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367A -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화면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화면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367A
KR20090011367A KR1020070074873A KR20070074873A KR20090011367A KR 20090011367 A KR20090011367 A KR 20090011367A KR 1020070074873 A KR1020070074873 A KR 1020070074873A KR 20070074873 A KR20070074873 A KR 20070074873A KR 20090011367 A KR20090011367 A KR 20090011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ntact
touch
touch screen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
Original Assignee
(주)멜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멜파스 filed Critical (주)멜파스
Priority to KR1020070074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367A/ko
Publication of KR20090011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3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패널상의 사용자의 접촉 입력에 기초하여 전자기기의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와 같은 기능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은 터치스크린 패널상의 사용자의 접촉 위치가 대략 원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동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이동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의 궤적에 대응하는 확대/축소 배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확대/축소 배율에 따라 화면을 확대/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스크린 패널을 탑재한 전자기기를 위한, 향상된 편의성을 갖는 화면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제어, 확대/축소, 줌, 스크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TOUCHSCREEN APPARATUS AND SCREEN CONTROLLING METHOD USING TOUCHSCREEN APPARATUS}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패널이 탑재된 전자기기의 화면 제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 패널상의 접촉 입력을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해 개시한다.
많은 수의 전자기기에는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탑재된다. 이들 전자기기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과거에는 주로 텍스트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자체의 성능이 향상되고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이 고도화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데에 이용되고 있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탑재한 종래의 전자기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은 흔히 전자기기(10)의 전면에 마련되어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으로서 기능한다.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다르지만, 맵 뷰어, 문서 뷰어, 이미지/동영상 뷰어 등의 애플리케이션 등에는 공통적으로 화면의 스크롤 기능과 확대/축소 기능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스크롤 기능은 4-방향 버튼(4-way button)(30)을 조작하는 것을 통해 수행된다. 즉, 4-방향 버튼(30)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눌러 표시 영상과 상하좌우 방향으로 연관된 새로운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
한편, 줌 기능이라고도 불리는 확대/축소 기능은 전자기기(10)에 별도로 마련된 조그 스위치(40)를 조작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그 스위치(40)를 상방으로 조작하여 화면을 확대(줌 인)하거나, 하방으로 조작하여 화면을 축소(줌 아웃)할 수 있다. 그러나, 조그 스위치(4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화면 제어 모드를 스크롤 모드에서 줌 모드로 전환한 뒤에 4-방향 버튼(30)을 이용해 화면을 확대/축소할 수도 있다.
일부 전자기기에서는 화면 제어의 편의성을 위해 터치스크린 패널을 디스플레이 패널(20)의 전면부에 마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스크롤과 확대/축소 제어는 앞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4-방향 버튼(30)을 이용해 스크롤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화면상의 줌 모드 선택 아이콘(50)이 표시된 위치에서 터치스크린 패널에 접촉하여 화면 제어 모드를 줌 모드로 설정한 뒤에 4-방향 버튼(30)을 이용해 확대/축소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한 예이다.
