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107A - 습도 센서를 이용한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 Google Patents

습도 센서를 이용한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107A
KR20140065107A KR1020120132221A KR20120132221A KR20140065107A KR 20140065107 A KR20140065107 A KR 20140065107A KR 1020120132221 A KR1020120132221 A KR 1020120132221A KR 20120132221 A KR20120132221 A KR 20120132221A KR 20140065107 A KR20140065107 A KR 20140065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portable device
user
senso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2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0116B1 (ko
Inventor
윤상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2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116B1/ko
Priority to US13/869,282 priority patent/US8983444B2/en
Priority to EP13172883.4A priority patent/EP2736233B1/en
Priority to CN201310278256.4A priority patent/CN103841258B/zh
Priority to JP2013147995A priority patent/JP6335447B2/ja
Publication of KR2014006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04M1/72463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by limiting the access to the user interface, e.g. locking a touch-screen or a keyp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도 센서를 이용한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통화 중 표시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습도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장치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습도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장치의 표시부의 켜짐/꺼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습도 센서를 이용한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BY USING HUMIDITY SENSOR AND PORTABLE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습도 센서를 이용한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통화 중 표시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을 비롯한 오늘날의 휴대 장치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지원 등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전력 소모량도 증가하게 되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휴대 장치 내부에서 일어나는 불필요한 동작을 최소화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기능을 요구하게 된다.
전력 소모를 줄이는 한 가지 예로는, 사용자가 표시부를 보고 있지 않은 경우 표시부를 자동으로 끄는 방법이 있다. 현재 상용되고 있는 휴대 장치의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아무런 입력이 발생하지 않거나,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특히 귀 부분일 수 있다.) 등이 휴대 장치에 밀착되어 있는 경우, 표시부를 자동으로 꺼지도록 한다.
그러나 현재의 표시부 제어는 근접 센서의 인체 인식 범위가 좁아 인체의 근접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센서에 이물질이 묻어 오작동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정 시간 동안 입력이 발생하지 않을 때 표시부를 끄는 경우에는, 표시부가 켜져 있는 시간 동안 전력이 소모되기 때문에 그 효용성이 크지 않다.
본 발명은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습도의 변화를 기초로 표시부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습도 센서를 이용한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장치의 PCB 기판상에 마이크와 홀을 공유하는 습도 센서를 이용하는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은, 습도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장치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습도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장치의 표시부의 켜짐/꺼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휴대 장치의 주변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습도가, 상기 휴대 장치가 사용자의 인체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의 켜짐/꺼짐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습도가 상기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표시부를 끄고, 상기 측정된 습도가 상기 임계 습도보다 작으면 상기 표시부를 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를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습도 및 상기 초기값의 차이인 습도 변화량이, 상기 휴대 장치가 사용자의 인체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의 켜짐/꺼짐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습도 변화량이 상기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표시부를 끄고, 상기 습도 변화량이 상기 임계 변화량보다 작으면 상기 표시부를 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장치에 사용자의 인체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휴대 장치에 상기 사용자의 인체가 근접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 장치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휴대 장치에 상기 사용자의 인체가 근접한 경우, 상기 표시부를 끄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도 센서는, 상기 휴대 장치의 내부에서 음성 입력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외부의 공기 유입을 위한 하나의 홀을 상기 음성 입력부와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는, 휴대 장치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장치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습도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된 습도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켜짐/꺼짐을 제어하는 제어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습도가, 사용자의 인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습도가 상기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표시부가 꺼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측정된 습도가 상기 임계 습도보다 작으면 상기 표시부가 켜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습도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를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습도 및 상기 초기값의 차이인 습도 변화량이, 사용자의 인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변화량이 상기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표시부가 꺼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습도 변화량이 상기 임계 변화량보다 작으면 상기 표시부가 켜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 장치의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습도 센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의 인체가 근접한 경우, 상기 표시부를 끄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및 