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786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786B1
KR101698786B1 KR1020120011727A KR20120011727A KR101698786B1 KR 101698786 B1 KR101698786 B1 KR 101698786B1 KR 1020120011727 A KR1020120011727 A KR 1020120011727A KR 20120011727 A KR20120011727 A KR 20120011727A KR 101698786 B1 KR101698786 B1 KR 101698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fall
amount
unit
sens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517A (ko
Inventor
최창민
정백영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786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24F11/42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of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4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out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뢰성을 확보하고 효율을 높이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실외기의 외부에 쌓이는 눈의 적설량을 감지하여 실외기팬을 동작시킴으로써 쌓이는 눈을 제거하고, 그에 따라 눈의 동결로 인한 실외기팬의 손상 및 실외기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기에 쌓이는 눈의 적설량을 감지하여 실외기를 보호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킨다.
산업용 공기조화기 또는 중앙식 공기조화기의 경우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진 냉각기에서 물을 냉각하고 냉각기에서 냉각된 물을 이용하여 빌딩, 공장, 체육관 등과 같은 대형 건물의 실내를 공조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가 실외에 설치됨에 따라, 날씨나 실외온도에 따라 동작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실외기가 동작 정지한 상태에서 눈이 내리는 경우, 실외기 위에 눈이 쌓여 실외기 팬이 동결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실외기 팬이 동작하지 않아 공기조화기가 작동불능 상태가 될 수 있고, 실외기 팬이 동작한다 하더라도 실외로 토출되는 바람의 양이 감소되어 열교환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목적은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외기에 쌓이는 눈에 대하여 적설량을 감지하고, 적설량에 따라 공기조화기가 동작하여 실외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외기팬; 상기 실외기팬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팬제어부; 외부에 쌓이는 눈의 적설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입력하는 적설감지부; 및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적설량을 판단하고, 적설량에 따라 상기 실외기팬이 동작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팬제어부로 인가하여, 쌓인 눈이 제거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설감지부는 적설량이 기준 적설량 이상인 경우와, 기준적설량 미만인 경우 상이한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작 정지 또는 동작 대기 중, 적설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감지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적설량을 판단하는 단계; 적설량이 기준 적설량 이상이면 실외기 팬을 동작시켜 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신호보다 작은 경우 적설량이 기준 적설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적설량을 감지하여 눈이 더 이상 쌓이지 않게 실외기가 동작함으로써, 다량의 눈으로 인한 실외기팬의 동결 및 그에 따른 손상을 사전에 방지하고, 실외기팬 이상으로 인한 공기조화기 동작이상을 방지하여, 겨울철에도 효과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이다.
도 3 은 실외기의 실외기팬 외부 구조 및 적설감지부의 구성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4 는 적설감지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5 는 적설감지부를 이용한 실외기의 적설감지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적설 감지를 위한 신호 판단에 대한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적설 감지를 위한 신호 처리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실외기(1) 및 복수의 실내기(11 내지 16)를 포함한다.
복수의 실내기(10)는 실내를 공조시키고, 복수의 실내기(10)는 실내 공조 부하에 따라 함께 혹은 단독으로 운전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순환되는 실내 공기와 신선한 실외 공기를 혼합하는 환기유닛, 공기청정 유닛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실내기(11 내지 16)는 실외기와 냉매배관 및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고 연결된 실외기와 통신한다.
여기서, 실내기(11 내지 16)는 실내 열교환기(미도시)와, 실내기팬(미도시),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미도시), 다수의 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실외기(1)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와,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실외기(1)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로 실외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외팬(미도시)과, 실외 온도를 감지하는 실외 온도 센서(미도시), 그리고 실외기의 외부에 적설량을 감지하는 적설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하나,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블록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중 실외기는 압축기(171), 압축기제어부(170), 실외기팬(181), 팬제어부(180), 데이터부(190), 통신부(160), 적설감지부(120), 입력부(130), 출력부(140), 센서부(150) 그리고 실외기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입력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실외기의 동작 온/오프에 따른 신호, 실외기 동작에 대한 설정을 입력한다. 또한, 입력부(130)는 구비되는 스위치 설정에 따라 실외기 주소 또는 모드를 설정한다.
출력부(140)는 실외기의 동작 여부 또는 통신상태를 출력하며, 경우에 따라 특정 효과음 또는 경고음을 출력한다.
