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342B1 - 사용자 단말,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342B1
KR102000342B1 KR1020170110841A KR20170110841A KR102000342B1 KR 102000342 B1 KR102000342 B1 KR 102000342B1 KR 1020170110841 A KR1020170110841 A KR 1020170110841A KR 20170110841 A KR20170110841 A KR 20170110841A KR 102000342 B1 KR102000342 B1 KR 102000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obile application
image
time
simila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145A (ko
Inventor
이영석
유현식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0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03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1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an embedded system, i.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edicated to perform a certain function in mobile devices, printers, automotive or aircraf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신호 수신부 - 입력 신호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목표 화면의 표시를 야기함 -;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제어부 -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는, 소정의 시간에 걸쳐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일련의 복수 데이터이며, 목표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 출력 데이터를 포함함 -;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각각 렌더링하고 대응하는 화면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 이미지들 중 둘 이상의 화면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캡처하고 기록하는 화면 캡처 및 기록부; 및 캡처 및 기록된 둘 이상의 화면 이미지들의 각 화면 이미지에 관한 유사도를 결정 - 화면 이미지에 대한 유사도는, 해당 화면 이미지의, 해당 화면 이미지보다 시간상 바로 이전에 캡처 및 기록된 화면 이미지에 관한 유사도임 - 하는 모니터링 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USER TERMINAL, DISPLAY MONITOR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화면 표시의 모니터링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 입력이 주어졌을 때 해당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생성되는, 시간 경과에 따른 화면 표시의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의 보급 확산에 따라, 사람들은 일상 생활이나 업무 수행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수 많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을 일상적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활용 증대에 따라, 사람들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응답 속도, 즉 사용자 입력(예컨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사용자 터치, 드래그, 또는 스와이프 입력, 음성 입력, 키 입력 등을 비롯한 다양한 입력)이 발생한 후 그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일어나는 모바일 기기 상의 화면 표시 변화의 속도에 점점 더 민감해지고 있다. 특히, 고성능 프로세서 등과 고속 통신 인프라의 개발에 따라, 사람들은 더욱 더 빠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응답을 기대하게 되었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응답이 지연되는 경우 사용자 경험에 심각한 타격이 야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환경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 등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개선을 위하여, 해당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응답 과정, 즉 사용자 입력에 대응한 모바일 단말 상의 화면 표시 변화의 경과를 모니터링하고 그 화면 표시 변화의 완료 시점(즉, 응답 완료 시점)을 정확하게 알아낼 필요가 있다. 또한, 그 모니터링 결과 등에 기초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자 등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응답 시간을 지연시키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낼 필요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803889호에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서비스가 요청된 시점부터 해당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로의 서비스 제공이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문자열과 단말 화면에 출력된 문자열을 비교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그 미리 정해진 문자열이 화면에 출력된 시점이 반드시 해당 서비스 제공의 정확한 완료 시점, 예컨대 요청된 서비스에 따른 화면 표시 변화의 완료 시점이라고 볼 수는 없다. 또, 이 경우, 요청된 서비스에 따른 화면 표시 변화에 있어서 그 변화 경과를 모니터링할 수는 없고 응답 시간의 지연을 야기하는 부분이 어디인지 알아낼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803889호
