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4120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120A
KR20140064120A KR1020120131080A KR20120131080A KR20140064120A KR 20140064120 A KR20140064120 A KR 20140064120A KR 1020120131080 A KR1020120131080 A KR 1020120131080A KR 20120131080 A KR20120131080 A KR 20120131080A KR 20140064120 A KR20140064120 A KR 20140064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frame
lever
dispose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2505B1 (ko
Inventor
신갑수
정문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1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505B1/ko
Priority to DE102013112714.2A priority patent/DE102013112714B4/de
Priority to FR1361301A priority patent/FR2998157B1/fr
Priority to US14/083,612 priority patent/US9241608B2/en
Priority to CN201310589000.5A priority patent/CN103829902B/zh
Priority to GB1320401.1A priority patent/GB2508730B/en
Priority to GB1507580.7A priority patent/GB2522573B/en
Publication of KR20140064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4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height of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 A47L15/2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by lowering and lifting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식기가 수용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을 수용하고, 상기 세척조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바스켓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들어올리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를 수용하는 바스켓의 식기수용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표면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가 세척되도록 하는 가전기기이다.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와 세척조 저면에 장착되어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섬프 내부에 장착된 세척 펌프의 펌핑 작용에 의하여 세척수가 분사노즐로 이동되고, 분사노즐로 이동된 세척수는 분사노즐 끝단부에 형성된 분사구를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고압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 표면에 부딪혀서, 식기에 묻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과 같은 오물이 세척조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식기세척기에는 식기를 수용하는 바스켓이 구비된다. 바스켓에는 다양한 종류의 식기가 구비되며, 식기는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이때, 다양한 식기의 형상에 대응되어, 각각의 식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바스켓을 설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세척조 내부에는 다양한 크기의 바스켓을 층층이 배치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비교적 직경이 큰 식기나 조리기구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공간을 추가로 확보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이 경우 바스켓의 일부를 탈거해야하는 문제점이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스켓을 세척조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바스켓을 이동시켜 식기수용공간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식기수용공간을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식기가 수용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을 수용하고, 상기 세척조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바스켓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들어올리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바스켓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바스켓에 담을 수 있는 식기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셋째, 바스켓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증감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식기를 탈거하여야 하는 불편을 덜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과 그 주변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과 그 주변 부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와 바스켓의 작동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조절부를 포함한 바스켓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과 그 주변 부품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 가능한 조절부를 여러 실시예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와 바스켓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와 홀더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와 그 주변 부품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공간 조절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가 포함된 바스켓과 그 주변부품들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가 포함된 바스켓과 그 주변부품들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를 활용하는 예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를 활용하는 다른 예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를 활용하는 또 다른 예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를 활용하는 또 다른 예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세척기(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과 그 주변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과 그 주변 부품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4); 식기가 수용되는 바스켓(100); 상기 바스켓(100)을 수용하고, 상기 세척조(4)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120); 상기 바스켓(100)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05); 상기 걸림돌기(105)와 마주하는 프레임 (120)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바스켓(100)의 적어도 일측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130)는, 수평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걸림돌기(105)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래치(131)를 포함한다.
캐비닛(3)는 식기세척기(1)의 외관을 이루며, 식기세척기(1)의 부품이 수용되는 틀을 제공한다. 캐비닛(3)는 전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전면을 통해 사용자가 식기를 반입한다. 캐비닛(3)의 내부에는 세척조(4)가 형성된다.
도어(2)는 캐비닛(3)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예로, 도어(2)는 캐비닛(3)의 밑단에 피봇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는 세척조(4)를 밀폐한다.
세척조(4) 내부에는 세척수가 분사된다. 세척조(4) 내부에는 식기가 수용된다. 세척조(4)는 도어(2)에 의해 개폐된다. 세척조(4)는 도어(2)에 의해 밀폐된다. 세척조(4)의 내부에는 식기를 수용하는 바스켓(100)이 배치된다.
세척조(4) 내부에는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노즐은 복수로 배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노즐은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식기에 골고루 세척수를 분사한다.
세척조(4)의 내부에는 섬프에 집수된 세척수가 세척조(4)에 설치되는 상, 하부 노즐로 공급되도록 상, 하부 유동관이 구비된다.
세척조(4)에는 외부의 수원을 연결하여 물이 세척조(4) 내부로 급수되도록 하는 급수관과, 오염된 세척수가 식기세척기(1)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관이 구비된다.
