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547B1 -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547B1
KR101251547B1 KR1020100109274A KR20100109274A KR101251547B1 KR 101251547 B1 KR101251547 B1 KR 101251547B1 KR 1020100109274 A KR1020100109274 A KR 1020100109274A KR 20100109274 A KR20100109274 A KR 20100109274A KR 101251547 B1 KR101251547 B1 KR 101251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oving
area
command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7612A (ko
Inventor
남인현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09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54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7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7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화면이동을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터치센서 상의 일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화면이동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인 화면이동명령영역 상에서의 사용자의 접촉위치를 감지하는 접촉위치감지부;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접촉위치에 따라 화면 이동 정도를 산출하는 이동정도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화면이동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시키는 화면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면이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면이동을 위해 검지로 끄는 동작보다 더 익숙하고 부작용이 적은 누르는 동작(엄지사용 가능)으로 전환함으로써 손가락과 손목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간단한 한 번의 터치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화면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screen scroll using touch sens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센서를 입력수단으로 하는 디지털 장치에서 화면이동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한 번의 접촉만으로 자신이 원하는 만큼 화면을 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PDA, 아이패드(애플사의 상표명) 등 소형 디지털장치의 성능이 점점 좋아지면서, 이러한 소형 디지털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많은 기능의 수행이 가능해졌고, 결과적으로 보다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스마트폰 등의 소형 디지털장치의 보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손 안의 PC’로 불리는 휴대전화인 스마트폰은 이제 현대인의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품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미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 수는 2010년 7월 기준으로 300만 명을 넘어섰고, 이러한 추세로 간다면 내년 말까지 2000만 명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통화와 메시지 전송은 물론 음악·동영상 감상, 인터넷 검색까지 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스마트폰 소지자는 스마트폰을 손에서 내려놓는 순간이 드물 정도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소형 디지털장치는 휴대성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를 담당하는 화면의 크기는 제한될 수밖에 없어서, 하나의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제한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서,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메뉴 아이콘이 많은 경우, 또는 일반적인 웹페이지의 화면과 같이 소형의 디스플레이 화면만으로는 전체를 볼 수 없는 경우, 일반적인 PC와 같이 화면이 큰 장치를 통하여 작성이 된 문서 또는 이미지의 경우 등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크기가 제한되는 소형의 디지털기기를 통해서는 한 화면에서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이유로 소형의 디지털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정보가 있는 위치까지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이동하여야 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화면을 이동시키는 방법은 크게 페이지 단위로 화면을 이동시키는 방법과, 화면의 일부를 이동시키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페이지란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하여 출력되는 크기만큼의 화면을 의미한다.
화면의 일부를 이동시키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화면과 별도로 구비된 방향 이동키 등을 이용하거나, 디스플레이 화면이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드래그하는 동작에 따라 드래그된 이동거리만큼 화면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화면을 페이지 단위로 움직이는 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에 별도의 버튼을 구비하여 두고, 그 버튼을 터치할 때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드래그 동작에 따라 페이지가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최근 아이폰(애플사의 상표명) 등 스마트폰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드래그 동작에 따른 페이지 전환 방식은 사용자가 특정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을 수행할 때 그 드래그에 의한 이동거리가 임계값을 넘어가게 되면 페이지 전환을 요청한 것으로 인식하고, 화면을 전환시키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드래그 방식으로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부의 이동을 시키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면서 그로 인한 부작용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드래그 방식으로 화면 이동을 시키는 스마트폰에서 화면이동을 시킬 때에는 주로 검지를 많이 사용하므로,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는 일반 핸드폰인 피처폰(feature phone) 사용자에 비해 엄지보다 검지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화면 이동을 위해 검지를 눌러 끄는 동작은 손가락 부위에 많은 부하를 주어 통증을 야기하고 나아가 인대까지 손상을 줄 수 있게 된다.
사람의 뼈는 모두 206개로, 한쪽 손에만 손가락뼈 14개와 손바닥뼈 5개, 손목뼈 8개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전체 뼈의 25%가 양쪽 손에 몰려 있는 셈이다. 뼈가 많다는 것은 뼈들이 움직일 수 있도록 힘줄과 인대들이 그만큼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뜻한다.
