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595A -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595A
KR20140065595A KR1020120130485A KR20120130485A KR20140065595A KR 20140065595 A KR20140065595 A KR 20140065595A KR 1020120130485 A KR1020120130485 A KR 1020120130485A KR 20120130485 A KR20120130485 A KR 20120130485A KR 20140065595 A KR20140065595 A KR 20140065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type
rotation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7329B1 (ko
Inventor
남인현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0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329B1/ko
Priority to US13/900,453 priority patent/US20140143712A1/en
Publication of KR20140065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Abstract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화면의 각 변을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된 작업 명령 영역 내에서 사용자 터치가 발생함에 따라, 터치 종류,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감지부, 감지된 터치 종류,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회전, 스케일링 중 어느 하나의 작업 유형을 선택하는 작업 유형 선택부, 및 선택된 작업 유형에 따라, 화면의 이동, 회전, 또는 스케일링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실행하는 작업 실행부를 포함한다. 작업 유형 선택부는 싱글 터치의 경우 화면 이동을 작업 유형으로 선택하고, 듀얼 터치인 경우 터치 위치에 따라 화면 회전 또는 화면 스케일링을 작업 유형으로 선택한다.
이에 따라, 부작용이 예상되는 문지르는 동작을 누르는 동작으로 대체하여, 누르는 동작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제어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having touch screen and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에 따라,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나 스마트폰 등 터치 화면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화면의 사용 시에 사용자는 한 개 혹은 두 개의 손가락으로 화면을 누르거나(press) 혹은 문지름(drag)으로써 명령을 입력한다. 이 중에서, 누르는 동작은 타자기나 PC 등의 장치에서 이전부터 사람들이 많이 사용해 온 것이므로 별다른 문제가 없는 동작이다. 반면, 문지르는 동작은 이전에는 특수 분야의 노동자 외에는 많이 사용되지 않던 것으로서, 모바일 시대를 맞이하여 이러한 동작을 과도하게 사용함으로써 조만간에 크고 작은 문제가 야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구체적으로, 터치 화면을 손끝으로 문지르는 동작은 다음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시킬 수 있다.
첫째, 지문(fingerprint)을 손상시킬 수 있다.
둘째, 손끝이 터치 화면을 이루는 2차원 평면에 구속됨으로 인해, 손가락(finger joint)과 손목 관절(carpal joint)에 많은 부하를 주어 이 부분의 인대(ligament)에 여러 형태로 손상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11인치 미만의 소형 장치에서 더 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왜냐하면, 11인치 미만의 소형 장치를 다룰 때, 사람들은 팔꿈치를 거의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
일 예로서, 최근 언론 매체를 통해 지나친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인해 목뼈의 경추가 손상되거나, 더 심하게는 사지가 부분적으로 마비되는 경우들이 종종 보도되고 있다. 즉,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207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터치 화면에서 사용되며 부작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문지르는 동작을 누르는 동작으로 대체하여 누르는 동작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제어를 실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 현대인의 디지털 생활을 더 건강하게 하는,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화면의 각 변을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된 작업 명령 영역 내에서 사용자 터치가 발생함에 따라, 터치 종류,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감지부; 상기 터치 입력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터치 종류,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회전, 스케일링 중 어느 하나의 작업 유형을 선택하되, 터치 종류가 싱글 터치이면 화면 이동을 선택하고,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면 터치 위치에 따라 화면 회전 또는 화면 스케일링을 선택하는 작업 유형 선택부; 및 상기 작업 유형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작업 유형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회전, 또는 스케일링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실행하는 작업 실행부를 포함한다.
각 변의 작업 명령 영역은, 중앙 영역, 중앙 영역의 좌우에 위치한 2개의 측면 영역, 외곽에 위치한 2개의 대각선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각 변에서, 2개의 대각선 영역은 평소 상태에서는 보이지 않고, 사용자가 작업 명령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유형 선택부는, 터치 종류가 싱글 터치이면 작업 유형을 화면 이동으로 선택하고, 터치 위치 및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설정하여, 상기 작업 실행부로 하여금 설정된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에 따라 화면을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작업 유형 선택부는, 각 변의 작업 명령 영역에 구비된 복수 개의 분할 영역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분할 영역을 터치했는지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방향을 설정하며, 터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짧으면 설정된 이동 방향으로 1/n만큼 화면을 이동시키고, 터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길면 설정된 이동 방향으로 화면 전체, 즉 n/n만큼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이며, 이동 방향이 상하 방향인 경우에는 화면의 세로 폭을 n등분하고, 이동 방향이 좌우 방향인 경우에는 화면의 가로 폭을 n등분하며, 이동 방향이 대각선 방향인 경우에는 대각선 길이를 n등분한다.
