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675A -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o digital information display in stor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o digital information display in st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675A
KR20140065675A KR1020120131417A KR20120131417A KR20140065675A KR 20140065675 A KR20140065675 A KR 20140065675A KR 1020120131417 A KR1020120131417 A KR 1020120131417A KR 20120131417 A KR20120131417 A KR 20120131417A KR 20140065675 A KR20140065675 A KR 20140065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umer
product
display devic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재명
Original Assignee
(주)리테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테일테크 filed Critical (주)리테일테크
Priority to KR1020120131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5675A/en
Publication of KR20140065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67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sche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47Characters composed of bars, e.g. CMC-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by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 a store. The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comprises a database for storing product schedule data including a consumer characteristic and product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sumer characteristic; and a product schedule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tored product schedule data to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 a store, wherein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 a store can display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the consumer characteristic of a consumer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transmitted product schedule data.

Description

매장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로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O DIGITAL INFORMATION DISPLAY IN STOR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o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of a store,

본 발명은 매장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품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엑세스 포인트 기능이 내장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에 위치하는 소비자의 연령대 등의 특성을 확인하여, 선호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rchandise information to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 a sto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rchandise information in a store by using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having an access point function, And to display the product information on the preferred product.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장치는 기업 광고 또는 홍보를 위해 설치, 운용하는 옥내외용 디스플레이로서, 전광판을 통한 광고 활성화와 병원, 쇼핑 몰, 호텔 등에서 홍보용 수요 증가로 새로운 시장으로 뜨고 있다.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is an indoor / outdoor display that is installed and operated for corporate advertisement or publicity. It is becoming a new market due to the promotion of advertisement through electronic signboards and the increase in demand for publicity in hospitals, shopping malls and hotels.

액정 표시 장치(LCD) 패널 등을 사용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개발비가 발광 다이오드(LED) 광고판의 30% 수준밖에 안 되는데다 PC, 네트워크 등과 연동도 자유로워 급속히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광고판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The development cost of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ing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is only about 30% of the billboard of the LED, and i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PC, network, etc., so that it will replace the billboard which uses the light emitting diode rapidly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소비자 특성 및 상기 소비자 특성에 대응되는 상품 표시 정보가 포함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저장된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에 대한 소비자 특성과, 상기 전송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for storing product schedule data including a consumer characteristic and product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sumer characteristic, and a database for transmitting the stored product schedule data to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may display the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of the customer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roduct schedule data transmit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에 대한 소비자 특성을 확인하는 소비자 특성 확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sumer characteristic verifying unit for confirming a consumer characteristic of the consumer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비자 특성 확인부는, 상기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와, 상기 소비자 특성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수집된 소비자 특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consumer characteristic verif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onsumer and stores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n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at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collected current location. And can provide collected consu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전송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참고하여, 상기 제공되는 소비자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consu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by referring to the transmitted product schedule dat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비자 특성 확인부는,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강도에 따라서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The consumer characteristic verif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dentify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onsumer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radio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비자 특성 확인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집하는 QR(Quick Response) 코드, 바코드, 지그비(Zigbee), RFID, 블루투스, direct wi-fi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코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The consumer characteristic verif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QR (Quick Response) code, a bar code, a Zigbee, an RFID, a Bluetooth, a direct wi-fi and an NFC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identifi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 스케줄 데이터 전송부는,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현재 위치에서의 할인 상품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e merchandise schedule data transmiss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discount merchandise information at the current loc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customer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표시 내역을 수집하는 상품정보 표시 내역 수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erchandise information display history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display details of the merchandise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방법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소비자 특성 및 상기 소비자 특성에 대응되는 상품 표시 정보가 포함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품 스케줄 데이터 전송부에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저장된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에 대한 소비자 특성과, 상기 전송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storing, in a database, product schedule data including a consumer characteristic and product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sumer characteristic; And transmitting the stored merchandise schedule data to the device, wherein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n display merchandise information based on the customer characteristics for the customer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merchandise schedule data transmitted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방법은 소비자 특성 확인부에서, 상기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에 대한 소비자 특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onfirming a consumer characteristic of a consumer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consumer characteristic checking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비자 특성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와, 상기 소비자 특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수집된 소비자 특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ecking of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collecting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onsumer, And providing the collected consu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비자 특성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강도에 따라서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ecking of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identify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onsumer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radio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현재 위치에서의 할인 상품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erchandise schedul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ransmitting the discounted merchandise information at the current posi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ustomer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방법은 상품정보 표시 내역 확인부에서,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표시 내역을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merchandis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collecting the display details of the merchandise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 the merchandise information display history confirmation unit.