만약 이 힘줄과 인대를 지나치게 사용하면 염증이 생기거나 붓게 되는데, 그럴 경우 다양한 손목 질환에 노출될 수 있다. 대표적인 손목질환인 ‘손목터널증후군’은 흔히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이 걸리는 병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이용자가 증가하면서 손목터널증후군의 발생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이 병은 손끝으로 가는 신경이 손목에서 눌려 저림이나 마비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손목에는 약 3cm 길이의 수근관이라는 통로가 있는데, 그 속에는 손가락을 움직이는 인대들과 손가락이나 손바닥의 감각을 담당하는 정중신경이 지나간다. 나이가 들거나 반복적으로 손목을 사용하면 인대가 두꺼워지는데, 이 때문에 수근관이 좁아지면서 정중신경을 압박해 손이 저리는 증상이 나타난다.
이 증상은 주로 손가락이 저리거나 아프고 감각이 무뎌지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또 엄지손가락에 힘이 없어지면서 엄지와 손목 사이의 두툼한 근육이 위축돼 살이 마른 듯 보인다. 심한 경우 글씨를 쓰거나 전화 받기, 수저질하기, 단추 잠그기 등의 섬세한 동작을 못해 기본적인 일상생활까지 지장을 받게 된다. 손가락이 영구적으로 마비될 위험도 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처음에는 손가락 끝만 저리지만 점차 진행되면서 손바닥, 팔까지 저려온다. 단 새끼손가락은 저리지 않는데, 새끼손가락에는 정중신경이 없기 때문이다. 주로 엄지, 둘째, 셋째 손가락이 저리거나 엄지손가락과 다른 손가락이 잘 맞닿지 않으면 이 병을 의심해 봐야 한다. 특히 잠잘 때 손이 저리고 통증이 심해 깨거나, 손을 주무르고 털어주면 통증이 가라앉는 증상을 반복 경험한다면 손목터널증후군으로 생각해야 한다.
또한 검지 사용자는 엄지사용자에 비해 몸을 앞으로 많이 구부리고 자세가 C형으로 굽어져 척추 등 여러 부위에 더 많은 부작용을 유발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이의 치료를 위해 마사지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된다고 한다.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가 2010년 7월 현재 300만 명을 넘어섰고,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보이이므로, 드래그를 이용한 화면 이동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부상 위험은 앞으로도 더 증가될 예정이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터치센서를 구비한 디지털장치에 있어서 드래그 동작 없이 터치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화면이동을 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터치센서 상의 일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화면이동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인 화면이동명령영역 상에서의 사용자의 접촉위치를 감지하는 접촉위치감지부;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접촉위치에 따라 화면 이동 정도를 산출하는 이동정도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화면이동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시키는 화면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터치센서 상의 일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화면이동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인 화면이동명령영역 상에서의 사용자의 접촉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접촉위치에 따라 화면 이동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화면이동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화면이동시스템은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접촉위치에 따라 화면이동을 시키는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모드변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화면이동부는 상기 모드변경부에 의해 결정된 모드가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접촉위치에 따라 화면이동을 시키는 모드인 경우에 상기 화면을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모드변경부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과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이 서로 겹치는 경우, 설정된 사항에 따라 어떤 명령이 실행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모드변경부는 상기 화면이동의 방향을 설정받을 수 있으며, 상기 화면이동부는 상기 모드변경부를 통하여 설정된 방향에 따라 화면이동을 시키게 된다.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이 복수개의 분할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면, 상기 이동정도산출부는 상기 복수개의 분할영역 중 어떤 분할영역이 접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이동정도를 산출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이동정도산출부는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의 상기 일측면과 평행한 방향축을 기준으로 상기 접촉된 위치의 전체 화면이동명령영역 길이에서의 비율에 따라 화면이동정도를 산출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화면이동을 위해 검지로 끄는 동작보다 더 익숙하고 부작용이 적은 누르는 동작(엄지사용 가능)으로 전환함으로써 손가락과 손목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한 번의 터치만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화면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화면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모드변경부의 하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화면이동시스템은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PMP 등 LCD, OLED, AMOLED 등을 이용하여 화면출력을 하고,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등의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입력이 가능한 소형 디지털장치에서 주로 사용이 되며, 상기한 소형디지털 장치의 운영체제에 적용되어 사용이 될 수도 있고, 상기한 디지털장치에 설치된 개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적용되어 사용이 될 수도 있다.
