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060A - 도어 개폐용 충격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용 충격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060A
KR20140074060A KR1020120142248A KR20120142248A KR20140074060A KR 20140074060 A KR20140074060 A KR 20140074060A KR 1020120142248 A KR1020120142248 A KR 1020120142248A KR 20120142248 A KR20120142248 A KR 20120142248A KR 20140074060 A KR20140074060 A KR 20140074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door
gear
guid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호
박화련
Original Assignee
박영호
박화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박화련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1020120142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4060A/ko
Publication of KR20140074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Landscapes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개폐용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의 급격한 폐쇄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로 도어클로져와 유공압실린더를 내장한 도어댐퍼들이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도 3에 도시하듯이 하우징의 내부에 유압을 이용한 댐퍼구조가 내장되며, 외부에는 링크구조에 의하여 도어의 일측이 체결되면서 급격한 여닫음의 동작으로 인한 과도한 힘을 하우징내부의 실린더에서 흡수하여 부드러운 여닫음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시 발생하는 급격한 충격에너지를 다단의 기어구조에 의하여 직선과 회전에 의한 변속구조와 운동방향의 변환으로 소형화구조에서도 충분한 완충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유압뿐 아니라 공압 댐퍼를 사용함으로써 댐퍼기능에는 변함이 없이 소형화가 가능하면서도 충분한 완충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억셉트레버에 의하여 전달된 도어측의 충격에너지를 가이드기어, 댐퍼기어, 콘트롤기어 그리고 레버스크류에 의하여 댐퍼측에 전달하여 충격에너지를 흡수제거하는 충격완화댐퍼부(가) 그리고 상기한 댐퍼부의 일측에서 도어측을 향하여 돌출된 억셉트레버, 억셉트레버의 삽입부에 삽입발출하는 스트라이커로 구성된 제어레버부(나)로 구성한 도어개폐장치에 의하여 도어의 급속한 개폐시 발생한 에너지를 다단기어구조와 댐퍼에 의하여 흡수제거토록 하였다.
본 발명은 특히 다단구조에 의하여 발생한 많은 에너지를 원운동, 직선운동 그리고 다시 실린더의 수축팽창으로 제거할 수 있어, 소형의 공압실린더구조를 갖는 댐퍼로 충분한 완충기능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도어를 설치하는 현장에서 도어에 가해지는 압력의 정도에 맞추어 댐퍼하우징의 압력입출정도를 조절하여 가장 최적의 댐퍼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 다양한 현장의 변화에 맞춤식 설치로 추후 발생가능한 하자유지보수의 문제도 근본적으로 해결하였다.

Description

도어 개폐용 충격완충 장치{Impact absobor for the door open and close moment}
본 발명은 건물, 자동차, 창고 등의 도어의 급격한 여닫음에 의한 충격을 흡수제거하기 위한 도어개폐용 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어의 급격한 폐쇄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장치로 도어클로져와 유공압실린더를 내장한 도어댐퍼들이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도 3에 도시하듯이 하우징의 내부에 유압을 이용한 댐퍼구조가 내장되며, 외부에는 링크구조에 의하여 도어의 일측이 체결되면서 급격한 여닫음의 동작으로 인한 과도한 힘을 하우징내부의 실린더에서 흡수하여 부드러운 여닫음이 가능하게 한다.
도어댐퍼로는 힌지축내부에 유압을 이용한 댐퍼기능을 부여하거나 유압실린더의 작동축을 노출하여 도어의 폐쇄시의 충격을 작동축의 선단이 직접 받도록 하여 충격을 실린더에 전달하면 실린더의 유압에 의하여 급격한 폐쇄동작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한다.
또 다른 충격흡수댐퍼로는 도 1 에 도시하듯이 도어 (103)이 닫힘동작시 접하는 곳에 유체댐퍼(150)을 브라켓(140)으로 고정한다. 도어의 급속한 폐쇄동작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이 유체댐퍼의 작동로드에 전달하면서 유체댐퍼가 흡수하는 구조이다.
