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962B1 - 표시제어시스템 및 표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제어시스템 및 표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962B1
KR101530962B1 KR1020140093414A KR20140093414A KR101530962B1 KR 101530962 B1 KR101530962 B1 KR 101530962B1 KR 1020140093414 A KR1020140093414 A KR 1020140093414A KR 20140093414 A KR20140093414 A KR 20140093414A KR 101530962 B1 KR101530962 B1 KR 101530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roadcast
information
control system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득화
김정훈
김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펀진
주식회사 오렌지몬스터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펀진, 주식회사 오렌지몬스터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펀진
Priority to KR1020140093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물과는 별개로 구비되는 표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물이 고객의 방송수신기로 보내지는 경로와는 다른 경로를 통해 표시 노출 명령을 고객의 방송수신기로 보내기 위해 표시제어시스템을 구비시키고, 표시제어시스템에서 방송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캡처하면서 현재 방송되는 방송물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표시 노출 명령을 방송수신기로 보낸다.
따라서 방송물에 대한 어떠한 변경 없이 현재 송출되고 있는 방송물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제어시스템 및 표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방법{MARK CONTROL SYSTEM AND ITEM INFORMATION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중파 방송, 유선 방송, VOD 서비스 등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품 광고가 이루어질 때, 광고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혁신적 발전은 방송 광고에도 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근래 들어 시청자(고객)가 방송을 시청하는 도중에 방송 화면을 통해 접하는 광고 상품에 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고객이 해당 상품을 즉각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한 연구의 주된 핵심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63249호(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 등에서와 같이 방송물에 상품 식별정보를 삽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품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이 방송 화면을 통해 광고된 상품을 즉각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매개하는 것이다.
그런데 위와 같은 광고 관리 기술이 적용되려면 방송물(드라마나 쇼프로그램과 같은 방송물이거나 상품을 광고하기 위한 광고물일 수 있다)에 상품 식별정보를 삽입해야만 한다. 즉, 방송물 제작과 더불어 모든 방송물마다 식별정보를 삽입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따라서 작업량이 대단히 많고 복잡하기 때문에 그 상용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마감 시간에 임박해서 편집이 완료되는 드라마에서 이루어지는 간접 광고에는 종래기술의 적용이 실질적으로 불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물에 별도의 식별코드를 삽입하지 않더라도 고객이 화면을 통해 광고된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제어시스템은, 방송물들에 대한 특징 이미지들 및 상기 특징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표시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정보저장수단; 방송송출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물을 수신하면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이미지를 캡처하는 이미지캡처수단; 상기 이미지캡처수단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이하 '캡처 이미지'라 함)를 상기 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특징 이미지(이하 '저장 이미지'라 함)들과 비교하는 이미지비교수단; 및 상기 이미지비교수단에 의해 비교된 캡처 이미지가 상기 저장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이미지와 대응되면,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응되는 특정 표시정보에 따라 고객의 방송수신기로 표시를 노출시키도록 명령하는 노출명령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정보들에는 적어도 상기 특징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노출시간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노출명령수단은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응하는 노출시간정보를 상기 방송수신기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정보에는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노출명령수단은 상기 고객의 방송수신기로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징 이미지는 이미지 전체의 일정 부분이며, 상기 이미지비교수단은 캡처 이미지에 상기 특징 이미지에 대응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방법은, 제1 경로를 통해서 특정 방송물이 고객의 방송수신기로 송출되는 방송물 송출 단계; 및 제2 경로를 통해서 상기 특정 방송물에 대응하는 표시 노출 명령이 상기 고객의 방송수신기로 전송되는 명령 전송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경로는 송출제어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방송송출시스템에서 송출한 상기 특정 방송물이 상기 고객의 방송수신기로 보내지는 경로이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송출제어시스템에서 송출된 상기 특정 방송물을 수신하면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이미지를 캡처하고, 미리 저장된 이미지들 중 캡처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특정 이미지가 확인되면 표시제어시스템에서 전송하는 표시 노출 명령이 고객의 방송수신기로 보내지는 경로이다.
상기 명령 전송 단계에서 상기 표시제어시스템은 표시가 노출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와 상품 정보를 상기 방송수신기로 전송한다.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특정 방송물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정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방송물을 수정함이 없이 고객이 상품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인지시키기 때문에 작업량이 매우 적다.
둘째, 기존 방송 시스템이나 동영상 재생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손쉽게 구현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있고 상용성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상품 정보의 제공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망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출제어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3은 방송수신기의 화면에 표시가 이루어지는 일예를 보여준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제어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특징 이미지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6은 송출되는 방송물이 드라마일 경우, 드라마의 전개에 따른 표시 제어를 위해 스케줄의 예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공지되었거나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본 발명은 도1에서와 같이 송출제어시스템(110), 방송송출시스템(120), 방송수신기(130), 표시제어시스템(140), 정보제공시스템(150)이 연결 구축된 시스템망상에서 적절하게 구현될 수 있다.
