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865A -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865A
KR20140065865A KR1020120132850A KR20120132850A KR20140065865A KR 20140065865 A KR20140065865 A KR 20140065865A KR 1020120132850 A KR1020120132850 A KR 1020120132850A KR 20120132850 A KR20120132850 A KR 20120132850A KR 20140065865 A KR20140065865 A KR 20140065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gate
data line
line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9319B1 (ko
Inventor
한예슬
이병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319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8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in which the switching element is a three-electrode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31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for reducing the number of lithographic ste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0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aperture rati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ome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되는 게이트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 사이에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공통전압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 상기 게이트 라인들, 및 상기 공통전압 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게이트 라인들의 교차부들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고, 제j(j는 2 이상의 자연수) 데이터 라인과 제k(k는 2 이상의 자연수) 게이트 라인의 교차부에 형성된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k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상기 제j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제j-1 데이터 라인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에 인접하는 화소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제1 돌출 전극과 제1 콘택 전극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구동방식의 액정표시장치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 함)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표시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에 비하여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용 정보기기, 사무기기, 컴퓨터 등에서 표시기에 응용됨은 물론, 텔레비젼에도 응용되어 음극선관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 액정표시패널에 빛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닛, 액정표시패널의 데이터라인들에 데이터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액정표시패널의 게이트라인들(또는 스캔라인들)에 게이트펄스(또는 스캔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브 IC, 및 상기 IC들을 제어하는 제어회로,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광원 구동회로 등을 구비한다.
액정표시장치의 공정 기술과 구동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비용은 낮아지고, 화질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특히, 어느 한 수평 라인에 존재하는 2 개의 서브 픽셀들을 하나의 데이터 라인에 접속시키고, 동일한 극성의 데이터 전압을 상기 2 개의 서브 픽셀들에 공급하는 DRD(Double Rate Driving) 기술이 제안되었다. DRD 기술은 하나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2 개의 서브 픽셀들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소스 드라이브 IC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RD 기술의 경우, 소스 드라이브 IC는 인접한 데이터 라인들에 서로 다른 극성의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는 컬럼 인버전 방식으로 구동되며, 액정표시패널은 수평 2 도트 인버전으로 구동된다.
최근에는 DRD 기술의 변형으로, 소스 드라이브 IC는 컬럼 인버전 방식으로 구동되고, 액정표시패널은 수평 2 도트 인버전과 수직 1 도트 인버전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구동되는 "E-인버전(E-inversion)" 기술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E-인버전" 기술은 액정표시패널의 설계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E-인버전" 기술은 화소들 일부가 인접한 데이터 라인이 아닌 다른 데이터 라인에 접속하기 때문에, 공통전극들에 공통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통전압 라인이 게이트 라인과 동일한 평면상에서 게이트 라인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공통전압 라인은 불투명 금속층인 게이트 금속층으로 형성되므로, 개구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 2 도트 인버전과 수직 1 도트 인버전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구동하면서 개구율 감소를 방지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되는 게이트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 사이에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공통전압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 상기 게이트 라인들, 및 상기 공통전압 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게이트 라인들의 교차부들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고, 제j(j는 2 이상의 자연수) 데이터 라인과 제k(k는 2 이상의 자연수) 게이트 라인의 교차부에 형성된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k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상기 제j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제j-1 데이터 라인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에 인접하는 화소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제1 돌출 전극과 제1 콘택 전극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하부 기판 상에 게이트 라인,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의 상부층을 포함하는 게이트 금속패턴과, 화소 전극들, 제1 돌출 전극, 제2 돌출 전극,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의 하부층을 포함하는 제1 투명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게이트 금속패턴과 상기 제1 투명전극패턴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반도체 패턴, 데이터 라인, 및 공통전압 라인, 및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소스/드레인 금속패턴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소스/드레인 금속패턴을 덮는 보호막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1 콘택홀,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돌출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2 콘택홀,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공통전압 라인을 노출시키는 제3 콘택홀,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4 콘택홀,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돌출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5 콘택홀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1 콘택홀과 상기 제2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상기 제1 돌출 전극을 접속시키는 제1 콘택 전극과, 상기 제3 콘택홀을 통해 공통전압 라인과 공통전극을 접속시키는 공통전극, 및 상기 제4 콘택홀과 상기 제5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상기 제2 돌출 전극을 접속시키는 제2 콘택 전극을 포함하는 제2 투명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j(j는 2 이상의 자연수) 데이터 라인과 제k(k는 2 이상의 자연수) 게이트 라인의 교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k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상기 제j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제j-1 데이터 라인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에 인접하는 화소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제1 돌출 전극과 상기 제1 콘택 전극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소 전극과 돌출 전극을 게이트 금속 패턴과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하므로, 화소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돌출 전극을 이용하여 화소 전극과 TFT의 드레인 전극을 접속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공통전압 라인을 데이터 라인과 나란하게 인접한 화소 전극들 사이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통전압 라인으로 인한 개구율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 라인과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게이트 금속 패턴과 화소 전극과 그로부터 연장된 돌출 전극을 포함하는 투명전극패턴을 하나의 마스크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소스 드라이브 IC는 컬럼 인버전 방식으로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함에도, 액정표시패널의 화소 어레이의 화소 전극들은 수평 2 도트 인버전과 수직 1 도트 인버전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구동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컬럼 인버전 방식으로 소스 드라이브 IC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액정의 직류화 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소 어레이의 서브 픽셀들을 보여주는 예시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소 어레이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들과 게이트 신호들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
도 4는 도 2의 어느 두 서브 픽셀들을 상세히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I-I'과 Ⅱ-Ⅱ'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소 어레이의 서브 픽셀들을 보여주는 예시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화소 어레이의 서브 픽셀들을 보여주는 예시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9a 내지 도 9d는 제1 내지 제4 마스크 공정에 따른 I-I'과 Ⅱ-Ⅱ'의 단면도들.
도 10은 도 8의 제1 마스크 공정을 상세히 보여주는 흐름도.
도 11a 내지 도 11f는 제1 마스크 공정을 상세히 보여주는 I-I'의 단면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화소 어레이(PA)가 형성된 액정표시패널(10),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이하 'IC'라 칭함)(12)들, 게이트 구동회로(13), 및 타이밍 콘트롤러(11)를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10)의 아래에는 액정표시패널(10)에 빛을 균일하게 조사하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액정표시패널(10)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상부 유리기판과 하부 유리기판을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10)에는 화소 어레이(PA)가 형성된다. 화소 어레이(PA)는 데이터 라인들, 게이트 라인들, 공통전압 라인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서브 픽셀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한다. 화소 어레이(PA)의 하부 유리기판에는 데이터 라인들, 게이트 라인들, 공통전압 라인들,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칭함)들, TFT에 접속된 서브 픽셀의 화소 전극, 및 화소 전극에 접속된 스토리지 커패시터(Storage Capacitor) 등을 포함한다. 화소 어레이(PA)의 서브 픽셀들 각각은 TFT를 통해 데이터전압이 충전되는 화소 전극과 공통전압이 인가되는 공통전극의 전압 차에 의해 액정층의 액정을 구동시켜 빛의 투과량을 조정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화소 어레이(PA)의 서브 픽셀들의 구체적인 배열 구성에 대하여는 도 2, 도 5, 및 도 6을 결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액정표시패널(10)의 상부 유리기판상에는 블랙매트릭스와 컬러필터가 형성된다. 공통전극은 공통전극은 TN(TwiPR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의 경우에 상부 유리기판 상에 형성되며, IPS(In-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의 경우에 화소전극과 함께 하부 유리기판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액정표시장치가 IPS 모드로 구현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TN 모드, VA 모드, IPS 모드, FFS 모드뿐 아니라 어떠한 액정모드로도 구현될 수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액정표시패널(10)의 상부 유리기판과 하부 유리기판 각각에는 편광판이 부착되고 액정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등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투과형 액정표장치와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에서는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하다. 백라이트 유닛은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 유닛 또는,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브 IC들(12)은 TCP(Tape Carrier Package, 15) 상에 실장되고,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 유리기판에 접합되며, 소스 PCB(Printed Circuit Board)(14)에 접속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12)은 COG(Chip On Glass) 공정에 의해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 유리기판상에 접착될 수도 있다.