상기한 댐퍼구조는 댐퍼로 동작하기 위한 실린더의 작동로드가 직접 외부로 노출되어, 이 작동로드에 도어의 개폐시의 힘을 받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동작시 작동로드에 수직으로 정확한 충격에너지가 전달하기 위하여 도 1,2에 도시한 도어와 수직으로 작동로드의 노출이 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설치공간이 협소한 경우에 설치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대형도어(예를 들면, 공장출입구, 농산물 보관용 냉장창고 등)에는 대형의 작동로드의 설치가 불가피하므로 작동로드의 노출을 위한 충분한 공간과 크기가 필요하다.
또한 상기한 댐퍼구조는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강한 충격을 받아들이기 위하여 작은 구조로도 충격흡수력이 좋은 유압실린더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압실린더는 다년간 사용시 필연적으로 사용된 오일류가 유출되면서 주변이 오염되거나 심한 경우 완충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본 발명은 설치공간이 협소하고 제한을 받는 도어에도 설치가 용이한 도어 개폐용 충격완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의 단점으로 지적된 오일누출과 그에 의한 오염문제를 근본적으로 없앤 새로운 구조의 사용자의 안전성을 고려한 도어 개폐용 충격완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반복되는 도어의 개폐동작으로 인하여 스트라이커부분의 손상이 발생하여도 손쉽게 보수가능한 충격완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시 발생하는 급격한 충격에너지를 다단의 기어구조에 의하여 직선과 회전에 의한 변속구조와 운동방향의 변환으로 소형화구조에서도 충분한 완충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오일을 이용한 유압실린더가 아닌 공압을 이용한 댐퍼구조를 이용하여 장기간 경과시 발생하는 오일의 누출과 댐핑력이 주변온도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는 변성으로 인한 작동불량의 문제를 없애고자, 도어닫힘시의 급격한 충격에너지를 다중으로 결합한 기어에 의하여 에너지를 변환하며, 변환된 에너지는 공압실린더에 의하여 흡수제거하였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가장 충격을 많이 받는 억셉트레버와 스트라이커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고장발생시 손쉽게 교체가능한 구조로 하며, 특히 스트라이커에는 완충기능을 갖는 구조와 동시에 자유회동구조를 주어 급격한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하였다.
본 발명은 충격완화댐퍼부에서 충격을 흡수하는 댐퍼하우징에 별도의 조절구를 설치하여 설치현장의 상황에 맞추어 최적의 완충흡수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이상 본 발명은 기존의 링크구조 노출형의 도어체크에 비하여 소형경량화하면서 모든 기어구조와 댐퍼들이 내장되어져 있어, 설치할 도어의 구조가 다양하게 변하여도 간단하게 설치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히 순간적으로 가해지는 강한 운동에너지를 가이드기어와 댐퍼기어의 동시적인 체결에 의하여 도어의 개방과 폐쇄시의 모든 동작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유압이 아닌 공압으로도 댐퍼를 설치할 수 있어 사용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정확한 작동이 가능하며, 특히 환경오염물질인 오일의 사용이 없어 설치전후에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이 전혀 없게 하였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레버스크류의 체결각도의 적절한 조절에 의하여 개폐시의 충격흡수거리와 속도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어, 다양한 현장의 상황에 따라 설치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도어의 구조와 건물의 대소, 주변의 바람의 세기와 같은 다양한 환경변화에 변화가 있다 하여도 설치현장에서 조절구를 간단한 나사조립형태로 조절하여 충격완화성능에 변화를 주어 최적의 충격완화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도 1 내지 도 3 은 종래 도어의 충격완화장치의 설치상태와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평면에서 본 단면구조도,
도 5 는 도어의 닫힘동작으로 충격완화댐퍼부가 동작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은 도 5의 준비상태에서 본 발명의 충격완화를 위하여 준비상태의 충격완화댐퍼부만을 도시한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충격완화댐퍼부와 제어레버부가 도어의 닫힘동작으로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충격완화댐퍼부와 제어레버부가 도어닫힘시의 충격을 받아주기 위하여 대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충격완화댐퍼부만을 억셉트레버 상부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충격완화댐퍼부의 분해상태를 억셉트레버 하부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충격완화댐퍼부의 분해상태를 억셉트레버의 하부에서 본 또 다른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제 도어설치후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스트라이커의 사시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스트라이커의 분해상태사시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조절형 댐퍼하우징의 개방조절구의 분해상태 측단면구성도,
도 16 은 본 발명의 댐퍼하우징에 설치하는 개방조절구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17 은 본 발명의 댐퍼하우징의 하부에 개방조절구가 조립되는 상태의 부분확대사시도,
도 18 은 본 발명의 댐퍼하우징의 배출조절부가 일부 개방된 상태의 측단면구성도임.
