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966B1 -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 Google Patents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966B1
KR101599966B1 KR1020140077626A KR20140077626A KR101599966B1 KR 101599966 B1 KR101599966 B1 KR 101599966B1 KR 1020140077626 A KR1020140077626 A KR 1020140077626A KR 20140077626 A KR20140077626 A KR 20140077626A KR 101599966 B1 KR101599966 B1 KR 101599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hinge
shaft
sea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568A (ko
Inventor
유선웅
김상현
곽수만
주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주)에이스 힌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주)에이스 힌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Priority to KR1020140077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96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5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자동차 시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보관시에는 자동차 시트의 후면측에 접어 보관하여 두고 사용시에는 접철된 아암들을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거치되는 물품의 하중과 이격되는 거리의 변화에도 안정적인 물품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ARTICULATION TYPE SUPPORTER FOR SEAT OF A MEANS OF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후 배열의 시트 중 앞쪽에 설치된 시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아암들의 관절부를 통한 접철 정도에 따라 시트의 후면에 밀착되어 보관이 이루어지거나 아암들을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시트 간의 전후 거리의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물품의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PMP(portable media player)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플레이어,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전자사전, 휴대전화 등의 단말기들은 소형화와 더불어 각 기능들을 통합하는 형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소형화 및 경량화 추세에 따라 휴대가 간편해지면서 그 사용이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점차 자동차, 비행기 등의 교통수단에도 적용하려는 기술적 움직임이 시도되고 있다.
위의 시도에 따른 대표적인 예에는 차량의 운행중에 휴대용 단말기나 네비게이션 등의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있다.
종래의 거치대는, 대체적으로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나 전방 유리면에 진공 흡착 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부착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자동차 또는 비행기 등의 교통수단에서 앞과 뒤 방향으로 배치되는 좌석들 중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은 미진한 상태에 있다.
뒷좌석의 승객이 주로 사용하는 물품은, 운전의 편의를 위한 네비게이션 등의 단말기가 아니라 대체로 태블릿 PC 등을 포함한 휴대 단말기나 서류 내지 책 등이 주로 사용될 것이다.
그러나, 자동차, 비행기, 선박, 열차 등의 교통수단에 있어서, 일 예로서 승용차의 경우, 운전석이나 조수석의 뒤로 배열되는 좌석(시트)에 착석한 승객은, 대체로 전방(앞좌석) 시트 후면을 바라보게 되고, 측면 부위 등은 통로를 이루거나 비좁을 뿐 아니라 물품 지지를 위한 거치대의 설치가 마땅하지 않으며, 또 그 사용 및 공간적 활용에 있어서도 불편함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더욱이 앞좌석의 시트 후면에 위의 물품을 고정토록 하거나, 시트 후면에 수납식으로 만든 간이 선반 위에 물품을 올려놓고 사용토록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은 각 승객의 습성에 따라 물품과의 거리(태블릿 PC 등의 조작이 편리한 위치에 있도록 한 거리 or 사용자에 따라 책이나 서류를 보는 거리) 조절이 어려울 뿐 아니라 앞좌석 시트의 기울어짐 정도에 따라 뒷좌석 승객의 자세가 변경될 수밖에 없어 그 사용이 불편하게 된다.
