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630A - 스트리트 뷰 기능을 갖는 헬스 기구 - Google Patents

스트리트 뷰 기능을 갖는 헬스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8630A
KR20140068630A KR1020120136339A KR20120136339A KR20140068630A KR 20140068630 A KR20140068630 A KR 20140068630A KR 1020120136339 A KR1020120136339 A KR 1020120136339A KR 20120136339 A KR20120136339 A KR 20120136339A KR 20140068630 A KR20140068630 A KR 20140068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street view
ped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714B1 (ko
Inventor
이주희
이재유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6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714B1/ko
Publication of KR20140068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4Geo-tagging, e.g. for correlating route or track location data with specific information related to that specific lo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헬스 기구는 페달 및 상기 페달에 연결된 웨이트를 포함하는 자전거 본체; 데이터 서버로부터 특정 지역의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수신 및 상기 데이터 서버로 데이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 상기 페달의 회전수를 센싱 하여 주행 신호를 발생시키는 페달 회전 감지부; 상기 주행 신호를 제공받아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 매칭 유닛; 상기 위치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영상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스트리트 뷰를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 상기 페달 회전 감지부, 상기 위치 매칭 유닛,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 주행 조건 신호를 제공하는 주행 설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리트 뷰 기능을 갖는 헬스 기구{HEALTH DEVICE HAVING STREET VIEW FUNCTION}
본 발명은 헬스 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스트리트 뷰(street view) 기능을 이용하여 고정식 자전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특정 지역을 실제 주행하는 느낌을 갖도록 하여 운동 효율을 향상시킨 헬스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실외 기상 조건에 상관없이 건강을 위해 실내에서 운동을 하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다양한 실내 운동 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실내 운동 기구로서는 실내에서 자전거를 타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내는 실내 고정식 자전거를 들 수 있다.
실내 고정식 자전거는 실외 기상 조건과 상관없이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반면 지루하게 운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운동 효율이 낮고 이로 인해 실내 고정식 자전거의 이용율이 낮은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실내에서 실내 고정식 자전거에 탑승하여 운동을 하면서도 실외에서 거리를 실제 주행하는 것과 유사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지루하지 않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 효율을 높이고 이용율을 향상시킨 헬스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헬스 기구는 페달 및 상기 페달에 연결된 웨이트를 포함하는 자전거 본체; 데이터 서버로부터 특정 지역의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수신 및 상기 데이터 서버로 데이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 상기 페달의 회전수를 센싱 하여 주행 신호를 발생시키는 페달 회전 감지부; 상기 주행 신호를 제공받아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 매칭 유닛; 상기 위치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영상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스트리트 뷰를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 상기 페달 회전 감지부, 상기 위치 매칭 유닛,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 주행 조건 신호를 제공하는 주행 설정부를 포함한다.
헬스 기구의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지도 서버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헬스 기구의 상기 웨이트는 상기 웨이트를 관통하며 원형 배열된 복수개의 센싱 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페달 회전 감지부는 상기 웨이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 홀로 광을 제공하는 발광 센서; 및 상기 웨이트의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 홀을 통과한 광을 제공받는 수광 센서를 포함한다.
헬스 기구의 상기 주행 설정부는 적어도 2 명이 상기 스트리트 뷰 내에서 레이싱을 수행하기 위한 레이싱 모드부, 단독으로 상기 스트리트 뷰 내에서 주행을 수행하는 주행 모드부 및 지역을 선택하기 위한 설정 모드부를 포함한다.
헬스 기구의 상기 스트리트 뷰 데이터는 해발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해발 데이터에 대응하여 해발이 상승할 경우, 상기 웨이트에 부하를 인가하는 부하 인가부를 더 포함한다.
헬스 기구의 상기 스트리트 뷰 데이터는 상기 특정 지역의 사운드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처리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연결된 스피커로 출력된다.
헬스 기구는 상기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 기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지역의 스트리트 뷰를 보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운동 효율을 향상시키고 헬스 기구의 이용율을 크게 증가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스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헬스 기구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헬스 기구의 표시부에 나타난 스트리트 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헬스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헬스 기구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헬스 기구의 표시부에 나타난 스트리트 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헬스 기구(100)는 자전거 본체(10), 데이터 송수신 모듈(20), 페달 회전 감지부(25), 위치 매칭 유닛(30), 인터페이스 모듈(40), 표시부(50), 제어부(60) 및 주행 설정부(70)를 포함한다.