상기 작업 유형 선택부는,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고, 각 변의 작업 명령 영역에 구비된 복수 개의 분할 영역 중에서 중앙 영역을 포함한 2개의 분할 영역이 터치된 경우, 작업 유형을 화면 회전으로 선택하며,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설정하여, 상기 작업 실행부로 하여금 설정된 회전 방향과 회전각에 따라 화면을 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유형 선택부는, 두 터치 영역의 위치에 의거하여,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에서 중앙 영역으로부터 터치된 다른 분할 영역으로 향하는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선택하여 설정하며, 두 터치 영역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 터치 시간에 비례하여 90°보다 작은 예각 범위의 회전각을 설정하고, 두 터치 영역이 순차적으로 터치된 경우 회전각을 90°로 설정할 수 있다.
회전 중심은 화면의 중심, 또는 사용자가 터치하여 누르는 변의 맞은편 변의 중간 지점으로 설정하거나, 화면의 각 모서리에 위치한 4개의 모서리 점 중 하나의 점으로 설정하되, 회전 중심을 모서리 점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4개의 모서리 점 중에서 두 터치 영역으로부터 가장 먼 모서리 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유형 선택부는,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고, 화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분할 영역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 작업 유형을 화면 스케일링으로 선택하며,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여부, 확대 비율 또는 축소 비율을 설정하여, 상기 작업 실행부로 하여금 설정된 비율에 따라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작업 유형 선택부는, 두 터치 영역의 위치에 의거하여, 서로 마주보는 좌우의 분할 영역 또는 상하의 분할 영역 중에서, 마주보는 분할 영역 간의 거리가 긴 쪽이 터치되면 화면을 확대시키고, 마주보는 분할 영역 간의 거리가 짧은 쪽이 터치되면 화면을 축소시키며,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확대 비율을 설정하되, 터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짧으면 1배 초과 2배 미만으로 확대시키고, 기 설정된 시간보다 길면 2배 이상으로 확대시키며, 축소 비율은 확대 비율의 역수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은, 터치 화면의 각 변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구비한 작업 명령 영역 내에서 사용자 터치가 발생함에 따라, 터치 종류,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터치 종류,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회전, 스케일링 중 어느 하나의 작업 유형을 선택하되, 터치 종류가 싱글 터치이면 화면 이동을 선택하고,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면 터치 위치에 따라 화면 회전 또는 화면 스케일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작업 유형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회전, 또는 스케일링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 유형의 선택 단계는, 터치 종류가 싱글 터치인 경우, 작업 유형을 화면 이동으로 선택하고, 터치 위치 및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 이동을 위한 화면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고, 각 변의 작업 명령 영역에 구비된 복수 개의 분할 영역 중 중앙 영역을 포함한 2개의 분할 영역이 터치된 경우, 작업 유형을 화면 회전으로 선택하고, 두 터치 영역의 위치 및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 회전을 위한 화면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설정하는 단계; 및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고, 화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분할 영역이 터치된 경우, 작업 유형을 화면 스케일링으로 선택하고,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여부, 확대 비율 또는 축소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에 따르면, 종래 터치 화면에서 사용되며 부작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문지르는 동작을 누르는 동작으로 대체하여 누르는 동작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 제어를 실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 현대인의 디지털 생활을 더 건강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화면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화면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이동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회전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스케일링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터치 화면을 사용할 때의 화면 제어 동작으로는 먼저, 메뉴 화면과 같은 텍스트 모드에서 가로 또는 세로 방향(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으로 화면을 움직이는 이동(scroll)이 있다.
그리고, 지도나 그림과 같은 그래픽 모드에서는, 가로/세로 방향으로의 이동 이외에 대각선 방향(diagonal direction)으로의 이동, 회전(rotation), 확대(zoom-in) 및 축소(zoom-out)가 추가된다.
종래 모바일 장치에서는 이동, 회전, 확대 및 축소를 위한 모든 명령에 문지르는 동작이 필요하다. 즉, 화면 이동의 경우는 한 개의 손가락으로, 회전, 확대 및 축소의 경우는 두 개의 손가락으로 화면을 눌러 문지름으로써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서는 화면의 이동, 회전, 확대 및 축소를 포함하는 모든 화면 제어 동작에서 문지르는 동작을 배제하고, 이를 한 개 혹은 두 개의 손가락을 이용해 한 번 누르는 동작으로 대체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입력 감지부(110), 작업 유형 선택부(120) 및 작업 실행부(130)를 포함한다.