또한, 앞좌석의 시트 후면에 물품 지지를 위한 거치대를 설치함에 있어서는, 교통수단의 충돌 등의 경우를 감안하여 뒷좌석 승객의 안전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앞좌석의 시트 후면에서 뒷좌석 승객의 전면에 놓이기 위해서는, 이들 사이의 간격 조절 기능을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할 것이며, 이러한 간격 조절과 더불어 급정차 내지 비포장 도로에서의 진동에 따른 물리적인 작용 및 물품의 하중에 대응하여서도 시트 후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 유지 및 물품의 지지되는 상태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 요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2013년 12월 31일자 우선권 주장으로 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3466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를 개시한 바 있으며,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한 선행기술을 자동차 등의 교통수단에 적용토록 함에 있어서 위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그 적용을 도모하기 위해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21016호(2013.10.16)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01241호(1997.1.2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3466호(2014.06.16)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비행기, 선박, 열차 등의 교통수단에 구비되는 앞좌석 시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보관시에는 앞좌석 시트의 후면측에 접어 보관하고 사용시에는 접철된 아암들을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물품의 하중과 이격되는 거리의 변화 및 이동수단의 이동에 따른 진동 등의 물리적인 작용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물품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동수단의 충돌로부터 물품에 대한 승객의 충돌 위험으로부터 안전하도록 하는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자동차 시트의 후면에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에 설치되는 스위블 유닛;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스위블 유닛에 제 1 힌지유닛으로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제 2 힌지유닛이 구비되는 제 1 아암; 및 상기 제 2 힌지유닛에 의해서 일단부가 상기 제 1 아암에 상하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가 거치판의 후면에 연결되는 제 2 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평회전과 상하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 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의 접철동작이 가능하여 상기 거치판의 위치가 자유자재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암과 상기 제 2 아암과 상기 거치판을 접철시킨 상태로, 상기 자동차 시트의 후면에 록킹시키거나 그 록킹을 해제할 수 있는 록킹유닛이 상기 자동차 시트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래킷은, 아웃터 고정 브래킷의 내부에 인너 브래킷이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아우터 브래킷은 일측에 샤프트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샤프트 삽입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너 브래킷은 상부에 샤프트 지지홀을 갖는 샤프트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지지부의 하부로 체결 홀을 갖는 체결부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블 유닛은, 상기 샤프트 지지홀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 삽입부 안에 삽입되는 스위블 사프트; 상기 스위블 사프트가 탄력적으로 수평회동되도록 상기 스위블 사프트에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 스프링; 상기 스위블 사프트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와셔; 및 상기 스위블 사프트의 끝단에 체결되며, 상기 샤프트 삽입부 안으로 삽입되는 홈붙이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 시트의 후면에 백커버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백커버는 후면 상단부에 상기 거치판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안착될 수 있는 안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 홈에는 제 1 아암과 제 2 아암이 삽입될 수 있는 아암 삽입홈과, 상기 고정 브래킷이 삽입될 수 있는 브래킷 삽입 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암은 이미 설계된 위치에 관통 홀을 구비하며,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와 결합하는 제 2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고정되는 제 1 가동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의 상부 외측 면에는 상기 제 2 아암이 밀착되어 안착될 수 있는 안착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힌지 아암의 타단은 볼 조인트로 상기 거치판에 연결될 수 있는 데,
상기 거치판에는 볼을 구비하는 볼 마운트 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아암의 타단에는 상기 볼이 결합되는 볼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암은 고리를 구비하며,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와 결합하는 제 2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와 상기 제 2 커버 사이에 고정되는 제 2 가동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고리에 록킹되도록 상기 자동차 시트에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의 마운팅 브래킷에 탄력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커(후크); 상기 로커를 선택적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로커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자동차 시트의 내측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 로드; 및 상기 푸시 로드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자동차 시트의 측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푸시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힌지유닛은 상기 스위블 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힌지 아암의 일측단부에 설치되는 제1 연결 부재; 상기 제 1 아암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그 하중에 대응하여 하중방향으로는 상기 제 1 아암의 회동이 방지되고 그 반대의 방향으로는 상기 제 1 아암의 회동이 허용되도록 상기 힌지 마운트에 설치되는 제 1 클러치 베어링; 상기 제 1 클러치 베어링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 1 힌지 샤프트;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에 끼워지며, 상기 제 1 힌지 아암과 연결되는 제 1 브릿지; 및 기 설정된 하중 이하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하중 방향으로 상기 제 1 아암이 회동하지 않고 기 설정된 하중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하중 방향으로 상기 제 1 아암이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제 1 브레이크 유닛(스토핑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에 끼워져서 상기 제 1 브릿지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 