따라서, 모바일 단말 상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모바일 단말 상의 화면 표시 변화의 경과의 모니터링을 제공하고, 아울러 그 화면 렌더링 및 표시 변화의 완료 시점의 결정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필요로 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신호 수신부 - 입력 신호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목표 화면의 표시를 야기함 -;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제어부 -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는, 소정의 시간에 걸쳐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일련의 복수 데이터이며, 목표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 출력 데이터를 포함함 -;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각각 렌더링하고 대응하는 화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 이미지들 중 둘 이상의 화면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캡처하고 기록하는 화면 캡처 및 기록부; 및 캡처 및 기록된 둘 이상의 화면 이미지들 각각의 유사도를 결정 - 각 화면 이미지에 대한 유사도는, 해당 화면 이미지의, 해당 화면 이미지보다 시간상 바로 이전에 캡처 및 기록된 화면 이미지에 관한 유사도임 - 하는 모니터링 제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둘 이상의 화면 이미지들 각각의 유사도를 결정하는 것은, 해당 화면 이미지와, 비교되는 시간상 바로 이전에 캡처 및 기록된 화면 이미지 양자의 전체 이미지 비교에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목표 화면의 표시는, 사용자 단말 내에서의 내부적 동작 수행 결과 또는 통신망을 통한 외부의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화면 캡처 및 기록부는, 둘 이상의 화면 이미지들을 대응하는 시간 정보와 함께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니터링 제공부는, 둘 이상의 화면 이미지들 각각의 결정된 유사도에 기초하여 목표 화면의 표시의 완료 시점을 결정하되, 둘 이상의 화면 이미지들 중에서, 시간상 최종 화면 이미지부터 역 순차적으로, 결정된 유사도가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되는 최초의 화면 이미지를 결정하고, 시간상 결정된 이미지 바로 다음의 화면 이미지의 렌더링 및 출력 시점을 목표 화면의 표시의 완료 시점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입력 신호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목표 화면의 표시를 야기함 -;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는, 소정의 시간에 걸쳐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일련의 복수 데이터이며, 목표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 출력 데이터를 포함함 -; 순차적으로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각각 렌더링하고 대응하는 화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 이미지들 중 둘 이상의 화면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캡처하고 기록하는 단계; 및 캡처 및 기록된 둘 이상의 화면 이미지들 각각의 유사도를 결정 - 각 화면 이미지에 대한 유사도는, 해당 화면 이미지의, 해당 화면 이미지보다 시간상 바로 이전에 캡처 및 기록된 화면 이미지에 관한 유사도임 -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둘 이상의 화면 이미지들의 각 화면 이미지에 관한 유사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해당 화면 이미지와, 비교되는 시간상 바로 이전에 캡처 및 기록된 화면 이미지 양자의 전체 이미지 비교에 기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목표 화면의 표시는, 사용자 단말 내에서의 내부적 동작 수행 결과 또는 통신망을 통한 외부의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화면 이미지들을 캡처하고 기록하는 단계는, 둘 이상의 화면 이미지들을 대응하는 시간 정보와 함께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방법은 둘 이상의 화면 이미지들의 각 화면 이미지에 관하여 결정된 유사도에 기초하여 목표 화면의 표시의 완료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목표 화면의 표시의 완료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둘 이상의 화면 이미지들 중에서, 시간상 마지막의 화면 이미지부터 역 순차적으로, 결정된 유사도가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되는 최초의 화면 이미지를 결정하고, 시간상 결정된 이미지 바로 다음의 화면 이미지의 렌더링 및 출력 시점을 목표 화면의 표시의 완료 시점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를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전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단말 상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모바일 단말 상의 화면 표시 변화의 경과의 모니터링이 가능해지고 또한 그 화면 표시 변화의 완료 시점, 즉 사용자 입력에 따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응답 완료의 정확한 시점을 알아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위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화면 표시 중 어느 부분과 관련하여 가장 지연이 길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응답 시간을 지연시키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응답 속도를 분석함에 있어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삽입된 특정한 테스트 코드에 기초하는 대신 기록된 화면 이미지들의 처리 및 비교에 기초하므로, 특정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 변화의 경과를 기록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상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보여주는 개략적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 변화의 경과의 분석 및 모니터링을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상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보여주는 개략적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초기에 로딩되는 때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렌더링 되고, 모바일 단말 상에서 캡처 및 기록된 화면 이미지들을 보여주는 예시적 도면들이다.