도 1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소비자 특성이 반영된 상품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20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과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간에 상품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상품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상품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매대 AP 리스트를 등록하고, 모바일 환경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매대 AP를 스캔하는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콘텐츠를 수신하는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모바일 환경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100 for controlling product information reflecting consumer characteristics in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between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goods information between a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goods information between a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registering a store AP list and scanning a store AP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for receiving cont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for displaying contents in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displaying cont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inologies used herein are terms used to properly represen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 of the operator, or the practice of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소비자 특성이 반영된 상품정보를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100)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100 for controlling product information reflecting consumer characteristics to be displayed on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시스템(100)은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110),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 및 이동통신 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100 may include a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이 중에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110)은 서버 측에 위치하고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 및 이동통신 단말기(130)는 매장 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may be located on the server side, and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may be located on the store side.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매장 내에서 선정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채소 매대에 장착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1), 공산품 매대에 장착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2), 식음료 매대에 장착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3)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can b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 a store, for example,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1 mounted on a vegetable store,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2 mounted on a commercial product store, And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3 mounted on the floor.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엑세스 포인트가 내장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고, 따라서 인접한 이동통신 단말기나 인접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의 와이파이(WIFI) 통신이 가능하다.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having an access point built therein, and thus can perform WIFI communication with an adja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n adjacent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이동통신 단말기(130)는 매장 내에 위치하는 고객이 소지하는 통신 수단으로 해석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can be interpreted as a communication means possessed by a customer located in the store.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110)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연령층 별, 상품 별에 대한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110)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로 FTP(File Transfer Protocol)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can transmit merchandise schedule data for each age group and product using the Web service to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 At this time,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may transmit the image to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using FTP (File Transfer Protocol).

또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30)에 웹 서비스를 이용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may transmit the list of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using the web servi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액세스 포인트가 내장된 형태로 매대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stan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access point.

마찬가지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110)는 FTP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30)로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Similarly, 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can transmit image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using FTP.

다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30)는 복수의 엑세스 포인트들이 송출하는 무선 신호를 감지하여, 현재의 위치에서 가장 신호 강도가 강한 무선 신호에 대응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선택할 수 있다.Nex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senses a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and can select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corresponding to a radio signal having the strongest signal strength at a current position.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30)는 현재 접속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대한 정보와 함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110)에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may transmit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together with information on the currently connecte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110)는 수신되는 접속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대한 정보와, 식별 정보를 취합하여 Batch에 의해 분석할 수 있다.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may collect information on the connecte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nalyze the same by batch.

이에,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110)는 접속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소비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can confir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onsumer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onnecte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인접한 위치에 이동통신 단말기(130)의 소비자가 위치하였음을 확인하여, 소비자의 연령 또는 선호도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can display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the age or preference of the consumer by confirming that the consum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is located at an adjacent position.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30)는 현지 위치에서의 할인 상품을 화면 상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30)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110)으로부터 고객 정보를 이용하여 맞춤형 상품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may display a discounted product at a local location on the screen.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can receive and display the customized merchandise information using the customer information from 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소비자 이동 시, 이동통신 단말기(130)에서 다시 엑세스 포인트의 무선 신호들 중에서 가장 강한 무선 신호를 송출하는 엑세스 포인트가 내장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에 기초하여 주변에 위치하는 상품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30 can select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having an access point for transmitting the strongest radio signal among the radio signals of the access point again. In addition,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n display information on the products located in the vicinity based on the merchandise schedule data.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주기적으로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현재 주변의 가장 많은 소비자 연령층이 선호하는 상품 정보를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110)으로부터 확인하고, 해당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can periodically check the goods information of the most current consumer's surroundings in the vicinity using the web service from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and display the corresponding goods information.

