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7484A - 디지털 이미지 필터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조명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이미지 필터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조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7484A
KR20140067484A KR1020120134768A KR20120134768A KR20140067484A KR 20140067484 A KR20140067484 A KR 20140067484A KR 1020120134768 A KR1020120134768 A KR 1020120134768A KR 20120134768 A KR20120134768 A KR 20120134768A KR 20140067484 A KR20140067484 A KR 20140067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vent
image
unit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진
Original Assignee
박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진 filed Critical 박현진
Priority to KR1020120134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7484A/ko
Publication of KR20140067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05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using light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디지털 필터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조명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투과형 엘시디나 디엠디 등의 디지털 이미징(Imaging) 장치를 디지털 이미지 필터로 활용하여 공간을 밝히는 조명을 이미지화한다. 조명장치는 디지털 이미지 소자에 표시하는 필터-이미지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조명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어서, 종래의 이미지화 조명장치의 필터를 갈아끼우는 불편이 해소될 뿐만 아니라, 필터-이미지를 변경하는 이벤트 조건을 다양하게 설정하는 방법으로 조명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이미지 필터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조명 방법{Lighting Apparatus Using Digital Image Filter and Ligh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이미지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 이미지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장치 및 그 조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조명기기는 단순 조명의 역할을 넘어 미려한 디자인으로 자체 인테리어 소품의 역할을 부여하거나 점 조명이나 부분 조명의 형태로 인테리어 디자인 수단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출원인은 실내 장식, 광고 또는 이벤트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발명을 하여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140384호를 받은 바 있다. 등록받은 인테리어 조명기구는 어두운 실내나 야외의 일정 공간이나 부분을 면 또는 점의 형태로 단순히 밝게 조명하기 위한 조명 장치가 아니라, 조명되는 부분(면 또는 점의 형태)이 특별히 고안된 문양이나 도안의 형태가 되도록 하여 조명기기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소품, 광고 매체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출원인의 특허 제1140384호의 조명장치는 광원과, 광원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켜 이미지화하는 투과막(필터)과, 광 경로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렌즈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투과막에서 형성된 이미지와 같은 형상의 조명이 생성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인테리어 조명장치는 조명이 형성하는 이미지를 바꾸고자 할 경우에는 원하는 이미지를 가진 필터(투과막)로 직접 갈아끼워야 하며, 해당 필터도 별도의 제작과정을 거쳐 사용자나 관리자가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프로젝터(Projector)는 컬러 영상을 외부에 설치된 스크린에 투사하는 장치로서, 적색(R), 녹색(G) 및 청색(B) 광이 최종 투사되어 하나의 컬러 영상을 형성하거나, 투사되기 전에 하나로 합성되어 하나의 광으로 투사된다. 이러한 프로젝터는 일반적으로 컬러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최근에 출시되는 디엘피(DLP: Digital Light Processing) 타입의 프로젝터의 경우에도 일정한 크기의 박스 형태 케이스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젝터는 그 구조적 한계로 인하여 자체로 인테리어 소품화 되는데는 일정한 한계가 있어서, 특별한 공간에는 매립하여 설치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이미지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 이미지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이미지화 조명장치에서 필터를 갈아끼우는 불편함을 제거한 디지털 이미지 필터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조명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필터를 사용하여 조명을 제공하되, 네트워크로 연결된 외부 단말기가 제공하는 이미지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조명을 제공하는 이미지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학처리부와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광학처리부는 광원, 디지털 필터 및 복수 개의 렌즈를 포함하여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으로 상기 필터-이미지 형상의 조명을 제공한다. 여기서, 디지털 필터는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형 엘시디(LCD)나 상기 광을 반사시키는 디엠디(DMD)를 구비하여,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필터-이미지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킨다.
