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892A -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 Google Patents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892A
KR20140069892A KR1020120137735A KR20120137735A KR20140069892A KR 20140069892 A KR20140069892 A KR 20140069892A KR 1020120137735 A KR1020120137735 A KR 1020120137735A KR 20120137735 A KR20120137735 A KR 20120137735A KR 20140069892 A KR20140069892 A KR 20140069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pad
supporting
seat
bas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6730B1 (ko
Inventor
김해탁
박성권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7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60N3/0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of foldable trays mounted on the back-res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7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ar passeng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트쿠션과 시트백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단부 양측에 상기 수용홈에 가이드되어 왕복 이동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하단부는 사용시 상기 수용홈에서 인출되어 차량의 후방쪽으로 돌출되어 지지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을 상기 시트백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테이블에 거치되는 스마트패드의 하단이 지지되고, 상기 스마트패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구비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차량의 시트백에 스마트패드를 거치하기 위한 테이블의 테이블이 경사져서 구비됨으로써, 탑승자가 스마트패드를 편안한 자세로 사용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하여도 목이나 허리 등이 통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CAR SEAT STRUCTURE HAVING TAB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의 시트백에 테이블을 구비하여, 태블릿pc나 노트북 등을 차량의 실내에서 사용하고자 할 때, 테이블에 놓고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교통수단 즉, 항공, 고속철도 등의 발달로 인하여 전국이 일일 생활권으로 바뀌고, 차량을 이용한 출퇴근이나 지방으로의 출장이 잦아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태블릿 PC(Tablet), 노트북, 스마트폰 등이 발달하여 누구나 들고 다니면서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휴가나 출장 등의 이유로 차량으로 장거리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으로 장거리 이동을 할 경우에 차량의 뒷좌석에 탑승한 탑승자는 지루함을 달래거나 업무를 하기 위하여, 태블릿 PC 등을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태블릿 PC, 노트북 등을 스마트 패드로 통칭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운행중에 스마트 패드를 이용하게 되면, 탑승자는 스마트 패드를 손으로 들고 사용하거나 무릎, 가방 등에 올려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스마트 패드를 손으로 들고 사용하거나 무릎, 가방 등에 오랜 시간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손으로 사용하게 되면 팔이 아프고 자세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릎, 가방 등에 올려 놓고 사용하게 되면, 고개를 많이 구부리게 되는데, 오랜 시간 고개를 많이 구부리게 되면, 고개에 무리가 가게 되면, 결국에는 목 디스크와 같은 질병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시트백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이 수용홈에 스마트패드를 거치할 수 있는 경사져서 지지되는 테이블을 구비함으로써, 스마트패드의 장시간 사용시 탑승자의 목이나 허리 등에 질병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테이블에 거치되는 스마트패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구성하여, 차량의 급선회시나 유동시 스마트패드가 테이블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쿠션과 시트백을 포함하는 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에 형성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단부 양측에 상기 수용홈에 가이드되어 왕복 이동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하단부는 사용시 상기 수용홈에서 인출되어 차량의 후방쪽으로 돌출되어 지지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을 상기 시트백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테이블에 거치되는 스마트패드의 하단이 지지되고, 상기 스마트패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구비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테이블의 가이드돌기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의 하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테이블의 하단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수용홈의 양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테이블의 하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패드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끼움홈의 