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8824A -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 - Google Patents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8824A
KR20140058824A KR1020120125138A KR20120125138A KR20140058824A KR 20140058824 A KR20140058824 A KR 20140058824A KR 1020120125138 A KR1020120125138 A KR 1020120125138A KR 20120125138 A KR20120125138 A KR 20120125138A KR 20140058824 A KR20140058824 A KR 20140058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support plate
folded
plate
boo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남
Original Assignee
최태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태남 filed Critical 최태남
Priority to KR1020120125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8824A/ko
Publication of KR20140058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8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기준판의 양측으로 지지판이 힌지 결합되어 절첩작동하도록 하도록 하면서 그 기준판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에 받침대를 삽입하여 후방으로 힌지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양측의 지지판과 받침대를 편 상태에서 받침대에 의하여 기울어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고, 지지판과 받침대를 접으면 독서대가 육면체로 접혀지도록 하면서 지지판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 책을 함께 수납한 상태로 휴대하면서 간편하게 독서대를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또한 지지대에는 안착대가 결합되어 책의 하단부를 받치면서 그 안착대에 가림판을 구비함으로써 독서시 책을 펼친 상태에서 책장이 임의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독서대의 절첩구조가 보관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을 높임은 물론 독서대가 책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종래의 독서대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a Reading Stand}
본 발명은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독서를 할 때에는 펼친 상태로 사용하다가 보관 및 휴대시에는 독서대를 접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대는 책을 일정한 기울기로 받쳐서 사용자가 편안하게 독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종래의 독서대는 책을 떠받칠 수 있도록 하는 평판 구조의 받침판과 그 받침판에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경사지게 세워지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지지판을 별도의 조절대를 이용하여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독서대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의 독서대는 받침판과 지지판의 결합구조 및 지지판의 각도조절을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 따라 제작이 어려움은 물론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이러한 것이 보관부피를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떨어지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휴대를 위하여 접이식으로 이루어지는 독서대가 제안되었으나, 이러한 것의 문제가 책과 독서대를 별도로 보관하여야 하고, 따라서 독서를 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독서대와 책을 별도로 찾아 위치시킨 후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또한, 독서대를 사용함에 있어서 책이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판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고 작은 충격에도 쉽게 유동되는 문제가 있으며, 책장이 임의로 넘어가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수단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고정수단은 지지력이 매우 약해서 책이 펼쳐진 상태를 제대로 고정하지 못하고 독서중에 책장이 임의로 쉽게 넘어간다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고정수단 자체가 책의 내용을 가리게 되므로 매우 불편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독서대가 접이식으로 이루어져 보관부피를 줄이면서도 독서대가 접힌 상태에서 책을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러한 독서대의 접이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책을 펼친 상태에서 책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면서도 책이 펼쳐진 상태에서 책장이 임의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고, 독서자의 자세에 맞추어 책의 기울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기준판의 양측으로 지지판이 힌지결합되어 절첩작동하도록 하고, 기준판의 일부를 절개하여 그 절개부에 받침대를 삽입하여 힌지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양측의 지지판과 받침대를 접으면 독서대가 육면체로 접혀지도록 한 것이고, 양측의 지지판이 접혀 그 사이에 형성되어진 이격공간에 책이 담겨진 상태로 독서대를 접어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판의 하단에는 슬라이드홈을 마련하여 그 슬라이드홈에 끼워지도록 안착대를 형성함으로써 독서대를 펼친 상태에서 슬라이드홈에 끼워 책의 하단을 받칠 수 있도록 하고, 독서대를 접은 상태에서는 양측의 지지판 중 어느 하나의 슬라이드홈에 안착대를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기준판에는 회전작동하는 걸이대를 장착하면서 받침대의 상면에는 내입홈을 형성하여 독서대를 펼친 상태에서는 걸이대가 받침대에 형성된 여러 개의 내입홈 중 어느 하나의 내입홈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고, 독서대를 접은 상태에서는 반대방향으로 걸이대가 회전되어 지지판이 모아져 접힌 상태를 감싸면서 고정되어 지지판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독서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독서대를 펼쳐서 책을 올려놓고 독서를 할 수 있게 되고, 보관이나 휴대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책을 감싼 형태로 독서대를 접어 독서대의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렇게 독서대에 의하여 책이 보관되므로 휴대중에 책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독서를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독서대와 책을 별도로 찾을 필요가 없이 독서대를 펼쳐 간편하게 독서가 가능하므로 매우 편리한 것이다.
