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521A - 상품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방법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품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방법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521A
KR20160126521A KR1020150057672A KR20150057672A KR20160126521A KR 20160126521 A KR20160126521 A KR 20160126521A KR 1020150057672 A KR1020150057672 A KR 1020150057672A KR 20150057672 A KR20150057672 A KR 20150057672A KR 20160126521 A KR20160126521 A KR 20160126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oduct information
terminal
advertisement
top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728B1 (ko
Inventor
김득화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득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득화 filed Critical 김득화
Priority to KR1020150057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728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로부터 발생한 일정 수준 이상의 움직임을 통해, 셋톱박스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에 따른 상품정보를 요청받고, 요청한 상품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상품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정보가 셋톱박스에서 스트리밍되는 영상의 일정영역을 가리는 팝업 메시지 형태로 제공되지 않고, 단말기를 통한 푸쉬 메시지 형태로 제공되므로, 시청자에게 광고영상이 전달되는 것을 저해시키지 않아, 상품정보를 제공하면서도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고, 단말기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한 상품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하기 때문에, 상품정보 요청 및 확인에 따른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품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방법과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US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은 상품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V를 이용한 영상매체 광고는 영화, 드라마, 뉴스, 쇼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의 사이마다 시청자들에게 자연스레 노출되어, 신문, 잡지 등의 지면 광고와는 다르게 높은 광고효과를 나타낸다.
하지만, 영상매체 광고는 각 광고마다 광고의 노출시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광고가 노출되는 짧은 시간 내에 시청자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위해 각 광고가 전달하고자하는 내용을 짧게 전할 수밖에 없어, 시청자가 원하는 광고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PC, 스마트폰 등의 정보단말을 통해 광고영상에 노출된 제품을 직접 검색하여야 했기 때문에, 광고의 효과적인 정보전달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는, 방송사에서 단방향으로 송출하는 컨텐츠를 단순히 시청할 수밖에 없었던 종래와는 다르게, 시청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직접 선택하여 볼 수 있고, 시청자가 정보 검색을 할 수 있는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IPTV의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광고업체들은 이러한 IPTV를 이용하여 광고의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광고제공 기술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광고제공 기술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10-0071419호(출원일 : 2008.12.19, 공개일 : 2010.06.29, 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에서는 셋톱박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광고를 스트리밍중인 컨텐츠(Contents) 상에 위젯 형태로 제공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요청한 광고에 한해서, 지역기반의 광고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광고영상 및 컨텐츠에 따른 추가적인 상품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며, 영상출력장치 상에서 광고가 오버랩 되어 제공됨에 따라서, 스트리밍 중인 영상의 시청에 방해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영상시청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상품정보 제공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서버는, 통신망과 연결되어 통신하는 통신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 셋톱박스의 사용자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 저장부;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셋톱박스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광고제공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광고제공 서버에 저장된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 및 상기 통신부, 신호감지부, 사용자정보 저장부, 모니터링부, 정보추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감지부가 상기 단말기에서 일정 수준이상의 움직임을 통해 발생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감지할 경우, 상기 사용자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정보를 통해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와 대응되는 셋톱박스를 확인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상기 셋톱박스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에 따른 광고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정보주출부가 상기 광고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정보와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품정보를 요청한 단말기에 상품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품정보 요청신호는, 상기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에 일정 수준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에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셋톱박스에서 스트리밍중인 채널정보 및 해당 채널에서 스트리밍되는 광고영상의 스트리밍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추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광고제공 서버에 저장된 상품정보 중에서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확인된 채널정보와 스트리밍 시간정보를 통해, 상기 셋톱박스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정보와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품정보 요청신호와 상기 단말기에 전송되는 상품정보는 상기 셋톱박스를 경유하여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서버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광고영상 및 각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광고제공 서버; 상기 광고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광고영상을 스트리밍하는 셋톱박스; 상기 셋톱박스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셋톱박스의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는 상품정보 제공 서버; 및 상기 상품정보 제공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상품정보 제공 서버에 상기 셋톱박스를 통해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요청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상품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셋톱박스의 사용자정보를 통해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와 대응되는 셋톱박스를 확인하고, 상기 광고제공 서버에서 상기 셋톱박스를 