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982A - 보조책상 - Google Patents

보조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982A
KR20140065982A KR1020120133127A KR20120133127A KR20140065982A KR 20140065982 A KR20140065982 A KR 20140065982A KR 1020120133127 A KR1020120133127 A KR 1020120133127A KR 20120133127 A KR20120133127 A KR 20120133127A KR 20140065982 A KR20140065982 A KR 20140065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shelf
support
auxiliary
main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9368B1 (ko
Inventor
고영철
고영찬
Original Assignee
고영철
고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철, 고영찬 filed Critical 고영철
Priority to KR102012013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368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8Sectional table top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인선반과, 상기 메인선반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메인선반의 어느 한 면에 설치되는 책받침대와, 상기 책받침대를 지지하는 책받침지지대와, 상기 메인선반의 어느 한 면에 설치되며 접힘이 가능한 보조선반을 포함하되, 상기 책받침대는 상기 책받침지지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책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조책상 {A Reading Desk}
본 발명은 책상 위에 설치해서 학습 또는 독서를 위해 사용하는 보조책상에 관한 것이다. 또한, 자세 교정할 수 있는 보조책상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조책상은, 가벼워서 조금만 건드려도 잘 움직이게 되어 불편하고 사이즈가 작아서 책과 참고서, 노트 등 여러 권을 같이 펼쳐 놓고 보거나 필기하며 공부할 수가 없으므로 공부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아 잘 사용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 보조책상의 문제점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이 책상 위에 책을 펼쳐 놓고 허리와 고개를 숙인 채 장시간 공부함에 따라 학생들의 자세 건강에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산출된 것으로, 여러 권의 책과 노트를 같이 놓고 필기할 수 있도록 책상 위에 견고히 거치될 수 있고 확장이 용이한 선반이 구성되어 학생들이 항상 허리를 편 채 공부할 수 있는 자세교정용 보조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조책상은, 메인선반과, 상기 메인선반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메인선반의 어느 한 면에 설치되는 책받침대와, 상기 책받침대를 지지하는 책받침지지대와, 상기 메인선반의 어느 한 면에 설치되는보조선반을 포함하되, 상기 책받침대는 상기 책받침지지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선반에 설치되는 보조날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날개는 접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보조책상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메인선반과, 상기 메인선반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메인선반의 어느 한 면에 설치되는 책받침대와, 상기 책받침대를 지지하는 책받침지지대와, 상기 메인선반의 어느 한 면에 설치되는 보조선반을 포함하되, 책상 위에 설치하여 사용하므로 독서할 때 책을 편리하게 넘길 수 있으며, 책의 눈높이가 사용자의 눈높이가 맞아서 독서 및 학습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와 책상의 높이에 따라서 책받침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늘 허리를 편 채 책을 읽거나 필기를 하여 자세 교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책받침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메인선반 위에 적치가 가능하므로 공간 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메인선반에 설치되는 보조날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날개는 접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메인선반의 면적을 용이하게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보통 학생들의 책상은 책들과 여러 사물이 놓여져 책상 위가 어지럽기 마련인데, 본 발명의 보조책상은 보조책상에 메인선반이 구성되어 있어 기존 보조책상보다 사이즈는 커지지만 메인선반 아래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 메인선반과 보조선반 위에 책이나 사물을 더 놓을 수 있게 되므로 결국 책상 면적이 넓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접어지는 구조의 보조날개와 보조선반으로 선반 면적을 용이하게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책상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책받침대 상하회전 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도 2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2에 따른 보조책상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3에 따른 보조책상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책받침대 상하회전 시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측면도.
도 10은 도 8의 측면도.
도 11은 도 7의 책받침대 슬라이딩 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4에 따른 보조책상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보조날개 펼침 시 보조책상의 사시도.
도 14는 도 12의 배면 사시도.
도 15는 도 12의 측면도.
도 16은 도 12의 고정부재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책받침대 상하회전 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2에 따른 보조책상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3에 따른 보조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책받침대 상하회전 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7의 책받침대 슬라이딩 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4에 따른 보조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보조날개 펼침 시 보조책상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2의 고정부재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책상은, 메인선반(1)과, 상기 메인선반(1)을 지지하는 지지대(2)와, 상기 메인선반(1)의 어느 한 면에 설치되는 책받침대(3)와, 상기 책받침대(3)를 지지하는 책받침지지대(4)와, 상기 메인선반(1)의 어느 한 면에 설치되며 접힘이 가능한 보조선반(5)을 포함하되, 상기 책받침대(3)는 상기 책받침지지대(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선반(1)>
메인선반(1)은 직사각형 형태이다.