스프링;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와셔; 및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끝단에 체결되는 제 1 홈붙이 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힌지유닛은 상기 제 2 힌지 아암의 타측단부에 형성되는 제 2 연결 부재; 상기 제 2 연결 부재의 중심에 결합하는 제 2 힌지 샤프트;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에 끼워지며 상기 제 2 힌지 아암과 연결되는 제 2 브릿지; 및 기 설정된 하중 이하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하중 방향으로 상기 제 2 아암이 회동하지 않고 기 설정된 하중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하중 방향으로 상기 제 2 아암이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제 2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에 끼워져 상기 제 2 브릿지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디스크 스프링;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와셔; 및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끝단에 체결되는 제 2 홈붙이 너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앞쪽에 배치된 시트의 후면에 설치되며, 보관시에는 자동차 시트의 후면측에 접어 보관하여 두고 사용시에는 접철된 아암들을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거치되는 물품의 하중과 이격되는 거리의 변화 및 자동차를 포함한 이동수단의 이동에 따른 진동으로부터 물품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에 대하여 클러치 베어링에 의한 안정적인 물품의 지지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암들은 록킹부에 의해 이동수단의 충돌에 대응하여 그 보관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뿐 아니라 뒷좌석 승객이 정방으로 쏠리는 과정에서 거치되는 물품을 포함한 관절형 물품 거치대와 충돌함에 대응하여 그 충격을 저감토록 아암의 접철이 이루어짐에 따라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의 설치 상태와 제 1, 2 아암의 상하회전 관계와 수평회전 관계 및 물품이 제 2 아암의 단부로부터 볼조인트에 의한 구면운동하는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한 자동차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위블 유닛 구성과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스위블 유닛의 각 구성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측면에서 바라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4의 Ⅰ-Ⅰ선과 Ⅱ-Ⅱ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시트의 전면방향에서 바라본 백커버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록킹유닛의 구성 및 각 구성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설명에서 각 구성부붐의 전면과 후면 또는 전방과 후방에 대한 설명은 시트들의 배열을 기준으로 승객이 바라보는 방향을 전면 또는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면 또는 후방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중방향이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해지는 무게의 힘이 작용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그 반대의 방향이란 하측에서 상측으로 사용자에 의해 거치대 부분이 들어 올려지는 힘의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수평방향의 회전을 스위블 회전이라 정의하고, 스위블 회전과 관련된 구성을 스위블 유닛이라 하며, 상하방향의 회전을 힌지 회전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길이를 갖는 구성 및 그 연결관계에 있어서, 일단(일측)과 타단(타측)에 대한 설명은, 고정 브래킷이 설치되는 방향에 있는 단부 또는 그 방향을 일단 또는 일측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에 있는 단부 또는 그 방향을 타단 또는 타측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는, 시트(1)의 후면에 설치되어 물품(휴대용 전자기기, 책 등)을 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거치되는 물품의 하중과 시트(1)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의 변화에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시트(1)의 후면에 설치되는 백커버(2)는, 시트(1)의 일부로서 시트(1)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사출물로 결합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힌지 회전(상하 회전)을 이용한 거치판(P)의 위치조절 변화를 보이고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스위블 회전(수평회전)을 이용한 거치판(P)의 위치조절 변화 및 후술하는 볼 조인트에 의한 틸팅 변화를 보이고 있다.
도 1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는, 시트(1)의 후면에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100)과, 수평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 브래킷(10)에 설치되는 스위블 유닛(200)과,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스위블 유닛(200)에 제 1 힌지유닛(310)으로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제 2 힌지유닛(320)이 구비되는 제 1 아암(300)과, 제 2 힌지유닛(320)에 의해서 일단부가 제 1 아암(300)에 상하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가 거치판(P)의 후면에 연결되는 제 2 아암(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는, 수평회전과 상하회전에 의하여 제 1 아암(300)과 제2 아암(400)의 회동 및 접철동작이 가능하여 거치판(P)의 위치가 자유자재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아암(300)과 제 2 아암(400)과 거치판(P)을 접철시킨 상태로, 시트(1)의 후면에 록킹시키거나 그 록킹을 해제할 수 있는 록킹유닛(50)이 시트(1)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브래킷(100)은 아웃터 고정 브래킷(110)의 내부에 인너 브래킷(120)이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아우터 브래킷(110)은 일측에 샤프트 삽입부(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샤프트 삽입부(111)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결합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인너 브래킷(120)은 상부에 샤프트 지지홀(121a)을 갖는 샤프트 지지부(121)가 형성되고 샤프트 지지부(121)의 하부로 체결 홀(123a)을 갖는 체결부(123)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아웃터 고정 브래킷(110)의 내부에 인너 브래킷(120)이 삽입되고, 볼트(B)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스위블 유닛(200)은 거치판(P)을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스위블 사프트(210)와, 하나 이상의 디스크 스프링(220)과, 복수 개의 와셔(230)와, 홈붙이 너트(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스위블 사프트(210)는 샤프트 지지홀(121a)을 관통하여 샤프트 지지부(121)에 지지된 상태로 샤프트 삽입부(111)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디스크 스프링(220)는 스위블 사프트(210)가 탄력적으로 수평회동되도록 스위블 사프트(210)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와셔(230)는 스위블 사프트(210)에 끼워지며 디스크 스프링(220)의 양측에 배치된다.
홈붙이 너트(240)는 스위블 사프트(210)의 끝단에 체결되며, 체결 이후 스위블 사프트(210)와 함께 샤프트 삽입부(111) 안으로 삽입된다.
