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956A - Composition for topical use based on ozonized oil - Google Patents

Composition for topical use based on ozonized o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956A
KR20140071956A KR1020137026347A KR20137026347A KR20140071956A KR 20140071956 A KR20140071956 A KR 20140071956A KR 1020137026347 A KR1020137026347 A KR 1020137026347A KR 20137026347 A KR20137026347 A KR 20137026347A KR 20140071956 A KR20140071956 A KR 20140071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osition
ozonated
prese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63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프리모 토르티니
알레시아 데 아센티스
Original Assignee
네오발리스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발리스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네오발리스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40071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95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61K31/23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궤양 및 창상의 재생 과정에서 및 염증성 상태의 해소에서 개선된 국소 활성을 갖는 위생처리용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유효량의 오존화 오일 및 유효량의 카모마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또한 미용 및 약제학적 분야에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기원 및 성질의 창상, 찰과상, 급성 또는 만성 궤양, 및 욕창과 같은 피부 병변의 소독 및 반흔화에 적용성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device for sanitary treatment having improved local activity during the regeneration of ulcers and wounds and in the resolution of inflammatory conditions. This composition comprises an effective amount of an ozonized oil and an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an effective amount of chamomile, and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its use in the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ield.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pplicability to disinfection and scarring of skin lesions such as wound and abrasion, acute or chronic ulcers, and pressure sores of various origins and properties.

Description

오존화 오일을 기본으로 하는 국소 사용을 위한 조성물{COMPOSITION FOR TOPICAL USE BASED ON OZONIZED OI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opical use based on ozonized oils,

본 발명은 오존화 오일을 기본으로 하는 국소 사용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mpositions for topical use based on ozonated oils.

특히, 본 발명은 국소 사용을 위한 오존화 오일을 포함하는, 궤양 및 창상의 재생과정을 개선시키는 국소 활성을 갖는 위생용 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nitary medical device having local activity for improving the regeneration process of ulcers and wounds, including ozonated oil for topical use.

일부의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오존화 오일을 기본으로 하는 조성물 및 약제학적 및/또는 미용 분야(cosmetic sector)에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some aspec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mpositions based on ozonated oils and their use in pharmaceutical and / or cosmetic sectors.

본 발명은 특히, 상피-조직 병소를 소독하고, 손상된 피부 및/또는 피하 구조의 생리학적 상태를 회복시키는데 적합한 것으로서, 오존화 오일 및 선택된 구성성분을 기본으로 하는 상승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synergistic compositions based on ozonated oils and selected ingredients suitable for disinfecting epithelial-tissue lesions and restoring the physiological state of damaged skin and / or subcutaneous structures.

피부는 인간 유기체에서 가장 광범하게 펼쳐진 조직이며, 외부 작용제에 대한 방어의 기능을 포함한 다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kin is the most widespread tissue in human organisms and is known to perform a number of functions, including the function of defense against external agonists.

인간 유기체의 피부는 열상, 외상, 찰과상, 피부 화상의 경우에서와 같은 외부 원인에 기인할 뿐만 아니라 말초 타입의 대사적 또는 허혈성 질환의 경우에서와 같은 내인성 원인에 기인하여 손상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산소 및 영양 성분의 공급의 감소가 있다. 이들 병리학적 상태는 궤양, 욕창 (sores) 및 창상의 형성 및 이들의 만성화를 초래한다.The skin of a human organism may be damaged not only due to external causes such as in the case of trauma, trauma, abrasions, skin burns, but also due to endogenous causes such as in the case of peripheral type metabolic or ischemic diseases, There is a decrease in the supply of oxygen and nutrients. These pathological conditions result in the formation of ulcers, sores and wounds and their chronicity.

일반적으로, 창상 또는 궤양화에 의해서 침범된 표피의 영역은 박테리아 감염의 발생을 위한 비옥한 지역을 구성한다. 실제로, 창상 및 욕창에서 박테리아 스트레인에 의한, 특히 슈도모나스 (Pseudomonas), β-용혈성 스트렙토코커스 (Streptococcus), 스타필로코커스 (Staphylococcus), 클렙시엘라 (Klebsiella) 및 그 밖의 다른 병원체의 콜로니화는 빈번하게 마주치게 된다.In general, the area of the epidermis invaded by wound or ulceration constitutes a fertile area for the development of bacterial infections. In fact, in wounds and pressure sores, in particular Pseudomonas (Pseudomonas), β- hemolytic Streptococcus (Streptococcus), Staphylococcus (Staphylococcus), keulrep when Ella (Klebsiella) and other colonization of other pathogens, bacterial strain are frequently I will meet you.

또한, 혐기성 미생물이 진피 및 피하 조직과 같은 표피 아래에 있는 조직 내에서 콜로니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이들 피하 감염뿐만 아니라 전신 감염을 야기할 위험을 포함하는 것은 종종, 표준 진단 수단을 사용하거나 욕창-분석 (sore-analysis) 프로토콜에 의해서 제공되는 미생물학적 조사에 의해서 검출하기 어렵다.It is also not uncommon for anaerobic microorganisms to form colonies in tissues beneath the epidermis, such as the dermis and subcutaneous tissue. Including these subcutaneous infections as well as the risk of causing systemic infection is often difficult to detect by microbiological studies using standard diagnostic tools or by sore-analysis protocols.

현재, 피부 궤양의 치료를 위한 통상적인 프로토콜은 기계적 또는 효소적 박리를 사용한 죽은 조직의 제거 및 소독제 및/또는 일반적으로 세포 성장인자를 함유하는 반흔화 (cicatrising) 제품의 적용을 제공한다. 대신으로, 적합한 세포주의 이식에 대한 의존의 가능성이 또한 있다.Currently, conventional protocols for the treatment of skin ulcers provide for the removal of dead tissue using mechanical or enzymatic exfoliation and the application of disinfectants and / or cicatrising products, which generally contain cell growth factors. Instead, there is also a possibility of dependence on transplantation of a suitable cell line.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경우에 창상 및 궤양을 치료하는 표준 프로토콜은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과학적 문헌은 대체 소독제 및 반흔화 치료의 존재를 입증한다. 예를 들어, 피부 궤양의 치료에서 오존화 오일의 사용이 공지되었다. 오존화 오일은 불포화 지방산을 산소의 3원자 형태인 오존 (O3)과 반응시킨 생성물이다.Nonetheless, in most cases it has been found that standard protocols for treating wounds and ulcers do not provide satisfactory results. For this reason, the scientific literature demonstrates the existence of alternative disinfectants and scarring treatments. For example, the use of ozonated oils in the treatment of skin ulcers has been known. Ozonated oils are products of the reac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s with ozone (O 3 ), a three-atom form of oxygen.

올레핀성 이중결합을 적절한 반응 조건 하에서 오존으로 포화시킴에 의한 오존화 오일의 제조는 문헌에 광범하게 입증되어 있다.The preparation of ozonated oils by saturating olefinic double bonds with ozone under suitable reaction conditions has been extensively documented in the literature.

예를 들어, 국제특허출원 공개 WO2006/021924호는 단쇄 지방산에 비해 장쇄 지방산의 고농도에 의해서 제공된 오존화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 및 피부 감염의 치료에 있어서의 그의 용도를 기술하고 있다.For example,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WO 2006/021924 describes a method for preparing ozonated oils provided by high concentrations of long chain fatty acids compared to short chain fatty acids, and its use in the treatment of skin infections.

미국 특허출원 공개 2009/1291122호는 생꿀 및 5 내지 50 중량%의 양의 오존화 식물유를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조성물을 기술하였다. 기술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슈도모나스에 대한 정균 활성을 가지며, 스프레이로 제제화될 수 있다.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9/1291122 describes compositions for treating wounds containing fresh honey and ozonated vegetable oil in an amount of 5 to 50% by weight. The described compositions have, for example, bacteriostatic activity against Pseudomonas and can be formulated as a spray.