또한, 독서대의 펼침 구조 자체가 기준판과 지지판으로부터 내입되게 이루어져 책의 후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유동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고, 걸이대에 의하여 지지판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독서자의 눈높이 및 자세에 맞도록 교정하여 바른 자세로 독서를 할 수 있게 되며, 장시간 독서를 할 경우에도 피로가 덜 쌓이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독서대를 펼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독서대를 접은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독서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독서대의 펼침 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독서대의 기울기 조절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안착대에 가림대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독서대에 책이 펼쳐진 상태의 안착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준판(10)의 양측으로 지지판(20)을 결합하여 절첩 작동되도록 하고, 기준판(10)의 중앙에는 절개부(11)를 형성하여 그 절개부(11)에 받침대(30)를 삽입하면서 받침대(30)가 힌지수단(31)으로 작동하면서 후방으로 펼쳐져 독서대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기준판(10)은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판(20)보다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위치되게 경첩 등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절첩수단(15)으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지지판(20)을 전방으로 접으면 기준판(10)의 전면에 지지판(20)의 측면이 밀착되게 접혀지도록 하여 두 개의 지지판(20) 사이에 이격공간(20a)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책을 이격공간(20a)에 수납한 상태에서 독서대가 육면체로 접혀 책과 독서대가 일체로 보관되면서도 보관부피를 줄이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독서대를 보관하면서 책을 함께 보관하므로 사용자가 휴대하다가 독서를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에 독서대만을 펴서 독서를 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이렇게 책이 독서대의 기준판(10) 및 지지판(20)에 의하여 보호되므로 휴대할 경우에도 책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책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준판(10)은 양측의 지지판(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판(20)보다 상대적으로 내입되게 형성되도록 절첩수단(15)을 결합함으로써 기준판(10)의 전면에 안착공간(10a)이 형성되도록 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이 양측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그 중앙부분이 안착공간(10a)에 걸리도록 되면서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책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20)은 하단에 슬라이드홈(21)을 형성하고, 그 슬라이드홈(21)에 삽입돌기(41)가 형성된 안착대(40)를 끼우면 안착대(40)가 책의 하단을 받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안착대(40)는 독서대를 펼친 상태에서 양측에 형성되는 지지판(20)에 각각 안착대(40)를 끼워 조립할 수 있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안착대(40)를 이용하여 양측의 지지판(20)을 모두 연결하도록 끼우면 지지판(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판(20)이 임의로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펼쳐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대(40)의 좌,우 길이는 지지판(20) 하나의 좌,우 폭과 같게 형성하거나, 또는 그보다 짧게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그 이유는 독서대를 접어 보관할 때 접혀진 지지판(20)에 안착대(40)를 끼워 조립하면 안착대를 별도로 보관할 필요없이 독서대와 일체로 보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안착대(40)가 지지판(20)의 좌,우 폭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면 독서대를 접은 상태에서 안착대(40)의 일부가 돌출되므로 지지판(20)의 좌,우 폭과 같은 길이 또는 그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독서대를 접은 상태에서 안착대가 부분적으로 돌출되지 않고 