상기 음성 입력부를 둘러싸며, 외부의 공기 유입을 위한 홀이 형성된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 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음성 입력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을 상기 음성 입력부와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도 센서 및 상기 음성 입력부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 내부에 습도 센서를 배치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 내부에 습도 센서를 배치한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에 구비되는 습도 센서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시간에 따른 습도 변화를 기초로 휴대 장치를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에 구비되는 근접 센서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습도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를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습도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로써,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 노트 패드(Note Pad), 와이브로(Wibro) 단말 등의 일반적인 전자 단말뿐만 아니라, 습도 센서의 구비가 가능한 모든 장치를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음성 입력부(130), 센서부(140), 제어부(150), 저장부(160) 및 표시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망 내에서 기지국, 외부의 휴대 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입력부(120)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휠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입력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후술할 센서부(140)의 각종 센서를 실장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입력 패드 상에 터치 센서(141)가 필름 형태로 부착되거나, 패널 형태로 결합된 입력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20)는 전자기 센서(142)를 이용하는 EMR(Electro Magnetic Resonance) 또는 EMI(Eletro Magnetic Interferenc) 방식의 입력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후술할 표시부(170)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입력 스크린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터치 센서(141)를 구비하는 입력 패드를 포함하고 표시부(170)와 결합된 TSP(Touch Screen Panel)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70)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입력부(120)는 터치 스크린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20)는 통화 수행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30)는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또는 음성 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통화 모드에서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
센서부(140)는 휴대 장치(1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로 구성된다. 센서부(140)는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터치 센서(141), 전자기 센서(142) 및 근접 센서(143) 및 습도 센서(144)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141)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141)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141)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터치 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가 표시부(17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터치 센서(141)는 다양한 입력 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한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 센서(141)는 사용자의 인체(예를 들어, 손)나 물리적인 도구,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및 스타일러스 펜에 포함될 수 있는 조작 버튼 등에 의하여 조작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구현 방식에 따라 터치 센서(141)는 직접 터치 입력뿐만 아니라, 일정한 거리 내의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터치 센서(141)는 입력부(120)와 결합하여 터치 패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입력부(120)를 통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전자기 센서(142)는 전자기장의 세기 변화에 따라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으며, EMR(Electro Magnetic Resonance) 또는 EMI(Eletro Magnetic Interferenc) 방식의 입력 패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자기 센서(142)는 자기장을 유도하는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전자기 센서(142)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에너지 변화를 일으키는 공진 회로가 포함된 물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기 센서(142)는 공진 회로를 포함한 물체로써 스타일러스 펜 등에 의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143)는 입력부(120)의 검출 면에서 일어나는 물체의 유무, 접근, 움직임, 방향, 속도, 형태 등을 전자계의 힘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다. 근접 센서(143)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143)는 휴대 장치(100)의 전면부에 배치되어, 휴대 장치(100)에 사용자의 볼 등 인체가 근접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143)는 예를 들어 통화 수행을 위하여 사용자가 휴대 장치(100)를 얼굴에 근접시킬 때, 사용자의 얼굴이 휴대 장치(100)에 근접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근접 센서(143)는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근접하였음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휴대 장치(100)가 통화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습도 센서(144)는 습도 센서(144)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수분의 양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습도 센서(144)는 저항형 또는 정전 용량형 반도체계 습도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습도 센서(144)는 휴대 장치(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기판상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습도 센서(144)는 통화 중 사용자의 입김에 의한 습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하여, 음성 입력부(130)와 외부로 연결되는 하나의 홀(hole)을 공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습도 센서(144)는 휴대 장치(100)의 내부에 장착되는 기판(100b)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기판(100b)은 휴대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가 고정 설치됨으로써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기판(100b) 및 기판(100b) 상에 설치되는 각 구성 요소들은 휴대 장치(100)의 케이스(100a)로 둘러싸일 수 있다. 케이스(100a)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을 차단하기 위하여 기판(100b) 및 기판(100b) 상에 설치되는 각 구성 요소들을 6면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구현하기에 따라, 입력부(120), 음성 입력부(130) 또는 카메라 등의 인터페이스가 설치될 수 있다.