즉, 1)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여부와 상관없이 적용이 될 수도 있고, 2)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고 운영체제만 구동이 될 때만 적용이 되고 개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이 되면 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의 입력방법에 따라 적용될지 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으며, 3) 운영체제만 구동시에는 적용이 되질 않고, 본 발명을 적용하여 프로그램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구동될 때에만 적용이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터치센서는 정전하방식으로 접촉을 감지하는 방식, 저항방식으로 접촉을 감지하는 방식 등 접촉을 감지할 수 있기만 하면 접촉 감지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시스템은 10인치 미만의 소형 디지털장치에 이용될 경우에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 중의 하나가 화면이동을 위해 검지로 끄는 동작을 더 익숙하고 부작용이 적은 누르는 동작(엄지사용 가능)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과 손목을 보호하는 것인 바, 10인치 이상의 중대형 디스플레이 기기에서는 검지를 눌러서 끌더라도 팔과 어깨 등 보다 넓은 범위의 신체를 사용하는 관계로 손가락, 손목 등에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은 10인치 미만의 소형 디지털 장치에서 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본 발명의 화면이동시스템은 접촉위치감지부(110), 이동정도산출부(120), 화면이동부(130) 및 모드변경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촉위치감지부(110)는 터치센서의 접촉면 중에서 사용자가 접촉한 위치를 감지한다.
접촉위치감지부(110)에 의해 사용자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이용되는 터치센서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지만, 터치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접촉위치감지부(110)에 의해 사용자가 접촉한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은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이나 터치패드 등에서 사용자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접촉위치감지부(110)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은 터치센서의 접촉 감지 영역 중 특히 화면 이동을 명령하는 영역에서의 사용자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는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면이동시스템은 터치센서의 측면을 따라 화면이동을 명령받는 영역인 화면이동명령영역이 존재하고, 그 영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접촉 위치에 따라 화면의 이동 정도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 때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접촉위치를 접촉위치감지부(110)가 감지하게 된다.
이동정도산출부(120)는 접촉위치감지부(110)가 감지한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사용자의 접촉위치에 따라 화면이동정도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화면이동명령영역은 터치센서가 구비된 화면(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의 측면을 따라 일직선으로 구성되는데, 사용자가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 접촉한 위치가 화면이동명령영역의 길이방향 즉 인접한 측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한 위치 비율에 따라 이동 정도를 산출한다.
즉, 본 발명은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선택된 위치에 따라 화면이 이동하는 정도가 각기 다르게 산출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는 발명이다.
이동정도를 산출하는 구체적인 예는 후술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통하여 설명한다.
화면이동부(130)는 이동정도산출부(120)에 의해 산출된 화면이동정도에 따라 화면을 이동시킨다.
스크롤 등 화면을 이동시키는 기능은 화면 이동의 기준이 되는 정보의 종류가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곤 종래의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등을 이용한 화면 이동 기능과 동일하다.
즉, 종래의 터치스크린 등에서 드래그를 통하여 화면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한 거리만큼 화면이동을 수행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화면이동명령영역내에서 접촉한 위치에 따라 이동정도가 산출되고, 이에 따라 화면을 이동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화면의 이동정도가 산출된 후 화면을 이동시키는 과정은 종래의 터치스크린 등에서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모드변경부(14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되는 모드와 확인 및 변경을 담당한다.
모드변경부(140)에서 변경되는 모드는 크게 두가지 방식에 따른 모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모드변경부(140)를 통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모드와 적용되지 않는 모드 사이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모드를 '생체보호모드'로 하고, 본 발명이 적용되지 않고 종래의 화면이동방법과 같이 드래그를 통하여 화면이동을 하는 모드를 '일반모드'로 정의한다.
생체보호모드와 일반모드의 변경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반대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모드를 변경하는 방법은 모드를 변경하는 특정 키가 화면상에 구현이 되거나 디지털 장치의 특정 버튼으로 구현이 되어, 사용자가 이 키를 통하여 모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한 키를 선택하면 일반모드에서 생체보호모드로 또는 생체보호모드에서 일반모드로 변경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생체보호모드와 일반모드의 변경은 사용자 또는 시스템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이 될 때에는 일반모드가 적용이 되도록 하고, 그 외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이 되거나 운영체제만 실행이 되고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생체보호모드가 적용이 되도록 한 경우에는, 모드변경부(140)는 현재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적용이 되느냐에 따라 생체보호모드 또는 일반모드가 적용이 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 화면상에서 화면이동명령영역이 위치한 부분이 다른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메뉴 아이콘과 겹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 때 모드변경부(140)는 사용자 또는 시스템 설계자가 설정한 바에 따라 생체보호모드 또는 일반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더 우선시되어 적용되도록 하거나, 생체보호모드가 적용되는 영역이 변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등의 바탕화면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많은 메뉴 아이콘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러한 메뉴 아이콘 중 화면의 측면에 인접한 메뉴 아이콘은 화면이동명령영역과 중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이동명령영역과 위치가 중복되는 메뉴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화면이동을 실행해야 하는지 아니면 선택된 메뉴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하는지 불명확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변경부(140)는 사용자 또는 시스템 설계자의 설정에 따라 어느 하나가 우선시되어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통상의 경우에는 화면 이동보다는 메뉴 아이콘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 메뉴 아이콘 등과 화면이동명령영역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는 부분에 한해 화면이동명령영역의 크기가 축소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화면이동명령영역을 통한 화면 이동 명령이 실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메뉴 아이콘 등과 같이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과 겹치는 영역에서만 화면 이동 명령의 실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뉴 아이콘이 화면이동명령영역에서 화면을 1/3 이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영역과 겹치는 경우 화면을 1/3 이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을 축소하여 메뉴 아이콘과 겹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화면이동을 명령할 수 있는 영역이 축소되면, 정확히 1/3 만큼 화면을 이동시키기는 조금 불편할 수 있겠지만, 축소되지 않은 영역을 선택하여 화면을 1/3 이하로 조금 덜 이동시키거나 1/3 이상 조금 더 이동시키는 방법을 선택하여도 그리 큰 불편이 있지는 않을 것이다.