터치 입력 감지부(110)는 터치 화면의 각 변(좌변, 우변, 상변, 하변)을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된 작업 명령 영역 내에서 사용자 터치가 발생함에 따라, 터치 종류,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을 감지한다.
여기서, 터치 화면의 각 변에 형성되는 작업 명령 영역은 띠 형태로 이루어지되, 각 변의 작업 명령 영역은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구비한다.
각 변의 작업 명령 영역에 형성되는 분할 영역들의 배열은 도 2 및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터치 입력 감지부(110)에서 감지한 터치 종류,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회전, 스케일링 중 어느 하나의 작업 유형을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감지된 터치 종류가 싱글 터치(single touch)이면 화면 이동을 작업 유형으로 선택하고,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dual touch)이면 터치 위치(두 터치 영역의 위치)에 따라 화면 회전 또는 화면 스케일링(scaling)을 작업 유형으로 선택한다. 화면 스케일링은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를 의미한다.
작업 실행부(130)는 작업 유형 선택부(120)에서 선택한 작업 유형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회전, 또는 스케일링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실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화면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화면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 각 분할 영역의 명칭 L, R, U, D, UL, UR, DL, DR은 좌(L, left), 우(R, right), 상(U, up), 하(D, down), 좌상(UL, up-left), 우상(UR, up-right), 좌하(DL, down-left), 우하(DR, down-right)를 의미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 (a)는 세로 모드(portrait mode), (b)는 가로 모드(landscape mode)이다.
도 2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면, 화면의 각 변을 따라 띠 형태의 작업 명령 영역이 구성되며, 각 변의 중앙을 중심으로 손가락 끝으로 지문을 찍을 만한 크기의 분할 영역들이 복수 개 구성된다.
일 실시에예서, 각 변의 작업 명령 영역은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구비하는데, 해당 변의 중심부에 위치한 3개의 분할 영역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그 외곽에 형성되는 2개의 분할 영역을 더 포함한다.
예컨대, 터치 화면의 우변에 구성된 작업 명령 영역에는, 중앙 영역(R), 중앙 영역(R)의 좌우에 위치한 2개의 측면 영역(U, D), 외곽에 위치한 2개의 대각선 영역(UR, DR)이 구비된다.
각 분할 영역은 변을 따른 방향의 일정 직경(예컨대, 1.5㎝)을 가진 타원, 원 혹은 사각형 영역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혹은, 화면에 나타나는 각 분할 영역이 작업 명령 영역의 크기와 무관하게 육안으로 인지할 정도(예컨대, 직경 0.5 ㎝)로 작을 수도 있다.
2개의 대각선 영역(예컨대, 우변의 UR, DR)은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장치에서는 화면의 모서리에, 태블릿 PC와 같은 중형 장치에서는 중심부에 있는 3개의 분할 영역(예컨대, 우변의 U, R, D)과 인접한 양 측면에 만들어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대각선 영역들은 평소 상태에서는 보이지 않다가, 사용자가 화면 제어를 위해 작업 명령 영역을 터치할 때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도 2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장치의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각 변의 작업 명령 영역에 포함되는 2개의 대각선 영역(예컨대, 우변의 UR, DR)이 화면의 모서리에 디스플레이되어, 하나의 화면상에 총 4개의 대각선 영역(UL, UR, DL, DR)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3의 다른 실시예는 태블릿 PC와 같은 중형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각 변의 작업 명령 영역에 포함되는 2개의 대각선 영역(예컨대, 우변의 UR, DR)이 중심부에 있는 3개의 분할 영역(예컨대, 우변의 U, R, D)의 양 측면에 인접하도록 디스플레이되어, 하나의 화면상에 총 8개의 대각선 영역(상변의 UL, UR, 우변의 UR, DR, 하변의 DL, DR, 좌변의 UL, DL)이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실시예는 중형의 터치 화면에서 대각선 영역을 각 변의 중심부에 가깝게 형성함으로써, 듀얼 터치 등의 동작 시에 사용자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물론, 도 3의 일 실시예는 태블릿 PC 뿐만 아니라, 중형의 터치 화면을 가지는 모든 장치(예컨대, 항공기 관제탑 장치, 의료 장치 등)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종류에 따른 화면 제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면의 가로, 세로 및 대각선 방향으로의 이동은 한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는 싱글 터치에 의해 실행된다.