시트(1)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는 백커버(2)는, 플라스틱 사출물로서, 접철시 거치판(P)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그 후면 상단부에 안착 홈(2a)이 형성되고, 안착 홈(2a)에는 제 1 아암(300)과 제 2 아암(400)이 삽입될 수 있는 아암 삽입홈(2b)과, 고정 브래킷(100)이 삽입될 수 있는 브래킷 삽입 홈(2c)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제 1 아암(300)은 이미 설계된 위치에 관통 홀(H)을 구비하며, 제 1 커버(301)와, 제 1 커버(301)와 결합하는 제 2 커버(303)와, 제 1 커버(301)와 제 2 커버(303) 사이에 고정되는 제 1 가동 프레임(30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커버(301)의 상부 외측 면에는 제 2 아암(400)이 밀착되어 안착될 수 있는 안착 턱(30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힌지 아암(400)의 타단부는 볼 조인트(600)로 거치판(P)에 연결될 수 있는 데, 거치판(P)에는 볼(611)을 구비하는 볼 마운트 판(610)이 설치되고, 제 2 아암(400)의 타단부에는 볼(611)이 결합되는 볼 수용부(6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아암(400)은 고리(400a)를 구비하며, 제 1 커버(401)와, 제 1 커버(401)와 결합하는 제 2 커버(403)와, 제 1 커버(401)와 제 2 커버(403) 사이에 고정되는 제 2 가동 프레임(40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록킹유닛(500)은, 제 1 아암(300)과 제 2 아암(400)을 접철하여 거치판(P)을 안착 홈(2a) 안에 보관할 때, 제 1 아암(300)과 제 2 아암(400)은 물론 거치판(P)이 시트(1)의 백커버(2)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록킹유닛(500)은, 고리(400a)에 록킹되는 로커(후크)(510)와, 로커(510)를 선택적으로 회동시키는 푸시 로드(520)와, 푸시 로드(520)를 가압하는 푸시 버튼(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커(후크)(510)의 회전축(511)에는 토션 스프링(512)이 설치되어, 걸림돌기(400a)에 로커(후크)(510)가 항상 록킹되는 방향으로 토션 스프링(512)의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로커(후크)(510)는 고리(400a)에 록킹되도록 시트(1)에 구비된 베이스 프레임(3)의 마운팅 브래킷(4)에 탄력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푸시 로드(520)는 로커(510)를 선택적으로 회동시켜서 로커(510)의 록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시트(1)의 내측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푸시 버튼(530)은 푸시 로드(5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시트(1)의 측면에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시트(1)의 후면, 좀더 구체적으로는 백커버(2)의 후면에 형성된 아암 삽입홈(2b)에는 제 1 힌지 아암(30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S:도 1a 참조)이 설치됨으로써, 로커(510)의 록킹 해제시에 거치판(P)이 외측으로 약간 돌출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거치판(P)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록킹유닛(5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제 1 아암(300)과 제 2 아암(400)을 접철하여 거치판(P)을 안착 홈(2a) 안에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 2 아암(400)의 고리(400a)가 토션 스프링(512)에 의해서 로커(후크)(510)에 탄력적으로 체결된다.
반면에, 거치판(P)을 안착 홈(2a) 안에서 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푸시 버튼(530)을 누르면, 푸시 버튼(530)에 의해서 푸시 로드(520)가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푸시 로드(520)가 로커(510)를 가압하며, 이때 토션 스프링(51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로커(510)가 회전축(511)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로커(510)와 고리(400a)의 록킹이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스프링(S:도 1a 참조)에 의해서 거치판(P)이 외측으로 약간 돌출하여 사용자가 거치판(P)을 쉽게 꺼낼 수 있다.
제 1 힌지유닛(310)은 고정 브래킷(100)에 대하여 제 1 힌지 아암(300)을 상하회전(힌지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스위블 유닛(200)의 스위블 사프트(210)에 연결되며 제 1 힌지 아암(300)의 일측단부에 설치되는 힌지 마운트(311)와, 힌지 마운트(311)에 설치되는 제 1 클러치 베어링(313)과, 제 1 클러치 베어링(313)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 1 힌지 샤프트(315)와, 제 1 힌지 샤프트(315)에 끼워지며 제 1 힌지 아암(300)과 연결되는 제 1 브릿지(317)와, 제 1 브레이크 유닛(스토핑 유닛)(319)을 포함한다.
힌지 마운트(311)는 스위블 샤프트(210)의 헤드(211)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 1 힌지 아암(300)의 일측단부에 연결되어서, 제 1 힌지 아암(300)이 수평회전과 상하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힌지 마운트(311)는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스위블 샤프트(210)의 헤드(211)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 1 클러치 베어링(313)은 제 1 아암(300)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예를 들어 거치판(P)에 물품을 올려 놓은 경우), 그 하중에 대응하여 하중방향으로(하측방향)는 제 1 아암(300)의 회동이 방지되고, 그 반대의 방향(상측방향)으로는 제 1 아암(300)의 회동이 허용되도록 힌지 마운트(311)안에 설치된다.