습도 센서(144)는 기판(100b) 상에서 음성 입력부(130)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습도 센서(144)는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휴대 장치(100)를 얼굴에 근접시키거나, 통화 수행 중 음성 입력부(130)를 통하여 음성을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의 입김에 포함된 수분에 의한 습도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습도 센서(144) 및 음성 입력부(130)가 설치된 기판(100b) 근처의 케이스(100a)에는 홀(hole)(101)이 형성된다. 홀(101)은 휴대 장치(100)의 내부와 외부 간 공기의 출입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외부 공기 또는 사용자의 음성에 따른 공기의 진동이 홀(101)을 통하여 습도 센서(144) 및 음성 입력부(130)로 전달하도록 한다. 홀(101)은 케이스(100a) 상에서 기판(100b)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홀(10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a) 사에서 기판(100b)의 측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습도 센서(144) 및 음성 입력부(130)는 홀더(102)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홀더는, 기판(100b) 및 케이스(100a) 사이의 공간을 연결함으로써, 기판(100b) 및 케이스(100a) 간에 이격이 생기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는, 휴대 단말(100) 내부에서 습도 센서(144) 및 음성 입력부(130)를 위한 폐쇄 공간을 형성하여, 홀(101)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분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습도 센서(144) 및 음성 입력부(130) 사이에는 격벽(103)이 형성될 수 있다. 격벽(103)은 습도 센서(144) 및 음성 입력부(130) 사이의 공간을 분리시키도록 형성되며, 습도 센서(144) 및 음성 입력부(130)로 유입되는 공기를 분리하여 상호 간 영향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도록 한다.
이외에도, 센서부(140)는 모션 센서, 압력 센서, 온도 센서, 장력 센서, 전류 센서, 촉각 센서, 기울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휴대 장치(10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휴대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하여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습도 센서(144)를 통하여 감지된 습도 변화를 기초로, 표시부(17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50)는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습도 센서(144)를 제어하여 휴대 장치(100)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습도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표시부(170)의 켜짐/꺼짐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저장부(160)는 휴대 장치(100)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60)는 표시부(170)의 제어를 위한 임계 변화량 또는 임계 습도를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휴대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70)는 현재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입력부(120) 및 센서부(14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는 표시부(170)는 입력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부(17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휴대 장치(100)의 주변의 습도에 기초하여 전원을 켜거나 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휴대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부(150)는 대기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다(210).
제어부(150)는 대기 상태에서 대기 모드로 동작하거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구동 중일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은 통화 수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표시부(170)는 전원이 켜진(ON) 상태일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대기 상태에서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화면은 대기 화면,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일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이 통화 수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표시되는 화면은 통화 기록, 전화번호 목록, 다이얼 화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20).
통화 이벤트는 외부로부터 통화 수행 요청에 대응하는 호의 수신 또는 통화 수행 요청을 위한 입력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호가 수신되거나, 입력부(120)를 통하여 통화 수행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이 감지된 경우,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통화 이벤트는 통화 수행을 시작하는 이벤트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화 이벤트 발생과 함께, 통화 수행을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통화 상대방의 전화 번호, 통화 상대방의 위치 정보, 통화 상대방의 기지국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의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호로부터 획득하거나, 입력부(12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획득할 수 있다.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50)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를 초기값으로 설정한다(230).