소스 드라이브 IC들(12) 각각은 타이밍 콘트롤러(11)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소스 타이밍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소스 드라이브 IC들(12)은 소스 타이밍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정극성/부극성 데이터 전압들로 변환하여 화소 어레이(PA)의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12)은 타이밍 콘트롤러(11)의 제어 하에 컬럼 인버전(column inversion) 방식으로 데이터 전압들을 데이터 라인들에 출력한다. 컬럼 인버전 방식은 이웃한 데이터 라인들에 서로 상반된 극성의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고, 데이터 라인들 각각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들의 극성을 1 프레임 기간 동안 동일하게 유지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소스 드라이브 IC들(12)은 도 7과 같이 컬럼 인버전 방식으로 극성이 반전되는 데이터 전압들을 데이터 라인들에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타이밍 콘트롤러(11)로부터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를 입력받는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화소 어레이의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펄스(또는 스캔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TCP 상에 실장되고, TAB 공정에 의해 액정표시패널(10)의 하부 유리기판에 접합될 수 있다. 또는, 게이트 구동회로(13)는 GIP(Gate In Panel) 공정에 의해 화소 어레이(PA)와 동시에 하부 유리기판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도 1과 같이 화소 어레이(PA)의 일측에 배치되거나 화소 어레이(PA)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외부의 시스템 보드로부터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도트 클럭과 같은 타이밍 신호들을 입력받는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타이밍 신호들에 기초하여 소스 드라이브 IC들(1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소스 타이밍 제어신호와 게이트 구동회로(1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소스 타이밍 제어신호를 소스 드라이브 IC들(12)에 공급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를 소스 드라이브 IC들(12)에 공급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1)는 콘트롤 PCB(16) 상에 실장된다. 콘트롤 PCB(16)와 소스 PCB(14)는 FFC(flexible flat cable)나 FPC(flexible printed circuit)와 같은 연성회로기판(17)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소 어레이의 화소 전극들을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2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화소 어레이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들 중 일부와 게이트 라인들 중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즉, 도 2에는 제1 내지 제4 데이터 라인들(D1, D2, D3, D4)과 그들에 교차되는 제1 내지 제4 게이트 라인들(G1, G2, G3, G4)이 나타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접한 데이터 라인들 사이에는 데이터 라인들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공통전압 라인(VcomL)들이 나타나 있다. 즉, 제j(j는 2 이상의 자연수) 데이터 라인(Dj)과 제j-1 데이터 라인(Dj-1) 사이에는 공통전압 라인(VcomL)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제1 데이터 라인(D1)과 제2 데이터 라인(D2) 사이에는 공통전압 라인(VcomL)이 형성된다. 특히, 공통전압 라인(VcomL)은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j-1 데이터 라인(Dj-1) 사이에 존재하는 화소 전극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전압 라인(VcomL)은 도 2와 같이 제1 데이터 라인(D1)과 제2 데이터 라인(D2) 사이에 존재하는 제1 화소 전극(PE1)과 제2 화소 전극(PE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 게이트 라인들, 및 공통전압 라인(VcomL)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는 화소 전극들이 형성된다.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의 교차부들에는 TFT들이 형성된다. 화소 전극들 각각은 TFT에 접속되어 데이터 라인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을 공급받는다. 구체적으로,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 게이트 라인(Gk)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의 소스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인접하지 않은 화소 전극, 즉 제j-1 데이터 라인(Dj-1)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Dj+1)에 인접한 화소 전극에 접속된다. 이에 비해,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1 게이트 라인(Gk-1) 또는 제k+1 게이트 라인(Gk+1)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의 소스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인접한 화소 전극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제1 데이터 라인(D1)과 제1 게이트 라인(G1)의 교차부에 형성된 제1 TFT(T1)의 소스 전극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인접하지 않고 제2 데이터 라인(D2)에 인접한 제2 화소 전극(PE2)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제1 데이터 라인(D1)과 제2 게이트 라인(G2)의 교차부에 형성된 제2 TFT(T2)의 소스 전극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인접하는 제1 화소 전극(PE1)에 접속될 수 있다.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 게이트 라인(Gk)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와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1 게이트 라인(Gk-1) 또는 제k+1 게이트 라인(Gk+1)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의 접속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또한, 동일한 수평 라인에서 제j 데이터 라인(Dj)에 인접한 화소 전극들 중 어느 하나만 제j 데이터 라인(Dj)에 접속되고, 나머지 하나의 화소 전극은 제j-1 데이터 라인(Dj-1)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Dj+1)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제2 데이터 라인(D2)에 인접한 제2 화소 전극(PE2)과 제3 화소 전극(PE3) 중 제3 화소 전극(PE3)만 제2 데이터 라인(D2)에 접속되고, 제2 화소 전극(PE2)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제3 데이터 라인(D3)에 인접한 제10 화소 전극(PE10)과 제11 화소 전극(PE11) 중 제10 화소 전극(PE10)만 제3 데이터 라인(D3)에 접속되고, 제11 화소 전극(PE11)은 제4 데이터 라인(D4)에 접속될 수 있다.