본 발명은 가이드기어, 댐퍼기어, 콘트롤기어 그리고 레버스크류로 구성된 다단의 복합구조를 갖는 기어구조에 의하여 충격에너지를 직선과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면서 속도의 1차 감속과 주변온도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댐퍼구조를 이용하여 충격을 완화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 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또한 충격흡수를 위한 댐퍼로 공압실린더를 사용하되, 댐퍼하우징과 댐퍼하우징내의 작동로드가 함께 입출과 전후진하면서 힘의 흡수와 방출을 유도하여 소형으로도 충분한 충격완화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다단구조의 충격완화댐퍼구조에 의한 소형화로 설치후에 도어에 대한 외관을 손상치 않는 충격완화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 1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5 와 6 은 본 발명의 충격완화를 위하여 준비상태와 준비상태에서 도어의 닫힘동작으로 충격완화댐퍼부가 동작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충격완화댐퍼부와 제어레버부가 도어의 닫힘동작으로 작동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충격완화댐퍼부와 제어레버부가 준비상태인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충격완화댐퍼부만을 억셉트레버 상부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 과 11 은 본 발명의 충격완화댐퍼부의 분해상태를 억셉트레버 하부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는 실제 도어에 설치한 상태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3과 14 는 본 발명의 스트라이커의 사시도와 분해상태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어의 급격한 닫힘동작에 의하여 스트라이커가 억셉트레버에 삽입되면, 억셉트레버의 회전동작이 동축(同軸)연결된 레버스크류를 회전시키고, 레버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맞물려진 가이드기어와 콘트롤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댐퍼기어도 함께 회전시켜 댐퍼의 작동로드의 입출동작과 댐퍼하우징의 길이방향 전후진동작으로 도어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완화하는 충격완화댐퍼부(가),
상기한 댐퍼부의 일측에서 도어측을 향하여 돌출토록 배치하여 도어의 닫힘동작시 받는 충격에너지를 받아회전하면서 동축연결된 레버스크류의 회전을 유도하는 억셉트레버, 억셉트레버의 가이드공에 도어의 닫힘동작시 가이드롤러가 삽입하여 충격에너지를 억셉트레버에 전달하여 억셉트레버가 회전토록 유도하는 스트라이커로 구성된 제어레버부(나)로 구성된 도어 개폐용 완충 장치이다.
본 발명의 충격완화댐퍼부는 도 12에 도시하듯이 도어 또는 창문틀의 상측이나 하측에 고정설치하며, 이 충격완화댐퍼부에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한 억셉트레버(40)에 도어측에 설치한 트리거 레버가 삽입하면서 충격완화 기능이 발휘된다.
본 발명에서 충격완화댐퍼부의 댐퍼기어(15)와 가이드기어(16)는 보디부(B)의 상하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한 상.하 가이딩슬롯(11)(12)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한 가이드기어와 댐퍼기어의 사이에는 콘트롤스크류(17)를 설치하며, 이 콘트롤스크류를 중심으로 상하측의 가이드기어와 댐퍼기어가 연동하도록 설치하였다. 즉, 콘트롤스크류(17)는 외주면에 기어(17a)를 형성하여, 이들 기어가 상기한 가이드기어와 댐퍼기어에 동시에 맞물려져 있어 콘트롤스크류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되는 이동동작을 한다. 또한 콘트롤스크류의 외주면의 일측에는 링커를 매개로 리턴스프링(19)의 일단이 체결되어져 있고, 리턴스프링의 타측단은 보디부에 고정되어져 항시 일정한 탄성으로 콘트롤스크류를 당겨준다. 리턴스프링의 인장강도는 설치되는 도어구조물의 현장상황, 즉, 도어의 크기, 여닫는 속도, 무게 등의 다양한 충격에너지 발생 원인요소들을 계산하여 최적의 강도를 갖도록 설치한다.