센서부(15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실외기의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되어 냉매의 온도, 압력, 실외기 각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또한, 센서부(150)는 냉매의 유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적설감지부(120)는 실외기 팬의 외부에 설치되어 실외기에 쌓이는 적설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압축기제어부(170)는 압축기(171)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압축기의 운전주파수를 제어한다.
팬제어부(180)는 실외기팬(181)이 회전 동작하도록 하고, 실외기팬(181)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통신부(160)는 다른 실외기 또는 실내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경우에 따라 중앙제어기와 통신한다.
데이터부(190)에는 센서부(150), 적설감지부(120)에서 감지되거나 측정된 데이터가 누적하여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190)에는 실외기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데이터,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데이터가 저장된다.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압축기가 동작하도록 압축기제어부(17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고, 실외기 팬의 동작을 팬제어부(180)로 지시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센서부(150)로 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따라 압축기 및 실외기팬이 동작하도록 하고, 실외기 동작 이상 여부를 판단하여 출력부(140)로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적설감지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적설량에 대응하여 실외기 팬이 동작하도록 팬제어부(180)로 제어명령을 인가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적설감지부(1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변환하여 기준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적설량을 판단하고, 적설량이 기준값 이상이면 팬제어부(180)로 제어명령을 인가하여, 실외기팬(181)이 동작하도록 한다.
제어부(110)는 적설감지부(120)로 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적설량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데이터부(190)에 저장된 기준데이터와 적설감지부(120)의 감지신호를 비교하여 적설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눈이 쌓이는 경우 눈에 의해 소음이 감소하거나 차단되는 효과를 이용하여, 적설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감지신호의 모든 대역에 대하여 비교 판단할 수 있으나, 특정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적설량을 판단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신호의 크기를 비교하여 적설량을 판단한다.
경우에 따라 감지신호의 모든 대역에 대하여 비교 판단할 수 있으나, 신호 처리에 따른 시간과 부하가 증가하므로 상기와 같이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비교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외기팬(181)이 동작하면, 실외기의 외부, 특히 실외기팬의 외부 그릴에 쌓인 눈이 실외기팬의 회전력에 의해 날려 제거된다.
이때 팬제어부(180)는 실외기팬(181)을 일정속도로 일정시간 이상 동작하도록 하고, 일정시간 경과 후 동작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팬제어부(180)는 실외기팬이 동작과 정지를 일정 횟수 반복하도록 한다.
또한, 팬제어부(180)는 별도의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실외기팬을 정지시키고 정지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실외기팬의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도 3 은 실외기의 실외기팬 외부 구조 및 적설감지부의 구성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외기팬의 외부에는 실외기 팬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실외기팬이 동작함에 따라 공기가 유입되거나 외부로 토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실외기팬의 외부에는 공기의 유입 및 토출이 용이한 그릴이 형성된다.
팬 그릴의 어느 일 측에는 적설감지부(120)가 설치된다.
적설감지부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그릴의 중앙에 설치된다. 이때 적설감지부(120)는 팬 그릴의 어느 일 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중앙에 설치되는 것은 일 예 일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단, 적설감지부는 실외기 팬이 동작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힘에 의해 적설감지부에 쌓인 눈이 제거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외기팬의 그릴에 쌓인 눈이 제거된 이후에도 적설감지부에 눈이 쌓여 있는 경우 오판단의 원인이 되므로, 실외기팬의 그릴에 쌓인 눈이 제거됨과 동시에 적설감지부에 쌓인 눈 또한 제거되도록 설치된다.
적설감지부(120)는 실외기 팬의 외부, 팬 그릴 중앙에 콘 형태로 설치된다.
적설감지부(120)의 하우징(121)은 원뿔의 형태로 실외기 팬의 외부에 설치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설감지부(120)는 원뿔 형태의 하우징(121)과, 하우징 내부에 감지부(122)가 구비된다.
이때, 감지부(122)는 마이크이다.
하우징(121)은 감지부(122)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눈 또는 비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감지부(122)는 하우징의 내부에서, 소리를 수집하여 감지신호로써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하우징은 원뿔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쌓인 눈이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단, 하우징은 원뿔 형태뿐 아니라 삼각뿔, 사각뿔, 오각뿔의 형태로도 구성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은 반구의 형태로도 가능하며, 그 형태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4 는 적설감지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의 외부에 눈이 쌓이면, 적설감지부(120)의 하우징(121)에도 눈이 쌓인다.