나아가,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j-1 데이터 라인(Dj-1)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Dj+1) 사이의 화소 전극들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만 접속되거나 제j-1 데이터 라인(Dj-1)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Dj+1)에만 접속된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제1 데이터 라인(D1)과 제2 데이터 라인(D2) 사이의 제1 화소 전극(PE1)과 제2 화소 전극(PE2)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만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이 제1 데이터 라인(D1)과 제2 데이터 라인(D2) 사이의 제7 화소 전극(PE7)과 제8 화소 전극(PE8)은 제2 데이터 라인(D2)에만 접속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소 어레이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들과 게이트 신호들을 보여주는 일 예시도면이다. 도 3에는 제N(N은 자연수) 프레임 기간과 제N+1 프레임 기간 동안 소스 드라이브 IC(1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전압들이 나타나 있고, 게이트 구동회로(13)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펄스들이 나타나 있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의 제1 내지 제4 데이터 라인들(D1~D4)에 공급되는 제1 내지 제4 데이터 전압들(DV1~DV4)과, 도 2의 제1 내지 제4 게이트 라인들(G1~G4)에 공급되는 제1 내지 제4 게이트 펄스들(GP1~GP4)만을 예시하였다. 즉, DV1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공급되는 제1 데이터 전압들, DV2는 제2 데이터 라인(D2)에 공급되는 제2 데이터 전압들, DV3은 제3 데이터 라인(D3)에 공급되는 제3 데이터 전압들, DV4는 제4 데이터 라인(D4)에 공급되는 제4 데이터 전압들을 의미한다. GP1은 제1 게이트 라인(G1)에 공급되는 제1 게이트 펄스, GP2는 제2 게이트 라인(G2)에 공급되는 제2 게이트 펄스, GP3은 제3 게이트 라인(G3)에 공급되는 제3 게이트 펄스, GP4는 제4 게이트 라인(GP4)에 공급되는 제4 게이트 펄스를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소스 드라이브 IC(12)는 컬럼 인버전 방식으로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한다. 컬럼 인버전 방식은 이웃한 데이터 라인들에 서로 상반된 극성의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고, 데이터 라인들 각각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들의 극성을 1 프레임 기간 동안 동일하게 유지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소스 드라이브 IC(12)는 도 3과 같이 제N 프레임 기간 동안 제1 극성의 제1 데이터 전압들(DV1)을 제1 데이터 라인(D1)에 공급하고, 제2 극성의 제2 데이터 전압들(DV2)을 제2 데이터 라인(D2)에 공급하며, 제1 극성의 제3 데이터 전압들(DV3)을 제3 데이터 라인(D3)에 공급하고, 제2 극성의 제4 데이터 전압들(DV4)을 제4 데이터 라인(D4)에 공급한다. 또한, 소스 드라이브 IC(12)는 도 3과 같이 제N+1 프레임 기간 동안 제2 극성의 제1 데이터 전압들(DV1)을 제1 데이터 라인(D1)에 공급하고, 제1 극성의 제2 데이터 전압들(DV2)을 제2 데이터 라인(D2)에 공급하며, 제2 극성의 제3 데이터 전압들(DV3)을 제3 데이터 라인(D3)에 공급하고, 제1 극성의 제4 데이터 전압들(DV4)을 제4 데이터 라인(D4)에 공급한다. 도 3에서 제1 극성은 정극성, 제2 극성은 부극성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제1 극성은 부극성, 제2 극성은 정극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회로(13)는 게이트 펄스들을 게이트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회로(13)는 도 3과 같이 제N 프레임 기간과 제N+1 프레임 기간 각각에서 제1 게이트 라인(G1)에 제1 게이트 펄스(GP1)를 출력하고, 제2 게이트 라인(G2)에 제2 게이트 펄스(GP2)를 출력하며, 제3 게이트 라인(G3)에 제3 게이트 펄스(GP3)를 출력하고, 제4 게이트 라인(G4)에 제4 게이트 펄스(GP4)를 출력한다. 게이트 펄스들 각각은 소정의 기간 동안 게이트 하이 전압(VGH)으로 발생한다. 소정의 기간은 도 3과 같이 2 수평 기간(2H)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게이트 펄스들은 도 3과 같이 대략 1 수평 기간(1H)만큼 서로 중첩될 수 있다. 하지만, 소정의 기간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 수평 기간(1H) 또는 수 수평 기간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1 수평 기간(1H)은 표시패널(10)에서 1 수평 라인의 픽셀들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가 기입되는 1 라인 스캐닝 시간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도 2와 도 3을 결부하여 N 프레임 기간 동안 화소 어레이의 화소 전극들에 데이터 공급 방법을 상세히 살펴본다.
제1 기간(t1)과 제2 기간(t2) 동안 제2, 제4, 제6 화소 전극들(PE2, PE4, PE6)은 제1 게이트 펄스(GP1)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받는다. 제1 데이터 라인(D1)에 접속된 제2 화소 전극(PE2)은 제2 기간(t2) 동안 공급되는 제1 극성의 제1 데이터 전압(DV1)으로 충전된다. 제2 데이터 라인(D2)에 접속된 제4 화소 전극(PE4)은 제2 기간(t2) 동안 공급되는 제1 극성의 제2 데이터 전압(DV2)으로 충전된다. 제3 데이터 라인(D3)에 접속된 제6 화소 전극(PE6)은 제2 기간(t2) 동안 공급되는 제1 극성의 제3 데이터 전압(DV3)으로 충전된다.
제2 기간(t2)과 제3 기간(t3) 동안 제1, 제3, 제5, 화소 전극들(PE1, PE3, PE5)은 제2 게이트 펄스(GP2)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받는다. 제1 데이터 라인(D1)에 접속된 제1 화소 전극(PE1)은 제3 기간(t3) 동안 공급되는 제1 극성의 제1 데이터 전압(DV1)으로 충전된다. 제2 데이터 라인(D2)에 접속된 제3 화소 전극(PE3)은 제3 기간(t3) 동안 공급되는 제1 극성의 제2 데이터 전압(DV2)으로 충전된다. 제3 데이터 라인(D3)에 접속된 제5 화소 전극(PE5)은 제3 기간(t3) 동안 공급되는 제1 극성의 제3 데이터 전압(DV3)으로 충전된다.
제3 기간(t3)과 제4 기간(t4) 동안에는 제8, 제10, 제12 화소 전극들(PE8, PE10, PE12)은 제3 게이트 펄스(GP3)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받는다. 제2 데이터 라인(D2)에 접속된 제8 화소 전극(PE8)은 제4 기간(t4) 동안 공급되는 제2 극성의 제2 데이터 전압(DV2)으로 충전된다. 제3 데이터 라인(D3)에 접속된 제10 화소 전극(PE10)은 제4 기간(t4) 동안 공급되는 제1 극성의 제3 데이터 전압(DV3)으로 충전된다. 제4 데이터 라인(D4)에 접속된 제12 화소 전극(PE12)은 제4 기간(t4) 동안 공급되는 제2 극성의 제4 데이터 전압(DV4)으로 충전된다.
제4 기간(t4)과 제5 기간(t5) 동안에는 제7, 제9, 제11 화소 전극들(PE7, PE9, PE11)은 제4 게이트 펄스(GP4)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받는다. 제2 데이터 라인(D2)에 접속된 제7 화소 전극(PE7)은 제5 기간(t5) 동안 공급되는 제2 극성의 제2 데이터 전압(DV2)으로 충전된다. 제3 데이터 라인(D3)에 접속된 제9 화소 전극(PE9)은 제5 기간(t5) 동안 공급되는 제1 극성의 제3 데이터 전압(DV3)으로 충전된다. 제4 데이터 라인(D4)에 접속된 제11 화소 전극(PE11)은 제5 기간(t5) 동안 공급되는 제2 극성의 제4 데이터 전압(DV4)으로 충전된다.
종합해보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소 어레이의 화소 전극들은 도 2와 같이 수평 2 도트 인버전과 수직 1 도트 인버전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구현된다. 수평 2 도트 인버전은 수평 방향(도 2의 x 축 방향)으로 2 개의 화소 전극들마다 충전하는 데이터 전압의 극성이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직 1 도트 인버전은 수직 방향(도 2의 y 축 방향)으로 1 개의 화소 전극마다 충전하는 데이터 전압의 극성이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제2 화소 전극들(PE1, PE2)은 제1 극성의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고, 제3, 제4 화소 전극들(PE3, PE4)은 제2 극성의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며, 제5, 제6 화소 전극들(PE5, PE6)은 제1 극성의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므로, 수평 2도트 인버전을 만족한다. 또한, 제1, 제2 화소 전극들(PE1, PE2)은 제1 극성의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고, 제7, 제8 화소 전극들(PE7, PE8)은 제2 극성의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므로, 수직 1 도트 인버전을 만족한다.
결국, 소스 드라이브 IC(12)는 컬럼 인버전 방식으로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함에도, 액정표시패널(10)의 화소 어레이의 화소 전극들은 수평 2 도트 인버전과 수직 1 도트 인버전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구동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컬럼 인버전 방식으로 소스 드라이브 IC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소비전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액정의 직류화 잔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3, 제4, 제7, 제8 화소 전극들(PE3, PE4, PE7, PE8)은 제4 화소 전극(PE4), 제3 화소 전극(PE3), 제8 화소 전극(PE8), 제7 화소 전극(PE7) 순서로 데이터 전압들을 충전한다. 제5, 제6, 제9, 제10 화소 전극들(PE5, PE6, PE9, PE10)은 제6 화소 전극(PE6), 제5 화소 전극(PE5), 제9 화소 전극(PE9), 제10 화소 전극(PE10) 순서로 데이터 전압들을 충전한다.
