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8160A - 약물 투여량의 자동 주입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약물 투여량의 자동 주입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8160A
KR20140068160A KR1020147009127A KR20147009127A KR20140068160A KR 20140068160 A KR20140068160 A KR 20140068160A KR 1020147009127 A KR1020147009127 A KR 1020147009127A KR 20147009127 A KR20147009127 A KR 20147009127A KR 20140068160 A KR20140068160 A KR 20140068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se
slide
axial
needle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9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5559B1 (ko
Inventor
마크 제프리 에드하우스
필립 제로미 드라이버
가이 콘윈 쥴리안 모슬리
스코트 알렉산더 루이스
Original Assignee
메나리니 인터내셔날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나리니 인터내셔날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아. filed Critical 메나리니 인터내셔날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40068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2Retractable needles, i.e. disconnected from and withdrawn into the syringe barrel by the piston
    • A61M5/3232Semi-automatic needle retraction, i.e. in which triggering of the needle retraction requires a deliberate action by the user, e.g. manual release of spring-biased retrac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35Means improving security or handling thereof, e.g. blocking means, means preventing insufficient dosing, means allowing correction of overset d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45Setting modes for dosing
    • A61M5/31548Mechanically operated dose setting member
    • A61M5/3155Mechanically operated dose setting member by rotational movement of dose setting member, e.g. during setting or filling of a syringe
    • A61M5/31553Mechanically operated dose setting member by rotational movement of dose setting member, e.g. during setting or filling of a syringe without axial movement of dose sett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33Dosing mechanisms, i.e. setting a dose
    • A61M5/31545Setting modes for dosing
    • A61M5/31548Mechanically operated dose setting member
    • A61M5/3156Mechanically operated dose setting member using volume steps only adjustable in discrete intervals, i.e. individually distinct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2Devices for protection of the needle before use, e.g. caps
    • A61M5/3204Needle cap remover, i.e. devices to dislodge protection cover from needle or needle hub, e.g. deshiel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06Having specific accessories
    • A61M2005/2013Having specific accessories triggering of discharging means by contact of injector with patient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6With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 A61M5/3245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e.g. to improve manipulation or functioning
    • A61M2005/3247Means to impede repositioning of protection sleeve from needle covering to needle uncover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1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audibl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8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 A61M2205/582Means for facilitating use, e.g. by people with impaired vision by tactile feed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약물 화합물의 투여량의 자동 주입을 위한 장치는 주입 부위에 대하여 그 전방 단부(3)에서 눌러질 때 플런저의 트리거링을 작동시키도록 캠 수단(26, 27, 28)과 상호작용하여 약물 투여량의 전달을 제어하는 활주 외피(30)를 포함한다. 플런저 안내 수단(44)이 트리거링 시퀀스 및 투여량 전달 위치에서 장치를 장전하기 위한 수단(4)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각 투여량이 전달된 이후 자동 바늘 외피재형성 및 로크 아웃 상태 재설정이 제공된다. 장치 구성요소들의 수가 감소되며 간단한 구조 및 비용 절감이 얻어진다.

Description

약물 투여량의 자동 주입을 위한 장치 {DEVICE FOR AUTOMATIC INJECTION OF DRUG DOS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약의 주입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약, 특히 에피네프린 또는 아드레날린 같은 알러지 응급조치를 위한 약을 요구되는 시간 순서에 따라 자동 주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2개의 연속적 시간으로 2개의 약 투여량을 자동 주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약의 하나 이상의(일반적으로 2개) 투여량을 환자가 자체 투약할 수 있게 하는 상술한 유형의 다수의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US6575939는 서로에 관하여 활주할 수 있는 내부 부분과 외부 부분에 의해 형성된 케이싱 내에 수납된 주사기를 포함하는 자동주입기 장치를 개시한다. 주입 부위에서 환자의 피부에 대해 내부 부분의 단부(바늘 출구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외부 부분은 내부 부분을 따라 전방으로 활주되고 따라서 푸시 버튼을 언로킹한다. 버튼을 누르면, 주사기와 관련 플런저는 바늘 내에서 제 1 추력으로 트리거되고, 그후, 약을 전달한다. 케이싱 내에서의 바늘 수축은 피부에 대해 외부 부분 단부를 가압하는 것을 정지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자동 주입기는 약의 단일 투여량이 투약될 수 있게 한다.
약의 단일 투여량을 자동 투약하기 위한 자동주입기 장치가 또한 US4031893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자동주입기는 구동장치의 변형가능한 부재를 갖는 언로킹 장치를 구비한다. 주사기 플런저는 로드에 축방향으로 연결되며, 로드는 주사기 하우징의 단부에 배치된 캡 상에 형성된 개구의 에지 상에 결합된 치형 단부를 구비하는 4개 가요성 축방향 아암을 포함한다. 캡 활주는 아암 단부의 변형을 유발하고 그 치형부가 개구 에지로부터 해제되게 한다. 이 방식으로, 구동 장치가 트리거된다. 이 문서에 따른 자동주입기는 또한 아암 단부의 우발적 변형 및 구동 장치의 트리거링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 장치를 포함하며, 이 안전 장치는 캡으로부터 중앙에서 연장하면서 로드 아암 사이에서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로드 아암들이 굴곡되지 않게 하는 인서트를 포함한다.
EP700307은 약의 제 1 투여량의 자동 전달과 제 2 투여량의 수동 투약을 가능하게 하는 2개 투여량 자동주입기를 개시한다. 이 특허에 따른 자동주입기 장치는 2개 부분의 관형 하우징 내에서 활주식으로 수납된 주사기의 사용을 고려하며, 이 2개 부분은 전달 대상 약의 2개 투여량을 포함하는 주사기의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분리될 수 있고 사용 이후 제거될 수 있다. 바늘을 침투시키고 약을 주입하기 위한 하우징 내에서의 주사기의 활주는 장전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작동기에 의해 작동된다. 제 1 투여량의 체적에 대응하는 정도로 주사기 플런저의 활주를 제한하기 위해 해제가능한 로킹 장치가 제공된다. 주사기는 제 1 투여량이 전달된 이후 로킹 장치가 제거되고, 제 2 투여량이 자동으로 투약되는 경우 플런저 구동 수단이 다시 장전되거나 제 2 투여량이 수동 투약되는 경우 주사기가 제거될 수 있게 하는 가동적 방식으로 관형 하우징 내에 장착된다. 또한, 구동 수단은 구동 수단의 변형가능한 핀과 결합하여 이를 변형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그 트리거를 방지하는 부재에 의해 형성된 안전 로킹부를 구비한다. 이 유형의 자동주입기는 상표명 Twinject®하에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으며, 제 1 투여량이 자동으로 투약될 수 있게 하지만 제 2 투여량은 반드시 수동으로 투약되어야만 한다.
EP651662에 따른 자동주입기는 관형 하우징의 제한된 활주 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단일 주사기로부터 일련의 주입(a sequence of injection)을 수행하도록 설계된다. 주사기는 바늘을 통해 약의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해 플런저를 가지며, 스프링 구동 수단은 플런저 로드와 결합하고, 이들이 장전되고 나면, 로드를 제 1 위치에 보유하며, 이들이 트리거링될 때, 로드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하며, 이는 제 1 주사기가 활주하게 하고, 바늘이 돌출하게 하며, 그후, 약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해 플런저의 제어된 활주를 가능하게 한다. 수동 장전 수단 및 스프링 구동 수단을 다시 트리거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플런저 로드는 치형 프로파일을 가지며, 이 치형 프로파일 상에는 구동 수단의 포획부가 결합하고, 주사기는 관형 하우징 내에서 제한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부싱 내에 수납되며, 추가적 포획부를 구비하고, 이 추가적 포획부는 또한 로드의 치형 프로파일과 결합된다. 장치가 수동 장전 수단에 의해 장전될 때, 내부에 주사기가 배치되는 부싱 및 구동 수단 양자 모두가 관형 하우징의 후방 단부를 향해 변위되고, 두 개의 포획부는 로드의 치형 프로파일과 결합한다. 부싱과 구동 수단 사이의 축방향 홈 연결은 프로파일의 피치와 같은 정도의 치형 프로파일과 구동 수단과 일체인 포획부 사이의 추가적 활주를 가능하게 한다. 장치가 트리거될 때, 먼저, 구동 수단이 주사기 부싱이 전방 정지부까지 활주되게 하고, 그후, 로드가 프로파일 피치에 대응하는 범위 동안 부싱 피치에 대해 활주를 시작하며, 약의 체적의 변위는 바늘을 통한 그 전달과 함께 가능화된다.
사용자 친화적이며, 종래의 장치에 비해 제조가 더 용이한, 2개 연속적 투여량으로의 약의 자동 주입을 위한 주입기 장치에 대한 강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장 쉽게 가능한 방식으로 환자가 약의 2개 연속적 투여량을 자체 투약할 수 있게 하는 약 자동주입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이들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것이며, 따라서, 환자가 잠재적으로 위험하고, 복잡한 분리/재장전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반적 목적은 약물 화합물의 다수의 불연속적 공칭 체적, 특히, 동일 주사기로부터 약물 화합물의 2개 투여량의 자동 주입을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목적은 약물 화합물의 불연속적 공칭 체적의 자동 주입이 장치 구성요소의 회전 및 병진 이동의 조합에 의해 달성되는 상술한 유형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정된 투여량의 자동 주입이 캡슐화된 새시 내의 캠 수단에 의해 안내되는 플런저 수단의 각도 변위와 조합된 구성요소의 환자 작동 선형 활주의 사용에 의해 트리거되는 상술한 유형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투여량이 선택되기 이전의 장치의 비의도적 트리거링의 방지와 바늘 보호를 위한 자동 외피형성(automatic sheathing) 로크 아웃 특징을 갖는 상술한 유형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여량이 주입된 이후 바늘의 자동 외피재형성(re-sheathing) 및 로크아웃 상태의 재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상술한 유형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리거링 기능 및 구동 기능이 동일 지지부 상에 통합되어 공차를 저하시키고, 신뢰성을 증가시키며 장치의 구성요소의 수를 감소시키는 상술한 유형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또한 간단한 장치 구조 및 제조 비용 감소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제조 및 조립이 수행하기 용이한 상술한 유형의 자동주입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그 주 특징이 첨부된 청구항 1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약의 투여량의 자동 주입을 위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중요한 특징이 종속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 화합물의 투여량의 자동 주입을 위한 장치의 중요한 양태에 따라서, 사용자가 주입 부위에 대해 그 전방 단부를 누름으로써 유발되는 활주 외피의 축방향 이동이 캠 트리거 수단의 각도 변위를 유발하며, 이는 계단식 안내 수단과 협력하여 주사기 그룹의 플런저 수단의 이동 및 이에 따라 약물 화합물의 지정된 투여량의 전달을 제어한다. 플런저 수단의 이동은 제 1 탄성 수단을 축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생성되고, 활주 외피의 축방향 이동은 압력 작용이 중단될 때 외피의 초기 바늘 덮음 상태를 회복하는 제 2 탄성 수단에 의해 저지된다. 투여량의 전달을 위해 준비된 장치를 형성하기 위해, 장치 장전 수단이 제공되고, 이는 작동시 외피 축방향 활주를 언로킹한다. 압력이 제 2 탄성 수단의 작용 하에 중단될 때, 로크 아웃 상태 및 활주 외피 내에서의 바늘 수축은 자동으로 회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중요한 양태에 따라서, 캠 트리거 수단은 그에 의해 활주 외피가 주사기 그룹의 플런저 수단의 트리거링을 제어하도록 상호작용하는 캠 구동 수단과 축방향으로 피봇가능한 동일한 지지부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장치가 휴지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은 캠 트리거 수단 및 캠 구동 수단의 지지부 상에 형성되고, 장치 본체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지지부에 일시적으로 연결되는 투여량 선택 노브의 회전의 결과로서 언로킹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입기 장치의 상술한 특징 및 다른 특징과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는 그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주입기 장치의 사시 조립도.
도 2는 도 1의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장치의 완전 분해도.
도 4는 도 1의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선 V-V를 따라 취한 도 1의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장치의 플런저 로드와 투여량 선택 노브 사이의 연결의 상세도.
도 7은 도 6의 상세 분해도.
도 8은 투여량 선택 노브의 축방향 사시도.
도 9는 플런저 로드의 상면 부분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장치의 외부 본체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외부 본체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외부 본체의 상면 부분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장치의 주사기 그룹의 조립도.
도 14는 본 발명의 장치의 활주 외피와 캠 슬리브 사이의 작동식 연결의 사시도.
도 15는 활주 외피의 축방향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선 XVI-XVI을 따라 취한 활주 외피의 단면도.
도 17은 도 15 및 도 16의 활주 외피의 전방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장치의 캠 슬리브의 축방향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캠 슬리브의 후방 사시도.
도 20은 도 18의 캠 슬리브의 전방 사시도.
도 21은 제 1 투여량이 전달을 위해 장전된, 트리거링 준비 상태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a, 도 22b 및 도 22c는 위치 0(보관 위치) 및 위치 1(제 1 투여량 장전)에서 본 발명의 장치의 상세도.
도 23a 및 도 23b는 제 1 투여량 전달 단계 시작 및 종료시의 본 발명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외피재형성 및 재설정 단계에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a 및 도 25b는 제 2 투여량 선택 단계의 세부사항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a, 도 26b 및 도 26c는 제 2 투여량의 전달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주입기의 제 2 실시예의 사시 조립도.
도 28은 도 27의 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9는 도 27의 장치의 완전 분해도.
도 30은 도 27의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31은 도 30의 선 XXXI-XXXI을 따라 취한, 도 27의 장치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32는 도 27의 장치의 플런저 로드와 투여량 선택 노브 사이의 연결의 상세도.
도 33은 도 32의 상세 분해도.
도 33a는 래칫과 플런저 로드 사이의 연결의 상세 단면도.