예를 들어, 주류 코너에 위치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소비자들 중에서 2~30대 젊은 층의 소비자가 인접한 위치에 많이 있는 경우에 2~30대 젊은 층이 소비가 높은 수입 맥주에 대한 광고 등의 상품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located in the mainstream corner may be used to display advertisements for imported beer, which is used by young people in their 2nd to 30th generations,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표시했던 상품 정보에 대한 내역을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110)으로 반환할 수 있다.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may return the details of the displayed product information to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

예를 들어, 특정 시간대에 특정 소비자들이 몰려, 특정 상품 정보를 많이 표시하였다면 이러한 내역을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110)으로 반환하여 추후 상품 스케줄 데이터의 생성에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specific consumer is crowded in a specific time zone and displays a large amount of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the details may be returned to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and used for generating product schedule data.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20)는 주기적으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110)으로부터 현재 주변에 위치하는 소비자의 연령대를 수집하고,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갱신 받을 수 있다.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120 periodically collects the ages of the consumers located at the current surroundings from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110 and can update the product schedule data.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200)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데이터베이스(210), 상품 스케줄 데이터 전송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atabase 210 and a merchandise schedule data transmitting unit 220.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10)는 소비자 특성 및 상기 소비자 특성에 대응되는 상품 표시 정보가 포함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다.The database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store and maintain product schedule data including a consumer characteristic and product ind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sumer characteristic.

상품 스케줄 데이터는 시간 대 별로 표시할 상품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로 해석될 수 있고, 상품 정보는 상품에 대한 이미지, 상세 설명 등의 정보로 해석될 수 있다.The merchandise schedule data may be interpreted as data representing merchandis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for each time zone, and the merchandise information may be interpreted as information on images, detailed descriptions, and the like of the merchandise.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 스케줄 데이터 전송부(220)는 매장 측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저장된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The merchandise schedule data transmission unit 2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transmit the stored merchandise schedule data to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on the store side.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 스케줄 데이터 전송부(220)는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현재 위치에서의 할인 상품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The merchandise schedule data transmitt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transmit discount merchandise information at a current loc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customer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매장 측에 위치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에 대한 소비자 특성과, 상기 전송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located on the store side can display the merchandise information based on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of the customer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merchandise schedule data transmitted.

이를 위해,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200)는 소비자가 여러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에서 어떤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근처에 위치한지를 판단해야 한다.To this end, 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should determine which of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s the consumer is located near to which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일례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200)는 소비자가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소비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can receiv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rried by the consumer, and confir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onsumer.

이렇게 확인된 소비자의 현재 위치에 인접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인함으로써, 소비자가 여러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에서 어떤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근처에 위치했는지를 알 수 있다.By confirming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adjacen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hus identified consumer, it is possible to know which of the plurality of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s the consumer is located near to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다른 일례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200)는 소비자가 휴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여, 소비자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can receiv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rried by the consumer, and confir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onsumer.

이렇게 확인된 소비자의 현재 위치에 인접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인함으로써, 소비자가 여러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에서 어떤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근처에 위치했는지를 알 수 있다.By confirming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adjacent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thus identified consumer, it is possible to know which of the plurality of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s the consumer is located near to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이동통신 단말기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와이파이를 통해서 무선 통신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n wireless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Wi-Fi.

