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662A - 퓨즈용 젠더 - Google Patents

퓨즈용 젠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662A
KR20140073662A KR1020120140677A KR20120140677A KR20140073662A KR 20140073662 A KR20140073662 A KR 20140073662A KR 1020120140677 A KR1020120140677 A KR 1020120140677A KR 20120140677 A KR20120140677 A KR 20120140677A KR 20140073662 A KR20140073662 A KR 20140073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gender
terminal
sub
jun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우성
오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20140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3662A/ko
Publication of KR2014007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08Tools for inserting and removin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48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or held directly by the base
    • H01H85/485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or held directly by the base the fuse being provided with bayonet-type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54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held, or retained by an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removable from the base, or used as sectionalisers
    • H01H85/542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held, or retained by an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removable from the base, or used as sectionalisers the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being provided with bayonet-type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션박스에 다수의 퓨즈를 장착할 수 있는 퓨즈용 젠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퓨즈(20)가 고정되는 젠더바디(10) 및 상부가 젠더바디(1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퓨즈(20)와 접속되고, 하부가 젠더바디(10)의 아랫방향으로 돌출되어 정션박스(50)에 삽입되는 젠더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퓨즈용 젠더{GENDER FOR FUSE}
본 발명은 정션박스에 다수의 퓨즈를 장착할 수 있는 퓨즈용 젠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션박스는 자동차에 장착되어 자동차에 탑재되는 수많은 전자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션박스는 엔진룸의 일측에 설치되어 릴레이와 퓨즈가 삽입되어서 고정되고, 고정된 릴레이와 퓨즈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이 내장되며, 커넥터를 통해 자동차의 각 전자부품들과 연결되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각 전자부품으로 분배한다.
여기서, 정션박스에는 릴레이들이 장착되는 단자접속을 갖는 릴레이단자접속부들이 형성되고, 퓨즈들이 장착되는 퓨즈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정션박스는 해당 차종의 기본사양에 맞춰서 제작되도록 새롭게 개발되어야 한다. 특히, 차량에 새로운 시스템들이 추가는 경우에는 추가되는 시스템들에 전원을 분배하기 위해 정션박스에 더 많은 퓨즈를 장착할 수 있는 퓨즈공간을 확장시키는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추가되는 퓨즈들을 장착하기 위해 정션박스를 새롭게 개발하는 경우에는 정션박스의 개발기간의 증가와 함께 개발비용 및 제작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정션박스를 신규개발하지 않으면서 정션박스에 추가로 연결되는 새로운 시스템들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많은 수의 퓨즈들을 정션박스의 한정된 공간에 장착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션박스에 연결되는 시스템들을 각기 연결하는 다수의 퓨즈를 정션박스의 릴레이단자접속부에 장착할 수 있는 퓨즈용 젠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퓨즈용 젠더는, 퓨즈(20)가 고정되는 젠더바디(10) 및 상부가 젠더바디(1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퓨즈(20)와 접속되고, 하부가 젠더바디(10)의 아랫방향으로 돌출되어 정션박스(50)에 삽입되는 젠더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퓨즈용 젠더는, 다수의 퓨즈를 정션박스에 형성된 릴레이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어서 차량에 새로운 시스템이 추가되더라도 기존의 정션박스를 그대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시스템의 추가시에도 정션박스를 새로 개발하거나 변경하지 않아도 되므로, 정션박스의 신규 개발비용과 제조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퓨즈용 젠더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메인단자와 다수의 서브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정션박스에 장착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정션박스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퓨즈용 젠더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퓨즈용 젠더는, 퓨즈(20)가 탁찰가능하게 고정되는 젠더바디(10) 및 젠더바디(1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퓨즈(20)들이 접속되고 하부가 젠더바디(10)를 관통하면서 하부로 돌출되어 정션박스(50)에 삽입되는 젠더부(30)를 포함한다.
