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7481A - 습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습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7481A
KR20140067481A KR1020120134763A KR20120134763A KR20140067481A KR 20140067481 A KR20140067481 A KR 20140067481A KR 1020120134763 A KR1020120134763 A KR 1020120134763A KR 20120134763 A KR20120134763 A KR 20120134763A KR 20140067481 A KR20140067481 A KR 20140067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umidity
water tank
power supply
water over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단철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4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7481A/ko
Publication of KR20140067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7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장치는 공기 중의 수증기를 응결시켜 습도를 낮추는 제습동작 및 공급되는 물을 기화시켜 습도를 높이는 가습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구동부; 상기 제습동작에 의하여 응결된 수증기를 저장하는 제습물탱크 및 상기 가습동작에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는 가습물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탱크부; 인가되는 외부충격을 감지하여 충격신호를 생성하는 가속도센서; 상기 물탱크부의 기울어진 각도가 기 설정 각도 이상이면 물넘침신호를 출력하는 물넘침센서; 및 상기 충격신호 및 상기 물넘침신호에 따라,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 {Apparatus for controlling humidity having safty control function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습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습도조절장치가 외력에 의하여 넘어지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감전이나 화재발생 등의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습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에 함유된 먼지, 냄새입자 등을 필터로 걸러내어, 흡입된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시킬 수 있다. 즉,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주위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깨끗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공기 청정기가 설치된 지역의 주위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다만,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깨끗한 실내공기를 유지하는 것 이외에, 일정한 습도 범위내에서 실내습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기 청정기에, 제습기능, 가습기능 등을 포함하는 제습공기청정기, 가습공기청정기, 제가습공기청정기가 개발되고 있다.
즉, 다양한 필터들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에 대하여, 물을 머금은 가습필터를 통과하도록 하여 정화된 공기를 습공기로 변화시켜 실내의 습도를 높이거나, 정화된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액화시켜 상기 정화된 공기를 건공기로 변화시키는 방식으로 실내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다만, 상기 공기 청정기에 제습기능이나 가습기능을 부가하는 경우에는, 상기 액화된 물을 저장할 제습물탱크나, 상기 가습에 필요한 물이 저장된 가습물탱크가 상기 공기 청정기의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청정기가 넘어지면 물탱크에 저장되었던 물이 쏟아져 나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넘쳐나온 물에 의하여 사용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쏟아진 물에 의하여 상기 공기청정기의 전기계통에 누전이나 합선 등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하여 감전이나 화재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도 있다.
본 발명은 습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습도조절장치가 외력에 의하여 넘어지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감전이나 화재발생 등의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습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장치는, 공기 중의 수증기를 응결시켜 습도를 낮추는 제습동작 및 공급되는 물을 기화시켜 습도를 높이는 가습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구동부; 상기 제습동작에 의하여 응결된 수증기를 저장하는 제습물탱크 및 상기 가습동작에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는 가습물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탱크부; 인가되는 외부충격을 감지하여 충격신호를 생성하는 가속도센서; 상기 물탱크부의 기울어진 각도가 기 설정 각도 이상이면 물넘침신호를 출력하는 물넘침센서; 및 상기 충격신호 및 상기 물넘침신호에 따라,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값 이상의 외부충격이 1회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의 외부충격이 2이상 연속으로 감지되면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값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외부충격이 기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동안 기 설정된 횟수이상 감지되면, 상기 메인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습도조절장치는, 상기 물넘침센서가 물넘침신호를 출력하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정된 통신단말 및 사후관리 센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경고를 출력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 및 물넘침센서가 측정한 센싱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 및 사후관리센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은, 물탱크를 포함하는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인가되는 외부충격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외부충격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충격감지단계; 및 상기 물탱크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이면 물넘침센서가 물넘침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물넘침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는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물넘침감지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격감지단계는, 기 설정값 이상의 외부충격이 1회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습도조절장치의 구동부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의 외부충격이 2 회 이상 연속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격감지단계는, 기 설정된 값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외부충격이 기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 동안 기 설정 횟수이상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은, 상기 물넘침센서가 물넘침신호를 출력하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정된 통신단말 및 사후관리 센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경고를 표시하는 통신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단계는, 상기 가속도 센서 및 물넘침센서가 측정한 센싱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 및 사후관리센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에 의하면, 습도조절장치가 외력에 의하여 넘어지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감전이나 화재발생 등의 위험에 대응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하여, 감전이나 화재발생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에 의하면, 상기 습도조절장치가 넘어지는 경우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에 의하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나 사후관리센터에 경고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어린아이의 장난이나 애완견의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습도조절장치가 넘어진 경우에도, 안전사고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장치의 물넘침센서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장치(100)는, 구동부(10), 물탱크부(20), 가속도센서(30), 물넘침센서(40), 제어부(50) 및 통신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장치를 설명한다.