이를 위해,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엑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집되는 무선 신호들 중에서 수신 신호가 가장 센 무선 신호에 해당하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corporates the function of the access point,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identify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corresponding to the radio signal having the highest received signal among the collected wireless signals.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 신호가 가장 센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식별 정보를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200)으로 전송함으로써, 현재 위치를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알릴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notify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of the current position by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having the highest received signal to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

마찬가지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재 접속되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를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200)으로 전송함으로써, 현재 위치를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알릴 수도 있다.Similarly,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may transm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ly connec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thereby notifying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of the current location.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200)는 소비자 특성 확인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sumer characteristic verifying unit 230. [

소비자 특성 확인부(230)는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에 대한 소비자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The consumer characteristic verifying unit 230 can confirm the consumer characteristic of the consumer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소비자 특성이란, 소비자의 연령, 선호도, 및 성별 등에 대한 정보로 해석될 수 있다.Consumer characteristic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interpreted as information on the age, preference, and sex of consumers.

소비자 특성 확인부(230)는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와, 소비자 특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consumer characteristic verifying unit 230 can collect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onsumer.

이 경우, 소비자 특성 확인부(230)는 수집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매장 측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 수집된 소비자 특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sumer characteristic verifying unit 230 may provide the collected consu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on the store side corresponding to the collected current position.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집된 소비자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기수신된 상품 스케줄 데이터로부터 특정 상품 정보를 우선하여 표시할 수 있다.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n display the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in preference to the received product schedule data based on the collected consu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일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특성 확인부(230)는 매장 측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강도에 따라서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The consumer characteristic verifying unit 23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identify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onsumer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radio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on the store side.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특성 확인부(230)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집하는 QR(Quick Response) 코드, 바코드, 지그비(Zigbee), RFID, 블루투스, direct wi-fi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코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The consumer characteristic verifying unit 2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QR (Quick Response) code, a bar code, a Zigbee, an RFID, a Bluetooth, a direct wi-fi and an NFC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identifi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상품정보 표시 내역 수집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oods information display history collecting unit 240.

상품정보 표시 내역 수집부(240)는 매장 측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품정보에 대한 표시 내역을 수집할 수 있다.The product information display history collection unit 240 can collect display details of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on the store side.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했던 상품 정보에 대한 내역을 상품정보 표시 내역 수집부(240)로 반환할 수 있다.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n return the details of the displayed product information to the product information display history collection unit 240. [

예를 들어, 특정 시간대에 특정 소비자들이 몰려, 특정 상품 정보를 많이 표시하였다면 이러한 내역을 상품정보 표시 내역 수집부(240)로 반환하여 추후 상품 스케줄 데이터의 생성에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if a specific consumer is crowded at a specific time zone and displays a large amount of specific product information, the details may be returned to the product information display history collection unit 240 and used for generation of the product schedule data.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과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간에 상품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between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소비자 특성 및 상기 소비자 특성에 대응되는 상품 표시 정보가 포함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단계 301).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tore merchandise schedule data including merchandise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characteristics and the customer characteristics in the database (step 301).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상품 스케줄 데이터 전송부에서, 매장 측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저장된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302).Next,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the stored goods schedule data to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on the shop side in the goods schedule data transmitting unit (step 302).

매장 측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에 대한 소비자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단계 303).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on the store side can confirm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step 303).

소비자 특성이라 함은, 소비자의 연령, 선호도, 및 성별 등에 대한 정보로 해석될 수 있다.Consumer characteristics can be interpreted as information on the age, preference, and sex of the consumer.

또한, 매장 측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송되는 소비자 특성 및 상품 스케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품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매장 측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 정보들 중에서, 소비자 특성에 대응되는 상품 정보들을 우선하여 표시할 수 있다.Further,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on the store side can display the merchandise information based on the transmitted customer characteristics and merchandise schedule data. In other words,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on the store side can preferentially display the merchand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sumer characteristic from the merchandis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rchandise schedule data.

예를 들어, 매장 측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비자 특성으로서, 소비자의 연령대, 선호도, 성별 등을 고려하여 상품 스케줄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 정보들 중에서, 소비자 특성에 대응되는 상품 정보들을 우선하여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on the store side may preferentially display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sumer characteristic among the produ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oduct schedule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age range, preference, sex, etc. of the consumer as a consumer characteristic .