상기 메인선반(1)의 상면에는 후술할 책칸막이(6a,6b)가 슬라이딩 되는 레일(11)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선반(1)의 하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삽입홈(12,1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2,13)은 제1삽입홈(12)과, 상기 제1삽입홈(12)의 상부에 형성된 제2삽입홈(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삽입홈(12)은 후술할 지지대(2)의 제1돌기(22a)가 삽입된다.
상기 제2삽입홈(13)은 후술할 지지대(2)의 제2돌기(22b)가 삽입된다.
상기 제2삽입홈(13)의 폭은 상기 제1삽입홈(12)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삽입홈(12,13)은 상기 메인선반(1)의 하면 좌측과 우측에 각각 1개씩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메인선반(1)의 측면에는 제3돌기(24a) 및 제4돌기(25a)가 형성된다.
상기 제3돌기(24a)는 상기 메인선반(1)의 좌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3돌기(24a)의 폭은 상기 메인선반(1)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제3돌기(24a)의 높이는 상기 메인선반(1)의 높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3돌기(24a)는 후술할 보조날개(6)의 제3삽입홈(64)에 삽입된다.
상기 제4돌기(25a)는 상기 제3돌기(24a)의 좌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4돌기(25a)의 폭은 상기 메인선반(1)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제4돌기(25a)의 높이는 상기 메인선반(1)의 높이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4돌기(25a)는 후술할 보조날개(6)의 제4삽입홈(65)에 삽입된다.
상기 메인선반(1)의 후면에는 삽입돌기(1a)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1a)는 후술할 보조선반(5)의 삽입홈(5a)에 삽입되어, 후술할 보조선반(5)이 펼쳐질 시 접히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2)>
메인선반(1)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선반(1)을 지지하는 지지대(2)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2)는 제1지지대(2a)와 제2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대(2a)는 상기 메인선반(1)의 하부 좌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대(2a)는 몸체(21a)와, 상기 몸체(21a)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22a,22b)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1a)는 직사각형 형태이다.
상기 돌기(22a,22b)는 상기 몸체(21a)의 상면에 형성된 제1돌기(22a)와 상기 제1돌기(22a)의 상부에 형성된 제2돌기(2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돌기(22a)는 직사각형 형태이며, 상기 제1돌기(22a)의 폭은 상기 몸체(21a)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돌기(22a)의 폭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제1홈(31)의 폭보다 작은 것이 적당하다.
상기 제2돌기(22b)는 직사각형 형태이며, 상기 제2돌기(22b)의 폭은 상기 제1돌기(22a)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돌기(22b)의 폭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제2홈(32)의 폭보다 작은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제1돌기(22a) 및 제2돌기(22b)에 의해 상기 제1지지대(2a)는 상기 메인선반(1)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지지대(2b)는 상기 메인선반(1)의 하부 우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대(2a)와 대향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대(2b)는 상기 제1지지대(2a)와 동일하다.
<책받침지지대(4a,4b)>
메인선반(1)의 전면에는 책받침지지대(4a,4b)가 설치된다.
상기 책받침지지대(4a,4b)는 제1책받침지지대(4a)와 제2책받침지지대(4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는 'ㄴ'자 형태를 한다.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일측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 좌측에 설치되며, 타측은 후술할 책받침대(3)의 하면 좌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일측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타측과 후술할 책받침대(3)의 하면 좌측사이에는 볼(41)이 설치된다.
상기 볼(41)은 후술할 책받침대(3)의 제1홈(31)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하여, 볼(41)은 후술할 책받침대(3)를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는 'ㄴ'자 형태를 한다.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일측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 우측에 설치되며, 타측은 후술할 책받침대(3)의 하면 우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일측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타측과 후술할 책받침대(3)의 하면 우측 사이에는 볼(41)이 설치된다.
상기 볼(41)은 후술할 책받침대(3)의 제2홈(32)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하여, 볼(41)은 후술할 책받침대(3)를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책받침대(3)>
메인선반(1)의 어느 한 면에는 책받침대(3)가 설치된다.
상기 책받침대(3)는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책받침대(3)는 직사각형 형태를 하며, 하면에 홈(31,32)이 형성된다.
상기 홈(31,32)은 제1홈(31)과, 제2홈(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홈(31)은 상기 책받침대(3)의 하면 좌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홈(31)은 제6삽입홈(35)과, 제5삽입홈(34)을 포함한다.