둘째, 확대 및 축소의 화면 스케일링 동작은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는 듀얼 터치에 의해 실행된다.
듀얼 터치는 다시 동시 터치(simultaneous touch)와 순차적 터치(sequential touch)로 나누어진다. 순차적 터치는 화면의 90° 회전에 사용하고, 동시 터치는 나머지 종류의 회전 및 화면의 확대/축소에 사용한다.
동시 터치 모드와 순차적 터치 모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조작 모드에 의해 인위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 터치 감지에 의해 자동 설정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터치 종류, 터치 위치 및 터치 시간에 의거한 화면 제어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에서, 양방향 화살표(↔)는 동시 터치를 나타내고, 단방향 화살표(→)는 순차적 터치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이동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종류가 싱글 터치인 경우,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작업 유형을 화면 이동으로 선택하고, 터치 위치 및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설정하여, 작업 실행부(130)로 하여금 설정된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에 따라 화면을 이동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각 변의 작업 영역에 구비된 복수 개의 분할 영역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분할 영역을 터치했는지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방향을 설정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L을 누르면 화면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UR을 누르면 화면을 우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손끝으로 각 분할 영역을 누를 때 화면의 이동 방향은 도 4의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의 방향으로 설정된다. 예컨대, 사용자가 한 변의 작업 명령 영역에 구비된 분할 영역들 중에서, U를 한 번 터치한 경우,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이를 감지하여 화면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 터치에 응답하여, 좌(L), 우(R), 상(U), 하(D), 좌상(UL), 우상(UR), 좌하(DL), 우하(DR)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화면이 이동된다.
이때, 이동 거리는 터치 시간을 감지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거리를 설정하되, 터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0.3 ~ 0.5sec)보다 짧으면, 설정된 이동 방향으로 1/n(예를 들어, 1/2, 1/3)만큼 화면을 이동시키고, 터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길면 설정된 이동 방향으로 화면 전체, 즉 n/n만큼 화면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이며, 이동 방향이 상하 방향인 경우에는 화면의 세로 폭을 n등분하고, 이동 방향이 좌우 방향인 경우에는 화면의 가로 폭을 n등분하며, 이동 방향이 대각선 방향인 경우에는 대각선 길이를 n등분한다. n의 값은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회전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동시 터치 시에 실행되는 예각 범위의 화면 회전을 예시한 것이고, 도 6은 순차적 터치 시에 실행되는 90° 회전을 예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화면의 회전을 위해서는 2개의 손가락을 터치하는 듀얼 터치가 필요하다. 듀얼 터치에는, 2개의 손가락으로 두 터치 영역(touch spot)을 동시에 터치하는 동시 터치와, 두 터치 영역을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순차적 터치가 있다.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고, 각 변의 작업 영역에 구비된 복수 개의 분할 영역 중에서 중앙 영역을 포함한 2개의 분할 영역이 터치된 경우,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작업 유형을 화면 회전으로 선택하며,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설정하여, 작업 실행부(130)로 하여금 설정된 회전 방향과 회전각에 따라 화면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a)의 표는 동시 터치의 조합과 그에 따라 설정되는 회전 방향을 예시한 것이고, (b)는 동시 터치의 조합에 따른 회전 방향을 화면상에 나타낸 것이다. (a)의 표에서, 양방향 화살표(↔)는 동시 터치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화면의 한 변에서 회전에 사용하기 위한 분할 영역 2개, 즉, 중앙 영역(예컨대, 우변의 R)과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에 있는 다른 분할 영역(예컨대, 우변의 U)을 동시에 누르는 경우,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동시 터치 모드로 작동한다. 이때, 회전 방향은 각 변의 중앙 영역(예컨대, 우변의 R)으로부터 사용자가 중앙 영역과 함께 누른 다른 분할 영역(예컨대, 우변의 U)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화면의 어떤 변에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화면 회전 시에, 사용자는 각 변에 구비된 작업 명령 영역의 중심부에 있는 3개의 분할 영역 중에서, 중앙 영역(예컨대, 우변의 R)과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에 있는 다른 분할 영역(예컨대, 우변의 U나 D), 2개의 영역만을 취하여 사용한다.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두 터치 영역의 위치에 의거하여,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에서 중앙 영역으로부터 터치된 다른 분할 영역으로 향하는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선택하여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5의 (a) 및 (b)에서, 사용자가 우변의 작업 명령 영역에 구비된 분할 영역들 중에서 'R ↔ U'를 누르는 경우, 회전 방향은 우변에서 상측으로 향하는 반시계 방향(S10)이다. 'R ↔ D'를 누르는 경우, 회전 방향은 우변에서 하측으로 향하는 시계 방향(S20)이다.