독서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대(40)의 전,후방 폭은 두 개의 지지판(20)이 접힌 상태에서 그 이격공간(20a)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때 안착대(40)에 형성되는 삽입돌기(41)를 전,후방으로 양면에 형성하면 두 개의 지지판(20)이 접힌 상태에서 각각의 지지판(2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1)에 삽입돌기(41)가 모두 끼워져 안착대(40)를 더욱 긴밀히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렇게 조립이 이루어짐으로써 안착대(40)의 양측에 두 개의 지지판(20)이 고정되게 접혀지므로 지지판(20)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대(40)는 좌,우측으로 길게 요입홈(42)을 형성하고, 그 요입홈(42)에 장방형의 가림대(43)를 끼우면 가림대(43)에 의하여 책의 펼침 상태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 요입홈(42)은 여러 개 형성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면 복수로 이루어진 요입홈(42) 중에서 가림대(43)를 선택적으로 끼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지지판(20)에 펼쳐진 책 두께에 따라서 가림대(43)를 선택적으로 끼움으로써 가림대(43)가 책을 긴밀히 밀착시켜 펼쳐짐 상태에서 임의로 책장이 넘어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가림대(43)의 지지형태가 책 하단부 전체를 밀착하게 되기 때문에 책장이 넘어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가림대(43)의 형태는 상,하폭을 낮게 형성하여 책 하단부 일부만을 좁게 지지토록 함으로써 책 내용이 가려지지 않도록 할 수 있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림대(43)의 상,하 폭을 넓게 형성하면서 그 재질을 투명재로 형성하면 책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책 내용을 독서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독서에 방해가 되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가림대(43) 자체를 볼록렌즈의 형태로 형성하거나 일부분만을 볼록렌즈로 구성하면 그 볼록렌즈를 돋보기로 활용하여 독서중에 책 내용을 확대하여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림대(43)의 하부측에 경사면(43a)을 형성하면 가림대(43)를 요입홈(42)에 끼워 고정할 때 끼움 유도가 이루어져 간편하게 끼워 고정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러한 경사면(43a)에 의하여 가림대(43)가 요입홈(4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미세하게 움직임 되면서 책을 유연성 있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준판(10)은 회전작동하면서 받침대(30)의 상면에 맞닿게 되는 걸이대(12)를 장착하고, 그 받침대(30)에는 내입홈(32)을 형성하여 걸이대(12)를 내입홈(32)에 걸어 독서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때 상기 내입홈(32)은 복수로 형성하여 받침대(30)에 형성된 여러 개의 내입홈(32) 중 어느 하나의 내입홈(32)에 걸려 고정되게 함으로써 다양하게 독서대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독서자가 바른 자세로 독서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걸이대(12)가 회전 작동하는 반경에서 지지판(20)과 밀착되는 부분, 즉 지지판(20)의 상면에 걸림홈(22)을 형성하면 독서대를 접은 상태에서 걸이대(12)를 걸림홈(22)에 걸어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독서대가 접힌 상태에서 부피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이렇게 걸이대(12)가 두 개의 지지판(20) 상부를 걸어 고정하게 되므로 지지판(20)이 벌어짐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독서대가 접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기준판(10)에 회전작동하는 걸이대(12)를 장착하면서 받침대(30)의 상면에는 내입홈(32)을 형성하여 독서대를 펼친 상태에서는 걸이대(12)가 받침대(30)에 형성된 여러 개의 내입홈(32) 중 어느 하나의 내입홈(32)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고, 반면에 독서대를 접은 상태에서는 반대방향으로 걸이대가 회전되어 지지판(20)이 모아져 접힌 상태를 감싸면서 고정되어 지지판(20)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하나의 걸이대(12)가 독서대를 지지하는 기능과 독서대가 접힌 상태에서 풀림을 방지하는 두 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 기준판 10a: 안착공간
11: 절개부 12: 걸이대
15: 절첩수단
20: 지지판 20a: 이격공간
21: 슬라이드홈 22: 걸림홈
30: 받침대 31: 힌지수단
32: 내입홈
40: 안착대 41: 삽입돌기
42: 요입홈 43: 가림대
43a: 경사면

Claims (5)