상기 제6삽입홈(35)은 상기 책받침대(3)의 전면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제6삽입홈(35)에는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가 끼워져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제6삽입홈(35)의 폭은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원주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이 적당하며, 후술할 제5삽입홈(34)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6삽입홈(35)의 상부에는 제5삽입홈(34)이 형성된다.
상기 제5삽입홈(34)은 상기 책받침대(3)의 전면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5삽입홈(34)에는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볼(41)이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이러한 상기 제5삽입홈(34)의 폭은 상기 제6삽입홈(35)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볼(41)의 원주와 동일하거나 큰 것이 적당하다.
그리하여, 상기 책받침대(3)는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볼(4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홈(32)은 상기 책받침대(3)의 하면 우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2홈(32)은 제6삽입홈(35)과, 제5삽입홈(34)을 포함한다.
상기 제6삽입홈(35)은 상기 책받침대(3)의 전면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제6삽입홈(35)에는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가 끼워져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제6삽입홈(35)의 폭은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원주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이 적당하며, 후술할 제5삽입홈(34)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6삽입홈(35)의 상부에는 제5삽입홈(34)이 형성된다.
상기 제5삽입홈(34)은 상기 책받침대(3)의 전면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5삽입홈(34)에는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볼(41)이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이러한 상기 제5삽입홈(34)의 폭은 상기 제6삽입홈(35)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볼(41)의 원주와 동일하거나 큰 것이 적당하다.
그리하여, 상기 책받침대(3)는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볼(4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홈(31)과 제2홈(3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와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것이 적당하다.
<보조선반(5)>
메인선반(1)의 어느 한 면에는 접힘이 가능한 보조선반(5)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선반(5)은 상기 메인선반(5)의 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선반(5)은 직사각형 형태를 한다.
상기 보조선반(5)은 경첩(51)에 의해 상기 메인선반(1)에 설치되며,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보조선반(5)의 전면에는 삽입홈(5a)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5a)은 상기 메인선반(1)의 삽입돌기(1a)가 삽입되어, 상기 보조선반(5)을 펼칠 때 상기 보조선반(5)이 접히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조선반(5)의 폭은 상기 메인선반(1)의 폭과 동일한 것이 적당하며, 보조선반(5)의 높이는 상기 메인선반(1)의 높이보다 작은 것이 적당하다.
<보조날개(6)>
메인선반(1)의 양측에는 탈착 가능한 보조날개(6)가 더 설치된다.
상기 보조날개(6)는 직사각형 형태를 한다.
상기 보조날개(6)의 한쪽 측면에는 삽입홈(12,1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2,13)은 제3삽입홈(12,13)과 상기 제3삽입홈(12,13)의 내측에 형성된 제4삽입홈(12,13)을 포함한다.
상기 제3삽입홈(12,13)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제3돌기(24a)가 삽입된다.
이러한 제3삽입홈(12,13)은 상기 제1삽입홈(12)과 동일한 형태이며, 상기 제1삽입홈(12)과 직각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제4삽입홈(12,13)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제4돌기(25a)가 삽입된다.
이러한 제4삽입홈(12,13)은 상기 제2삽입홈(13)과 동일한 형태이며, 상기 제2삽입홈(13)과 직각을 이루며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날개(6)는 힌지 및 실시예4의 고정부재(62,63)의 몸체(62)를 사용하여 메인선반(1)의 양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책칸막이(6a,6b)>
메인선반(1)의 상면에는 책칸막이(6a,6b)가 더 설치된다
상기 책칸막이(6a,6b)는 제1책칸막이(6a)와 제2책칸막이(6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책칸막이(6a) 및 상기 제2책칸막이(6b)는 상기 메인선반(1)의 레일(11)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며, 탈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상기 제1책칸막이(6a)와 상기 제2책칸막이(6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2]
<메인선반(1)>
메인선반(1)은 직사각형 형태이다.
상기 메인선반(1)의 하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삽입홈(12,1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2,13)은 제1삽입홈(12)과, 상기 제1삽입홈(12)의 상부에 형성된 제2삽입홈(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삽입홈(12)은 후술할 지지대(2)의 제1돌기(22a)가 삽입된다.
상기 제2삽입홈(13)은 후술할 지지대(2)의 제2돌기(22b)가 삽입된다.