한편,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종래 "E-인버전" 기술은 위와 다른 순서로 화소 전극들에 데이터 전압들을 충전한다. 이로 인해, 종래 "E-인버전" 기술은 적색, 녹색, 및 청색 화소 전극들 중에서 적색과 녹색 화소 전극들에 피크 블랙 계조(peak black gray scale)의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고 청색 화소 전극들에 피크 화이트 계조(peak white gray scale)의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는 경우, 어느 청색 화소 전극들에는 충전 기간(게이트 펄스 공급 기간)동안 피크 블랙 계조와 피크 화이트 계조가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다른 청색 화소 전극들에는 충전 기간(게이트 펄스 공급 기간)동안 피크 화이트 계조가 연속적으로 공급되었다. 이로 인해, 청색 화소 전극들 간에 충전되는 데이터 전압에 차이가 발생하여 청색 얼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화소 어레이의 화소 전극들에 데이터 공급 방법은 모든 청색 화소 전극들이 충전 기간(게이트 펄스 공급 기간) 동안 피크 블랙 계조와 피크 화이트 계조를 연속적으로 공급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E-인버전" 기술에서 발생하였던 청색 얼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제1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픽셀과 제2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제2 서브 픽셀을 상세히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의 제1 화소 전극(PE1)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픽셀과 제2 화소 전극(PE2)을 포함하는 제2 서브 픽셀만을 예시하였다. 도 4에서는 제1 및 제2 서브 픽셀들이 수평 전계 방식인 IPS 모드로 구현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FFS 모드, TN 모드, 또는 VA 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에서, 제1 TFT(T1)는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 게이트 라인(Gk)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로서, 소스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인접하지 않은 화소 전극, 즉 제j-1 데이터 라인(Dj-1)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Dj+1)에 인접한 화소 전극에 접속된 TFT의 일 예로 설명되었다. 그리고, 제2 TFT(T2)는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1 게이트 라인(Gk-1) 또는 제k+1 게이트 라인(Gk+1)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로서, 소스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인접한 화소 전극에 접속된 TFT의 일 예로 설명되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라인(D1, D2)들은 수직 방향(y 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게이트 라인들(G1, G2)은 데이터 라인들(D1, D2)과 교차되도록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공통전압 라인(VcomL)들은 데이터 라인들(D1, D2)과 나란하게 수직 방향(y축 방향)으로 형성된다. 공통전압 라인(VcomL)은 인접한 데이터 라인들(D1, D2) 사이에 형성된다. 특히, 공통전압 라인(VcomL)은 인접한 데이터 라인들(D1, D2) 사이에 존재하는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PE1, PE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공통전극(VcomE)은 제3 콘택홀(CNT3)을 통해 공통전압 라인(VcomL)과 접속된다. 도 4와 같이 IPS 모드로 구현된 경우,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PE1, PE2)은 화소 영역 전면에 형성되나, 공통전극(VcomE)은 화소 영역에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PE1, PE2)과 공통전극(VcomE)은 수평 전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PE1, PE2)이 형성되는 화소 영역은 데이터 라인들(D1, D2), 게이트 라인들(G1, G2), 및 공통전압 라인(VcomL)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된다.
데이터 라인들(D1, D2)과 게이트 라인들(G1, G2)의 교차부들에는 TFT들(T1, T2)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화소 전극들(PE1, PE2) 각각은 TFT에 접속되어 데이터 라인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을 공급받는다. 구체적으로,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 게이트 라인(Gk)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의 소스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인접하지 않은 화소 전극, 즉 제j-1 데이터 라인(Dj-1)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Dj+1)에 인접한 화소 전극에 접속된다. 이에 비해,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1 게이트 라인(Gk-1) 또는 제k+1 게이트 라인(Gk+1)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의 소스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인접한 화소 전극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제1 데이터 라인(D1)과 제1 게이트 라인(G1)의 교차부에 형성된 제1 TFT(T1)의 소스 전극(SE1)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접속되나, 드레인 전극(DE1)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인접하지 않고, 제2 데이터 라인(D2)에 인접한 제2 화소 전극(PE2)에 접속될 수 있다. 특히, 드레인 전극(DE1)은 제1 콘택홀(CNT1)과 제2 콘택홀(CNT2)에 형성된 제1 콘택 전극(CE1)을 통해 제2 화소 전극(PE2)으로부터 연장된 제1 돌출 전극(PRE1)과 접속될 수 있다. 즉, 제1 콘택 전극(CE1)은 제1 콘택홀(CNT1)에서 제1 TFT(T1)의 드레인 전극(DE1)과 접속되고, 제2 콘택홀(CNT2)에서 제1 돌출 전극(PRE1)과 접속된다. 제1 돌출 전극(PRE1)의 길이는 제1 TFT(T1)의 드레인 전극(DE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제1 데이터 라인(D1)과 제2 게이트 라인(G2)의 교차부에 형성된 제2 TFT(T2)의 소스 전극(SE2)은 제2 데이터 라인(D2)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DE2)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인접한 제1 화소 전극(PE1)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TFT(T2)의 드레인 전극(DE2)은 제1 화소 전극(PE1)으로부터 연장된 제2 돌출 전극(PRE2)과 제4 콘택홀(CNT4)과 제5 콘택홀(CNT5)에 형성된 제2 콘택 전극(CE2)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즉, 제2 콘택 전극(CE2)은 제4 콘택홀(CNT4)에서 제2 TFT(T2)의 드레인 전극(DE2)과 접속되고, 제5 콘택홀(CNT5)에서 제2 돌출 전극(PRE2)과 접속된다. 이 경우, 제2 돌출 전극(PRE2)의 길이는 제1 돌출 전극(PRE1)의 길이보다 짧고, 제2 TFT(T2)의 드레인 전극(DE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제1 돌출 전극(PRE1)의 일부는 제1 TFT(T1)의 드레인 전극(DE1)의 일부와 중첩되고, 제2 돌출 전극(PRE2)의 일부는 제2 TFT(T2)의 드레인 전극(DE2)의 일부와 중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제1 돌출 전극(PRE1)은 제1 TFT(T1)의 드레인 전극(DE1)과 전혀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제2 돌출 전극(PRE2)은 제2 TFT(T2)의 드레인 전극(DE2)과 전혀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I-I'과 Ⅱ-Ⅱ'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하부 기판(SUB) 상에는 게이트 라인, 제1 TFT(T1)의 게이트 전극(GE1)의 상부층(GE1U), 제2 TFT(T2)의 게이트 전극(GE2)의 상부층(GE2U)을 포함하는 게이트 금속 패턴과, 제1 TFT(T1)의 게이트 전극(GE1)의 하부층(GE1B), 제2 TFT(T2)의 게이트 전극(GE2)의 하부층(GE2B), 화소 전극, 제1 돌출 전극(PRE1), 제2 돌출 전극(PRE2)을 포함하는 제1 투명전극 패턴이 형성된다. 즉, 제1 TFT(T1)의 게이트 전극(GE1)과 제2 TFT(T2)의 게이트 전극(GE2)은 제1 투명전극 패턴의 하부층(GE1B)과 게이트 금속 패턴의 상부층(GE1U)의 이중층 구조로 형성된다.
게이트 금속 패턴, 및 제1 투명전극 패턴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GI)이 하부 기판(SUB)의 전면(全面)에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막(GI) 상에는 반도체 패턴(SEM)이 형성되고, 반도체 패턴 상에는 데이터 라인, 제1 TFT(T1)의 소스 전극(SE1)과 드레인 전극(DE1), 제2 TFT(T2)의 소스 전극(SE2)과 드레인 전극(DE2), 및 공통전압 라인(VcomL)을 포함하는 소스/드레인 금속 패턴이 형성된다.