제어회로는 복수 개의 상기 필터-이미지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 개의 필터 이미지 중 하나를 상기 디지털 필터에게 제공하여 상기 필터-이미지를 변경하는 필터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조명장치는 상기 디지털 필터가 처리하는 필터-이미지가 바뀔 때마다 조명의 형태를 바꾼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광학처리부 외부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이벤트 조건이 완성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 이벤트를 생성하는 이벤트생성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매핑된 필터-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광학처리부가 제공하는 조명을 상기 이벤트에 매핑된 필터-이미지의 형태로 변경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회로는, 외부 단말기 또는 서버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이벤트처리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 또는 서버가 제공하는 필터-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외부 단말기 또는 서버가 제공하는 필터-이미지를 상기 디지털 필터에게 제공하여 조명을 바꿀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외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상기 필터-이미지를 직접 생성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생성한 필터-이미지를 상기 이벤트생성부에게 제공하는 콘텐츠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조명방법은, 광원과, 디지털 필터와 복수 개의 렌즈를 포함한 광학처리부가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으로 상기 필터-이미지 형상의 조명을 제공하는 단계; 센서부가 상기 광학처리부 외부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생성부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상태 변화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조건에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 조건에 따른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에 따라, 필터제어부가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 개의 필터 이미지 중 하나를 상기 디지털 필터에게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필터가 새로운 필터 이미지로 동작함으로써 조명을 바꾸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기본적으로 조명되는 부분의 형상을 디지털 이미지 필터에 나타낸 이미지로 이미지화할 수 있어서, 단순 조명의 기능을 넘어 장식이나 메시지를 전달하는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이미지화에 제공되는 필터가 디지털 이미징(Imaging) 장치로 구현되어 매번 필터를 교환할 필요 없이 새로운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원거리에서도 원하는 이미지의 조명이 출사되도록 할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외부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미지를 변경시킴으로써 인터랙티브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이미지 필터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동작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는 광학처리부(110)와 제어회로(130)를 포함한다. 도 1은 이해의 편리를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광학처리부(110)와 제어회로(130)는 동일한 하우징(111) 내에 함께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학처리부(110)는 엘시디(LCD)나 디엠디(DMD: Digital Mirror Device)와 같은 디지털 이미징(Imaging) 장치를 디지털 이미지 필터(이하, 간단히 '디지털 필터'라 함)로 사용하여 이미지화된 조명을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광학처리부(110)는 예시적으로 제공된 것으로서, 광원(113), 집광렌즈부(115), 디지털 필터(117) 및 결상렌즈(119)가 하우징(111) 내부에 구비된 형태이다.
광원(113)은 조명장치(100)의 기본 광을 집광렌즈부(115)로 출사한다. 광원(113)으로는 엘이디(LED)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통상의 조명용 램프도 사용될 수 있다. 광원(113) 일측에는 방열판이 마련되어 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배출할 수 있다.
하우징(111) 내부의 광원(113)에서 출사된 광은 우선 집광렌즈부(115)를 통과하면서 집광되어 디지털 필터(117)로 입사된다. 집광렌즈부(115)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집광렌즈부(115)는 하우징(111) 내부의 공간적 배치를 고려하여 평면-볼록렌즈(Plano-Convex Lens) 및/또는 볼록 렌즈(Convex Lens)를 적절히 구비할 수 있다. 평면-볼록렌즈는 입사면이 평면이고 출사면이 구면 또는 비구면 볼록렌즈로 성형된 렌즈이다.
집광렌즈부(115)를 통과한 광은 디지털 필터(117)를 통과하거나 디지털 필터(117)에서 반사되면서 조명을 이미지화된다. 이를 위해, 투과형 엘시디(LCD: Liquid Crystal Disply) 패널이나 디엠디(DMD: Digital Mirror Device)와 같은 디지털 이미지 소자가 디지털 필터(117)로 이용된다. 도 1의 조명장치(100)는 엘시디를 사용한 예로서, 투과형 엘시디 패널은 아래에서 설명된 필터-이미지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집광렌즈부(115)에서 출사된 광을 필터-이미지 형태로 선택적으로 투과시켜서, 최종 출사되는 조명이 필터-이미지와 같은 형태를 갖도록, 즉 이미지화한다.
디엠디는 마이크로 구동거울을 집적한 반도체 광 스위치로서, 마이크로 거울에 의하여 투사된 빛을 선택적으로 반사시킴으로써 조명을 이미지화한다. 따라서 디엠디로 입사된 광은 일정한 각도로 반사되므로, 광 경로는 직선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집광렌즈부(115), 디지털 필터(117) 및 결상렌즈(119)가 하나의 직선상에 일렬로 배치될 수 없고, 집광렌즈부(115)와 결상렌즈(119)가 디지털 필터(117)인 디엠디의 거울 면과 마주하는 배치 구조를 가진다. 디엠디에는 단판식과 3판식이 있으며,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에는 단판식이 사용될 수 있다.