통화 이벤트 발생 시점은 사용자가 통화 수행을 위하여 휴대 단말(100)을 얼굴(특히, 귀 부분) 근처로 가져가기 직전의 상태일 수 있다. 즉, 통화 이벤트 발생 시에 휴대 단말(100)은 사용자의 인체에 근접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부(170)에 표시된 정보를 보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70)의 전원을 켜진 상태로 유지하고, 현재 표시 중인 화면을 계속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습도 센서(144)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습도 센서(144)로 전달한다. 습도 센서(144)는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를 측정한다. 제어부(150)가 통화 이벤트 발생 시점에 습도 센서(144)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에, 습도 센서(144)는 먼저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 센서(144)는 측정된 습도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습도 센서(144)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신호를 기초로,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획득한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를 초기값으로 설정한다. 초기값은 통화 이벤트 발생 이후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가 변하였는지 여부 및 습도가 얼만큼 변화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값이다. 제어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발생 시점에서 측정된 습도를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설정된 초기값을 저장부(160)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측정된 습도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7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추가로, 제어부(150)는 통화 이벤트 발생에 따른 임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호 수신음/호 발신음을 출력하거나, 통화가 수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휴대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대기 모드로 회귀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습도를 측정한다(240).
제어부(150)는 통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요청된 통화를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반복적으로 기지국 또는 통화 상대방과 무선 신호를 교환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습도를 측정한다. 제어부(150)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습도 센서(144)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습도 센서(144)로 전달할 수 있다. 습도 센서(144)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습도 센서(144)는 휴대 장치(100)의 음성 입력부(120)와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습도 센서(14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음성을 입력하는 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휴대폰을 얼굴, 특히 귀 부근에 위치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입김이 습도 센서(144) 방향으로 방사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김에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경우 또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부(120)를 통하여 음성을 입력받는 경우,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는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보다 상승한다.
습도 센서(144)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 센서(144)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측정된 습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로 나타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센서부(144)로부터 측정된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은지, 또는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25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할 수 있다.
습도 변화량은 임의의 시간에 측정된 습도와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인 초기값 간의 차이를 의미한다. 습도 변화량을 간단한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초기값은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일 수 있다.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경우,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는 증가하게 되므로, 습도 변화량은 커진다. 반대로, 습도 센서(144)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하게 위치하지 않은 경우, 주변 공기의 수분량 변동에 따라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가 변동할 수 있으나,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와 큰 차이가 없어 습도 변화량은 적어진다.
임계 변화량은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습도 변화량의 임계를 의미한다. 임계 변화량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습도와 초기값 간의 차이로 표현될 수 있다.
임의의 시간에 측정된 습도와 초기값 간의 차이인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으면, 제어부(150)는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통화 수행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작으면, 제어부(150)는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하지 않거나 표시부(170)를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임계 변화량은 휴대 단말(100)의 제조시에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임계 변화량은 사용자가 통화 수행시 습도 센서(144)에서 발생하는 습도의 변화를 측정한 실험 데이터를 기초로 정밀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 중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할 수 있다.
습도 센서(144)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를 측정한다.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경우,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는 증가한다. 반대로, 습도 센서(144)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하게 위치하지 않은 경우, 주변 공기의 수분량 변동에 따라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가 변동할 수 있으나,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와 큰 차이가 없게 된다.
임계 습도는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습도의 임계를 의미한다. 임계 습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임의의 시간에 측정된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제어부(150)는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통화 수행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측정된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작으면, 제어부(150)는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하지 않거나 표시부(170)를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임계 습도는 휴대 단말(100)의 제조시에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임계 습도는 사용자가 통화 수행시 습도 센서(144)에서 발생하는 습도의 변화를 측정한 실험 데이터를 기초로 정밀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습도 센서(144)를 통하여 측정된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 중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또는 측정된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어부(150)는 표시부(170)를 끈다(260).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또는 측정된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어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표시부(170)를 보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70)가 꺼지도록 표시부(17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통화 중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습도를 측정하고,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을 때 또는 측정된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을 때 표시부(170)가 꺼지도록 하는 예가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100)의 제어 방법은, 통화 중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휴대 장치(100)를 얼굴 근처에 위치시키거나 음성을 입력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표시부(170)의 전원을 끔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시부(170)가 꺼짐에 따라, 잠금 모드, 절전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진입하도록 휴대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표시부(170)가 꺼졌음을 알리기 위한 알람, 진동 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반대로,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 또는 측정된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50)는 표시부(170)를 온 시킨다(270).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 또는 측정된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50)는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표시부(170)를 보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70)가 켜지도록 표시부(17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추가로, 제어부(150)는 통화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80).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통화 종료를 위한 무선 신호가 수신되거나, 입력부(120)를 통하여 통화 종료를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통화 종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통화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100)의 제어 동작을 종료한다.