통해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단말기에 일정 수준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에 한해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감지할 경우, 상기 셋톱박스의 스트리밍중인 채널정보 및 해당 채널에서 스트리밍되는 광고영상의 스트리밍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광고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정보와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품정보 요청신호와 상기 단말기에 전송되는 상품정보는 상기 셋톱박스를 경유하여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서버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방법은, 신호감지부가 통신부를 통해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단계; 사용자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셋톱박스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를 통해 상기 신호감지 단계에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에 대응하는 셋톱박스를 확인하는 셋톱박스 확인단계; 모니터링부가 상기 셋톱박스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셋톱박스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에 따른 광고정보를 확인하는 광고정보 확인단계; 정보추출부가 광고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정보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광고정보와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상품정보 추출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상품정보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상품정보를 상기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에 제공하는 상품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감지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움직임을 통해 생성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감지단계에서 상기 신호감지부가 감지하는 상품정보 요청신호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에 일정 수준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에 한해서 생성한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고정보 확인 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셋톱박스에서 스트리밍중인 채널정보 및 스트리밍 광고영상의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신호감지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부에 전송되는 상품정보 요청신호와 상기 상품정보 제공단계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제공되는 상품정보는 상기 셋톱박스를 경유하여 전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품정보가 셋톱박스에서 스트리밍되는 영상의 일정영역을 가리는 팝업 메시지 형태로 제공되지 않고, 단말기를 통한 푸쉬 메시지 형태로 제공되므로, 시청자에게 광고영상이 전달되는 것을 저해시키지 않아, 상품정보를 제공하면서도 영상에 의한 광고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둘째, 단말기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한 상품정보를 단말기로 제공하기 때문에, 상품정보 요청 및 확인에 따른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상품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 상품정보 제공 서버의 구성 >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중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서버(100)는, 단말기(400)에서 발생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감지하여, 단말기(400)와 대응되는 셋톱박스(300)의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광고제공 서버(200)에서 추출하여 단말기(400)에 제공하며, 통신부(110), 신호감지부(120), 사용자정보 저장부(130), 모니터링부(140), 정보추출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을 통해, 광고제공 서버(200), 셋톱박스(300) 및 단말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는 단말기(400)로부터 발생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400)에 요청한 상품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품정보는 셋톱박스(300)를 통해 TV, 모니터 등의 영상출력장치(미도시)에서 스트리밍되는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상품의 세부소개, 상품의 구매 및 상품의 사용후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단말기(400)로부터 발생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직접 수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셋톱박스(300)를 통해 전달 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부(110)는 광고제공 서버(200)로부터 추출한 상품정보를 단말기(400)에 직접 전송하거나, 셋톱박스(300)에 전송하여, 상품정보가 셋톱박스(300)를 통해 단말기(40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 통신부(110)와 단말기(400)의 상품정보 요청신호 및 상품정보 송수신에 대해서는, 후술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신호감지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기(400)에서 발생한 상품정보 요청신호의 수신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신호감지부(120)는 단말기(400)의 움직임을 통해 생성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감지하며, 상품정보 요청신호는 단말기(400)에서 발생한 일정 수준 이상의 움직임을 단말기(400)의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통해서 감지하여 생성한 신호일 수 있다.
사용자정보 저장부(130)는 셋톱박스(300)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정보는, 셋톱박스(300)의 고유 식별번호, 셋톱박스(300)사용자의 사용자ID정보, 휴대전화번호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특정 셋톱박스(300)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에 따른 광고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부(140)는 사용자정보 저장부(13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통해 신호감지부(120)에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400)와 대응되는 셋톱박스(300)의 스트리밍중인 영상을 확인하게 된다.
이때, 모니터링부(140)는 셋톱박스(300)에서 스트리밍중인 채널정보 및 해당 채널에서 스트리밍되는 광고영상의 스트리밍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부(140)는 셋톱박스(300)를 통해 사용자가 시청중인 채널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당 광고의 스트리밍 시간을 확인함으로써, 광고영상마다 할당되는 광고시간에 따라, 해당 시간에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정보추출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광고제공 서버(200)에 연결되어, 모니터링부(140)에서 확인된 광고영상과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때, 정보추출부(150)는 광고제공 서버(200)로부터 셋톱박스(300)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과 대응되는 상품의 세부정보, 구매정보 및 이벤트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통신부(110), 신호감지부(120), 사용자정보 저장부(130), 모니터링부(140) 및 정보추출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신호감지부(120)가 단말기(400)의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감지할 경우, 사용자정보 저장부(130)에서 해당 단말기(400)와 대응되는 셋톱박스(300)를 확인하고, 모니터링부(140)를 제어하여 해당 셋톱박스(300)의 광고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60)는 정보추출부(150)를 제어하여, 모니터링부(140)에서 확인한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광고영상의 상품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품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단말기(400)에 제공하게 된다.