길이보다 작은 스마트패드가 끼워졌을 때, 상기 끼움홈에서 스마트 패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마트 패드의 양측단을 홀딩하기 위한 홀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딩부는, 상기 스마트패드의 하단 양측단부를 밀착되는 한 쌍의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를 상기 끼움홈의 양측에 대하여 각각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받침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끼움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에 끼워지고 상기 밀착부재에 결합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스마트패드의 하단 양측단부에 밀착될 때, 상기 스마트패드가 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고, 긁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이블의 연결되며, 사용시 상기 시트백에 대하여 수평으로 지지되며, 상기 스마트 패드에 연결되는 연결장치를 올려놓기 위한 보조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백에 대하여 상기 보조 테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 지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지지수단은, 일단이 상기 테이블의 가이드돌기에 힌지 고정되는 제2지지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2지지부재의 타단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 테이블의 하단 양측에 힌지 고정되는 제3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테이블에 거치되는 스마트패드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커넥터가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상기 테이블, 수용홈, 받침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시트백에 스마트패드를 거치하기 위한 테이블의 테이블이 경사져서 구비됨으로써, 탑승자가 스마트패드를 편안한 자세로 사용할 수 있어 장시간 사용하여도 목이나 허리 등이 통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패드가 끼워지는 이탈 방지수단이 홈부가 스마트패드의 하단부가 지지되는 받침부재에 구비됨으로써, 차량이 급선회하거나 유동시 스마트패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홈부에 스마트 패드의 하단 양측면을 홀딩하기 위한 홀딩부가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 패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스마트패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용홈, 받침부재의 홈부, 테이블 중 어느 하나에 스마트패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접속 커넥터가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구비됨으로써, 스마트패드의 사용시 배터리 걱정 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일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차량용 시트 구조에서 테이블에서 받침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의 사용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테이블에서 홀딩부가 구비된 받침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는, 스마트 패드를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110)을 시트의 시트백(100) 뒷면에 구비하고, 이 테이블(110)에 스마트 패드(P)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테이블(110), 지지수단(120), 받침부재(130)로 구성된다.
먼저, 시트백(100)에는 수용홈(101)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101)에 테이블(110)을 수용할수 있도록 구성하되, 테이블(110)의 상단부 양측은 수용홈(101)의 양측면에서 슬라이드되고, 테이블(110)의 하단부는 탑승자 쪽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테이블(110)는 수용홈(101)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단부는 수용홈(101)의 양측면에 슬라이드 되어 수직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하단부는 차량의 후방 쪽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지지수단(120)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테이블(110)은 스마트 패드(P)의 사용시 후방시트에 탑승한 탑승자가 당기도록 구성된다.
테이블(110)의 상단 양측에는 가이드돌기(111)가 돌출 형성되고, 이 가이드돌기(111)는 수용홈(10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01a)에 끼워져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테이블(110)은 사용시 상단부가 수용홈(101)의 양측면에 지지되고, 하단부가 탑승자 쪽으로 돌출된 일정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지지되어 이에 올려지는 스마트 패드(P)를 일정각도 상태로 거치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수단(120)은 테이블(110)을 시트백(100)에 대하여 지지하는 것으로, 테이블(110)이 경사진 상태에서 스마트 패드(P)를 거치할 때 테이블(110)의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지지수단(120)은 테이블(1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11)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용홈(101)의 가이드홈(101a)에 형성되는 지지부와, 일단이 테이블(110)의 양측 하단에 각각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가이드홈(101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122a)를 갖는 한 쌍의 제1지지부재(122)를 포함한다.