이를 위해,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소비자 특성 확인부를 통해, 상기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에 대한 소비자 특성을 확인하고, 확인된 소비자 특성을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ay confirm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of the customer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and transmit the confirmed customer characteristics to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through the customer characteristics checking unit.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상품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goods information between a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매대 AP(Access Point) 리스트와 상품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401).Referring to FIG. 4, 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 list of access point (AP) and merchandise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ep 401).

매대 AP(Access Point)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엑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기기로 해석될 수 있다.Each access point (AP) can be interpreted as a device including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an access point.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송되는 매대 AP 리스트를 이용하여, 주변의 매대 AP를 서치할 수 있다(단계 402).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search for a neighboring AP using the list of transferred APs (step 402).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의 위치에서 서치되는 매대 AP 중에서 무선 신호가 가장 센 매대 AP를 선택할 수 있다(단계 403).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select the highest AP of the radio signal among the APs to be searched at the current position (step 403).

이동통신 단말기는 선택된 매대 AP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함께, 자신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404).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transmit its ow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selected shop AP (step 404).

단말기 식별 정보는, 전화번호,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등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유식별 할 수 있는 정보로 해석될 수 있다.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nterpreted as information capable of uniquely identif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telephone number, an ESN (Electronic Serial Number),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방법은 단계 402 내지 단계 404에 대해서 선정된 횟수 동안 반복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good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peated for the selected number of times from step 402 to step 404.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되는 매대 AP 리스트를 이용하여, 주변의 매대 AP를 서치하고, 서치 중에 현재의 위치에서 서치되는 매대 AP 중에서 무선 신호가 가장 센 매대 AP를 선택하며, 선택된 매대 AP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함께, 자신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선정된 반복 회수 이하인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시 매대 AP 리스트를 이용하여, 주변의 매대 AP를 서치하는 과정부터 반복할 수 있다.For example, using the list of APs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search for the surrounding APs, select the highest AP among the APs to be searched at the current location during the search, Transmi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gain uses the list of APs to search for the neighboring APs, It can be repeated.

다음으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매대 AP에 대한 식별 정보와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확인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들 중에서 할인 상품을 확인할 수 있다(단계 405).Next,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AP and confirm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discounted commodity can be confirmed among the commodities displayed 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identifi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ep 405).

이동통신 단말기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확인된 할인 상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품 스케줄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 정보 중에서, 확인된 할인 상품에 대한 정보를 차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단계 406).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receive information on a discounted merchandise identified from 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wired / wireless network, and display the information on the confirmed discounted merchandise among the merchandis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rchandise schedule data Step 406).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상품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goods information between a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매대 AP(Access Point) 리스트와 상품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501).Referring to FIG. 5A, a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transmit a list of access point (AP) and product informa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ep 501).

이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송되는 매대 AP 리스트를 이용하여, 주변의 매대 AP를 서치할 수 있다(단계 502).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search for a neighboring AP by using the list of transferred APs (step 502).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의 위치에서 서치되는 매대 AP 중에서 무선 신호가 가장 센 매대 AP를 선택할 수 있다(단계 503).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select the highest AP of the radio signal among the APs to be searched at the current position (step 503).

이동통신 단말기는 선택된 매대 AP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함께, 자신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504).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transmit its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selected shop AP (step 504).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방법은 단계 502 내지 단계 504에 대해서 선정된 횟수 동안 반복할 수 있다.The method of providing good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steps 502 to 504. [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송되는 매대 AP 리스트를 이용하여 주변의 매대 AP를 서치하고, 서치 중에 현재의 위치에서 서치되는 매대 AP 중에서 무선 신호가 가장 센 매대 AP를 선택하며, 선택된 매대 AP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함께, 자신의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선정된 반복 회수 이하인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시 매대 AP 리스트를 이용하여, 주변의 매대 AP를 서치하는 과정부터 반복할 수 있다.For example, a mobile AP is searched for a neighboring AP using a list of mobile APs to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ransmitted, and a mobile station searching for the most radio signal among the mobile AP searched at a current location during a search is selecte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when the number of repetitions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repetition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peats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neighboring AP using the list of APs again can do.