<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 >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서버(100)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품정보 제공서버(100), 광고제공 서버(200), 셋톱박스(300), 단말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제공 서버(200)는 셋톱박스(300)에 광고영상을 제공하며, 각 광고영상과 대응되는 상품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셋톱박스(300)는 별도로 연결된 영상출력장치(미도시)에 광고제공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광고영상을 스트리밍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셋톱박스(300)는 광고제공 서버(200) 외에도 영상제공 서버(미도시)를 통해서 제공된 영화, 뉴스, 드라마, 쇼프로그램 등 다양한 영상 컨텐츠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단말기(400)는 셋톱박스(300)를 통해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의 상품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상품정보 제공서버(100)로부터 해당 상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400)는 단말기(400)의 본체에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 가속도센서, 각속도센서, 중력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통해 움직임을 감지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400)는 태블릿,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 기기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단말기(400)를 흔들 경우 상품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품정보 제공서버(100)로부터 전송된 상품정보는 단말기(400)에 푸쉬(Push)메시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품정보 제공서버(100)는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단말기(400)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단말기(400)와 대응되는 셋톱박스(300)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을 확인하고, 광고제공 서버(200)로부터 해당 광고영상의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단말기(4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정보 제공서버(100)와 단말기(400)는 직접적으로 통신하여 상품정보 요청신호 및 상품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셋톱박스(300)가 상품정보 제공서버(100)와 단말기(400)에서 송수신되는 상품정보 요청신호 및 상품정보를 중계할 수도 있다.
우선, 상품정보 제공서버(100)와 단말기(400)는 직접적으로 통신하여 상품정보 요청신호 및 상품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단말기(400)에 상품정보 제공서버(10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셋톱박스(300) 사용자의 사용자ID를 입력함으로써 단말기(400)가 상품정보 제공서버(100)에 연결되어진다.
이후, 셋톱박스(300)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을 시청중인 셋톱박스(300) 사용자가 단말기(400)를 흔들어 해당 광고영상의 상품정보를 요청할 경우, 상품정보 제공서버(100)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기(400)에서 생성된 상품정보 요청신호가 상품정보 제공서버(100)에 전송되어진다.
이후, 상품정보 제공서버(100)가 단말기(4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한 사용자ID를 통해, 해당 사용자ID와 대응되는 셋톱박스(300)를 확인하고, 광고제공 서버(200)로부터 셋톱박스(300)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과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추출한 상품정보를 단말기(400)에 전송하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한편, 셋톱박스(300)가 상품정보 제공서버(100)와 단말기(400)에서 송수신되는 상품정보 요청신호 및 상품정보를 중계하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RFID, NFC 등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이 셋톱박스(300)에 추가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셋톱박스(300)에 블루투스 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단말기(400)는 셋톱박스(300)와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을 시청중인 셋톱박스(300) 사용자가 단말기(400)를 흔들어 해당 광고영상의 상품정보를 요청할 경우, 단말기(400)에서 발생한 상품정보 요청신호가 셋톱박스(300)에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셋톱박스(300)는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상품정보 제공서버(100)에 전달하게 되며, 상품정보 제공서버(1000는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400)와 셋톱박스(300)를 확인하게 된다.
이후, 광고제공 서버(200)로부터 확인된 셋톱박스(300)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과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추출한 셋톱박스(300)에 전송하게 되고, 셋톱박스(300)는 상품정보 제공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상품정보를 단말기(400)에 블루투스 방식으로 전송하게 된다.
< 상품정보 제공 방법 >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서버(100)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서버(100)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방법은, 신호감지단계(S100), 셋톱박스 확인단계(S200), 광고정보 확인단계(S300), 상품정보 추출단계(S400) 및 상품정보 제공단계(S50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감지단계(S100)는 단말기(400)로부터 발생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신호감지부(120)가 감지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신호감지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신호에서 단말기(400) 또는 셋톱박스(300)를 경유하여 전송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60)에 신호가 감지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셋톱박스 확인단계(S200)는 사용자정보저장부(130)에 저장된 셋톱박스(300)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를 통해, 신호감지단계(S100)에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400)에 대응하는 셋톱박스(300)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신호감지단계(S100)에서 감지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통해, 상품정보를 요청한 단말기(400)와 해당 단말기(400)에 대응되는 셋톱박스(300)를 확인하게 된다.