도 6의 (a) 및 (b)는 각각,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 변화의 경과 과정에 기초하여 작성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응답 속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그래프의 예시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미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있어서 '블록'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적 부분을 의미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블록' 또는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블록' 또는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덧붙여,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 또는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제한 또는 확장하여 해석되지 않는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2a-102n), 통신망(104),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2a-102n)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각종 모바일 통신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2a-102n) 각각은, 예컨대 랩탑, 스마트 폰, 태블릿 PC, 기타 다양한 모바일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2a-102n) 각각은, 하나 이상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고, 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2a-102n) 각각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통신망(104)을 통해서, 대응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로 전달하거나, 그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적으로 적절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2a-102n) 각각은 통신망(104)을 통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와 통신, 즉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와의 통신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 상에서 대응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2a-102n) 각각은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와의 통신 또는 사용자 단말 내부적 처리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 상에서, 대응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적절한 화면의 렌더링 및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최종적인 목표 화면의 렌더링 및 출력은 소정의 시간 경과에 따라 점진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며, 그 최종적인 목표 화면의 렌더링 및 출력에 이르기까지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복수의 화면 출력이 수행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2a-102n) 각각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렌더링 및 표시되는 복수의 화면 이미지들을 시간 경과에 따라 연속하여 캡처하고 각 캡처된 화면을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2a-102n)은 캡처된 화면 이미지들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목표 화면의 렌더링 및 표시의 완료 시점 등을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04)은, 임의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 예컨대 TCP/IP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04)은, 예컨대 Wi-Fi망, LAN망, WAN망, 인터넷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망(104)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2a-102n)과 통신할 수 있고, 각 사용자 단말(102a-102n)로 대응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는, 안드로이드 또는 iOS 기반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일 수 있고, 다만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도면에서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하나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2a-102n)은 각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복수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들과 통신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2)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102)은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부(202),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저장/제어부(204), 통신부(206), 화면 표시부(208), 렌더링 화면 캡처/기록부(210), 및 모니터링 제공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부(202)는 외부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입력 신호는, 소정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개시 또는 제어에 연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부(202)는, 예컨대 터치 패드, 마이크 및 음성 인식 모듈, 키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부(202)는, 예컨대 터치 패널을 포함하고, 해당 터치 패널 상에서 Amazon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신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저장/제어부(204)는 소정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는 각종 파일들 및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저장/제어부(204)는,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부(202)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기초한 내부적 동작의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저장/제어부(204)는,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부(202)로부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기초하여 필요한 요청, 예컨대 대응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개시 또는 제어를 위한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저장/제어부(204)는, 후술하는 통신부(206) 및 도 1의 통신망(104)을 통하여, 도 1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와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저장/제어부(204)는, 통신부(206) 및 통신망(104)을 통하여, 위 생성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개시 또는 제어를 위한 요청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로부터의 응답은 소정의 시간 경과에 걸쳐 전송되는 일련의 데이터 패킷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저장/제어부(204)는, 해당 사용자 단말(102) 내에서의 내부적 동작 수행 결과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로부터 수신된 