다음으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수신된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단계 505).Next,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an confirm the customer information using the receiv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ep 505).

고객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가입된 가입자로 해석될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는 소비자로도 해석될 수 있다.The customer can be interpreted as a subscriber subscrib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terpreted as a consumer carr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고객 정보는 고객의 연령, 선호도, 성별 등의 정보로서, 사전에 고객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되거나, 이동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선정된 서버에 기록될 수도 있다.The customer information may be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customer in advance or may be recorded in a predetermined server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as information such as the age, preference, and sex of the customer.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상품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goods information between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방법은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확인된 고객 정보에 따라서 고객이 선호하는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단계 506).As shown in FIG. 5B,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a product preferred by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customer information confirmed through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tep 506).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결정된 상품을 확인하고, 상품 스케줄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 정보 중에서, 결정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차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단계 507).Next, a method for providing good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firming a product determined from a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 wired / wireless network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ep 507).

도 6은 매대 AP 리스트를 등록하고, 모바일 환경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매대 AP를 스캔하는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registering a store AP list and scanning a store AP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실제 매장 내에 비치되어 있는 매대 AP 리스트를 등록하고(단계 601),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 602).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gisters a store AP list stored in an actual store (step 601) and stores it in a database (step 602).

이에, 모바일 환경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매대 AP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단계 603).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obile environment can request the list of APs as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603).

사용자는 매장 내 현재 위치에서 판매하는 물품이나, 할인 상품 등의 정보를 열람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해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매대 AP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The user can request the list of APs from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rowse the information on the items sold at the current location in the store or the discounted goods.

요청을 수신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등록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는 매대 AP 리스트를 독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604).Upon receipt of the request,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may read the store AP list stored in the database after registration and transmit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ep 604).

이때,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모바일 환경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거나, 근거리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이용하여 매대 AP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an transmit the list of APs using the wired / wireless network of the mobile environment or using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매대 AP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605).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receive the list of the store APs transmitted from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tep 605).

다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수신된 매대 AP 리스트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에서의 매대 AP를 스캔하고, 스캔되는 매대 AP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606).Nex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cans the mall AP at the current location based on the received mall AP list, and transm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all AP to be scanned to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tep 606) .

다시 말해, 이동통신 단말기는 현재 위치에서 검색되는 매대 AP 중에서 가장 신호의 크기가 큰 매대 AP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고유 식별할 수 있는 단말기 식별 정보를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provi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mall AP having the largest signal size among the mall AP searched at the current location, an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uniquely identif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Lt; / RTI >

다음으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매대 AP에 대한 식별 정보와 단말기 식별 정보 등을 수신하고(단계 607),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 608).Next,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ore AP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ep 607),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step 608).

이를 통해,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에서 매대 AP를 등록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매대 AP를 스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erchan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registers the shop AP and scans the shop AP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7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콘텐츠를 수신하는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for receiving cont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 스케줄 등을 등록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프로필 등을 구분하여 콘텐츠, 스케줄 등을 등록할 수 있다(단계 701).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gister contents, a schedule,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gister contents, schedule, etc. by distinguishing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the profile, etc. (Step 701).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등록된 콘텐츠, 스케줄 등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Further,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the registered contents, schedule, etc. in the database.

모바일 환경의 이동통신 단말기나 매장 내에 비치되어 있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츠의 표시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콘텐츠를 요청한다(단계 703).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store of the mobile environment requests the contents to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isplaying the contents (step 703).