이처럼 종래에는 화면의 스크롤 제어와 확대/축소 제어를 위해 복수의 입력 수단(30, 40)을 이용하거나, 화면 제어 모드 선택을 위한 추가적인 조작이 개입되어야만 했다. 이에 따라, 화면 제어 방법이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매우 직관적인 입력수단인 터치스크린 장치가 탑재된 경우에도, 터치스크린 장치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 장치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여 편리하고 직관적인 화면 제어 기능을 제공하는 새로운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배경으로부터 제안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화면 조작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과 3차원 스크롤 기능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추가적인 입력수단 없이 터치스크린 장치를 통한 접촉 입력만으로 화면을 스크롤하는 기능과 소정 배율로 확대/축소하는 기능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은 터치스크린 패널상의 사용자의 접촉 위치가 대략 원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동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이동 정보를 참조하여 이동의 궤적에 대응하는 확대/축소 배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계산된 확대/축소 배율에 따라 화면을 확대/축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터치스크린 패널의 외곽부에 인가된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외곽부에서의 접촉 위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화면을 스크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터치스크린 장치 자체에 관계되며, 이 장치는 터치스크린 패널상의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이 인가된 위치에 관계된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접촉 정보 생성부; 상기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접촉 위치가 대략 원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해당 접촉 위치의 이동 궤적에 관계된 이동 정보를 생성하는 이동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이동 정보를 참조하여 화면을 소정 배율로 확대/축소하는 확대/축소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터치스크린 장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외곽부에 접촉이 인가된 경우에 생성된 접촉 정보를 참조하여 화면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은 전자기기 화면의 조작 편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스크린 패널상의 대략 원 궤도를 따른 간단한 이동 접촉 입력만으로 화면을 확대/축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모드의 불필요한 전환 등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 궤도의 중심이 되는 위치에 포커스를 두고 화면을 확대/축소함으로써, 화면의 중앙에 포커스를 맞추기 위한 불필요한 입력을 제거하여 조작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과 3차원 스크롤 기능을 요구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에 매우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면 조작을 위한 부가적인 입력 장치를 제거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생산 단가를 낮추고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화면이 위치하는 전자기기의 전면부로부터 불필요한 입력 장치를 제거할 경우, 더 넓은 화면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미려한 디자인이라는 수요자의 요구에도 부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 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화면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러 도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번호를 이용하여 표시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가 탑재될 수 있는 전자기기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차량용 네비게이션 장치, 디지털 카메라,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컴퓨터 등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본 터치스크린 장치는 TV, 냉장고, 전자 레인지, 에어컨 등의 가전 기기(리모컨 포함), 개인용 컴퓨터, 자동차, 산업용 장비, 의료용 장비 등 터치스크린 장치를 탑재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터치스크린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310)에 의해 제공되는 화면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 패널(200)을 포함한다. 터치스크린 패널(200)은 사용자의 접촉을 수용하는 면으로서 기능한다.
접촉 정보 생성부(110)는 터치스크린 패널(200)상의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고, 해당 접촉 위치에 관계된 접촉 정보를 생성한다. 접촉 정보는 접촉 위치에 더해 접촉 세기, 접촉 면적 등의 부가적인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감지 원리의 하나인 캐패시티브 방식에 의하면, 접촉 정보 생성부(110)는 터치스크린 패널상의 사용자의 접촉 유무에 따른 캐패시턴스의 변화를 통해 접촉 여부와 접촉 위치를 감지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정한 감지 원리에 제한되지 않고, 저항 방식, 열감지 방식, 압력감지 방식, 초음파 방식 등 다양한 종류의 감지 원리를 채용한 다양한 구조의 터치스크린 패널(200)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패널(200)상의 특정 위치에 접촉한 다음,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접촉 위치를 이동하는 형태의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입력 패턴을 '이동 접촉'이라고 한다. 이동 정보 생성부(120)는 시간에 따라 연속하여 생성된 일련의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접촉을 감지하고, 이와 관계된 이동 정보를 생성한다. 이동 정보는 접촉 위치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접촉 유지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확대/축소 제어부(140)는 이동 정보 생성부(120)로부터 입력된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의 확대/축소 제어를 수행한다. 확대/축소 제어부(140)의 동작에 관해서는 뒤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확대/축소 제어부(140)는 확대/축소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확대/축소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확대/축소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제어기(320)로 입력된다. 디스플레이 제어기(320)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확대/축소 제어 신호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된 화면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패널(310)에 표시한다.
본 터치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화면의 확대/축소 제어 동작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특정 위치에 인체의 일부 또는 도구를 이용하여 접촉 입력을 인가하면 접촉 정보 생성부(110)는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 정보를 생성한다. (S110) 본 단계(S110)에서 감지되는 '접촉'이란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전면(前面)에 직접 접촉하는 것 외에도,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전면에 대한 일정 범위내로의 접근(proximity)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단계(S110)는 접촉 정보 생성부(110)에 의해 수행된다. 접촉 정보 생성부(110)는 터치스크린 패널(200)상의 특정 위치에서 접촉이 인가된 것을 감지하고, 해당 접촉 위치에 관계된 접촉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이동 정보 생성부(120)는 시간에 따라 복수 회 측정된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접촉 위치가 일정한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정보 생성부(120)는 현 시점 이후에 입력되는 혹은 이전에 입력된 일련의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접촉 위치의 이동 궤적에 관계된 이동 정보를 생성한다. (S120)
이동 정보는 모든 형태의 이동 궤적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특히 본 발명에서는 대략 원 궤도를 따라 접촉 위치가 이동하는 경우에 해당 원 궤도의 중심 위치와 크기,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 단계(S130)에서는 단계(S120)에서 생성된 이동 정보에 포함된 이동 궤적에 기초하여 화면의 확대/축소 배율(줌 배율)이 계산된다. 이어서, 단계(S140)에서는 계산된 줌 배율로 화면을 확대/축소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가 생성된다. 단계(S130) 및 단계(S140)는 확대/축소 제어부(140)에 의해 수행된다.