상기 제2삽입홈(13)의 폭은 상기 제1삽입홈(12)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삽입홈(12,13)은 상기 메인선반(1)의 하면 좌측과 우측에 각각 1개씩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메인선반(1)의 후면에는 삽입돌기(1a)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1a)는 후술할 보조선반(5)의 삽입홈(5a)에 삽입되어, 후술할 보조선반(5)이 펼쳐질 시 접히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2)>
메인선반(1)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선반(1)을 지지하는 지지대(2)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2)는 제1지지대(2a)와 제2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대(2a)는 상기 메인선반(1)의 하부 좌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대(2a)는 몸체(21a)와, 상기 몸체(21a)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22a,22b)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1a)는 직사각형 형태이다.
상기 돌기(22a,22b)는 상기 몸체(21a)의 상면에 형성된 제1돌기(22a)와 상기 제1돌기(22a)의 상부에 형성된 제2돌기(2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돌기(22a)는 직사각형 형태이며, 상기 제1돌기(22a)의 폭은 상기 몸체(21a)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돌기(22a)의 폭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제1홈(31)의 폭보다 작은 것이 적당하다.
상기 제2돌기(22b)는 직사각형 형태이며, 상기 제2돌기(22b)의 폭은 상기 제1돌기(22a)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돌기(22b)의 폭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제2홈(32)의 폭보다 작은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제1돌기(22a) 및 제2돌기(22b)에 의해 상기 제1지지대(2a)는 상기 메인선반(1)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지지대(2b)는 상기 메인선반(1)의 하부 우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대(2a)와 대향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대(2b)는 상기 제1지지대(2a)와 동일하다.
<책받침지지대(4a,4b)>
메인선반(1)의 전면에는 책받침지지대(4a,4b)가 설치된다.
상기 책받침지지대(4a,4b)는 제1책받침지지대(4a)와 제2책받침지지대(4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는 'ㄴ'자 형태를 한다.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일측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 좌측에 설치되며, 타측은 후술할 책받침대(3)의 하면 좌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일측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타측과 후술할 책받침대(3)의 하면 좌측사이에는 볼(41)이 설치된다.
상기 볼(41)은 후술할 책받침대(3)의 제1홈(31)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하여, 볼(41)은 후술할 책받침대(3)를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는 'ㄴ'자 형태를 한다.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일측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 우측에 설치되며, 타측은 후술할 책받침대(3)의 하면 우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일측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타측과 후술할 책받침대(3)의 하면 우측 사이에는 볼(41)이 설치된다.
상기 볼(41)은 후술할 책받침대(3)의 제2홈(32)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하여, 볼(41)은 후술할 책받침대(3)를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책받침대(3)>
메인선반(1)의 전면에는 책받침대(3)가 설치된다.
상기 책받침대(3)는 직사각형 형태를 하며, 하면에 홈(31,32)이 형성된다.
상기 홈(31,32)은 제1홈(31)과, 제2홈(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홈(31)은 상기 책받침대(3)의 하면 좌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홈(31)은 제6삽입홈(35)과, 제5삽입홈(34)을 포함한다.
상기 제6삽입홈(35)은 상기 책받침대(3)의 전면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제6삽입홈(35)에는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가 끼워져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제6삽입홈(35)의 폭은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원주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이 적당하며, 후술할 제5삽입홈(34)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6삽입홈(35)의 상부에는 제5삽입홈(34)이 형성된다.
상기 제5삽입홈(34)은 상기 책받침대(3)의 전면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5삽입홈(34)에는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볼(41)이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이러한 상기 제5삽입홈(34)의 폭은 상기 제6삽입홈(35)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볼(41)의 원주와 동일하거나 큰 것이 적당하다.
그리하여, 상기 책받침대(3)는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볼(4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홈(32)은 상기 책받침대(3)의 하면 우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2홈(32)은 제6삽입홈(35)과, 제5삽입홈(34)을 포함한다.
상기 제6삽입홈(35)은 상기 책받침대(3)의 전면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제6삽입홈(35)에는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가 끼워져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제6삽입홈(35)의 폭은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원주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이 적당하며, 후술할 제5삽입홈(34)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6삽입홈(35)의 상부에는 제5삽입홈(34)이 형성된다.
상기 제5삽입홈(34)은 상기 책받침대(3)의 전면에서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5삽입홈(34)에는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볼(41)이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이러한 상기 제5삽입홈(34)의 폭은 상기 제6삽입홈(35)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볼(41)의 원주와 동일하거나 큰 것이 적당하다.
그리하여, 상기 책받침대(3)는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볼(4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홈(31)과 제2홈(3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와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것이 적당하다.
<보조선반(5)>
메인선반(1)의 후면에는 보조선반(5)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선반(5)은 직사각형 형태를 한다.