이때, 회전각은 동시 터치인지 혹은 순차적 터치인지 여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두 터치 영역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 작업 유형 선택부(120)가 터치 시간에 비례하여 90°보다 작은 예각 범위의 회전각을 설정하고, 두 터치 영역이 순차적으로 터치된 경우 90°의 회전각을 설정한다.
또한, 두 터치 영역의 중간 지점을 회전 중심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멀티 터치 방식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면의 중심, 또는 사용자가 터치하여 누르는 변의 맞은편 변의 중간 지점이나, 화면의 각 모서리에 위치한 4개의 모서리 점 중 하나의 점을 회전 중심으로 사용할 수 있다.
회전 중심을 화면의 모서리 점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4개의 모서리 점 중에서 두 터치 영역으로부터 가장 먼 모서리 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우변의 분할 영역 중 'R ↔ U'를 누를 때의 회전 중심은 'DL'일 수 있고, 'R ↔ D'를 누를 때의 회전 중심은 'UL'일 수 있다.
회전각은 터치 시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0.3 ~ 0.5sec)보다 짧으면 제1 예각 범위(10 ~ 30°)만큼 화면이 회전하고, 터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길면 제1 예각 범위보다 큰 제2 예각 범위(40 ~ 60°) 정도로 화면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화면의 각 변에서 회전에 사용하기 위한 분할 영역 2개, 즉, 중앙 영역(예컨대, 우변의 R)과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에 있는 다른 분할 영역(예컨대, 우변의 U나 D)을 순차적으로 누르는 경우,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순차 터치 모드로 작동한다.
순차 터치 모드는 동시 터치 모드보다 더 정교한 조작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화면의 90° 회전에 사용된다.
화면은 터치 순서에 따른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사용자가 한 변의 분할 영역들 중 중앙 영역을 먼저 누른 다음,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에 있는 다른 분할 영역을 순차 터치하면, 중앙 영역으로부터 터치된 다른 분할 영역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화면이 회전한다.
순차적 터치 시 회전 방향의 설정은 도 6의 표에 예시되어 있다. 도 6에서, 단방향 화살표(→)는 순차적 터치를 의미한다.
도 6의 구성에 의해서도, 화면의 어떤 변에서든지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화면이 회전할 수 있다. 도 6의 순차적 터치 모드는 도 5의 동시 터치 모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 방향과 회전 중심을 설정할 수 있으나, 누르는 방식의 차이(동시 터치 또는 순차적 터치)에 의해 회전각이 다른 것이 특징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스케일링 동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면의 스케일링 동작으로는 화면 확대 및 축소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고, 화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분할 영역(예컨대, 좌변의 L과 우변의 R)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 작업 유형을 화면 스케일링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여부, 확대 비율 또는 축소 비율을 설정하여, 작업 실행부(130)로 하여금 설정된 비율에 따라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도록 제어한다.
화면의 화면 및 축소는 사용자가 화면에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분할 영역을 동시에 누를 때 실행된다.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서로 마주보는 좌우의 분할 영역 또는 상하의 분할 영역 중에서, 마주보는 분할 영역 간의 거리가 긴 쪽이 터치되면 화면을 확대시키고, 마주보는 분할 영역 간의 짧은 쪽이 터치되면 화면을 축소시킨다.
세로 폭이 가로 폭보다 긴 세로 모드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상하의 분할 영역이 터치되면 화면이 확대되고, 서로 마주보는 좌우의 분할 영역이 터치되면 화면이 축소된다. 예를 들면, 도 2의 (a)에서, 사용자가 우변의 'R'과 좌변의 'L'을 동시에 누를 때 화면이 축소되고, 상변의 'U'와 하변의 'D'를 동시에 누를 때 화면이 확대된다.
가로 폭이 세로 폭보다 긴 가로 모드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좌우의 분할 영역이 터치되면 화면이 확대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하의 분할 영역이 터치되면 화면이 축소된다. 예를 들면, 도 2의 (b)에서, 사용자가 우변의 'R'과 좌변의 'L'을 동시에 누를 때 화면이 확대되고, 상변의 'U'와 하변의 'D'를 동시에 누를 때 화면이 축소된다.