본 발명은 레버스크류의 회전동작으로 단순히 유압이나 공압으로 구성된 댐퍼(50)의 작동로드의 수축 확장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만이 아니라 가이드기어, 댐퍼기어, 댐퍼 그리고 콘트롤스크류를 탄력적으로 잡아주는 리턴스프링이 각각 통합적으로 동작하면서 가해진 힘을 적절히 배분하여 흡수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이렇게 다양하게 흡수 배분된 충격에너지로 인하여 문이 닫히면서 소정의 충격에너지를 가하게 되면 상기한 여러 가지 구성요소들이 다 함께 역동작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일단 도어가 닫히게 되면 정확한 닫힘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댐퍼기어(15)는 보디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연장체결부(15b)를 형성하며, 이 연장체결부는 댐퍼(50)의 작동로드(53)의 선단부와 체결되어진다. 댐퍼기어의 전후진 동작이 맞물려진 작동로드도 댐퍼의 하우징 내부로 진입하면서 전달된 충격에너지를 댐퍼에서 흡수한다.
상기한 가이드기어는 레버스크류(21)와 이맞물림되어있다. 따라서 가이드기어가 이동하면 맞물린 콘트롤스크류의 회전동작이 발생하며, 반대로 콘트롤스크류가 회전하면 가이드기어의 전후진도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후진은 도어의 개폐로 인한 스트라이커의 억셉트레버에 대한 압력으로 인하여 발생하며, 도어의 급격한 개폐로 인한 에너지의 흡수제거가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가이드기어(15)는 보디부(B)에 설치한 가이드기어용가이딩슬롯(12)에서 슬라이딩홈(16a)이 미끄럼 가능하도록 체결하며, 슬라이딩홈의 상측으로는 보디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연장체결부(16b)를 형성하여 완충흡수부의 체결연장부(52)와 체결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댐퍼기어(15)도 보디부(B)의 슬라이딩홈을 따라 가이딩기어와 마찬가지로 슬라이딩홈(15a)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이 슬라이딩홈의 상측으로는 보디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연장체결부(15b)를 형성하여 댐퍼의 작동로드의 선단부와 체결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레버스크류(21)는 부채꼴형태 혹은 4분원형태의 외주면에 기어들이 형성되어져 상기한 댐퍼기어와 맞물리도록 한다.그리고 중앙부에는 피봇축이 관통하여 피봇축과 연결된 도어측의 억셉트레버(40)와 함께 연동가능하게 체결한다.
본 발명에서 레버스크류의 외주면에 형성한 기어의 숫자나 형태는 설치현장의 왕복동거리, 즉 도어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적절히 증감하여 댐퍼기능을 가감할 수 있다.
레버스크류의 기어부와 댐퍼기어(15)와 맞물린 채 피봇축(2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한 피봇축은 집게형태의 홀더부(40)와 동축(同軸)체결한다. 따라서 도어의 여닫음 동작이 발생하면 홀더부를 따라 미도시한 도어 혹은 창문틀의 체결부의 힘으로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전한 힘이 댐퍼기어, 콘트롤스크류 그리고 가이드기어의 순으로 전달한다.
상기한 홀더부의 중앙가이드공(41)에는 도어측의 체결구가 중앙가이드공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하였는데, 중앙가이드공의 형태와 크기 역시 현장의 상황에 따라, 즉 도어의 크기와 여닫음 속도, 도어의 형태, 창문틀의 형태 따라 얼마든지 변경가능하며, 체결구가 슬라이딩하면서 여닫음의 힘을 전달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을 둘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서 댐퍼가이딩부의 댐퍼(50)는 댐퍼하우징(51)의 상측에 체결연장부(52)를 형성하여 가이드기어(16)의 연장체결부(16b)와 체결하며, 댐퍼의 작동로드(53)의 선단부는 댐퍼기어(15)의 연장체결부(15b)와 체결하였다.