상기 보조선반(5)은 경첩(51)에 의해 상기 메인선반(1)에 설치되며,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보조선반(5)의 전면에는 삽입홈(5a)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5a)은 상기 메인선반(1)의 삽입돌기(1a)가 삽입되어, 상기 보조선반(5)을 펼칠 때 상기 보조선반(5)이 접히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조선반(5)의 폭은 상기 메인선반(1)의 폭과 동일한 것이 적당하며, 보조선반(5)의 높이는 상기 메인선반(1)의 높이보다 작은 것이 적당하다.
[실시예3]
<메인선반(1)>
메인선반(1)은 직사각형 형태이다.
상기 메인선반(1)의 상면에는 후술할 책칸막이(6a,6b)가 슬라이딩 되는 레일(11)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선반(1)의 하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삽입홈(12,1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2,13)은 제1삽입홈(12)과, 상기 제1삽입홈(12)의 상부에 형성된 제2삽입홈(1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삽입홈(12)은 후술할 지지대(2)의 제1돌기(22a)가 삽입된다.
상기 제2삽입홈(13)은 후술할 지지대(2)의 제2돌기(22b)가 삽입된다.
상기 제2삽입홈(13)의 폭은 상기 제1삽입홈(12)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삽입홈(12,13)은 상기 메인선반(1)의 하면 좌측과 우측에 각각 1개씩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메인선반(1)의 측면에는 제3돌기(24a) 및 제4돌기(25a)가 형성된다.
상기 제3돌기(24a)는 상기 메인선반(1)의 좌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3돌기(24a)의 폭은 상기 메인선반(1)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제3돌기(24a)의 높이는 상기 메인선반(1)의 높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3돌기(24a)는 후술할 보조날개(6)의 제3삽입홈(64)에 삽입된다.
상기 제4돌기(25a)는 상기 제3돌기(24a)의 좌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4돌기(25a)의 폭은 상기 메인선반(1)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제4돌기(25a)의 높이는 상기 메인선반(1)의 높이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4돌기(25a)는 후술할 보조날개(6)의 제4삽입홈(65)에 삽입된다.
상기 메인선반(1)의 후면에는 삽입돌기(1a)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1a)는 후술할 보조선반(5)의 삽입홈(5a)에 삽입되어, 후술할 보조선반(5)이 펼쳐질 시 접히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2)>
메인선반(1)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선반(1)을 지지하는 지지대(2)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2)는 제1지지대(2a)와 제2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대(2a)는 상기 메인선반(1)의 하부 좌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대(2a)는 몸체(21a)와, 상기 몸체(21a)의 상부에 형성된 돌기(22a,22b)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1a)는 직사각형 형태이다.
상기 돌기(22a,22b)는 상기 몸체(21a)의 상면에 형성된 제1돌기(22a)와 상기 제1돌기(22a)의 상부에 형성된 제2돌기(2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돌기(22a)는 직사각형 형태이며, 상기 제1돌기(22a)의 폭은 상기 몸체(21a)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돌기(22a)의 폭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제1홈(31)의 폭보다 작은 것이 적당하다.
상기 제2돌기(22b)는 직사각형 형태이며, 상기 제2돌기(22b)의 폭은 상기 제1돌기(22a)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돌기(22b)의 폭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제2홈(32)의 폭보다 작은 것이 적당하다.
이러한 제1돌기(22a) 및 제2돌기(22b)에 의해 상기 제1지지대(2a)는 상기 메인선반(1)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지지대(2b)는 상기 메인선반(1)의 하부 우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대(2a)와 대향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대(2b)는 상기 제1지지대(2a)와 동일하다.
<책받침지지대(4a,4b)>
실시예3의 책받침지지대(4a,4b)는 제1책받침지지대(4a)와 제2책받침지지대(4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는 'ㄴ'자 형태를 한다.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일측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 좌측에 설치되며, 타측은 후술할 회전봉(42)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일측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타측에는 후술할 회전봉(42)의 일측이 설치된다.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는 'ㄴ'자 형태를 한다.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일측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 좌측에 설치되며, 타측은 후술할 회전봉(42)의 타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일측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타측에는 후술할 회전봉(42)의 타측이 설치된다.
회전봉(42)은 둥근 형태의 봉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봉(42)은 일측이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에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봉(42)은 후술할 제1책받침대(3a)와 후술할 제2책받침대(3b) 사이에 형성된 홈(33)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그리하여, 후술할 책받침대(3)를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책받침대(3)>
실시예3의 책받침대(3)는 제1책받침대(3a)와, 제1책받침대(3a)의 후방에 위치한 제2책받침대(3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책받침대(3a)는 직사각형 형태를 한다.