이러한 규칙을 정리하면 도 7의 표와 같다. 도 7에서도, 양방향 화살표(↔)는 동시 접촉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화면 상의 터치된 두 분할 영역 사이의 거리가 길 때 화면이 확대되고, 터치된 두 분할 영역 사이의 거리가 짧을 때 화면이 축소되므로, 사용자가 조작 방식을 기억하기 쉽고 금방 습득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확대/축소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터치 시간을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0.3 ~ 0.5sec)과 비교하여, 터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짧으면 1배 초과 2배 미만(예컨대, 1.2 ~ 1.5배)으로 화면을 확대시키고, 기 설정된 시간보다 길면 2배 혹은 그 이상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축소 비율은 확대 비율의 역수로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110은 터치 감지 단계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터치 화면의 각 변을 따라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구비한 작업 명령 영역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 명령 영역 내에서 사용자 터치가 발생함에 따라, 터치 입력 감지부(110)가 터치 종류,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을 감지한다(S110).
S120은 작업 유형 선택 단계이다.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S110에서 감지한 터치 종류,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회전, 스케일링 중 어느 하나의 작업 유형을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서,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터치 종류를 식별하여(S131), 터치 종류가 싱글 터치이면 작업 유형으로 화면 이동을 선택할 수 있다(S132). S131의 식별 결과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면, 터치 위치에 따라(S133), 화면 회전 또는 화면 스케일링을 작업 유형으로 선택할 수 있다(S134, S135).
구체적으로, S131의 터치 종류 식별 결과, 터치 종류가 싱글 터치이면,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S132로 진행하여 작업 유형을 화면 이동으로 선택하고, 터치 위치 및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 이동을 위한 화면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설정한다.
S131의 식별 결과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고, S133의 터치 위치 식별 결과 각 변의 작업 명령 영역에 구비된 복수 개의 분할 영역들 중 중앙 영역을 포함한 2개의 분할 영역(예컨대, 우변의 R과 U)이 터치된 경우,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S134로 진행하여 작업 유형을 화면 회전으로 선택하고, 두 터치 영역의 위치 및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 회전을 위한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설정한다. 이때, 회전각은 듀얼 터치가 동시 터치인지 혹은 순차적 터치인지 여부와, 터치 시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S131의 식별 결과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고, S133의 식별 결과 화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분할 영역(예컨대, 좌변의 L과 우변의 R)이 터치된 경우, 작업 유형 선택부(120)는 S135로 진행하여 작업 유형을 화면 스케일링으로 선택하고,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여부, 확대 비율 또는 축소 비율을 설정한다.
S140은 작업 실행 단계이다.
작업 실행부(130)는 S130을 통해 선택된 작업 유형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회전, 또는 스케일링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실행한다.
작업 유형이 화면 이동으로 선택된 경우에는, 작업 실행부(130)가 S132에서 설정된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에 따라 화면을 이동시킨다(S141). 작업 유형이 화면 회전으로 선택된 경우에는, 작업 실행부(130)가 S134에서 설정된 회전 방향 및 회전각에 따라 화면을 회전시킨다(S142). 작업 유형이 화면 스케일링으로 선택된 경우에는, 작업 실행부(130)가 S135에서 설정된 확대/축소 여부 및 확대/축소 비율에 따라,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게 된다(S143).
본 발명의 구성은 완전한 회전 대칭성을 가지므로, 가로 모드나 세로 모드, 혹은 화면이 180° 회전하더라도, 각 영역의 역할이 변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문지르는 동작이 필요한 종래의 방식에 비해 사용자의 집중력이 좀 더 필요하지만, 상대적으로 사용자의 지나친 몰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몰입은 비교적 편안한 상태에서 많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0: 터치 입력 감지부
120: 작업 유형 선택부
130: 작업 실행부

Claims (12)

  1. 터치 화면의 각 변을 따라 띠 형태로 형성된 작업 명령 영역 내에서 사용자 터치가 발생함에 따라, 터치 종류,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감지부;
    상기 터치 입력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터치 종류,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회전, 스케일링 중 어느 하나의 작업 유형을 선택하되, 터치 종류가 싱글 터치이면 화면 이동을 선택하고,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면 터치 위치에 따라 화면 회전 또는 화면 스케일링을 선택하는 작업 유형 선택부; 및
    상기 작업 유형 선택부로부터 선택된 작업 유형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회전, 또는 스케일링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실행하는 작업 실행부를 포함하는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변의 작업 명령 영역은,
    중앙 영역, 중앙 영역의 좌우에 위치한 2개의 측면 영역, 외곽에 위치한 2개의 대각선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각 변에서, 2개의 대각선 영역은 평소 상태에서는 보이지 않고, 사용자가 작업 명령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형 선택부는,
    터치 종류가 싱글 터치이면 작업 유형을 화면 이동으로 선택하고, 터치 위치 및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설정하여, 상기 작업 실행부로 하여금 설정된 이동 방향과 이동 거리에 따라 화면을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각 변의 작업 명령 영역에 구비된 복수 개의 분할 영역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분할 영역을 터치했는지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방향을 설정하며,