미국 특허 5,183,911호는 안정한 오존화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U.S. Patent No. 5,183,911 describes a method for producing stable ozonated oils.

미국 특허출원 공개 2006/0074129호는 과산화물 지수 (PI, ㎏ 당 O2의 밀리-당량)로 표현하여 일반적으로 1000-1200 유니트 범위 내의 다양한 과산화도의 다양한 타입의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오존화 오일 및 식물성 지방을 생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오존으로 처리된 후에, 기술된 오일 및 지방은 살균, 살바이러스, 살기생충 및 살진균 특성을 획득하며, 그 자체로서 미용 및 약제학적 분야에서, 특히 안과학, 피부과학, 부인과학 및 위장병학에서 적용성이 있다.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0074129 discloses ozonated oils and vegetable oils containing various types of peroxides of various degrees of peroxidation, generally expressed in peroxide index (PI, milliequivalents of O 2 per kg), generally in the range of 1000-1200 units Describes how to produce fat. After being treated with ozone, the oils and fats described acquire sterilizing, viral, parasitic and fungicidal properties and, as such, are applied in the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ields, especially in ophthalmology, dermatology, gynecology and gastroenterology There is a castle.

미국 특허출원 공개 2005/0113441호는, 약제학적 부형제의 비히클 내에 비타민, Ω-3, Ω-6 위치에 이중결합을 갖는 지방산과 같은, 오존화된 것과 비슷한 특정한 천연 또는 합성 생성물과 오존화 오일의 조합물을 포함하며, 미용적 또는 약제학적 용도, 특히 피부과적 적용분야에서의 용도가 있는 조성물을 기술하였다.United State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5/0113441 discloses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ozonated oils and certain natural or synthetic products similar to ozonated, such as fatty acids having a double bond in the Ω-3, Ω-6 position, in the vehicle of the pharmaceutical excipient Compositions have been described which have utility in cosmetic or pharmaceutical applications, particularly dermatological applications.

유럽 특허 EP 2,149,598은 또한, 정맥염, 괴저, 혈전성 정맥염, 바이러스 원인에 의해서 한정되는 이차-타입을 포함한 피부 감염의 국소 치료, 및 또한 구강의 염증성-감염성 질환의 치료, 조직에 대한 재생작용의 효과에 의한 혈관조직재생의 촉진을 위한 살균성 의약 생성물로서의 적용성을 갖는 오존 유도체 또는 오존화물을 수득하기 위한 비히클 또는 기질을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를 기술하였다.European Patent EP 2,149,598 also discloses the use of topical treatment of skin infections, including secondary-types limited by phlebitis, necrosis, thrombotic phlebitis, viral causes, and also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infectious diseases of the mouth,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vehicle or a substrate for obtaining an ozone derivative or ozone having applicability as a bactericidal drug product for promoting vascular tissue regeneration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미국 특허출원 공개 2009/0291122호는 오일의 그램당 15 내지 53 ㎎의 오존인 오일 내의 가변적 오존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오존 가스에 의한 처리에 적용된 오일로서 오존화된 식물성 오일을 정의하였다.United State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9/0291122 defines ozonated vegetable oil as an oil applied to treatment with ozone gas until a variable ozone concentration in the oil of 15 to 53 mg of ozone per gram of oil is reached.

미국 특허출원 공개2009/02901122호는 조성물의 다른 구성성분에 관해서 5% 내지 50% (w/w) 범위 내의 농도로 오존화물을 함유하는 의학적 용도의 조성물을 기술하고 있다.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9/02901122 describes a composition for medical use containing ozone at a concentration in the range of 5% to 50% (w / w) with respect to the other constituents of the composition.

유럽 특허 1,626,767호는 감염된 창상을 소독 및 치료하는데 유용한 오존화 물의 스프레이를 제공하는데 적합한 장치를 기술하고 있으며, 그들의 재배열 및 변형의 "캐스케이드 (cascade)"에서 감염의 제거에서 유기체의 천연 기전을 공동-보조하고, 혐기성 박테리아 스트레인의 생존을 억제하는 상대적 산소 종 (rela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산 및 효능을 설명하였다.European patent 1,626,767 describes a device suitable for providing a spray of ozonated material useful for disinfection and treatment of infected wounds and describes the natural mechanism of the organism in the removal of the infection from the "cascade" - and the production and efficacy of relative oxygen species (ROS) that inhibit the survival of anaerobic bacterial strains.

의약에서의 오존화 오일의 사용이 어느 정도까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의학-과학 문헌은 주로 잠재적으로 독성인 유리 래디칼의 형성과 연결된, 그들의 사용과 연관된 다수의 심각한 단점을 마찬가지로 증명하였다.Despite the use of ozonated oils in medicine to some extent, the medical-scientific literature has similarly demonstrated a number of serious drawbacks associated with their use, linked to the formation of potentially toxic free radicals.

따라서, 오존화 오일의 작용 기전은 독성 래디칼의 형성을 감소시키는 시도에서 실험의 대상이 되었다.Thus, the mechanism of action of ozonated oils has been the subject of experiments in an attempt to reduce the formation of toxic radicals.

실제로, 문헌은 초기상에서 오존화 오일은 규정된 ROS (반응성 산소종)를 수득하며, 모듈식 방식으로 혈장 내에서 물과 접촉하는 오존화물 이온 래디칼이 활성 산소와 분자종을 생성시킨다고 증명하였다 [Halliwell B. Annu Rev Nutr 1996; 16:33-50].Indeed, the literature has shown that ozonated oils in the initial phase yield defined ROS (reactive oxygen species), and the ozone ion radicals in contact with water in a modular manner in plasma produce active oxygen and molecular species [Halliwell B. Annu Rev Nutr 1996; 16: 33-50].

이 초기상 (ROS)은 지질 과산화 (LOP)로 이어지며, 여기에서 1 몰의 오존화물 이온 래디칼 (또는 오존화물)은 2 몰의 알데히드와 1 몰의 과산화수소를 제공한다 [Pryor et al., Free Rad Biol Med 1995; 19:935-941, reported in Velio Bocci, Ozone a New Medical Drug, Springer, Dordrecht, The Netherlands, 2005, p. 20]. ROS 상에서는, 하이드록사이드 (OH-), 슈퍼옥사이드 (O2 -), 퍼옥시니트라이트 (O=NOO-)와 같은 잠재적으로 세포독성인 유리 래디칼이 생성되는 반면에, 활성 및 치료학적 효과에 책임이 있는 "오존 메신저 (messengers)"는 두 번째의 더 느린 상 (LOP)에서만 발생한다 [Velio Bocci, Ozone a New Medical Drug, Springer, Dordrecht, The Netherlands, 2005, p. 26]. 그러나, 현재 독성 래디칼의 형성을 개선시키는데 성공한 경우는 없었으며, 그 결과로 오존화 오일의 사용은 이러한 단점의 발생에 의해서 제한된다.This initial phase (ROS) leads to lipid peroxidation (LOP), where one mole of ozone ion radical (or ozone) provides two moles of aldehyde and one mole of hydrogen peroxide [Pryor et al., Free Rad Biol Med 1995; 19: 935-941, reported in Velio Bocci, Ozone a New Medical Drug, Springer, Dordrecht, The Netherlands, 2005, p. 20]. On the ROS, potentially cytotoxic free radicals such as hydroxide (OH - ), superoxide (O 2 - ), peroxynitrite (O = NOO - ) are produced while active and therapeutic effects Responsible "ozone messengers" only occur in the second slower phase (LOP) [Velio Bocci, Ozone a New Medical Drug, Springer, Dordrecht, The Netherlands, 2005, p. 26]. However, at present, there has been no success in improving the formation of toxic radicals, and as a result, the use of ozonated oils is limited by the occurrence of these disadvantages.