상기 제2책받침대(3b)는 직사각형 형태를 하며, 상기 제1책받침대(3a)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제1책받침대(3a)와 상기 제2책받침대(3b)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미도시)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부품이라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상기 제1책받침대(3a)와 상기 제2책받침대(3b) 사이에는 홈(33)이 형성된다.
상기 홈(33)에는 상기 회전봉(42)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하여, 책받침대(3)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보조선반(5)>
메인선반(1)의 어느 한 면에는 접힘이 가능한 보조선반(5)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선반(5)은 상기 메인선반(5)의 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선반(5)은 직사각형 형태를 한다.
상기 보조선반(5)은 경첩(51)에 의해 상기 메인선반(1)에 설치되며,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보조선반(5)의 전면에는 삽입홈(5a)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5a)은 상기 메인선반(1)의 삽입돌기(1a)가 삽입되어, 상기 보조선반(5)을 펼칠 때 상기 보조선반(5)이 접히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조선반(5)의 폭은 상기 메인선반(1)의 폭과 동일한 것이 적당하며, 보조선반(5)의 높이는 상기 메인선반(1)의 높이보다 작은 것이 적당하다.
<보조날개(6)>
메인선반(1)의 양측에는 탈착 가능한 보조날개(6)가 더 설치된다.
상기 보조날개(6)는 직사각형 형태를 한다.
상기 보조날개(6)의 한쪽 측면에는 삽입홈(12,1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2,13)은 제3삽입홈(12,13)과 상기 제3삽입홈(12,13)의 내측에 형성된 제4삽입홈(12,13)을 포함한다.
상기 제3삽입홈(12,13)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제3돌기(24a)가 삽입된다.
이러한 제3삽입홈(12,13)은 상기 제1삽입홈(12)과 동일한 형태이며, 상기 제1삽입홈(12)과 직각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제4삽입홈(12,13)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제4돌기(25a)가 삽입된다.
이러한 제4삽입홈(12,13)은 상기 제2삽입홈(13)과 동일한 형태이며, 상기 제2삽입홈(13)과 직각을 이루며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날개(6)는 힌지 및 실시예4의 고정부재(62,63)의 몸체(62)를 사용하여 메인선반(1)의 양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책칸막이(6a,6b)>
메인선반(1)의 상면에는 책칸막이(6a,6b)가 더 설치된다
상기 책칸막이(6a,6b)는 제1책칸막이(6a)와 제2책칸막이(6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책칸막이(6a) 및 상기 제2책칸막이(6b)는 상기 메인선반(1)의 레일(11)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며, 탈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상기 제1책칸막이(6a)와 상기 제2책칸막이(6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4]
<메인선반(1)>
메인선반(1)은 직사각형 형태이다.
상기 메인선반(1)의 상면에는 후술할 책칸막이(6a,6b)가 슬라이딩 되는 레일(11)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선반(1)의 하면에는 좌우방향으로 홈(15)이 형성된다.
상기 홈(15)은 후술할 보조날개(6)의 고정부재(62,63)의 몸체(62)가 삽입되어, 후술할 보조날개(6)를 고정 및 해제한다.
<지지대(2)>
메인선반(1)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선반(1)을 지지하는 지지대(2)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2)는 제1지지대(2a)와 제2지지대(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대(2a)는 상기 메인선반(1)의 하부 좌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대(2a)는 상기 메인선반(1)에 대해 실시예1 내지 실시예3과 같이 삽입홈 및 삽입돌기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대(2b)는 상기 메인선반(1)의 하부 우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대(2b)는 상기 제1지지대(2a)와 동일하다.
<책받침지지대(4a,4b)>
실시예4의 책받침지지대(4a,4b)는 제1책받침지지대(4a)와 제2책받침지지대(4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는 'ㄴ'자 형태를 한다.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일측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 좌측에 설치되며, 타측은 후술할 회전봉(42)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일측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의 타측에는 후술할 회전봉(42)의 일측이 설치된다.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는 'ㄴ'자 형태를 한다.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일측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 좌측에 설치되며, 타측은 후술할 회전봉(42)의 타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일측은 상기 메인선반(1)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의 타측에는 후술할 회전봉(42)의 타측이 설치된다.