댐퍼는 하우징의 일부를 포괄가능하도록 반구형홈형태의 댐퍼가이딩부(55)에 설치하여 주었으며, 이 댐퍼가이딩부의하여 실린더의 왕복동거리를 목적한 거리만큼 설정하여 제한을 둘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 13 내지 14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어레버부의 스트라이커(60)는 도어상단에 부착설치하는 보디부(61)에 수직으로 돌출한 연장부(62)의 끝단에 억셉트레버의 가이드공(41)에 입출할 수 있는 가이드롤러(63)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가이드롤러는 연장부의 끝단에 형성한 체결공(64)에 기준구(65)를 체결하며, 기준구는 다시 고정구와 체결한다. 이 기준구의 외주에는 마찰저감과 완충이 가능한 탄성의 실린더형 완충봉(66)을 자유회동가능하도록 삽입한다. 완충봉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를 이용하여 순간적인 충격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가능토록 하며, 특히 가이드공에 삽입시에 가이드롤러(63)는 탄성에 의한 충격완화는 물론이고 기준구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해진 충격을 흡수한다.
이러한 가이드롤러에 설치한 가이드롤러는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마모가 발생하게 되므로, 고정구(67)과 기준구(65)의 조립해체에 의하여 교체가능하게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스트라이커에 사용하는 가이드롤러는 고정구에 의하여 조립과 해체가 가능하지만 여닫는 회수가 많지 않아서 마모가 적은 경우에는 구태여 교체할 필요가 없어 고정형태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가이드롤러 자체의 탄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충격을 흡수토록 하는 것은 회전형태는 물론이고 고정형이라 하여도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조절형 댐퍼하우징의 개방조절구의 분해상태 측단면구성도, 도 16 은 본 발명의 댐퍼하우징에 설치하는 개방조절구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17 은 본 발명의 댐퍼하우징의 하부에 개방조절구가 조립되는 상태의 부분확대사시도, 도 18 은 본 발명의 댐퍼하우징의 배출조절부가 일부 개방된 상태의 측단면구성도에 도시하듯이, 댐퍼하우징의 내부에 대한 유공압의 압력의 입출입 정도를 현장 설치상황에 따라 적절히 조절설치하여 최적의 댐퍼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의 급격한 닫힘동작시 레버스크류, 댐퍼기어, 콘트롤스크류, 가이드기어의 회전동작과 댐퍼의 작동로드와 댐퍼하우징의 이동을 유도하여 도어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충격완화댐퍼부(가), 충격에너지를 억셉트레버에 전달하여 상기한 충격완화댐퍼부에 에너지를 전달하여 회전을 유도하는 제어레버부(나)로 구성된 도어개폐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댐퍼하우징의 하부에 배출조절부를 설치하고, 이 배출조절부에는 개방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개방조절조립구를 설치하여 댐퍼하우징내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형 도어개폐용 완충장치이다.
댐퍼하우징의 하부에 공기 혹은 유압의 압력의 입력과 출력의 배출공의 개방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설치현장의 도어충격정도에 맞추어 최적의 형태로 설치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배출조절부는 댐퍼하우징(51)의 하부에 형성한 배출공(50a)에서 수직으로 돌출하면서 내외측에 나사홈을 형성한 체결부(50b)를 형성하고, 이 체결부외 외측과콘트롤러의 내측을 일체로 하는 동시에 체결부의 내측으로는 포핏보디부를 내장토록 체결하였다. 이렇게 체결되면서 내부에 포핏보디부, 가이드축 그리고 가이드축의 탄력적 지지를 위한 스프링을 내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의 외측과 콘트롤러(71)의 내측체결돌기(71c)를 체결하는 동시에 체결부의 내측으로는 포핏보디부를 내장토록 체결하고, 이 포핏보디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가이드축을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토록 설치한다.
상기한 포핏보디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가이드축은 스프링(72d)에 의하여 지지토록 설치하였다. 따라서 가이드축은 상기한 콘트롤러의 하부에 형성한 축리테이너부(71d)에 고정하게 되므로 콘트롤러의 승강과 하강은 가이드축의 승강과 하강으로 이어진다. 축리테이너부에는 내부의 압력이 통과할 수 있는 작은 통공(71e)를 형성한다.