반면, 통화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습도 측정 단계로 회귀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임계 변화량 또는 임계 습도를 기초로 통화 중 습도 변화에 따른 표시부(170)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몇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부(150)는 대기 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다(310).
제어부(150)는 대기 상태에서 대기 모드로 동작하거나,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를 구동 중일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은 통화 수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표시부(170)는 전원이 켜진(ON) 상태일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대기 상태에서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70)에 표시되는 화면은 대기 화면, 애플리케이션 구동 화면일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이 통화 수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표시되는 화면은 통화 기록, 전화번호 목록, 다이얼 화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20).
통화 이벤트는 외부로부터 통화 수행 요청에 대응하는 호의 수신 또는 통화 수행 요청을 위한 입력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호가 수신되거나, 입력부(120)를 통하여 통화 수행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이 감지된 경우, 통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통화 이벤트는 통화 수행을 시작하는 이벤트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화 이벤트 발생과 함께, 통화 수행을 위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통화 상대방의 전화 번호, 통화 상대방의 위치 정보, 통화 상대방의 기지국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의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호로부터 획득하거나, 입력부(12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획득할 수 있다.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50)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를 초기값으로 설정한다(330).
통화 이벤트 발생 시점은 사용자가 통화 수행을 위하여 휴대 단말(100)을 얼굴(특히, 귀 부분) 근처로 가져가기 직전의 상태일 수 있다. 즉, 통화 이벤트 발생 시에 휴대 단말(100)은 사용자의 인체에 근접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부(170)에 표시된 정보를 보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70)의 전원을 켜진 상태로 유지하고, 현재 표시 중인 화면을 계속해서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습도 센서(144)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습도 센서(144)로 전달한다. 습도 센서(144)는 제어부(15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를 측정한다. 제어부(150)가 통화 이벤트 발생 시점에 습도 센서(144)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에, 습도 센서(144)는 먼저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 센서(144)는 측정된 습도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습도 센서(144)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신호를 기초로,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획득한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를 초기값으로 설정한다. 초기값은 통화 이벤트 발생 이후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가 변하였는지 여부 및 습도가 얼만큼 변화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값이다. 제어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발생 시점에서 측정된 습도를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설정된 초기값을 저장부(160)에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측정된 습도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7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추가로, 제어부(150)는 통화 이벤트 발생에 따른 임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호 수신음/호 발신음을 출력하거나, 통화가 수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휴대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대기 모드로 회귀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인체 근접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340).