광고정보 확인단계(S300)는 모니터링부(140)가 셋톱박스 확인단계(S200)에서 확인된 셋톱박스(300)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에 따른 광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모니터링부(140)가 확인하는 셋톱박스(300)의 광고정보는 셋톱박스(300)에서 스트리밍중인 채널정보 및 스트리밍 광고영상의 시간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부(300)는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의 시간정보를 제어부(160)에 알리게 되며, 제어부(160)는 신호감지단계(S100)에서 수신한 상품정보 요청신호가 셋톱박스(300)의 어느 채널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에 해당하는 것이며,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감지한 때와 비교하여, 상품정보를 요청한 광고영상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상품정보 제공서버(100)가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감지하고, 사용자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셋톱박스(300)에 연결되는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딜레이시간을 셋톱박스(300)에서 확인한 광고영상의 시간정보에 보상하여, 단말기(400)에서 상품정보를 요청한 광고영상 확인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상품정보 추출단계(S400)는 정보추출부(150)가 광고제공 서버(200)로부터 광고정보 확인단계(S300)에서 확인한 광고정보와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정보추출부(150)는 모니터링부(140)에서 확인한 셋톱박스(300)의 채널정보와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의 시간정보를 통해 확인한 광고영상과 대응되는 광고영상의 상품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상품정보 제공단계(S500)는 제어부(160)가 상품정보 추출단계(S400)에서 추출된 상품정보를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400)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추출한 상품정보를 신호감지단계(S100)에서 상품정보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400) 또는 셋톱박스(300)에 전송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상품정보 제공서버가 요청한 상품정보를 셋톱박스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영상의 일정영역에 별도의 팝업 메시지 형태로 제공하지 않고, 단말기에 푸쉬 메시지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시청자에게 광고영상이 전달되는 것을 저해시키지 않아, 상품정보를 제공하면서도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광고영상에 따른 상품정보 취득에 어려움을 느끼는 노인 또는 어린이 또한 단말기의 간단한 조작을 통해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한 상품정보를 단말기로 제공받을 수 있어, 상품정보 요청에 따른 조작의 편의성을 높인 상품정보 제공 기술을 제공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상품정보 제공 서버
110 : 통신부
120 : 신호감지부
130 : 사용자정보 저장부
140 : 모니터링부
150 : 정보추출부
160 : 제어부
200 : 광고제공 서버
300 : 셋톱박스
400 : 단말기

Claims (13)

  1. 통신망과 연결되어 통신하는 통신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부;
    셋톱박스의 사용자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 저장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셋톱박스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에 따른 광고정보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광고제공 서버와 연결되며, 상기 광고제공 서버에 저장된 광고정보와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부; 및
    상기 통신부, 신호감지부, 사용자정보 저장부, 모니터링부, 정보추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감지부가 상기 단말기에서 일정 수준이상의 움직임을 통해 발생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감지할 경우, 상기 사용자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정보를 통해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와 대응되는 셋톱박스를 확인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를 통해 상기 셋톱박스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에 따른 광고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정보주출부가 상기 광고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정보와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품정보를 요청한 단말기에 상품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정보 제공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요청신호는, 상기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단말기에 일정 수준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에 생성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정보 제공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셋톱박스에서 스트리밍중인 채널정보 및 해당 채널에서 스트리밍되는 광고영상의 스트리밍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정보 제공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추출부를 제어하여 상기 광고제공 서버에 저장된 상품정보 중에서 상기 모니터링부에서 확인된 채널정보와 스트리밍 시간정보를 통해, 상기 셋톱박스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정보와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정보 제공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품정보 요청신호와 상기 단말기에 전송되는 상품정보는 상기 셋톱박스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정보 제공 서버.