디지털 필터(117)의 동작은 제어회로(130)에 의해 제어되며, 그 제어동작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디지털 필터(117)를 통과하거나, 디지털 필터(117)에서 반사된 광은 결상렌즈(119)를 통해 출사된다. 결상렌즈(119)는 별도의 결상렌즈 지지부재(121)에 의해 하우징(111)에 결합될 수 있으며, 결상렌즈 지지부재(121)와 하우징(111) 사이의 나사결합이나 슬라이딩 결합구조에 의해 결상렌즈(119)와 집광렌즈부(115) 사이의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조정은 출사된 광이 면에 맺힐 때, 광이 형성하는 이미지가 면에서 초점이 맞도록 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원(113), 집광렌즈부(115), 디지털 필터(117) 및 결상렌즈(119)의 배치구조는 디지털 필터(117)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투과형 엘시디를 사용하더라도, 반드시 직선형 광 경로에 따라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광원(113), 집광렌즈부(115), 디지털 필터(117) 및 결상렌즈(119)를 필수 구성으로 가지면서 추가적으로 다른 광학적 구성(예컨대, 미러나 광 굴절기 등)을 더 포함하여 광 경로를 직선이 아닌 다른 형태로 얼마든지 변형시킬 수 있다.
제어회로(130)는 메모리(131), 센서부(13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며, 디지털 필터(117)의 제어뿐만 아니라 조명장치(100)의 동작 전체를 제어한다.
메모리(131)는 제어회로(13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소프트웨어 및 정보를 포함하며, 특별히 본 발명의 '필터-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이미지는 조명장치(100)에서 출사되는 조명의 이미지화를 위해 디지털 필터(117)에 기록하는 디지털 이미지 콘텐츠이다. 필터-이미지는 한 장의 이미지 프레임 단위로 생성되며, 다시 말해 프레임이 달라지면 다른 콘텐츠가 된다.
센서부(133)는 외부의 움직이는 사람이나 물체를 감지하거나 외부 온도, 습도, 조도 등을 감지하는 등 외부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이면 가능하다. 예컨대, 모션감지 센서, 적외선 센서, 접촉 센서, 조도 센서, 온도 감지 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하우징(111)의 일 측에 설치되어 하우징(111) 외부의 움직임, 온도 변화와 같은 상황 변화를 감지하고, 아래에서 설명할 제어부(140)의 이벤트생성부(143)에게 그 상태 변화 정보를 제공한다. 센서부(133)는 반드시 하우징(111)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며, 하우징(111)으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서, 제어부(140)와 외부 장치(예컨대, 서버, 컴퓨터, 휴대전화, 무선랜 단말기 등)와 연결된다. 유선 네트워크에는 유선랜(Wire LAN),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등이 포함되고, 무선 네트워크에는 3G/4G 이동통신망, 무선랜(Wireless LAN),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모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필터제어부(141)와 이벤트생성부(143)를 포함하여 제어회로(1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필터제어부(141)는 필터-이미지를 디지털 필터(117)에 제공하여, 디지털 필터(117)로 하여금 입사되는 광을 해당 필터-이미지의 이미지처럼 투과하거나 반사시킴으로써 조명장치(100)에서 출사되는 조명이 필터-이미지의 형상을 갖도록 한다.
도 2는 나무가지 문양의 필터-이미지를 필터제어부(141)가 디지털 필터(117)에게 제공함으로써 나뭇가지 형태의 면 조명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인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조명장치(100)가 제공하는 조명의 이미지를 바꾸려면, 필터제어부(141)가 새로운 문양의 필터-이미지를 디지털 필터(117)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하면 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디지털 필터(117)에게 제공하는 필터-이미지의 변경은 이벤트생성부(143)가 이벤트를 생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벤트생성부(143)는 센서부(133)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이벤트 조건이 완성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외부 단말기 등으로부터 일정한 제어를 받거나 필터-이미지를 제공받은 경우에 이벤트를 생성한다. 생성한 이벤트 정보는 필터제어부(141)에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필터제어부(141)는 메모리(131)로부터 해당 이벤트에 매핑된 필터-이미지를 추출하여 디지털 필터(117)에게 제공함으로써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다.
이상의 조명장치(100)의 동작을 도 3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필터제어부(141)는 동작을 개시하면서 기본 필터-이미지를 디지털 필터(117)에게 제공하여 기본 이미지의 조명이 나오도록 한다. 여기서, 조명은, 광원(113)에서 출사되는 광이 집광렌즈부(115)와 디지털 필터(117)를 통과하면서 이미지화되고, 이미지화된 광이 결상렌즈(119)를 통과하면서 조명장치(100)로부터 출사되어 공간에 면 조명을 형성하는 과정을 거친다(S301).