배수관에는 섬프에 집수된 세척수가 식기세척기(1)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수펌프가 구비된다. 세척조(4)의 하부에는 섬프에 집수된 세척수를 세척조(4)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구비되고, 공급관에는 상, 하부 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세척펌프가 구비된다.
도어(2)의 내부에는 세척조(4)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세척조(4)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팬 어셈블리와, 팬 어셈블리에서 흡입된 세척조(4)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와, 배기덕트의 일측에 결합되어 팬 어셈블리에서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노즐이 구비된다.
바스켓(100)은 식기를 수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바스켓(100)은 복수로 배치된다. 바스켓(100)은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100)은 프레임 (120)에 수용될 수 있다. 바스켓(100)은 프레임(120)에 지지될 수 있다. 바스켓(100)을 지지하는 프레임 (120)은 세척조(4) 내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100)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105)가 형성된다. 바스켓(100)은 와이어 또는 합성수지에 의해 격자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임 (120)은 바스캣을 수용한다. 프레임 (120)은 플라스틱, 합성수지, 와이어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20)은 세척조(4) 내부에 배치된다. 프레임 (120)은 세척조(4)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20)은 바스켓(100)의 적어도 일단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걸림돌기(105)가 형성된 부분과 마주하는 프레임 (120)의 일면에는 조절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조절부(130)는 바스켓(100)의 적어도 일측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조절부(130)는 바스켓(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130)는 바스켓(100)을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조절부(130)는 바스켓(100)의 수직이동을 제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와 바스켓의 작동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조절부(130)는 수평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래치(13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130)는 걸림돌기(105)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래치(131)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130)는 걸림돌기(105)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130)는 걸림돌기(105)의 수직이동을 제한한다.
래치(131)는 걸림돌기(105)의 상하이동을 제한한다. 래치(131)는 수평이동 가능하게 프레임 (120)에 배치된다. 래치(131)는 걸림돌기(105)의 높이를 조절한다. 래치(131)는 바스켓(100)의 상하이동을 제한한다. 래치(131)는 바스켓(100)의 높이를 조절한다. 래치(131)는 바스켓(100)의 일측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래치(131)는 걸림돌기(105)의 이동경로와 엇갈리도록 배치되어, 바스켓(100)의 적어도 일측이 상하이동시 걸림돌기(105)가 래치(131)에 의해 걸림지지되도록 배치된다.
래치(131)는 걸림돌기(105)의 이동경로와 엇갈리게 배치된다. 일 예로, 래치(131)는 수평이동하고, 걸림돌기(105)는 상하이동하여, 이동경로에서 서로의 진행을 제한할 수 있다. 래치(131)는 걸림돌기(105)의 이동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래치(131)는 좌우 한쌍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래치(131)들의 간격이 벌어지면, 걸림돌기(105)의 이동경로와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걸림돌기(105)는 좌우에 나란히 배치되고, 래치(131)는 걸림돌기(105) 사이에 배치된다.
래치(131)들의 간격이 좁아지면 래치(131)는 걸림돌기(105)의 이동경로에서 이탈한다. 래치(131)들이 간격이 좁아지면 걸림돌기(105)는 자유롭게 상하이동할 수 있다. 래치(131)들의 간격이 벌어지면 래치(131)는 걸림돌기(105)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된다. 래치(131)들의 간격이 벌어지면 걸림돌기(105)는 래치(131)에 걸려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래치(131)와 걸림돌기(105)의 이동경로는 서로 엇갈린다. 바람직하게는 래치(131)와 걸림돌기(105)의 이동경로는 서로 직교한다.
래치(131)는 좌우 한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쌍의 래치(131)는 수평하게 배치된다. 한쌍의 래치(131)는 상호간 간격이 변화될 수 있다. 걸림돌기(105)의 이동은 래치(131)들의 간격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래치(131)들 사이에는 탄성부재(133)가 배치된다. 탄성부재(133)는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133)는 래치(131)들의 간격을 벌린다. 탄성부재(133)는 래치(131)들이 걸림돌기(105)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래치(131)들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스프링이 끼워질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래치(131)의 하측면 중 걸림돌기(105)와 맞닿는 면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걸림돌기(105)의 상측 이동시 래치(131)가 밀려 래치(131)들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래치(131)는 걸림돌기(105)와 맞닿을 수 있다. 래치(131)는 걸림돌기(105)의 상승시 래치(131)의 하측 끝단과 맞닿을 수 있다. 경사면은 래치(131)가 걸림돌기(105)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사면은 래치(131)의 하측에 형성된다.