습도조절장치(100)는, 실내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결시켜 습도를 낮추는 제습동작을 수행하는 제습기, 유입되는 공기 중에 수증기를 공급하여 습도를 높이는 가습동작을 수행하는 가습기 등이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동작 및 가습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제가습기도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필터 등을 포함하여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 세균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기청정기에, 상기 습도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제가습 공기청정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에는, 공기 중의 습도를 조절하는 제습동작 및 가습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구동부(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습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10)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하여 압축된 냉매가스를 액화하는 응축기 및 상기 액화된 냉매가스를 기화시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결되어 상기 공기 중에서 제거될 수 있으며, 상기 응결된 물은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에 마련된 제습물탱크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10)는, 상기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팬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10)는 공급되는 물을 흡수하는 가습필터, 상기 가습필터를 회전시키는 모터 및 상기 가습필터에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가습필터에서의 기화를 유도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는 상기 외부공기와의 접촉면적이 넓기때문에 흡수한 물을 용이하게 기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가습필터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가습필터의 전면에 대하여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습필터는 가습물탱크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동부(10)의 구성은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는 일 실시예를 제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에서 사용되는 제습동작, 가습동작이 달라지면, 상기 구동부(10)의 구성도 달라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습동작을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압축기, 응축기, 열교환기 대신에, 상기 열전소자, 방열판, 냉각핀, 냉각팬 등의 구성을 포함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하여 수증기의 응결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동작을 초음파진동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습필터 및 모터 등의 구성대신에 초음파진동부를 더 포함한 후, 가습물탱크에 초음파를 인가하여 물을 기화하는 방식으로 가습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10)는 상기 제습동작 및 가습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포함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제습동작 및 가습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탱크부(20)는, 상기 제습동작에 의하여 응결된 물을 저장하는 제습물탱크 및 상기 가습동작에서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는 가습물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부(20)는 상부가 폐쇄되지 않고 개방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부가 폐쇄된 경우에도 상기 습도조절장치(100)가 쓰러지면 충격에 의하여 상기 물탱크부(20)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탱크부(20)에 저장된 물이 빠져나오게 되면,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에 포함된 전자부품에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의 고장을 비롯하여, 감전사고발생의 위험이나 누전 등에 의한 화재발생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장치(100)는, 상기 물탱크부(20)의 물넘침이 감지되면 대응하는 조치를 취하여, 상기 감전사고나 화재발생 등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30)는, 인가되는 외부충격을 감지하여 충격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센서(30)는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의 속도의 변화 즉,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가속도는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에 인가한 힘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속도센서(30)를 이용하면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인가되는 힘의 크기에 대응하는 충격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습도조절장치(100)는 이동이 가능한 스탠드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의 상부나 하부(예를들어,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위, 아래부분)에 충분한 크기의 힘이 인가되면 상기 습도조절장치(100)는 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속도센서(30)를 이용하여 상기 습도조절장치(100)가 쓰러질 수 있을 정도의 힘이 인가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물넘침센서(40)는, 상기 물탱크부(20)의 기울어진 각도가 기 설정 각도 이상이면 물넘침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물넘침센서(4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41)과 상기 자석(41)에 의한 자기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자기장감지센서(44)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기장감지센서(44)는 홀 센서(hall sensor), 리드스위치(reed switch), MR 센서(Magneto Resistive sensor)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도2(a)는 상기 물탱크부(20)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41)은 