이를 수신하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콘텐츠를 독출하여 모바일 환경의 이동통신 단말기나 매장 내에 비치되어 있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704).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receiving the content may read the content from the database and transmit the sam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obile environment or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store (step 704).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별로 표시해야 할 콘텐츠가 다른 경우에, 콘텐츠, 스케줄의 등록 시 구분하는 기준으로 사용되었던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장치 특성에 적합한 콘텐츠 배포가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content to be displayed is different for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content suitable for each device characteristic based on information used as a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the content and the schedule.

다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705).Nex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n receive the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tep 705).

이하, 도 8 및 도 9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8 and 9, an embodiment for displaying contents received from a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8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8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for displaying contents in a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콘텐츠의 표시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콘텐츠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단계 801).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can request the conten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displaying the contents (Step 801).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매대 AP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콘텐츠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requested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tore AP.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 정보로 구분하여 콘텐츠 식별 정보를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vide 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provide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콘텐츠 식별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단계 802), 엔진 기반의 콘텐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803).Specifically, 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the request for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Step 802) and perform the engine-based content analysis (Step 803).

콘텐츠 분석의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청에 부합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804).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ntents analysis,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request of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transmits the extracte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step 804).

이에,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단계 805), 스케줄에 기반하여 콘텐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단계 806).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receives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tep 805), and may displa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chedule (step 806).

도 9는 모바일 환경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displaying cont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모바일 환경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콘텐츠의 표시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콘텐츠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단계 901).In order to display the conten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mobile environment can request the conten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901).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 예를 들어 IMS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ESN(Electric Serial Number), 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및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등을 이용하여 콘텐츠 식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An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 (IMSI), an Electric Serial Number (ESN), a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TMSI), a Mobile Identification Number (MIN), an 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IMEI)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or the like.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 정보로 구분하여 콘텐츠 식별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dividing it in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식별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단계 902), 엔진 기반의 콘텐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903).Specifically, the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eive a request for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ep 902) and perform engine-based content analysis (step 903).

콘텐츠 분석의 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부합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904).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ransmits the extracted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ep 904).

이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콘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단계 905), 스케줄에 기반하여 콘텐츠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단계 906).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erchandis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step 905), and may display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chedule (step 906).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which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is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200: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210: 데이터베이스
220: 상품 스케줄 데이터 전송부 230: 소비자 특성 확인부
240: 상품정보 표시 내역 수집부
200: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10: database
220: merchandise schedule data transferring unit 230: customer characteristic checking unit
240: Product information display history collecting unit

Claims (16)