도 5a는 걸림돌기(105)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걸림돌기(105)가 래치(131)에 가하는 힘의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경사면은 걸림돌기(105)가 래치(131)에 가하는 힘의 방향을 변경한다. 걸림돌기(105)가 상측으로 이동할때, 걸림돌기(105)는 래치(131)에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걸림돌기(105)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래치(131)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걸림돌기(105)가 좌우로 배치되면, 쌍으로 배치된 래치(131)들은 수평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래치(131)들은 간격이 좁아진다. 래치(131)들은 걸림돌기(105)의 이동경로에서 이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걸림돌기(105)의 상측면 중 래치(131)와 맞닿는 면은 경사면이 형성되어, 걸림돌기(105)의 상측이동시 래치(131)들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걸림돌기(105)의 상측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걸림돌기(105)에 형성된 경사면과 래치(131)에 형성된 경사면은 서로 대응한다. 바스켓(100)이 상승하면 걸림돌기(105)는 래치(131)를 수평방향으로 민다. 래치(131)는 걸림돌기(105)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래치(131)들은 간격이 좁아진다. 래치(131)들은 걸림돌기(105)의 이동경로에서 이탈한다.
도 5b는 버튼의 눌려질 때 래치에 가하는 힘의 방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래치(131)들 사이에 배치되어, 눌려지면 래치(131)들의 간격이 좁아지는 버튼(140)을 더 포함하고, 버튼(140)의 하측 양단에는 하향 돌출된 누름부141)가 형성되고, 래치(131)에는 누름부 (141)가 상하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135)가 형성된다.
버튼(140)은 래치(131)들 사이에 배치된다. 버튼(140)은 래치(131)들이 서로 마주하는 곳의 상부에 배치된다. 버튼(140)은 래치(131)들의 간격을 조절한다. 버튼(140)이 눌려지면 래치(131)들은 간격이 좁아진다. 래치(131)들의 간격이 좁아지면 버튼(140)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버튼(140)의 상부는 대략 평평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버튼(140)의 상부는 손으로 쉽게 눌려질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버튼(140)의 하측 양단에는 하향 돌출된 누름부(141)가 형성된다. 누름부(141)는 버튼(140)의 좌우 양쪽 끝단에 배치된다. 누름부(141)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래치(131)에는 누름부(141)가 상하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부(135)가 형성된다. 누름부(141)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홈일 수 있다. 누름부(141)는 삽입부(135)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누름부(141)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삽입부(135)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삽입부(135)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 누름부(14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누름부(141)는 누름부 (141)들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삽입부(135)는 누름부(141)에 형성된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누름부 (141)의 이동시, 래치(131)가 누름부(141)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밀려, 래치(131)들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누름부(141)는 좌우 양측에서 하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누름부(141)는 누름부(141)들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 경사면이 형성된다. 누름부(141)에 형성된 경사면은 버튼(140)의 중심선상을 바라보도록 형성된다.
경사면은 힘의 방향을 바꾼다.
누름부(141)의 하측 끝단은 돌출되어 삽입부(135)에 항시 삽입되어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누름부(141)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로 버튼(140)의 중심과 가깝도록 경사면이 형성된다. 누름부 (141)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로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삽입부(135)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35)에 형성된 경사면은 누름부(141)에 형성된 경사면과 대응한다. 버튼(140)에 작용된 힘은 삽입부(135)와 누름부(141)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래치(131)를 수평이동시킨다. 버튼(140)이 눌려지면 래치(131)들의 간격은 좁아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패널(15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지지패널(151); 지지패널(151)이 프레임 (120)에 장착되도록 일측면에 복수로 형성된 장착부(153); 및 래치(131)들은 수평이동하고, 버튼(14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래치(131) 및 버튼(140)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클램프(155)가 형성된 가이드패널(150)을 더 포함한다.
식기세척기(1)는 가이드패널(150)을 포함한다. 가이드패널 (150)은 프레임 (120)에 장착된다. 가이드패널(150)은 지지패널(151)을 포함한다. 지지패널(151)은 프레임 (120)에 장착된다. 지지패널(151)은 일측면에 장착부(153)가 형성된다. 장착부(153)는 지지패널(151)을 프레임(120)에 체결시킨다. 장착부(153)는 지지패널(151)을 프레임(120)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장착부(153)는 복수로 형성된다.