도 34는 플런저 로드의 상면 부분 사시도.
도 35는 투여량 선택 노브-래칫 조립체의 축방향 사시도.
도 36은 도 27의 장치의 외부 본체를 형성하는 새시-외부 슬리브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7은 조립된 도 36의 새시-외부 슬리브 조립체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38은 도 36의 새시의 상단 부분 사시도.
도 39는 도 27의 장치의 주사기 그룹의 조립도.
도 40a, 도 40b 및 도 40c는 각각 도 27의 장치의 활주 외피의 도 40a의 선 40c-40c를 따라 취한 측면도, 사시도 및 길이방향 단면도.
도 41a, 도 41b 및 도 41c는 각각 도 27의 장치의 캠 슬리브의 측면도, 사시도 및 반전 사시도.
도 42는 도 27의 장치의 활주 외피와 캠 슬리브 사이의 작동식 연결의 사시도.
도 43a 및 도 43b는 위치 0(보관 위치) 및 위치 1(제 1 투여량 장전)의 도 27의 장치의 상세도.
도 43c는 도 43b의 제 1 투여량 장전 위치에서 장치의 횡방향 단면도.
도 44a 및 도 44b는 트리거링 지점의 직전 및 트리거링 지점에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5는 외피재형성 단계 동안 제 1 투여량을 전달한 이후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6a 및 도 46b는 각각 제 1 투여량 전달 이후의 보관 위치의 장치 및 제 2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해 준비된 제 2 투여량 장전 위치의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47a, 도 47b 및 도 47c는 각각 도 46b의 제 2 투여량 장전 위치에서, 트리거링 지점을 향한 이동 동안 및 제 2 투여량 트리거링 단계에서 도 27의 장치를 도시하는 파단 부분 측면 사시도.
도 48a, 도 48b 및 도 48c는 각각 디커플링 단계 이전, 디커플링 단계 도중 및 디커플링 단계에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베이어닛 연결의 상세 측면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주입기 장치는 관형 형상의 외부 본체(1), 특히, 축(X)을 따라 연장하면서 장치 구성요소의 대부분을 수용하는 원통형 본체를 포함한다. 외부 본체는 계단부(1c)에 의해 분리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두 개의 동축으로 정렬된 본체 부분(1a, 1b)에 의해 형성되며, 계단부에 대해 제거가능한 단부 캡(2)이 접하고, 상기 캡(2)은 장치의 전방 단부(3)를 은닉한다. 장치의 다른 단부, 후방 단부의 부근에서, 각도 간격을 두고 이격된 기준 마크가 형성 또는 라벨링되며, 후술된 바와 같이, 숫자 0, 1, 2는 예로서, 장치의 두 개의 작동 상태(1, 2)와 휴지 보관 상태(0)를 나타낸다. 본 설명에서, 용어 "전방", "후방" 및 등가의 단어는 각각 바늘 출구를 위해 의도된 장치의 부분과, 축방향으로 그에 대향된 부분에 관련된다. 또한, 본 설명은 항상 약물의 2개 투여량의 자동 주입을 위한 장치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또한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명백히 알 수 있는 장치에 대한 변경 또는 수정을 통해 연속적 시기에 약물의 2개 이상의 투여량을 전달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는 것을 언급해둔다.
기준 지시기(5)가 그 위에 형성되어 있는 투여량 선택 노브(4)가 장치의 후방 단부에 제공된다. 투여량 선택 노브(4)는 지시기(5)가 그 위에 형성된 기준 마크(4)에 대해 정렬될 수 있게 하도록 외부 본체(1)에 대해 축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전체가 6으로 표시된 주사기 그룹은 외부 본체(1) 내에 수납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 그룹은 바늘(7a), 바늘 차폐부(7b), 배럴(7c) 및 내부 플런저 정지부(7d)를 갖는 약물이 예비장전된 주사기(7)를 포함한다. 배럴(7c)에는 서로 다른 직경의 두 개의 부분(8a, 8b)에서 관형 요소에 의해 형성된 플런저 로드(8)의 단부가 결합된다. 부분(8a)은 내부로 활주될 수 있도록 배럴(7c)의 내부 섹션에 관하여 유격 상태에 있는 단면과, 축방향 이동의 결과로서 플런저 정지부(7d)와 결합하여 약물 전달시 이를 전방으로 추진하는 방식으로 성형된 단부를 갖는다. 플런저 로드(8)의 부분(8b)은 더 큰 직경을 가지며, 플런저 로드(8)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파워 스프링(10)을 정렬하기 위한 내부 반경방향 리브(9)를 갖도록 형성된다. 파워 스프링(10)은 압축 상태에 있고, 일 단부가 플런저 로드(8)의 부분(8a)의 폐쇄 단부에 대해 접하고, 그 다른 단부가 투여량 선택 노브(4)의 저부 벽(4a)에 대해 접한다. 또한, 파워 스프링(10)은 투여량 선택 노브(4)의 동일 저부 벽(4a)으로부터 플런저 로드(8)의 부분(8a)의 폐쇄 단부까지 연장하는 지지 로드(11) 둘레에 감겨진다. 지지 로드(11)와 플런저 로드의 부분(8a)과 반경방향 리브(9) 사이의 파워 스프링(10)의 정렬은 파워 스프링(10)의 버클링(buckling)을 최소화하는 것을 돕는다.
장치 보관 상태에서, 투여량 선택 노브(4)는 베이어닛 연결에 의해 플런저 로드(8)의 부분(8b)에 연결되고, 베이어닛 연결은 특히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위치들에서 부분(8b) 상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실질적으로 L-형상의 슬롯(12)의 쌍과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위치들에서 투여량 선택 노브(4)로부터 내부적으로 돌출하는 보유 클립(13)의 쌍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L-형상의 슬롯(12)은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보유 슬롯 분기(12a)와, 플런저 로드(8)의 부분(8b)의 에지까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해제 슬롯 분기(12b)를 포함한다. 노브(4) 상의 지시기(5)가 기준 마크(0)에 정렬될 때, 두 개의 보유 클립(13)은 슬롯(12)의 각각의 보유 슬롯 분기(12a)에 결합됨으로써 플런저 로드(8)가 축방향으로 활주되는 것을 방지한다. 노브(4)에 대한 플런저 로드의 축방향 각 변위의 결과로서, 보유 클립(13)은 이들이 플런저 로드(8)의 부분(8b)의 자유 단부까지 후방으로 연장하는 각각의 해제 슬롯 분기(12b)에 정렬된 상태가 됨으로써 장치 동작에 대하여 후술될 바와 같이 파워 스프링(10)의 작용 하에 플런저 로드(8)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할 때까지 보유 슬롯 분기(12a) 내에서 활주한다.
두 개의 반경방향 페그(15)는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부분에서 플런저 로드의 부분(8b)으로부터 외향 돌출한다. 트리거 캠 수단 내에서 활주하는 이 두 개의 반경방향 페그(15)는 후술될 바와 같이 약물 투여량 전달을 제어하는 플런저 로드(8)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여량 선택 노브(4)는 주연 홈(16)을 갖도록 형성되고, 주연 홈 내에서, 외부 본체(1)의 후방 단부의 언더컷(17)이 활주식으로 결합하고, 여기서, 투여량 선택 노브(4)는 전달 대상 투여량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외부 본체(1)에 대하여 피봇할 수 있다.
투여량 선택 노브(4)는 단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를 위해, 노브(4)와 외부 본체(1) 사이의 연결은 투여량 선택의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수단은 노브(4)가 회전될 때 두 개의 경사 계단부(19a,19b)(단 하나만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됨)를 형성하는 인덱싱 경사 표면(19) 상에 활주식으로 접하도록 배치된, 노브(4)의 에지로부터 주연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래칫 레그(18)(도 6 및 도 7 참조)를 포함한다. 레그(18)가 경사 표면(19) 상으로 활주할 때, 먼저 이들이 굴곡되고, 그후, 경사부를 넘고 나면, 이들은 경사부의 단부에 존재하는 경사 계단부(19a,19b)에서 트리거되고 이에 대해 접하며 역방향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정지 리브(20)는 경사 표면 상에 제공되며, 이 경사 표면에 대하여 래칫 레그(18)가 접하여 노브가 제 2 투여량 전달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한 이후 임의의 추가적 노브 회전을 방지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발부(21)의 쌍은 플런저 로드(8)의 부분(8b) 위로 투여량 선택 노브(4)의 자유 에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며, 그 후방 단부에 형성된, 본 설명에서 캠 슬리브(23)(도 18 내지 도 20)라 지칭되는, 관형 형상의 지지부(23)의 각각의 좌대(22)에 결합한다. 좌대(22)는 선단 에지(22a)를 가지며, 이 선단 에지에 대하여 발부(21)가 접하여 캠 슬리브(23)가 투여량 선택 노브(4)와 일체로 회전하게한다. 위치설정 플랜지(24)는 그 후방 단부 부근에서 외부 본체(1) 내에서 대응하는 림(25) 상에 안치되도록 설계된 캠 슬리브(23)의 동일 단부 둘레로 외향 연장하며, 그에 의해, 상호 축방향 활주를 방지한다.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슬리브(23)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두 개의 섹션, 즉, 전방 섹션이라 지칭되는 전방 단부를 향한 제 1 섹션(23a) 및 후방 섹션이라 지칭되는 후방 단부를 향한 제 2 섹션(23b)을 갖도록 형성된다. 전방 섹션(23a)은 활주가능한 외피(30)(도 14 참조)에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그 축방향 활주는 캠 슬리브(23)가 후술될 바와 같이 각도방향으로 변위되게 하며, 후방 섹션(23b)은 그 반경방향 페그(15)를 통해 플런저 로드(8)에, 그리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투여량 선택 노브(4)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특히, 도 20 참조).
캠 슬리브(23)는 외부 본체(1) 내에서 피봇가능하고, 위치설정 플랜지(24)에 의해 축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유지된다.
캠 슬리브(23)의 후방 섹션(23b)은 플런저 로드(8)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트리거 캠 수단을 구비한다. 트리거 캠 수단은 직경방향으로 대향되고 그 형상에 관하여 축방향 회전 대칭이며, 제 1 투여량 트리거 캠 트랙(27a)을 형성하는 각각의 축방향 연장 채널(27)을 통해 캠 슬리브의 후방 에지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두 개의 윈도우(26)를 포함한다. 각 윈도우는 두 개의 평행한 원주방향 측부(26a, 26b), 측부(26a, 26b)의 두 단부를 연결하는 축방향 측부(26c) 및 채널(27)의 일 측부에 채널(27)에 대향한 측부(26b)의 다른 단부를 연결하는 축방향 측부(26c)에 대향된 경사진 측부(26d)에 의해 한정된다. 채널(27)은 경사진 측부(26d)에서 윈도우(26)를 개방하며, 축방향 측부(26c)는 제 2 투여량 트리거 캠 트랙을 형성한다. 제 1 투여량 트리거 캠 트랙(26c)은 제 2 투여량 트리거 캠 트랙(27a)으로부터 각도방향으로 이격된다.
구동 캠 수단(28)은 캠 슬리브(23)의 전방 섹션(23a)의 외부 표면 상에서 엠보싱된다. 구동 캠 수단(28)은 상기 표면 상에서 각도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된 형태로 4회 반복되는 캠 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된다. 캠 프로파일은 제 1 구동 캠 트랙(28a)을 포함하고, 이 제 1 구동 캠 트랙은 슬리브 캠(23)의 단부로부터 연장하며, 단순성을 위해 상향 트랙이라 지칭되고, 축 X에 관하여 경사지며, 캠 프로파일은 제 2 구동 캠 트랙(28b)을 포함하고, 이 제 2 구동 캠 트랙은 단순성을 위해 하향 트랙이라 지칭되며, 캠 슬리브(23)의 동일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제 1 구동 캠 트랙(28a)과 함께 수반(incident with)한다. 상향 트랙(28a) 상에서, 그리고, 연속적으로, 하향 트랙(28b) 상에서, 한 쌍의 구동 핀(32)이 활주하도록 설계된다. 구동 핀(32)은 두 개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활주 외피(30)의 축방향 구동 레그(31)로부터 내향 돌출한다(도 15 내지 도 17). 압력 작용이 활주 외피(30)의 자유 단부(3) 상에 작용될 때, 캠 슬리브(23)는 상향 트랙(28a)의 경사 방향에 대해 대향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때마다 압력 작용이 중단된다.
구동 캠(28)의 하향 트랙(28b)에서, 관련 외팔보 레그(29)는 구동 핀(32)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내향 편향되도록 형성된다. 장치의 보관 상태에서, 구동 핀(32)은 외팔보 레그(29)의 자유 단부에서 축방향 로크 아웃 에지(29a)(도 4 및 도 14) 상에 접함으로써, 활주 외피(30)가 장치의 후방 단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축방향 로크 아웃 에지(29a)의 측부에 배치된 정지 에지(28c)는 후술될 바와 같이 제 1 투여량 및 제 2 투여량 전달의 위치들을 초과하여 투여량 선택 노브(4)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동 핀(32)을 위한 접대부로서 기능한다.
구동 레그(31)에 대향한 측부의 활주 외피(30)의 단부는 장치의 전방 단부(3), 즉, 주입 위치에서 환자 피부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단부를 구성한다. 주사기(7)의 바늘(7a)은 그 위의 중앙 개구(33)를 통해 상기 전방 단부(3)로부터 돌출한다. 주사기(7)를 활주식으로 수납하기 위한 중앙 스프링 돌기(34)는 활주 외피(30)의 전방 단부(3)의 내부면으로부터 연장한다. 복귀 스프링(35)은 중앙 스프링 돌기(34) 둘레에 감겨지고, 일 단부가 전방 단부(3)의 내부면에 대해 접하고 그 다른 단부는 외부 본체(1)의 표면에 대해 접한다.