지지부는 수용홈(101)의 가이드홈(101a)의 하측면으로 구성되어, 가이드홈(101a)에서 왕복 이동되는 가이드돌기(111)가 가이드홈(101a)의 하측면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테이블(110)의 사용시 결합돌기(122a)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지지부재(122)는 테이블(110)의 하단부와 상기 수용홈(101)의 하단부를 연결하여 테이블(110)의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 제1지지부재(122)의 일단 측면에는 수용홈(101)의 양측면 하측에 형성된 다른 가이드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122a)가 형성된다. 제1지지부재(122)의 타단부는 테이블(110)의 하단부 양측단에 힌지 결합되어, 테이블(110)의 하단부가 탑승자 쪽으로 돌출될 때, 제1지지부재(122)가 수평상태가 되며, 이때, 제1지지부재(122)의 일단부 저면이 수용홈(101)의 하측에 지지되어 테이블(110)을 시트백(100)에 대하여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지지부재(122)는 테이블(110)의 미사용시 테이블(110)과 같이 양측면에 밀착되어 수용홈(101)에 수용된 수직상태로 있다가 테이블(110)의 사용시 테이블(110)의 상단부가 하측으로 내려가고 테이블(110)의 하단부가 탑승자 쪽으로 돌출될 때, 수평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테이블(110)을 사용하고자 테이블(110)의 하부를 손으로 잡고 탑승자 쪽으로 당길 때, 제1지지부재(122)의 결합돌기(122a)는 가이드홈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제1지지부재(122)는 테이블(110)의 하단 양측에 힌지 고정되는 타단부가 회동하면서 제1지지부재(122)는 수평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재(130)는 테이블(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홈부(112)에 핀부재(13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마트패드(P)의 사용시 회전시켜서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받침부재(130)는 스마트패드(P)의 사용시 테이블(110)에 스마트패드(P)를 거치시킬 때, 스마트패드의(P) 하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받침부재(130)에는 테이블(110)에 거치되는 스마트 패드(P)가 차량의 선회시나 유동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스마트 패드(P)의 하단부가 끼워지도록 받침부재(130)의 윗면에 형성되는 끼움홈(132)으로 구성된다. 이 끼움홈(132)의 길이는 스마트 패드(P)의 하단이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끼움홈(132)에는 스마트 패드(P)의 길이가 끼움홈(132)보다 작을 경우에 끼움홈(132)에서 끼워지는 스마트 패드(P)를 홀딩하여 스마트 패드(P)가 유동되거나 끼움홈(13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홀딩부(133)가 구비된다.
상기 홀딩부(133)는 스마트 패드(P)의 하단 양측단부를 감싸 밀착되는 한 쌍의 밀착부재(133a)와, 밀착부재(133a)를 끼움홈(132)의 양측에 대하여 각각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33b)과, 받침부재(130)를 관통하여 끼움홈(132)으로 돌출되어 스프링(133b)에 끼워지고 밀착부재(133a)에 일단이 결합되는 핀부재(133c)와, 상기 핀부재(133c)의 타단에 결합되며 받침부재(130)의 외측에서 핀부재(133c)를 고정하고 사용자가 홀딩부(133)를 조절하기 위한 손잡이부(133d)를 포함한다.
밀착부재(133a)는 스마트 패드(P)의 하단 양측단부에 밀착될 때, 스마트 패드(P)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긁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홈(101), 테이블(110), 이탈방지수단인 받침부재(132)의 끼움홈(132) 중 어느 하나에 스마트패드(P)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커넥터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140)가 구비된다. 즉, 스마트 패드(P)에 연결 커넥터의 일단을 연결한 후에, 이 연결 커넥터의 타단을 접속단자(140)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접속단자(140)는 끼움홈에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스마트 패드(P)의 하단부를 끼움홈(132)에 끼울 때, 스마트패드(P)의 연결포트가 상기 접속단1자(140)에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와 도 6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갖는 시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갖는 시트 구조는 테이블(110), 지지수단(120), 받침부재(130)를 포함하는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갖는 시트 구조에서 테이블(110)에 연결되어 사용시 시트백(100)에 대하여 수평으로 펼쳐져서 스마트 패드(P)에 연결되는 부품들이나 필기구 등을 올려놓기 위한 보조 테이블(150)이 더 구비된다.
보조 테이블(150)는 테이블(110)의 하단에 힌지 고정되어, 미사용시 테이블(110)에 겹쳐진 상태로 있다가 사용시 펼쳐져서 수평 상태로 되도록 구성된다.