가이드패널(150)은 가이드클램프(155)를 포함한다. 가이드클램프(155)는 지지패널(151)에 형성된다. 가이드클램프(155)들은 래치(131)가 수평이동하도록 래치(131)를 고정한다. 가이드클램프(155)들은 버튼(140)이 수직이동하도록 버튼(140)을 고정한다. 가이드클램프(155)들은 버튼(140)의 최하 높이를 유지한다. 가이드클램프(155)들은 래치(131)의 중단을 감싼다. 가이드클램프(155)들은 래치(131)의 상하이동을 억제한다. 가이드클램프(155)들은 버튼(140)의 측면을 감싼다 가이드클램프(155)들은 버튼(140)의 좌우이동을 억제한다.
가이드패널 (150)에는 걸림돌기(105)가 삽입되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홈(157)이 형성된다. 수직이동홈(157)은 가이드패널)(150)에 형성된다. 수직이동홈(157)은 가이드패널(150)의 좌우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수직이동홈(157)은 걸림돌기(105)의 이동경로상에 형성된다. 수직이동홈(157)은 걸림돌기(105)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한다. 수직이동홈(157)은 걸림돌기(105)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걸림돌기(105)는 수직이동홈(157)에 삽입된다. 걸림돌기(105)는 수직이동홈(157) 방향으로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는 수직이동홈(157)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 실시예로, 걸림돌기(105)는 바스켓(1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걸림돌기(105)는 쌍으로 배치되고, 버튼(140)은 걸림돌기(105)의 사이에서 상하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걸림돌기(105)는 바스켓(1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조절부(130)는 프레임(12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패널(150)은 프레임(12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조절부(230)를 포함한 바스켓(100)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100)과 그 주변 부품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회전 가능한 조절부(230)를 여러 실시예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230)와 바스켓(200)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7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의한 식기세척기(1)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4); 식기가 수용되는 바스켓(200); 상기 바스켓(200)을 수용하고, 상기 세척조(4)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220); 상기 프레임(22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바스켓(200)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프레임(220)으로부터 들어올리는 조절부(230)를 포함한다.
세척조(4) 내부에는 세척수가 분사된다. 세척조(4) 내부에는 식기가 수용된다. 세척조(4)는 도어(2)에 의해 개폐된다. 세척조(4)는 도어(2)에 의해 밀폐된다. 세척조(4)의 내부에는 식기를 수용하는 바스켓(200)이 배치된다.
바스켓(200)은 식기를 수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바스켓(200)은 복수로 배치된다. 바스켓(200)은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200)은 프레임(220)에 수용될 수 있다. 바스켓(200)은 프레임(220)에 지지될 수 있다. 바스켓(200)을 지지하는 프레임(220) 은 세척조(4) 내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200)은 와이어 또는 합성수지에 의해 격자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20)은 바스켓(200)을 수용한다. 프레임(220)은 합성수지 및 와이어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220)은 세척조(4) 내부에 배치된다. 프레임(220)은 세척조(4)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조절부(230)는 바스켓(200)의 적어도 일측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조절부(230)는 바스켓(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230)는 바스켓(200)을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조절부(230)는 바스켓(200)의 수직이동을 제한한다.
조절부(230)는 프레임(220)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조절부(230)는 바스켓(200)의 적어도 일단을 프레임(220)으로부터 들어올린다. 조절부(230)는 바스켓(200)의 적어도 일단의 높이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절부(230)는 복수로 배치되어 바스켓(200)의 전방 및 후방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230)는 바스켓(200)의 전방측 밑면과 후방측 밑면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조절부(230)는 바스켓(200)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지지부(231); 지지부(231)가 소정의 회전 반경을 갖도록 지지부(231)와 이격되어 프레임(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돌기(235); 회전돌기(235)와 지지부(231)를 연결하는 연결부(233)를 포함한다.