구동 레그(31)는 외부 본체(1)에 형성된 축방향 안내부(36)와 활주식으로 결합하며, 활주 외피(30)는 외부 본체(1) 내에서 단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 레그(31)에 대해 90°로 배열된 두 개의 광폭 축방향 개구(37)가 활주 외피(30) 상에 형성된다. 축방향 개구(37)는 외부 본체(1) 상에 형성된 대응 투명 검사 윈도우(38)에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이 윈도우를 통해 주사기(7)의 배럴(7c)을 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약물 전달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외부 본체(1) 상의 복귀 스프링(35)을 위한 접촉 표면은 상기 검사 윈도우(38)의 저부 벽(38a)에 의해 구성된다. 축방향 개구(37)는 외부 본체(1)의 개구와 충돌하지 않으면서 필요한 거리만큼 활주 외피(30)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한 쌍의 조립 클립(39)이 활주 외피(30)의 축방향 개구(37) 내에서 그 저부로부터 연장하여 외부 본체(1)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대응 단부 정지부(40)와 스냅 결합함으로써 외부 본체(1) 내에서 활주 외피(30)의 조립을 가능하게 하며 그 해제를 방지한다.
외부 본체(1)의 전방 에지는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측부에서 활주 외피(30) 상에 형성된 한쌍의 가요성 가지부(41)의 각각의 선단 에지(41a) 상에 접한다. 이들 가지부의 선단 에지(41a)는 활주 외피(30)의 이동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고 외부 본체(1)의 에지가 가지부(41)의 최대 돌출 단부를 극복할 때까지 내향으로 가지부(41)를 편향시키는 적당한 추력의 결과로서만 이 이동이 가능하게 하도록 경사져있다. 가지부(41)의 해제에 의해 후속하여 생성된 운동은 주사기(7)의 바늘(7a)을 주입 부위로 신속히 삽입하는 것을 돕는다.
주사기(7)를 위한 관형 하우징(42)은 외부 본체(1) 내에 형성되고, 플랜지(42a)는 그 일단부에 형성되고, 배럴(7c)의 대응 플랜지(7e)가 그 위에 안치된다. 두 개의 플랜지는 외부 본체(1)로부터 내향 돌출하는 보유 클립(43)에 의해 서로 로킹된다(도 5, 도 11 및 도 13 참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 수단(44)은 플런저 로드(8)의 축방향 이동을 제어하고 전달된 약물의 체적을 이 방식으로 제한하기 위해 외부 본체(1)의 내부 표면 상에 엠보싱된다. 이들 안내 수단은 축 X 상에 수직인 평면 상에 배치된 제 1 배치 면(44a), 제 2 배치 면(44b) 및 정지 레지(44c)를 갖는 계단식 트랙의 형태이다. 제 1 배치 면(44a)의 에지는 제 1 축방향 측부(44d)에 의해 제 2 배치 면(44b)에 연결되고, 제 2 배치 면(44b)의 에지는 제 2 축방향 측부(44e)에 의해 정지 레지(44c)에 연결된다. 그 형상에 관하여 축방향 회전에 대해 대칭적인 한 쌍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계단식 트랙이 외부 본체(1)에 형성된다. 플런저 로드(8)의 반경방향 페그(15)는 캠 슬리브(23)의 회전의 결과로서 제 1 및 제 2 배치 면(44a, 44b)을 따라 활주하도록 설계되고, 약물의 제 1 및 제 2 투여량의 전달시 제 1 배치 면(44a)으로부터 제 2 배치 면(44b)으로 그리고 제 2 배치 면으로부터 정지 레지(44c)로 떨어지며, 후술될 바와 같이 각각 제 1 축방향 측부(44d) 및 제 2 축방향 측부(44e)를 따라 이동한다.
바늘 차폐부 제거기(45)(도 2 내지 도 5)는 스냅 결합가능한 보유 수지부(45a)에 의해 외부 본체(1)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되고, 제 1 투여량이 투약되기 이전에 바늘 차폐부 제거기(45)를 당김으로써 사용자가 바늘 차폐부(7b)를 제거하고 주입을 위해 바늘(7a)을 자유 상태가 되게 하는 방식으로 바늘 차폐부(7b)와 결합하기 위한 내부 관형 파지부(45b)를 구비한다.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주입기 장치가 사용되는 방식을 설명한다.
초기 상태인 보관 상태에서, 파워 스프링(10)은 투여량 선택 노브(4)의 저부 벽(4a)과 플런저 로드(8)의 부분(8a)의 폐쇄 단부 사이에서 압축된다. 플런저 로드(8)와 노브(4) 사이의 베이어닛 연결은 제 1 투여량이 선택될 때까지 압축 상태로 파워 스프링(10)을 고정한다. 일 측부에서의 플런저 로드(8)의 부분(8a) 및 다른 측부에서 지지 로드(11)와 반경방향 리브들(9) 사이에 배열되는 것의 도움으로 파워 스프링(10)의 임의의 버클링이 방지된다. 바늘 차폐부(7b)는 주사기(7)에 고정되고, 바늘 차폐부 제거기(45)는 바늘 차폐부(7b)에 고정된다. 캡(2)은 외부 본체(1)에 고정되고, 활주 외피(30)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그 이유는 구동 레그(31)의 구동 핀(32)이 캠 슬리브(23)의 각각의 로크 아웃 에지(29a)에 대해 접하기 때문이다.
투여량 선택 노브(4)는 그 외부 주연 홈(16)을 통해 외부 본체(1)에 연결되고, 그에 의해 외부 본체(1)의 후방 단부 상의 언더컷(17)에 활주 결합한다. 조립되고 나면, 투여량 선택 노브(4)는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단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방향은 외부 본체의 기준 마크에 의해 표시되며, 달리 말하면, 지시기(5)는 위치 0으로부터 시작하여 제 1 투여량이 선택될 때 위치 1로 회전하고, 그후, 제 2 투여량이 선택될 때 위치 2로 회전한다.
보관 상태에서, 장치는 "로크 아웃"되고, 즉, 활주 외피(30)는 외부 본체(1)에서 이동할 수 없으며, 그 이유는 활주 외피(30)의 구동 레그(31)가 캠 슬리브(23)의 축방향 로크 아웃 에지(29a)에 대해 접하기 때문이다. 이 상태는 특히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투여량 선택시(위치 1), 장치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킹된다. 사실, 투여량 선택 노브(4)를 회전시킴으로써, 캠 슬리브(23)는 캠 슬리브(23)의 좌대(22)의 선단 에지(22a) 상에 접하는 노브(4)의 발부(21)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추진된다. 투여량 선택 노브(4)는 제 1 투여량이 전달될 때까지 위치 1을 지나 회전할 수 없으며, 그 이유는 레그(31)의 구동 핀(32)은 캠 슬리브(23) 상의 캠 트랙(28)의 원주방향 정지 에지(28d)에 접하기 때문이다. 활주가능한 외피(30)는 회전이 방지되며, 그 이유는 레그(31)가 외부 본체(1)의 축방향 안내부(36) 내에서 축방향으로만 전후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먼저, 사용자는 바늘 차폐부 제거기(45)를 노출시키기 위해 바늘 캡(2)을 후방으로 활주시키고 제거하여야만 한다. 단부 캡(2)은 제 1 투여량이 전달되고 나면 장치가 사용중이 아닐 때 교체되어야 할 것이다. 단부 캡(2)은 광 노출로부터 약물을 보호하고, 미립자가 장치의 전방 단부(3)와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주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는 바늘 차폐부 제거기(45)를 제거하여야만 한다. 이 방식으로, 바늘 차폐부(7d)도 제거되어 바늘(7a)이 가려지지 않은 상태로 남겨지지만 전방 단부(3)는 여전히 드러나지 않은(sub-flush) 상태이고,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없다. 장치를 언로킹하고 제 1 투여량의 전달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는 위치 0(보관 상태)으로부터 위치 1(제 1 투여량 장전)로 투여량 선택 노브(4)를 회전시킨다.
위치 0으로부터 위치 1로의 투여량 선택 노브(4)의 회전은 캠 슬리브(23)의 회전을 유발하고, 외팔보 레그(29)의 축방향 로크 아웃 에지(29a)는 활주 외피(30)의 레그(31)의 구동 핀(32)에 대해 변위되며, 이는 노브(4)가 제 1 투여량이 전달될 때까지 추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원주방향 정지 에지(28d)에 대해 접하고 그들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캠 트랙(28)의 상부 부분(28a)에 정렬된다. 사용자는 그/그녀가 지시기(5)가 위치 1 마커와 정렬된 것을 볼 때 위치 1로의 회전의 종료를 인지하고, 캠 트랙(28)과 접촉하는 구동 핀(32)의 회전 저항의 증가를 느끼며, 또한, 경사 표면(19)의 계단부(19a)로부터 떨어지는 래칫 레그(18)에 의해 생성되는 바와 같은 "클릭" 음향을 듣는다. 다리부(18)와 계단부(19a) 사이의 접촉은 노브(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장치는 외부 본체(1)를 통해 장치를 유지함으로써 주입 부위에 대해 활주 외피(30)의 전방 단부(3)를 가압하는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다. 외부 본체(1)의 활주 외피(30)의 이동은 외부 본체(1)의 단부와 가요성 가지부(41) 사이의 대치에 기인한 저항을 만나게 된다. 그 가요성 및 경사진 접촉 표면에 기인하여, 가요성 가지부(41)는 외부 본체(1) 내에서 활주하여 바늘(7a)이 그 전방 단부(3)로부터 돌출한 상태가 되게 하는 활주 외피(30)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도록 눌러지고 완전히 내부로 편향되며, 그래서, 바늘은 주입 부위로 침투할 수 있다. 가요성 가지부(41)의 해제에 의해 후속하여 생성되는 운동은 주입 부위에서 바늘(7a)의 신속한 삽입을 돕는다.
외부 본체(1)의 활주 외피(30)의 축방향 이동은 캠 슬리브(23)의 회전을 유발하고 캠 슬리브는 또한 투여량 선택 노브(4)를 회전하도록 마찰 견인한다. 외부 본체(1)와 투여량 선택 노브(4) 사이의 제 1 투여량 전달 단계 동안 노브(4)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 정지 수단이 제공되며, 이는 래칫 레그(18)의 자유 단부가 외부 본체(1)의 경사 표면(19)의 계단부(19a)로부터 떨어질 때 서로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임시 정지 수단은 도 6, 도 11 및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4)의 대응 포획부(47)와 결합하는 외부 본체의 보유 돌출부(46; pip)를 포함한다. 트리거링시 투여량 선택 노브(4) 상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돌출부(46)에 의해 제공되는 보유력보다 작다. 그러나, 사용자가 제공할 수 있는 회전력은 보유 돌출부의 회전력보다 매우 크다. 따라서, 사용자는 돌출부 힘을 극복하고 노브(4)를 회전시켜 장치를 제 2 투여량을 위해 장전할 수 있다.
캠 슬리브(23)의 회전은 대응 축방향 채널(27)의 그 반경방향 페그(15)의 결합 때문에 플런저 로드(8)가 회전하게 한다. 몇도 만큼 회전한 후에, 투여량 선택 노브(4)와 플런저 로드(8) 사이의 베이어닛 연결은 분리되고 그 이유는 노브(4)의 보유 클립(13)이 플런저 로드(8)의 관련 축방향 해제 슬롯 분기(12b)에 도달하고 파워 스프링(10)의 작용 하에, 플런저 로드(8)가 전방으로 추진되어 반경방향 페그(15)가 외부 본체(1)의 계단식 안내부(44)의 제 1 배치 면(44a)에 기대어지게 하기 때문이다.
캠 슬리브(23)가 회전하는 동안, 제 1 투여량 트리거 캠 트랙(27a)에 의해 추진된 반경방향 페그는 그들이 그 단부에 도달하고 파워 스프링(10)의 작용 하에서 계단식 안내부(44)의 제 2 배치 면(44b)으로부터 떨어질 때까지 제 1 배치 면(44a) 상에서 활주된다. 이 시퀀스는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되어 있다. 플런저 로드(8)의 결과적 축방향 활주는 제 1 투여량의 전달을 유발한다.
제 1 투여량의 전달 이후, 사용자는 주입 부위로부터 장치를 제거하고, 바늘(7a)을 그로부터 인출한다. 복귀 스프링(35)은 주입 부위와 전방 단부(3) 사이의 강제 접촉에 의해 더 이상 방해받지 않으며, 그에 의해, 활주 외피(30)를 축방향으로 전방으로 추진하여 바늘을 외피재형성한다. 동시에, 구동 레그(31)의 구동 핀(32)은 캠 트랙(28)의 하부 부분(28b)으로 하향 활주되어 장치가 "로크 아웃" 상태로 복귀할 때까지 외팔보 레그(29)를 내측으로 누르며, 구동 핀(32)은 외팔보 레그(29)의 자유 단부(29a)와 접촉하고, 활주 외피(30)의 조립 클립(39)은 다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본체(1)의 단부 정지부(40)와 결합한다. 바늘(7a)은 활주 외피(30)에 의해 덮여지기 때문에 다시 접근할 수 없으며, 활주 외피는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투여량 선택 노브(4)를 위치 2로 회전시킬 때까지 활주가 방지된다. 그후, 사용자는 장치에 다시 캡을 씌운다. 단부 캡(2)은 외부 본체(1)와 스냅 체결되어 장치 상에 견고히 보유된다.