응답에 기초하여, 해당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개시 또는 제어에 대응하는 화면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최종적인 목표 화면의 렌더링 및 출력은 소정의 시간 경과에 따라 점진적으로 수행되는 것이며, 그 최종적인 목표 화면의 렌더링 및 출력에 이르기까지 중간 단계에 해당하는 복수의 화면 출력이 수행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저장/제어부(204)는, 예컨대 Amazon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일련의 파일들 및 데이터의 패키지를 저장하고,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부(202)로부터의 사용자 입력 신호 및 그에 기초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와의 통신 결과 등에 따라, Amazon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대응하는 일련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부(206)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저장/제어부(204)가 통신망(104)을 통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부(206)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저장/제어부(204)에 의해 생성된 요청을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망(104)을 통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부(206)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하고 적절한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화면 표시부(208)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저장/제어부(204)로부터, 대응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일련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수신 및 렌더링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화면 표시부(208)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은, 시간 경과와 함께 점진적으로 변화할 수 있고 소정의 시간 경과와 함께 최종 목표 화면으로서 렌더링 및 표시 완료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화면 표시부(208)는 LCD, LED, OLED, QLED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화면 표시부(208)는 랩탑이나 태블릿 PC 등을 위한 비교적 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고, 스마트폰 등을 위한 비교적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렌더링 화면 캡처/기록부(210)는 화면 표시부(208)에 의해 렌더링 및 표시되는 화면 이미지를 시간 정보와 함께 연속하여 캡처하고 각 캡처된 화면 이미지(예컨대, 화면 스냅샷)를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렌더링 화면 캡처/기록부(210)는, 예컨대 매 1초 간격으로 화면을 캡쳐하고 이를 소정의 기억 장치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렌더링 화면 캡처/기록부(210)는, 미리 정해진 최대 로딩 시간(예컨대, 10초) 동안, 소정의 시간 간격(예컨대, 매 1초)으로 화면 표시부(208)에 의해 렌더링되는 화면을 연속하여 캡처 및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양한 다른 시간 설정에 따라 렌더링 및 표시되는 화면들을 캡처 및 기록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니터링 제공부(212)는, 렌더링 화면 캡처/기록부(210)에 의해 연속적으로 캡처 및 기록된 화면 이미지들을, 인접한 이미지와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니터링 제공부(212)는, 예컨대 캡쳐 및 기록된 소정의 화면 이미지(예컨대, 스냅샷)를 그 바로 이전에 캡쳐 및 기록된 화면 이미지와 비교하고, 위 소정의 화면 이미지의 이전 이미지에 대한 유사도를 계산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두 개의 주어진 이미지의 유사도를 비교하는 다양한 기술을 알 것이며,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니터링 제공부(212)는, 소정의 화면 이미지의 바로 이전 화면 이미지에 대한 유사도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유사도가 임계치(예컨대, 99%) 이상인지 판정하며, 그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주어진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한 화면 렌더링 및 표시의 완료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니터링 제공부(212)는, 어느 주어진 화면 이미지의 이전 화면 이미지에 대해 계산된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고, 그 주어진 화면 이미지 이후 기록된 화면 이미지들 모두에 대해서도 그 각각의 화면 이미지의 대응하는 이전 화면 이미지에 대해 계산된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 위 주어진 화면 이미지의 표시 완료 시점을 해당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한 화면 표시부(208) 상에서의 화면 표시가 완료된 시점이라고 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 변화의 경과를 기록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상에서 수행되는 예시적 동작들을 보여주는 개략적 동작 흐름도이다.
우선, 단계(302)에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개시 또는 제어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단계(302)에서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필요한 요청, 즉 대응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개시 또는 제어를 위한 요청이 단계(304)에서 생성될 수 있다. 단계(306)에서는, 위 생성된 요청이 통신부(206) 및 통신망(104)을 통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계(308)에서는 그 요청에 대응한 응답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서버(106)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단계(310)에서 그 수신된 응답에 상응하는 화면 출력 데이터가 생성되고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렌더링 및 표시될 수 있다.
단계(312)에서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렌더링 및 표시된 화면의 이미지가 캡처되고 그 캡처된 화면 이미지가 대응 시간 정보와 함께 기록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계(314)에서는, 이전 화면 이미지 캡처 및 기록 시간 이후 미리 정해진 최대 로딩 시간(예컨대, 10초)이 경과하였는지 판정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절차는 단계(316)로 진행하여 이전 화면 이미지 캡처 및 기록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예컨대, 1초)이 경과하였는지 판정될 수 있다. 단계(316)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이 경과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절차는 단계(312)로 복귀하고, 이때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렌더링 및 표시되어 있는 화면 이미지가 캡처되고 그 캡처된 화면 이미지가 대응 시간 정보와 함께 기록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계(314)에서, 이전 화면 이미지 캡처 및 기록 시간 이후 미리 정해진 최대 로딩 시간(예컨대, 10초)이 경과한 것으로 판정되었다면 절차가 종료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 변화의 경과의 분석 및 모니터링을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상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을 보여주는 개략적 동작 흐름도이다.