제어부(60)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20), 페달 회전 감지부(25), 위치 매칭 유닛(30), 인터페이스 모듈(40) 및 주행 설정부(70)를 제어 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자전거 본체(10)는 바닥에 고정되는 본체 프레임(1), 안장을 갖는 본체 프레임(1)에 장착된 핸들(2), 본체 프레임(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페달(pedal;3) 및 페달(3)에 장착된 웨이트(4)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안장에 착석한 상태에서 웨이트(4)가 고정된 페달(3)을 회전시킴으로써 실제 자전거를 타는 것과 유사한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단순히 페달(3)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지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트리트 뷰(street view)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효율 및 헬스 기구(100)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스트리트 뷰를 이용하여 헬스 기구(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운동 효율 및 이용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헬스 기구(100)의 자전거 본체(10)에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20)이 장착된다.
데이터 송수신 모듈(20)은 인터넷에 연결, 근거리 통신망,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서버(data server;DS)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데이터 송수신 모듈(20)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서버(DS)에 연결된다.
데이터 서버(DS)에는 특정 지역의 스트리트 뷰 데이터(street view data)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서버(DS)에 저장된 스트리트 뷰 데이터에는 해발 고도 데이터와 같은 경사도 데이터를 함께 포함한다.
데이터 서버(DS)에 저장된 특정 지역은 한국의 서울, 미국의 뉴욕, 프랑스 파리, 이탈리아의 로마, 중국의 베이징 등 전세계 다양한 지역일 수 있다.
데이터 서버(DS)에 인터넷 등을 통해 연결되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20)은 데이터 서버(DS)로부터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거나 데이터 서버(DS)로 특정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기 위한 데이터 요청 신호를 업 로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데이터 서버(DS)로부터 다운로드 된 스트리트 뷰 데이터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기록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부(45)에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되며, 데이터 저장부(45)에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저장함에 따라 사용자는 언제라도 데이터 저장부(45)에 저장된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통해 재생된 스트리트 뷰를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 모듈(20)을 통해 데이터 서버(DS)로부터 다운로드 된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사용자가 페달(3)을 회전시키는 동작과 싱크 시키지 않을 경우 스트리트 뷰 데이터는 사용자의 운동과 연관될 수 없다.
페달 회전 감지부(25)는 사용자의 페달(3)의 회전을 센싱하여 주행 신호를 발생시킨다.
페달 회전 감지부(25)는 사용자가 페달(3)을 천천히 회전 또는 사용자가 페달(3)을 빠르게 회전시키는지를 센싱하여 주행 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페달 회전 감지부(25)는 사용자가 페달(3)을 회전시켜 얼마의 속도로 주행하는지를 센싱하여 주행 신호를 발생시킨다.
페달 회전 감지부(25)는 다양한 회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페달 회전 감지부(25)는 페달(3)과 함께 회전하는 웨이트(4)의 회전수를 센싱하는 발광 센서 및 수광 센서가 사용된다.
페달(3)에 결합되어 페달(3)과 함께 회전되는 웨이트(4)에는 웨이트(4)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센싱 홀들이 형성되며, 센싱 홀들은 웨이트(4)의 테두리를 따라 원형 배열되며, 각 센싱 홀들은 등 간격으로 웨이트(4)에 원형 배열된다.
발광 센서는 웨이트(4)의 일측인 본체 프레임(1)에 배치되어 센싱 홀로 광을 제공하고, 수광 센서는 웨이트(4)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인 본체 프레임(1)에 배치되어 센싱 홀을 통과한 광을 제공받는다.
발광 센서로부터 발생된 광은 페달(3)과 함께 회전하는 웨이트(4)에 단속적으로 형성된 센싱 홀을 통과하여 수광 센서에 도달하게 되는데 수광 센서에 도달되는 광의 주기(period)에 의하여 페달(3)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가 수광 센서로부터 출력된다.
위치 매칭 유닛(30)은 페달 회전 감지부(25)의 수광 센서로부터 출력된 센싱 신호에 의하여 페달(3)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주행 신호를 산출한다.
위치 매칭 유닛(30)은 페달 회전 감지부(25)로부터 산출 및 출력된 주행 신호 및 다운로드 된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스트리트 뷰 데이터 중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비교하여 위치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위치 신호는 제어부(60)로 제공되고, 위치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60)는 사용자가 스트리트 뷰 데이터에 설정된 경로 중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인터페이스 모듈(40)은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영상 신호로 변환하며, 인터페이스 모듈(4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은 위치 매칭 유닛(30)에 의하여 발생된 위치 신호에 기반한다.