제어부(150)는 통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요청된 통화를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반복적으로 기지국 또는 통화 상대방과 무선 신호를 교환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휴대 단말(100)이 인체에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50)는 인체 근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근접 센서(143)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근접 센서(143)로 전달할 수 있다. 근접 센서(143)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휴대 단말(100)에 인체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14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장치(100)의 전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근접 센서(143)는 통화를 위하여 사용자가 휴대 장치(100)를 얼굴에 근접하게 위치시켰을 때, 사용자의 얼굴과 맞닿게 되는 휴대 장치(100)의 전면부에 배치된다. 이로써, 근접 센서(143)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사용자의 얼굴(특히, 볼 또는 귀)이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면, 근접 센서(143)는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제어부(150)는 근접 센서(143)로부터 전달되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휴대 단말(100)에 인체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면, 제어부(150)는 표시부(170)를 끈다(350).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표시부(170)를 보고 있지 않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를 수행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70)가 꺼지도록 표시부(17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표시부(170)가 꺼짐에 따라, 잠금 모드, 절전 모드 또는 슬립 모드로 진입하도록 휴대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표시부(170)가 꺼졌음을 알리기 위한 알람, 진동 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반대로,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50)는 습도를 측정한다(360).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는 사용자는 표시부(170)를 보고 있는 중이거나, 통화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그러나 근접 센서(143)가 고장 나거나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에 인체가 실질적으로 휴대 장치(100)에 근접했음에도 불구하고, 인체의 근접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근접 센서(143)가 고장 나거나 오작동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습도 센서(144)를 보조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근접 센서(143)를 통하여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지 않으면 습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습도 센서(144)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습도 센서(144)로 전달할 수 있다. 습도 센서(144)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하여,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습도 센서(144)는 휴대 장치(100)의 음성 입력부(120)와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습도 센서(14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음성을 입력하는 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휴대폰을 얼굴, 특히 귀 부근에 위치시키는 경우, 사용자의 입김이 습도 센서(144) 방향으로 방사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김에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경우 또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입력부(120)를 통하여 음성을 입력받는 경우,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는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보다 상승한다.
센서부(144)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 센서(144)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측정된 습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로 나타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센서부(144)로부터 측정된 습도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50)는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은지, 또는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37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할 수 있다.
습도 변화량은 임의의 시간에 측정된 습도와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인 초기값 간의 차이를 의미한다. 습도 변화량을 간단한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초기값은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일 수 있다.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경우,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는 증가하게 되므로, 습도 변화량은 커진다. 반대로, 습도 센서(144)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하게 위치하지 않은 경우, 주변 공기의 수분량 변동에 따라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가 변동할 수 있으나,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와 큰 차이가 없어 습도 변화량은 적어진다.
임계 변화량은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습도 변화량의 임계를 의미한다. 임계 변화량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습도와 초기값 간의 차이로 표현될 수 있다.
임의의 시간에 측정된 습도와 초기값 간의 차이인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으면, 제어부(150)는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통화 수행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작으면, 제어부(150)는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하지 않거나 표시부(170)를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임계 변화량은 휴대 단말(100)의 제조시에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임계 변화량은 사용자가 통화 수행시 습도 센서(144)에서 발생하는 습도의 변화를 측정한 실험 데이터를 기초로 정밀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 중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50)는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할 수 있다.
습도 센서(144)는 통화를 수행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를 측정한다.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경우,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는 증가한다. 반대로, 습도 센서(144)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하게 위치하지 않은 경우, 주변 공기의 수분량 변동에 따라 습도 센서(144) 주변의 습도가 변동할 수 있으나,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와 큰 차이가 없게 된다.
임계 습도는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습도의 임계를 의미한다. 임계 습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임의의 시간에 측정된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제어부(150)는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통화 수행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측정된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작으면, 제어부(150)는 휴대 장치(100)가 사용자의 얼굴에 근접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하지 않거나 표시부(170)를 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임계 습도는 휴대 단말(100)의 제조시에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임계 습도는 사용자가 통화 수행시 습도 센서(144)에서 발생하는 습도의 변화를 측정한 실험 데이터를 기초로 정밀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습도 센서(144)를 통하여 측정된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 중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또는 측정된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어부(150)는 표시부(170)를 끈다(350).
반대로, 습도 변화량이 임계 변화량보다 작은 경우 또는 측정된 습도가 임계 습도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50)는 표시부(170)를 온 시킨다(380).
추가로, 제어부(150)는 통화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390).
제어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통화 종료를 위한 무선 신호가 수신되거나, 입력부(120)를 통하여 통화 종료를 위한 입력이 감지되면, 통화 종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통화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50)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장치(100)의 제어 동작을 종료한다.