상기한 포핏보디부는 콘트롤러(71)의 댐퍼하우징에 형성된 체결부(50b)에 체결되어져 가이드축의 승강과 하강안내 그리고 하우징내의 공기압의 유출입 조절역활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조절부에 내장하는 개방조절조립구는 가이드축(72a)이 포핏보디(72b)의 중앙공을 관통하여 포핏캡(72c)의 하부를 통하여 상단이 체결되며,
하단은 콘트롤러의 축리테이너부(71d)에 체결하며,
상기한 가이드축의 중앙부에 설치한 스프링턱(72c)에 스프링(72d)의 하단이 조립되어지면서 그 상단은 포핏캡의 스프링리테이너부(72e)에 삽입고정되어져 콘트롤러의 조절에 의하여 포핏캡이 승강 또는 하강하여 개방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상의 구조적 특징에 따른 대표적 실시예를 기초로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도어는 도 12에 도시하듯이 도어를 고정하는 문틀의 상측이나 하측에 본 발명의 충격완화댐퍼부와 제어레버부로 구성한 본체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 본체의 부분노출한 제어레버부의 가이드공(41)에 삽입발출가능하도록 스트라이커(60)를 도어측에 설치한다. 이런 상태에서 화살표와 같이 도어가 급격히 닫히게 되면, 노출되어있던 제어레버부의 중앙가이드공에 스트라이커의 가이드롤러(63)가 삽입하면서 내측의 굴곡면을 따라 제어레버부를 밀게 된다. 이 스트라이커의 미는 힘에 의하여 억셉트레버(40)가 회전하므로, 이것과 동축연결한 레버스크류(21)도 회전한다. 이 레버스크류의 회전동작은 레버스크류와 맞물린 댐퍼기어(15)를 이동하게 한다. 이 댐퍼기어의 이동동작은 함께 맞물린 콘트롤스크류의 회전동작으로 이어져 가이드기어(16)도 이동한다. 이때에 댐퍼기어의 이동은 가이드기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작동로드(53)를 밀어주어 댐퍼하우징(51)속으로 작동로드가 밀려들어가면서 도어의 급격한 닫힘동작으로 인한 순간적인 힘을 흡수토록 한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제어레버, 가이드기어, 댐퍼기어 그리고 댐퍼라는 연이어진 부품들이 순간적으로 강하게 발생한 도어측의 힘을 일종의 변속기어박스와 같이 흡수제거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전달된 힘은 충분히 감소한 채 댐퍼에 전달되어지므로, 통상적인 댐퍼와 달리 극히 소형의 실린더를 갖는 댐퍼만으로도 충분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에서 레버스크류에 의한 댐퍼기어의 이동동작은 댐퍼의 작동로드의 이동과 함께 댐퍼하우징 전체의 이동과 이것과 체결된 가이드기어의 이동이 함께 이루어져, 대단히 짧은 거리의 이동임에도 불구하고 거리이동은 2배이상의 되므로 강한 힘의 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대단히 소형화된 규모이면서도 긴 링커의 복잡한 연결이 없이도 충격흡수가 커지게 하여 효과가 탁월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 억셉트레버의 가이드공에 도 14에 도시한 가이드롤러(63)가 억셉트레버에 접하는 순간 탄성체의 특성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은 물론 가이드롤러가 회전하면서 에너지를 분산처리한다. 이러한 동작으로 여닫는 동작이 무수히 반복된다하여도 파손의 정도가 낮아진다. 특히 가이드롤러는 일정기간 경과하면서 마모 변형이 되면 소비자가 직접 교체가 가능하여 항상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댐퍼하우징에 배출조절부를 설치한 것은 설치현장의 도어 닫힘동작시에 발생하는 충격에너지가 공장출하시의 기본값과 비교하여 너무 낮거나 높은 경우에는 이 콘트롤러(71)와 체결부(50b)사이의 체결정도를 조절하면, 콘트롤러의 승강 혹은 하강에 따라 가이드축이 승강 혹은 하강하면서 포핏보디의 포핏캡(72c)의 개방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댐퍼하우징의 내부에 있는 압력이 최적의 상태로 배출과 흡입토록 하여 현장상황에 맞는 최고의 성능을 갖는 충격완화기능을 발휘하게 하였다.