회전봉(42)은 둥근 형태의 봉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봉(42)은 일측이 상기 제1책받침지지대(4a)에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제2책받침지지대(4b)에 설치된다.
이러한 회전봉(42)은 후술할 제1책받침대(3a)와 후술할 제2책받침대(3b) 사이에 형성된 홈(33)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그리하여, 후술할 책받침대(3)를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책받침대(3)>
실시예4의 책받침대(3)는 제1책받침대(3a)와, 제1책받침대(3a)의 후방에 위치한 제2책받침대(3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책받침대(3a)는 직사각형 형태를 한다.
상기 제2책받침대(3b)는 직사각형 형태를 하며, 상기 제1책받침대(3a)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제1책받침대(3a)와 상기 제2책받침대(3b)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미도시)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부품이라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상기 제1책받침대(3a)와 상기 제2책받침대(3b) 사이에는 홈(33)이 형성된다.
상기 홈(33)에는 상기 회전봉(42)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하여, 책받침대(3)가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보조선반(5)>
메인선반(1)의 어느 한 면에는 접힘이 가능한 보조선반(5)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선반(5)은 상기 메인선반(5)의 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선반(5)은 직사각형 형태를 한다.
상기 보조선반(5)은 경첩(51)에 의해 상기 메인선반(1)에 설치되며,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러한 보조선반(5)의 폭은 상기 메인선반(1)의 폭과 동일한 것이 적당하며, 보조선반(5)의 높이는 상기 메인선반(1)의 높이보다 작은 것이 적당하다.
<보조날개(6)>
메인선반(1)의 양측에는 탈착 가능한 보조날개(6)가 더 설치된다.
상기 보조날개(6)는 경첩(61)에 의해 상기 메인선반(1)의 양측에 설치된다.
상기 보조날개(6)는 제1보조날개(6)와 제2보조날개(6)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보조날개(6)는 상기 메인선반(1)의 좌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보조날개(6)는 상기 메인선반(1)의 우측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4의 보조날개(6)는 상기 제2보조날개(6)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보조날개(6)는 직사각형 형태를 한다.
상기 제2보조날개(6)의 좌측에는 삽입홈(66)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66)은 상기 제2보조날개(6) 접힘 및 펼침 시, 후술할 고정부재(62,63)의 몸체(62)가 삽입 및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홈(66)의 전면에는 돌출부홈(66)이 더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홈(66)은 상기 제2보조날개(6) 접힘 및 펼침 시, 후술할 고정부재(62,63)의 돌출부(63)가 삽입 및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홈(66)의 넓이는 상기 삽입홈(67)의 넓이보다 작고, 상기 돌출부홈(66)의 높이는 상기 삽입홈(67)의 높이보다 작은 것이 적당하다.
상기 삽입홈(66) 및 상기 돌출부홈(66)에는 고정부재(62,63)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62,63)는 몸체(62)와 돌출부(6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62)는 제1몸체(62a)와 제2몸체(62b)를 포함하며, 'ㄹ'자 형태를 한다.
상기 제1몸체(62a)는 사각형 형태이며, 상기 제2보조날개(6) 펼침 시, 상기 메인선반(1)의 홈(15)에 삽입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2보조날개(6)를 안정적으로 펼쳐지도록 한다.
상기 제1몸체(62a)의 전면에는 제2몸체(62b)가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62b)는 사각형 형태이며, 상기 제1몸체(62a)의 전면 하부의 일부와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62b)는 상기 제2보조날개(6) 접힘 시, 상기 삽입홈(67)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2몸체(62b)의 넓이는 제1몸체(62a)의 넓이와 동일하고, 제2몸체(62b)의 길이는 제1몸체(62a)의 길이보다 긴 것이 적당하다.
상기 제2몸체(62b)의 전면에는 돌출부(63)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63)는 정사각형 형태이며, 상기 제2몸체(62b)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상기 돌출부(63)는 상기 돌출부홈(66) 내에서 이동하여, 상기 제2보조날개(6) 펼침/접힘 시에 상기 제2보조날개(6)를 고정/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2보조날개(6) 펼침 시, 상기 제2보조날개(6)를 손으로 펼친 후 상기 돌출부(63)를 왼쪽으로 밀면 상기 제1몸체(62a)가 상기 홈(15)에 삽입되어, 상기 제2보조날개(6)를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상기 제2보조날개(6) 접힘 시, 상기 돌출부(63)를 오른쪽으로 밀면 상기 제2몸체(62b)는 상기 삽입홈(67)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제1몸체(62a)는 상기 홈(15)에서 빠지게 되어 고정이 해제된다.