반대로, 모드변경부(140)는 화면이동명령영역이 더 우선시되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만약,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 다른 메뉴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는 영역이 완전히 포함된다면, 상기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 위치한 메뉴 아이콘의 실행이 불가능하게 되어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메뉴 아이콘은 측면에 완전히 인접하게 배열되지는 않고 약간의 공간을 두고 배열되며, 화면이동명령영역의 크기가 메뉴 아이콘을 다 감쌀만큼 넓지는 않을 것이므로, 화면이동명령영역과 메뉴 아이콘의 일부 영역이 겹칠 수는 있어도 메뉴 아이콘의 나머지 영역은 화면이동명령영역과 겹치지 않을 것이므로, 화면이동에 대한 명령을 더 우선시하더라도 메뉴 아이콘의 메뉴를 실행할 수는 있을 것이므로, 화면이동명령영역에 대한 명령을 더 우선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렇게, 화면이동명령영역과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영역이 서로 겹치는 경우에 모드변경부(140)는 어느 하나의 기능이 우선되도록 전체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고, 겹치는 특정 영역에서만 특정 모드가 더 우선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생체보호모드와 일반모드의 구분은 전체 화면에의 적용시 구분일 수도 있지만, 화면이동명령영역에 국한된 구분일 수도 있다.
즉, 디지털 장치에서 생체보호모드가 적용된다고 하면, 화면이동을 위해서는 화면이동명령영역을 이용하여야만 가능하다는 의미가 될 수도 있으며, 화면이동명령영역을 선택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이동이 되지만, 그 외의 영역을 선택한 경우에는 종래와 같은 드래그 방식의 화면 이동이 된다는 의미도 될 수 있다.
또한, 생체보호모드와 일반모드의 양 모드 중 하나가 선택되어 적용되도록 하는 모드변경부(140)는 본 발명에 따른 화면이동이 운영체제에 따라 또는 이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이미 하나의 모드로 고정이 되어 있다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드변경부(140)는 위에서 말한 생체보호모드 및 일반모드의 선택기능뿐만 아니라 화면이동명령영역을 선택하였을 때 화면이 이동되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화면이동명령영역을 가지고 양방향으로 화면이동을 하는 경우에 위와 같은 모드변경부(140)의 기능은 유용할 것이다.
즉, 하나의 화면이동명령영역만 구비한 경우에는 그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선택위치에 따라 화면의 이동정도는 결정되지만, 방향은 한 방향으로 고정되게 되는데, 모드변경부(140)를 통하여 양방향 또는 4방향으로 화면이동방향을 결정하게 하면 화면이동명령영역으로 인한 화면 점유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화면이동방향의 결정은 별도의 키가 화면상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그 키를 선택하면 모드변경부(140)가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의 접촉이 감지되었을 때 화면이 이동하는 방향이 변경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모드변경부(14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적용된 장치가 가로모드로 작용하는지 세로모드로 작용하는지에 따라 화면이동명령영역을 선택하였을 때 이동하는 방향이 달라지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원래 세로모드인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한 가로모드 상태에서는 우측방향으로의 화면이동을 제어하는 화면이동명령영역은 하방향으로의 화면이동을 제어하도록 변경되고, 좌측방향으로의 화면이동을 제어하는 화면이동명령영역은 상방향으로의 화면이동을 제어하도록, 상방향으로의 화면이동을 제어하는 화면이동명령영역은 우측방향으로의 화면이동을 제어하도록, 하방향으로의 화면이동을 제어하는 화면이동명령영역은 좌측방향으로의 화면이동을 제어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화면이동을 어느 방향으로 제어할지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으나, 가로모드, 세로모드 변경시 변경되는 각도에 따라 자동으로 정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본 발명이 적용된 터치스크린 등의 화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화면(200) 구성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는 화면이동명령영역(210)이 우측면을 따라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적으로 제1영역(211), 제2영역(212), 제3영역(213)으로 분할되어 있다.