제 2 투여량의 전달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활주 외피(30)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장치의 캡을 벗긴다. 장치를 언로킹하기 위해, 사용자는 위치 1(제 1 투여량 장전 위치)로부터 위치 2(제 2 투여량 장전 위치)로 투여량 선택 노브(4)를 회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외부 본체(1)의 보유 돌출부(46) 상의 노브(4)의 포획부(47)의 작용을 극복하여야만 한다. 노브(4)의 발부(21)는 그들이 도 25a 및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슬리브(23)를 위치 2로 회전시키도록 선단 에지(22a)에 도달할 때까지 캠 슬리브(23)의 좌대(22) 상에서 자유 이동을 취한다. 동시에, 캠 슬리브(30)의 회전은 장치가 언로킹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위치 2에 도달되고 나면 노브(4)의 추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원주방향 정지 에지(28d)와 접촉면서 활주 외피(30)의 구동 레그(31)의 구동 핀(32)이 캠 트랙(28)의 상부 부분(28a)에 정렬되기 때문이다. 투여량 선택 노브(4)의 역방향 회전은 경사 표면(19)의 계단부(19a) 상에 스냅 접촉하는 래칫 레그(18)에 의해 방지된다. 또한, 캠 슬리브(23)의 회전은 윈도우(26) 내의 축방향 채널(27)의 출구로부터 대향 축방향 측부(26c)까지로의 반경방향 페그(15)의 재배치를 유발하며, 계단식 안내부(44)의 제 2 배치 면(44b) 상의 그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장치는 외부 본체(1)를 통해 장치를 유지함으로써 주입 부위에 대해 활주 외피(30)의 전방 단부(3)를 사용자가 가압함으로써 제 2 투여량의 전달을 위해 트리거된다. 외부 본체(1) 내에서의 활주 외피(30)의 이동은 외부 본체(1)의 단부와 가요성 가지부(41) 사이의 대치에 기인한 저항을 만나게 된다. 그 가요성 및 경사진 접촉 표면에 기인하여, 가요성 가지부(41)는 눌러지고 완전히 내향 편향됨으로써 활주 외피(30)의 통과를 허용하고, 활주 외피는 외부 본체(1) 내에서 활주하여 바늘(7a)을 그 전방 단부(3)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남기고 그래서 바늘은 주입 부위로 침투할 수 있다. 가요성 가지부(41)의 해제에 의해 후속하여 생성된 운동은 주입 부위에 바늘(7a)을 신속히 삽입하는 것을 돕는다.
노브(4)의 임의의 추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 2에 도달되고 나면, 캠 슬리브(23)의 후속 회전의 종점에서, 래칫 레그(18)의 베이스는 인덱싱 경사부(19)의 정지 리브(20)와 접촉하고, 그에 의해, 래칫 레그(19)는 계단부(19a)와 상기 정지 리브(20) 사이에 보유된다.
캠 슬리브(23)가 회전을 유지하는 동안, 반경방향 페그(15)는 윈도우(26)의 축방향 측부(26c)에 의해 추진됨에 따라 계단식 안내부(44)의 제 2 배치 면(44b) 상으로 그들이 상기 면의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활주하며, 그곳으로부터 이들은 파워 스프링(10)의 작용에 기인하여 계단식 안내부(44)의 정지 레지(44c)로부터 떨어진다. 이 동작 시퀀스는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되어 있다. 플런저 로드(8)의 결과적 축방향 활주는 제 2 투여량이 전달되게 한다.
작은 약물 체적이 항상 주사기 배럴 내에 남아있는 것은 쓸모가 없다. 사실, 계단식 안내부(44)의 정지 레지(44c)의 위치는 반경방향 페그(15)가 정지 레지(44c)에 도달할 때 플런저 정지부(7d)가 배럴(7c)의 저부와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 방식으로, 지정된 양의 약물의 전달이 제어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사기 배럴의 내부 길이에 관한 임의의 제조 변동성이 완화되는 것이 보증된다. 따라서, 투여량 정확도가 개선된다.
제 2 투여량의 전달 이후, 사용자는 주입 부위로부터 장치를 제거하고 바늘(7a)은 그로부터 인출된다. 복귀 스프링(35)은 주입 부위와 전방 단부(3) 사이의 강제 접촉에 의해 더 이상 방해받지 않으며, 그에 의해, 활주 외피(30)를 축방향으로 전방으로 추진하고 따라서 바늘을 외피재형성한다. 동시에, 구동 레그(31)의 구동 핀(32)은 구동 캠 수단(28)의 하향 트랙(28b) 내에서 하향 활주하고, 장치가 "로크 아웃" 상태로 복귀될 때까지 외팔보 레그(29)를 내측으로 누르며, 구동 핀(32)은 외팔보 레그(29)의 자유 단부(29a)와 접촉하고, 활주 외피(30)의 조립 클립(39)은 제 1 투여량의 전달의 종료시와 같이 외부 본체(1)의 단부 정지부(40)와 재결합한다. 바늘(7a)은 활주 외피(30)에 의해 덮여질 때 다시 접근불가해진다. 그후, 사용자는 의료원에게로의 폐기/취급 이전에 그 단부 캡(2)으로 장치를 다시 덮는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주입기 장치가 플런저 로드(8)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두 개의 반경방향 페그(15)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이 해결책은 다양한 구성요소에 작용하는 힘의 균등한 분포를 위해 바람직한 것이며, 단 하나의 반경방향 페그(15)를 구비하는 해결책이 그 명백한 변형으로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 경우, 계단식 안내 수단(44), 트리거 캠 수단(26, 27) 및 구동 캠 수단(28)은 이에 따라 변형될 것이다.
도 27 내지 도 48은 일부 구성요소의 다른 구성을 특징으로 하지만 상술한 자동주입기 장치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유지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주입기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7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입기 장치에서, 전체가 100으로 표시된 외부 본체는 서로 동축으로 고정될 수 있는 각각 새시 및 외부 슬리브라 지칭되는 두 개의 별개의 구성요소(100a, 100b)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새시(100a)의 일부는 슬리브(100b) 내에 결합하고, 슬리브(100b)의 대응 홈(101b) 내에 스냅 체결되는 치형부(101a)에 의해 그에 고정된다(도 36 참조). 슬리브(100b)의 외경은 새시(100a)의 것보다 크고, 따라서, 계단부(101c)를 형성하며, 상기 계단부에 대하여 제거가능한 단부 캡(102)의 단부가 접하여, 상기 캡(102)은 장치의 전방 단부(103)를 은닉한다. 제거가능한 단부 캡(102)은 단부 캡(102) 상에 형성된 대응 홈(102a) 내에 스냅 체결되는 캡 보유 치형부(101d)에 의해 새시(100a)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된다. 펜형 클립(100c)은 예로서 포켓에 자동주입기 장치를 걸기 위해 슬리브(100b)의 측벽을 따라 연장한다.
외부 본체(100)의 다른 단부인 후방 단부의 부근에서, 각도 간격을 두고 이격된 기준 마커가 형성되거나 라벨링되며, 예로서, 수치 0, 1, 2는 후술될 바와 같이 휴지 또는 보관 상태(0) 및 장치의 두 개의 작동 상태(1, 2)를 나타낸다.
투여량 선택 노브(104)가 외부 본체(100)의 후방 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투여량 선택 노브로부터 기준 지시기(105)가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투여량 선택 노브(104)는 그 위에 형성된 기준 마크에 대해 지시기(105)가 정렬될 수 있게 하도록 외부 본체(100)에 대해 축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컵 형상의 래칫(204)이 투여량 선택 노브(104)의 아래에 수용된다. 래칫(204)은 한 쌍의 날개부(205)를 통해 노브(104)에 일체로 형성되고, 한 쌍의 날개부는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부분에서 노브 내에서 내부적으로 연장하며 래칫(204)의 측부 축방향 보유 리브(204c)와의 스냅 체결을 위해 절단부(206)를 갖도록 형성된다(도 32 및 도 33 참조).
전체가 106으로 표시된 주사기 그룹은 외부 본체(100)에 수납된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 그룹은 약물이 사전탑재된 주사기(107)를 포함하며, 이 주사기는 바늘(107a), 바늘 차폐부(107b)(역시 도 29 참조), 배럴(107c) 및 내부 플런저 정지부(107d)를 구비한다. 배럴(107c)에는 두 개의 부분, 즉, 서로 다른 외경의 전방 부분(108a) 및 후방 부분(108b)의 관형 요소에 의해 형성된 플런저 로드(108)의 단부가 결합한다. 전방 부분(108a)은 배럴(107c)의 내부 섹션에 관하여 유격 상태로 존재하는 단면을 가지며, 그래서, 이는 내부에서 활주할 수 있고, 전방 부분은 약물 전달시 이를 전방으로 추진하기 위해 축방향 이동의 결과로서 플런저 정지부(107d)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단부를 갖는다. 플런저 로드(108)의 후방 부분(108b)은 더 큰 직경 크기를 갖는다.
플런저 로드(108)의 내부 직경은 그 길이 전체에 걸쳐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파워 스프링(110)을 수납하도록 크기설정된다.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스프링(110)은 압축 상태에 있고, 일 단부가 플런저 로드(108)의 전방 부분(108a)의 폐쇄 단부에 대해 접하고 그 다른 단부가 래칫(204)의 저부 벽(204a)에 대해 접한다. 또한, 파워 스프링(110)은 래칫(204)의 저부 벽(204a)에서 중앙에 형성된 보유 구멍(204b)으로부터 플런저 로드(108)의 전방 부분(108a)의 폐쇄 단부까지 연장하는 지지 로드(111) 둘레에 감겨진다. 플런저 로드의 전방 부분(108a)의 내부 벽과 지지 로드(111) 사이의 파워 스프링(110)의 배열은 파워 스프링(110)의 버클링을 최소화하는 것을 돕는다.
투여량 선택 노브(104)의 저부 벽으로부터, 내향으로 한 쌍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돌기(109)가 연장하며(도 35), 이 돌기는 래칫(204)의 저부에 형성된 대응 컷아웃(207)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의해, 후술될 바와 같이, 투여량 선택 노브(104) 상에 사용자에 의해 작용되는 회전 토크가 돌기(109)와 컷아웃(207)을 통해 래칫(204)으로 전달되고, 래칫(204)으로부터 그에 연결된 자동주입기 장치 구성요소로 전달된다.
플런저 로드(108) 및 래칫(204)은 장치가 트리거될 때까지 압축 상태로 파워 스프링을 유지하는 베이어닛 연결에 의해 결합된다.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베이어닛 연결은 직경방향으로 대향배치된 부분에서 래칫(204)으로부터 내향 돌출하는 한 쌍의 보유 발부(112)와 보유 발부(112) 상에 걸려지고 플런저 로드(108)로부터 연장하는 대응 작동 슬롯(113)을 포함한다. 보유 안정성은 압축된 파워 스프링(110)에 의해 제공되는 축방향 힘에 의해 보증되지만, 이 연결은 발부(112)와 슬롯(113) 사이의 상호마찰에 기인한 것 외에는 어떠한 원주방향 구속도 갖지 않는다.
두 개의 반경방향 페그(115)는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부분에서 플런저 로드(108)의 후방 부분(108b)으로부터 외향 돌출한다. 특히 도 32 내지 도 34에 도시된 두개의 반경방향 페그(115)는 플런저 로드(108)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며, 이는 후술될 바와 같이 트리거 캠 수단 내에서의 활주에 의해 약물 투여량 전달을 제어한다.
외부 슬리브(100b)와 노브-래칫 조립체 사이의 연결은 래칫(204)의 연장 림(151)에 접하는 슬리브(100b)의 내향 지향 플랜지(150)를 통해 형성되고(도 30 및 도 31 참조), 노브(104)의 자유 에지는 외부 슬리브(100b)의 후방 에지에 접한다. 이 방식으로, 슬리브(100b)는 함께 스냅핑되는 공정 동안 래칫(204)과 선택 노브(104) 사이에 포획되어 유지된다. 중심설정 리브(152)는 래칫(204) 상에서 연장 림(151)으로부터 연장하여 슬리브(100b)와 래칫(204) 사이의 축방향 정렬을 제공한다.
투여량 선택 노브(104)는 슬리브(100b)에 대해 단지 한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슬리브(100b)와 래칫(204) 사이의 연결은 노브가 작동 위치 중 하나에 도달한 이후 투여량 선택의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수단은 노브(104)가 회전될 때, 도 43c에서 볼 수 있는 슬리브(100b)의 각각의 역회전 방지 리브(119) 상에 활주식으로 접하도록 적용된, 래칫(204)의 에지로부터 주연에서 연장하는 한 쌍의 가요성 래칫 레그(118)(도 35 및 도 36 참조)를 포함한다. 레그(118)가 활주할 때, 먼저 이들은 리브(119)의 존재에 기인하여 굴곡되고, 리브가 극복되고 나서, 이들 트리거는 이에 대해 접하고 노브(104)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한다. 정지 리브(120)(도 43c에서 볼 수 있음)는 또한 그 위에서 래칫(204)이 활주하는 슬리브(100b)의 면을 따라 제공된다. 래칫(204)의 대응하는 돌출부(120a)는 노브가 투여량 전달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한 이후 모든 추가적 노브 순방향 회전을 방지하도록 정지 리브(120)에 대해 접한다. 그러나, 돌출부(120a)는 정지 리브(120)를 극복하고 일 작동 위치로부터 다른 작동 위치로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적당한 힘의 결과로서 편향되어야 한다.
도 33과 도 41a, 도 41b 및 도 4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발부(121)는 플런저 로드(108)의 부분(108b) 위로 래칫(204)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그 후방 단부에 형성된 본 설명에서 캠 슬리브(123)라 지칭되는 관형 형상의 지지부(123)의 각각의 홈(122) 내에 결합한다. 홈(122)은 선단 에지(122a)를 가지며, 이 선단 에지에 대해 발부(121)의 선회 레그(121a)가 접하여 캠 슬리브(123)를 래칫(204)을 통해 투여량 선택 노브(104)와 일체로 회전하게 한다. 위치설정 플랜지(124)(역시 도 30 및 도 31 참조)는 그 후방 단부 부근에서 외부 슬리브(100b) 내의 대응 림(125) 상에 일 면이 안치되고, 다른 면은 새시(100a)의 후방 에지 상에 안치되도록 설계된 캠 슬리브(123)의 동일 단부 둘레에서 외향 연장되고 그에 의해, 상호 축방향 활주를 방지한다.