지지부(231)는 바스켓(200)의 밑면을 지지한다. 지지부(231)는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31)는 바스켓(200)의 일측면 하단에서 타측면 하단으로 연장된다. 지지부(231)는 바스켓(20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회전돌기(235)는 프레임(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돌기(235)는 지지부(231)와 소정의 회전 반경을 갖도록 배치된다. 회전돌기(235)는 지지부(231)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회전돌기(235)가 형성하는 회전축은 지지부(231)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회전돌기(235)가 형성하는 회전축은 지지부(231)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회전돌기(235)는 연결부(233)와 연결된다. 지지부(231)는 연결부(233)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돌기(235) 및 연결부(233)는 프레임(220)의 좌우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지지부(231)의 양 측면을 지지한다. 회전돌기(235)는 프레임(220)의 좌우 측면에 각각 배치된다. 연결부(233)는 회전돌기(235)와 연결된다. 연결부(233)는 지지부(231)와 연결된다. 연결부(233)는 프레임(220)의 측벽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233)는 바스켓(200)의 측벽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233)는 회전돌기(235)가 형성하는 회전축과 직교하게 배치된다. 연결부(233)는 지지부(231)와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33)의 끝단은 회전돌기(235)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33)는 직선일 수 있다. 연결부(233)는 소정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연결부(233)가 절곡된 각도는 바스켓(200)의 높이와 후술할 레버(237)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프레임(220)에 장착되고, 회전돌기(235)가 삽입되는 회전홀(261a)이 형성된 조절부지지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지지대(260)는 회전홀(261a)이 형성된다. 조절부지지대(260)에 형성된 회전홀(261a)에는 회전돌기(235)가 삽입된다. 조절부지지대(260)는 프레임(220)에 장착된다. 조절부지지대(260)는 프레임(22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조절부지지대(260)는 프레임(220)과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프레임(220)에 장착될 수 있다. 조절부지지대(260)는 합성수지를 원료로 사출성형하여 제작할 수 도 있다. 조절부지지대(260)는 프레임(220)의 양측면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조절부지지대(260)의 중단은 하측으로 돌출되고, 프레임(220) 은 이와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조절부지지대(260)의 전후 이동을 억제한다. 조절부(230) 지지대의 하측은 개구되어 프레임(220)에 삽입된다. 조절부(230) 지지대의 중단에는 회전홀(261ab)이 형성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230)와 홀더(240)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연결부(233)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지지부(231)의 회전 정도를 조절하는 레버(237)를 더 포함한다.
레버(237)는 회전축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레버(237)는 연결부(233)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레버(237)는 연결부(233)와 소정각도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레버(237)의 끝단은 항상 프레임(220)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배치된다. 레버(237)는 회전돌기(235)와 연결된다. 레버(237)는 연결부(233)와 연결된다. 레버(237)는 지지부(231)의 회전 정도를 조절한다. 레버(237)는 바스켓(100)의 우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레버(237)는 연결부(233)와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바스켓(200)의 상하이동시 레버(237)가 회전돌기(235)의 연직방향을 경유하며 피봇운동하도록 형성된다.
레버(237)는 연결부(233)와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절곡형성된다. 레버(237)는 연결돌기의 전후방향으로 피봇운동한다. 레버(237)가 피봇운동하면 바스켓(200)은 상하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프레임(220)의 측벽에 배치되어 레버(237)가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홀더(240)를 더 포함한다.
홀더(240)는 프레임(220)의 측벽에 배치된다, 홀더(240)는 레버(237)의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홀더(240)는 레버(237)를 고정한다. 홀더(240)는 레버(237)가 배치된 프레임(220)의 일측에 배치된다. 홀더(240)는 프레임(220) 의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홀더(240)는 합성수지를 원료로 사출성형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홀더(240)는 프레임(220)에 장착되는 홀더지지부(241); 일측은 홀더지지부(241)와 연결되고 타측은 바스켓(200)을 상향이동시키는 레버(237)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243); 및 걸림부(243)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레버(237)가 걸림 고정되도록 하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만곡부(245)를 포함한다.
홀더지지부(241)는 프레임(220)(120)에 장착된다. 홀더지지부(241)는 프레임(220)의 측벽에 배치된 패널 형상일 수 있다. 홀더지지부(241)는 프레임(220)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홀더지지부(241)는 조절부지지대(26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지지부(241)는 레버(237)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부(243)의 일측은 홀더지지부(241)와 연결된다. 걸림부(243)의 타측은 바스켓(200)을 상향이동시키는 레버(237)의회전 방향으로 연장된다. 걸림부(243)의 타측은 바스켓(200)의 전방을 향하여 신장된다. 걸림부(243)의 타측은 도어(2)를 향하여 신장될 수 있다.