젠더바디(10)는 정션박스(50)에 형성되어 릴레이(60)가 장착되는 릴레이단자접속부(51)에 용이하게 착탈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젠더바디(10)는 규격화되어서 형성되는 정션박스(50)의 릴레이단자접속부(51)에 장착될 수 있도록 릴레이단자접속부(51)와 동일한 형태와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차량이 업데이트되면서 정션박스(50)에서 더 이상 퓨즈를 장착할 수 있는 기존의 퓨즈접속부가 없는 경우에 젠더바디(10)를 릴레이단자접속부(51)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젠더바디(10)는 퓨즈가 삽입되는 퓨즈홈(11)이 1개 이상 형성되며, 퓨즈홈(11)은 퓨즈(20)의 퓨즈바디(21)가 삽입되는 퓨즈바디홈(12) 및 퓨즈바디홈(12)에서 양측으로 각기 연장되어 퓨즈바디(21)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퓨즈단자(22)가 삽입되는 퓨즈단자홈(13)으로 구성된다.
젠더부(30)는 퓨즈홈(11)들의 일측 퓨즈단자홈(13)에 일체로 접속되도록 상부가 다수개로 분기되어 퓨즈홈(11)의 일측으로 연장되고 하부가 젠더바디(10)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메인단자(31)와, 퓨즈단자홈(13)에 각각 개별적으로 접속되도록 퓨즈홈(11)의 타측으로 연장되고 하부가 젠더바디(10)의 아랫방향으로 관통하여 돌출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단자(35)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단자(31)는 퓨즈홈(11)과 동일한 개수로 분기되어 삽입된 퓨즈단자(22)의 일측면을 접속시킬 수 있는 집게형태의 메인상부접속부(32)가 분기된 각각의 일단에 형성되고, 정션박스(50)의 릴레이단자접속부(51)의 접속홀(52) 중의 하나에 삽입되는 하나의 메인하부접속부(33)가 타단에 형성된다. 여기서, 집게형태의 메인상부접속부(32)는 퓨즈홈(11)에서 일측 퓨즈단자홈(13)의 내부에서 퓨즈단자의 일측에 접속되도록 젠더바디(10)에 설치된다. 따라서, 퓨즈단자홈(13)에 삽입되는 퓨즈(20)들의 퓨즈단자(22)들이 집게형태의 메인상부접속부(32)들에 각기 접속되면서 하나의 메인하부접속부(33)를 통해 정션박스로 접속되어 메인하부접속부(33)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동시에 메인상부접속부(32)로 분배하여 장착된 퓨즈단자(22)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브단자(35)는 하나의 삽입된 퓨즈단자(22)의 타측면을 접속시킬 수 있는 집게형태의 서브상부접속부(36)가 일단에 형성되고, 정션박스(50)의 릴레이단자접속부(51)의 접속홀(52)에 각각 삽입되는 서브하부접속부(37)가 타단에 형성된다. 여기서, 집게형태의 서브상부접속부(36)는 퓨즈홈(11)에서 타측 퓨즈단자홈(13)의 내부에서 퓨즈단자의 타측에 접속되도록 젠더바디(10)에 설치된다. 따라서, 퓨즈단자홈(13)에 삽입되는 퓨즈(20)의 퓨즈단자(22)가 집게형태의 서브상부접속부(36)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퓨즈단자(22)는 메인상부접속부(32)를 통해 각각 제공받은 전원을 서브하부접속부(37)를 통해 정션박스(50)에 연결된 시스템들에 각기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하부접속부(37)는 릴레이단자접속부에 형성된 접속홀(52)의 위치 및 형태에 일치되도록 상부의 측면과 하부의 측면이 같은 방향을 향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굴절되어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퓨즈용 젠더의 작용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퓨즈를 추가로 장착하는 경우에 정션박스(50)에 형성된 릴레이단자접속부(51)의 접속홀(52)에 젠더바디(10)에서 돌출된 하나의 메인하부접속부(33)와 다수의 서브하부접속부(37)를 억지끼움으로 접속시켜서 젠더바디(10)를 정션박스(50)에 고정한다. 이때, 릴레이단자접속부(51)의 접속홀(52)에는 퓨즈가 설치되도록 시스템에 연결되도록 미리 설계 변경된다. 또한, 릴레이단자접속부(51)에 장착되는 젠더바디(10)에 형성되는 퓨즈홀(11)은 접속홀의 하나에 장착되는 메인하부접속부를 연결하고 나머지 접속홀에 서브하부접속부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홀의 개수??1개]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메인단자(31)는 하나의 메인하부접속부(33)와 메인하부접속부(33)에서 분기된 다수의 메인상부접속부(32)를 갖기 때문에 하나의 메인하부접속부(33)로 다수의 메인상부접속부(32)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측의 퓨즈홈(11)에 퓨즈(20)를 다수개 삽입하더라도 퓨즈단자(22)의 일측에 메인단자(31)의 메인상부접속부(32)가 접속되고 퓨즈단자(22)의 타측에 서브단자(35)의 서브상부접속부(36)가 접속되어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퓨즈를 추가로 요구되는 경우에 여유공간으로남아 있는 릴레이가 삽입되는 릴레이단자접속부(51)를 사용할 수 있어 정션박스를 신규로 개발하지 않으면서 신규로 개발되어서 추가되는 시스템들에 용이하게 전원을 분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젠더바디 11 : 퓨즈홈
12 : 퓨즈바디홈 13 : 퓨즈단자홈
20 : 퓨즈 21 : 퓨즈바디
22 : 퓨즈단자 30 : 젠더부
31 : 메인단자 32 : 메인상부접속부
33 : 메인하부접속부 35 : 서브단자
36 : 서브상부접속부 37 : 서브하부접속부
50 : 정션박스 51 : 릴레이단자접속부