소비자 특성 및 상기 소비자 특성에 대응되는 상품 표시 정보가 포함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저장된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에 대한 소비자 특성과, 상기 전송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품정보를 표시하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A database for storing merchandise schedule data including customer characteristics and merchandise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ustomer characteristics; And
A product schedule dat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tored product schedule data to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Lt; / RTI >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cludes:
A product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displaying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a customer characteristic for a customer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roduct schedule data transmit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에 대한 소비자 특성을 확인하는 소비자 특성 확인부
를 더 포함하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sumer characteristic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a consumer characteristic for a consumer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Further compri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특성 확인부는,
상기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단말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객 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고객 정보에 따라 상기 고객이 선호하는 상품을 결정하고,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결정된 상품에 대응되는 상품정보를 표시하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ustomer characteristic verifying unit,
Collects th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onsumer, verifies the customer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collected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etermines the product preferred by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confirmed customer information ,
Wherein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displays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roduc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특성 확인부는,
상기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와, 상기 소비자 특성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수집된 소비자 특성 정보를 제공하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ustomer characteristic verifying unit,
Collect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onsumer and providing the collected consu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llected current posi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전송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참고하여, 상기 제공되는 소비자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정보를 표시하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cludes:
And displays produ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consu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with reference to the transmitted product schedule dat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특성 확인부는,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강도에 따라서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식별하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ustomer characteristic verifying unit,
And identifies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onsumer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radio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특성 확인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집하는 QR(Quick Response) 코드, 바코드, 지그비(Zigbee), RFID, 블루투스, direct wi-fi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코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식별하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ustomer characteristic verifying uni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Quick Response (QR) code, a bar code, a Zigbee, RFID, Bluetooth, direct wi-fi and NFC The good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품 스케줄 데이터 전송부는,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현재 위치에서의 할인 상품정보를 전송하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rchandise schedule data transfer unit,
And transmits the discounted product information at the current loc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ustomer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표시 내역을 수집하는 상품정보 표시 내역 수집부
를 더 포함하는 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roduct information display history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display details of the product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데이터베이스에서, 소비자 특성 및 상기 소비자 특성에 대응되는 상품 표시 정보가 포함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품 스케줄 데이터 전송부에서,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저장된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는,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에 대한 소비자 특성과, 상기 전송되는 상품 스케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품정보를 표시하는 상품정보 제공 방법.
Storing product schedule data in a database, the product schedule data including a consumer characteristic and product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sumer characteristic; And
Transmitting the stored merchandise schedule data to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 the merchandise schedule data transmitting section
Lt; / RTI >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cludes:
And displaying the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product schedule data transmitted.
제10항에 있어서,
소비자 특성 확인부에서, 상기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에 대한 소비자 특성을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품정보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Checking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of the consumer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특성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와, 상기 소비자 특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수집된 소비자 특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품정보 제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verifying the consumer characteristic comprises:
Collecting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onsumer; And
Providing the collected consum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llected current position
And providing the product informa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자 특성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무선 신호의 강도에 따라서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품정보 제공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tep of verifying the consumer characteristic comprises:
Identify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onsumer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radio signal output from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providing the product inform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스케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선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소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현재 위치에서의 할인 상품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품정보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erchandise schedule data comprises:
Transmitting the discounted product information at the current posi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customer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oviding the product informa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품정보 표시 내역 확인부에서, 상기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상품정보에 대한 표시 내역을 수집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상품정보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Collecting the display details of the goods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 the goods information display history confirmation unit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10항 내지 제15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5.
KR1020120131417A 2012-11-20 2012-11-20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o digital information display in store KR2014006567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417A KR20140065675A (en) 2012-11-20 2012-11-20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o digital information display in st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417A KR20140065675A (en) 2012-11-20 2012-11-20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o digital information display in sto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675A true KR20140065675A (en) 2014-05-30

Family

ID=50892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417A KR20140065675A (en) 2012-11-20 2012-11-20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o digital information display in sto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567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033A1 (en) * 2020-11-06 2022-05-12 박지연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advertisements according to web-based activit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033A1 (en) * 2020-11-06 2022-05-12 박지연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advertisements according to web-based activit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7964B2 (en) Marketing system and marketing method
KR101667606B1 (en) Method for Advertisement of Stores Using Bluetooth Beacon
US9727897B2 (en) Sensor data gathering
US77304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to a Wi-Fi device
US2016009874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centives and purchase opportunities to reward program members
US20140379480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nteractive marketing with attribution using proximity sensors
CN104170519A (en) Smart device assisted commerce
KR201601164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stomized coupon service
KR101231657B1 (en) Method for providing mobile shopping service using wireless la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KR201700746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in wireless network
KR20130100830A (en) Digital signage device and advertisement effect measurement server
KR1021469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of course
KR20190009518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marketing services
KR20150105015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nient order
KR20160124066A (en) Method for Advertisement of Stores Using Bluetooth Beacon
KR20140065675A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to digital information display in store
JP6762538B2 (en)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KR10150110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Apparatus for Providing Cloud Computing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erminal for Cart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90011426A (en) A system for providing shopping information and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KR20160009084A (en) Method for Advertisement of Stores Using Bluetooth Beacon
KR100837246B1 (en) Apparatus for advertising/reservation/purchasing service using a advertising frame capable of storing and changing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CN105376268A (en) Wireless percep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wireless percep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KR20140098317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ing client based on nfc
KR102568816B1 (en) System for Providing Stamp Saving and Coupon managiment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7485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