따라서, 선행기술을 고려하여 특히 만성적인 창상 및 궤양을 적절하게 소독하고, 그의 치유를 촉진시킬 수 있는 이용 가능한 내외과용 보호수단을 갖고자 하는 인지된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 반해서, 또한 현재 이용 가능한 것과 비교하여 개선된 안전성 프로필을 갖는 것으로서, 피부의 병변의 치료를 위해서 이용 가능한 오존화 오일의 인지된 필요성이 있다.There is therefore a perceived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prior art and to have available means of internal and external overcurrent protection, in particular for disinfecting chronic wounds and ulcers and facilitating their healing. In contrast to this background, there is also a perceived need for ozonated oils that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lesions of the skin, with an improved safety profile compared to that currently available.

특히, 일단 빈번하게 감염되는 피부 병변에 적용하면, 유기체에 해로운 유리 래디칼의 방출의 상당한 감소를 측정하고, 더 큰 항균 활성을 발현하는 이용 가능한 오존화 오일을 만들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once applied to frequently infected skin lesions,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measure significant reductions in the release of free radicals harmful to organisms and to make available ozonated oils that exhibit greater antimicrobial activity.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이제 본 출원인은 오존화 오일을 카모마일 (chamomile)로부터 추출된 정유와 조합함으로써 유리 래디칼의 감소된 형성과 동반하여 상승적인 살균 및 반흔화 효과가 수득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The Applicant has now found that by combining ozonated oils with essential oils extracted from chamomile, synergistic sterilization and scarring effects are obtained in association with the reduced formation of free radicals.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관점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오존화 오일의 유효량 및 카모마일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사용을 위한 조성물이 제공된다.Thus,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osition for topical u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ffective amount of at least one ozonized oil and an effective amount of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hamomile.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 가능한 정유는 통상적인 기술, 예를 들어, 이탈리아 약전에 보고된 것에 따라 카모마일 식물 (Matricaria chamomilla)의 꽃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Essential oils that can be us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racted from flowers of a plant of the order Chamomaria (Matricaria chamomilla) according to conventional techniques, for example, as reported in the Italian Pharmacopoeia.

예를 들어, 카모마일의 정유는 스팀 증류를 사용하여 식물의 두부 (head)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수득된 생성물은 전형적으로 점조성 (viscous consistency)의 청색 오일이다.For example, the essential oil of chamomile can be obtained from the head of a plant using steam distillation. The product obtained is typically a viscous consistency blue oil.

한가지 구체예에 따르면, 카모마일로부터 추출된 상기의 정유는 α-비사볼롤(α-bisabolol)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이것으로 구성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hamomile comprises or essentially consists of? -Bisabolol.

특히, 본 출원인은 또한 예상치 않게 오존화 오일과 알파-비사볼롤의 조합물이 오존화물 이온 래디칼의 방출의 ROS 상에서 오존화 오일에 대해서 통상적으로 관찰되는 유리 래디칼의 발생의 상당한 감소를 결정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In particular, Applicants have also unexpectedly discovered that the combination of ozonated oil and alpha-bisabolol determine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generation of free radicals normally observed for the ozonated oil on the ROS of the release of ozone ion radicals Respectively.

알파-비사볼롤은 222.37의 분자량을 가지며, (R)-6-메틸-2-((R)-4-메틸사이클로헥스-3-에닐)앱트-5-엔-2-올로 지정되는 실험식 C15H26O의 레보메놀 [23089-26-1]로도 불리는 천연 세스퀴테르펜 알콜이다.Alpha-bisabolol has a molecular weight of 222.37 and has the formula C 15 (R) -6-methyl-2 - ((R) -4-methylcyclohex- It is a natural sesquiterpene alcohol, also called levomenol [23089-26-1] of H 26 O.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제화에 사용된 오존화 오일은 오존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불포화 지방산, 예를 들어, 식물성 또는 동물성 지방 또는 오일에 존재하는 것과의 반응 또는 부가 생성물이다.Ozonated oils used in the formulation of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reaction or adducts of ozone with one or more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those present in vegetable or animal fats or oils.

일부의 구체예에서, 식물 기원의 오일이 오존화 오일을 수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적합한 식물성 오일의 예로는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혼합 종자유,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되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In some embodiments, an oil of plant origin is used to obtain an ozonized oil. Examples of suitable vegetable oil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olive oil, sunflower oil, corn oil, mixed seed oil, and mixtures thereof.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오존화 오일은 통상적인 절차 및 기술을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오존화 오일은 독일 특허 DE 12 55 660 (Gabelein)에 기술된 절차에 의해서, 또는 이 특허에 기술된 방법 중의 하나에 의해서 수득될 수 있다.Ozonated oils that can be us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using conventional procedures and techniques. For example, suitable ozonated oils can be obtained by the procedure described in German patent DE 12 55 660 (Gabelein) or by one of the methods described in this patent.

한가지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된 오존화 오일은 적어도 80%의 불포화 지방산 함량을 갖는 식물성 오일을 기본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zonated oils used in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ed on vegetable oils having an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at least 80%.

예로써,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용되는 오존화 오일은 올레산 및 리놀레산이 특히 풍부한 오일이다. 오존화에 적용된 이들 두 개의 지방산은 전형적으로 불포화의 적어도 60%의 과산화도까지 오존에 의한 부가를 제공할 수 있다.By way of example, ozonated oils us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ils rich in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These two fatty acids applied to ozonation can typically provide addition by ozone up to a degree of peroxidation of at least 60% of the unsaturation.

본 출원인은 국소 적용을 위한 조성물에서 오존화 오일과 α-비사볼롤의 조합이 다음과 같은 추가의 이점을 포함하는 것을 발견하였다:Applicants have found that the combination of ozonated oil and alpha -bispherulol in compositions for topical application comprises the following additional advantages:

- 이것은 무엇보다도 특히 슈도모나스, β-용혈성 스트렙토코커스, 스타필로코커스, 클렙시엘라 및 그 밖의 다른 병원체의 박테리아 스트레인에 대해서 항균 활성의 상승작용을 발현한다;This manifests a synergistic ac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mong other things, bacterial strains of Pseudomonas, β-hemolytic Streptococcus, Staphylococcus, Klebsiella and other pathogens;

- 이것은 오존화 오일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며, 혈장과의 그의 빠른 반응 (ROS)을 변조시키고, 그의 잠재적인 독성 효과를 저지한다;This prevents ozonated oil from degrading, modulates its rapid reaction with plasma (ROS) and inhibits its potential toxic effects;

- 이것은 저속상 LOP로부터 생산 및 유도된 "오존 메신저"인 생물분자의 항-염증 작용에 기인하여 창상 및 궤양의 치유 과정을 가속화시킨다;This accelerates the healing process of wounds and ulcers due to the anti-inflammatory action of biomolecules, "ozone messengers" produced and derived from low-level LOPs;

- 이것은 조성물의 관능적 품질, 그의 내성 (tolerability)을 유지시키며, 다른 알데히드와 함께 오존화물의 분해 생성물 중에 있는 알데히드 헥산알에 주로 기인하는 냄새의 출현을 지연시키는 결과적인 이점과 함께 오존화물의 자연적인 분해 과정을 느리게 한다.
This maintains the sensory qualities of the composition, its tolerability and, together with the resultant advantage of delaying the appearance of odors mainly due to aldehyde hexane in the decomposition products of the ozone with other aldehydes, Slow down the decomposition process.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카모마일로부터 추출된 정유, 특히 α-비사볼롤과 오존화 오일의 조합물이 손상된 표피에 대한 항균 및/또는 반흔화 작용의 상승작용을 결정한다는 발견으로부터 유래한다.The invention derives from the discovery that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hamomile,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of o-bisabolol and ozonated oil, determines the synergistic action of the antibacterial and / or scarring action on the damaged skin.