이후에 이벤트생성부(143)는 센서부(13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등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조건에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 조건에 따른 이벤트를 생성한다(S303).
이벤트생성부(143)가 특정 이벤트를 생성하면, 필터제어부(141)는 해당 이벤트에 따른 필터-이미지를 메모리(131)로부터 추출하여(S305), 디지털 필터(117)에게 제공하고 디지털 필터(117)는 해당 필터-이미지를 표시하도록 동작한다(S307).
이에 따라, 광원(113)에서 출사된 광이 변경된 필터-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지털 필터(117)를 통과하면서, 조명장치(100)의 조명이 바뀌게 된다(S309).
이상의 방법에 의하여, 조명장치(100)는 조명을 이미지화함과 동시에, 각종 이벤트에 따라 새로운 이미지의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조명장치(100)의 이벤트생성부(143)의 이벤트 생성을 조명장치(100)의 다양한 활용을 설명한다.
<센서를 활용한 이벤트 생성>
이벤트생성부(143)는 센서부(133)가 제공하는 상태 변화 정보를 기초로 외부 상태의 변화가 기 설정된 이벤트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생성부(143)가 이벤트를 생성하면, 필터제어부(141)는 일반상태에 디지털 필터(117)에 제공하는 필터-이미지를 대신하여, 해당 이벤트에 관련된 필터-이미지를 메모리(131)로부터 추출하여 디지털 필터(117)에게 제공함으로써 조명을 바꾼다.
예컨대, 센서부(133)가 단순한 모션 감지 센서일 경우, 이벤트생성부(143)는 센서부(133)의 감지 결과를 받으면 모션감지-이벤트를 생성하고, 필터제어부(141)는 모션감지-이벤트에 매핑된 필터-이미지를 메모리(131)에서 추출하여 디지털 필터(117)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통행자가 조명장치(100)를 지나쳐 갈 경우, 조명장치(100)가 제공하는 조명은 통행자에게 반응하여 변경되는 인터랙티브한 조명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외부 서버를 활용한 이벤트 생성>
다른 방법으로, 이벤트생성부(143)는 외부의 기상 서버나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 등에 접속하여 주기적으로 기상 정보를 받아올 수 있으며, 그 기상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이벤트를 생성함으로써 필터-이미지가 변경되고 조명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를 이용한 필터-이미지 제공>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명장치(100)는 네트워크(401)를 통해 외부 단말기(4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조명장치(100)와 외부 단말기(410) 사이의 연결은 별도의 서버(430)를 통할 수도 있다.
외부 단말기(410)로는 개인용 컴퓨터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용 디지털 기기도 모두 포함된다. 한편, 네트워크(401)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유선과 무선 네트워크가 모두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외부 단말기(410)가 스마트 폰일 경우, 외부 단말기(410)는 이동통신망과 유선 랜을 통해 조명장치(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와 연결되거나, 블루투스나 무선 랜을 통해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 단말기(410)가 스마트 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외부 단말기(410)에는 네트워크(401)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11)와, 필터-이미지를 처리하는 콘텐츠처리부(413)가 포함될 수 있다.
콘텐츠처리부(413)는 사용자에게 필터-이미지를 직접 생성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필터-이미지를 생성하면 해당 필터-이미지를 조명장치(100)의 이벤트생성부(143)에게 제공한다.
이벤트생성부(14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제공받은 사용자-필터-이미지를 메모리(131)에 저장함과 동시에 디지털 필터(117)에게 제공하여 조명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즉흥적으로 고안한 문양이 하나의 조명이 되어 출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광고적인 효과, 이벤트 효과, 메시지 전달효과 등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서버를 이용한 필터-이미지의 활용>
별도의 서버(430)를 통할 경우, 복수 개의 외부 단말기(410)가 서버(430)에 연결될 수 있다. 서버(430)에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인증 및 로그인에 관한 기능을 수행하는 인증부(431)과, 사용자와 관련된 각종 정보와 필터-이미지들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33)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필터-이미지들 이외에, 각 사용자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조명장치들에 대한 정보(IP Address 등 포함) 등이 포함된다.