단계(S140)를 통해 화면의 확대/축소 제어를 수행하고 나면, 터치스크린 장치는 다시 단계(S110)로 복귀하여 화면 제어를 위한 다음 접촉을 감지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나 실제로, 접촉 정보 생성부(110)는 확대/축소 제어부(140)에 의한 화면 제어의 수행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하지 않고, 화면 제어가 수행되는 동안에도 계속하여 주기적으로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 및 화면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화면을 확대/축소하는 과정을 예시하고 있다. 도 3과 도 4는 각각 확대하기 전의 화면과 확대된 후의 화면을 나타낸다.
화면의 특정 부분을 확대/축소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부분에 대응하는 터치스크린 패널(200)상의 위치에서 대략 원 궤도(260)를 따른 이동 접촉을 인가한다. 상기 '원 궤도(260)'는 반드시 완벽한 원형 궤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국부적으로는 오차 범위 내의 굴곡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원형을 이루는 궤도, 타원 궤도, 다각형 형상의 폐곡선 등 원형에 가까운 궤도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이것은 반드시 접촉 개시 위치에서 시작하여 다시 접촉 개시 위치로 복귀하는 하나의 완결된 원 궤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완결되지 않았더라도 이동 궤적의 형상으로 보아 완결된 원 궤도의 일부, 즉 호(arc)라는 것을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정도의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원 궤도(260)를 따른 이동 접촉이 인가된 경우에, 이동 정보 생성부(120)는 단계(S120)에서 해당 이동 접촉에 관계된 이동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이동 정보는 소정 시간 동안 복수 회에 걸쳐 감지된 접촉 위치를 단순히 나열 한 원시 데이터(raw data)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면상에 '+'로 표시된 이동 궤적의 중심 위치에 해당하는 좌표와, 접촉 위치가 원 궤도(260)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이동했다는 등의 한 차례 가공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확대/축소 제어부(140)는 이 이동 정보에 기초하여 화면을 확대 또는 축소한다 (S140). 확대/축소 제어부(140)는 이동 방향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확대/축소 제어부(140)는 접촉 위치가 원 궤도(260)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였음을 이동 정보로부터 확인하고, 화면을 확대하였다. 반대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이동인 경우에는 화면을 축소할 수 있다.
확대/축소 배율(줌 배율)은 몇 가지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만약 확대/축소 제어부(140)가 원 궤도(260)의 중심각을 기준으로 매 90ㅀ 이동시 ㅁ10%의 배율로 화면을 확대/축소하라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면, 원 궤도(260)를 따른 이동량, 즉 회전수에 따라 누적된 줌 배율이 적용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달리, 원 궤도(260)를 따른 이동 속도에 비례하여 줌 배율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터치 스크린 장치는 원 궤도(260)를 따른 이동량 또는 이동 속도와 줌 배율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확대/축소 제어부(140)는 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이동 정보에 포함된 이동량 또는 이동 속도에 대응하는 줌 배율을 얻게 된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는 대용량의 데이터를 조직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 니라 단순히 일정 범위내의 이동량 또는 이동 속도의 값들에 대응하는 줌 배율의 값을 저장한 룩업 테이블까지도 의미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 집합을 가리킨다.