만곡부(245)는 걸림부(243)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다. 만곡부(245)는 레버(237)가 걸림고정되도록 하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만곡부(245)는 레버(237)의 회전축 방향으로 만입된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레버(237)는 만곡부(245)의 측면을 관통하여, 만곡부(245)에 삽입장착될 수 있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레버(237)는 만곡부(245)와 접하는 면에서 만곡부(245) 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레버(237)는 만곡부(245)의 측면에서 타측면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타 측면을향해 절곡된 레버(237)는 다시 회전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레버(237)는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만곡부(245)에 삽입 장착되는 장착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돌기는 레버(237)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장착돌기는 만곡부(245)에 삽입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만곡부(245)의 개구된 상측 끝단은 돌출턱(244)이 형성되어, 레버(237)의 복원을 억제한다. 돌출턱(244)은 바스켓(100)을 들어올리는 레버(237)의 회전방향을 향해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만곡부(245)는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레버(237)가 걸림장착된다. 레버(237)는 후크형상의 만곡부(245)에 장착된다. 만곡부(245)의 개구된 면에는 레버(237)가 삽입장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만곡부(245)를 하향이동시켜 만곡부(245)에 고정된 레버(237)가 탈거되도록 만곡부(245)로부터 연장된 해제부(2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제부(247)는 만곡부(245)와 연결된다. 해제부(247)는 만곡부(245)로부터 연장되어 장착부(153)의 반대방향으로 신장된다. 해제부(247)는 바스켓(100)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해제부(247)는 레버(237)의 회전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해제부(247)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43)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43)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43)는 레버(237)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걸림부(243)는 레버(237)의 이동궤적과 동일한 곡률로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홀더(240)는 바스켓(200)을 하향이동시키는 레버(237)의 회전 방향에 배치되고, 홀더지지부(241)와 연결되어 레버(237)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부(249)를 더 포함한다. 제한부(249)는 만곡부(245)의 반대방향에 형성된다. 제한부(249)는 레버(237)가 바스켓(200)의 하향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한부(249)는 레버(237)가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면 충분하다. 일 예로 제한부(249)는 레버(237)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한 돌출물이면 충분하다.
홀더지지부(241), 걸림부(243), 만곡부(245), 해제부(247) 및 제한부(249)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2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홀더(240)는 합성수지를 원료로 사출성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321, 323)와 그 주변 부품들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홀더(240) 및 프레임(220)은 일체로 형성되고, 프레임(220))에는 회전돌기(235)가 삽입되는 회전홀(261b)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식기세척기(1)는 가이드패널(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패널(250)은 프레임(220)의 전방 및 후방에 장착된다. 가이드패널(250)의 일면은 가이드패널(250)을 프레임(22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는 가이드패널(250)을 프레임(220)에 고정시킨다. 가이드패널(250)에는 후크(259)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바스켓(200)은 일체형 프레임(280)에의해 지지되고, 일체형 프레임(280)은 조절부(13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바스켓(10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일체형 프레임(280)은 홀더(240), 프레임(220), 조절부지지대(260) 및 가이드패널(250)을 모두 포함한다. 일체형 프레임(280)은 합성수지를 원료로 사출성형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공간 조절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4); 세척조(4) 내에 배치된 하부바스켓(300); 세척조(4) 내에서, 하부바스켓(300) 상측에 배치되어 하부바스켓(300)과 제 1 하측수용공간(S1)을 형성하는 제 1 상부바스켓(311); 하부바스켓(300) 상측에 제 1 상부바스켓(311)과 나란히 배치되어 하부바스켓(300)과 제 2 하측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상부바스켓(312); 및 제 1 하측수용공간(S1)이 늘어나도록, 제 1 상부바스켓(311)이 제 2 상부바스켓(312) 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부(321, 323)를 포함한다.
세척조(4) 내부에는 세척수가 분사된다. 세척조(4) 내부에는 식기가 수용된다. 세척조(4)는 도어(2)에 의해 개폐된다. 세척조(4)는 도어(2)에 의해 밀폐된다. 세척조(4)의 내부에는 식기를 수용하는 바스켓(300, 311, 312)이 배치된다.