소스/드레인 금속 패턴을 덮는 보호막(PAS)이 하부 기판(SUB)의 전면(全面)에 형성된다. 보호막(PAS)을 형성한 후, 보호막(PAS)을 관통하여 제1 TFT(T1)의 드레인 전극(DE1)을 노출시키는 제1 콘택홀(CNT1), 게이트 절연막(GI)과 보호막(PAS)을 관통하여 제1 돌출 전극(PRE1)을 노출시키는 제2 콘택홀(CNT2), 보호막(PAS)을 관통하여 공통전압 라인(VcomL)을 노출시키는 제3 콘택홀(CNT3)을 형성한다. 또한, 보호막(PAS)을 관통하여 제2 TFT(T2)의 드레인 전극(DE2)을 노출시키는 제4 콘택홀(CNT4), 게이트 절연막(GI)과 보호막(PAS)을 관통하여 제2 돌출 전극(PRE2)을 노출시키는 제5 콘택홀(CNT5)을 형성한다.
콘택홀들을 형성한 후, 공통전극(VcomE), 제1 콘택 전극(CE1), 제2 콘택 전극(CE2)을 포함하는 제2 투명전극패턴을 형성한다. 공통전극(VcomE)은 제3 콘택홀(CNT3)을 통해 공통전압 라인(VcomL)과 접속된다. 제1 콘택 전극(CE1)은 제1 콘택홀(CNT1)을 통해 제1 TFT(T1)의 드레인 전극(DE1)과 접속되며, 제2 콘택홀(CNT2)을 통해 제1 돌출 전극(PRE1)과 접속된다. 즉, 제1 콘택 전극(CE1)은 제1 TFT(T1)의 드레인 전극(DE1)과 제1 돌출 전극(PRE1)을 접속시킨다. 또한, 제2 콘택 전극(CE2)은 제4 콘택홀(CNT4)을 통해 제2 TFT(T2)의 드레인 전극(DE2)과 접속되며, 제5 콘택홀(CNT5)을 통해 제2 돌출 전극(PRE2)과 접속된다. 즉, 제2 콘택 전극(CE2)은 제2 TFT(T2)의 드레인 전극(DE2)과 제2 돌출 전극(PRE2)을 접속시킨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의 제1 화소 전극(PE1)을 포함하는 제1 서브 픽셀과 제2 화소 전극(PE2)을 포함하는 제2 서브 픽셀만을 예시하였다. 하지만, 도 2의 제7 화소 전극(PE7)을 포함하는 제7 서브 픽셀과 제8 화소 전극(PE8)을 포함하는 제8 서브 픽셀은 화소 전극들과 접속되는 TFT들, 제1 돌출 전극(PRE1), 및 제2 돌출 전극(PRE2)의 형성 위치만이 다를 뿐,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7 화소 전극(PE7)과 접속되는 제7 TFT(T7)의 접속 구성은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 게이트 라인(Gk)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로서, 소스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인접하지 않은 화소 전극, 즉 제j-1 데이터 라인(Dj-1)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Dj+1)에 인접한 화소 전극에 접속되는 TFT로 예시된 도 2의 제1 TFT(T1)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8 화소 전극(PE8)과 접속되는 제8 TFT(T8)의 접속 구성은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1 게이트 라인(Gk-1) 또는 제k+1 게이트 라인(Gk+1)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로서, 소스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인접한 화소 전극에 접속되는 TFT로 예시된 도 2의 제2 TFT(T2)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소 전극을 게이트 금속 패턴과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하므로, 화소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돌출 전극을 이용하여 화소 전극과 TFT의 드레인 전극을 접속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공통전압 라인을 데이터 라인과 나란하게 인접한 화소 전극들 사이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통전압 라인으로 인한 개구부 감소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소 어레이의 서브 픽셀들을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6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화소 어레이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들 중 일부와 게이트 라인들 중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즉, 도 6에는 제1 내지 제4 데이터 라인들(D1, D2, D3, D4)과 그들에 교차되는 제1 내지 제4 게이트 라인들(G1, G2, G3, G4)이 나타나 있다. 도 6의 게이트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및 공통전압 라인(VcomL)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화소 전극들 각각은 TFT에 접속되어 데이터 라인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을 공급받는다. 구체적으로,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 게이트 라인(Gk)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의 소스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인접하지 않은 화소 전극, 즉 제j-1 데이터 라인(Dj-1)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Dj+1)에 인접한 화소 전극에 접속된다. 이에 비해,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1 게이트 라인(Gk-1) 또는 제k+1 게이트 라인(Gk+1)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의 소스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인접한 화소 전극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제1 데이터 라인(D1)과 제2 게이트 라인(G2)의 교차부에 형성된 제2 TFT(T2)의 소스 전극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인접하지 않고 제2 데이터 라인(D2)에 인접한 제2 화소 전극(PE2)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제1 데이터 라인(D1)과 제1 게이트 라인(G1)의 교차부에 형성된 제1 TFT(T1)의 소스 전극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인접한 제1 화소 전극(PE1)에 접속될 수 있다.
특히,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 게이트 라인(Gk)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와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1 게이트 라인(Gk-1) 또는 제k+1 게이트 라인(Gk+1)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의 접속 구조에 대하여는 도 4를 결부하여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다. 도 6에 도시된 화소 어레이는 화소 전극들과 접속되는 TFT들, 제1 돌출 전극(PRE1), 및 제2 돌출 전극(PRE2)의 형성 위치만이 다를 뿐,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수평 라인에서 제j 데이터 라인(Dj)에 인접한 화소 전극들 중 어느 하나만 제j 데이터 라인(Dj)에 접속되고, 나머지 하나의 화소 전극은 제j-1 데이터 라인(Dj-1)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Dj+1)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제2 데이터 라인(D2)에 인접한 제2 화소 전극(PE2)과 제3 화소 전극(PE3) 중 제3 화소 전극(PE3)만 제2 데이터 라인(D2)에 접속되고, 제2 화소 전극(PE2)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제3 데이터 라인(D3)에 인접한 제10 화소 전극(PE10)과 제11 화소 전극(PE11) 중 제10 화소 전극(PE10)만 제3 데이터 라인(D3)에 접속되고, 제11 화소 전극(PE11)은 제4 데이터 라인(D4)에 접속될 수 있다.