이 보조 테이블(150)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갖는 시트 구조에서 받침부재(130)에 구비되는 끼움홈(132)과 같이 스마트 패드(P)가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홈(151)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151)에는 스마트 패드(P)의 하부 양측단부를 감싸서 스마트 패드(P)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홀딩부가 구비된다. 이 홀딩부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갖는 시트구조에 구비되는 홀딩부(133)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보조 테이블(150)은 별도의 보조 지지수단(160)에 의해 시트백(100)에 지지되어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보조 지지수단(160)은 일단이 테이블(110)의 상단부의 가이드돌기(111)에 힌지 고정되는 제2지지부재(161)와, 일단이 제2지지부재(161)의 타단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보조 테이블(110)의 하단 양측에 힌지 고정되는 제3지지부재(16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지지부재(161)와 제3지지부재(162)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각 단부가 서로 힌지 결합되어, 테이블(110)의 미사용시 서로 겹쳐져서 테이블(110)와 보조 테이블(110)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3지지부재(162)는 테이블(110)의 사용시 보조 테이블(110)를 펼치면 제2지지부재(161)에 힌지 결합되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제2지지부재(161)에서 이격되어 제2지지부재(161)와 일직선을 이루고 도 6과 같은 상태와 같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 테이블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리어시트에 탑승한 탑승자가 스마트 패드(P)로 영화를 보거나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트백(100)에 구비되어 있는 테이블(110)을 사용 상태로 전환해야 한다.
즉, 탑승자는 스마트 패드(P)를 사용하기 전에 먼저, 시트백(100)에 구비되어 테이블(110)을 사용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도 7에서 테이블(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받침부재(130)를 도 8과 같이 회전시키고, 이 받침부재(130)를 잡고 탑승자 쪽으로 당긴다.
그러면, 테이블(110)의 상단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돌기(111)는 수용홈(101)의 가이드홈(101a)에 가이드되어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테이블(110)의 하단에 힌지 고정되는 제1지지부재(122)의 일단부에 구비된 결합돌기(122a)도 수용홈(101)의 가이드홈(101a)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지지부재(122)는 테이블(110)의 하단 양측에 힌지 고정되는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도 9와 같이 수평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제1지지부재(122)가 회전되고, 테이블(110)의 가이드돌기(111)가 가이드홈(101a)에서 하측으로 이동될 때, 테이블(110)의 상부는 하강되고, 하부는 탑승자 쪽으로 돌출되어 일정경사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테이블(110)가 일정한 경사로 기울어지면, 탑승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스마트 패드(P)를 받침부재(130)의 끼움홈(132)에 끼우고 테이블(110)에 기대어 놓음으로써, 거치를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스마트 패드(P)를 차량에서 사용할 때, 시트백(100)에 일정 경사로 인출되는 테이블(110)이 구비됨으로써, 탑승자의 스마트 패드(P)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사용시 머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편안한 자세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시트백 101 : 수용홈
110 : 테이블
120 : 지지수단 122 : 제1지지부재
130 : 받침부재 132 : 끼움홈
133 : 홀딩부 133a : 밀착부재
133b : 스프링 133c : 핀부재
133d : 손잡이
140 : 접속단자
150 : 보조 테이블
160 : 보조 지지수단 161 : 제2지지부재
162 : 제2지지부재

Claims (10)

  1. 시트쿠션과 시트백을 포함하는 위한 차량용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에 형성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단부 양측에 상기 수용홈에 가이드되어 왕복 이동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하단부는 사용시 상기 수용홈에서 인출되어 차량의 후방쪽으로 돌출되어 지지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을 상기 시트백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테이블에 거치되는 스마트패드의 하단이 지지되고, 상기 스마트패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을 구비되는 받침부재;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테이블의 가이드돌기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의 하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일단이 상기 테이블의 하단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수용홈의 양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테이블의 하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마트패드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에는