송출제어시스템(110)은 방송물들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송출될 수 있도록 방송송출시스템(120)을 제어한다. 여기서 방송물이라 함은 동영상물로서 광고나 편성 프로그램 상의 드라마, 쇼, 뉴스 등 일 수 있다. 이러한 송출제어시스템(110)은 도2에서와 같이 송출지시수단(111), 이미지캡처수단(112) 및 이미지제공수단(113)을 포함한다.
송출지시수단(111)은 미리 작성된 스케줄에 따라 방송송출시스템(120)으로 특정 방송물에 대한 송출을 지시한다. 즉, 스케줄상에서 특정 방송물이 송출되어야 할 시점이 되면, 특정 방송물에 대한 송출 명령(VOD-Q)을 방송송출시스템(120)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송출 명령(VOD-Q)이 방송송출시스템(120)으로 전송된 시점부터 방송송출시스템(120)에서는 해당 송출 명령(VOD-Q)에 따른 특정 방송물을 송출하게 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송출 명령(VOD-Q)이 특정 방송물의 송출 시점을 알리는 정보와 함께 특정 방송물의 송출 시점보다 앞서서 미리 방송송출시스템(120)으로 전송되게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미지캡처수단(112)은 방송물들에 대한 시작 이미지를 캡처한다. 여기서 시작 이미지라 함은 송출될 방송물의 맨 처음 이미지로서 해당 방송물을 파악할 수 있는 특징 이미지이다.
이미지제공수단(113)은 이미지캡처수단(112)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를 표시제어시스템(140으로 제공한다.
방송송출시스템(120)은 송출제어시스템(110)으로부터 특정 방송물에 대한 송출 명령(VOD-Q)이 오면, 해당 송출 명령(VOD-Q)에 따른 특정 방송물에 대한 송출을 시작한다.
방송수신기(130)는 방송송출시스템(120)에 의해 송출되는 방송물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시킨다. 따라서 고객은 방송수신기(130)를 통해 방송물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송수신기(130)는 셋탑박스가 구비되어 있는 텔레비전수신기이거나 IP 텔레비전수신기일 수 있다. 여기서 셋탑박스나 IP 텔레비전수신기에는 화면상에 표시를 노출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있다.
한편, 표시제어시스템(140)은 도3에서와 같이 방송수신기(130)의 화면상에 특정한 표시(T)를 노출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표시제어시스템(140)은 도4에서와 같이 정보저장수단(141), 이미지캡처수단(142), 이미지비교수단(143) 및 노출명령수단(144)을 포함한다.
정보저장수단(141)은 방송물들에 대한 시작 이미지들과 시작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표시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다. 표시정보에는 표시의 노출이 이루어져야하는 시간 정보(이하 '노출시간정보'라 함)와 상품 정보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품 정보는 상품에 대한 실제의 정보일 수도 있으나, 상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정보(예를 들면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연결될 수 있는 URL)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미지비교수단(143)은 이미지캡처수단(142)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이하 '캡처 이미지'라 함)를 정보저장수단(141)에 저장된 시작 이미지(이하 '저장 이미지'라 함)들과 비교한다. 따라서 송출이 시작된 방송물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시작 이미지는 해당 시작 이미지를 가지는 특정 방송물을 식별하기 위한 특징 이미지이고, 해당 시작 이미지의 확인을 통해 특정 방송물의 송출이 시작되었음과 특정 방송물의 송출 시작 시점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보저장수단(141)에 저장되는 특징 이미지는 시작 이미지의 일정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이미지가 도5와 같다면, 정보저장수단(141)에 저장되는 특징 이미지는 도5의 시작 이미지(SI) 전체 중 일부 영역(PI)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미지비교수단(143)은 캡처 이미지 내에 특징 이미지에 대응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비교하면 족하므로, 캡처 이미지와 저장 이미지를 비교 확인하는 속도가 빨라지는 장점이 있다.
노출명령수단(144)은 이미지비교수단(143)에 의해 시작 이미지에 대응되는 특정 방송물의 송출이 확인되면, 해당 시작 이미지에 대응하는 표시정보에 따라 고객의 방송수신기(130)로 표시를 노출시키도록 명령한다. 물론 노출명령수단(143)은 표시 노출 명령과 함께 노출시간정보와 접근정보를 고객의 방송수신기(130)로 보낸다. 따라서 방송수신기(130)는 표시를 노출시키라는 명령에 따라 도3에서와 같이 화면상에 표시(T)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해당 표시(T)는 노출시간정보에 따른 시간만큼 노출된 후 사라진다.