가 : 충격완화댐퍼부, 나 : 제어레버부,
16:가이드기어, 15:댐퍼기어, B:보디부 11,12:상.하 가이딩슬롯, 17:콘트롤스크류, 18:리턴스프링, 16b:연장체결부, 53:작동로드, 21:레버스크류, 22:피봇축, 40:억셉트레버, 41:중앙가이드공, 50:댐퍼 51:댐퍼하우징 60:스트라이커, 61:보디부, 62:연장부, 63:가이드롤러, 64:체결공, 65:기준구, 67:고정구 71:콘트롤러

Claims (7)

  1. 도어의 급격한 닫힘동작에 의하여 스트라이커가 억셉트레버에 삽입되면, 억셉트레버의 회전동작이 동축(同軸)연결된 레버스크류를 회전시키고, 레버스크류의 회전동작으로 맞물린 댐퍼기어를 이동시킴으로 인하여 콘트롤스크류가 회전하며, 이 콘트롤스크류의 회전동작으로 댐퍼의 작동로드의 수축동작, 가이드기어와 댐퍼하우징의 이동도 함께 유도하여 도어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충격완화댐퍼부(가),
    상기한 댐퍼부의 일측에서 도어측을 향하여 돌출토록 배치하여 도어의 닫힘동작시 받는 충격에너지에 의하여 동축연결된 레버스크류의 회전을 유도하는 억셉트레버, 억셉트레버의 가이드공에 도어의 닫힘동작시 가이드롤러가 삽입하여 충격에너지를 억셉트레버에 전달하여 억셉트레버가 회전토록 유도하는 스트라이커로 구성된 제어레버부(나)로 구성한 도어 개폐용 완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충격완화댐퍼부는 보디부(B)의 상하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한 상측 가이딩슬롯(11)과 하측 가이딩슬롯(12)을 따라 가이드기어(16)와 댐퍼기어(15)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한 가이드기어와 댐퍼기어의 사이에 콘트롤스크류(17)의 기어가 맞물리도록 설치하여 가이드기어와 댐퍼기어가 콘트롤스크류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작하며, 상기한 콘트롤스크류의 외주면에는 링크(19a)를 매개로 리턴스프링(19)과 체결하여 일정한 탄성으로 당기어 지도록 구성하며,
    상기한 댐퍼기어(15)는 보디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연장체결부(15b)에 의하여 댐퍼(50)의 작동로드(53)의 선단부와 체결하여 댐퍼기어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하우징 전체의 전후진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상기한 가이드기어(16)는 댐퍼하우징의 측면에 설치한 체결연장부(52)와 일체로 되어 상기한 댐퍼기어의 동작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레버부의 스트라이커는 도어상단에 부착설치하는 보디부(61)에 수직으로 돌출한 연장부(62)의 끝단에 억셉트레버의 가이드공(41)에 삽입할 수 있는 가이드롤러(63)를 설치하되,
    체결공(64)을 관통하도록 기준구(65)를 체결하면서 상단은 고정구(67)와 체결하며, 고정구외 외주면을 외주를 감싼 채 회전가능하도록 가이드롤러(63)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가이드롤러에 설치하는 가이드롤러(63)이 고정구(67)의 조립해체에 의하여 교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용 완충 장치.
  5. 도어의 급격한 닫힘동작시 레버스크류, 댐퍼기어, 콘트롤스크류, 가이드기어의 회전동작과 댐퍼의 작동로드와 댐퍼하우징의 이동을 유도하여 도어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충격완화댐퍼부(가), 충격에너지를 억셉트레버에 전달하여 상기한 충격완화댐퍼부에 에너지를 전달하여 회전을 유도하는 제어레버부(나)로 구성된 도어개폐용 완충장치에 있어서,
    댐퍼하우징의 하부에 배출조절부를 설치하고, 이 배출조절부에는 개방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개방조절조립구를 설치하여 댐퍼하우징내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형 도어개폐용 완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배출조절부는 댐퍼하우징(50)의 하부에 형성한 배출공(50a)에서 수직으로 돌출하면서 내외측에 나사홈을 형성한 체결부(50b)를 형성하고,
    상기한 체결부의 외측과 콘트롤러(71)의 내측체결돌기(71c)를 체결하는 동시에 체결부의 내측으로는 포핏보디부를 내장토록 체결하고, 이 포핏보디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가이드축을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토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형 도어개폐용 완충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배출조절부에 내장하는 개방조절조립구에는 가이드축(72a)이 포핏보디(72b)의 중앙공을 관통하여 포핏캡(72c)의 하부를 통하여 상단을 체결하는 동시에 하단은 콘트롤러의 축리테이너부(71d)에 체결하며,
    상기한 가이드축의 중앙부에 설치한 스프링턱(72c)에 스프링(72d)의 하단이 체결되어지면서 그 상단은 포핏캡의 스프링리테이너부(72e)에 삽입고정되어져 콘트롤러의 조절에 의하여 포핏캡이 승강 또는 하강하여 개방도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형 도어개폐용 완충장치.