회전축(42)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지지바(43)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부(20)가 기울어지거나 넘어지게되면, 상기 자석(41)도 상기 자기장센서(44) 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탱크부(20)의 기울어진 각도가 기 설정 각도(d) 이상이면, 상기 자석(41)은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의 자기장이 감지될 수 있을 정도로 상기 자기장감지센서(44)에 접근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기장감지센서(44)는 상기 물탱크부(20)에서 물이 넘치는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물넘침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기 설정된 각도(d)에 도달하면 더 이상 기울어지지 않도록, 상기 자석(41)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요철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자석(41)이나 지지바(42), 회전축(42)이 상기 기 설정된 각도(d)에 도달하면 상기 기 설정된 각도(d)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막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넘침센서(4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자석(41)의 초기 위치를 상기 기 설정된 각도(d)로 설정한 후, 습도조절장치(100)가 기 설정된 각도(d) 이상으로 기울어진 때부터 상기 자기장감지센서(44)로 접근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자석(41)의 초기 위치는 상기 회전방지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2(b)는 상기 물탱크부(20)의 평면도로서, 상기 물넘침센서(40)는 상기 물탱크부(20)가 기울어지는 방향을 고려하여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여기서는 상기 물탱크부(20)에 상단칸막이(4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단칸막이(45)를 통하여 상기 물탱크부(20)의 물이 넘칠 때 물이 흐르는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상기 물탱크부(20)에 저장된 물이 넘치면서 상기 자석(41)에 힘을 가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자석(41)이 상기 자기장감지센서(44)와 근접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단칸막이(45)로 상기 넘치는 물의 흐름을 제한하여, 상기 자석(41)이 상기 물탱크부(20)가 기 설정된 각도이상 기울여졌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2와 달리, 상기 자석(41)과 자기장감지센서(44)의 위치를 서로 교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상기 물넘침센서(40)는 자이로 센서 등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의 기울기를 직접 감지할 수 있는 기울기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직접 상기 물탱크부(20)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측정된 물탱크부(20)의 기울기가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기울기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물넘침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상기 충격신호 및 상기 물넘침신호에 따라,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에 인가하는 전력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0)는 기 설정값 이상의 외부충격이 1회 감지되면 먼저 상기 구동부(10)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값에 해당하는 외부충격은 상기 습도조절장치(100)를 넘어뜨릴 수 있는 정도의 힘의 크기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의 외부충격이 1회만 감지되면, 상기 외부충격에 불구하고 상기 습도조절장치(100)는 넘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습도조절장치(100)가 넘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습도조절장치(100)를 넘어뜨리는 외부충격과 함께 상기 습도조절장치(100)가 바닥과 접촉할 때도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의 외부충격이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충격이 1회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습도조절장치(100)가 넘어진 것으로 볼 수 없으므로, 상기 구동부(10)에 대한 전력공급만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송풍팬이나 압축기 등의 동작을 중단하도록 하여, 외부충격에 의한 오작동이나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의 외부충격이 2회 이상 연속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습도조절장치(100) 전체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앞서 살핀바와 같이, 상기 외부충격이 2회 이상 연속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습도조절장치(100)가 넘어진 경우로 볼 수 있으며, 상기 습도조절장치(100)가 넘어지면 상기 물탱크부(20)에 저장된 물이 쏟아져 나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의 내부에는 전자부품이 다수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의 전자부품에 전력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전자부품에 물이 접촉하게 되면, 상기 습도조절장치(100) 내부에서는 누전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부품의 고장이나 특히, 누전, 합선 등에 의한 감전이나 화재발생 등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습도조절장치(100)가 쓰러지는 것으로 감지되면, 즉시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하도록 하여, 상기 감전이나 화재발생 등의 안전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부(50)는, 기 설정된 값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외부충격이 기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동안 기 설정된 횟수이상 감지되는 경우에도, 상기 구동부(10)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작은 크기의 외부충격이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것은, 어린아이나 애완견 등이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의 주위에서 장난을 치는 경우로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습도조절장치(100)가 어린아이나 애완견에 의하여 넘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으므로, 상기 구동부(10)의 동작을 중단하여 상기 습도조절장치(100)가 넘어지는 경우 등을 대비할 수 있다.