정보제공시스템(150)은 방송수신기(130)로 상품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즉, 정보제공시스템(150)은 특정 상품에 대한 구체적인 상품 정보를 가지는 웹페이지를 방송수신기(130)로 제공한다. 물론, 광고되는 상품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정보제공시스템(150)은 적어도 1개 이상 표시제어시스템(140)에 연결될 수 있다.
계속하여 위와 같이 구성되는 시스템망에서 이루어지는 상품 정보 제공 및 구매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샴푸 광고를 위한 광고 방송물이 송출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물론, 샴푸 광고는 통신망을 통해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송물이다.
샴푸 광고의 송출 시점에 되면, 송출제어시스템(110)은 송출 명령(VOD-Q)을 방송송출시스템(120)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방송송출시시템(120)은 샴푸 광고를 송출하기 시작한다. 한편, 표시제어시스템(140)에서는 지속적으로 일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100ms 간격)으로 방송송출시시템(120)에서 송출되는 방송을 캡처하고 저장된 시작 이미지와 비교한다. 그에 따라 샴푸 광고가 송출되는 시점에서 표시제어시스템(140)은 샴푸 광고가 송출되기 시작했음을 알게 된다. 따라서 표시제어시스템(140)은 표시 노출 명령과 함께 샴푸 광고의 시작 이미지에 대응하는 노출시간정보 및 접근정보를 방송수신기(130)로 보낸다.
방송수신기(130)에서는 탑재된 소프트웨어가 동작하여 노출시간정보에 따른 노출시간만큼 도3에서와 같은 표시(T)를 화면상에 노출시킨다.
고객은 표시(T)가 방송수신기(130)의 화면에 노출되면, 현재 광고가 이루어지고 있는 샴푸에 대한 보다 더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음을 인지한다. 그리고 만일 고객이 샴푸 광고에 등장하는 샴푸를 구매하고자 할 경우, 자신이 조작하는 리모콘이나 기타 조작패널을 통해 상품 정보를 요청한다. 이에 따라 방송수신기(130)는 미리 수신한 접근정보에 따라 정보제공시스템(150)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를 불러들여 화면상에 상품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물론, 고객은 디스플레이된 상품 정보를 확인한 후 구매 조건이 충족된 경우 실제 구매 절차를 진행시킬 수 있다.
참고로 드라마의 간접 광고 같은 경우에도 위의 샴푸 광고의 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드라마의 경우에는 광고 방송물과는 다르게 간접 광고를 통해 상품을 광고하기 때문에, 이미지가 캡처된 시점과 표시 노출 명령을 보내는 시점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6과 같은 스케줄이 표시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여 드라마의 송출 시에 이루어지는 표시제어시스템(140)의 동작에 대해 알아본다.
표시제어시스템(140)은 캡처 이미지가 시작 이미지A와 동일하면 별그대 13회가 시작되었음을 알게 된다. 이 때, 표시제어시스템(140)은 별그대 13회가 시작되는 시점을 00분 00초로 설정 및 인식한다. 그리고 표시제어시스템(14)은 시간을 체크하여 별그대 13회 시작 후 11분 02초 되는 시점에 표시 노출 명령, 표시의 노출 시간(13초) 및 URL1을 방송수신기(130)로 보낸다. 따라서 방송수신기(130)는 표시(T)를 13초간 노출시킨다. 그 후, 표시제어시스템(140)은 지속적으로 시간을 체크하면서 노출시간2 및 노출시간3에 따른 표시 노출 명령, 표시의 노출 시간, URL2 또는 3을 방송수신기(130)로 보낸다.
물론, 고객이 상품 정보를 확인하고, 구매하는 절차도 위의 샴푸 광고의 예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방송물이 송출되는 제1 경로(C1)와 표시 노출 명령이 전송되는 제2 경로(C2)가 서로 다르다는 데에 그 중요한 특징이 있다.