이처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화면의 확대/축소에 적용되는 줌 배율을 구하도록 확대/축소 제어부(140)를 구성할 경우, 복잡한 계산을 위한 로직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구현이 용이하게 되고, 줌 배율을 구하는 과정이 단순화되어 화면의 확대/축소 제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품의 출하 후에도 전자기기의 종류와 사용 환경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파라미터들간의 대응 관계를 유연하게 조정함으로써 터치스크린 장치의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예로서, 확대/축소 제어부(140)는 원 궤도(260)의 크기에 따라 줌 배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다음과 같은 구현이 가능하다. 우선,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영상 중 확대를 원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원 궤도(260)를 만들면서 이동 접촉을 인가한다. 이동 접촉에 의해 하나의 완결된 원 궤도(260)를 따른 이동 궤적이 완성되면, 이동 정보 생성부(120)는 해당 원 궤도(260)를 따른 이동 궤적의 크기 및 중심 위치를 포함하는 이동 정보를 생성하여 확대/축소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확대/축소 제어부(140)는 상기 원 궤도(260)가 포함하는 화면상의 영역이 화면 전체에 표시되도록 확대 배율을 설정할 수 있다. 반시계 방향으로의 이동 궤적에 대해서는 확대되기 직전의 화면 배율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해당 원 궤도(260)의 크기에 따라 축소 배율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단순한 구현을 위해서는 언제나 화면의 중앙에 포커스를 두고 확대/ 축소를 행할 수 있지만, 보다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원 궤도(260)의 중심에 해당하는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에 포커스를 둔 상태에서 화면을 확대/축소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원 궤도(260)의 중심 위치에 포커스를 두고 확대/축소를 행한다는 것은, 확대/축소된 뒤에도 화면에 표시되는 문서, 맵 또는 이미지에서 원 궤도(260)의 중심 위치에 해당하는 부분이 여전히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도록 확대/축소를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에 예시된 확대되기 전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에서 원 궤도(260)의 중심이 위치한 부분은 도 4의 확대된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에서 원 궤도(260)의 중심이 위치한 부분과 여전히 동일하다.
이처럼 원 궤도(260)의 중심 위치에 포커스를 두고 확대/축소를 행하게 되면, 확대/축소하고자 하는 부분을 화면의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불필요한 스크롤 제어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확대/축소 제어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제2 실시형태)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와, 이 장치를 이용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5의 블록도를 도 1의 그것과 비교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접촉 정보 생성부(130)로부터 접촉 정보를 입력받아, 이것에 기초하여 화면의 스크롤 제어를 수행하는 스크롤 제어부(130)를 더 포함함을 알 수 있다.
도 5의 터치스크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화면 제어 과정 중 도 6의 단계(S250) 내지 단계(S270)가 스크롤 제어부(130)에 의해 수행되는 스크롤 제어 과 정을 나타낸다. 스크롤 제어부(130)에 의한 화면 스크롤 제어 과정은 단계(S250)에서 접촉이 일어난 영역을 식별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터치스크린 패널(200)상의 입력 영역이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외곽부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스크롤 입력 영역(210)과, 스크롤 입력 영역(21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구성된 줌 입력 영역(220)으로 구분된다.
단계(S250)에서는 접촉 정보에 포함된 접촉 위치로부터 접촉이 인가된 위치를 식별한다. 만약 줌 입력 영역(220)에서 접촉이 감지되었다면, 화면의 확대/축소 제어를 위해 단계(S220)로 분기한다. 단계(S210) 내지 단계(S240)는 도 2의 단계(S110) 내지 단계(S140)에 각각 대응한다. 이 단계들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도면(도 2 내지 도 4) 및 전술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반면, 스크롤 입력 영역(210)에서 접촉이 감지되면 단계(S260)에서 스크롤 제어부(130)는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스크롤 방향과 속도를 결정하여 스크롤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된 스크롤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제어기(320)로 입력된다. 디스플레이 제어기(320)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10)에 입력된 스크롤 제어 신호에 따라 스크롤된 화면의 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기(320)는 확대/축소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된 확대/축소 제어 신호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된 화면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패널(310)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각각 스크롤 입력 영역(210)과 줌 입력 영역(220)에서의 접촉 입력에 의해 화면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하는 그림이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특정 방향으로 화면을 스크롤하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패널(200) 외곽부의 스크롤 입력 영역(210)상의 특정 위치(240)에 접촉 입력을 가한다. 접촉 정보 생성부(110)는 해당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 위치(240)에 관계된 접촉 정보를 스크롤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스크롤 제어부(130)는 화면의 중앙(230)으로부터 접촉 위치(240)를 거쳐 직선으로 연장하는 방향(250), 즉 도면에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화면을 스크롤하도록 제어한다.