    터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짧으면 설정된 이동 방향으로 1/n만큼 화면을 이동시키고, 터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길면 설정된 이동 방향으로 화면 전체, 즉 n/n만큼 화면을 이동시키되,
    여기서, n은 자연수이며, 이동 방향이 상하 방향인 경우에는 화면의 세로 폭을 n등분하고, 이동 방향이 좌우 방향인 경우에는 화면의 가로 폭을 n등분하며, 이동 방향이 대각선 방향인 경우에는 대각선 길이를 n등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형 선택부는,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고, 각 변의 작업 명령 영역에 구비된 복수 개의 분할 영역 중에서 중앙 영역을 포함한 2개의 분할 영역이 터치된 경우, 작업 유형을 화면 회전으로 선택하며,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설정하여, 상기 작업 실행부로 하여금 설정된 회전 방향과 회전각에 따라 화면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두 터치 영역의 위치에 의거하여,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에서 중앙 영역으로부터 터치된 다른 분할 영역으로 향하는 방향을 회전 방향으로 선택하여 설정하며,
    두 터치 영역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 터치 시간에 비례하여 90°보다 작은 예각 범위의 회전각을 설정하고,
    두 터치 영역이 순차적으로 터치된 경우 회전각을 90°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회전 중심은 화면의 중심, 또는 사용자가 터치하여 누르는 변의 맞은편 변의 중간 지점으로 설정하거나, 화면의 각 모서리에 위치한 4개의 모서리 점 중 하나의 점으로 설정하되, 회전 중심을 모서리 점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4개의 모서리 점 중에서 두 터치 영역으로부터 가장 먼 모서리 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형 선택부는,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고, 화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분할 영역이 동시에 터치된 경우, 작업 유형을 화면 스케일링으로 선택하며,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여부, 확대 비율 또는 축소 비율을 설정하여, 상기 작업 실행부로 하여금 설정된 비율에 따라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두 터치 영역의 위치에 의거하여, 서로 마주보는 좌우의 분할 영역 또는 상하의 분할 영역 중에서, 마주보는 분할 영역 간의 거리가 긴 쪽이 터치되면 화면을 확대시키고, 마주보는 분할 영역 간의 거리가 짧은 쪽이 터치되면 화면을 축소시키며,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확대 비율을 설정하되, 터치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짧으면 1배 초과 2배 미만으로 확대시키고, 기 설정된 시간보다 길면 2배 이상으로 확대시키며, 축소 비율은 확대 비율의 역수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터치 화면의 각 변에 형성되고 복수 개의 분할 영역을 구비한 작업 명령 영역 내에서 사용자 터치가 발생함에 따라, 터치 종류,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터치 종류,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회전, 스케일링 중 어느 하나의 작업 유형을 선택하되, 터치 종류가 싱글 터치이면 화면 이동을 선택하고,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면 터치 위치에 따라 화면 회전 또는 화면 스케일링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작업 유형에 의거하여, 화면의 이동, 회전, 또는 스케일링 중 어느 하나의 작업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유형의 선택 단계는,
    터치 종류가 싱글 터치인 경우, 작업 유형을 화면 이동으로 선택하고, 터치 위치 및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 이동을 위한 화면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고, 각 변의 작업 명령 영역에 구비된 복수 개의 분할 영역 중 중앙 영역을 포함한 2개의 분할 영역이 터치된 경우, 작업 유형을 화면 회전으로 선택하고, 두 터치 영역의 위치 및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 회전을 위한 화면의 회전 방향 및 회전각을 설정하는 단계; 및
    터치 종류가 듀얼 터치이고, 화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분할 영역이 터치된 경우, 작업 유형을 화면 스케일링으로 선택하고, 터치 위치와 터치 시간에 의거하여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 여부, 확대 비율 또는 축소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KR1020120130485A 2012-11-16 2012-11-16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KR101407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485A KR101407329B1 (ko) 2012-11-16 2012-11-16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US13/900,453 US20140143712A1 (en) 2012-11-16 2013-05-22 Display apparatus having touch screen and screen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485A KR101407329B1 (ko) 2012-11-16 2012-11-16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595A true KR20140065595A (ko) 2014-05-30
KR101407329B1 KR101407329B1 (ko) 2014-06-16

Family

ID=50729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485A KR101407329B1 (ko) 2012-11-16 2012-11-16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143712A1 (ko)
KR (1) KR101407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386A (ko) * 2014-09-25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364B1 (ko) * 2009-01-23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컨텐츠 제어방법
KR102298972B1 (ko) 2014-10-21 2021-09-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엣지에서 수행되는 제스처를 기반으로 하는 동작 수행