즉, 사용자가 페달(3)을 회전함에 따라 페달 회전 감지부(25)로부터 발생된 주행 신호에 근거하여 위치 매칭 유닛(30)은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부(60)는 위치 신호를 기반으로 스트리트 뷰 데이터 중 위치 신호와 대응하는 특정 지역의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인터페이스 모듈(40)로 제공하고 인터페이스 모듈(40)은 특정 지역의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영상 신호로 변경하여 표시부(50)로 제공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페달(3)을 회전함에 따라 기 설정된 특정 지역을 달리는 것과 유사한 느낌으로 운동을 할 수 있고, 사용자가 페달(3)을 천천히 회전시킬 경우 사용자는 표시부(50)의 화면에 출력된 스트리트 뷰를 통해 거리를 천천히 달리는 느낌을 받고, 사용자가 페달(3)을 빨리 회전시킬 경우 사용자는 표시부(50)의 화면에 출력된 스트리트 뷰를 통해 거리를 빨리 달리는 느낌을 받게 된다.
이에 더하여 스트리트 뷰 데이터는 해당 지역의 사운드 데이터도 함께 포함할 수 있고, 스트리트 뷰 데이터에 사운드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 인터페이스 모듈(40)은 인터페이스 모듈(40)에 연결된 스피커(58)로 사운드 데이터를 재생하기에 적합한 신호를 전송하여 스트리트 뷰 및 스트리트 뷰의 소리도 함께 재생하여 사용자가 보다 흥미롭게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주행 설정부(70)는 사용자가 원하는 스트리트 뷰를 선택, 스트리트 뷰의 설정, 사용자가 레이싱 모드 또는 일반 주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주행 설정부(70)는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조작키들을 포함하며, 조작키들로부터 발생된 신호는 제어부(60)로 인가된다.
주행 설정부(70)는 사용자가 다양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조작키들을 포함하는 설정부(72), 사용자가 적어도 2 명의 유저들과 스트리트 뷰 상에서 레이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싱 모드부(74) 및 스트리트 뷰 상에서 일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주행 모드부(76)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데이터 서버(DS)로부터 제공되는 스트리트 뷰 데이터에는 해당 지역의 해발 고도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스트리트 뷰 데이터에 해당 지역의 해발 고도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 본체 프레임(1)에는 부하 인가부(80)가 추가적으로 장착된다.
부하 인가부(80)는 전기 에너지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을 갖는 모터 및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부하 인가부(80)의 롤러는 웨이트(4)에 결합 되며, 부하 인가부(80)의 롤러는 해발 고도 데이터에 대응하여 웨이트(4)의 정방향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 또는 웨이트(4)의 역방향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을 제공한다.
즉, 스트리트 뷰에서 오르막 길이 나올 경우 부하 인가부(80)는 해발 고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웨이트(4)에 역방향 회전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페달(3)의 부하를 증가시켜 사용자가 실제로 오르막길을 오르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준다.
반대로 스트리트 뷰에서 내리막 길이 나올 경우 부하 인가부(80)는 해발 고도 데이터에 근거하여 웨이트(4)에 정방향 회전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회전시키는 페달(3)의 부하를 감소시켜 사용자가 실제로 내리막길을 내려가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준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지역의 스트리트 뷰를 보면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운동 효율을 향상시키고 헬스 기구의 이용율을 크게 증가 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헬스 기구 10...자전거 본체
20...데이터 송수신 모듈 25...페달 회전 감지부
30...위치 매칭 유닛 40...인터페이스 모듈
50...표시부 60...제어부
70...주행 설정부

Claims (7)

  1. 페달 및 상기 페달에 연결된 웨이트를 포함하는 자전거 본체;
    데이터 서버로부터 특정 지역의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수신 및 상기 데이터 서버로 데이터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
    상기 페달의 회전수를 센싱 하여 주행 신호를 발생시키는 페달 회전 감지부;
    상기 주행 신호를 제공받아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 매칭 유닛;
    상기 위치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영상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영상 신호를 제공받아 스트리트 뷰를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 상기 페달 회전 감지부, 상기 위치 매칭 유닛,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 주행 조건 신호를 제공하는 주행 설정부를 포함하는 헬스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지도 서버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헬스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는 상기 웨이트를 관통하며 원형 배열된 복수개의 센싱 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페달 회전 감지부는 상기 웨이트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 홀로 광을 제공하는 발광 센서; 및
    상기 웨이트의 상기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싱 홀을 통과한 광을 제공받는 수광 센서를 포함하는 헬스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설정부는 적어도 2 명이 상기 스트리트 뷰 내에서 레이싱을 수행하기 위한 레이싱 모드부, 단독으로 상기 스트리트 뷰 내에서 주행을 수행하는 주행 모드부 및 지역을 선택하기 위한 지도 설정 모드부를 포함하는 헬스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트 뷰 데이터는 해발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해발 데이터에 대응하여 해발이 상승할 경우, 상기 웨이트에 부하를 인가하는 부하 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헬스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트 뷰 데이터는 상기 특정 지역의 사운드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처리되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연결된 스피커로 출력되는 헬스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트 뷰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헬스 기구.
