의 작동이 서로 동기화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 장치(50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10)에서 재현되는 영상에 의한 수렴 거리와, 상기 렌즈 모듈(200)에 의한 상기 영상의 초점 거리가 일치하는 시각에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대해서 광을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는 소정의 제어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렌즈 모듈(200)이 특정한 초점 거리를 가질 때, 제어 장치(400) 내의 제어 알고리즘이 상기 발광 백라이트 모듈(4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410)에서 재현되는 영상은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와 수렴 거리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저장된 영상의 수렴 거리와 렌즈 모듈(200)에 의한 초점 거리가 동일할 때 상기 미러 모듈(440)이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대해서 광을 제공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어 장치(500)는 소정의 제어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 장치(500)는, 렌즈 모듈(200)이 특정한 초점 거리를 가질 때, 상기 제어 장치(500) 내의 제어 알고리즘이 상기 미러 모듈(440)을 작동시켜서 디스플레이 모듈(410)에 대해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초점 거리와 수렴 거리가 서로 일치하는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수렴 거리와 초점 거리의 불일치가 해소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 장치(500)는 렌즈 모듈(200)의 가변 초점 렌즈의 스윕 범위를 이동(shift)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위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여기서는 편의상 제1 실시 형태의 백라이트 모듈(120)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3 차원 영상은 프레임 별로 2 차원 이미지와 깊이 정보를 갖는다. 여기서, 깊이 정보라 함은 수렴 거리를 의미한다. 2 차원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원본 영상이 그대로 재현된다. 상기 이미지는 백라이트 모듈(120)이 광을 제공할 때에만 온전한 밝기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깊이 정보는 백라이트 모듈(120)의 각 픽셀에 위치한 발광 소자(124)를 어떤 깊이에서 켜주는지 결정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재현되는 영상의 A2 위치의 픽셀이 표현해야 하는 깊이가 1 m 일 경우, 렌즈 모듈(200)이 1 m 의 초점 거리를 구현할 때, 상기 A2 위치의 픽셀에 대응하는 백라이트 모듈(120)의 A1 위치의 픽셀의 발광 소자(124)가 광을 제공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재현되는 영상의 B2 위치의 픽셀이 표현해야 하는 깊이가 100 m 일 경우, 렌즈 모듈(200)이 100 m 의 초점 거리를 구현할 때, 상기 B2 위치의 픽셀에 대응하는 백라이트 모듈(120)의 B1 위치의 픽셀의 발광 소자(124)가 광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스크린(S)의 A3, B3 위치에는 적절한 깊이를 갖는 영상이 맺히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작동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a) 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생성되는 이미지 영상이며, (b) 는 각각의 영역의 깊이 정보 이미지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생성되는 이미지 영상은, 2차원 이미지 영상 데이터와, 상기 이미지 영상 데이터의 각각의 영역의 깊이 데이터(초점 거리 데이터)를 갖는다.
(c), (d) (e), (f) 는 각각 0 Diopter 초점, 1 Diopter 초점, 2 Diopter 초점, 3 Diopter 초점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각각의 영역별로 저장된 초점 거리 데이터와 일치하는 초점 거리에서 백라이트 모듈이 작동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재현된 영상이 상기 렌즈 모듈(200)에 의해서 특정 값의 초점 거리를 가질 때 백라이트 모듈(120)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대해서 광을 제공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생성된 영상이 특정한 초점 거리를 가진 상태로 스크린(S)에 맺혀서 사용자의 눈(T)에 입사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렌즈 모듈(200)이 그 외의 초점 거리를 가질 때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대해 광이 제공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영상이 사용자의 눈(T)에 입사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10)에서 재현되는 영상의 수렴 거리와 초점 거리가 일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10)에 의해 유도되는 수렴 거리와, 렌즈 모듈(200)에 의해 유도되는 초점 거리가 서로 일치할 때, 상기 백라이트 모듈(120)이 작동함으로써, 초점-수렴 거리가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프로젝션 장치의 문제점인, 초점-수렴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현재 상용화된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100 개 이상의 깊이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보다 완전한 초점-수렴 불일치의 해결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해상도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예컨대, 초점-수렴 불일치를 해결하지 못하는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초점-수렴 불일치 상황 중, "수렴은 일치했으나 초점이 안 맞을 경우" 를 고려하면, 이 때는 선명히 보여야 할 물체가 blur를 겪게 되며, 이는 곧 해상도 손실로 이어지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 기술은 초점-수렴 불일치를 해결하기 때문에, 해상도 손실이 없다.