참고로, 접촉 정보 생성부(110)는 접촉 위치 외에 접촉 세기 또는 접촉 면적을 감지하여, 접촉 정보를 생성할 때 이러한 부가적인 사항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롤 제어부(130)는 접촉 정보에 포함된 접촉 세기 또는 접촉 면적을 참조하여 스크롤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위치(240)에서의 접촉 세기가 10인 경우에 초당 15 피치로 화면을 스크롤한다면, 접촉 세기가 20인 경우에는 초당 30 피치로 스크롤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접촉 면적이 소정 하한값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화면을 스크롤하지 않거나, 접촉 면적이 소정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면을 페이지 단위로 스크롤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9는 도 7의 터치스크린 패널(200)을 이용하여 화면의 확대/축소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한다. 화면의 특정 부분을 확대/축소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부분에 대응하는 줌 입력 영역(220)상의 위치에서 대략 원 궤도(260)를 따라 접촉 위치를 이동하는 입력 패턴을 가한다. 확대/축소 제어부(140)는 원 궤도(260)를 따른 접촉 위치의 이동 방향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를 결정할 수 있고, 이동량, 이동 속도, 이동 궤적의 크기 등을 참조하여 줌 배율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앞의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채용한 전자기기를 예시한 그림이다. 종래의 전자기기를 도시한 도 11과 비교해 보면, 본 발명에 의한 터치스크린 장치를 채용할 경우, 종래의 4-방향 스위치(30)나 조그 버튼(40)을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수단을 터치스크린 장치로 집중시켜 보다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이에 따른 부수적인 이익으로서, 부품의 점수를 감소시켜 전자기기의 생산 단가를 낮추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의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310)을 위한 넓은 면적을 확보하여 전자기기의 전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적인 관점에서도, 부가적인 입력 수단(30, 40)을 제거함으로써 미려한 외형 디자인을 위한 설계상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롤 입력 영역(210a, 210b)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크롤 입력 영역(210a)은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외곽 모서리를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줌 입력 영역(220)과의 구분을 위해 스크롤 입력 영역(210a)의 전면에 불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를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 스크롤 입력 영역(210b)은 터치스크린 패널(200)을 디스플레이 베젤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전자기기의 전면에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크기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윈도우를 형성함으로써(개방하거나 투명 소재로 덮음) 윈도우 테두리 바깥의 베젤부의 배면에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외곽 모서리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때,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외곽 모서리를 접착 필름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베젤부의 배면에 밀착시킴으로써 베젤부를 사용자의 접촉면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접촉 감도의 저하를 최소화하고 줌 입력 영역(220)과 스크롤 입력 영역(210b)간의 접촉 위치 전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베젤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터치스크린 패널(200)과 전면 하우징의 경계 부분에서의 단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 본 실시형태는 도 7과 같이 전체 터치스크린 패널(200)의 입력 영역을 스크롤 입력 영역(210)과 줌 입력 영역(220)으로 구분한 것을 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를 약간 변형하여, 화면의 스크롤 제어 또는 확대/축소 제어를 위한 접촉 입력의 방식을 달리할 경우에는 입력 영역을 이와 같이 구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 패널(200)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직선 형태의 이동 접촉을 인가하는 것을 해당 방향으로의 화면 스크롤을 위한 접촉 입력으로서 인식하도록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스크롤 입력 영역(210)을 줌 입력 영역(220)과 구분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스크롤 제어부(130)의 동작 및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연결관계도 약간 달라진다. 즉, 스크롤 제어부(130)가 접촉 정보 대신 이동 정보를 참조하여 스크롤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출 력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터치스크린 장치를 통한 접촉 입력에 의해 화면의 스크롤 제어와 확대/축소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입력 장치의 도움을 받지 않고 터치스크린 장치를 통한 접촉 입력만으로 간편하게 복합적인 화면 제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화면 제어 모드의 전환이나 여러 입력 수단간의 조작 전환에 따른 사용자의 주의의 분산을 막음으로써, 화면 제어의 직관성을 향상시키고 신속하고 편리하게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특히, 상술한 스크롤 제어를 XY-방향의 스크롤 제어라고 하고, 확대/축소 제어를 Z-방향의 스크롤 제어라고 하면, 본 발명은 3차원 스크롤 기능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스크린 장치의 조작만으로 화면의 3차원 스크롤 제어가 가능해지기 때문에, 3차원 게임과 네이게이션 등의 3차원 스크롤 기능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영상을 표시하는 화면에 대한 편리한 조작 기능을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의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대상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각 구성요소 및 이들간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의 확대/축소 제어 동작을 예시하는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각 구성요소 및 이들간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 제어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터치스크린 패널의 입력 영역의 구성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8과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의 스크롤 제어 동작 및 확대/축소 제어 동작을 각각 예시하는 그림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장착한 전자기기를 예시한 것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종래의 전자기기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접촉 정보 생성부 120: 이동 정보 생성부