  1. 기준판(10)의 양측으로 지지판(20)이 결합되어 절첩 작동되고, 기준판(10)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11)에는 받침대(30)가 삽입되어 후방으로 펼쳐지면서 독서대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되며, 상기 양측의 지지판(20)을 접으면 그 사이에 이격공간(20a)이 형성되면서 책을 이격공간(20a)에 수납한 상태로 독서대가 육면체로 접혀 보관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판(10)은 양측의 지지판 보다 펼쳐짐 상태에서 내입되게 형성되어 안착공간(10a)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20)은 하단에 슬라이드홈(21)이 형성되어 삽입돌기(41)가 형성된 안착대(40)를 끼워 조립하여 책이 지지판(20)에 올려진 상태에서 책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40)는 좌,우측으로 길게 요입홈(42)이 형성되어 장방형의 가림대(43)를 끼워 책의 펼침 상태를 고정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판(10)은 회전작동하면서 받침대(30)의 상면에 맞닿게 되는 걸이대(12)가 장착되고, 상기 받침대(30)는 내입홈(32)이 형성되어 걸이대(12)를 걸어 독서대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12)는 기준판(10)의 양측에 결합된 지지판(20)의 상면에 형성되는 걸림홈(22)에 고정되면서 독서대가 접힌 상태에서 지지판(20)의 벌어짐을 방지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
KR1020120125138A 2012-11-07 2012-11-07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 KR201400588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138A KR20140058824A (ko) 2012-11-07 2012-11-07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138A KR20140058824A (ko) 2012-11-07 2012-11-07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824A true KR20140058824A (ko) 2014-05-15

Family

ID=50888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138A KR20140058824A (ko) 2012-11-07 2012-11-07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88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823U (ko) * 2014-04-10 2015-10-20 서무진 각도조절 보조책상
CN106240200A (zh) * 2016-08-26 2016-12-21 四川鸿鑫空间测绘有限公司 测绘平台
WO2018097391A1 (ko) * 2016-11-22 2018-05-31 조욱희 접이식 독서대
CN110996720A (zh) * 2017-08-14 2020-04-10 全永钻 能够放置多种厚度的书的阅读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823U (ko) * 2014-04-10 2015-10-20 서무진 각도조절 보조책상
CN106240200A (zh) * 2016-08-26 2016-12-21 四川鸿鑫空间测绘有限公司 测绘平台
WO2018097391A1 (ko) * 2016-11-22 2018-05-31 조욱희 접이식 독서대
CN110996720A (zh) * 2017-08-14 2020-04-10 全永钻 能够放置多种厚度的书的阅读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050B1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KR200472673Y1 (ko) 다기능 독서대
KR200475482Y1 (ko)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KR20050022252A (ko) 만능 독서대
KR20140058824A (ko)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휴대용 독서대
KR102026051B1 (ko) 받침판 수납이 가능한 독서대
KR101268863B1 (ko) 접철식 독서대
KR20160124455A (ko) 접이식 다용도 거치대
KR20120026429A (ko) 독서대
KR200407154Y1 (ko) 접이식 독서대
KR20140058852A (ko) 다기능 받침대로 활용 가능한 독서대
KR200483444Y1 (ko) 독서대 세트
KR101486288B1 (ko) 책상 위에 설치하는 보조책상
KR101760562B1 (ko) 접이식 독서대
KR200495398Y1 (ko) 휴대용 독서대
KR101933531B1 (ko) 독서대가 구비된 책 케이스
KR20140058834A (ko) 책의 펼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독서대
KR200476126Y1 (ko) 접이식 일체 독서대
KR101783631B1 (ko) 사용 및 휴대가 편리한 독서대
KR101794253B1 (ko) 북커버 겸용 휴대용 독서대
KR101912456B1 (ko) 단순 독서대
KR100987521B1 (ko) 독서 지지대가 구비된 책
KR200476202Y1 (ko) 휴대용 독서대
KR20230087717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책꽂이 탈부착 독서대
KR101036372B1 (ko) 곤충 캐릭터 형상을 한 독서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