이때, 도 4의 a와 같이 하우징(12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와, 도 4의 b와 같이 눈이 쌓여 하우징(121)이 모두 눈으로 덮이는 경우, 감지부(122)는 각각 상이한 감지신호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도 4의 b와 같이 하우징(121)으로 모두 덮이는 경우, 눈은 소리를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내부에 위치하는 감지부(122)에는 도 4의 a와 같이 일부가 노출된 경우에 비해 더 작은 소리가 입력된다.
이때 도 4의 a와 같이 하우징의 일부가 노출되는 경우에는, 눈이 쌓이지 않은 경우와 동일한 크기의 신호가 감지부(122)로 입력된다.
따라서, 감지하고자 하는 눈의 적설량에 대응하여 하우징(121)의 크기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들 들어, 하우징(121)의 높이, 바닥면으로부터 하우징의 원뿔의 꼭지점 까지의 높이가 약 4cm인 경우, 감지부(122)는 눈의 적설량이 4cm 이하인 경우와 그 이상인 경우를 구분하여 상이한 신호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따라서 하우징의 높이는 가변시켜 감지하고자 하는 적설량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도 5 는 적설감지부를 이용한 실외기의 적설감지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가 동작하지 않거나 또는 동작 대기 상태인 경우(S310), 실외기 팬은 동작하지 않고, 실외기팬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거나 토출되지 않게 된다.
이때, 적설감지부(120)의 감지부(122)는 실외기가 동작하지 않는 동안, 적설량을 감지한다(S320).
제어부(110)는 감지부(122)로부터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분석하고, 적설량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이때 제어부(110)는 감지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적설량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준 적설량 미만인 경우, 제어부(110)는 소정 시간이 경과 한 후(S350), 감지부(122)에 의해 적설량이 재감지되도록 하여, 재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적설량을 판단한다.
이때, 실외기가 운전 대기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적설량을 재감지하고 실외기가 동작하여 실외기 팬이 동작하는 경우에는 적설량을 감지하지 않는다.
제어부(110)는 감지신호로부터 적설량이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실외기 팬이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명령을 팬제어부(180)로 인가한다.
팬제어부(180)는 실외기팬을 회전 동작시키고, 일정 속도로 일정 시간 이상 실외기팬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340). 이때, 일정 시간 단위로 반복하여 실외기 팬을 동작시킬 수 있다.
실외기가 동작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실외기 팬이 동작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적설감지부(120)는 다시 적설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인가하고, 상기와 같이 실외기 팬을 동작시켜 실외기의 외부, 그릴에 쌓이는 눈을 제거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적설 감지를 위한 신호 판단에 대한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적설감지부(120)의 감지부(122)는 눈이 하우징의 높이보다 낮은 경우, 즉 앞서 설명한 도 4의 a와 같이 눈이 쌓여 하우징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경우에는 도 6의 a와 같은 감지신호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도 4의 b와 같이 하우징이 눈에 덮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6의 b와 같은 감지신호가 제어부(110)로 입력된다.
하우징이 눈에 덮이는 경우, 소리를 차단하는 눈의 특성으로 인하여, 도 6의 b와 같이 감지부(122)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가 크기가 감소한다.
이때, 입력되는 소리는 실외기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로써 특정 소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실외기가 설치된 후 눈이 내리지 않는 환경 조건에서 일정시간 감지부(122)를 통해 입력되는 소리를 기준신호로써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필터링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도 6의 b와 같이 신호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우, 실외기의 외부에 눈이 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적설 감지를 위한 신호 처리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적설감지부(120)의 감지부(122)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면(S410),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감지신호를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필터링을 한다(S420).
제어부(110)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감지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S430), 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신호의 크기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
제어부(110)는 기준신호와 감지신호의 크기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예를 들어 크기차이가 10% 미만인 경우) 적설량이 기준값 미만이거나 또는 눈이 쌓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적설감지부(120)로부터 다시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때, 적설감지부는 소정 시간 경과 후 적설량을 감지하여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한편, 기준신호보다 감지신호의 크기가 작은 경우(예를 들어 크기의 차이가 30% 이상인 경우), 제어부(110)는 적설량이 기준값, 즉 기준 적설량에 도달하였거나 또는 그 이상인 것으로 판단한다(S480).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실외기 팬이 동작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팬제어부(180)로 인가하고, 팬제어부(180)는 실외기팬(181)을 동작시켜 쌓인 눈이 제거되도록 한다(S460).
제어부(110)는 실외기팬이 동작한 후, 적설감지부(120)를 통해 적설량을 재감지한다.