130: 스크롤 제어부 140: 확대/축소 제어부
200: 터치스크린 패널 210: 스크롤 입력 영역
220: 줌 입력 영역 310: 디스플레이 패널
320: 디스플레이 제어기 330: 메모리

Claims (19)

  1. 터치스크린 패널상의 사용자의 접촉 입력에 기초하여 화면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상의 사용자의 접촉 위치가 대략 원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여 이동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이동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이동의 궤적에 대응하는 확대/축소 배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계산된 확대/축소 배율에 따라 상기 화면을 확대/축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 궤도의 중심이 되는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c) 단계는 상기 계산된 위치에 포커스를 두고 상기 화면을 확대/축소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b) 단계는 상기 원 궤도를 따른 접촉 위치의 이동의 방향에 따라 상기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b) 단계는 상기 원 궤도를 따른 접촉 위치의 이동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확대/축소 배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위치의 이동의 방향 및 속도와 상기 화면의 확대/축소 배율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c)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확대/축소 배율을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외곽부에 인가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접촉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외곽부에서의 접촉 위치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화면을 스크롤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정보는 상기 외곽부에서의 접촉 면적 또는 접촉 세기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e) 단계는 상기 접촉 면적 또는 접촉 세기를 참조하여 상기 화면의 스크롤 속도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e) 단계는 상기 화면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외곽부에서의 접촉 위치를 거쳐 직선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화면을 스크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9. 전자기기의 화면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접촉을 수용하는 터치스크 린 패널을 구비한 터치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상의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접촉이 인가된 위치에 관계된 접촉 정보를 생성하는 접촉 정보 생성부;
    상기 접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접촉 위치가 대략 원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해당 접촉 위치의 이동 궤적에 관계된 이동 정보를 생성하는 이동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이동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화면을 소정 배율로 확대/축소하는 확대/축소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축소 제어부는 상기 원 궤도를 따른 접촉 위치의 이동의 방향에 따라 상기 화면의 확대 또는 축소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축소 제어부는 상기 원 궤도를 따른 접촉 위치의 이동의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의 확대/축소 배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제어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위치의 이동 방향 및 속도와 상기 화면의 확대/축소 배율간의 대응 관계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축소 제어부는 상기 원 궤도의 중심이 되는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위치에 포커스를 두고 상기 화면을 확대/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의 외곽부에 접촉이 인가된 경우에 생성된 접촉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화면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제어부는 상기 화면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외곽부에서의 접촉 위치를 거쳐 직선으로 연장하는 방향으로 상기 화면을 스크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정보 생성부에 의해 생성되는 접촉 정보는 접촉 면적 또는 접촉 세기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제어부는 상기 외곽부에서의 접촉에 의해 생성된 접촉 정보에 포함된 접촉 면적 또는 접촉 세기를 참조하여 상기 화면의 스크롤 속도를 결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부의 전면은 불투명 소재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정보 생성부는 상기 터치스크린 패널상의 사용자의 접촉에 따른 캐패시턴스 측정값의 변화를 통해 상기 접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정보 생성부는 저항 방식, 열감지 방식 및 압력감지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KR1020070074873A 2007-07-26 2007-07-26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화면 제어방법 KR20090011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873A KR20090011367A (ko) 2007-07-26 2007-07-26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화면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873A KR20090011367A (ko) 2007-07-26 2007-07-26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화면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367A true KR20090011367A (ko) 2009-02-02

Family

ID=4068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873A KR20090011367A (ko) 2007-07-26 2007-07-26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화면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367A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325B1 (ko) * 2009-05-26 2010-03-16 (주)큐디스 차량용 비디오 시스템에서의 입력 모드 자동 전환 장치
KR101050486B1 (ko) * 2009-05-20 2011-07-20 한국과학기술원 임펄스 패턴 발생 장치
WO2011090324A3 (ko) * 2010-01-22 2011-12-29 전자부품연구원 터치 압력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KR101132598B1 (ko) * 2009-09-10 2012-04-06 문준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 제어 방법 및 장치
EP2440993A1 (en) * 2009-06-10 2012-04-18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 methods providing continuous zoom functionality