클러치 베어링은 공지의 기술이지만, 본 발명의 작동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6a를 참조하여, 제 1 클러치 베어링(313)의 작동원리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제 1 연결부재(311) 안에 제1 클러치 베어링(313)이 설치되고, 그 제 1 클러치 베어링(313)의 중심에 제 1 힌지 샤프트(315)가 위치되는바, 제 1 힌지 아암(300)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힘을 받을 경우에는 제 1 클러치 베어링(313)의 니들롤러(313a)가 제 1 힌지 샤프트(315)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제 1 힌지 아암(300)의 회동 가능하다.
하지만, 그 반대의 방향으로는 제 1 클러치 베어링(313)의 니들롤러(313a)가 제 1 힌지 샤프트(315)를 가압하여 제 1 힌지 아암의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 거치판(P)에 거치된 물품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제 1 힌지 샤프트(315)는 제 1 클러치 베어링(313)의 중심을 관통하여 제 1 연결부재(311) 안으로 삽입되는 데, 그 중간에 형성된 스토퍼부(315a)는 턱(311a)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제 1 브릿지(317)는, 일단부가 제 1 힌지 샤프트(315)에 끼워지며 타단부가 제 1 힌지 아암(300)의 가동 브래킷(305)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 1 브레이크 유닛(스토핑 유닛)(319)은, 기 설정된 하중 이하의 힘(예를 들어 거치판에 놓이는 물품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하중 방향으로 제 1 아암(300)이 회동하지 않지만(제 1 클러치 베어링의 작동에 의해서), 기 설정된 하중 이상의 힘(사용자가 거치판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제 1 힌지 아암을 하측으로 누르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하중 방향(하측방향)으로 제 1 아암(300)이 회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브레이크 유닛(319)은 제 1 힌지 샤프트(315)에 끼워져서 제 1 브릿지(317)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 스프링(319a)과,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힌지 샤프트(315)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와셔(319b)와, 제 1 힌지 샤프트(315)의 끝단에 체결되는 제 1 홈붙이 너트(319c)를 포함한다.
와셔(319b)는, 한 쌍을 이루어 상호 대면하는 표면이 상호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평탄면을 이루며, 내마모성과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와셔(319b)는, 디스크 스프링(319a)을 통한 탄성력의 제공으로 상호 압착관계에 있으며, 동시에 상호 대면하는 구성들 중 어느 한 구성이 다른 구성으로부터 미끄러지게 회전이 이루어지는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사이의 마찰관계를 대신하는 평와셔의 기능을 한다.
도 6b를 참조하여, 제 1 브레이크 유닛(319)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클러치 베어링(313)에 의하여 제 1 힌지 아암(300)은 거치판(P)에 거치된 물품의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상측방향으로는 항상 회동 가능하나 하측 방향으로는 제한을 받게 된다.
그리고, 물품의 하중보다 큰 힘, 즉 사용자가 거치판(P)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 1 힌지 아암(300)에 힘을 가하면, 디스크 스프링(319a) 및 홈붙이너트(319c)에 의해서 제 1 힌지 샤프트(315)가 제 1 브릿지(317)에 압축되어 있으므로, 제 1 힌지 샤프트(315)를 기준으로 제 1 브릿지(317)와 함께 제 1 힌지 아암(300)은 하측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제 2 힌지유닛(320)은 제 1 힌지 아암(300)에 대하여 제 2 힌지 아암(400)을 상하회전(힌지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 2 힌지 아암(400)의 타측단부에 형성되는 제 2 연결 부재(321)와, 제 2 연결 부재(321)의 중심에 결합하는 제 2 힌지 샤프트(325)와, 제 2 힌지 샤프트(325)에 끼워지며 제 2 힌지 아암(400)과 연결되는 제 2 브릿지(327)와, 제 2 브레이크 유닛(329)을 포함한다.
제 2 연결 부재(321)는 제 2 힌지 아암(400)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 1 클러치 베어링(323)은 제 2 아암(400)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예를 들어 거치판(P)에 물품을 올려놓은 경우), 그 하중에 대응하여 하중방향으로(하측 방향)는 제 2 아암(400)의 회동이 방지되고 그 반대의 방향(상측 방향)으로는 제 2 아암(400)의 회동이 허용되도록 제 2 연결 부재(321) 안에 설치된다.