도 41a, 도 41b 및 도 4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슬리브(123)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두 개의 섹션으로 형성된다: 전방 섹션이라 지칭되는 장치의 전방 단부를 향한 제 1 섹션(123a) 및 후방 섹션이라 지칭되는 후방 단부를 향한 제 2 섹션(123b). 전방 섹션(123a)은 활주 외피(130)(도 30 참조)에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그 축방향 활주는 후술될 바와 같이 캠 슬리브(123)가 각도 변위되게 하며, 후방 섹션(123b)은 플런저 로드(108)의 반경방향 페그(115)에 작동식으로 연결되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래칫(204)을 통해 투여량 선택 노브(104)(특히 도 42 참조)에 작동식으로 연결된다.
캠 슬리브(123)는 외부 슬리브(100b) 내에서 피봇가능하며, 위치설정 플랜지(124)에 의해 축방향 정렬 상태로 유지된다. 회전 정지 단부는 슬리브(100b) 내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대응 접대부 상에 접하는 플랜지(124)의 외부 에지 상의 한 쌍의 측부 리브(124a)에 의해 형성된다.
캠 슬리브(123)의 후방 섹션(123b)은 플런저 로드(108)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트리거 캠 수단을 구비한다. 트리거 캠 수단은 두 개의 윈도우(126)를 포함하며, 이 두 개의 윈도우는 직경방향으로 대향하고, 형상에 관하여 축방향 회전 대칭이며, 제 1 투여량 트리거 캠 트랙(127a)을 형성하는 각각의 축방향 연장 채널(127)을 통해 캠 슬리브의 후방 에지를 향해 개방된다. 각 윈도우(126)는 두 개의 평행한 원주방향 측부(126a, 126b), 측부(126a, 126b)의 두 단부를 연결하는 축방향 측부(126c) 및 경사진 측부(126d)에 의해 한정되며, 경사진 측부는 채널(127)의 일 측부에, 채널(127)에 대향한 측부(126b)의 다른 단부를 연결하는 축방향 측부(126c)에 대향한다. 채널(127)은 경사진 측부(126d)에서 윈도우(126)에서 개방되며, 축방향 측부(126c)는 제 2 투여량 트리거 캠 트랙을 형성한다. 제 1 투여량 트리거 캠 트랙(127a)은 제 2 투여량 트리거 캠 트랙(126c)으로부터 각도간격을 두고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 측부(126b)는 구성요소 특징의 변형을 제조하는 것과 연계된 유극 및 공차를 고려하기 위해 윈도우(126) 내의 확장된 갭의 단부에 배치된다.
구동 캠 수단(128)은 캠 슬리브(123)의 전방 섹션(123a)의 외부 표면 상에 엠보싱된다. 구동 캠 수단(128)은 상기 표면 상에서 각도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된 형태로 4회 반복되는 캠 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된다. 캠 프로파일은 단순성을 위해 상향 트랙이라 지칭되는 캠 슬리브(123)의 단부로부터 연장하면서 축(X)에 관하여 경사져있는 제 1 구동 캠 트랙(128a)과, 단순성을 위해 하향 트랙이라 지칭되는 캠 슬리브(123)의 동일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제 1 구동 캠 트랙(128a)과 함께 수반되는 제 2 구동 캠 트랙(128b)을 포함한다. 상향 트랙(128a) 상에서, 그리고, 연속적으로, 하향 트랙(128b) 상에서, 한 쌍의 구동 핀(132)이 활주 압박하도록 설계된다. 구동 핀(132)은 활주 외피(130)의 두 개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축방향 구동 레그(131)로부터 내향 돌출한다(도 40a, 도 40b 및 도 40c). 활주는 압력 작용이 활주 외피(130)의 자유 단부(103) 상에 작용될 때 발생하고, 캠 슬리브(123)는 상향 트랙(128a)의 경사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때마다 압력 작용이 중단된다.
구동 캠 수단(128)의 하향 트랙(128b)에서, 관련 외팔보 레그(129)는 하향 트랙에서의 구동 핀 복귀 행정 동안 구동 핀(132)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내향 편향되도록 형성된다. 장치의 보관 상태에서, 구동 핀(132)은 외팔보 레그(129)의 자유 단부에서 축방향 로크 아웃 에지(129a)에 접하며, 그에 의해, 활주 외피(130)가 장치의 후방 단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축방향 로크아웃 에지(129a)의 측부에 배치된 정지 에지(128c)는 후술될 바와 같이 래칫(204)이 제 1 투여량 및 제 2 투여량 전달의 위치를 초과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동 핀(132)의 접대부로서 기능한다.
구동 레그(131)에 대향한 측부에서 활주 외피(130)의 단부는 장치의 전방 단부(103), 즉, 주입 부위에서 환자 피부와 접촉하도록 의도된 단부를 구성한다. 주사기(107)의 바늘(107a)은 그위의 중앙 개구(133)를 통해 상기 전방 단부(103)로부터 돌출한다. 복귀 스프링(135)은 일 단부에서 활주 외피(130)의 전방 단부(103)의 내부면에 대해 접하고, 그 다른 단부에서 새시(100a)의 추진 표면에 대해 접한다. 측부에서, 복귀 스프링(135)은 외피(130) 내부에 형성된 정렬 리브(134)에 의해 안내된다.
한 쌍의 조립 클립(139)은 새시(100a)를 따라 형성된 축방향 안내 슬롯(147)과 스냅 결합하도록 레그(131)의 단부로부터 외향 연장한다. 레그(131)는 장치가 조립될 때 편향되어 조립 클립(139)이 슬롯(147) 내에 결합할 수 있게 하고 활주 외피(130)의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면서 그 해제를 방지한다.
구동 레그(131)가 새시(100a) 내에 형성된 축방향 안내 슬롯(147)과 활주 결합하기 때문에, 활주 외피(130)는 단지 축방향 정렬 트랙(136)을 따라 외부 본체(100)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새시(100a)의 내부면으로부터 내향 돌출할 수 있다. 구동 레그(131)에 대해 90°로 배열된 두 개의 넓은 축방향 개구(137)가 활주 외피(130) 상에 형성된다. 축방향 개구(137)는 새시(100a) 상에 형성된 대응 투명 검사 윈도우(138)에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이 윈도우를 통해, 주사기(107)의 배럴(107c)을 볼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사용자는 약물 전달 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 새시(100a) 상에서의 복귀 스프링(135)을 위한 접촉 표면은 상기 검사 윈도우(138)의 저부 벽(138a)에 의해 구성된다. 축방향 개구(137)는 필요한 거리만큼 축방향으로 활주 외피(130)가 이동할 수 있게 하지만 새시(100a)의 윈도우(138)와 충돌하지는 않는다.
가요성 가지부(141)는 활주 외피(130)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부분으로부터 돌출하고 활성 표면을 가지며, 이 활성 표면은 새시(100a)의 축방향 정렬 트랙(136)의 전방 단부에서 대응하는 내부 돌출부(141a)에 대해 접할 때(도 30 및 도 37 참조) 활주 외피(130)의 이동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고 돌출부(141a)를 극복하도록 가지부(141)를 내향으로 편향시키는 적당한 추력의 결과로서만 이 이동이 가능해지게 하도록 경사져있다. 가지부(141)의 해제에 의해 후속하여 생성된 운동은 주사기(107)의 바늘(107a)을 주입 부위 내로 신속히 삽입하는 것을 돕는다.
주사기(107)를 위한 관형 하우징(142)이 새시(100a) 내에 형성되고, 내향 에지(142a)는 그 전방 단부에 형성되고, 그 위에는 배럴(107c)의 전방 단부가 배치된다. 관형 하우징(142)의 다른 단부에서, 배럴(107c)은 플랜지(107e)와 함께 돌출하며, 이 플랜지 위에 캠 슬리브(123)의 전방 면이 배치된다(도 30 및 도 31 참조).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방향 페그(115)를 위한 안내 수단(144)은 플런저 로드(108)의 축방향 이동을 제어하고 전달되는 약물 체적을 이 방식으로 제한하도록 새시(100a)의 내부 표면 상에 엠보싱된다. 이들 안내 수단은 정지 레지(144c) 및 배치 면(144a)을 갖는 계단식 트랙의 형태이며, 축 X에 수직인 평면 상에 배치된다. 배치 면(144a)의 에지는 제 1 축방향 측부(144d)에 의해 새시(100a)의 후방 에지에 연결되고, 제 2 축방향 측부(144e)에 의해 정지 레지(144c)에 연결된다. 그 형상에 관하여 축방향 회전 대칭인 한 쌍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계단식 트랙은 새시(100a)의 내부면 상에 형성된다. 플런저 로드(108)의 반경방향 페그(115)는 후술될 바와 같이, 각각 제 1 축방향 측부(144d) 및 제 2 축방향 측부(144e)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 1 투여량 전달시 새시(100a)의 후방의 위치로부터 배치 면(144a) 상으로 하향 점핑하여 페그(115)의 상대적 축방향 위치가 보유 발부(113)와 작동 슬롯(112) 사이의 베이어닛 특징부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도록, 그리고, 약물의 제 2 투여량의 전달시 캠 슬리브(123)의 회전의 결과로서 그 위에서 활주하여 최종적으로 배치 면(144a)으로부터 정지 레지(144c) 상으로 떨어지도록 설계된다.
바늘 차폐부 제거기(145)는 외피(130)의 전방 단부의 플랜지에 대해 접하는 스냅결합가능한 보유 수지부(145a)에 의해 활주 외피(130)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되고, 내부 관형 파지 부재(145b)를 구비하며, 내부 관형 파지 부재 내에서 인서트(146)는 제 1 투여량이 투약되기 이전에 바늘 차폐부 제거기(145)를 당김으로써 사용자가 바늘 차폐부(107b)를 제거하고 주입을 위하여 바늘(107a)을 자유상태가 되게 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고무 바늘 차폐부 내로 침입하는 보유 후크(미도시)를 통해 바늘 차폐부(107b) 상에 결합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주입기 장치의 동작은 이하에 설명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42 내지 도 48을 참조하며, 이들 도면에서 은닉선(149)이 존재하는 경우, 이는 새시(100a)의 전방 단부의 위치를 나타낸다.
초기 상태인 보관 상태에서, 파워 스프링(110)은 투여량 선택 노브(104)에 일체인 래칫(204)의 저부 벽(204a)과 플런저 로드(108)의 부분(108a)의 폐쇄 단부 사이에서 압축된다. 플런저 로드(108)와 래칫(204) 사이의 베이어닛 연결은 제 1 투여량이 트리거될 때까지 파워 스프링(110)을 압축 상태로 고정한다. 지지 로드(111)와 플런저 로드(108)의 부분(108b) 사이에 배열되는 것의 도움으로 파워 스프링(110)의 임의의 버클링이 방지된다.
바늘 차폐부(107b)는 주사기(107)에 고정되고, 바늘 차폐부 제거기(145)는 인서트(146)를 통해 바늘 차폐부(107b)에 고정된다. 캡(102)은 새시(100a)에 고정되고, 활주 외피(130)는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그 이유는 구동 레그(131)의 구동 핀(132)이 캠 슬리브(123)의 각각의 로크 아웃 에지(129a)에 대해 접하기 때문이다.
투여량 선택 노브(104)는 슬리브(100b)가 서로 일체인 래칫(204)과 노브(104) 사이에 포획되어 유지될 때 외부 본체(100)에 연결된다. 조립되고 나면, 래칫(204)과 투여량 선택 노브(104)에 의해 형성된 조립체는 축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지만 단지 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 방향은 외부 본체(100) 상의 기준 마크에 의해 표시되어 있고, 달리 말하면, 지시기(105)는 위치 0으로부터 시작하여, 제 1 투여량이 선택될 때 위치 1로 회전하고, 그후 제 2 투여량이 선택될 때 위치 2로 회전한다.
보관 상태에서, 장치는 로크 아웃되고, 즉, 활주 외피(130)는 외부 본체(100) 내에서 이동할 수 없으며, 그 이유는 활주 외피(130)의 구동 레그(131)가 캠 슬리브(123)의 축방향 로크 아웃 에지(129a)에 대해 접하기 때문이다. 이 상태는 특히 도 42e 및 도 43a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투여량의 선택시(위치 1), 장치는 도 4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로킹된다. 사실, 투여량 선택 노브(104)를 회전시킴으로써, 캠 슬리브(123)는 래칫(204)의 발부(121)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추진되고, 이는 그 선회 레그(121a)가 캠 슬리브(123)의 홈(122)의 선단 에지(122a) 상에 접한다. 투여량 선택 노브(104)는 제 1 투여량이 전달될 때까지 위치 1을 지나 회전할 수 없으며, 그 이유는 레그(131)의 구동 핀(132)은 캠 슬리브(123) 상의 캠 트랙(128)의 정지 에지(128c) 상에 접하기 때문이다. 활주 외피(130)는 회전이 방지되며, 그 이유는 레그(131)가 새시(100a) 상에서 축방향 안내 슬롯(147) 내에서 단지 축방향으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지 위치에서, 각각의 반경방향 페그(115)와 트리거 캠 트랙(127a) 사이에 설계 유격(Y)이 존재한다는 것을 강조하여야 한다. 캠 슬리브(123)의 홈(122)의 각각의 선단 에지(122a)와 래칫(204)의 발부(121)의 선회 레그(121a) 사이에 더 낮은 범위의 설계 유격(Z)이 존재한다. 사용자가 투여량 선택 노브(104)를 회전시킬 때, 시작시, 그/그녀는 래칫(204)의 돌출부(120a)에 대해 접하는 슬리브(100b)의 정지 리브(120)에 의해 부여되는 저항을 극복하여야 한다(도 43c). 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작은 회전은 선회 레그(121a)가 선단 에지(122a)에 접촉하게 하고, 각각의 반경방향 페그(115)와 트리거 캠 트랙(127a) 사이에 여전히 잔류 유격이 존재한다.