화면이동명령영역(210)이 너무 많은 면적을 차지하면, 다른 메뉴 아이콘들의 배열 등에 문제가 있으므로, 화면이동명령영역의 폭은 전체 화면 폭의 1/10을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화면이동명령영역만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어느 한 방향으로만 화면이동이 가능하다. 다른 방향으로의 이동은 종래의 드래그를 이용한 화면이동방법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화면이동을 계속하여 가상화면 상의 마지막까지 이동한 경우에는 다시 처음 화면으로 이동하여 화면 이동이 되풀이 되도록 하는 방법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이동하는 방향은 사용자 또는 시스템 설계자가 미리 설정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도 2의 실시예의 경우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어 사용자가 그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화면이동 정도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화면이동이 아래쪽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제1영역(211)을 선택하면 아랫방향으로 현재 페이지의 1/3만큼 이동이 되도록 하고, 제2영역(212)을 선택하면 아랫방향으로 현재 페이지의 2/3만큼 이동이 되도록 하며, 제3영역(213)을 선택하면 아랫방향으로 현재 페이지의 3/3, 즉 한 페이지가 넘어가도록 이동이 되도록 한다.
도 2에서는 화면을 3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영역은 순차적으로 앞의 분할영역보다 1/3만큼 더 화면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분할영역의 수를 3개로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분할영역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만약, n개의 분할영역으로 나누는 경우에, 각 분할영역은 순차적으로 앞의 인접한 분할영역보다 1/n만큼 더 화면이동을 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화면이동명령영역을 복수개의 분할 영역으로 구분한 경우, 사용자가 각 분할영역 2개에 걸쳐서 선택을 하는 경우 어느 정도 화면이동을 하여야 할지 결정하기 애매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접촉한 중심점을 기준으로 판단을 내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스크린이나 터치패드 등의 터치센서에서 접촉한 위치의 중심점을 판단하는 방법은 현재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화면(300) 구성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이 도 2와 다른 점은 화면이동명령영역(310) 외에 방향변경영역(320)이 더 구비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방향변경영역(320)은 도 3에서와 같이 화면이동명령영역(310)에 연결되어 터치센서의 일측면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도 있고, 별도의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최초 화면이동 방향이 아래쪽으로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제1영역(311)을 선택하면 아랫방향으로 현재 페이지의 1/3만큼 이동이 되도록 하고, 제2영역(312)을 선택하면 아랫방향으로 현재 페이지의 2/3만큼 이동이 되도록 하며, 제3영역(313)을 선택하면 아랫방향으로 현재 페이지의 3/3, 즉 한 페이지가 넘어가도록 이동이 되지만, 만약 그 상태에서 사용자가 방향변경영역(320)을 선택하면 모드변경부(140)는 화면이 이동하는 방향을 반대로 설정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이동명령영역(310)을 선택할 때 앞에서와는 반대로 윗방향으로 화면이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아랫방향으로 화면이 이동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제1영역(311)을 선택하면 윗방향으로 현재 페이지의 1/3만큼 이동이 되도록 하고, 제2영역(312)을 선택하면 윗방향으로 현재 페이지의 2/3만큼 이동이 되도록 하며, 제3영역(313)을 선택하면 윗방향으로 한 페이지가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변경된 방향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제1영역(311)을 선택하면 윗방향으로 한 페이지가 이동 되도록 하고, 제2영역(312)을 선택하면 윗방향으로 현재 페이지의 2/3만큼 이동이 되도록 하며, 제3영역(313)을 선택하면 현재 페이지의 1/3만큼 윗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화면(400) 구성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가 도 2와 다른 점은 화면이동명령영역(310) 내에 특정한 영역 구분이 없다는 점이다.
즉, 특정한 영역 구분 없이 사용자가 화면이동명령영역(410) 내에서 선택한 위치가 화면이동명령영역(410)이 인접한 측면과 평행한 방향축을 기준으로 접촉된 위치의 전체 화면이동명령영역 길이에서의 비율에 따라 화면이동정도가 산출된다는 점이 도 2의 경우와 다른 점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이동명령영역(410)에서의 한 점(411)을 선택하였는데, 이 위치가 화면이동명령영역(410)이 인접한 우측측면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봤을 때 화면이동명령영역(410) 전체에서 위에서 20%에 해당하는 위치라고 하면, 이동정도산출부(120)는 현재 화면에 보여지는 페이지의 20%에 해당하는 만큼 아랫방향으로 화면을 이동하여야 하는 것으로 산출하고, 화면이동부(130)는 산출된 만큼 화면을 이동하게 된다.