제 2 힌지 샤프트(325)는 제 2 연결 부재(321) 안으로 삽입되는 데, 그 중간에 형성된 스토퍼부(325a)는 턱(321a)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제 2 브릿지(327)는, 일단부가 제 2 힌지 샤프트(325)에 끼워지며 타단부가 제 2 힌지 아암(400)과 볼트(B)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 2 브레이크 유닛(329)은 기 설정된 하중 이하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거치판에 놓이는 물품의 하중), 하중방향으로(하측방향) 제 2 아암(400)이 회동하지 않지만, 기 설정된 하중 이상의 힘(사용자가 거치판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제 2 힌지 아암을 하측으로 누르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하중 방향으로(하측방향) 제 2 아암(400)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제 2 브레이크 유닛(329)은 제 2 힌지 샤프트(325)에 끼워져 제 2 브릿지(327)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디스크 스프링(329a)과,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 제 2 힌지 샤프트(325)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와셔(329b)와, 제 2 힌지 샤프트(325)의 끝단에 체결되는 제 2 홈붙이 너트(329c)를 포함한다. 와셔(319b)는, 한 쌍을 이루어 상호 대면하는 표면이 상호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평탄면을 이루며, 내마모성과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와셔(329b)는, 디스크 스프링(329a)을 통한 탄성력의 제공으로 상호 압착관계에 있으며, 동시에 상호 대면하는 구성들 중 어느 한 구성이 다른 구성으로부터 미끄러지게 회전이 이루어지는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사이의 마찰관계를 대신하는 평와셔의 기능을 한다.
제 2 브레이크 유닛(329)은 전술한 제 1 브레이크 유닛(319)과 동일한 원리로 작동하므로, 제 2 브레이크 유닛(329)의 작동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는,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제 1 힌지 아암(300)과 제 2 힌지 아암(400)의 힌지 연결구조를 이용하여 거치판(P)을 상하로 위치 조절할 수 있으며, 볼 조인트(500)를 이용하여 각도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c를 참조하면, 스위블 유닛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거치판(P)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보관시에는 자동차 시트의 후면측에 접어 보관하여 두고 사용시에는 접철된 아암들을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되 거치되는 물품의 하중과 이격되는 거리의 변화에도 안정적인 물품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인 "C"는 시트의 내부로부터 본 발명의 관절형 거치대를 통해 물품과 연결되는 "케이블"을 나타낸 것이고, 이러한 케이브(C)의 설치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아암(300)과 제 2 아암(400)의 내부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2 아암(300, 400)의 표면에 케이브(C)이 삽입 가능한 홈(도시 안됨)을 형성하여 그 홈을 통해 케이블(C)이 돌출하지 않도록 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 그 적용이 용이한 변형임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1: 시트 2: 백커버
2a:안착 홈 2b: 아암 삽입홈
2c: 브래킷 삽입 홈 3: 베이스 프레임
4: 마운팅 브래킷 100: 고정 브래킷
110: 아웃터 브래킷 111: 샤프트 삽입부
113: 결합부 120: 인너 브래킷
121: 샤프트 지지부 121a: 샤프트 지지홀
123: 체결부 123a: 체결 홀
200: 스위블 유닛 210: 스위블 사프트
220: 디스크 스프링 230: 와셔
240: 홈붙이 너트 300: 제 1 힌지 아암
301: 제 1 커버 301a: 안착 턱
303: 제 2 커버 305: 제 1 가동 프레임
310: 제 1 힌지유닛 311: 힌지 마운트
311a: 턱 313: 제 1 클러치 베어링
313a: 니들롤러 315: 제 1 힌지 샤프트
315a: 스토퍼부 317: 제 1 브릿지
319: 제 1 브레이크 유닛 319a:디스크 스프링
319b: 와셔 319c:제 1 홈붙이 너트
320: 제 2 힌지유닛 321: 제 2 연결 부재
321a: 턱 323: 제 2 클러치 베어링
325: 제 2 힌지 샤프트 325a: 스토퍼부
327: 제 2 브릿지 329: 제 2 브레이크 유닛
329a: 제 2 디스크 스프링 329b: 와셔
329c:제 2 홈붙이 너트 329b: 와셔
400: 제 2 아암 400a: 고리
401: 제 1 커버 403: 제 2 커버
405: 제 2 가동 프레임 500: 록킹유닛
510: 로커 511: 회전축
512: 토션 스프링 520: 푸시 로드
530: 푸시 버튼 600: 볼 조인트
611: 볼 610: 볼 마운트 판
620: 볼 수용부 B: 볼트
H: 관통 홀 P: 거치판
S: 스프링

Claims (10)

  1. 차체에 설치되며 시트를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고정 브래킷과;
    상기 시트의 후면을 덮는 구성으로서, 상기 고정 브래킷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고, 물품의 수납이 있도록 수납부를 마련한 백커버와;
    상기 고정 브래킷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평 회전이 가능한 스위블 유닛과;
    상기 고정 브래킷의 상부로 돌출한 상기 스위블 유닛에 일단이 제 1 힌지유닛으로 연결되어 타단이 상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한 제 1 아암과;
    일단이 상기 제 1 아암의 타단에 제 2 힌지유닛으로 연결되어 타단이 상하 방향 및 상기 제 1 아암에 접철 또는 펼쳐지는 제 2 아암; 및