바스켓(300, 311, 312)은 식기를 수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바스켓(300, 311, 312)은 복수로 배치된다. 바스켓(300, 311, 312)은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300, 311, 312)은 와이어 또는 합성수지에 의해 격자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20)은 바스캣을 수용한다. 프레임(320)은 합성수지 및 와이어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20)은 세척조(4) 내부에 배치된다. 프레임(320)은 세척조(4) 내부에서 전후 또는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스켓(300, 311, 312)은 세척조(4)의 상부와 하부로 나뉘어 배치될 수 있다. 하부바스켓(300)은 세척조(4)의 하부에 배치된다. 하부바스켓(300)의 상측에는 상부바스켓(311, 312)이 배치된다. 하부바스켓(300)의 식기수용용량과 상부바스켓(311, 312)의 식기수용용량은 다를 수 있다. 식기수용용량은 바스켓(300, 311, 312))의 밑면의 넓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식기수용용량은 바스켓(300, 311, 312))의 밑면과 바스켓(300, 311, 312)) 상단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장애물은 다른 바스켓(300, 311, 312))일 수도 있다. 여기서 장애물은 세척조(4) 상단과의 거리일 수도 있다. 식기수용용량은 식기수용공간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여기서, 식기수용공간은 바스켓(300, 311, 312))의 밑면으로부터 바스켓(300, 311, 312)) 상단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공간을 의미한다. 식기수용공간은 배치된 바스켓(300, 311, 312))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달리 정해진다.
제 1 상부바스켓(311)은 세척조(4) 내에 배치된다. 제 1 상부바스켓(311)은 세척조(4)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 1 상부바스켓(311)은 하부바스켓(300)의 식기수용공간을 제한한다. 제 1 상부바스켓(311)은 하부바스켓(300)의 식기수용용량을 제한한다. 제 1 상부바스켓(311)과 하부바스켓(300) 사이에는 제 1 하측수용공간(S1)이 형성된다. 제 1 하측수용공간(S1)은 하부바스켓(300)에 수용될 수 있는 식기의 크기, 모양, 높이등을 결정한다. 제 1 하측수용공간(S1)은 제 1 상부바스켓(311)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제 2 상부바스켓(312)은 세척조(4) 내에 배치된다. 제 2 상부바스켓(312)은 제 1 상부바스켓(311)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제 2 상부바스켓(312)은 하부바스켓(300)의 식기수용공간을 제한한다. 제 2 상부바스켓(312)은 하부바스켓(300)의 식기수용용량을 제한한다. 제 2 상부바스켓(312)과 하부바스켓(300) 사이에는 제 2 하측수용공간(S2)이 형성된다. 제 2 하측수용공간(S2)은 하부바스켓(300)에 수용될 수 있는 식기의 크기, 모양, 높이등을 결정한다. 제 2 하측수용공간(S2)은 제 2 상부바스켓(312)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하부바스켓(300)은 좌우로 나란히 배치된 제 1 하부바스켓(300) 및 제 2 하부바스켓(300)으로 나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부바스켓(300)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예로 설명한다.
하부바스켓(300)의 전체 밑면은 제 1 상부바스켓(311)의 하단에 위치한 제 1 하부밑면(미도시)과, 제 2 상부바스켓(312)의 하단에 위치한 제 2 하부밑면(미도시)으로 나뉠 수 있다. 제 1 하부 밑면과 제 2 하부밑면을 합하면 하부바스켓(300)의 전체 밑면이 된다. 제 1 하부밑면은 제 1 하측수용공간(S1)의 밑면이 된다. 제 2 하부밑면은 제 2 하측수용공간(S2)의 밑면이 된다.
제 1 상부바스켓(311) 및 제 2 상부바스켓(312)이 나란히 배치된 경우, 제 1 하측수용공간(S1)의 상단에는 S3가 형성되어 있다. S3는 제 1 상부바스켓(312)의 바닥면과 세척조(4)의 천장까지의 공간이다. S4는 제 2 상부바스켓(312)의 바닥면과과 세척조(4)의 천장까지의 공간이다.
제 1 하측수용공간(S1)과 제 2 하측수용공간(S2)의 높이는 하부바스켓(300)의 상단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거리에 의해 정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상부바스켓(311)과 제 2 상부바스켓(312)이 이동하더라도, 제 1 하부밑면과 제 2 하부밑면은 이동 또는 변형되지 않는 것으로 정의한다.
제 1 및 제 2 하측수용공간(S1, S2)은 상기 정해진 제 1 하부밑면과 제 2 하부밑면을 기준으로 상단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관계를 통해 정해진다. 제 1 및 제 2 하측수용용량은 상기 정해진 제 1 하부밑면과 제 2 하부밑면을 기준으로 상단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관계를 통해 정해진다.