<책칸막이(6a,6b)>
메인선반(1)의 상면에는 책칸막이(6a,6b)가 더 설치된다
상기 책칸막이(6a,6b)는 제1책칸막이(6a)와 제2책칸막이(6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책칸막이(6a) 및 상기 제2책칸막이(6b)는 상기 메인선반(1)의 레일(11)에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며, 탈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상기 제1책칸막이(6a)와 상기 제2책칸막이(6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책상은, 특히, 자세 교정할 수 있는 보조책상에 적합하다.
1: 메인선반 1a: 삽입돌기
11: 레일 12,13: 삽입홈
12: 제1삽입홈 13: 제2삽입홈
15: 홈
2: 지지대 2a: 제1지지대
2b: 제2지지대 21a: 몸체
22a: 제1돌기 23a: 제2돌기
24a: 제3돌기 25a: 제4돌기
3: 책받침대 3a: 제1책받침대
3b: 제2책받침대 31,32: 책받침대의 홈
31: 제1홈 32: 제2홈
33: 홈 34: 제6삽입홈
35: 제5삽입홈 4: 책받침지지대
4a: 제1책받침지지대 4b: 제2책받침지지대
41: 볼 42: 회전봉
5: 보조선반 5a: 삽입홈
51: 보조선반의 경첩
6: 보조날개 61: 보조날개의 경첩
62: 몸체 62a: 제1몸체
62b: 제2몸체 63: 돌출부
64: 제3삽입홈 65: 제4삽입홈
66: 돌출부홈 67: 삽입홈
6a,6b: 책칸막이 6a: 제1책칸막이
6b: 제2책칸막이 29: 돌출부
38: 고정부재

Claims (2)

  1. 메인선반;
    상기 메인선반을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메인선반의 어느 한 면에 설치되는 책받침대;
    상기 책받침대를 지지하는 책받침지지대;
    상기 메인선반의 어느 한 면에 설치되는 보조선반;을 포함하되,
    상기 책받침대는 상기 책받침지지대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책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선반에 설치되는 보조날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날개는 접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책상.
KR1020120133127A 2012-11-22 2012-11-22 보조책상 KR101419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127A KR101419368B1 (ko) 2012-11-22 2012-11-22 보조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127A KR101419368B1 (ko) 2012-11-22 2012-11-22 보조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982A true KR20140065982A (ko) 2014-05-30
KR101419368B1 KR101419368B1 (ko) 2014-07-17

Family

ID=50892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127A KR101419368B1 (ko) 2012-11-22 2012-11-22 보조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36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939B1 (ko) 2003-02-27 2006-05-10 신석수 다목적 가구
KR20100005040U (ko) * 2008-11-06 2010-05-14 김만수 로스터의 보조 테이블 받침대
KR20100114179A (ko) * 2009-04-15 2010-10-25 김대휘 독서대가 구비된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368B1 (ko)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215619A (ja) 学習机及び学習机と書棚との組合せ家具
KR102295408B1 (ko) 서랍형 받침대 수납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독서대
KR101486288B1 (ko) 책상 위에 설치하는 보조책상
KR200466155Y1 (ko) 접이식 독서대
KR101487837B1 (ko) 책상 일체형 독서대 및 독서대가 구비된 책상
KR200475306Y1 (ko) 다기능 학습용 책상
US20120112609A1 (en) Lcd monitor stand with note and storage areas
KR20170062666A (ko) 자성을 이용한 고정핀 접이식 독서대
KR20120061364A (ko) 보조학습대를 구비한 독서대
KR101419368B1 (ko) 보조책상
KR20140058824A (ko)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
KR20140104705A (ko) 독서대용 벨로우즈형 몸체 및 이를 이용한 접이식 독서대
KR100956292B1 (ko) 독서지지대가 구비된 책
KR20090007271U (ko) 절첩식 독서실 칸막이
KR101477984B1 (ko) 클립보드 독서대
CN203058782U (zh) 多功能折叠桌
KR101760562B1 (ko) 접이식 독서대
KR200476126Y1 (ko) 접이식 일체 독서대
KR100987521B1 (ko) 독서 지지대가 구비된 책
KR101794253B1 (ko) 북커버 겸용 휴대용 독서대
CN216147547U (zh) 一种书架及组合书桌
CN217131034U (zh) 一种带书架的台灯
KR200482454Y1 (ko) 전면 책꽂이 선반
KR101830319B1 (ko) 폭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101553448B1 (ko) 독서대가 장착된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