도 2와 같이 화면이동명령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는 경우나 도 4와 같이 나누지 않는 경우 모두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에 따라 화면이동정도가 결정된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
다만,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 복수의 영역을 나누어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에 약간의 오차가 있더라도 항상 일정한 화면이동이 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항상 일정한 정도로 화면이동을 시키기를 바라는 사용자가 더 선호할 것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보다 정밀한 화면이동을 원하는 사용자가 더 선호할 것이다.
화면이동명령영역이 복수의 분할 영역으로 나뉘도록 할지 말지에 대한 결정은 시스템 설계자가 미리 설정하여 둘 수도 있을 것이고, 사용자가 사용 중에 변경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화면이동명령영역을 분할영역으로 나누는지 여부에 따라 화면이동정도가 조금 차이가 날 수는 있지만, 화면이동을 산출하는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유사하므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화면이동명령영역이 복수개의 분할영역으로 나뉘어지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으며, 각각의 실시예들은 화면이동명령영역이 복수개의 분할영역으로 나뉘어지는 경우와 나뉘어지지 않는 경우 모두를 포괄하는 것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화면(500) 구성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가 앞선 실시예와 다른 점은 2개의 화면이동명령영역(510, 520)을 구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화면이동명령영역(510)을 선택한 경우에는 제1방향으로 화면이 이동하고, 제2화면이동명령영역(520)을 선택한 경우에는 제2방향으로 화면이동이 수행되게 된다.
여기서, 제1방향 및 제2방향은 시스템 설계자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질 수 있는 방향이며,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제1방향은 화면 윗방향이고, 제2방향은 화면 아랫방향이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화면(600) 구성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이 도 5와 다른 점은 4개의 화면이동명령영역(610, 620, 630, 640)을 구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화면이동명령영역(610)을 선택한 경우에는 제1방향으로 화면이 이동하고, 제2화면이동명령영역(620)을 선택한 경우에는 제2방향으로 화면이 이동되고, 제3화면이동명령영역(630)을 선택한 경우에는 제3방향으로 화면이 이동하고, 제4화면이동명령영역(640)을 선택한 경우에는 제4방향으로 화면이 이동되게 된다.
여기서, 제1방향 및 제2방향, 제3방향 및 제4방향은 시스템 설계자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질 수 있는 방향이며, 제1방향과 제2방향, 제3방향과 제4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제1방향은 화면 우측향이고, 제2방향은 화면 좌측방향, 제3방향은 화면 윗방향이고, 제2방향은 화면 아랫방향이 될 수 있다.
도 6에서 제1화면이동명령영역 및 제2화면이동명령영역이 각각 제3화면이동명령영역 및 제4화면이동명령영역과 중복되는 부분(650, 660, 670, 680)은 선택되더라도 별도로 화면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화면(700) 구성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이 앞선 실시예와 다른 점은 하나의 측면에 두 개의 화면이동명령영역(710, 720)이 구비되어 있다는 점이다.
제1화면이동명령영역(710)을 선택한 경우에는 제1방향으로 화면이 이동하고, 제2화면이동명령영역(720)을 선택한 경우에는 제2방향으로 화면이 이동한다는 점은 도 5에서와 동일하며, 다만 2개의 화면이동명령영역이 서로 동일한 측면에 구비되어 있다는 점만 차이가 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화면(1000) 구성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화면의 우측에 제1-1화면이동명령영역(1011)과 제2-1화면이동명령영역(1021)이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1-2화면이동명령영역(1012) 및 제2-2화면이동명력영역(1022)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제3-1화면이동명령영역(1031) 및 제4-1화면이동명령영역(104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제3-2화면이동명령영역(1032) 및 제4-2화면이동명령영역(1042)이 구비되어 있다.
제1-1화면이동명령영역(1011)과 제1-2화면이동명령영역(1012), 제2-1화면이동명령영역(1021)과 제2-2화면이동명령영역(1022), 제3-1화면이동명령영역(1031)과 제3-2화면이동명령영역(1032), 제4-1화면이동명령영역(1041)과 제4-2화면이동명령영역(1042)은 사용자가 선택하였을 때 각각 서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10에서 U는 상방향을 나타내고, D는 하방향을, L은 좌측방향을, R은 우측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각 화면이동명령영역은 3개의 분할구간을 나누어져서 각 구간을 누르면 해당되는 방향으로 1/3 단위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1화면이동명령영역(1011)의 U-1 영역을 선택하면 현재 출력되는 화면의 크기를 기준으로 1/3만큼 위로 이동하고, U-2 영역을 선택하면 2/3만큼 위로 이동하며, U-3 영역을 선택하면 1페이지 위로 이동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화면(1100) 구성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의 실시예에서는 화면의 우측에 제1화면이동명령영역(1110)이 구비되고, 좌측에는 제2화면이동명력영역(1120)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제3화면이동명령영역(1130) 및 제4화면이동명령영역(1140)이 구비되어 있다.