본 발명의 특정한 구체예는 종속 청구항 2-14에 보고되어 있다.Certain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reported in dependent claims 2-14.

실제로, α-비사볼롤과 오존화 오일의 조합이 특히 창상에서 가장 통상적으로 발견되는 박테리아 스트레인, 예를 들어,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 (Pseudomonas aeruginosa), 클렙시엘라 뉴모니에 (Klebsiella pneumoniae),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에 (Streptococcus agalactiae)에 대해서 나타나는 오존화 오일의 항균 활성의 강화를 결정짓는 것으로 관찰되었다.Indeed, the combination of alpha -bispherulol and ozonated oils is a particularly common bacterial strain found in the wound, for example, Pseudomonas aeruginosa , Klebsiella pneumoniae , and Streptococcus agalactiae , which have been shown to enhanc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ozonated oils.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 관점에서는 카모마일로부터 추출된 정유의 유효량과 함께 오존화 오일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국소 사용을 위한 조성물이 제공된다.Thus, in a gener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osition for topical use comprising an effective amount of an ozonized oil in combination with an effective amount of an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hamomile.

한가지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오존화 오일은 해바라기유의 오존화에 의해서 수득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zonated oil present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by ozonation of sunflower oil.

한가지 구체예에 따르면, 카모마일로부터 추출된 상기의 정유 또는 알파-비사볼롤은 상기 오존화 오일에 대해서 1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의 범위 내의 양으로 존재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ssential oil or alpha-bisabolol extracted from chamomile is present in an amount ranging from 1 to 20%, preferably from 5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ozonated oil.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오존화 오일은 이중결합의 60%까지의 과산화도를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ozonated oil present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egree of peroxidation of up to 60% of the double bond.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오존화 오일은 3400 내지 4600의 범위 내의 과산화물 지수 (PI)를 갖는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ozonated oi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eroxide index (PI) in the range of 3400 to 4600.

일부의 구체예에서, 오일 오존화는 밀폐된 반응기 내에서 특정한 작동 조건 하에서 수행된다. O3와의 상기 반응 중에, 과산화된 오일의 과산화물 지수와 반응 매질의 밀도 사이에서는 선형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상기의 선형 상관관계는 반응 그 자체를 제어하는데 매우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In some embodiments, the oil ozonation is carried out under specific operating conditions in a closed reactor. During this reaction with O 3 , a linea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eroxide index of the peroxidized oil and the density of the reaction medium. The above linear correlation has proven to be very useful in controlling the reaction itself.

본 발명의 일부의 구체예에서, 오존화 오일은 식물성 오일의 오존화로부터, 또는 다양한 타입의 오일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한가지 제제는 그의 특징이 해바라기유 출발물질의 특징과 함께 이하의 표 I에 열거된 오존화 해바라기유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 ozonated oil is derived from the ozonation of vegetable oils, or from a mixture of various types of oils. For example, one formulation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ozonated sunflower oil listed in Table I below,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nflower oil starting material.

[표 1] 약 4000의 과산화물 지수 (PI)를 갖는 오존화 오일 및 그의 전구체 해바라기유의 특징Table 1 Ozonated oils with a peroxide index (PI) of about 4000 and their precursors Characteristics of sunflower oil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PI = 과산화물 지수
PI = peroxide index

해바라기유 및 그의 오존화 유도체의 1H-NMR 스펙트럼으로부터, 혼합물 내의 다양한 과산화 레벨의 백분율 및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From the 1 H-NMR spectrum of the sunflower oil and its ozonated derivatives, the percentage and structure of various levels of peroxidation in the mixture can be confirmed.

한가지 구체예에 따르면, 조성물의 오존화 오일은 생성물의 ㎏당 96 g의 O3 (오존화물 이온 래디칼의 기능으로), 및 64 g의 O2 (과산화물 기능으로)에 해당하는 약 4000의 과산화물 지수 (PI)를 갖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zonated oil of the composition has a peroxide index of about 4000 corresponding to 96 g of O 3 per kg of product (as a function of ozone ion radical) and 64 g of O 2 (with peroxide function) (PI).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α-비사볼롤 및 오존화 오일은 특정한 정량적 비로 존재할 수 있다. 한가지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α-비사볼롤 및 오존화 오일을 1:5 내지 1:20의 비로 포함한다. 한가지 구체예는 1:5 내지 1:10의 α-비사볼롤 및 오존화 오일 비를 제공한다.In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lpha -bispherulol and ozonated oils may be present at specific quantitative ratio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bisabolol and ozonated oil in a ratio of 1: 5 to 1:20. One embodiment provides a 1: 5 to 1:10 a-bisabolol and an ozonated oil ratio.

한가지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α-비사볼롤 및 오존화 오일을 각각 1 내지 10 부의 비로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lpha-bisabolol and ozonated oils in proportions of 1 to 10 parts each.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인간 및 수의과적 용도를 위한 국소 적용에, 특히 약제학적 또는 미용 분야에서 적합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첨가제 및/또는 비히클 및/또는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ypically contain one or more additives and / or vehicles and / or excipients which are suitable for topical application for human and veterinary use, in particular in the pharmaceutical or cosmetic field.

한가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연화제 (emollients), 진정제 (soothers), 보습제 (humectants), pH 조절제, 안정화제, 항미생물제, 보호성 피부를 생성시키는 물질, 및 다양한 성질의 하나 또는 그 이상 활성 성분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as emollients, soothers, humectants, pH adjusting agents, stabilizers, antimicrobial agents, protective skin forming agents, and one or more of a variety of properties And may contain one or more substances selected from active ingredients.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서 어떤 형태 (염, 에스테르, 하이드록사이드 등)의 것이든 아연, 마그네슘, 셀레늄, 망간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 마이크로-원소 또는 미량 원소를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서 예를 들어, 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변화할 수 있는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one or more micro-elements or trace elements, such as zinc, magnesium, selenium, manganese, of any form (salt, ester, For example, from 0.001% by weight to 10% by weight with respect to the weight.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조성물은 예를 들어, 그룹 A, B, C, E, F의 비타민과 같은 비타민 및/또는 그들의 유도체 및/또는 전구체를 예를 들어, 0.001 내지 25 중량%로 변화할 수 있는 농도로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mposition comprises, for example, 0.001 to 25% by weight of vitamins such as vitamins of group A, B, C, E, F and / or their derivatives and / Can be included in the concentration.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0.001 내지 10%로 변화하는 양으로 창상, 궤양, 피부 욕창의 반흔화 과정에서 역할을 하는 물질, 예를 들어, 시스테인, 아르기닌, 글리신과 같은 아미노산 및 그의 유도체; 예를 들어, 0.001 내지 30 중량%로 변화할 수 있는 양으로 타입 Ω-3 및/또는 Ω-6의 산, 리놀레산 또는 리놀렌산과 같은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n amount varying from 0.001 to 10%, for example, a substance that plays a role in scarring of the wound, ulcer and skin pressure ulcer, for example, cysteine, arginine, glycine And derivatives thereof; For example, an acid, linoleic acid or linolenic acid of the type? -3 and / or? -6 in an amount that can vary from 0.001 to 30% by weight.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퍼플루오로카본, 예를 들어, 폼볼린 (Fombolin®)과 같이 피부 상에 보호성 커버링 (protective coverings)을 형성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물질을 0.001 내지 10 중량%로 변화하는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substances which form protective coversings on the skin, such as perfluorocarbons, for example, Fombolin (R) In an amount varying from 0.001 to 10% by weight.

