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922A - 내장 센서 이용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tv, 셋톱박스 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내장 센서 이용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tv, 셋톱박스 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922A
KR20140065922A KR1020120132993A KR20120132993A KR20140065922A KR 20140065922 A KR20140065922 A KR 20140065922A KR 1020120132993 A KR1020120132993 A KR 1020120132993A KR 20120132993 A KR20120132993 A KR 20120132993A KR 20140065922 A KR20140065922 A KR 20140065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sensor
smartphone
control
top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내원
남영진
김용태
Original Assignee
네오컨버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오컨버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오컨버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2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5922A/ko
Publication of KR20140065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9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모바일 디바이스인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에 내장된 방향 센서, 가속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이용해 이용자가 행동하는 모션을 인식하고 IP 네트웍을 통해 이동 방향, 거리, 속도 등의 값을 보내면 TV 및 셋톱박스에서 IP 네트웍을 통해 값을 받아 처리함으로써 TV 화면상의 메뉴나 기타 유저가 컨트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이동 및 선택, 게임 컨트롤 등을 수행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TV 리모컨 없이 많은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TV, 셋톱박스의 메뉴 이동 및 선택, 포인터 이동 및 선택 등과 게임 등 응용 프로그램에서 컨트롤러로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며, 별도의 장치 없이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에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방향 및 모션 인식를 통해 TV 화면에서 이동 및 선택 및 게임 등의 컨트롤이 가능하다.
또한, 여러명이 각각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을 통해 동시에 다수가 참여하여 컨트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내장 센서 이용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TV, 셋톱박스 등의 제어 방법{TV or Settop-box Control Using Mobile Device With Sensor}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내장된 센서를 이용해서 TV , 셋톱박스 등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모바일 단말에는 각종 센서가 내장되어 이를 이용하여 방향이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에서는 방향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 센서 등을 이용하여 방향과 이용자 모션에 따라 작동하는 여러 모바일 탑재용 응용프로그램들이 제작되고 있다.
기존 TV 및 셋톱박스에서는 상하좌우 키, 숫자 등 단순한 기능의 리모컨에 해 채널 변경 및 입력 등의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스마트TV, 스마트 셋톱박스 등에서 자체 리모컨에 여러 기능을 부가하여 터치패드, 트랙볼 등의 기능을 넣어 화면상에서 포인트가 움직이도록 하였고, 최근에는 리모컨과 TV에 모션 인식 기능을 넣어 모션을 인식하여 조작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 스마트 TV 및 셋톱박스 등에서는 리모컨과 TV에 인식장치를 내장하여 채널 이동이나 메뉴 이동, 포인터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이런 방법은 리모컨 가격을 크게 상승시키고 각각 자신의 제조사의 TV 및 셋톱박스에서만 작동가능하며 기능도 정해진 이상 추가 변경 삭제가 어렵다.
또한, 대부분 리모컨은 하나만 제공하고 있으며, 터치 패드를 가지고 있거나 모션 인식 등을 하는 리모컨은 하나를 페어링시키면 또 다른 것은 페어링이 안되어 다수가 동시에 같이 컨트롤하는 것이 어렵다. 예를 들면, TV을 통해 한명이 던지고 다른 한명이 때리는 모션을 수행하는 TV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 안된다.
개인 모바일 디바이스인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에 내장된 방향 센서, 가속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을 이용해 이용자가 행동하는 모션을 인식하고 IP 네트웍을 통해 이동 방향, 거리, 속도 등의 값을 보내면 TV 및 셋톱박스에서 IP 네트웍을 통해 값을 받아 처리함으로써 TV 화면상의 메뉴나 기타 유저가 컨트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이동 및 선택, 게임 컨트롤 등을 수행 할 수 있게 한다.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의 송신부는 이용자가 스마트폰 및 태블릿PC를 손에 들고 움직이면 그 방향과 움직임정도의 센서값을 읽어들이고 이 값을 IP 네트웍을 통해 TV 및 셋톱박스등의 수신부로 패킷을 전달한다.