감지된 적설량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준 적설량 이상인지 판단하여(S480), 기준 적설량 이상인 경우에는 실외기 팬이 계속 또는 다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다시 감지된 적설량이 기준 적설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실외기 팬이 정지하도록 한다(S490).
따라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의 외부에 눈이 쌓이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실외기 팬을 동작시킴으로써 쌓인 눈을 제거한다. 그에 따라 쌓인 눈으로 인한 실외기 팬의 동결, 실외기 팬의 손상, 실외기 팬의 손상에 따른 실외기 동작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제어부 120: 적설감지부
121: 하우징 122: 감지부
180: 팬제어부
181: 실외기팬

Claims (13)

  1.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외기팬;
    상기 실외기팬의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팬제어부;
    외부에 쌓이는 눈의 적설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입력하는 적설감지부; 및
    상기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적설량을 판단하고, 적설량에 따라 상기 실외기팬이 동작하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팬제어부로 인가하여, 쌓인 눈이 제거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설감지부는,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여 적설량 판단을 위한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하는 감지부; 및
    상기 실외기팬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환경으로부터 상기 감지부를 보호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적설량이 기준 적설량 이상인 경우와, 상기 기준 적설량 미만인 경우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가 기준신호보다 작은 경우 적설량이 상기 기준 적설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실외기팬이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설감지부는 상기 실외기팬의 외부 그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준 적설량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뿔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마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설감지부는 적설량이 상기 기준 적설량 이상인 경우,
    적설량이 상기 기준 적설량 미만인 경우보다 크기가 작은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신호를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필터링 하고, 기준신호의 크기보다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가 작은 경우 적설량이 상기 기준 적설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실외기팬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동작 정지 또는 동작 대기 중, 실외기팬의 외부에 설치된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여 감지신호를 입력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적설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감지신호를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적설량을 판단하는 단계;
    적설량이 기준 적설량 이상이면 실외기팬을 동작시켜 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신호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감지부로부터, 주변의 소리를 수집하여 입력되고,
    상기 적설량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신호보다 작은 경우 적설량이 상기 기준 적설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설량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신호의 크기와 동일한 경우 적설량이 상기 기준 적설량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를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팬은 일정속도로 일정시간 이상 동작 후, 정지하고, 동작 및 정지를 지정 횟수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팬 동작 후, 적설량을 재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눈 제거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20011727A 2012-02-06 2012-02-06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8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727A KR101698786B1 (ko) 2012-02-06 2012-02-06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727A KR101698786B1 (ko) 2012-02-06 2012-02-06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517A KR20130090517A (ko) 2013-08-14
KR101698786B1 true KR101698786B1 (ko) 2017-01-23

Family

ID=4921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727A KR101698786B1 (ko) 2012-02-06 2012-02-06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7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7287A (ko) * 2013-10-24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06466B1 (ko) * 2014-03-05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20160034057A (ko) * 2014-09-19 201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3968A (ja) 1999-11-25 2001-06-08 Yokio Sakai 積雪量予測装置および方法
JP7116866B2 (ja) * 2016-06-02 2022-08-12 エア・ウォーター・パフォーマンスケミカル株式会社 ラジカル硬化性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6866B2 (ja) * 1987-06-19 1995-1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ヒ−トポンプ式融雪装置
JP3300416B2 (ja) * 1992-07-08 2002-07-08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20100048548A (ko) * 2008-10-31 2010-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3968A (ja) 1999-11-25 2001-06-08 Yokio Sakai 積雪量予測装置および方法
JP7116866B2 (ja) * 2016-06-02 2022-08-12 エア・ウォーター・パフォーマンスケミカル株式会社 ラジカル硬化性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517A (ko)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61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0415842B2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EP3130862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6276450B1 (ja) 空気調和機
US20100241287A1 (en)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US9784496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3009051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EP2944886B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9878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4698558B2 (ja) 空気調和機
EP3208549A1 (en) Air conditioner
KR102518447B1 (ko)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
JP6952882B2 (ja) 空気調和機
JP6760314B2 (ja) 空気調和装置
JP4507907B2 (ja) 空気調和機
JP2011149646A (ja) 空気調和機
KR10194715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12193952A (ja) 空調制御装置、空気調和装置および空調制御方法
JP4854457B2 (ja) 空気調和機
KR20160034057A (ko) 공기조화기
JP6584358B2 (ja) 除湿乾燥装置
JP2009257611A (ja) 空気調和機
KR101626313B1 (ko) 공기조화기
WO2022049873A1 (ja) 空気調和装置
KR2012001692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