    상기 끼움홈의 길이보다 작은 스마트패드가 끼워졌을 때, 상기 끼움홈에서 스마트 패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마트 패드의 양측단을 홀딩하기 위한 홀딩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스마트패드의 하단 양측단부를 밀착되는 한 쌍의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를 상기 끼움홈의 양측에 대하여 각각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받침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끼움홈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에 끼워지고 상기 밀착부재에 결합되는 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는,
    상기 스마트패드의 하단 양측단부에 밀착될 때, 상기 스마트패드가 밀착되어 미끄러지지 않고, 긁힘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연결되며, 사용시 상기 시트백에 대하여 수평으로 지지되며, 상기 스마트 패드에 연결되는 연결장치를 올려놓기 위한 보조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에 대하여 상기 보조 테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 지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수단은,
    일단이 상기 테이블의 가이드돌기에 힌지 고정되는 제2지지부재와,
    일단이 상기 제2지지부재의 타단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보조 테이블의 하단 양측에 힌지 고정되는 제3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에 거치되는 스마트패드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연결커넥터가 연결되는 접속단자가 상기 테이블, 수용홈, 받침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KR1020120137735A 2012-11-30 2012-11-30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KR10140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735A KR101406730B1 (ko) 2012-11-30 2012-11-30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735A KR101406730B1 (ko) 2012-11-30 2012-11-30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892A true KR20140069892A (ko) 2014-06-10
KR101406730B1 KR101406730B1 (ko) 2014-06-13

Family

ID=5112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735A KR101406730B1 (ko) 2012-11-30 2012-11-30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7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3392A (zh) * 2018-09-02 2018-11-30 邯郸学院 一种计算机机房用防止鼠标丢失的多功能电脑椅
CN109645666A (zh) * 2019-01-30 2019-04-19 麦格纳汽车技术(上海)有限公司徐汇分公司 一种单电机与丝杆控制的汽车用小桌板
FR3088607A1 (fr) * 2018-11-21 2020-05-22 Speedinnov Mobilier d’équipement de cabine de véhicule ferroviai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6139Y1 (ko) * 1996-09-25 1999-03-20 양재신 독서판을 구비한 차량좌석
KR19980031391U (ko) * 1996-11-30 1998-08-17 양재신 차량용 이중 테이블
JP5702190B2 (ja) 2011-03-03 2015-04-15 株式会社ニフコ 座席用テーブルの支持構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03392A (zh) * 2018-09-02 2018-11-30 邯郸学院 一种计算机机房用防止鼠标丢失的多功能电脑椅
FR3088607A1 (fr) * 2018-11-21 2020-05-22 Speedinnov Mobilier d’équipement de cabine de véhicule ferroviaire
EP3656636A1 (fr) * 2018-11-21 2020-05-27 SpeedInnov Mobilier d'équipement de cabine de véhicule ferroviaire
CN109645666A (zh) * 2019-01-30 2019-04-19 麦格纳汽车技术(上海)有限公司徐汇分公司 一种单电机与丝杆控制的汽车用小桌板
CN109645666B (zh) * 2019-01-30 2024-05-03 麦格纳汽车技术(上海)有限公司徐汇分公司 一种单电机与丝杆控制的汽车用小桌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730B1 (ko) 2014-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6730B1 (ko) 테이블을 갖는 차량용 시트 구조
CN102029932B (zh) 用于运输工具的折叠桌
US20160039524A1 (en) A support structure for attachment to a tray table for a passenger seat, tray table for a passenger seat, and passenger seat
CN113022399B (zh) 车辆扶手和车辆座椅
KR101406733B1 (ko) 차량 헤드레스트 장착용 스마트폰 거치조절장치
CN105765288A (zh) 用于移动设备的可调节高度的支撑件
US20090229497A1 (en) Apparatus for Securing a Laptop Computer to a Users Leg
JP6477215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623438B1 (ko) 휴대용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CN104512349A (zh) 用于遮阳板的显示设备固定装置
CN112969611B (zh) 设置有辅助托盘桌的座椅
JPH02500903A (ja) 子供の自動車の乗客のための調節可能なブースターシート
KR20190000709U (ko) 스마트 장치 거치대
CN206520518U (zh) 一种车载折叠桌板
CN106671890A (zh) 交通工具的座椅用关节型物品支架
CN106427717B (zh) 一种车载折叠桌板
CN210149252U (zh) 一种方便夹持手机的汽车座椅扶手
KR101125784B1 (ko)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
CN220314807U (zh) 一种车辆座椅
CN204398916U (zh) 儿童汽车座椅
KR101599966B1 (ko)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KR20120096116A (ko) 자동차용 암레스트의 너비 조절장치
US11873103B1 (en) Attachable armrest
CN104385946B (zh) 汽车用儿童安全座椅
CN210337670U (zh) 汽车座椅靠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