TV 및 셋톱박스등의 수신부는 송신부에서 IP 네트웍을 통해 보내온 값을 이용해 TV 화면상에 포인터의 이동이나 메뉴, 게임 등의 조작을 진행 한다.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의 송신부는 1개가 아닌 여러개가 동시에 IP네트웍을 통해 1개의 TV 및 셋톱박스 등의 수신부로 값을 전달할 수 있으며, 수신부는 여러개의 리모컨처럼 동작을 받아들여 이동이나 선택을 여러명이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1는 특정 오브젝트를 지정하여 컨트롤하고 송신부2는 다른 오브젝트롤 지정하여 컨트롤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임 등에서 한 개의 송신부로는 공을 던지고 다른 한 개의 송신부로는 공을 때리는 컨트롤을 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다수의 컨트롤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리모컨 없이 많은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TV, 셋톱박스를 통해 메뉴 이동 및 선택, 포인터 이동 및 선택 등과 게임 등 응용 프로그램에서 컨트롤러로 편리하게 이용 가능하다.
별도의 장치 없이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에 내장된 센서를 이용하여 방향 및 모션 인식를 통해 TV 화면에서 이동 및 선택 및 게임 등의 컨트롤이 가능하다.
또한, 여러 명이 각각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을 통해 동시에 다수가 참여하여 컨트롤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태블릿PC를 이용한 TV 및 셋톱박스 제어 방법에 대한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기존 TV 에서 리모컨을 사용하는 방식에 대한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의 송신부에 대한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TV 및 셋톱박스 등의 수신부에 대한 내부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태블릿PC를 이용한 TV 및 셋톱박스 제어 방법에 대한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송신부1(10)을 손을 들고 특정 방향으로 움직이면 방향과 이동량 등을 IP 패킷화하여 무선 또는 유선 IP 네트웍(30)으로 보낸다.
IP 네트웍을 통해 전달된 IP 패킷 값은 TV 및 셋톱박스 등의 수신부(40)에서 받아서 화면상에 방향 및 이동량 등의 값에 따라 메뉴 이동, 포인터 이동, 캐릭터 등 오브젝트 이동으로 화면상에 표시한다.
도 1은 예시적으로 송신부1(10) 과 송신부2(20)으로 두개로 나타내었으나 송신부1(10) 하나만 있어도 가능하며, 송신부가 두개이상의 다수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아닌 기존 TV에서 사용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으로 리모컨이 TV에 특정한 무선 신호를 보내 작동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이 방식은 특정한 리모컨과 TV 끼리만 가능하며, 2개 이상의 리모컨이 같이 작용하여 각각의 다른 오브젝트를 컨트롤 할 수 없다. 예를 들면, 하나는 던지는 오브젝트를 컨트롤 하고 또 다른 리모컨으로는 때리는 오브젝트를 컨트롤하는 방식은 할 수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의 송신부1(10)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송신부2(20)도 구성은 동일하다. 스마트폰 및 태블릿PC 등에 내장된 방향, 가속, 지자계 등의 센서부(11)를 통해 움지임과 방향등의 센서값을 소프트웨어부(12)에서 읽어들여 네트워크 패킷화하여 네트웍부(13)에 전달하고 네트웍부(13)는 무선 이나 유선 등의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TV 및 셋톱박스 등의 수신부(40)의 개념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로도이다. IP 네트웍을 통해 IP 패킷 데이터를 네트웍부(41)에서 받아 소프트웨어부(42)로 전달되면 소트웨어부(42)는 이를 방향, 좌표 등의 값으로 인지하여 구성 및 처리하여 화면출력부(43)에 전달하면 화면출력부(43)는 이를 이용하여 메뉴, 오브젝트 이동 및 선택 등으로 화면상에 출력한다.