다른 예로, 초점-수렴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깊이 면 영상으로 그 면 사이의 연속적인 초점을 제공하는 종래의 초점 유도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려하면, 이러한 장치에서 각 깊이 면은 일정 깊이 차를 가지게 되는데, 이 사이 깊이에 해당하는 초점을 표현하기 위해 해상도를 희생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 기술은 2개~4개와 같이 한정 된 깊이 면이 아니라, 거의 연속에 가까운 복수(100개 이상)의 면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면 사이의 깊이 차가 매우 작아 해상도 손실이 거의 없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한정적인 깊이 표현 개수를 갖는 종래의 방식과 달리 해상도 손실이 거의 없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깊이 방향 자유도를 이용하여 광학계에서 발생하는 상면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상면왜곡은 바깥쪽 가장자리의 영상과 중심부 영상의 초점 면 깊이가 다른 광학 수차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이 광학수차 정도를 사전에 계산하여 반영해,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심부가 가장자리보다 가까이 초점 면이 형성되어 있다면, 중심부의 경우 조금 더 디스플레이 패널이 멀리 있을 때 광을 제공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상면왜곡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장치는, 렌즈 모듈(200)의 스윕 범위를 이동(shift)시킬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시청 위치에 따른 영상 깊이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프로젝터 모듈
110: 디스플레이 모듈
120: 백라이트 모듈
122: PCB
124: 발광 소자
200: 렌즈 모듈
300: 제어 장치
400: 프로젝터 모듈
410: 디스플레이 모듈
412: 미러
414: 프리즘
416: LCD
418: 프로젝터
420: 백라이트 모듈
430: 광원부
440: 미러 모듈
500: 제어 장치

Claims (11)

  1. 프로젝션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스크린에 소정의 영상을 제공하는 프로젝터 모듈;
    사용자의 눈과 상기 스크린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및
    제어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소정의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광을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된 영상이 상기 스크린 상에 맺히도록 하는 백라이트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백라이트 모듈과 상기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의 눈에 수렴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스크린에 맺혀진 영상이 소정의 수렴 거리를 갖도록 하며,
    상기 렌즈 모듈은,
    사용자의 눈에 초점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재현되는 영상의 초점 거리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가변시키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렌즈 모듈 의 작동과 상기 백라이트 모듈의 작동을 서로 동기화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되는 영상의 수렴 거리와
    상기 렌즈 모듈의 초점거리가 일치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된 영상이 상기 렌즈 모듈에 의해서 특정 값의 초점 거리를 가질 때,
    상기 백라이트 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해서 광을 제공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모듈을 작동시켜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된 영상이 특정한 초점 거리를 가지며 사용자의 눈에 입사하도록 하는 프로젝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되는 영상은 영상 데이터와 깊이 거리 데이터를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되는 영상의 깊이 거리와, 상기 렌즈 모듈에 의한 초점 거리가 일치할 때,
    상기 백라이트 모듈이 광을 제공하여,
    초점-수렴 거리가 일치하도록 하는 프로젝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모듈은,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프로젝션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소정의 어레이를 가지며 배열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각각의 발광 소자가 이진 구동(on/off)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젝션 장치.
  7. 삭제
  8. 프로젝션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스크린에 소정의 영상을 제공하는 프로젝터 모듈;
    사용자의 눈과 상기 스크린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 모듈; 및
    제어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소정의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광을 제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된 영상이 상기 스크린 상에 맺히도록 하는 백라이트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백라이트 모듈과 상기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의 눈에 수렴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스크린에 맺혀진 영상이 소정의 수렴 거리를 갖도록 하며,
    상기 백라이트 모듈은,
    복수 개의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에서 생성되는 광을 반사시켜서 반사광을 생성하는 미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모듈은,
    사용자의 눈에 초점 반응을 유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재현되는 영상의 초점 거리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가변시키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렌즈 모듈의 작동과 상기 백라이트 모듈의 작동을 서로 동기화 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제공되는 영상의 수렴 거리와
    상기 렌즈 모듈의 초점거리가 일치하도록 유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미러부의 각도를 가변시켜서, 상기 반사광이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사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재현된 영상의 수렴 거리와,
    상기 렌즈 모듈에 의한 상기 영상의 초점 거리가 일치할 때,
    상기 미러부에 의해서 반사된 반사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입사하도록 하는 프로젝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미러 모듈에서 반사된 반사 광이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하는 광학 모듈을 더 포함하는 프로젝션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렌즈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생성되는 영상의 초점 거리를 소정의 시간 동안 소정의 스윕 범위 내에서 선형적으로 증감시키는 가변 초점 렌즈로 구성되는 프로젝션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가변 초점 렌즈의 스윕 범위를 이동(shift)시킬 수 있는 프로젝션 장치.