KR101251547B1 (ko) * 2010-11-04 2013-04-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및 방법
KR101351353B1 (ko) * 2011-11-01 2014-01-1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터치 입력 제어 방법
CN103699329A (zh) * 2013-12-31 2014-04-02 优视科技有限公司 页面缩放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101392679B1 (ko) * 2012-10-12 2014-05-21 한국과학기술원 드래그 제스처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US8847895B2 (en) 2009-06-19 201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970513B2 (en) 2010-10-11 201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having deformable electroactive polymer actuator
US8982089B2 (en) 2010-03-22 2015-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994685B2 (en) 2010-11-23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sensing circuit and touch panel including the same
US9013443B2 (en) 2011-04-18 2015-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and driving device for the same
US9189066B2 (en) 2010-01-28 2015-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486B1 (ko) * 2009-05-20 2011-07-20 한국과학기술원 임펄스 패턴 발생 장치
KR100947325B1 (ko) * 2009-05-26 2010-03-16 (주)큐디스 차량용 비디오 시스템에서의 입력 모드 자동 전환 장치
KR101384857B1 (ko) * 2009-06-10 2014-04-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연속 줌 기능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들
EP2440993A1 (en) * 2009-06-10 2012-04-18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 methods providing continuous zoom functionality
US8823749B2 (en) 2009-06-10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 methods providing continuous zoom functionality
US8847895B2 (en) 2009-06-19 201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132598B1 (ko) * 2009-09-10 2012-04-06 문준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기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168886B2 (en) 2010-01-22 2019-01-01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touch press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9244601B2 (en) 2010-01-22 2016-01-26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touch pressur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WO2011090324A3 (ko) * 2010-01-22 2011-12-29 전자부품연구원 터치 압력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US9189066B2 (en) 2010-01-28 2015-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982089B2 (en) 2010-03-22 2015-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970513B2 (en) 2010-10-11 201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having deformable electroactive polymer actuator
KR101251547B1 (ko) * 2010-11-04 2013-04-08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터치센서를 이용한 화면이동시스템 및 방법
US8994685B2 (en) 2010-11-23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sensing circuit and touch panel including the same
US9013443B2 (en) 2011-04-18 2015-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anel and driving device for the same
KR101351353B1 (ko) * 2011-11-01 2014-01-1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터치스크린 장치 및 상기 터치스크린 장치의 터치 입력 제어 방법
KR101392679B1 (ko) * 2012-10-12 2014-05-21 한국과학기술원 드래그 제스처를 이용한 원격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3699329A (zh) * 2013-12-31 2014-04-02 优视科技有限公司 页面缩放方法、装置及终端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1367A (ko) 터치스크린 장치 및 터치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화면 제어방법
US1021640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857028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3606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tion-based user interface
US9547382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JP5413448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操作装置
US8531420B2 (en) Electronic document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thereof
US2011015707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2696270B1 (en) Touch panel device, display method therefor, and display program
JP6381032B2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873621A1 (en) Driving method and input method for touch panel
US9594432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setting method and program
US20070263014A1 (en) Multi-function key with scrolling in electronic devices
US2011005795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5170282A (ja) 車両用操作装置
US85588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3161170A1 (ja) 入力装置、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3153750A1 (ja) 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操作装置
JP2013137739A (ja) 電子機器、動作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11582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10204781A (ja) 入力装置
JP2012230615A (ja) 携帯表示装置、表示状態変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128968A (ja) 車両用入力装置、及び、車両用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2007058426A (ja) 入力装置
JP2015026177A (ja) 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