  6. 광고영상 및 각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광고제공 서버;
    상기 광고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은 광고영상을 스트리밍하는 셋톱박스;
    상기 셋톱박스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셋톱박스의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는 상품정보 제공 서버; 및
    상기 상품정보 제공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상품정보 제공 서버에 상기 셋톱박스를 통해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요청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상품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셋톱박스의 사용자정보를 통해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와 대응되는 셋톱박스를 확인하고, 상기 광고제공 서버에서 상기 셋톱박스를 통해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에 따른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단말기에 일정 수준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에 한해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단말기에서 발생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감지할 경우, 상기 셋톱박스의 스트리밍중인 채널정보 및 해당 채널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의 스트리밍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광고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정보와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품정보 요청신호와 상기 단말기에 전송되는 상품정보는 상기 셋톱박스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10. 신호감지부가 통신부를 통해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감지하는 신호감지단계;
    사용자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셋톱박스 사용자의 사용자정보를 통해 상기 신호감지 단계에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에 대응하는 셋톱박스를 확인하는 셋톱박스 확인단계;
    모니터링부가 상기 셋톱박스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셋톱박스로부터, 상기 셋톱박스에서 스트리밍중인 광고영상에 따른 광고정보를 확인하는 광고정보 확인단계;
    정보추출부가 광고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광고정보 확인단계에서 확인된 광고정보와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추출하는 상품정보 추출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상품정보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상품정보를 상기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전송한 단말기에 제공하는 상품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감지단계는 상기 단말기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움직임을 통해 생성된 상품정보 요청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정보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감지단계에서 상기 신호감지부가 감지하는 상품정보 요청신호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중력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에 일정 수준 이상의 움직임이 발생한 경우에 한해서 생성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정보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정보 확인단계는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셋톱박스에서 스트리밍중인 채널정보 및 스트리밍 광고영상의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광고정보를 확인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정보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감지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부에 전송되는 상품정보 요청신호와 상기 상품정보 제공단계에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에 제공되는 상품정보는 상기 셋톱박스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정보 제공 방법.
KR1020150057672A 2015-04-24 2015-04-24 상품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방법과 시스템 KR101688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672A KR101688728B1 (ko) 2015-04-24 2015-04-24 상품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방법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672A KR101688728B1 (ko) 2015-04-24 2015-04-24 상품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방법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521A true KR20160126521A (ko) 2016-11-02
KR101688728B1 KR101688728B1 (ko) 2017-01-02

Family

ID=57518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672A KR101688728B1 (ko) 2015-04-24 2015-04-24 상품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방법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4716A (zh) * 2018-12-11 2020-06-1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直播的处理方法、装置、系统以及实时数据处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0868A (ko) * 2011-11-08 2013-05-16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텔레비전 광고 제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텔레비전 광고 제품 정보의 기록 매체
KR20140065922A (ko) * 2012-11-22 2014-05-30 네오컨버전스 주식회사 내장 센서 이용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tv, 셋톱박스 의 제어 방법
KR20140125711A (ko) * 2014-01-24 2014-10-29 주식회사 사운들리 Tv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mim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0868A (ko) * 2011-11-08 2013-05-16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텔레비전 광고 제품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텔레비전 광고 제품 정보의 기록 매체
KR20140065922A (ko) * 2012-11-22 2014-05-30 네오컨버전스 주식회사 내장 센서 이용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tv, 셋톱박스 의 제어 방법
KR20140125711A (ko) * 2014-01-24 2014-10-29 주식회사 사운들리 Tv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기초한 사용자 맞춤형 광고 제공 시스템,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mim 서비스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4716A (zh) * 2018-12-11 2020-06-1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直播的处理方法、装置、系统以及实时数据处理方法
CN111314716B (zh) * 2018-12-11 2022-06-0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直播的处理方法、装置、系统以及实时数据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728B1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04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universal remote control
US200701367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elevision services using implicit content to indicate the availability of additional content
US10375440B2 (en) Display device,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device
US91548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resolving conflicts in an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based system
WO2012091825A1 (en) Network media device with code recognition
KR20140051450A (ko) 멀티미디어 클립들을 캡처하기 위한 제스처 사용
KR20150072209A (ko) 멀티스크린 기반 콘텐츠 제공방법, 수신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72456B1 (ko) 멀티미디어 장치와 복수 개의 이종 이미지 센서 그리고 그 제어방법
US201301115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KR2012007667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90121016A (ko) 시청자 반응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840869B1 (ko) 방송화면 연동 커머스 장치 및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688728B1 (ko) 상품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방법과 시스템
US20120011547A1 (en) Enhanced method and system of shopping using video hyperlink in television broadcast
KR20160017467A (ko) 비디오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9712583B2 (en) Video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KR101319478B1 (ko) 방송 화면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그 장치
KR102199568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83522B1 (ko) 스마트폰과 와이파이를 이용한 인터넷 티비의 시청율 조사 시스템
KR101566231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
US8887196B2 (en) System,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information in real time
KR101530962B1 (ko) 표시제어시스템 및 표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방법
KR101740694B1 (ko) Ott 기반의 콘텐츠 통합 제공시스템
KR101566230B1 (ko)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102404901B1 (ko)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 화면 상에 쇼핑 플래시 카드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