먼저, 사용자는 바늘 차폐부 제거기(145)를 노출시키기 위해 단부 캡(102)을 후방으로 활주시키고 제거하여야 한다. 단부 캡(102)은 제 1 투여량이 전달되고 나서 장치가 사용되지 않을 때 재배치되어야 한다. 단부 캡(102)은 약물이 광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치의 전방 단부(103)와 미립자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주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는 바늘 차폐부 제거기(145)를 제거하여야 한다. 이 방식으로, 인서트(146) 및 바늘 차폐부(107b)는 또한 제거되어 바늘(107a)을 덮여지지 않은 상태로 남겨두지만, 여전히 전방 단부(103)의 내부에 있고 사용자에게 쉽게 보여지지 않는다. 장치를 언로킹하고 제 1 투여량의 전달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는 위치 0(보관 상태)으로부터 위치 1(제 1 투여량 장전)로 투여량 선택 노브(104)를 회전시킨다.
위치 0으로부터 위치 1로의 투여량 선택 노브(104)의 회전은 캠 슬리브(123)의 회전을 유발하며, 외팔보 레그(129)의 축방향 로크 아웃 에지(129a)는 활주 외피(130)의 레그(131)의 구동 핀(132)에 대해 변위되며, 활주 외피는 정지 에지(128c)에 대해 접하여 제 1 투여량이 전달되고 캠 트랙(128)의 상부 부분(128a)에 정렬되어 그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될 때까지 노브(104)가 추가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도 43b 및 도 45). 사용자는, 그/그녀가 지시기(105)가 위치 1 마커와 정렬되는 것을 보고, 캠 트랙(128)과 접촉하는 구동 핀(132)의 회전 저항의 증가를 느끼고, 또한, 관련 리브(119)로부터의 그 낙하의 결과로서 클릭킹되는 래칫 레그(118)에 의해 생성되는 "클릭" 음향을 들을 때, 위치 1로의 회전의 종료를 인지한다. 레그(118)와 관련 리브(119) 사이의 대치는 노브(104)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반면, 임의의 순방향 회전은 래칫(204)의 돌출부(120a)와 슬리브(100b)의 정지 리브(120)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저지된다(도 43c).
장치는 외부 본체(100)를 통해 장치를 유지함으로써 주입 부위에 대해 활주 외피(130)의 전방 단부(103)를 가압하는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된다. 외부 본체(100) 내의 활주 외피(130)의 이동은 새시(100a)의 내부 돌출부(141a)와 활주 외피(130)의 가요성 가지부(141) 사이의 대치에 기인한 저항과 조우한다. 그 가요성 및 경사진 접촉 표면에 기인하여, 가요성 가지부(141)는 돌출부를 극복하여 활주 외피(130)의 통과를 허용하는 동안 눌러지고 완전히 내향 편향되며, 활주 외피는 새시(100a) 내에서 활주하여 바늘(107a)이 그 전방 단부(103)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남아있게 함으로써 바늘이 주입 부위에 침입할 수 있게 한다. 가요성 가지부(141)의 해제에 의해 후속하여 생성되는 운동은 주입 부위에 바늘(107a)을 신속히 삽입하는 것을 돕는다(도 44a).
외부 본체(100) 내에서의 활주 외피(130)의 축방향 이동은 캠 슬리브(123)의 회전을 유발하고, 캠 슬리브는 투여량 선택 노브(104)와 래칫(204)을 또한 회전하도록 마찰 견인한다. 제 1 투여량 전달 단계 동안 노브(104)가 슬리브(100b)와 래칫(204) 사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임시 정지 수단이 제공되며, 이는 래칫 레그(118)의 자유 단부가 슬리브(100b)의 리브(119)로부터 떨어질 때 서로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임시 정지 수단은 도 4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204)의 대응 돌출부(120a) 상에 접하는 슬리브(100b)의 정지 리브(120)를 포함한다. 트리거링시 래칫(204) 상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정지 리브(120)에 의해 제공되는 보유력보다 작다. 그러나, 사용자가 제공할 수 있는 회전력은 정지 리브(120)의 것보다 매우 크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브 힘을 극복하고 노브(104)를 회전시켜 장치에 제 2 투여량을 장전할 수 있다.
캠 슬리브(123)의 회전은 대응 축방향 채널(127) 내에 결합된 그 반경방향 페그(115)가 트리거 캠 트랙(127a)에 의해 추진되기 때문에 플런저 로드(108)가 회전하게 한다. 플런저 로드(108)의 각도 변위는 플런저 로드(108)의 작동 슬롯(113)이 래칫(204)의 각각의 보유 발부(112) 상에서 활주하여 슬롯(113)이 발부(112)로부터 자유로워질 때까지 베이어닛 연결이 분리되게 한다. 이 시퀀스는 도 49에 도시되어 있다. 이 지점에서, 더 이상 베이어닛 연결에 의해 보유되어 있지 않은 파워 스프링(110)은 축방향 채널(127) 내에서 활주하는 반경방향 페그(115)가 슬리브(100b)의 계단식 안내부(144)의 배치 면(144a) 상에 기대어질 때까지 캠 슬리브(123) 내에서 전진 이동하는 플런저 로드(108) 상에 그 탄성 추력을 인가한다(도 47a 참조). 플런저 로드(108)의 결과적 축방향 활주는 제 1 투여량의 전달을 유발한다.
제 1 투여량의 전달 이후, 사용자는 장치를 주입 부위로부터 제거하고, 바늘(107a)은 그로부터 인출된다. 복귀 스프링(135)은 주입 부위와 전방 단부(103) 사이의 강제 접촉에 의해 더 이상 저지되지 않으며, 그에 의해, 활주 외피(130)를 축방향 전방으로 추진하여 바늘을 외피재형성한다. 동시에, 구동 레그(131)의 구동 핀(132)은 장치가 "로크 아웃" 상태로 복귀될 때까지 외팔보 레그(129)를 내향으로 누르는 캠 트랙(128)의 하부 부분(128b) 내에서 하향 활주하며, 구동 핀(132)은 외팔보 레그(129)의 자유 단부(129a)와 접촉하며, 활주 외피(130)의 조립 클립(139)은 도 4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시(100a)의 축방향 안내부(136) 내에서 단부 정지부(140a)와 다시 결합한다.
바늘(107a)은 활주 외피(130)에 의해 덮여질 때 다시 접근할 수 없으며, 활주 외피는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투여량 선택 노브(104)를 위치 2로 회전시킬 때까지 활주가 방지된다. 그후, 사용자는 장치에 캡을 다시 씌운다. 단부 캡(102)은 새시(100a) 상에 견고히 보유되도록 외부 본체(100)와 스냅 체결된다.
제 2 투여량의 전달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장치의 캡을 제거하여 활주 외피(130)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장치를 언로킹하기 위해, 사용자는 위치 1(제 1 투여량 장전 위치)로부터 위치 2(제 2 투여량 장전 위치)로 투여량 선택 노브(104)를 회전시킨다(도 46a 및 도 46b).
이를 위해, 사용자는 래칫(204)의 돌출부(120a) 상의 슬리브(100b)의 정지 리브(120)의 반작용을 극복하여야 한다. 돌출부(120a)의 편향은 노브(104)가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래칫(204)의 발부(121)는 선회 레그(121a)가 선단 에지(122a)에 도달하여 캠 슬리브(123)를 도 46a 및 도 4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2)로 회전시킬 때까지 캠 슬리브(123)의 홈(122) 상에서 자유 이동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에 역시 위치 2로의 도달은 위치 1을 위한 것 같은 클릭에 의해 알려진다.
캠 슬리브(123)의 회전은 장치가 언로킹되게 하며, 그 이유는 활주 외피(130)의 구동 레그(131)의 구동 핀(132)이 캠 트랙(128)의 상부 부분(128a)과 정렬되고, 정지 에지(128c)와 접촉하여 위치 2에 도달되면 노브(104)의 추가 회전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투여량 선택 노브(104)의 역회전은 슬리브(100b)의 돌출부(119) 상에 스냅 접촉하는 래칫 레그(118)에 의해 방지된다. 또한, 캠 슬리브(123)의 회전은 윈도우(126) 내에서 축방향 채널(127)의 출구로부터 대향 축방향 측부(126c)로의 반경방향 페그(115)의 재배치를 유발하고, 계단식 안내부(144)의 배치 면(144a) 상의 그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도 46b 및 도 47a).
장치는 외부 본체(100)를 통해 장치를 유지함으로써 주입 부위에 대해 활주 외피(130)의 전방 단부(103)를 사용자가 가압함으로써 제 2 투여량의 전달을 위해 트리거된다. 상향 트랙(128a)에 대해 가압되는 레그(131)의 구동 핀(132)에 의해 유발되는 세시(100a) 내의 활주 외피(130)의 이동은 새시(100a)의 내부 돌출부(141a)와 활주 외피(130)의 가요성 가지부(141) 사이의 대치에 기인한 저항과 조우한다. 그 가요성 및 경사진 접촉 표면에 기인하여, 가요성 가지부(141)는 눌러지고 완전히 내향 편향되어 돌출부(141a)를 극복함으로써 활주 외피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며, 활주 외피는 새시(100a) 내에서 활주하여 바늘(107a)이 전방 단부(103)로부터 돌출하는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바늘은 주입 부위로 침입할 수 있다. 가요성 가지부(141)의 해제에 의해 후속하여 생성되는 운동은 주입 부위 내로의 바늘(107a)을 신속하게 삽입하는 것을 돕는다. 구동 핀(132)에 의해 생성되는 추력은 캠 슬리브(123)의 어떠한 현저한 축방향 이동도 유발하지 않으며, 그 이유는 그 위치설정 플랜지(124)가 슬리브(100b)의 림(125)에 대해 축방향으로 접하기 때문이다.
노브(104)의 임의의 추가적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 2가 도달되고 나면, 캠 슬리브(123)의 후속 회전의 종료시, 래칫 레그(118)의 자유 단부는 정지 리브(119)에 접하여 노브(104)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반면, 순방향 회전은 래칫(204)의 돌출부(120a)와 슬리브(100b)의 정지 리브(120) 사이의 대치에 의해 억제된다(도 43c).
캠 슬리브(123)가 회전을 유지하지만, 반경방향 페그(115)는 이들이 상기 면의 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윈도우(126)의 축방향 측부(126c)에 의해 추진됨에 따라 계단식 안내부(144)의 배치 면(144a) 상에서 활주하며, 그곳으로부터 이들은 파워 스프링(110)의 작용에 기인하여 계단식 안내부(144)의 정지 레지(144c)로부터 떨어진다. 동작 시퀀스는 도 47a 내지 도 47c에 도시되어 있다. 플런지 로드(108)의 결과적 축방향 활주는 제 2 투여량이 전달되게 한다.
제 2 투여량의 전달 이후, 사용자는 주입 부위로부터 장치를 제거하고, 바늘(107a)은 그로부터 인출된다. 복귀 스프링(135)은 더 이상 주입 부위와 전방 단부(103) 사이의 강제 접촉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으며, 그에 의해, 축방향 전방으로 활주 외피(130)를 추진하며 따라서 바늘을 외피재형성한다. 동시에, 구동 레그(131)의 구동 핀(132)은 구동 캠 수단(128)의 하향 트랙(128b) 내에서 하향 활주하며, 장치가 "로크 아웃" 상태로 복귀될 때까지 외팔보 레그(129)를 내향으로 누르며, 구동 핀(132)은 외팔보 레그(129)의 자유 단부(129a)와 접촉하고, 활주 외피(130)의 조립 클립(139)은 제 1 투여량의 전달의 종료시와 같이 새시(100a)의 축방향 안내부(136)에서 단부 정지부(140a)와 다시 결합한다. 바늘(107a)은 활주 외피(130)에 의해 덮여져 있기 때문에 역시 접근할 수 없다. 그후, 사용자는 의료원에게로의 폐기/취급 이전에 그 단부 캡(102)으로 장치를 다시 덮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주입기 장치는 용액 내의 약, 특히,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이라고도 알려져 있음)의 전달에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투약될 수 있는 에피네프린의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각 전달된 투여량에 대해 0.05 mg 내지 0.5 mg(2개 투여량이 고려되는 경우 0.1 mg 내지 1 mg)의 범위이다.
각 전달을 위해 바람직한 투여량은 0.05 mg, 0.10 mg, 0.15 mg, 0.30 mg 및 0.50 mg이다.
상술한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0.05 mg/ml 내지 0.5 mg/ml의 범위의 에피네프린 용액의 농도에 기초하며, 0.05 mg/ml, 0.1 mg/ml, 0.16 mg/ml, 0.3 mg/ml 및 0.5 mg/ml이 특히 바람직하다.