Claims (6)

  1. 퓨즈가 고정되는 젠더바디 및
    상부가 상기 젠더바디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퓨즈와 접속되고, 하부가 젠더바디를 관통하면서 젠더바디의 아랫방향으로 돌출되어 정션박스에 삽입되는 젠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용 젠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젠더바디는 퓨즈가 삽입되는 퓨즈홈이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용 젠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퓨즈홈은 상기 퓨즈의 퓨즈바디가 삽입되는 퓨즈바디홈과, 퓨즈바디홈에서 양측으로 각기 연장되어 퓨즈의 퓨즈단자가 삽입되는 퓨즈단자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용 젠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젠더부는,
    상부가 다수개로 분기되면서 각 분기에 퓨즈가 접속되는 메인상부접속부와, 하부가 젠더바디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메인하부접속부로 이루어진 메인단자 및
    상부가 각각 개별적으로 퓨즈에 접속되는 서브상부접속부가 형성되고 하부가 젠더바디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서브하부접속부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용 젠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브단자는 서브상부접속부와 서브하부접속부의 방향이 같은 방향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굴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용 젠더.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젠더바디는 정션박스의 릴레이단자접속부에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릴레이단자접속부와 동일한 형태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용 젠더.
KR1020120140677A 2012-12-06 2012-12-06 퓨즈용 젠더 KR20140073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677A KR20140073662A (ko) 2012-12-06 2012-12-06 퓨즈용 젠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677A KR20140073662A (ko) 2012-12-06 2012-12-06 퓨즈용 젠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662A true KR20140073662A (ko) 2014-06-17

Family

ID=51127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677A KR20140073662A (ko) 2012-12-06 2012-12-06 퓨즈용 젠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36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3038B2 (en) Plate metal member, bus bar, and electrical junction box having the bus bar
US20100055962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8804314B2 (en) Electric junction box
JP5423700B2 (ja) 電子ユニット用ケースおよび電子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1671862B1 (ko) 정션박스의 조립구조
JP5970028B2 (ja) 車両電気センター
JP2007005142A (ja)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を備えた電気接続箱
US20150268278A1 (en) Attachment structure of current sensor and electric conductive member
US20180090879A1 (en) Electronic component retaining structure, electric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JP6019482B2 (ja) 接続ブロック結合体
JP2015019568A (ja) 車両用の電気センタ
KR102119650B1 (ko) 정션 블록
JP2009183031A (ja) 電気接続箱
JP2013180721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の製造方法、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及びカットスイッチ
KR20140073662A (ko) 퓨즈용 젠더
US9192068B2 (en) Electric junction box
CN105849978A (zh) 测试电缆和用于测试电缆的插座适配器
JP2018201296A (ja) 電気接続箱
CN105529662A (zh) 接线盒组件结构
JP5888801B1 (ja) 電気接続箱
KR101591924B1 (ko) 수직형 정션박스
JP2007317990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2007124862A (ja) バスバー付き回路基板
JP5700725B1 (ja) 電子制御ユニット搭載型電気接続箱及び電気接続箱
JP2015019523A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