나아가,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j-1 데이터 라인(Dj-1)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Dj+1) 사이의 화소 전극들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만 접속되거나 제j-1 데이터 라인(Dj-1)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Dj+1)에만 접속된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제1 데이터 라인(D1)과 제2 데이터 라인(D2) 사이의 제1 화소 전극(PE1)과 제2 화소 전극(PE2)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만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제1 데이터 라인(D1)과 제2 데이터 라인(D2) 사이의 제7 화소 전극(PE7)과 제8 화소 전극(PE8)은 제2 데이터 라인(D2)에만 접속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소 어레이의 서브 픽셀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압들과 게이트 신호들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화소 어레이의 서브 픽셀들은 화소 전극들의 충전 순서가 상이할 뿐, 구체적인 구동 방법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소스 드라이브 IC(12)는 컬럼 인버전 방식으로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함에도, 액정표시패널(10)의 화소 어레이의 화소 전극들은 수평 2 도트 인버전과 수직 1 도트 인버전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구동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컬럼 인버전 방식으로 소스 드라이브 IC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소비전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액정의 직류화 잔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도 6에서 제3, 제4, 제7, 제8 화소 전극들(PE3, PE4, PE7, PE8)은 제3 화소 전극(PE3), 제4 화소 전극(PE4), 제8 화소 전극(PE8), 제7 화소 전극(PE7) 순서로 데이터 전압들을 충전한다. 제5, 제6, 제9, 제10 화소 전극들(PE5, PE6, PE9, PE10)은 제5 화소 전극(PE5), 제6 화소 전극(PE6), 제10 화소 전극(PE10), 제9 화소 전극(PE9) 순서로 데이터 전압들을 충전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E-인버전" 기술에서 발생하였던 청색 얼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화소 어레이의 서브 픽셀들을 보여주는 예시도면이다. 도 7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화소 어레이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들 중 일부와 게이트 라인들 중 일부만을 도시하였다. 즉, 도 7에는 제1 내지 제4 데이터 라인들(D1, D2, D3, D4)과 그들에 교차되는 제1 내지 제4 게이트 라인들(G1, G2, G3, G4)이 나타나 있다. 도 7의 게이트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및 공통전압 라인(VcomL)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화소 전극들 각각은 TFT에 접속되어 데이터 라인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을 공급받는다. 구체적으로,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 게이트 라인(Gk)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의 소스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인접하지 않은 화소 전극, 즉 제j-1 데이터 라인(Dj-1)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Dj+1)에 인접한 화소 전극에 접속된다. 이에 비해,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1 게이트 라인(Gk-1) 또는 제k+1 게이트 라인(Gk+1)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의 소스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 인접한 화소 전극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제1 데이터 라인(D1)과 제1 게이트 라인(G1)의 교차부에 형성된 제2 TFT(T2)의 소스 전극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인접하지 않고 제2 데이터 라인(D2)에 인접한 제2 화소 전극(PE2)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제1 데이터 라인(D1)과 제2 게이트 라인(G2)의 교차부에 형성된 제1 TFT(T1)의 소스 전극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접속되고, 드레인 전극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인접한 제1 화소 전극(PE1)에 접속될 수 있다.
특히,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 게이트 라인(Gk)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와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k-1 게이트 라인(Gk-1) 또는 제k+1 게이트 라인(Gk+1)의 교차부에 형성된 TFT의 접속 구조에 대하여는 도 4를 결부하여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다. 도 7에 도시된 화소 어레이는 화소 전극들과 접속되는 TFT들, 제1 돌출 전극(PRE1), 및 제2 돌출 전극(PRE2)의 형성 위치만이 다를 뿐,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수평 라인에서 제j 데이터 라인(Dj)에 인접한 화소 전극들 중 어느 하나만 제j 데이터 라인(Dj)에 접속되고, 나머지 하나의 화소 전극은 제j-1 데이터 라인(Dj-1)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Dj+1)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제2 데이터 라인(D2)에 인접한 제2 화소 전극(PE2)과 제3 화소 전극(PE3) 중 제3 화소 전극(PE3)만 제2 데이터 라인(D2)에 접속되고, 제2 화소 전극(PE2)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제3 데이터 라인(D3)에 인접한 제10 화소 전극(PE10)과 제11 화소 전극(PE11) 중 제10 화소 전극(PE10)만 제3 데이터 라인(D3)에 접속되고, 제11 화소 전극(PE11)은 제4 데이터 라인(D4)에 접속될 수 있다.
나아가, 제j 데이터 라인(Dj)과 제j-1 데이터 라인(Dj-1)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Dj+1) 사이의 화소 전극들은 제j 데이터 라인(Dj)에만 접속되거나 제j-1 데이터 라인(Dj-1)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Dj+1)에만 접속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제1 데이터 라인(D1)과 제2 데이터 라인(D2) 사이의 제1 화소 전극(PE1)과 제2 화소 전극(PE2)은 제1 데이터 라인(D1)에만 접속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제1 데이터 라인(D1)과 제2 데이터 라인(D2) 사이의 제7 화소 전극(PE7)과 제8 화소 전극(PE8)은 제2 데이터 라인(D2)에만 접속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화소 어레이의 서브 픽셀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압들과 게이트 신호들이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화소 어레이의 서브 픽셀들은 화소 전극들의 충전 순서가 상이할 뿐, 구체적인 구동 방법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소스 드라이브 IC(12)는 컬럼 인버전 방식으로 데이터 라인들에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함에도, 액정표시패널(10)의 화소 어레이의 화소 전극들은 수평 2 도트 인버전과 수직 1 도트 인버전을 동시에 만족하도록 구동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컬럼 인버전 방식으로 소스 드라이브 IC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소비전력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액정의 직류화 잔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도 7에서 제3, 제4, 제7, 제8 화소 전극들(PE3, PE4, PE7, PE8)은 제4 화소 전극(PE4), 제3 화소 전극(PE3), 제7 화소 전극(PE7), 제8 화소 전극(PE8) 순서로 데이터 전압들을 충전한다. 제5, 제6, 제9, 제10 화소 전극들(PE5, PE6, PE9, PE10)은 제6 화소 전극(PE6), 제5 화소 전극(PE5), 제9 화소 전극(PE9), 제10 화소 전극(PE10) 순서로 데이터 전압들을 충전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E-인버전" 기술에서 발생하였던 청색 얼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제1 내지 제4 마스크 공정에 따른 I-I'과 Ⅱ-Ⅱ'의 단면도들이다. 이하에서, 도 8 및 도 9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첫 번째로, 하부 기판(SUB) 상에는 게이트 라인, 제1 TFT(T1)의 게이트 전극(GE1)의 상부층(GE1U), 제2 TFT(T2)의 게이트 전극(GE2)의 상부층(GE2U)을 포함하는 게이트 금속 패턴과, 제1 TFT(T1)의 게이트 전극(GE1)의 하부층(GE1B), 제2 TFT(T2)의 게이트 전극(GE2)의 하부층(GE2B), 화소 전극(PE2), 제1 돌출 전극(PRE1), 제2 돌출 전극(PRE2)을 포함하는 제1 투명전극 패턴을 제1 마스크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게이트 금속 패턴은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합금 등의 불투명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투명전극 패턴은 ITO 또는 IZO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스크 공정은 도 10a 내지 10f를 결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S101)
두 번째로, 게이트 금속 패턴, 및 제1 투명전극 패턴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GI)을 하부 기판(SUB)의 전면(全面)에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게이트 절연막(GI) 상에는 반도체층(SEM)과, 데이터 라인, 제1 TFT(T1)의 소스 전극(SE1)과 드레인 전극(DE1), 제2 TFT(T2)의 소스 전극(SE2)과 드레인 전극(DE2), 및 공통전압 라인(VcomL)을 포함하는 소스/드레인 금속 패턴을 제2 마스크 공정으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반도체층과 소스/드레인 금속층을 증착한 후, 제2 마스크 공정으로 반도체 패턴(SEM)과, 데이터 라인, 제1 TFT(T1)의 소스 전극(SE1)과 드레인 전극(DE1), 제2 TFT(T2)의 소스 전극(SE2)과 드레인 전극(DE2), 및 공통전압 라인(VcomL)을 포함하는 소스/드레인 금속 패턴을 형성한다. 반도체 패턴(SEM)과 소스/드레인 금속 패턴을 한 번의 마스크 공정으로 형성하기 위해, 제2 마스크 공정은 하프톤 마스크 공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스/드레인 금속 패턴은 몰리브덴(Mo) 등의 불투명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S102)
세 번째로, 반도체 패턴(SEM)과 소스/드레인 금속 패턴을 덮는 보호막(PAS)을 하부 기판(SUB)의 전면(全面)에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보호막(PAS)을 관통하여 제1 TFT(T1)의 드레인 전극(DE1)을 노출시키는 제1 콘택홀(CNT1), 게이트 절연막(GI)과 보호막(PAS)을 관통하여 제1 돌출 전극(PRE1)을 노출시키는 제2 콘택홀(CNT2), 보호막(PAS)을 관통하여 공통전압 라인(VcomL)을 노출시키는 제3 콘택홀(CNT3), 보호막(PAS)을 관통하여 제2 TFT(T2)의 드레인 전극(DE2)을 노출시키는 제4 콘택홀(CNT4), 게이트 절연막(GI)과 보호막(PAS)을 관통하여 제2 돌출 전극(PRE2)을 노출시키는 제5 콘택홀(CNT5)을 제3 마스크 공정으로 형성한다. 즉, 제1 콘택홀(CNT1), 제3 콘택홀(CNT3), 및 제4 콘택홀(CNT4)은 보호막(PAS)을 관통하도록 형성하고, 제2 콘택홀(CNT2)과 제5 콘택홀(CNT5)은 게이트 절연막(GI)과 보호막(PAS)을 관통하도록 형성한다. (S103)