KR1020180133148A 2018-11-01 2018-11-01 프로젝션 장치 KR102135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148A KR102135888B1 (ko) 2018-11-01 2018-11-01 프로젝션 장치
US17/290,696 US11429016B2 (en) 2018-11-01 2019-10-31 Projection device
PCT/KR2019/014598 WO2020091460A1 (ko) 2018-11-01 2019-10-31 프로젝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148A KR102135888B1 (ko) 2018-11-01 2018-11-01 프로젝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290A KR20200050290A (ko) 2020-05-11
KR102135888B1 true KR102135888B1 (ko) 2020-07-20

Family

ID=7046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148A KR102135888B1 (ko) 2018-11-01 2018-11-01 프로젝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29016B2 (ko)
KR (1) KR102135888B1 (ko)
WO (1) WO202009146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6570A (ja) * 2014-11-20 2017-12-07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調整可能な焦点面光学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600A (ko) 2007-05-02 2008-11-06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반도체 테스트를 위한 반도체 소켓의 반도체 고정장치
KR101306439B1 (ko) 2009-12-21 2013-09-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테레오스코픽 3d 콘텐츠 프로젝터를 구비한 디지털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2057434A1 (en) 2010-10-29 2012-05-03 Lg Electronics Inc. Stereoscopic image processing system and device and glasses
KR101746538B1 (ko) 2010-10-29 2017-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체영상 처리 시스템, 입체영상 처리 방법 및 액정 안경
KR102040663B1 (ko) * 2012-11-09 2019-1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지털 홀로그램 영상 표시장치
WO2015134740A1 (en) * 2014-03-05 2015-09-11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Wearable 3d augmented reality display with variable focus and/or object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36570A (ja) * 2014-11-20 2017-12-07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調整可能な焦点面光学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19138A1 (en) 2022-01-20
US11429016B2 (en) 2022-08-30
KR20200050290A (ko) 2020-05-11
WO2020091460A1 (ko)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1578B1 (ko) 가상 및 증강 현실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139268B1 (ko) 눈 투영 시스템
US7486341B2 (en) Head mounted display with eye accommodation having 3-D image producing system consisting of, for each eye, one single planar display screen, one single planar tunable focus LC micro-lens array, one single planar black mask and bias lens
US9648309B2 (en) Controllable lenticular lenslets
WO2017150631A1 (en) Head Mounted Display Using Spatial Light Modulator To Move the Viewing Zone
US11768380B2 (en) 3-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expanded viewing window
KR20200067858A (ko) 투명 발광 디스플레이를 갖는 접안렌즈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CN110520781A (zh) 可转向中央凹显示器
US20180284441A1 (en) Wide field head mounted display
US20060033992A1 (en) Advanced integrated scanning focal immersive visual display
US8947779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a multi-view 3D image
KR102070800B1 (ko)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N114365027A (zh) 显示具有景深的物体的系统与方法
JP3453086B2 (ja) 三次元表示方法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059763B1 (ko)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
US10728534B2 (en) Volumetric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
KR102026361B1 (ko) 접안 디스플레이 장치
CN110618529A (zh) 用于增强现实的光场显示系统和增强现实装置
KR102135888B1 (ko) 프로젝션 장치
JP3756481B2 (ja) 三次元表示装置
JP3324695B2 (ja) 三次元表示方法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US11347057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using multiplex holographic optical element
Travis et al. Flat projection for 3-D
US12055892B2 (en) Holographic display apparatus, head-up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viding method
JP2005099425A (ja) 三次元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