반면, 통화 종료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인체 근접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회귀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휴대 장치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음성 입력부
140: 센서부 150: 제어부
160: 저장부 170: 표시부

Claims (20)

  1. 습도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장치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습도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휴대 장치의 표시부의 켜짐/꺼짐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휴대 장치의 주변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습도가, 상기 휴대 장치가 사용자의 인체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켜짐/꺼짐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습도가 상기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표시부를 끄고, 상기 측정된 습도가 상기 임계 습도보다 작으면 상기 표시부를 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를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습도 및 상기 초기값의 차이인 습도 변화량이, 상기 휴대 장치가 사용자의 인체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켜짐/꺼짐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습도 변화량이 상기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표시부를 끄고, 상기 습도 변화량이 상기 임계 변화량보다 작으면 상기 표시부를 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장치에 사용자의 인체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휴대 장치에 상기 사용자의 인체가 근접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 장치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휴대 장치에 상기 사용자의 인체가 근접한 경우, 상기 표시부를 끄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센서는,
    상기 휴대 장치의 내부에서 음성 입력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외부의 공기 유입을 위한 하나의 홀을 상기 음성 입력부와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의 제어 방법.
  11. 휴대 장치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 장치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습도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측정된 습도를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부의 켜짐/꺼짐을 제어하는 제어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습도가, 사용자의 인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습도가 상기 임계 습도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표시부가 꺼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측정된 습도가 상기 임계 습도보다 작으면 상기 표시부가 켜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습도 센서를 제어하고, 상기 통화 이벤트 발생 시의 습도를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습도 및 상기 초기값의 차이인 습도 변화량이, 사용자의 인체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은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변화량이 상기 임계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표시부가 꺼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습도 변화량이 상기 임계 변화량보다 작으면 상기 표시부가 켜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인체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휴대 장치의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도록 상기 습도 센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사용자의 인체가 근접한 경우, 상기 표시부를 끄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및
    상기 음성 입력부를 둘러싸며, 외부의 공기 유입을 위한 홀이 형성된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 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음성 입력부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홀을 상기 음성 입력부와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 센서 및 상기 음성 입력부 사이에 설치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KR1020120132221A 2012-11-21 2012-11-21 습도 센서를 이용한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KR102070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221A KR102070116B1 (ko) 2012-11-21 2012-11-21 습도 센서를 이용한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US13/869,282 US8983444B2 (en) 2012-11-21 2013-04-24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by using humidity sensor and portable device thereof
EP13172883.4A EP2736233B1 (en) 2012-11-21 2013-06-19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by using humidity sensor and portable device thereof
CN201310278256.4A CN103841258B (zh) 2012-11-21 2013-07-04 使用湿度传感器控制便携式装置的方法以及便携式装置
JP2013147995A JP6335447B2 (ja) 2012-11-21 2013-07-16 湿度センサーを用いた携帯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携帯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2221A KR102070116B1 (ko) 2012-11-21 2012-11-21 습도 센서를 이용한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107A true KR20140065107A (ko) 2014-05-29
KR102070116B1 KR102070116B1 (ko) 2020-01-28

Family

ID=4870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221A KR102070116B1 (ko) 2012-11-21 2012-11-21 습도 센서를 이용한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83444B2 (ko)
EP (1) EP2736233B1 (ko)
JP (1) JP6335447B2 (ko)
KR (1) KR102070116B1 (ko)
CN (1) CN10384125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123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수분 유입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906458B2 (en) 2020-11-06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moisture inflow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6089B2 (en) * 2013-03-29 2015-11-03 Stmicroelectronics Pte Ltd. Integrated multi-sensor module
CN104010059B (zh) * 2014-06-09 2018-08-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实现拨打电话的方法和装置