네 번째로, 보호막(PAS) 상에는 공통전극(VcomE), 제1 콘택 전극(CE1), 및 제2 콘택 전극(CE2)을 포함하는 제2 투명전극패턴을 제4 마스크 공정으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제2 투명전극층을 보호막(PAS) 상의 전면(全面)에 증착한 후, 제4 마스크 공정으로 공통전극(VcomE), 제1 콘택 전극(CE1), 및 제2 콘택 전극(CE2)을 포함하는 제2 투명전극 패턴을 형성한다. 제2 투명전극 패턴은 ITO 또는 IZO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통전극(VcomE)은 제3 콘택홀(CNT3)을 통해 공통전압 라인(VcomL)과 접속되고, 제1 콘택 전극(CE1)은 제1 콘택홀(CNT1)을 통해 제1 TFT(T1)의 드레인 전극(DE1)과 접속되며, 제2 콘택홀(CNT2)을 통해 제1 돌출 전극(PRE1)과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 콘택 전극(CE2)은 제4 콘택홀(CNT4)을 통해 제2 TFT(T2)의 드레인 전극(DE2)과 접속되며, 제5 콘택홀(CNT5)을 통해 제2 돌출 전극(PRE2)과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S104)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소 전극과 돌출 전극을 게이트 금속 패턴과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하므로, 화소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돌출 전극을 이용하여 화소 전극과 TFT의 드레인 전극을 접속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공통전압 라인을 데이터 라인과 나란하게 인접한 화소 전극들 사이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통전압 라인으로 인한 개구율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게이트 라인과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게이트 금속 패턴과 화소 전극과 그로부터 연장된 돌출 전극을 포함하는 투명전극패턴을 하나의 마스크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0은 제1 마스크 공정을 상세히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f는 제1 마스크 공정을 상세히 보여주는 I-I'의 단면도들이다. 이하에서, 도 11a 내지 도 11f를 참조하여 제1 마스크 공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첫 번째로, 도 11a와 같이 하부 기판(SUB) 상에 제1 투명전극층(201)을 증착한다. 제1 투명전극층(201)은 ITO(Indum Tin Oxide) 또는 IZO(Indum Zinc Oxi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제1 투명전극층(201) 상에 게이트 금속층(202)을 증착한다. 게이트 금속층(202)은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합금 등의 불투명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S201)
두 번째로, 도 11b와 같이 하프톤(half tone) 마스크를 이용하여 포토 레지스트(photo resist) 패턴(PR1, PR2)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금속층(202) 상에 포토 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하프톤 마스크(HMASK)를 이용하여 노광(exposure) 및 현상(develop)을 수행한다. 하프톤 마스크(HMASK)는 입사되는 광의 투과를 완전히 차단하는 차광층(BL),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제1 투과층(TL1), 제1 투과층(TL1)보다 입사되는 광을 적게 투과시키는 제2 투과층(TL2)을 포함한다. 빛을 받는 경우 노광되어 현상되는 포지티브형(positive type)의 포토 레지스터 패턴(PR)이 사용되는 경우, 도 11b와 같이 하프톤 마스크(HMASK)의 차광층(BL)이 게이트 금속 패턴이 형성될 영역에 형성되고, 제1 투과층(TL1)이 게이트 금속 패턴과 제1 투명전극 패턴이 형성되지 않을 영역에 형성되며, 제2 투과층(TL2)이 제1 투명전극 패턴이 형성될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프톤 마스크(HMASK)를 이용하여 노광 및 현상을 수행하는 경우, 제1 투명전극 패턴이 형성될 영역에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PR1)이 형성되고, 게이트 금속 패턴이 형성될 영역에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PR1)보다 두꺼운 두께의 포토 레지스트 패턴(PR2)이 형성된다. 한편, 네거티브형(negative type)의 포토 레지스트 패턴(PR)이 사용되는 경우, 하프톤 마스크(HMASK)는 차광층(BL)이 게이트 금속 패턴과 제1 투명전극 패턴이 형성되지 않을 영역에 형성되고, 제1 투과층(TL1)이 게이트 금속 패턴이 형성될 영역에 형성되며, 제2 투과층(TL2)이 제1 투명전극 패턴이 형성될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S202)
세 번째로, 도 11c와 같이 제1 투명전극층(201)과 게이트 금속층(202)을 동시에 식각할 수 있는 식각물질을 이용한 제1 식각 공정을 통해 제1 및 제2 포토레지스트 패턴(PR1, PR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식각한다. 식각물질은 ITO 또는 IZO 등으로 구현되는 제1 투명전극층(201)과 구리(Cu),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합금 등으로 구현된 게이트 금속층(202)을 모두 식각할 수 있는 물질로 구현되어야 한다. (S203)
네 번째로, 도 11d와 같이 제1 애싱(ashing) 공정을 통해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PR1)의 두께만큼의 제1 및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PR1, PR2)을 제거한다. (S204)
다섯 번째로, 도 11e와 같이 제2 식각 공정을 통해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PR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식각한다. 따라서, 제1 투명전극층(201) 상의 게이트 금속층(202)이 식각될 수 있다. (S205)
여섯 번째로, 도 11f와 같이 제2 애싱 공정을 통해 남아있는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PR2)을 제거한다. 그 결과, 화소 전극(PE2)과 제1 투명전극 패턴(211)과 게이트 금속 패턴(212)이 완성된다. (S206)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액정표시패널 11: 타이밍 콘트롤러
12: 소스 드라이브 집적회로 13: 게이트 구동회로

Claims (17)

  1. 데이터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교차되는 게이트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 사이에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공통전압 라인들, 상기 데이터 라인들, 상기 게이트 라인들, 및 상기 공통전압 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들,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게이트 라인들의 교차부들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고,
    제j(j는 2 이상의 자연수) 데이터 라인과 제k(k는 2 이상의 자연수) 게이트 라인의 교차부에 형성된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k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상기 제j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제j-1 데이터 라인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에 인접하는 화소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제1 돌출 전극과 제1 콘택 전극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j 데이터 라인과 제k-1 게이트 라인 또는 제k+1 게이트 라인의 교차부에 형성된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k-1 게이트 라인 또는 상기 제k+1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상기 제j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j 데이터 라인에 인접하는 화소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제2 돌출 전극과 제2 콘택 전극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전극은 상기 제2 돌출 전극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압 라인은 인접한 화소 전극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전극, 상기 제2 돌출 전극, 및 상기 화소 전극들은 상기 게이트 라인,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평면상에 동일한 투명 금속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전극의 일부는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의 일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2 돌출 전극의 일부는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의 일부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상기 게이트 라인,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돌출 전극, 상기 제2 돌출 전극, 및 상기 화소 전극들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된 상기 데이터 라인, 상기 공통전압 라인,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반도체 패턴, 및 드레인 전극을 덮는 보호막;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1 콘택홀;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돌출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2 콘택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콘택 전극은 상기 제1 콘택홀과 상기 제2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 전극과 상기 제1 돌출 전극을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패널은,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공통전압 라인을 노출시키는 제3 콘택홀;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4 콘택홀;
    상기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돌출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5 콘택홀; 및
    상기 보호막 상에서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되는 공통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통전압 라인은 상기 제3 콘택홀을 통해 상기 공통전극과 접속되며,
    상기 제2 콘택 전극은 상기 제4 콘택홀과 상기 제5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 전극과 상기 제2 돌출 전극을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라인,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제1 불투명 금속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상기 데이터 라인, 및 상기 공통전압 라인은 제2 불투명 금속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 전극, 상기 제2 돌출 전극, 상기 화소 전극들, 상기 제1 콘택 전극, 상기 제2 콘택 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은 동일한 투명 금속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j 데이터 라인에는 제1 극성의 데이터 전압들이 인가되고, 상기 제j-1 데이터 라인 또는 상기 제j+1 데이터 라인에는 제2 극성의 데이터 전압들이 인가되고,
    동일한 수평 라인에서 상기 제j 데이터 라인에 인접한 화소 전극들 중 어느 하나만 상기 제j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제j-1 데이터 라인 또는 상기 제j+1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제j 데이터 라인과 상기 제j-1 데이터 라인 또는 상기 제j+1 데이터 라인 사이에 배치된 화소 전극들은 상기 제j 데이터 라인에만 접속되거나 상기 제j-1 데이터 라인 또는 상기 제j+1 데이터 라인에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하부 기판 상에 게이트 라인,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의 상부층을 포함하는 게이트 금속패턴과, 화소 전극들, 제1 돌출 전극, 제2 돌출 전극,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의 하부층을 포함하는 제1 투명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게이트 금속패턴과 상기 제1 투명전극패턴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반도체 패턴, 데이터 라인, 및 공통전압 라인, 및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소스/드레인 금속패턴을 형성하는 제2 단계;