본 발명의 한가지 구체예에 따르면, 조성물의 두 가지 구성성분인 오존화 오일 및 알파-비사볼롤은 제제의 총 중량에 대해서 10% 내지 90%의 양으로 존재하며, 100%를 채우는 나머지는 예를 들어, 전술한 타입의 부형제 또는 그 밖의 다른 물질로 구성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components of the composition, ozonated oil and alpha-bisabolol, are present in an amount of 10% to 90%,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ormulation, For example, excipients of the type described above or other materials.

일부의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액체 또는 반-액체 형태, 예를 들어, 치료가 필요한 피부 구역에 적용될 수 있는 겔 또는 용액으로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조성물은 스프레이 형태로 제공된다.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체 형태로, 예를 들어, 페이스트, 포마드 또는 크림으로 제공된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in a liquid or semi-liquid form suitable for topical application, for example, a gel or solution that can be applied to a skin area requiring trea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mposi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pra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solid form, for example, as a paste, a pomade or a cream.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활성 성분의 경피 또는 피부 방출에 적합한 장치의 형태로, 예를 들어, 경피용 패치의 형태로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device suitable for transdermal or dermal release of the active ingredient,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transdermal patch.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용 및 약제학적 분야 둘 다에서 적용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표피 조직에 대한 손상이 일어나고, 피부의 구조 및/또는 손상된 피하 구조의 생리학적 상태를 회복시키기 위한 위생 처리 (sanitising treatment)가 필요한 모든 경우에 적용성이 있다.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cable in both cosmetic and pharmaceutical fields. In general,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in all cases where damage to epidermal tissue occurs and sanitizing treatment is required to restore the structure of the skin and / or the physiological condition of the damaged subcutaneous structure.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르면, 조성물의 미용적 용도가 제공되는데, 이 조성물은 오존화 오일, 미용적으로 유익한 양으로의 α-비사볼롤, 및 피부의 재생에 미용적으로 유리한 비히클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smetic us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ozonated oil, a-bisabolol in a cosmetically beneficial amount, and a cosmetically beneficial vehicle for skin regeneration.

특정의 구체예에서, 미용적 용도의 조성물은 미용 제제의 제제화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히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한다.In certain embodiments, compositions for cosmetic use include one or more vehicles or excipients conventionally used in the formulation of cosmetic preparations.

특정의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를 들어, 주름 잡힘 (puckering), 특히 피부의 노화에 의한 피부 잡티 형성, 백반, 주름, 임신선 또는 지방과다와 같은 피부의 비-심미적 특징의 미용적 치료를 위해서 사용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as, for example, puckering, especially as a cosmetic of non-aesthetic features of the skin, such as skin discolorations due to aging of the skin, It is used for treatment.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피부 병변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학적으로 유리한 양의 오존화 오일 및 α-비사볼롤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mprising a pharmaceutically beneficial amount of ozonated oil and alpha -bispherulol for use in the treatment of skin lesions.

용어 피부 병변은 표피가 더 이상 온전하지 않거나, 찢어지거나 절단되거나, 단지 표재성이라 하더라도 단순히 표피의 찰과상이 존재할 수 있는 표피의 모든 병변을 의미하기 위해서 사용된다.The term skin lesion is used to mean all lesions of the epidermis where the epidermis is no longer intact, torn or cut, or even merely superficial, where there may simply be abrasions of the epidermis.

표피의 병변은 예를 들어, 창상, 피부 욕창, 욕창, 궤양 및 궤양화, 찰과상, 화상이다.Lesions of the epidermis are, for example, wounds, skin bedsore, bedsores, ulcers and ulcers, abrasions, burns.

한가지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창상, 궤양 또는 피부 욕창의 소독 및/또는 반흔화에 적용성이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disinfection and / or scarring of wound, ulcer or skin bedsore.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창상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부하를 감소시키거나, 어쨋든 변화시키지 않고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한 경우, 및 창상의 재생 및 치유의 자연적 과정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한 특정의 경우에 적용성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for the treatment and / or prophylaxis of the wound healing process when it is necessary to reduce or otherwise maintain the bacterial load present on the wound, It is applicable in case of.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욕창 및/또는 궤양에 의해서 침범된 피부의 위생처리 및 재생에 적용성이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욕창성 궤양, 감염된 궤양, 만성 궤양의 치료에 적용성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the sanitization and regeneration of skin invaded by bedsore and / or ulcer. For example,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cable to the treatment of bedsore ulcers, infected ulcers, and chronic ulcers.

더구나,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O2의 당량/오일의 ㎏으로 표현된 과산화물 지수 PI 또는 오존화 반응 중에 오일에 의해서 흡수된 오존의 양과 반응물 (reaction mass)의 밀도 사이에서 직접적인 선형 상관관계의 존재를 발견하였다.Moreover, Applicants have surprisingly found the presence of a direct linear correlation between the peroxide index PI expressed as O 2 equivalents / kg of oil / kg, or the amount of ozone absorbed by the oil during the ozonation reaction and the density of the reaction mass Respectively.

이 상관관계의 존재는 유리하게는 분석용 샘플 채취를 수행하기 위해서 반응을 중단시킴이 없이, 바람직한 오존화물 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오존화 반응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주행되도록 허용한다.The presence of this correlation advantageously allows the ozonation reaction to run substantially continuously until the desired ozonation concentration is reached, without stopping the reaction to perform an analytical sample collection.

따라서, 한가지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g/ℓ로 표현된 반응 혼합물의 밀도를 측정함으로써 오존화 오일의 과산화물 지수 PI (오일의 ㎏당 O2의 밀리-당량)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확대된다.Thus,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o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peroxide index PI (milli-equivalent of O 2 per kg of oil) of ozonated oil by measuring the density of the reaction mixture expressed in g / l.

이 분석 방법은 일반적으로 단지 본 발명의 오존화 방법에서 달성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낮은 오존화물 이온 래디칼 농도까지만 신뢰할 수 있는 반응을 수득하는 약전에 보고된 방법에 대한 대체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This analytical method can generally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the method reported in the Pharmacopoeia to obtain a reliable reaction only to a lower ozone cargo ion radical concentration than can be achieved in the ozo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한가지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오존화 오일은 이것이 유도되는 식물성 오일, 예를 들어, 해바라기유에 비해 오일의 킬로그램당 7000 m-당량 이상의 O2, 전형적으로는 오일의 킬로그램당 약 5500 m-당량까지의 O2, 유리하게는 오일의 킬로그램당 4000 m-당량까지의 O2의 평균 산소 증가를 겪는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zonated oi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getable oil from which it is derived, for example, O 2 at 7000 m-equivalent or more per kilogram of oil compared to sunflower oil, typically at about 5500 m-equivalent per kilogram of oil O 2, advantageously undergoes a mean increase of the oxygen O 2 in the kilogram to 4000 equivalents per m- of the oil to the.