KR102320771B1 (ko) 2015-01-15 2021-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US20160314559A1 (en) * 2015-04-24 2016-10-27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TWI672596B (zh) * 2018-04-24 2019-09-21 宏碁股份有限公司 程式語言轉換方法與可攜式電子裝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0379A (ko) * 2003-12-16 2005-06-22 (주)모비언스 버튼을 이용한 삼차원 회전 및 이동 장치
CA2563716A1 (en) * 2004-04-23 2005-11-10 Cirque Corporation An improved method for scrolling and edge motion on a touchpad
JP4394062B2 (ja) * 2005-10-28 2010-01-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パッド型入力装置
US7969418B2 (en) * 2006-11-30 2011-06-28 Cherif Atia Algreatly 3-D computer input device and method
KR20080041809A (ko) * 2006-11-08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92966B1 (ko) * 2007-01-20 2009-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방법
JP2009176114A (ja) * 2008-01-25 2009-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
US8745536B1 (en) * 2008-11-25 2014-06-03 Perceptive Pixel Inc. Volumetric data exploration using multi-point input controls
CN101847055A (zh) * 2009-03-24 2010-09-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基于触摸屏的输入方法
US8441460B2 (en) * 2009-11-24 2013-05-14 Mediatek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ide touch panel as part of man-machine interface (MMI)
US20110157023A1 (en) * 2009-12-28 2011-06-30 Ritdisplay Corporation Multi-touch detection method
US9003334B2 (en) * 2010-03-05 2015-04-07 Adobe Systems Incorporated Editing content using multiple touch inputs
KR101251547B1 (ko) * 2010-11-04 2013-04-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및 방법
US9244545B2 (en) * 2010-12-17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and stylus discrimination and rejection for contact sensitive computing devices
JP2012133453A (ja) * 2010-12-20 2012-07-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82076B1 (ko) 2011-03-31 2012-09-1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이동 장치 및 방법
KR20130005733A (ko) * 2011-07-07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내비게이션 기능을 운용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모바일 단말기
WO2013027292A1 (ja) * 2011-08-25 2013-02-2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情報処理方法
US9606629B2 (en) * 2011-09-09 2017-03-28 Cloudon Ltd. Systems and methods for gesture interaction with cloud-based applications
US9851889B2 (en) * 2011-09-16 2017-12-26 K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ting a displayed image by using multi-point touch inputs
KR20110124745A (ko) * 2011-11-01 2011-11-17 안재석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디바이스에서 화면 회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30145244A1 (en) * 2011-12-05 2013-06-06 Microsoft Corporation Quick analysis tool for spreadsheet application programs
US8854325B2 (en) * 2012-02-29 2014-10-07 Blackberry Limited Two-factor rotation input on a touchscreen device
US20140195926A1 (en) * 2013-01-08 2014-07-10 Emo2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access to one or more applications on a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6386A (ko) * 2014-09-25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43712A1 (en) 2014-05-22
KR101407329B1 (ko)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0626B2 (en) Multi-device pairing and combined display
KR101407329B1 (ko)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CA2788106C (en) Multi-screen pinch and expand gestures
EP2539802B1 (en) Multi-screen hold and tap gesture
US8473870B2 (en) Multi-screen hold and drag gesture
CA2788200C (en) Multi-screen hold and page-flip gesture
US9075522B2 (en) Multi-screen bookmark hold gesture
KR101735902B1 (ko) 터치 스크린 장치에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인터랙션 방법, 장치, 터치 스크린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3207750B (zh) 图标缩放的方法及装置
JP56641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10209104A1 (en) Multi-screen synchronous slide gesture
US20110209101A1 (en) Multi-screen pinch-to-pocket gesture
JP2015138360A (ja) オブジェクト操作システム及び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方法
TWI543068B (zh) 以單指操作行動裝置螢幕介面方法
JP6197559B2 (ja) オブジェクト操作システム及び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方法
WO2017016333A1 (zh) 一种屏幕调整方法及装置
JP646673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14995588B (zh) 一种输入装置、输入控制方法和终端设备
TWI400633B (zh) Trajectory input device and its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