제1화면이동명령영역(1110)은 상방향으로의 화면의 이동을 제어받고, 제2화면이동명령영역(1120)은 하방향으로의 화면의 이동을 제어받고, 제3화면이동명령영역(1130)은 좌측방향으로의 화면의 이동을 제어받고, 제4화면이동명령영역(1140)은 우측방향으로의 화면의 이동을 제어받는다.
각 화면이동명령영역에 의해 제어받는 방향은 시스템 설계자나 사용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며, 각 화면이동명령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어서 나누어진 각 영역별로 이동되는 정도를 설정해 놓을 수도 있고, 화면이동명령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지 않고 모두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길이방향으로의 위치에 따라 화면이동정도가 결정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음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스마트폰이나 PDA, PMP 등을 두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는 주로 엄지를 이용하여 화면이동명령영역을 접촉하게 될 가능성이 높은데, 이 경우 아래쪽으로의 접촉은 용이하지만, 화면 제일 상단으로의 접촉은 불편한 경우가 많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도출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모드변경부(140)의 기능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면이동명령영역(810)이 메뉴 아이콘 중 일부 아이콘들(820, 830, 840)의 영역과 겹치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변경부(14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래그 방식을 통해서만 화면이동이 가능하도록 모드를 변경할 수도 있고, 화면이동명령영역과 메뉴 아이콘이 겹치는 영역(821, 831, 841)이 선택된 경우 메뉴 아이콘 실행 명령이 우선시되도록 하거나 화면이동명령이 우선시되도록,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영역과 겹치는 영역에서만 생체보호모드 또는 일반모드가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시스템이 모드변경부(140)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모드변경부(140)는 현재의 모드를 확인한다(901).
여기서, 현재 모드를 확인한다는 의미는 현재 모드가 생체보호모드가 적용되는 모드인지 여부, 생체보호모드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본래의 화면이동명령영역 전체에 대해서 적용되는지 아니면 도 7에서와 같이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영역과 화면이동명령영역이 겹치는 영역에서는 생체보호모드가 제한되는지 여부, 현재 화면이동명령영역이 선택된 경우 화면의 이동방향이 어떠한지 여부, 화면이동명령영역을 복수개의 분할영역으로 나누어서 선택된 분할영역별로 화면이동정도를 결정할지 아니면 단순히 선택된 지점이 전체 화면이동명령영역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정도 비율에 해당하는 위치인지 여부에 따라 화면이동정도를 결정할지 등을 각각의 설정된 사항에 따라 확인한다는 의미가 된다.
만약, 현재 모드가 생체보호모드가 적용되는 모드인 경우(902), 접촉위치감지부(110)는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 접촉이 감지되는지를 감지하고(903), 접촉이 감지된 경우에는 그 접촉위치를 산출한다(904).
이동정도산출부(120)는 화면이동명령영역내에서의 접촉된 위치에 따라 화면이동 정도를 산출한다(905).