JP2015232654A (ja) * 2014-06-10 2015-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呼気検出装置、携帯端末および時刻表示装置
JP6365123B2 (ja) * 2014-08-28 2018-08-0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JP2017069651A (ja) * 2015-09-28 2017-04-0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A3044367A1 (en) 2016-11-23 2018-05-31 Mobelisk Group, Llc Modular tablet case with environmental monitoring components
US10653361B2 (en) * 2017-05-18 2020-05-19 Motorola Mobility Llc Breath sensory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7736874B (zh) 2017-08-25 2020-11-20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活体检测的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KR102435697B1 (ko) * 2017-12-05 2022-08-24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스 센서가 장착된 구조물을 갖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3614A1 (en) * 2009-07-02 2011-01-06 Nxp B.V. Proximity sensor, in particular microphone for reception of sound signals in the human audible sound range, with ultrasonic proximity estimation
JP2011518371A (ja) * 2008-03-26 2011-06-23 ピエール・ボナ 人間の呼気を使用してデバイスの制御を可能にするmems検出器の信号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2186620A (ja) * 2011-03-04 2012-09-27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9228A1 (en) 2004-03-31 2005-10-06 Motorola, Inc. Intuitive user interface and method
JP4720228B2 (ja) * 2005-03-16 2011-07-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12029217A (ja) * 2010-07-27 2012-02-09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EP2479892B1 (en) * 2011-01-19 2013-08-28 Sensirion AG Input device
CN102176733A (zh) * 2011-01-28 2011-09-0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屏幕背光的控制方法、系统及移动终端
EP2700007B1 (en) * 2011-04-19 2020-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overlay region of user interface control
KR101906410B1 (ko) 2011-04-19 2018-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푸쉬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CN102158609A (zh) * 2011-05-09 2011-08-17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无线通讯设备及其控制背光、触摸屏以及键盘的方法
US9288840B2 (en) * 2012-06-27 2016-03-1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ing a blowing a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8371A (ja) * 2008-03-26 2011-06-23 ピエール・ボナ 人間の呼気を使用してデバイスの制御を可能にするmems検出器の信号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10003614A1 (en) * 2009-07-02 2011-01-06 Nxp B.V. Proximity sensor, in particular microphone for reception of sound signals in the human audible sound range, with ultrasonic proximity estimation
JP2012186620A (ja) * 2011-03-04 2012-09-27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表示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123A1 (ko) * 2020-11-06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수분 유입을 감지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906458B2 (en) 2020-11-06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detecting moisture inflow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83444B2 (en) 2015-03-17
EP2736233B1 (en) 2018-10-24
JP2014103655A (ja) 2014-06-05
CN103841258A (zh) 2014-06-04
JP6335447B2 (ja) 2018-05-30
CN103841258B (zh) 2018-04-10
US20140141761A1 (en) 2014-05-22
EP2736233A1 (en) 2014-05-28
KR102070116B1 (ko)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5107A (ko) 습도 센서를 이용한 휴대 장치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CN106470275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EP2315109B1 (en) Mobile terminal
JP6062175B2 (ja) 携帯端末、省電力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省電力制御方法
CN106527785B (zh) 移动终端和用于该移动终端的控制方法
KR20140080257A (ko)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점등 제어 방법
US10949644B2 (en) Fingerprint sensing method based on touch pressure in black screen mode of touch input device and touch input device for the same
KR20150040127A (ko) 전력 절감을 위하여 이미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07908313B (zh) 电子装置的控制方法及电子装置
CN107819935B (zh) 一种移动终端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2011013719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9904314B2 (e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panel based on cover-related information
JP7329150B2 (ja) タッチボタン、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KR20120009851A (ko) 이동 단말기에서 보호 모드 실행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이동 단말기
CN108681413B (zh) 一种显示模组的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20220117342A (ko)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900911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9937B1 (ko)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09257489B (zh) 一种显示方法及移动终端
KR20120021721A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모듈
KR2009011702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알림 방법
JP2018160239A (ja) タッチ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1003426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센서의 오작동 방지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341553B1 (ko) 터치입력장치의 블랙화면모드에서 압력으로 인한 지문 센싱 방법 및 터치입력장치
KR20170047060A (ko) 전원차단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