본 발명의 다수의 관점은 또한 과산화물 지수 (PI)와 오존화 혼합물의 밀도 (d) 사이에 존재하는 선형 상관관계를 예시하는 부착된 도 1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기술된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의 그래프는 Y-축 상에서 오일의 킬로그램당 O2의 당량으로 표현된 과산화물 지수 값을 나타내고, X-축 상에서 g/㎖로 표현되는 오존화 반응 중의 혼합물의 밀도에 대한 값을 나타낸다. 이 그래프는 두 개의 값 사이의 직접적인 선형 상관관계의 존재를 입증한다.
Many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so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attached Figure 1 which illustrates the linear correlation present between the peroxide index (PI) and the density (d) of the ozonated mixture.
Specifically, the graph in FIG. 1 represents the peroxide index value expressed in terms of O 2 equivalents per kilogram of oil on the Y-axis, and the value for the density of the mixture during the ozonation reaction expressed in g / ml on the X- . This graph demonstrates the existence of a direct linear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lues.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 목적으로 제공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하는 이하의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이하에 기술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by way of example only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which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실시예Example 1 One

표 1에 나타낸 오존화 오일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oducing an ozonized oil as shown in Table 1.

순수한 의료-등급의 산소를 적합한 30-L 발생기에 140 L/h의 유속으로 공급하고; 6000 볼트의 전하를 발생기에 적용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90 ㎎/L의 O3의 농도에 도달하는 오존이 형성된다. 오존은 이제 해바라기유를 함유하는 적합한 반응기 내에서 거품을 일으킨다. 흡수된 오존의 양은 통상적인 적정, 및 반응 혼합물의 밀도 측정 둘 다에 의해서 모니터링한다. g/L로 표현되는 반응 매질의 밀도와 O2의 당량/㎏으로 표현되는 측정된 과산화물 지수 (PI) 사이에 존재하는 선형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이 상관관계는 반응의 과정의 직접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제어의 수단을 나타낸다. 오존화 오일의 산업적 생산 방법에서 적용된 상관관계 예는 도 1에 나타낸다.
Supplying pure medical-grade oxygen to a suitable 30-L generator at a flow rate of 140 L / h; An electric charge of 6000 volts is applied to the generator and ozone is formed in this manner to reach an O 3 concentration of 90 mg / L. Ozone now bubbles in a suitable reactor containing sunflower oil. The amount of ozone absorbed is monitored by both conventional titration and by measuring the density of the reaction mixture. A linea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density of the reaction medium expressed in g / L and the measured peroxide index (PI) expressed in equivalents of O 2 / kg. This correlation represents a direct and reliable means of control of the process of the reaction. An example of the correlation applied in the industrial production method of ozonized oil is shown in Fig.

실시예Example 2 2

둘 다 피부 궤양을 치료할 목적의 스프레이 오일로 제제화된, 오존화 오일 및 알파-비사볼롤을 함유하는 조성물 2a), 및 유일한 활성 물질로서 오존화 오일을 함유하는 제제 2b)를 비교하는 실험.Experiments comparing compositions 2a) containing ozone oil and alpha-bisabolol, both formulated as a spray oil for the treatment of skin ulcers, and formulation 2b containing ozonated oils as the sole active substance.

2a) 적합한 반응기를 67 부의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30 부의 오존화 오일로 충진시킨다. 적합한 혼합 후에, 3 부의 α-비사볼롤을 첨가한다.2a) A suitable reactor is filled with 67 parts of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 and 30 parts of ozonated oil. After proper mixing, 3 parts of? -Bisaborolol are added.

균질한 혼합물의 과산화물 지수 (PI)의 분석을 수행한다.An analysis of the Peroxide Index (PI) of the homogeneous mixture is performed.

2b) 상기 2a와 유사한 제조를 70 부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30 부의 오존화 오일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α-비사볼롤 성분은 이 제조로부터 제외시켰다.2b) A preparation similar to 2a above is carried out using 70 parts of triglyceride and 30 parts of ozonated oil. The? -bisbolol component was excluded from this preparation.

제제 2a 및 2b를 평균 직경이 약 2 ㎝인 피부 궤양의 치료에서 비교하였다. 15일 후에, 제제 2a로 치료한 궤양은 제제 2b로 치료한 궤양으로 구성된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당히 더 작은 크기를 갖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제제 2a에 의해서 교대로 및 연속적으로 (교차(crossover)) 치료된 환자는 이들이 더 큰 내성, 증가된 민감성의 조기 감각 및 감소된 소양증 및 작열감으로 인하여 제제 2b에 의한 치료의 경우에 비해서 더 큰 이득을 얻었다고 말하였다.
Agents 2a and 2b were compared in the treatment of skin ulcers with an average diameter of about 2 cm. After 15 days, the ulcer treated with formulation 2a proved to be significantly smaller in size compared to the control consisting of ulcer treated with formulation 2b. In addition, patients who were treated alternately and continuously (crossover) with formulation 2a were more likely to have a greater likelihood of having more resistance, premature sensation of increased sensitivity, and reduced pruritus and burning sensation, He said that he had gained a great advantage.

실시예Example 3 3

피부 발적 (skin redness)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에멀션 형태의 오존화 오일 및 알파-비사볼롤을 기본으로 하는 조성물의 제조의 설명, 및 알파-비사볼롤이 없이 오존화 오일을 갖는 제제와의 비교 효능 시험.Description of the preparation of a composition based on ozone oil and alpha-bisabolol, in the form of an emulsion, for the treatment of skin redness, and comparative efficacy with an ozonated oil-free formulation without alpha-bisabolol exam.

3a) 65.38 부의 물을 용해 용기 (smelting vessel) 내에 배치하고, 80℃로 가열하였다. 동시에, 터보유화기 (turboemulsifier)를 폴리에틸렌 글리콜(들) (PEG)로 에스테르화된 6 부의 C12-20 지방산, 2.5 부의 C13-C15 알칸, 3 부의 다양하게 수소화된 알켄, 1.5 부의 세틸 알콜, 2 부의 카프릴/카프르산 트리글리세라이드, 8 부의 다른 유화제 및 통상적인 농조화제 (thickeners)로 충진한다. 전체를 교반하면서 80℃로 가열하고, 이전에 별도로 가열한 물을 유화기에 옮긴다. 균질하며 일관된 매스 (mass)가 수득될 때까지 매스를 유화시킨다. 이것을 40℃로 냉각시키고, 아로마 (aromas)와 방향제 (fragrances)를 첨가하고, 온도가 계속해서 떨어지는 동안에 교반을 계속한다. 10 부의 오존화 오일 및 1 부의 α-비사볼롤을 별도의 혼합기 내에 배치하고, 혼합시킨다. 그 후, 이 혼합물을 터보유화기에 옮기고, 여기에서 균질하며 일정한 에멀션이 수득하고, 그의 pH를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가능한 첨가에 의해 특정한 값으로 조절한다. 과산화물 지수 (PI)를 포함한 모든 명세는 최종 생성물에서 확인된다.3a) 65.38 parts of water were placed in a smelting vessel and heated to 80 ° C. At the same time, the turboemulsifier was mixed with 6 parts of C12-20 fatty acid esterified with polyethylene glycol (s) (PEG), 2.5 parts of C13-C15 alkane, 3 parts of variously hydrogenated alkenes, 1.5 parts of cetyl alcohol, Caprylic / capric triglyceride, 8 parts of other emulsifiers and conventional thickeners. The whole is heated to 80 DEG C with stirring, and previously heated water is transferred to the emulsifier. The mass is emulsified until a homogeneous and consistent mass is obtained. Cool it to 40 ° C, add aromas and fragrances, and continue stirring while the temperature continues to fall. 10 parts of ozonized oil and 1 part of? -Bisabolol are placed in a separate mixer and mixed. The mixture is then transferred to a turbo-emulsifier, where a homogeneous and uniform emulsion is obtained and its pH is adjusted to the specified value by possible addition of sodium hydroxide solution. All specifications including peroxide index (PI) are identified in the final product.

3b) 제조는 α-비사볼롤의 첨가가 없이 실시예 3a에서와 같이 수행된다.3b) The preparation is carried out as in Example 3a without the addition of alpha -bispherulol.