    전면이 상기 제 2 아암의 타단에 볼 조인트로 연결되며, 후면에 물품의 거치가 이루어지는 거치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 아암 및/또는 상기 제 2 아암에는 상기 시트의 백커버 방향으로 록킹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록킹부에 대응하는 상기 백커버를 포함한 시트에는 상기 록킹부가 이미 설정된 위치에 정렬되어 놓인 상태를 고정하거나 그 고정을 해제하도록 작동하는 록킹유닛이 더 설치되며,
    상기 록킹부에 대한 상기 록킹유닛의 고정은 상기 거치판이 상기 수납부 내에 정렬되어 놓인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아웃터 브래킷과 인너 브래킷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아우터 브래킷은, 상측으로 개구된 샤프트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샤프트 삽입부와 연통하는 결합부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너 브래킷은, 상기 삽입부의 개구에 대응하며 상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샤프트 지지홀을 갖는 샤프트 지지부와; 상기 샤프트 지지부의 전방측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결합부에 대응하여 막는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면하는 부위에 체결부를 갖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위블 유닛은, 하측 부위가 상기 샤프트 지지홀을 관통하여 상기 샤프트 지지부와 상기 샤프트 삽입부의 지지를 받도록 설치되는 스위블 샤프트와;
    상기 스위블 사프트에 하측으로부터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 스프링과;
    상기 디스크 스프링과 상기 샤프트 지지부 밑면 사이의 상기 스위블 사프트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와셔; 및
    상기 스위블 샤프트의 하측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블 샤프트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샤프트 지지부 밑면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체결이 이루어지는 홈붙이 너트;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백커버의 후면 상부에 상기 거치판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끼워지도록 한 안착 홈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 홈에는 상기 제 1 아암과 제 2 아암이 접철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는 아암 삽입홈과 상기 고정 브래킷이 삽입될 수 있는 브래킷 삽입홈이 더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제 1 아암과 접철시에 대면하는 상기 제 2 아암의 표면에서 돌출한 고리 또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아암은, 상기 제 2 힌지유닛을 중심으로 한 상기 제 2 아암의 접철시에 대면하는 상기 록킹부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유닛은, 상기 고정 브래킷 하측과 상기 아암 삽입홈 내측의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록킹부의 고리 또는 후크 형상 부위가 이미 설정된 위치에 놓임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록킹부와 걸림 또는 그 해제가 이루어지는 후크 또는 고리 형상의 로커와; 상기 로커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로커를 선택적으로 회동시켜 상기 록킹부에 대한 상기 로커의 걸림을 해제토록 상기 시트에 설치되는 조작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는,
    상기 거치판의 전면에 볼 형상 부위를 갖는 볼 마운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아암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볼 마운트의 볼 형상 부위를 일부 감싸는 형상의 볼 수용부를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 2 아암의 타단에 볼 형상 부위를 갖는 볼 마운트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판의 전면에 상기 볼 마운트의 볼 형상 부위를 일부 감싸는 형상의 볼 수용부를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진 것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유닛은,
    상기 고정 브래킷의 상측으로 돌출한 상기 스위블 샤프트의 상단에 관 형성 방향이 수평인 단관 형상의 힌지 마운트;
    상기 힌지 마운트에 대응하며, 상기 제 1 아암의 일측단부에 설치되는 제 1 연결부재;
    상기 제 1 아암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그 하중에 대응하여 하중방향으로는 상기 제 1 아암의 회동이 방지되고 그 반대의 방향으로는 상기 제 1 아암의 회동이 허용되도록 상기 힌지 마운트에 설치되는 제 1 클러치 베어링;
    상기 제 1 클러치 베어링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 1 힌지 샤프트;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에 끼워지며, 상기 제 1 힌지 아암과 연결되는 제 1 브릿지; 및
    기 설정된 하중 이하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하중 방향으로 상기 제 1 아암이 회동하지 않고 기 설정된 하중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하중 방향으로 상기 제 1 아암이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제 1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하는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에 끼워져서 상기 제 1 브릿지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크 스프링;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에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와셔; 및