단계(402)에서는, 기록된 화면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각 화면 이미지(기준 화면 이미지)가 시간상 바로 이전에 기록된 화면 이미지(비교 화면 이미지)와 비교되고, 해당 기준 화면 이미지의 대응 비교 화면 이미지에 대한 유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들 간의 유사도 결정은 당업자가 생각해낼 수 있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이미지의 "유사도"를 결정하는 것은 비교되는 두 개의 이미지의 전체를 비교하여 정하는 것이고, 일부 제한된 특정 요소 또는 문자열 등의 비교에만 기초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단계(404)에서는, 기록된 일련의 화면 이미지들 중에서, 최종 화면 이미지의, 그에 대응하는 바로 이전 화면 이미지에 대한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지 판정될 수 있다. 단계(404)에서 최종 화면 이미지의 대응 이전 화면 이미지에 대한 유사도가 임계치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 절차는 단계(406)로 진행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한 화면 렌더링 및 표시가 완료되지 못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계(404)에서 최종 화면 이미지의 대응 이전 화면 이미지에 대한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절차가 단계(408)로 진행하여, 최종 화면 이미지부터 역 순차적으로 각각의 기록된 화면 이미지마다의 대응 이전 화면 이미지에 대한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지 판정하고, 최초로 해당 유사도가 임계치 미만이 되는 이미지(즉, 뒤에서부터 역순으로 보아, 대응하는 이전 화면 이미지에 대한 유사도가 임계치 미만이 되는 최초의 화면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단계(410)에서는, 단계(408)에서 결정된 이미지의 시간 순차상 바로 다음의 이미지(즉, 마지막 화면 이미지로부터 역순으로 보아, 대응하는 이전 이미지에 대한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일련의 이미지들 중 최초의 이미지)의 렌더링 및 표시 완료 시점을 주어진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한 화면 렌더링 및 표시의 완료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기록된 화면 이미지 중 마지막 6개의 화면 이미지들 각각이 자기 바로 이전에 기록된 화면 이미지와 비교한 유사도로서, ... 85%, 97%, 98%, 99%, 100%, 100%를 갖고 임계치가 99%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면, 단계(408)에서는 98%의 유사도를 갖는, 뒤에서부터 4번째 이미지가 선택될 것이고, 단계(410)에서는 99%의 유사도를 갖는, 뒤에서부터 3번째 이미지의 렌더링 및 표시 완료 시점이 주어진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한 화면 렌더링 및 표시의 완료 시점으로 설정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한 화면 렌더링 및 표시의 완료 시점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마지막 기록 이미지로부터 시간상 역순으로 보아 임계치를 넘는 유사도를 갖는 최초의 이미지를 찾는 방식이 이용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기록된 화면 이미지 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화면 렌더링 및 표시의 완료 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당업자가 생각해낼 수 있는 다른 다양한 방식을 모두 포괄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된 화면 이미지의 이전 화면 이미지에 대한 유사도가 소정의 임계치를 넘는 상황에서, 임의의 한 화면 이미지 이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기록된 일련의 복수의 화면 이미지들 각각의 각 대응 이전 화면 이미지에 대한 유사도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위 임의의 화면 이미지를 기준으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대응한 화면 렌더링 및 표시의 완료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초기에 로딩되는 때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렌더링 및 표시되고, 모바일 단말 상에서 캡처 및 기록된 화면 이미지들을 보여주는 예시적 도면들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 5의 (a) 및 (b) 각각은 Amazon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및 China News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개시하고 대응 화면을 로딩하는 과정에서 캡처 및 기록된 예시적 화면 이미지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 5의 (a)의 캡처된 화면 이미지들은 각 1초의 시간 간격으로 3초에 걸쳐 캡처 및 기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의 (b)의 캡처된 화면 이미지들은 각 1초의 시간 간격으로 10초에 걸쳐 캡처 및 기록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6의 (a) 및 (b)는 각각, 도 5의 (a) 및 (b)에 도시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 변화의 경과 과정에 기초하여 작성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응답 속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그래프의 예시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 6의 (a) 및 (b)의 그래프는, 시간 정보와, 시간변화에 따라, 최종 표시될 화면을 기준으로 보아 당시까지 표시가 완료된 화면 부분의 비율을 보여주는 예시적 그래프들이다. 