통신부(60)는, 상기 물넘침센서(40)가 물넘침신호를 출력하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정된 통신단말(a) 및 사후관리센터(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살핀바와 같이, 상기 습도조절장치(100)가 넘어지게되면 상기 물탱크부(20)에 저장된 물이 쏟아져 나올 수 있으며, 상기 물과 접촉한 전자제품이나 부품의 누전에 의한 감전이나 화재발생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습도조절장치(100)가 넘어지면, 통신부(60)를 통하여 이를 사용자나 사후관리센터 등에 알려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60)는 무선통신기법으로서 2G, 3G, 4G 등의 이동통신망이나 Wifi 등의 무선랜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 센서(30) 및 물넘침센서(40)가 측정한 센싱값에 대한 정보 등은 상기 제어부(50)의 저장장치(예를들어, EEPROM 등)에 저장될 수 있으므로, 상기 통신부(60)는 상기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센싱값에 대한 정보 등을 상기 통신단말(a)이나 사후관리센서(b) 등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상기 사후관리센터 등에서는 상기 센싱값이나 경고 등을 바탕으로 상기 습도조절장치(100)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습도조절장치(100)가 설치된 가정이나 회사 등에 확인전화 등을 걸어 안전사고 발생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60)는, 상기 물넘침신호가 출력된 경우 이외에,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의 외부충격이 1회 감지되거나 기 설정값 미만의 외부충격이 모니터링 시간동안 기 설정된 횟수이상 감지된 경우에도, 상기 경고나 센싱값 데이터를 상기 통신단말(a)이나 사후관리센터(b)에 전송할 수 있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은, 충격감지단계(S10), 물넘침감지단계(S20) 및 통신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충격감지단계(S10)는,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인가되는 외부충격을 측정하고(S1), 상기 측정된 외부충격에 따라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 설정값 이상의 외부충격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먼저 판별할 수 있다(S2). 기 설정값 미만의 외부충격이 입력되는 것으로 판별되면 기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내에 입력되는 상기 외부충격의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S3). 이후, 상기 카운트된 횟수가 기 설정 횟수 이상이면 상기 습도조절장치의 구동부의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S5). 이는 상기 모니터링 시간내에 기 설정값 이상의 외부충격이 입력되면, 어린아이나 애완견이 상기 습도조절장치 근처에서 장난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안전을 위하여 미리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중단하는 것이다.
상기 감지된 외부충격이 기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외부충격이 1회성 충격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4). 상기 외부충격이 1회성 충격인 경우에는 상기 습도조절장치가 넘어지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일단 구동부의 동작만을 중단할 수 있다(S5). 다만,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의 외부충격이 2회 이상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습도조절장치가 넘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즉시 습도조절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고 외부의 통신단말이나 사후관리센터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8).
물넘침감지단계(S20)는, 상기 물탱크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이면 물넘침센서가 물넘침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물넘침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는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넘침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는(S6), 상기 물탱크에서 물이 쏟아져 나오는 상황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상기 쏟아져 나온 물에 의하여 상기 습도조절장치의 누전이나 합선 등이 예상되며 화재발생의 위험도 존재하는 상황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넘침신호가 출력되면 즉시 습도조절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고 외부의 통신단말이나 사후관리센터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8).
반면에, 상기 구동부를 중단한 상태(S5)에서 일정한 시간내에 상기 물넘침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S6),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재개하여(S7)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단계(S30)는, 상기 물넘침센서가 물넘침신호를 출력하면, 무선통신을 통하여 지정된 통신단말 및 사후관리센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단계(S30)는 상기 가속도 센서 및 물넘침센서가 측정한 센싱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 및 사후관리센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값에 대한 정보도 상기 통신단말 및 사후관리센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 구동부 20: 물탱크부
30: 가속도센서 40: 물넘침센서
50: 제어부 60: 통신부
100: 습도조절장치 a: 통신단말
b: 사후관리센터
S10: 충격감지단계 S20: 물넘침감지단계
S30: 통신단계

Claims (11)

  1. 공기 중의 수증기를 응결시켜 습도를 낮추는 제습동작 및 공급되는 물을 기화시켜 습도를 높이는 가습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구동부;
    상기 제습동작에 의하여 응결된 수증기를 저장하는 제습물탱크 및 상기 가습동작에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는 가습물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탱크부;
    인가되는 외부충격을 감지하여 충격신호를 생성하는 가속도센서;
    상기 물탱크부의 기울어진 각도가 기 설정 각도 이상이면 물넘침신호를 출력하는 물넘침센서; 및
    상기 충격신호 및 상기 물넘침신호에 따라,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습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값 이상의 외부충격이 1회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의 외부충격이 2회 이상 연속으로 감지되면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습도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값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외부충격이 기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동안 기 설정된 횟수이상 감지되면, 상기 구동부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단하는 습도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넘침센서가 물넘침신호를 출력하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정된 통신단말 및 사후관리 센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경고를 출력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습도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 및 물넘침센서가 측정한 센싱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 및 사후관리센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하는 습도조절장치.