또한, 서버(430)는 등록된 조명장치별로 제공되는 조명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콘텐츠관리부(435)를 포함한다. 조명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시간별, 이벤트별로 해당 조명장치(100)의 이벤트생성부(143)에게 제공할 필터-이미지들의 시간표 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콘텐츠관리부(435)는 외부의 기상 서버나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 등에 접속하여 주기적으로 기상 정보를 받아올 수 있으며, 그 기상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필터-이미지를 조명장치(100)의 이벤트생성부(143)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7)

  1. 광원;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형 엘시디(LCD)나 상기 광을 반사시키는 디엠디(DMD)를 구비하여,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필터-이미지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키는 디지털 필터; 및
    복수 개의 렌즈를 포함하여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으로 상기 필터-이미지 형상의 조명을 제공하는 광학처리부와,
    복수 개의 상기 필터-이미지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 개의 필터 이미지 중 하나를 상기 디지털 필터에게 제공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가 처리하는 필터-이미지를 변경하는 필터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가 처리하는 필터-이미지가 바뀔 때마다 조명의 형태를 바꾸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광학처리부 외부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가 제공하는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이벤트 조건이 완성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에 이벤트를 생성하는 이벤트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이벤트에 매핑된 필터-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디지털 필터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광학처리부가 제공하는 조명을 상기 이벤트에 매핑된 필터-이미지의 형태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외부 단말기 또는 서버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기 또는 서버가 제공하는 필터-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이벤트를 생성하는 이벤트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제어부는 상기 이벤트에 따라 상기 외부 단말기 또는 서버가 제공하는 필터-이미지를 상기 디지털 필터에게 제공함으로써 조명의 형태를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상기 필터-이미지를 직접 생성할 수 있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생성한 필터-이미지를 상기 이벤트생성부에게 제공하는 콘텐츠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광원과, 디지털 필터와 복수 개의 렌즈를 포함한 광학처리부가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으로 상기 필터-이미지 형상의 조명을 제공하는 단계;
    센서부가 상기 광학처리부 외부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생성부가 상기 센서부가 감지한 상태 변화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조건에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조건을 만족하면 해당 조건에 따른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에 따라, 필터제어부가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 개의 필터 이미지 중 하나를 상기 디지털 필터에게 제공하고, 상기 디지털 필터가 새로운 필터 이미지로 동작함으로써 조명을 바꾸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필터는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과형 엘시디(LCD)나 상기 광을 반사시키는 디엠디(DMD)를 구비하여 상기 광원에서 출사되는 광을 필터-이미지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조명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광학처리부 외부의 움직이는 물체나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이고,
    상기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벤트생성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물체나 사람을 감지하면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가 외부 단말기 또는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외부 단말기 또는 서버가 제공하는 필터-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벤트생성부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외부 단말기 또는 서버가 제공하는 필터-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제어방법.



KR1020120134768A 2012-11-26 2012-11-26 디지털 이미지 필터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조명 방법 KR20140067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768A KR20140067484A (ko) 2012-11-26 2012-11-26 디지털 이미지 필터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조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768A KR20140067484A (ko) 2012-11-26 2012-11-26 디지털 이미지 필터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조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484A true KR20140067484A (ko) 2014-06-05

Family

ID=5112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768A KR20140067484A (ko) 2012-11-26 2012-11-26 디지털 이미지 필터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조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74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521A1 (ko) * 2017-02-20 2018-08-23 박기철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로고라이트
KR102321042B1 (ko) * 2021-06-23 2021-11-02 송주훈 스마트 다기능 조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51521A1 (ko) * 2017-02-20 2018-08-23 박기철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로고라이트
KR102321042B1 (ko) * 2021-06-23 2021-11-02 송주훈 스마트 다기능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4859B2 (ja) 照明装置
CN107426887B (zh) 智能照明装置的操作模式转换方法
JP6345697B2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752848B2 (ja) 照明装置
JP6429288B2 (ja) 送信機、送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22828B2 (ja) 通信方法、通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1222067A (ja) 埋め込みプロジェクタを備えた小型情報処理装置
WO2016082670A1 (zh) 一种智能投影灯泡及其互动和智能投影方法
US20130127934A1 (en) Multiple rate projector
TWI504931B (zh) 投影系統及其投影方法
US10677448B2 (en) Lighting device
JP2018032885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070786B2 (ja) プロジェクター
KR20140067484A (ko) 디지털 이미지 필터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조명 방법
JP2012027104A (ja) 表示装置
JP2018032884A (ja) 受信プログラムおよび受信装置
JP2018028965A (ja) 照明装置
CN108770146B (zh) 多场景变化智控照明装置
CN102164190A (zh) 具有嵌入式投影模块之手持通讯装置
KR2014010691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79379A (ko) 영상 투사 기능을 가진 일체형 인테리어 조명기구
TWM491376U (zh) 照明顯示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