KR1020120142248A 2012-12-07 2012-12-07 도어 개폐용 충격완충 장치 KR20140074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248A KR20140074060A (ko) 2012-12-07 2012-12-07 도어 개폐용 충격완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248A KR20140074060A (ko) 2012-12-07 2012-12-07 도어 개폐용 충격완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060A true KR20140074060A (ko) 2014-06-17

Family

ID=5112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248A KR20140074060A (ko) 2012-12-07 2012-12-07 도어 개폐용 충격완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406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53Y1 (ko) * 2016-04-22 2017-08-28 이준재 공기유압스프링을 이용한 자동 닫힘 장치
KR102029191B1 (ko) 2018-04-13 2019-10-08 (주)문주하드웨어 도어 개폐용 푸쉬댐퍼
KR20220030623A (ko) 2020-09-03 2022-03-11 (주)문주하드웨어 개선된 도어 개폐용 푸쉬댐퍼
CN114377375A (zh) * 2022-01-13 2022-04-22 惠州市朝鹏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pu防撞亚麻纤维轻木滑板芯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353Y1 (ko) * 2016-04-22 2017-08-28 이준재 공기유압스프링을 이용한 자동 닫힘 장치
KR102029191B1 (ko) 2018-04-13 2019-10-08 (주)문주하드웨어 도어 개폐용 푸쉬댐퍼
KR20220030623A (ko) 2020-09-03 2022-03-11 (주)문주하드웨어 개선된 도어 개폐용 푸쉬댐퍼
CN114377375A (zh) * 2022-01-13 2022-04-22 惠州市朝鹏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pu防撞亚麻纤维轻木滑板芯板
CN114377375B (zh) * 2022-01-13 2023-10-20 惠州市朝鹏运动器材有限公司 一种pu防撞亚麻纤维轻木滑板芯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4060A (ko) 도어 개폐용 충격완충 장치
EP2718526B1 (en) Hinge provided with elastic means and dampener
EP2218860B1 (en) Oven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N105658895A (zh) 用于机动车辆的舱口盖的驱动装置
CN101861441A (zh) 铰链
JP5746704B2 (ja) ドア閉め部
ES2637268T3 (es) Dispositivo de cierre y amortiguación para partes de mueble móviles
RU2009139190A (ru) Многорычажная мебельная петля
CZ297729B6 (cs) Brzdicí mechanizmus ke zpomalení dovírání dverí, oken nebo výsuvné cásti nábytku
RU2015134072A (ru) Многозвенный шарнир с амортизацией
KR20200087257A (ko) 자동차의 폐쇄 요소용 구동 장치
WO2006070103A3 (fr) Dispositif absorbeur de chocs pour vehicule ferroviaire
JP2009114823A (ja) 引戸の閉鎖緩衝装置
CN100387453C (zh) 车窗调整器线缆张紧装置、车窗调整器及无框车门
DE502007003078D1 (de) Dämpfungsgarnitur für drehtüren
KR20120091182A (ko) 자동 퇴축 및 완충 장치
RU2667137C2 (ru) Стопорное и демпф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злов каретки раздвижных дверей для зданий или мебели и подобных им
KR20130036419A (ko) 도어 개폐용 충격완충 장치
CN109958359A (zh) 一种防火闭窗器
KR101365253B1 (ko) 도어 개폐용 충격완충 장치
CN202845686U (zh) 电磁铆枪缓冲与导向机构
CN102784874B (zh) 手提式电磁铆枪缓冲与导向机构
CN210636619U (zh) 一种摩擦型消能减震阻尼器
KR20170014248A (ko) 공작 기계용 도어 개폐 장치
KR101175450B1 (ko) 방화도어 폐쇄순위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