화면이동부(130)는 이동정도산출부(120)에서 산출된 화면이동정도 및 모드변경부(140)에서 설정된 이동방향 또는 최초에 설정된 이동방향에 따라 화면이 이동되도록 한다(906).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3)

  1. 터치센서 상의 일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화면이동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인 화면이동명령영역 상에서의 사용자의 접촉위치를 감지하는 접촉위치감지부;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접촉위치에 따라 화면 이동 정도를 산출하는 이동정도산출부;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접촉위치에 따라 화면이동을 시키는 모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모드변경부; 및
    상기 모드변경부에 의해 결정된 모드가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접촉위치에 따라 화면이동을 시키는 모드인 경우 상기 산출된 화면이동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시키는 화면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변경부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과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이 겹치고, 상기 사용자의 접촉위치가 상기 겹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사항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이 실행되도록 할지, 상기 화면이동명령이 실행되도록 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터치센서 상의 일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화면이동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인 화면이동명령영역 상에서의 사용자의 접촉위치를 감지하는 접촉위치감지부;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접촉위치에 따라 화면 이동 정도를 산출하는 이동정도산출부;
    상기 산출된 화면이동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시키는 화면이동부; 및
    상기 화면이동의 방향을 설정받을 수 있는 모드변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이동부는 상기 모드변경부를 통하여 설정된 방향 및 상기 산출된 화면이동정도에 따라 화면이동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5. 터치센서 상의 일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화면이동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인 화면이동명령영역 상에서의 사용자의 접촉위치를 감지하는 접촉위치감지부;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접촉위치에 따라 화면 이동 정도를 산출하는 이동정도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화면이동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시키는 화면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은 복수개의 분할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정도산출부는 상기 복수개의 분할영역 중 어떤 분할영역이 접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이동정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도산출부는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의 상기 일측면과 평행한 방향축을 기준으로 상기 접촉된 위치의 전체 화면이동명령영역 길이에서의 비율에 따라 화면이동정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7. 터치센서 상의 일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화면이동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인 화면이동명령영역 상에서의 사용자의 접촉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접촉위치에 따라 화면이동을 시키는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접촉위치에 따라 화면 이동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모드가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접촉위치에 따라 화면이동을 시키는 모드인 경우에 상기 산출된 화면이동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과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이 겹치고, 상기 사용자의 접촉위치가 상기 겹치는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사항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이 실행되도록 할지, 상기 화면이동명령이 실행되도록 할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방법.
  8. 삭제
  9. 삭제
  10. 화면이동의 방향을 설정받는 단계;
    터치센서 상의 일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화면이동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인 화면이동명령영역 상에서의 사용자의 접촉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접촉위치에 따라 화면 이동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방향 및 상기 산출된 화면이동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방법.
  11. 터치센서 상의 일측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화면이동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인 화면이동명령영역 상에서의 사용자의 접촉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접촉위치에 따라 화면 이동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화면이동정도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은 복수개의 분할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정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분할영역 중 어떤 분할영역이 접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이동정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방법.
  12.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정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화면이동명령영역의 상기 일측면과 평행한 방향축을 기준으로 상기 접촉된 위치의 전체 화면이동명령영역 길이에서의 비율에 따라 화면이동정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방법.
  13. 제7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109274A 2010-11-04 2010-11-04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및 방법 KR101251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274A KR101251547B1 (ko) 2010-11-04 2010-11-04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274A KR101251547B1 (ko) 2010-11-04 2010-11-04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612A KR20120047612A (ko) 2012-05-14
KR101251547B1 true KR101251547B1 (ko) 2013-04-08

Family

ID=4626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274A KR101251547B1 (ko) 2010-11-04 2010-11-04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5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957B1 (ko) 2012-10-08 2020-04-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영역 제어 방법,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83981B1 (ko) 2012-11-07 2020-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영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07329B1 (ko) * 2012-11-16 2014-06-1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 화면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JP2024505802A (ja) 2020-12-22 2024-02-08 ウェルドテク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パイプの自動溶接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781A (ko) * 2007-01-20 2008-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방법
KR20090011367A (ko) * 2007-07-26 2009-02-02 (주)멜파스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화면 제어방법
KR20090046587A (ko) * 2007-11-06 2009-05-11 (주)멜파스 접촉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781A (ko) * 2007-01-20 2008-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표시방법
KR20090011367A (ko) * 2007-07-26 2009-02-02 (주)멜파스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화면 제어방법
KR20090046587A (ko) * 2007-11-06 2009-05-11 (주)멜파스 접촉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7612A (ko) 2012-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6396B2 (en) Pinch gesture to navigate application layers
US101807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aphical user interface depending on a user's contact pattern
CN106909305B (zh) 显示图形用户界面的方法和设备
KR101182076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이동 장치 및 방법
EP34741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dynamic user interface in considera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 user
US10019154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perating items with multiple fingers
JP56641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04782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viewing desktop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A2788106A1 (en) Multi-screen pinch and expand gestures
KR101251547B1 (ko)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및 방법
CN107704157B (zh) 一种多屏界面操作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0048726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JP2012190277A (ja) 表示装置、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210223951A1 (en) Smart desk with gesture detection and control features
CN110633044A (zh) 一种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10066025A (ko) 터치패널 작동방법 및 터치패널 구동칩
JP5199299B2 (ja) 表示装置及び画面表示方法
US20150062047A1 (en) Information processor,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10093809A1 (en) Input to non-active or non-primary window
WO2019182566A1 (en) Smart desk with gesture detection and control features
CN107765984A (zh) 调节操作对象间距的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228681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101163926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장치,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20110135655A (ko) 터치스크린 제어장치, 방법,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