    상기 제 1 힌지 샤프트의 끝단에 체결되는 제 1 홈붙이 너트;를 포함하는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유닛은
    상기 제 2 힌지 아암의 타측단부에 형성되는 제 2 연결 부재;
    상기 제 2 연결 부재의 중심에 결합하는 제 2 힌지 샤프트;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에 끼워지며 상기 제 2 힌지 아암과 연결되는 제 2 브릿지; 및
    기 설정된 하중 이하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하중 방향으로 상기 제 2 아암이 회동하지 않고 기 설정된 하중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하중 방향으로 상기 제 2 아암이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제 2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하는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에 끼워져 상기 제 2 브릿지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제 2 디스크 스프링;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와셔; 및
    상기 제 2 힌지 샤프트의 끝단에 체결되는 제 2 홈붙이 너트;를 포함하는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KR1020140077626A 2014-06-24 2014-06-24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KR101599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626A KR101599966B1 (ko) 2014-06-24 2014-06-24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626A KR101599966B1 (ko) 2014-06-24 2014-06-24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568A KR20160000568A (ko) 2016-01-05
KR101599966B1 true KR101599966B1 (ko) 2016-03-15

Family

ID=5516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626A KR101599966B1 (ko) 2014-06-24 2014-06-24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9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365Y1 (ko) * 2016-08-09 2017-01-16 김주영 전자기기 거치대와 그것이 적용된 차량 좌석
CN113386681A (zh) * 2021-07-20 2021-09-14 华孚精密科技(马鞍山)有限公司 一种折叠可收纳式车载导航仪支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694U (ja) 2007-12-04 2008-02-28 芯誼 江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CN202521175U (zh) 2012-04-01 2012-11-07 浙江大华智网科技有限公司 一种被动红外探测器安装支架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0421B1 (ko) 1995-06-05 1998-07-01 박형인 유기성 오.폐수정화장치
KR20120125931A (ko) * 2011-05-09 2012-11-19 (주)하이텍파츠 볼 조인트 및 이를 구비한 장치 거치대
KR101321016B1 (ko) 2011-09-07 2013-10-23 주식회사 디엔피코리아 태블릿 pc의 거치고정장치
KR20140001599A (ko) * 2012-06-28 2014-01-07 임진휘 태블릿 컴퓨터 거치대가 부착된 자동차 시트
KR101528873B1 (ko) 2013-12-31 2015-06-16 (주)에이스 힌지텍 관절형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694U (ja) 2007-12-04 2008-02-28 芯誼 江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CN202521175U (zh) 2012-04-01 2012-11-07 浙江大华智网科技有限公司 一种被动红外探测器安装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568A (ko) 201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4226B2 (en) Apparatus for hanging on seatback inside vehicle
US20170129413A1 (en) Articulation type supporter for seat of a means of transportation
EP3165405B1 (en) Articulation type supporter for seat of a means of transportation
US20060066118A1 (en) Assembly for supporting an article in a vehicle
CN103732096B (zh) 具有可伸缩轮机构的移动存储装置
US9062821B2 (en) Apparatus for suspending and releasably holding an electronic media device having a viewable screen
KR101599966B1 (ko) 교통수단의 시트용 관절형 물품 거치대
US20200354063A1 (en) Holder assembly
CN107054188B (zh) 具有收折小桌板的汽车座椅
CN208682699U (zh) 一种升降双杯托
US20130126570A1 (en) Retracting storage tray system with locking trunnion
CN106671890A (zh) 交通工具的座椅用关节型物品支架
US7204463B2 (en) Balancer device for hanging article
FR3050703B1 (fr) Dispositif de support pour ecran.
CN111016744B (zh) 一种可收纳隐藏的座椅装置
CN111439184B (zh) 一种车载可收纳桌板
KR102334565B1 (ko) 지지력이 향상된 자동차용 멀티 컵홀더
CN210126485U (zh) 用于交通工具内的载物装置
KR200474064Y1 (ko) 모바일기기용 유니버설 마운트
CN210852164U (zh) 车载小桌板结构及车辆
CN210821943U (zh) 桌板、座椅及车辆
CN217917721U (zh) 车辆桌板
KR20060090951A (ko) 강의용 책상
CN211195960U (zh) 一种带电子设备支架的车内后排折叠桌
CN215862504U (zh) 一种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