제제 3a는 α-비사볼롤의 존재로 인하여 3b보다 더 크고 더 빠른 항소양 및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Formulation 3a showed a larger and faster antioxidant activity and greater anti-inflammatory activity than 3b due to the presence of alpha -bispherulol.

실시예Example 4 4

오존화 오일 단독의 효능과 비교하여 조합물의 증가된 항균 활성의 입증.Demonstration of increase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combination as compared to the efficacy of ozonated oil alone.

비교는 스트레인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 (ATCC 27853), 클렙시엘라 뉴모니에 (ATCC 27736) 및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에 (ATCC 12368)에 대한Comparisons were made for strains Pseudomonas aeruginosa (ATCC 27853), Klebsiella pneumoniae (ATCC 27736) and Streptococcus agalactiae (ATCC 12368)

a) 9 부의 표 1에 나타낸 타입의 오존화 오일 및 1 부의 α-비사볼롤을 함유하는 제제와 a) 9 parts of an ozonated oil of the type shown in table 1 and 1 part of an < RTI ID = 0.0 > a-

b) 다시 표 1에 나타낸 타입의 오존화 오일의 살균 활성 사이에서 이루어졌다.b) again on the sterilizing activity of the ozonated oil of the type shown in Table 1.

통상적인 배양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한천 내의 확산 및 또한 시험관 내의 계열 희석과 같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을 적용한다. 비교는 동일한 실험 조건 하에서, 표 1에 나타낸 구성성분 오존화 오일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이하의 표는 미생물 접종물의 초기 농도 및 항균제에 대한 노출 기간에 콜로니-형성 단위 (cfu)의 수에서의 감소 백분율을 나타낸다.Conventional culture media were used and methods well known in the art such as diffusion in agar and serial dilution in vitro also apply. The comparison was made with the constituent ozonized oils shown in Table 1 under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The following table shows the percent reduction in the number of colony-forming units (cfu) at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the microbial inoculum and the duration of exposure to the antimicrobial agent.

병원성 유기체의 비교를 위한 생성물의 살균 또는 정균능의 평가는 시험관내 선형 회귀방법을 적용하고, 미생물의 생존율에 있어서의 감소 % (R%)를 계산함으로써 수행하였다. R%는 최종 및 초기 미생물 수의 비를 100으로 곱한 것으로 정의된다. 미생물 분석은 University of Ferrara Department of Diagnostic and Experimental Medicine에서 수행하였다.Evaluation of bactericidal or bactericidal activity of the product for comparison of pathogenic organisms was performed by applying in vitro linear regression method and calculating the% reduction (R%) in the survival rate of the microorganisms. R% is defined as the ratio of final and initial number of microorganisms multiplied by 100. Microbiological analyzes were performed at the University of Ferrara Department of Diagnostic and Experimental Medicine.

[표 2a] 조성: 1:9의 비의 α-비사볼롤 : 오존화 오일[Table 2a] Composition: α-Bisabolol in a ratio of 1: 9: ozonated oil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표 2b] 100% 오존화 오일[Table 2b] 100% ozonized oil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결과로부터, 1 부 α-비사볼롤 - 9 부 오존화 오일의 조성물은 사용된 미생물, 즉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에, 클렙시엘라 뉴모니에 및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의 비교에서 오존화 오일 단독인 경우에 비해 더 증진된 살균 활성을 나타내었음이 드러났다.
From th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ion of 1 part alpha -bisabolol-9 part ozonated oil is comparable to that of the microorganism used, i. E., Streptococcus agalactiae, Klebsiella nymonyi and Pseudomonas aeruginosa,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실시예Example 5 5

실시예 4에 기술된 기술 및 방법을 사용하여, 1:15의 비의 α-비사볼롤 및 오존화 오일 (표 1)의 상승적 효과를 상기 나타낸 스트레인에 대한 항균 활성에 관해서 평가하였다. 표 3은 1:15의 비의 α-비사볼롤 : 오존화 오일 조성물의 효과로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24 시간까지의 접종물 농도의 생존 백분율을 나타낸다.Using the techniques and methods described in Example 4, the synergistic effects of a 1: 15 ratio of a-bisabolol and ozonated oil (Table 1) were evaluated for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strain indicated above. Table 3 shows the survival percentage of the inoculum concentration up to 24 hours over time as an effect of the o-bisonolol: ozonized oil composition at a ratio of 1:15.

[표 3][Table 3]

조성물 1:15 α-비사볼롤 : 오존화 오일 (PI 4000)의 접종물의 농도의 생존 백분율Composition 1: 15 a-Bisabolol: Percent survival of inoculum concentration of ozonated oil (PI 4000)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표 2b (실시예 4)와의 비교는 1:15 비의 α-비사볼롤 : 오존화 오일 4000에서 조차도 4 시간째로부터 정도로 빠르게 스트레인의 생존의 현저한 저하가 있음을 나타내었다.Comparison with Table 2b (Example 4)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survival of the strain as rapidly as 4 hours, even at a 1:15 ratio of? -Bisabolol: ozonated oil 4000.

Claims (14)

유효량의 오존화 오일 및 유효량의 카모마일로부터 추출된 정유를 포함하는 국소 사용을 위한 조성물.A composition for topical use comprising an effective amount of an ozonated oil and an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an effective amount of chamomile. 제1항에 있어서, 카모마일로부터 추출된 상기의 정유가 α-비사볼롤을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α-비사볼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3. 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hamomile comprises alpha -bispherulol or consists essentially of alpha -bispherulo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오존화 오일이 식물성 오일이고, 바람직하게는 해바라기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said ozonated oil is a vegetable oil, preferably a sunflower oil.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카모마일로부터 추출된 상기의 정유 또는 α-비사볼롤이 오존화 오일에 대해서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고, 상기 오존화 오일이 조성물 또는 의료 장치 내에 5 내지 50 중량%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4. The oi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essential oil or a-bisabolol extracted from chamomile is present in an amount ranging from 1 to 20% by weight, preferably from 5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ozonated oil And wherein the ozonated oil is present in the composition or medical device in an amount of from 5 to 50% by weight.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오존화 오일이 이중결합의 60%까지의 과산화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5.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the ozonized oil has a degree of peroxidation of up to 60% of the double bonds.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오존화 오일이 그의 이중결합의 60%까지 과산화된 14 내지 39 중량%의 올레산, 및 40%까지는 단일-오존화물로 과산화되고 20%까지는 이중-오존화물로 과산화된 47 내지 74%의 리놀레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The proces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ozonated oil is peroxidized to 14% to 39% by weight of peroxidized up to 60% of its double bonds and up to 40% is peroxidized to single-ozone and up to 2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47 to 74% linoleic acid peroxidized with ozone.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오존화 오일이 3400 내지 4600 범위의 과산화물 지수 (PI)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7.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characterized in that the ozonized oil has a peroxide index (PI) in the range of 3400 to 4600.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오존화 오일의 생산이 밀도와 과산화물 지수 사이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적용함으로써 반응 매질 내의 밀도에 의해서 제어되는 조성물.8.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production of the ozonized oil is controlled by the density in the reaction medium by applying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density and the peroxide index.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약제학적으로 또는 미용적으로 유리한 부형제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에멀션, 겔 또는 스프레이 용액으로부터 선택된 국소 적용에 적합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9.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pharmaceutically or cosmetically advantageous excipient, preferably a form suitable for topical application selected from emulsions, gels or spray solutions Composition. 피부를 미용적으로 치료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르는 조성물의 용도.Use of a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in the cosmetic treatment of skin. 피부의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르는 조성물.10. A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for use in the treatment of diseases of the ski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의 피부 질환이 창상, 욕창, 궤양, 화상, 일광 화상 (sunburns) 또는 찰과상인 사용을 위한 조성물.12. The composition of claim 11, wherein the skin disease is wound, pressure sores, ulcers, burns, sunburns or abrasions. 제12항에 있어서, 피부의 질환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생물에 의해 감염된 창상인 사용을 위한 조성물.13. The composition of claim 12, wherein the disease of the skin is wounded by one or more microorganism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이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에, 클렙시엘라 뉴모니에 또는 슈도모나스 에루기노사인 조성물.14. The composition of claim 13, wherein the microorganism is Streptococcus agalactiae, Klebsiella annumi or Pseudomonas eruginosine.
KR1020137026347A 2011-03-07 2012-03-07 Composition for topical use based on ozonized oil KR2014007195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2011A000354 2011-03-07
IT000354A ITMI20110354A1 (en) 2011-03-07 2011-03-07 COMPOSITION BASED ON OZONIZED OIL FOR TOPICAL USE
PCT/IB2012/051057 WO2012120454A1 (en) 2011-03-07 2012-03-07 Composition for topical use based on ozonized o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956A true KR20140071956A (en) 2014-06-12