도면 상에서 음영으로 처리된 부분을 기준으로 보면, 시간 경과에 따라, 최종 표시될 화면을 기준으로 보아 당시까지 표시가 완료되지 않은 남은 부분의 비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음영 부분은 최종 표시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넓어질 것이고, 따라서 대응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표시의 속도 지표(Speed Index)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이러한 도 6의 (a) 및 (b)의 음영 부분은, 다음 수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7084532936-pat00001
도시된 바에 의하면, 도 6의 (a)의 속도 지표는 213인데 비해 도 6의 (b)의 속도 지표는 313으로 더 크고, 도 5의 (a)의 경우의 화면 표시가 도 5의 (b)의 경우의 화면 표시에 비해 더 빠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재구성 및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면 이미지들을 캡처 및 기록하는 기준 및 방법은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캡처된 화면 이미지들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로부터 화면 렌더링의 완료 시점을 찾아내는 것은 다양한 방식이 시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러한 다양한 방식에 따른 시도를 모두 포괄할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기술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프로세서 등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예컨대 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장치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내장형 하드 디스크와 착탈식 디스크 같은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및 CDROM 디스크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코드(들)는 어셈블리어나 기계어로 구현될 수 있고, 전기 배선이나 케이블링, 광섬유, 또는 기타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범주에 속하는 모든 변형 및 변경을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모두 포괄하고자 한다.

Claims (11)

  1.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복수 회에 걸쳐,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제어부 - 상기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 각각은,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목표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 출력 데이터에 이르기까지, 시간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일련의 관련된 데이터임 -;
    상기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 각각을 렌더링하고 대응하는 각 화면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화면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캡처하고 기록하는 화면 캡처 및 기록부; 및
    캡처 및 기록된 상기 화면 이미지 각각의 유사도 - 각 화면 이미지에 대한 상기 유사도는, 해당 화면 이미지의, 해당 화면 이미지보다 시간상 바로 이전에 캡처 및 기록된 화면 이미지에 관한 유사도임 - 를 결정하고 상기 화면 이미지들 각각에 관하여 결정된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화면의 표시의 완료 시점을 결정하는 모니터링 제공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이미지 각각의 유사도를 결정하는 것은, 해당 화면 이미지와, 비교되는 상기 시간상 바로 이전에 캡처 및 기록된 화면 이미지 양자의 전체 이미지 비교에 기초하는, 사용자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기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 각각은,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서의 내부적 동작 수행 결과 또는 통신망을 통한 외부의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통신에 기초하는, 사용자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캡처 및 기록부는, 상기 화면 이미지들 각각을 대응하는 시간 정보와 함께 기록하는, 사용자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제공부는, 상기 화면 이미지들 중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 시간상 최종 화면 이미지부터 역 순차적으로, 결정된 상기 유사도가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되는 최초의 화면 이미지를 결정하고, 시간상 상기 결정된 이미지 바로 다음의 화면 이미지의 렌더링 및 출력 시점을 상기 목표 화면의 표시의 완료 시점으로 결정하는, 사용자 단말.