10 : 송신부1(스마트폰 및 태블릿PC)
11 : 센서부(방향,지자계,가속 등 센서, 송신부내 모듈)
12 : 소프트웨어부 (송신부내 모듈)
13 : 네트웍부 (송신부내 모듈)
20 : 송신부2(스마트폰 및 태블릿PC)
30 : IP 네트워크(무선 및 유선)
40 : 수신부(TV 및 셋톱박스)
41 : 네트웍부 (수신부내 모듈)
42 : 소프트웨어부 (수신부내 모듈)
43 : 화면출력부 (수신부내 모듈)
50 : 송신부(TV 리모컨)
50 : 수신부(TV 및 셋톱박스)

Claims (4)

  1. 이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가지고 움직이면 휴대 단말기내의 센서를 이용하여 방향, 거리, 속도 등의 값을 얻어 IP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 데이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TV 및 셋탑박스에서 IP 네트워크를 통해 받아 화면상에 메뉴 컨트롤, 게임 컨트롤 등 이용자가 화면상에 이동이나 선택을 필요로 하는 것들에 대해 처리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휴대 단말에서 방향, 가속, 지자계 등의 센서를 이용하여 움직임에 대해 방향, 거리, 속도 등의 값을 IP 네크워크 패킷 데이터로 TV 나 셋톱박스에 전송하는 송신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휴대 단말에서 보내온 IP 네트워크 패킷 데이터를 받아 TV 및 셋톱박스에서 수신하여 이동 및 선택 등의 컨트롤되는 방법
  4. 두 대이상의 다수 휴대 단말이 TV 및 셋톱박스에 연동되어 각기 다른 오브젝트의 컨트롤을 할 수 있게 하여, 게임 등에서 각각의 다른 캐릭터를 컨트롤 할 수 있게 하는 제어 방법
KR1020120132993A 2012-11-22 2012-11-22 내장 센서 이용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tv, 셋톱박스 의 제어 방법 KR20140065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993A KR20140065922A (ko) 2012-11-22 2012-11-22 내장 센서 이용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tv, 셋톱박스 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993A KR20140065922A (ko) 2012-11-22 2012-11-22 내장 센서 이용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tv, 셋톱박스 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922A true KR20140065922A (ko) 2014-05-30

Family

ID=50892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993A KR20140065922A (ko) 2012-11-22 2012-11-22 내장 센서 이용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tv, 셋톱박스 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59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521A (ko) * 2015-04-24 2016-11-02 김득화 상품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방법과 시스템
CN107277071A (zh) * 2017-08-15 2017-10-20 合肥爱吾宠科技有限公司 网络游戏的加速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6521A (ko) * 2015-04-24 2016-11-02 김득화 상품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방법과 시스템
CN107277071A (zh) * 2017-08-15 2017-10-20 合肥爱吾宠科技有限公司 网络游戏的加速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5424B2 (en) Hand-held gaming device with configurable touch sensitive panel(s)
US9978261B2 (en) Remote controll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CN104094196B (zh) 用于增强的基于姿势的交互的系统和方法
CN107707817B (zh) 一种视频拍摄方法及移动终端
US20150149924A1 (en) Interaction method between wearable devices and wearable device thereof
CN102033607B (zh) 人机交互信息系统及实现人机交互的方法
US20140201256A1 (en)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20190103877A (ko) 전자 기기
US20140062874A1 (en) Client device orientation
CN101631164A (zh) 基于动作交换信息的用户设备、相关的方法、设备及系统
CN102553257A (zh) 设于个人触控随身遥控通信设备的遥控方法及其遥控装置
KR20140033388A (ko) 모션 캡쳐를 위한 근접도 센서 메시
JP2011022997A (ja) 動作に基づいて入力イベントを生成する動作入力システム及び操作方法
KR20140065922A (ko) 내장 센서 이용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tv, 셋톱박스 의 제어 방법
CN107396218A (zh) 无线麦克风及其控制方式
CN201375811Y (zh) 一种游戏遥控器
CN109857129A (zh) 一种控制电子设备的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3920291A (zh) 一种以移动终端作为辅助信源的方法及移动终端
KR101435366B1 (ko) 보행 감지 인터페이스 기기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정보 제공 방법
US20150084848A1 (en) Interaction between generic interaction devices and an interactive display
CN103686262A (zh) 多媒体播放装置、系统及其遥控装置
KR101263129B1 (ko) 착용형 통신 장치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CN102779404A (zh) 多控制3d遥控系统
JP5853006B2 (ja) 遠隔制御システムとその方法
CN102708672A (zh) 单控制3d遥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