Claims (31)

  1. 자동 약물 주입 장치에 있어서,
    - 길이방향 축(X)을 따라 연장하는 외부 본체(1; 100),
    - 상기 외부 본체(1; 100)에 배치되어 그에 고정된 주사기 그룹(6; 106)으로서, 주입될 약물을 수용하는 주사기(7; 107)와, 바늘(7a; 107a)과, 상기 외부 본체(1; 100)에 대해 피봇가능하고 축방향으로 활주될 수 있는 플런저 수단(plunger means;8; 108)을 포함하는 상기 주사기 그룹(6; 106),
    - 보관 위치로부터 제 1 투여량을 주입하기 위한 제 1 장전 위치(first armed position) 및 적어도 제 2 투여량을 주입하기 위한 제 2 장전 위치로 상기 장치를 장전하기 위한 수단(4; 104, 204)으로서, 상기 외부 본체(1; 100)의 일 단부에 배열되는 상기 장전 수단(4; 104, 204),
    - 상기 장전 수단(4; 104, 204)과 상기 플런저 수단(8; 108) 사이에 배열된 제 1 탄성 수단(10; 110)으로서, 상기 장치가 보관 위치에 있을 때 압축된 상태로 존재하고, 상기 플런저 수단(8; 108)을 전방으로 추진하여 상기 제 1 투여량 및 상기 적어도 제 2 투여량을 전달하기 위해 압축해제되는 상기 제 1 탄성 수단(10; 110),
    - 상기 외부 본체(1; 100)의 다른 단부에 배열되고, 그 자유 단부에 작용되는 압력의 결과로서, 활주 외피(30; 130)와 상기 외부 본체(1; 100) 사이에 배열된 제 2 탄성 수단(35; 135)에 맞서서, 상기 활주 외피(30; 130)가 상기 주사기의 바늘(7a; 107a)을 덮는 상기 외부 본체(1; 100)로부터 돌출하는 활주 로크 아웃 위치(sliding lock-out position)와, 상기 활주 외피(30; 130)가 상기 외부 본체(1; 100) 내로 수축되어 상기 주사기의 바늘(7a; 107a)이 노출된 상태로 남아 있게 하는 장치 트리거 위치(device trigger position) 사이에서 그 내부로 축방향으로 활주하도록 구속된 상기 활주 외피(30; 130)로서, 상기 제 2 탄성 수단(35; 135)은 상기 압력 작용이 중단될 때 상기 활주 외피(30; 130)를 상기 로크 아웃 위치로 다시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상기 활주 외피(30; 130),
    - 상기 외부 본체(1; 100) 내에서 축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고 상기 활주 외피(30; 130)에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캠 구동 수단(28, 128),
    - 상기 캠 구동 수단과 일체로 피봇할 수 있고 상기 플런저 수단(8; 108)을 상기 제 1 투여량 및 상기 적어도 제 2 투여량의 상기 트리거 위치들로 각도 변위시키도록 상기 플런저 수단(8; 108)과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트리거 캠 수단(trigger cam means;26, 27; 126, 127), 및
    - 상기 외부 본체(1; 100)와 일체이면서 상기 플런저 수단(8; 108)의 축방향 활주 범위를 제어하고 따라서 각 투여량을 위해 전달된 약물의 체적을 제한하도록 상기 플런저 수단(8; 108)과 작동식으로 연결되는 계단식 안내 수단(44; 144)으로서, 상기 트리거 캠 수단(26, 27; 126, 127) 및 상기 구동 캠 수단(28, 128)은 상기 외부 본체(1; 100)와 상기 플런저 수단(8; 108) 사이에 피봇식으로 배열된 동일 지지부(23; 123) 상에 형성되는 상기 계단식 안내 수단(44; 144)을 포함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캠 수단(26, 27; 126, 127)은 상기 지지부(23; 123)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축방향 슬롯(27, 127)을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 슬롯은 상기 지지부(23, 123)의 단부 에지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플런저 수단(8; 108)을 추진하기 위한 축방향 제 1 트리거 캠 트랙(27a; 127a)과, 상기 제 1 트리거 캠 트랙(27a, 127a)에 관하여 각도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플런저 수단(8; 108)을 추진하기 위한 적어도 대응 축방향 제 2 트리거 캠 트랙((26c; 126c)을 형성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수단(8; 108)은 상기 계단식 안내 수단(44; 144) 및 상기 트리거 캠 수단(26, 27; 126, 127)과 상호작용하도록 상기 축(X)에 수직으로 외향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경방향 페그(peg;15; 115)를 포함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수단(8; 108)은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부분들에서 연장하는 적어도 한 쌍의 반경방향 페그들(15; 115)을 포함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외피(30; 130)는 상기 활주 외피(30; 130)로부터 연장하는 축방향 레그들(31; 131)의 자유 단부들(32; 132)을 통해 상기 구동 캠 수단(28, 128)과 상호작용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캠 수단(28; 128)은 상기 지지부(23; 123)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축방향 레그들(31; 131) 각각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제 1 구동 캠 트랙(28a, 128a)과 적어도 하나의 제 2 구동 캠 트랙(28b; 128b)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구동 캠 트랙은 상기 지지부(23, 123)의 다른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축(X)에 관하여 경사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2 구동 캠 트랙은 상기 지지부(23; 123)의 동일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 1 구동 캠 트랙(28a; 128a)과 함께 수반되고(incident), 상기 축방향 레그들(31; 131)의 자유 단부들(32; 132)은 상기 활주 외피(30; 130)의 자유 단부(3; 103) 상에 압력 작용이 발휘될 때 상기 제 1 구동 캠 트랙(28a; 128a), 그리고, 연속적으로 상기 제 2 구동 캠 트랙(28b; 128b)과 활주식으로 결합하고, 그에 의해, 상기 지지부(23; 123)는 상기 제 1 구동 캠 트랙(28a; 128a)의 경사에 대향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때마다 상기 압력 작용이 중단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장전 수단은 단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이 허용되는 방식으로 상기 외부 본체(1; 100)에 피봇식으로 연결되고 투여량의 전달을 위해 상기 장치를 언로킹할 수 있는 범위까지 이를 각도 변위시키도록 상기 지지부(23; 123)에 일시적으로 연결되는 투여량 선택 노브(knob;4; 104, 204)를 포함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량 선택 노브(4)는 상기 지지부(23)가 회전하게 하도록 상기 발부들(21)이 접하는 선단 에지(22a)를 갖는 상기 지지부(23)의 각각의 활주 좌대들(22)과 직경방향으로 대향하여 결합된 적어도 두 개의 상기 발부들(21)을 포함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량 선택 노브(4)는 상기 외부 본체(1) 상에 형성된 경사 표면들(19)과 활주식으로 결합되는 래칫 레그들(ratchet legs;18)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 표면들(19)은 경사 계단부들(19a)을 형성하며, 상기 투여량 선택 노브(4)가 투여량의 전달을 위해 상기 장전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경사 계단부들(19a)에 대해 상기 레그들(18)이 접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레그들(18)의 자유 단부들이 상기 외부 본체(1)의 경사 표면(19)의 계단부(19a)로부터 떨어질 때 상호 결합하도록 상기 외부 본체(1)와 상기 투여량 선택 노브(4) 사이에 임시 정지 수단들(46, 47)이 제공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장전 수단은 투여량 선택 노브(104)와 상기 투여량 선택 노브(104) 내에 배열되어 스냅 연결되는 래칫(204)을 포함하고, 상기 래칫(204)은 상기 외부 본체(100)에 피봇 연결되어서, 단 하나의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고, 투여량 전달을 위해 상기 장치를 언로킹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123)에 일시적으로 연결되어 각도 변위를 부여할 수 있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204)은 선단 에지(122a)를 갖는 상기 지지부(123)의 각각의 활주 좌대들(122)과 직경방향으로 대향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발부들(121)을 포함하고, 상기 발부들(121)의 선회 레그들(121a)이 상기 선단 에지에 대해 접하여 상기 지지부(123)가 회전하게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반경방향 페그(115)와 상기 트리거 캠 트랙(127a) 사이에 설계 유격(Y)이 존재하고, 홈들(122)의 각각의 상기 선단 에지들(122a)과 상기 발부들(121)의 선회 레그들(121a) 사이에 더 적은 범위의 설계 유격(Z)이 존재하며, 상기 제 1 투여량을 위해 상기 장치를 장전하기 위하여 상기 투여량 선택 노브(104)의 회전은 상기 플런저 수단(108)의 회전을 유발하지 않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204)은 상기 투여량 선택 노브(104)의 회전의 결과로서 상기 외부 본체(100)의 각각의 리브들(119) 상에서 굴곡하에 활주하고 그 단부들이 그들에 대해 점프하여 접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레그들(118)을 구비하고, 그에 의해, 상기 투여량 선택 노브(104)가 투여량의 전달을 위해 상기 장전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투여량 선택 노브(104)의 역방향 회전이 방지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아암들(118)의 자유 단부들이 상기 외부 본체(100)의 림(rim;119)들에 대하여 접할 때 서로에 대해 접하도록 상기 외부 본체(100)와 상기 래칫(204) 사이에 가역적 정지 수단(120, 120a)이 제공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캠 수단(28; 128)은 상기 전방 단부(3; 103) 상의 압력 작용이 중단될 때 상기 활주 외피(30; 130)가 상기 지지부(23; 123)에 대하여 활주되고 상기 투여량 선택 노브(4; 104, 204)가 투여량 선택 장전 위치에 위치되기 이전에 이것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도록 편향될 수 있는 돌출 외팔보 레그들(29; 129)을 포함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외팔보 레그들(29; 129) 각각은 각각의 제 2 구동 캠 트랙(28b; 128b) 내에 배열되고, 그 자유 단부는 상기 로크 아웃 에지(29a; 129a)를 구성하고, 상기 장치가 로크 아웃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로크 아웃 에지에 대해 상기 축방향 레그(31; 131)의 단부(32; 132)가 접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제 1 투여량 및 제 2 투여량 전달의 위치들을 초과하여 상기 투여량 선택 노브(4; 104, 204)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단부들(32; 132)을 위한 접대부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축방향 로크 아웃 에지(29a; 129a)의 측부들에 정지 에지(28c; 128c)가 배치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위치에서 이들을 축방향으로 일체가 되게 하고 상기 투여량 전달 작동 위치들에서 이들을 해제하도록 상기 플런저 수단(8; 108)과 상기 장전 수단(4; 104, 204) 사이에 베이어닛 연결(bayonet connection)이 제공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어닛 연결은 상기 투여량 선택 노브(4)의 적어도 하나의 보유 클립(13)과 대응 실질적 L-형상 슬롯(12)을 포함하고, 상기 대응 실질적 L-형상 슬롯(12)은 상기 플런저 수단(8) 상의 축방향 해제 슬롯 분기(12b)와 원주방향 보유 슬롯 분기(12a)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장치 보관 위치에서 상기 보유 클립(13)은 상기 제 1 탄성 수단(10)의 추력에 맞서도록 상기 보유 슬롯 분기(12a) 내에 결합되고, 상기 투여량 선택 노브(4)의 각도 변위에 후속하여, 상기 보유 클립(13)은 상기 해제 슬롯 분기(12b)와 축방향으로 정렬될 때까지 상기 보관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투여량 전달 위치로 통과할 때 상기 보유 슬롯 분기(12a)를 따라 활주하며, 그에 의해, 상기 플런저 수단(8)은 상기 투여량 선택 노브(4)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어닛 연결은 직경방향으로 대향한 부분들에서 상기 래칫(204)으로부터 내향 돌출하는 한 쌍의 보유 발부들(retention feet;112)과 상기 플런저 로드(108)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보유 발부들(112)상에 걸려지는 대응 작동 슬롯(113)을 포함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2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안내 수단(44)은 상기 축(X)에 수직인 평면들 상에 배치되는 상기 플런저 수단(8)을 위한 배치 표면들(44a, 44b)을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 수단(8)은 상기 배치 표면들(44a, 44b)을 따라 상기 축방향 캠 트랙들(27a, 26c)에 의해 작용되는 누름 작용의 결과로서 각도 변위되고 그후 상기 배치 표면들의 단부에 도달하고 나면 축방향으로 변위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44)은 두 개의 축방향 프로파일 부분들(44d, 44e)에 의해 연결된 정지 레지(44c)와 두 개의 배치 표면들(44a, 44b)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단식 안내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안내 수단(44)은 상기 외부 본체(1)의 내부면 상에 형성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본체(100)는 외부 슬리브(100b) 내에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그에 일체화된 새시(chassi;100a)를 포함하고, 상기 활주 외피(130)는 상기 새시(100a) 내에서 축방향으로 활주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23)는 상기 외부 슬리브(100b) 내에 축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활주 외피(130)의 축방향 레그들(131)은 상기 새시(100a)의 축방향 슬롯들(147) 내에 활주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외부 슬리브(100b)는 상기 래칫(204)에 대해 단 하나의 방향으로만 피봇식으로 연결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안내 수단(144)은 상기 새시(100a)의 내부면 상에 형성되고, 축방향 프로파일 부분(144d, 144e)에 의해 연결된 정지 레지(stop ledge;144c)와 배치 표면(144a)을 포함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27. 제 1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외피(30; 130)는 상대적 축방향 활주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고 돌출부를 통해 그 위에 작용되는 적당한 힘 하에서 내향 편향시키도록 상기 외부 본체(1; 100)의 상기 돌출부에 대해 접하도록 그 외부 표면을 따라 가요성 가지부들(41; 141)을 포함하며, 비편향 상태로의 상기 가요성 가지부들의 탄성 해제는 압력 작용에 순응하는 추력을 작용하여 상기 활주 외피(30; 130)가 상기 외부 본체(1; 100)의 내부를 향해 활주하게 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수단은 상기 플런저 수단(8; 108)과 상기 장전 수단(4; 104, 204) 사이에서 연장하는 지지 로드(11; 111) 둘레에서 상기 플런저 수단(8; 108) 내부에 배치된 스프링(10; 110)을 포함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본체(1; 100)는 상기 약물 전달 조건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투명 검사 윈도우(38; 138)와, 상기 활주 외피(30; 130) 상에 형성되는 상기 윈도우(38; 138)에 축방향으로 정렬된 대응 축방향 개구(37; 137)와 함께 형성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30.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7a; 107a)은 바늘 차폐부(7b; 107b)에 의해 덮여지고, 바늘 차폐부 제거기(45; 145)는 상기 외부 본체(1; 100)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바늘 차폐부(7b; 107b)와 결합하도록 체결된 내부 관형 파지부(45b; 145b)를 구비하며, 그에 의해, 상기 제 1 투여량이 투약되기 이전에 상기 바늘 차폐부 제거기(45; 145)를 당김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바늘 차폐부(7b; 107b)를 제거하고 주입을 위해 상기 바늘(7a; 107a)을 자유상태가 되게 할 수 있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차폐부 제거기(145)는 상기 바늘 차폐부(107b) 내로 침입하는 후크들을 갖는 인서트(146)를 포함하는 자동 약물 주입 장치.