  6. 사용자 단말 상에서 수행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으로서,
    복수 회에 걸쳐,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생성하는 단계 - 상기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 각각은,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목표 화면에 대응하는 화면 출력 데이터에 이르기까지, 시간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일련의 관련된 데이터임 -;
    상기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 각각을 렌더링하고 대응하는 각 화면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소정의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화면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캡처하고 기록하는 단계; 캡처 및 기록된 상기 화면 이미지 각각의 유사도 - 각 화면 이미지에 대한 상기 유사도는, 해당 화면 이미지의, 해당 화면 이미지보다 시간상 바로 이전에 캡처 및 기록된 화면 이미지에 관한 유사도임 - 를 결정 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이미지들 각각의 결정된 유사도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화면의 표시의 완료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이미지 각각의 유사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해당 화면 이미지와, 비교되는 상기 시간상 바로 이전에 캡처 및 기록된 화면 이미지 양자의 전체 이미지 비교에 기초하는,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상기 복수의 화면 출력 데이터 각각은 상기 사용자 단말 내에서의 내부적 동작 수행 결과 또는 통신망을 통한 외부의 서비스 제공 서버와의 통신에 기초하는,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이미지들을 캡처하고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이미지들 각각을 대응하는 시간 정보와 함께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화면의 표시의 완료 시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 이미지들 중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 시간상 최종 화면 이미지부터 역 순차적으로, 결정된 상기 유사도가 소정의 임계치 미만이 되는 최초의 화면 이미지를 결정하고, 시간상 상기 결정된 이미지 바로 다음의 화면 이미지의 렌더링 및 출력 시점을 상기 목표 화면의 표시의 완료 시점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
  11.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를 수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170110841A 2017-08-31 2017-08-31 사용자 단말,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000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841A KR102000342B1 (ko) 2017-08-31 2017-08-31 사용자 단말,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841A KR102000342B1 (ko) 2017-08-31 2017-08-31 사용자 단말,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145A KR20190024145A (ko) 2019-03-08
KR102000342B1 true KR102000342B1 (ko) 2019-07-15

Family

ID=65801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841A KR102000342B1 (ko) 2017-08-31 2017-08-31 사용자 단말,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03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962B1 (ko) * 2014-07-23 2015-06-25 주식회사 펀진 표시제어시스템 및 표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방법
KR101761513B1 (ko) 2016-06-13 2017-07-2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미지를 이용한 위변조 웹사이트 탐지 시스템 및 탐지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889B1 (ko) 2006-02-07 2008-02-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클라이언트 단말로 제공되는 서비스 성능 분석 방법 및시스템
KR20110057529A (ko) * 2009-11-24 2011-06-01 (주)제니퍼소프트 더미요청 태그를 이용한 서버의 응답시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8644623B2 (en) * 2011-11-16 2014-02-04 Microsoft Corporation Measuring web page rendering ti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962B1 (ko) * 2014-07-23 2015-06-25 주식회사 펀진 표시제어시스템 및 표시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정보 제공방법
KR101761513B1 (ko) 2016-06-13 2017-07-2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미지를 이용한 위변조 웹사이트 탐지 시스템 및 탐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145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480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19237657A1 (zh) 用于生成模型的方法和装置
CN107045508B (zh) 应用程序的处理方法和装置
CN111131884B (zh) 一种视频剪辑的方法、相关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09542777B (zh) 一种压力测试方法、装置及可读介质
CN107562539B (zh) 应用程序处理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
CN104869203A (zh) 卡顿的测试方法、装置及测试设备
WO2017005085A1 (zh) 一种数据压缩方法、装置及终端
US20190051147A1 (en) Remote control method, apparatus,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1858318B (zh) 一种响应时间的测试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04850318A (zh) 瞬时消息显示控制的方法及设备
CN113190695B (zh) 多媒体数据搜索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和介质
CN104679307A (zh) 一种检测触摸屏幕滑动灵敏度的方法及装置
CN108063804A (zh) 通信方法及装置
JP2018026815A (ja) 映像通話品質測定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0908864A (zh) 一种设备卡顿的处理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2530205A (zh) 机场停机坪飞机状态检测方法及装置
CN113810773B (zh) 视频下载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0750743A (zh) 一种动画播放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000342B1 (ko) 사용자 단말, 화면 표시 모니터링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N114339419B (zh) 一种视频流拉流处理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7688498B (zh) 应用程序处理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
KR102106618B1 (ko) 애플리케이션 성능 테스트를 위한 시스템, 단말장치, 검증장치,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337943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contents
CN110519456B (zh) 一种信息的处理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