방송물이 송출되는 제1 경로는 송출제어시스템(110)의 제어에 따라 방송송출시스템(120)에서 송출한 특정 방송물이 방송수신기(130)로 보내지는 경로이다. 그리고 표시 노출 명령이 전송되는 제2 경로는 송출제어시스템(110)에서 송출된 특정 방송물을 수신하면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이미지를 캡처하고, 미리 저장된 이미지들 중에서 캡처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특정 이미지가 확인되면 표시제어시스템(140)에서 전송하는 표시 노출 명령이 고객의 방송수신기(130)로 보내지는 경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40 : 표시제어시스템
141 : 정보저장수단 142 : 이미지캡처수단
143 : 이미지비교수단 144 : 노출명령수단

Claims (7)

  1. 방송물들에 대한 특징 이미지들 및 상기 특징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표시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정보저장수단;
    방송송출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물을 수신하면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이미지를 캡처하는 이미지캡처수단;
    상기 이미지캡처수단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이하 '캡처 이미지'라 함)를 상기 정보저장수단에 저장된 특징 이미지(이하 '저장 이미지'라 함)들과 비교하는 이미지비교수단; 및
    상기 이미지비교수단에 의해 비교된 캡처 이미지가 상기 저장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의 특정 이미지와 대응되면,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응되는 특정 표시정보에 따라 고객의 방송수신기로 표시를 노출시키도록 명령하는 노출명령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정보들에는 적어도 상기 특징 이미지들에 대응하는 노출시간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노출명령수단은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응하는 노출시간정보를 상기 방송수신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정보에는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노출명령수단은 상기 고객의 방송수신기로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제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특정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제어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이미지는 이미지 전체의 일정 부분이며,
    상기 이미지비교수단은 캡처 이미지에 상기 특징 이미지에 대응되는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제어시스템.
  5. 제1 경로를 통해서 특정 방송물이 고객의 방송수신기로 송출되는 방송물 송출 단계; 및
    제2 경로를 통해서 상기 특정 방송물에 대응하는 표시 노출 명령이 상기 고객의 방송수신기로 전송되는 명령 전송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경로는 송출제어시스템의 제어에 따라 방송송출시스템에서 송출한 상기 특정 방송물이 상기 고객의 방송수신기로 보내지는 경로이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방송송출시스템에서 송출된 상기 특정 방송물을 수신하면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이미지를 캡처하고, 상기 특정 방송물을 식별하기 위해 미리 저장된 이미지들 중 캡처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특정 이미지가 확인되면 표시제어시스템에서 전송하는 표시 노출 명령이 고객의 방송수신기로 보내지는 경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전송 단계에서 상기 표시제어시스템은 표시가 노출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와 상품 정보를 상기 방송수신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특정 방송물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웹페이지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방법.
KR1020140093414A 2014-07-23 2014-07-23 표시제어시스템 및 표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방법 KR101530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414A KR101530962B1 (ko) 2014-07-23 2014-07-23 표시제어시스템 및 표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414A KR101530962B1 (ko) 2014-07-23 2014-07-23 표시제어시스템 및 표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962B1 true KR101530962B1 (ko) 2015-06-25

Family

ID=5351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414A KR101530962B1 (ko) 2014-07-23 2014-07-23 표시제어시스템 및 표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9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145A (ko) * 2017-08-31 2019-03-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794A (ko) * 2005-02-28 2006-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브이알 및 그 영상 저장 방법
KR20110105459A (ko) * 2010-03-19 2011-09-27 권순길 이미지 기반의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794A (ko) * 2005-02-28 2006-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브이알 및 그 영상 저장 방법
KR20110105459A (ko) * 2010-03-19 2011-09-27 권순길 이미지 기반의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145A (ko) * 2017-08-31 2019-03-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00342B1 (ko) * 2017-08-31 2019-07-1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단말,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53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video segments for displaying contextually relevant content
US92104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universal remote control
US91548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resolving conflicts in an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based system
US200701367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elevision services using implicit content to indicate the availability of additional content
CA2906173C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video segments for displaying contextually relevant content
WO2003043322A3 (en) Remote re-creation of data in a television system
KR101850482B1 (ko) 방송 연동형 증강현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0232936B (zh) 用于识别视频片段以便显示上下文相关内容的系统和方法
CA2568514C (en) Display of enhanced content
JP5574556B1 (ja) 視聴番組同定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30962B1 (ko) 표시제어시스템 및 표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방법
US1018227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inforcing brand awareness with minimal intrusion on the viewer experience
US20100100449A1 (en) Method and system of advertising without adding tags to content streams
KR100873734B1 (ko) Iptv의 광고 출력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17467A (ko) 비디오 컨텐츠와 관련된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319478B1 (ko) 방송 화면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그 장치
KR101737897B1 (ko) 실시간정보 제공 시스템
JP2005073003A (ja) ストリーミング広告配信システム
AU2003200899A1 (en) Display of enhanced content
KR20160055518A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336623B1 (ko) 광고 및 자막 입력장치 및 시스템
JP6936296B2 (ja) 放送情報連動型情報提供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そのシステム
KR101556321B1 (ko) 광고 관리 서버
KR20160126521A (ko) 상품정보 제공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방법과 시스템
JP2011114374A (ja) 双方向テレビシステムを用いた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