Family

ID=4397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6347A KR20140071956A (en) 2011-03-07 2012-03-07 Composition for topical use based on ozonized oil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683356A1 (en)
KR (1) KR20140071956A (en)
BR (1) BR112013022891A2 (en)
IT (1) ITMI20110354A1 (en)
MA (1) MA35021B1 (en)
MX (1) MX2013010275A (en)
WO (1) WO201212045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3181B2 (en) * 2013-07-26 2016-08-02 Paul O'Malley Oral care product formulation
EP3139738B1 (en) * 2014-05-07 2019-11-27 Multiossigen S.P.A. Product for activating defence mechanisms in plants
US20170182204A1 (en) * 2014-09-02 2017-06-29 Deniz TANYOLAC A bioactive tissue repairing layer
ITUB20155024A1 (en) * 2015-11-24 2017-05-24 Dario Apuzzo New nutraceutical composition, which can be administered orally,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and painful states of the upper airway.
IT201600111171A1 (en) * 2016-11-04 2018-05-04 Uras Cosmetics S R L S KIT FOR SKIN TREATMENT AND ITS USE
TR201804452A2 (en) * 2018-03-29 2018-06-21 Ahmet Uemit Sabanci OZONEED OIL CONTAINING SOLUTIONS
IT201800009621A1 (en) * 2018-10-19 2020-04-19 Roberto Soldati Ozonated phytotherapeutic composition for tissue and bone regeneration
IT201800009679A1 (en) * 2018-10-22 2020-04-22 Giorgio Mezzoli METHOD FOR CHANGING THE ODOR OF OZONIZED OIL
EP3949980A1 (en) * 2020-08-04 2022-02-09 Vassiliki Griva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containing ozonated oils and natural antioxidant agent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55660B (en) 1964-06-08 1967-12-07 Dr Klaus Gaebelei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cetal peroxides containing glycol ether groups
US5183911A (en) 1986-03-01 1993-02-02 Dr. J. Hansler Gmb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table ozonized oils from unsaturated vegetable oils
RU2008898C1 (en) * 1992-08-26 1994-03-15 Геннадий Иванович Суколин Method for treatment of fungus disease or virus disease of skin and/or nail plate
FR2784388B1 (en) * 1998-10-07 2003-06-27 Bernard Sonnois OZONIZED OIL OBTAINED BY PURE OXYGEN GENERATOR - OAT SATURATED OZONE
ES2162586B1 (en) 1999-11-25 2002-07-01 Moraleda Manuel Gomez COMPOSITION THAT INCLUDES OZONIZED OILS AND / OR OTHER NATURAL AND / OR SYNTHETIC SYNTHETIC PRODUCTS, AND ITS USE IN PHARMACEUTICAL, COSMETIC, DIETETIC OR FOOD SUPPLEMENT COMPOSITIONS, IN HUMAN AND VETERINARY FIELDS
CU23467A1 (en) * 2002-04-08 2009-12-17 Cnic Ct Nac Investigaciones PROCEDURE FOR OBTAINING OZONIZED VEGETABLE OILS AND FATS FOR PHARMACEUTICAL AND COSMETOLOGICAL PURPOSES
ECSP034481A (en) * 2003-02-14 2004-09-28 Jacome Neptali Rene Cristobal Ordonez PRODUCTION PROCESS OF OZONE STABLE CREAM FROM INSATURED VEGETABLE OILS AND EQUIPMENT USED
GB2402066B (en) 2003-05-23 2006-06-07 Bioquell Uk Ltd Apparatus for disinfecting a surface
AR051429A1 (en) * 2004-04-20 2007-01-17 Stenti De Pirillo Haydee A OZONIZE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S TO OBTAIN IT
WO2006021924A1 (en) 2004-08-26 2006-03-02 Pieter Josua Le Roux Therapeutic oil from plant origine
ITRM20050514A1 (en) * 2005-10-17 2007-04-18 Gabriele Maietta OZONIZED OIL, HIGH-STABILITY ACTIVE INGREDIENT BASED ON PEROXIDES USABLE FOR MEDICAL THERAPEUTIC APPLICATIONS AND FOR SIMILAR DOMICILE TREATMENTS TO THOSE OF OZONOTHERAPY, WITHOUT THE USE OF OZONE GASSOUS.
GB0521873D0 (en) * 2005-10-27 2005-12-07 Karim Steven Pure 03 serums
BE1017155A3 (en) 2006-06-01 2008-03-04 Sanomedical Bvba WOUND CARE PRODUCT.
EP2213165A1 (en) * 2007-11-27 2010-08-04 Erc Technology Inc. Novel compositions containing ozonized surfactant
EP2149598A1 (en) * 2008-07-31 2010-02-03 Sanipan S.r.l. Method of production of an ozonized oil-based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0454A1 (en) 2012-09-13
MX2013010275A (en) 2014-03-31
BR112013022891A2 (en) 2016-08-16
EP2683356A1 (en) 2014-01-15
ITMI20110354A1 (en) 2012-09-08
MA35021B1 (en)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1956A (en) Composition for topical use based on ozonized oil
EP1425381B1 (en) Emu-based formulations for wound treatment related application information
JP3506701B2 (en) Wound healing composition, its preparation and use
JP2008538108A (en) Antimicrobial preparation
WO1999059580A1 (en) Preventives/remedies for skin diseases
US9468597B1 (en) Stabilized L-ascorbic acid skin serum
EP3439676B1 (en) Fish oil topical composition
US20230165825A1 (en) Novel anhydrous compositions comprised of marine oils
US20240024374A1 (en) Topical composition comprised of cod li ver oil for treating wounds and skin disorders
WO2010036578A1 (en) Red palm oil and fish oil wound dressing
US20210260106A1 (en) Chlorite-containing compositions
WO2011119247A2 (en) Topical skincare composition
JPH06157278A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for acne vulgaris
KR100536550B1 (en) Composition containing moutan root bark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JP2023504422A (en) Use of hydroperoxyalcohols and their derivatives as antimicrobial agents
EP3506876B1 (en) Composition for nail fungus
IT201800009679A1 (en) METHOD FOR CHANGING THE ODOR OF OZONIZED OIL
US20240139138A1 (en) Composition of and method for treating injury and/or skin conditions
FI129488B (en) Salve composition,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of the composition
WO2023049981A1 (en) Antisebogenic composition, formulation and use of the composition
WO2019178658A2 (en) Healing, moisturizing, humectant and emolient composition for topical administration in intertrigo skin lesions, skin lesions due to urinary and faecal incontinence and other related injuries.
ZA200711173B (en) Skin rejuvenation cre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