  6. 물탱크를 포함하는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에 있어서,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인가되는 외부충격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외부충격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충격감지단계; 및
    상기 물탱크의 기울기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이면 물넘침센서가 물넘침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물넘침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는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물넘침감지단계를 포함하는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지단계는
    기 설정값 이상의 외부충격이 1회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습도조절장치의 구동부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기 설정값 이상의 외부충격이 2 회 이상 연속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습도조절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하는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지단계는
    기 설정된 값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외부충격이 기 설정된 모니터링 시간 동안 기 설정 횟수이상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에 대한 전력공급을 중단하는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넘침센서가 물넘침신호를 출력하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지정된 통신단말 및 사후관리 센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경고를 표시하는 통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계는
    상기 가속도 센서 및 물넘침센서가 측정한 센싱값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단말 및 사후관리센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송하는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습도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제가습 공기청정기.
KR1020120134763A 2012-11-26 2012-11-26 습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 KR20140067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763A KR20140067481A (ko) 2012-11-26 2012-11-26 습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763A KR20140067481A (ko) 2012-11-26 2012-11-26 습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7481A true KR20140067481A (ko) 2014-06-05

Family

ID=5112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763A KR20140067481A (ko) 2012-11-26 2012-11-26 습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748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4532A (zh) * 2020-05-27 2020-09-15 吴昌聪 一种超声波空气加湿设备
KR20200130017A (ko) * 2019-05-10 2020-11-1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패시터 센서를 이용하여 제습기 내 수용된 응축수 수위 측정이 가능한 응축수 저장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200130613A (ko) * 2019-05-10 2020-11-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소형 제습기 및 그 구동 제어 방법
CN112303809A (zh) * 2020-10-30 2021-02-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除湿控制方法、除湿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628847A (zh) * 2020-11-24 2021-04-09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精密空调及其控制方法
CN113266892A (zh) * 2020-02-17 2021-08-17 夏普株式会社 湿度调节装置
CN113672009A (zh) * 2021-08-20 2021-11-19 浙江大学 一种配电站房智能除湿机器人系统及其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0017A (ko) * 2019-05-10 2020-11-1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패시터 센서를 이용하여 제습기 내 수용된 응축수 수위 측정이 가능한 응축수 저장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200130613A (ko) * 2019-05-10 2020-11-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소형 제습기 및 그 구동 제어 방법
CN113266892A (zh) * 2020-02-17 2021-08-17 夏普株式会社 湿度调节装置
CN111664532A (zh) * 2020-05-27 2020-09-15 吴昌聪 一种超声波空气加湿设备
CN112303809A (zh) * 2020-10-30 2021-02-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除湿控制方法、除湿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2088623A1 (zh) * 2020-10-30 2022-05-0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除湿控制方法、除湿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628847A (zh) * 2020-11-24 2021-04-09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精密空调及其控制方法
CN112628847B (zh) * 2020-11-24 2023-03-28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精密空调及其控制方法
CN113672009A (zh) * 2021-08-20 2021-11-19 浙江大学 一种配电站房智能除湿机器人系统及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7481A (ko) 습도조절장치 및 습도조절장치의 안전제어방법
KR102379628B1 (ko) 공기조화기 및 이를 이용한 먼지농도 표시방법
US20170284694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143939B2 (ja) 二酸化炭素濃度制御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19215877A1 (ja) 冷媒漏洩判定装置、空気調和機、及び冷媒漏洩判定方法
KR102486845B1 (ko) 공기 청정 시스템
JP2014517251A (ja) 除湿空気清浄機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70122607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7198420A (ja) 電子機器、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5743741B2 (ja) 空気調和機
US20170122606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61867A (ko) 환기 청정기
JP5962029B2 (ja) 熱交換換気装置
CN103092226B (zh) 变频柜及其控制方法和装置
CN104315611A (zh) 空气净化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
KR20130022386A (ko) 제습장치에서의 제상 방법 및 상기 제상 기능을 포함하는 제습장치
JP6053563B2 (ja) 熱交換換気装置
KR20130065262A (ko) 제가습 장치
JP5538272B2 (ja) 熱交換換気装置
KR102043170B1 (ko) 과부하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습공기청정기
JP2009022827A (ja) 空気調節装置
JP6423596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送風機
JP6444608B2 (ja) 空気調和機
KR20140076662A (ko) 공기조화장치 및 공기조화장치의 배수방법
KR10169878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