    상기 소스/드레인 금속패턴을 덮는 보호막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1 콘택홀,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돌출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2 콘택홀,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공통전압 라인을 노출시키는 제3 콘택홀,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4 콘택홀, 상기 보호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돌출 전극을 노출시키는 제5 콘택홀을 형성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제1 콘택홀과 상기 제2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상기 제1 돌출 전극을 접속시키는 제1 콘택 전극과, 상기 제3 콘택홀을 통해 공통전압 라인과 공통전극을 접속시키는 공통전극, 및 상기 제4 콘택홀과 상기 제5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상기 제2 돌출 전극을 접속시키는 제2 콘택 전극을 포함하는 제2 투명전극패턴을 형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는 제j(j는 2 이상의 자연수) 데이터 라인과 제k(k는 2 이상의 자연수) 게이트 라인의 교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k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상기 제j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제j-1 데이터 라인 또는 제j+1 데이터 라인에 인접하는 화소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제1 돌출 전극과 상기 제1 콘택 전극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j 데이터 라인과 제k-1 게이트 라인 또는 제k+1 게이트 라인의 교차부에 형성된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k-1 게이트 라인 또는 상기 제k+1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상기 제j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j 데이터 라인에 인접하는 화소 전극으로부터 연장된 제2 돌출 전극과 제2 콘택 전극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전극은 상기 제2 돌출 전극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압 라인은 인접한 화소 전극들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 전극의 일부는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의 일부와 중첩되고, 상기 제2 돌출 전극의 일부는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의 일부와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하부 기판 상에 제1 투명전극층을 증착하고, 상기 제1 투명전극층상에 게이트 금속층을 증착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금속층에 포토 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해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보다 두꺼운 두께의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들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상기 제1 투명전극층과 상기 게이트 금속층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만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상기 게이트 금속층만을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금속층에 포토 레지스트층을 형성하고,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해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보다 두꺼운 두께의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투명전극 패턴이 형성될 영역에 상기 제1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금속 패턴이 형성될 영역에 상기 제2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20132850A 2012-11-22 2012-11-22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KR102009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850A KR102009319B1 (ko) 2012-11-22 2012-11-22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850A KR102009319B1 (ko) 2012-11-22 2012-11-22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865A true KR20140065865A (ko) 2014-05-30
KR102009319B1 KR102009319B1 (ko) 2019-08-09

Family

ID=5089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850A KR102009319B1 (ko) 2012-11-22 2012-11-22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31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852A (ko) * 2014-07-04 2016-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25695A (ko) * 2014-08-27 2016-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rd 방식을 이용한 표시장치
KR20160033287A (ko) * 2014-09-17 2016-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KR20160042376A (ko) * 2014-10-08 2016-04-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78744A (ko) * 2014-12-24 2016-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70080273A (ko) * 2015-12-31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80046417A (ko) * 2016-10-27 2018-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내장형 액정 표시장치
KR20210064430A (ko) * 2017-03-17 2021-06-02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어레이 기판,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20220093093A (ko) * 2020-09-27 2022-07-05 에이치케이씨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화소 구조, 어레이 기판 및 표시 패널
US11402711B2 (en) * 2019-07-16 2022-08-02 Fuzho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array substra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542A (ko) * 2004-04-29 2005-1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103158A (ko) * 2006-04-18 2007-10-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121122A (ko) * 2006-06-21 2007-12-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122077A (ko) * 2008-05-23 2009-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4542A (ko) * 2004-04-29 2005-1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103158A (ko) * 2006-04-18 2007-10-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121122A (ko) * 2006-06-21 2007-12-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90122077A (ko) * 2008-05-23 2009-11-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4852A (ko) * 2014-07-04 2016-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25695A (ko) * 2014-08-27 2016-03-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rd 방식을 이용한 표시장치
KR20160033287A (ko) * 2014-09-17 2016-03-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KR20160042376A (ko) * 2014-10-08 2016-04-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60078744A (ko) * 2014-12-24 2016-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게이트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20170080273A (ko) * 2015-12-31 2017-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80046417A (ko) * 2016-10-27 2018-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내장형 액정 표시장치
KR20210064430A (ko) * 2017-03-17 2021-06-02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어레이 기판, 어레이 기판의 제조 방법,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US11296123B2 (en) 2017-03-17 2022-04-05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rray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11402711B2 (en) * 2019-07-16 2022-08-02 Fuzho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array substrate
EP4002004B1 (en) * 2019-07-16 2024-02-2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rray substrate
KR20220093093A (ko) * 2020-09-27 2022-07-05 에이치케이씨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화소 구조, 어레이 기판 및 표시 패널
EP4016177A4 (en) * 2020-09-27 2023-08-30 HKC Corporation Limited PIXEL STRUCTURE, NETWORK SUBSTRATE AND DISPLAY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319B1 (ko)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319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제조방법
US11320701B2 (en) Active matrix substr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KR101325325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 방법
CN106932979B (zh) 阵列基板和包括其的显示装置
JP5024110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01950107A (zh) 液晶显示器
KR102020938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28066B1 (ko) 표시장치
US820809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319316B2 (en) Electro-optical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scanning lines
KR20110107659A (ko) 액정표시장치
US1100975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14002893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880623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076841B1 (ko) 보조 공통 배선을 구비한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KR20150001430A (ko)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10217527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043849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54287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42043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30110579A (ko)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090195722A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40142521A (ko)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JP2010097067A (ja) 表示装置
KR20120000375A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과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