KR1020120136339A 2012-11-28 2012-11-28 스트리트 뷰 기능을 갖는 헬스 기구 KR101505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339A KR101505714B1 (ko) 2012-11-28 2012-11-28 스트리트 뷰 기능을 갖는 헬스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6339A KR101505714B1 (ko) 2012-11-28 2012-11-28 스트리트 뷰 기능을 갖는 헬스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630A true KR20140068630A (ko) 2014-06-09
KR101505714B1 KR101505714B1 (ko) 2015-03-25

Family

ID=51124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6339A KR101505714B1 (ko) 2012-11-28 2012-11-28 스트리트 뷰 기능을 갖는 헬스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0409A (zh) * 2016-11-11 2017-03-29 闽南师范大学 一种基于实景地图的健身自行车及健身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650B1 (ko) * 2006-04-10 2007-12-21 에이디파워 주식회사 게임 기능을 구비한 헬스 싸이클
KR101051039B1 (ko) * 2009-10-28 2011-07-21 용두조경개발(주) 운동 및 게임 기능을 갖는 헬스자전거 운동기구
KR101036096B1 (ko) 2010-02-05 2011-05-19 최장원 운동용 자전거
KR101258250B1 (ko) * 2010-12-31 2013-04-25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체감형 자전거 운동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0409A (zh) * 2016-11-11 2017-03-29 闽南师范大学 一种基于实景地图的健身自行车及健身方法
CN106540409B (zh) * 2016-11-11 2019-08-13 闽南师范大学 一种基于实景地图的健身自行车及健身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714B1 (ko) 2015-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54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ing
KR101017664B1 (ko) 온라인 가상 현실 운동 시스템
US95860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real world exercise sessions
US9259614B2 (en) Sports training device
KR101461817B1 (ko) 실감형 자전거 시뮬레이터 시스템
EP2233180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on an exercise device
US8029415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on an exercise device
KR101666811B1 (ko) 실제 운행환경을 구현하는 자전거 운행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관리 방법
US20100022354A1 (en) Exercise equipment with movable handle bars to simulate steering motion in a simulated environment and methods therefor
TW201815444A (zh) 遠端顯示器上的重疊運動資訊
US20100035726A1 (en) Cardio-fitness station with virtual-reality capability
KR20120132268A (ko) 가상주행 영상장치를 갖는 런닝머신 및 런닝머신의 구동방법
JP2019501002A (ja) 定置式エルゴメトリック運動装置
KR101246826B1 (ko) 역주행 및 부하 제공이 가능한 자전거 시뮬레이션시스템
KR100478109B1 (ko) 인공지능형 런닝머신
KR101505714B1 (ko) 스트리트 뷰 기능을 갖는 헬스 기구
KR101759096B1 (ko) 마그네틱브레이크를 이용한 실내 자전거 및 그 시스템
KR20180066468A (ko) 가상 현실을 이용한 자전거 운동 기구
TWM510779U (zh) 一種具有模擬實境運動的雲端健身車
JP3235301U (ja) フィットネス制御システム及びスピンバイク
KR101441575B1 (ko) 부하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폰 휘트니스 장치
KR101695279B1 (ko) U Health를 위한 3D 또는 4D 시뮬레이션 운동기기
JP2022118692A (ja) エクササイズシステム、エクササイズ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4832351A (zh) 锻炼系统、用于提供锻炼的方法和计算机程序
KR20140005375U (ko) 실내 자전거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