KR1020147009127A 2011-09-08 2012-09-06 약물 투여량의 자동 주입을 위한 장치 KR101965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FI2011A000194 2011-09-08
IT000194A ITFI20110194A1 (it) 2011-09-08 2011-09-08 Dispositivo autoiniettore di dosi di farmaco
PCT/EP2012/067438 WO2013034651A1 (en) 2011-09-08 2012-09-06 Device for automatic injection of drug do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160A true KR20140068160A (ko) 2014-06-05
KR101965559B1 KR101965559B1 (ko) 2019-04-04

Family

ID=44898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127A KR101965559B1 (ko) 2011-09-08 2012-09-06 약물 투여량의 자동 주입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35)

Country Link
US (1) US9017293B2 (ko)
EP (1) EP2753382B1 (ko)
JP (1) JP5972378B2 (ko)
KR (1) KR101965559B1 (ko)
CN (1) CN103764205B (ko)
AP (1) AP3487A (ko)
AR (1) AR087820A1 (ko)
AU (1) AU2012306332B2 (ko)
BR (1) BR112014005382B1 (ko)
CA (1) CA2842747C (ko)
CL (1) CL2014000564A1 (ko)
CU (1) CU24166B1 (ko)
CY (1) CY1117313T1 (ko)
DK (1) DK2753382T3 (ko)
EA (1) EA024822B1 (ko)
ES (1) ES2563989T3 (ko)
GE (1) GEP20166466B (ko)
GT (1) GT201400040A (ko)
HK (1) HK1195880A1 (ko)
HR (1) HRP20160242T1 (ko)
HU (1) HUE027133T2 (ko)
IL (1) IL231396A (ko)
IT (1) ITFI20110194A1 (ko)
ME (1) ME02361B (ko)
MX (1) MX341284B (ko)
MY (1) MY167129A (ko)
PE (1) PE20141619A1 (ko)
PL (1) PL2753382T3 (ko)
RS (1) RS54665B1 (ko)
SI (1) SI2753382T1 (ko)
SM (1) SMT201600063B (ko)
TN (1) TN2014000028A1 (ko)
UA (1) UA110146C2 (ko)
WO (1) WO2013034651A1 (ko)
ZA (1) ZA2014007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99635A1 (en) 2010-06-28 2011-12-2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WO2014104391A1 (ja) 2012-12-28 2014-07-03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方向性電磁鋼板製造用の一次再結晶鋼板
WO2014166914A1 (en) * 2013-04-10 2014-10-16 Sanofi Drive assembly for a drug delivery device
US11801075B2 (en) * 2013-05-29 2023-10-31 Spinal Simplicity, Llc Instrument for inserting an interspinous process implant
EP2823838A1 (en) 2013-07-09 2015-01-1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EP2823841A1 (en) * 2013-07-09 2015-01-1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EA032285B1 (ru) 2013-08-08 2019-05-31 Глобал Био Терапьютикс, Инк. Прибор для инъекций с минимальным захватом и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
DK3030163T3 (da) 2013-08-08 2019-07-01 Global Bio Therapeutics Inc Klemmeindretning til minimalt invasive procedurer
GB2521212B (en) * 2013-12-13 2016-07-27 Owen Mumford Ltd Selectable dose injection device
EP2886144A1 (en) * 2013-12-20 2015-06-24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rug delivery device
EP2923714A1 (en) 2014-03-28 2015-09-30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triggered by skin contact
EP3148619A1 (en) * 2014-05-28 2017-04-05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ose setting mechanism for drug delivery device and drug delivery device
TW201611853A (en) * 2014-07-01 2016-04-01 Sanofi Sa Injection device
CN107002162B (zh) 2014-11-27 2019-06-07 杰富意钢铁株式会社 取向性电磁钢板的制造方法
EP3226943B1 (en) * 2014-12-05 2021-01-06 Novo Nordisk A/S Drive mechanism for an injection device
AU2015360746B2 (en) 2014-12-08 2020-10-01 Genentech, Inc. Versatile syringe platform
BR112017011213A2 (pt) 2014-12-23 2018-02-14 Automed Pty Ltd aparelho de fornecimento, sistema e métodos associados
US11065390B2 (en) 2016-02-29 2021-07-20 Shl Medical Ag Automatic delivery device with end of injection indication device
US11612700B2 (en) 2016-02-29 2023-03-28 Shl Medical Ag Delivery device
US20170246395A1 (en) * 2016-02-29 2017-08-31 Shl Group Ab Delivery Device
US20170246400A1 (en) * 2016-02-29 2017-08-31 Shl Group Ab Delivery Device
ES2814287T3 (es) * 2016-03-15 2021-03-26 Amgen Inc Reducir la probabilidad de rotura de cristal en dispositivos de administración de fármaco
JP6617203B2 (ja) * 2016-03-16 2019-12-11 イーライ リリー アンド カンパニー 自動薬剤注射装置用トリガーアセンブリ
CA3014777C (en) 2016-03-16 2021-04-20 Eli Lilly And Company Medication injection device with automatic needle retraction following injection
US10420591B2 (en) 2016-04-14 2019-09-24 Spinal Simplicity, Llc Interspinous implant insertion instrument with staggered path implant deployment mechanism
GB201607491D0 (en) * 2016-04-29 2016-06-15 Owen Mumford Ltd Injection devices
US10603445B2 (en) 2016-06-09 2020-03-3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Needle actuator assembly for drug delivery system
US10792432B2 (en) 2016-06-09 2020-10-0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rive assembly and spacer for drug delivery system
US10549044B2 (en) 2016-06-09 2020-02-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pacer assembly for drug delivery system
US10751476B2 (en) 2016-06-09 2020-08-2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ctuator assembly for drug delivery system
CN106110443B (zh) * 2016-07-20 2022-07-22 昆山翰尔西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注射器
US10300214B2 (en) * 2016-07-27 2019-05-28 Shl Medical Ag Cap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WO2018021332A1 (ja) 2016-07-29 2018-02-0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方向性電磁鋼板用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方向性電磁鋼板の製造方法
US10589036B2 (en) * 2016-12-13 2020-03-1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afety needle device
CN111432862B (zh) 2017-10-16 2022-11-04 贝克顿·迪金森公司 用于药物递送装置的间隔件组件
WO2020141043A1 (en) * 2019-01-04 2020-07-09 Novo Nordisk A/S A shield trigger mechanism and an injection device with a shield trigger mechanism
WO2020210513A1 (en) * 2019-04-09 2020-10-15 Battelle Memorial Institute Autoinjectors having advanced release and sound features
CN114364821B (zh) 2019-09-06 2023-10-20 杰富意钢铁株式会社 方向性电磁钢板及其制造方法
KR102283889B1 (ko) * 2019-09-27 2021-08-03 주식회사 케이 무침 주사기
WO2021122190A1 (en) * 2019-12-18 2021-06-24 Novo Nordisk A/S Drug delivery device for delivering a predefined fixed dose
WO2021122200A1 (en) 2019-12-18 2021-06-24 Novo Nordisk A/S Fixed dose injection device
EP4076598A1 (en) 2019-12-18 2022-10-26 Novo Nordisk A/S Fixed dose injection device
US20230001101A1 (en) 2019-12-18 2023-01-05 Novo Nordisk A/S Fixed dose injection device
EP4126128A4 (en) * 2020-03-25 2023-09-20 Action Medical Technologies, LLC DEVICES AND METHODS FOR INJECTING MEDICATIONS
CN115484998A (zh) 2020-04-23 2022-12-16 诺和诺德股份有限公司 具有安全组件的可激活药物递送装置
US11957542B2 (en) 2020-04-30 2024-04-16 Automed Patent Holdco, Llc Sensing complete injection for animal injection device
US11759576B2 (en) 2020-06-05 2023-09-19 Action Medical Technologies, Llc Parenteral injection apparatus
CN113082393B (zh) * 2021-04-14 2022-07-22 郑州万辉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注射针用自动扎针助针器
WO2023064313A2 (en) * 2021-10-11 2023-04-20 Congruence Medical Solutions, Llc Autoinjection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5939B1 (en) * 1998-02-04 2003-06-10 Sanofi-Synthelabo Device for automatic injection of a dose of medicinal product
JP2008521482A (ja) * 2004-11-24 2008-06-26 エスホーエル メディカル アクチボラゲット 注射器具
JP2008212631A (ja) * 2006-12-13 2008-09-18 Shl Medical Ab 自動注射器
WO2009040602A1 (en) * 2007-09-25 2009-04-02 Becton Dickinson France Autoinject0r with deactivating means moveable by a safety shield
WO2011012903A1 (en) * 2009-07-31 2011-02-03 The Medical House Limited Improved autoinjec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1893A (en) 1976-05-14 1977-06-28 Survival Technology, Inc. Hypodermic injection device having means for varying the medicament capacity thereof
NL8701091A (nl) * 1987-05-08 1988-12-01 Spruyt Hillen Bv Injectiepen.
GB9310163D0 (en) 1993-05-18 1993-06-30 Owen Mumford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injection devices
US5540664A (en) 1993-05-27 1996-07-30 Washington Biotech Corporation Reloadable automatic or manual emergency injection system
SE9901366D0 (sv) 1999-04-16 1999-04-16 Pharmacia & Upjohn Ab Injector device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US6808507B2 (en) * 2002-05-10 2004-10-26 Cambridge Biostability Ltd. Safety injectors
US20050027255A1 (en) 2003-07-31 2005-02-03 Sid Technologies, Llc Automatic injector
CN101119761B (zh) 2004-11-24 2010-08-18 Shl医药公司 注射设备
FR2905273B1 (fr) 2006-09-06 2009-04-03 Becton Dickinson France Soc Pa Dispositif d'injection automatique avec moyen de temporisation.
CN101854967B (zh) 2007-09-25 2013-06-05 贝克顿迪金森法国公司 具有能由安全护套移动的解除作用装置的自动注射器
RU2491102C2 (ru) * 2008-01-23 2013-08-27 Ново Нордиск А/С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ъекции установленной дозы жидкого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JP5611208B2 (ja) 2008-08-05 2014-10-22 アンタレス・ファーマ・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多数回服用量の注射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5939B1 (en) * 1998-02-04 2003-06-10 Sanofi-Synthelabo Device for automatic injection of a dose of medicinal product
JP2008521482A (ja) * 2004-11-24 2008-06-26 エスホーエル メディカル アクチボラゲット 注射器具
JP2008212631A (ja) * 2006-12-13 2008-09-18 Shl Medical Ab 自動注射器
WO2009040602A1 (en) * 2007-09-25 2009-04-02 Becton Dickinson France Autoinject0r with deactivating means moveable by a safety shield
WO2011012903A1 (en) * 2009-07-31 2011-02-03 The Medical House Limited Improved autoinj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53382B1 (en) 2015-12-09
HRP20160242T1 (hr) 2016-04-08
EA201490586A1 (ru) 2014-06-30
HUE027133T2 (en) 2016-10-28
PL2753382T3 (pl) 2016-06-30
AP3487A (en) 2015-12-31
BR112014005382A2 (pt) 2017-03-28
SI2753382T1 (sl) 2016-04-29
MY167129A (en) 2018-08-13
GEP20166466B (en) 2016-04-25
AR087820A1 (es) 2014-04-16
EP2753382A1 (en) 2014-07-16
US20140257194A1 (en) 2014-09-11
CU24166B1 (es) 2016-03-31
CY1117313T1 (el) 2017-04-26
AU2012306332B2 (en) 2015-01-22
NZ623615A (en) 2015-01-30
DK2753382T3 (en) 2016-02-29
JP5972378B2 (ja) 2016-08-17
JP2014526291A (ja) 2014-10-06
US9017293B2 (en) 2015-04-28
AU2012306332A1 (en) 2014-04-24
CN103764205B (zh) 2016-08-31
ZA201400728B (en) 2014-11-26
CU20140030A7 (es) 2014-05-27
MX2014002750A (es) 2014-04-16
WO2013034651A1 (en) 2013-03-14
EA024822B1 (ru) 2016-10-31
IL231396A (en) 2017-07-31
RS54665B1 (en) 2016-08-31
GT201400040A (es) 2016-02-15
PE20141619A1 (es) 2014-11-28
AP2014007489A0 (en) 2014-03-31
CL2014000564A1 (es) 2014-08-29
ME02361B (me) 2016-06-20
CA2842747A1 (en) 2013-03-14
HK1195880A1 (zh) 2014-11-28
MX341284B (es) 2016-08-12
IL231396A0 (en) 2014-04-30
ES2563989T3 (es) 2016-03-17
KR101965559B1 (ko) 2019-04-04
ITFI20110194A1 (it) 2013-03-09
SMT201600063B (it) 2016-04-29
CN103764205A (zh) 2014-04-30
CA2842747C (en) 2019-02-26
BR112014005382B1 (pt) 2020-09-24
UA110146C2 (uk) 2015-11-25
TN2014000028A1 (en)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559B1 (ko) 약물 투여량의 자동 주입을 위한 장치
AU2019213383B2 (en) An auto-injector for epinephrine injection
EP2753381B1 (en) Device for the automatic injection of two doses of a medicament
CA2915225C (en) Medicament delivery device
US20220273875A1 (en) Injection apparatus
JP5721850B2 (ja) 薬剤送達装置
OA16748A (en) Device for automatic injection of drug doses.
NZ623615B2 (en) Device for automatic injection of drug doses
CN114340702A (zh) 带有针载体的药物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