일 예로, 제 1 상부바스켓(311)을 세척조(4)에서 탈거한다면, 제 1 하측수용공간(S1)은 상기 정해진 제 1 하부밑면과 세척조(4)의 천장까지의 공간을 의미한다. 다른 예로, 제 1 상부바스켓(311)을 제 2 상부바스켓(312)위에 올려놓는다면, 제 1 하측수용공간(S1)은 상기 정해진 제 1 하부밑면과 세척조(4)의 천장까지의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두가지 예에서, 제 1 하측수용공간(S1)은 동일한 것으로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부바스켓(300)과 제 1 상부바스켓(311) 사이에 제 1 하측수용공간(S1)이 형성된다. 제 1 하측수용공간(S1)은 제 1 하부밑면과 제 1 하부밑면의 상단에 위치한 제 1 상부바스켓(311) 사이의 공간이다.
제 2 상부바스켓(312)은 제 1 상부바스켓(311)과 나란히 배치된다. 제 2 상부바스켓(312)과 하부바스켓(300) 사이에는 제 2 하측수용공간(S2)이 형성된다. 제 2 하측수용공간(S2)은 제 2 하부밑면과 제 2 상부바스켓(312) 사이의 공간이다.
이동부(321, 323)는 제 1 상부바스켓(311)을 제 2 상부바스켓(312)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동부(321, 323)는 제 1 하측수용공간(S1)을 증감시킨다. 이동부(321, 323)는 제 1 하부밑면으로부터 식기를 담을 수 있는 높이를 증가시킨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가 포함된 바스켓과 그 주변부품들을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가 포함된 바스켓과 그 주변부품들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부(321, 323)는 제 1 상부바스켓(311)을 수용하는 프레임(320); 프레임(320)에 배치되어, 제 1 상부바스켓(311)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331, 332); 및 프레임(320)을 제 2 상부바스켓(312) 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프레임(320)과 연결된 레일을 포함한다.
이동부(321, 323)는 프레임(320)을 포함한다. 프레임(320)은 바스켓(311, 312)을 수용한다. 프레임(320)은 바스켓(311, 312)을 지지한다. 프레임(320)은 레일(340)과 연결된다. 프레임(320)은 조절부(331, 332)가 배치된다. 프레임(320)은 수평이동가능하게 레일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320)은 세척조(4)내에서 좌우로 이동한다.
제 1 상부바스켓(311)은 프레임(320)에 배치된다. 제 1 상부바스켓(311)은 프레임(320)에 수용된다. 제 1 상부바스켓(311)은 조절부(331, 3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 1 상부바스켓(311)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상부바스켓(311)은 조절부(331, 332)에 의해 높낮이가 조절된다.
조절부(331, 332)는 제 1 상부바스켓(311)의 높이를 조절한다. 조절부(331, 332)는 제 1 상부바스켓(311)의 일측의 높이를 조절할수 있다. 조절부(331, 332)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레일(340)은 프레임(320)과 연결된다. 레일(340)은 프레임(320)을 지지한다. 레일(340)은 프레임(320)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레일(340)은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340)은 제 2 상부바스켓(312)과 연결된다. 레일(340)은 제 2 상부바스켓(312)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제 1 상부바스켓(311)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320)의 측면으로 돌출된 걸림돌기(315)를 더 포함하고, 조절부(331)는 수평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걸림돌기(315)의 상하이동을 제한하는 래치(331a)를 포함한다.
걸림돌기(315)는 제 1 상부바스켓(311)에 형성된다. 걸림돌기(315)는 제 1 상부바스켓(311)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걸림돌기(315)는 프레임(320)의 측면으로 돌출된다. 걸림돌기(315)의 상하이동은 래치(331a)에 의해 제한된다. 걸림돌기(315)의 이동경로는 래치(331a)의 이동경로와 교차한다. 걸림돌기(315)의 이동경로는 래치(331a)의 이동경로와 직교한다. 바람직하게는 걸림돌기(315)는 제 1 상부바스켓(311)의 전면 및 후면에 쌍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래치(331a)는 걸림돌기(315)의 상하이동을 제한한다. 래치(331a)는 수평이동한다. 래치(331a)는 걸림돌기(315)의 이동경로와 교차한다. 래치(331a)의 이동경로는 걸림돌기(315)의 이동경로와 직교한다. 바람직하게는 래치(331a)는 프레임(3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쌍으로 배치된다.
래치(331a)는 좌우 쌍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래치(331a) 사이에는 탄성부재(331c)가 배치된다. 탄성부재는 일 예로 스프링일 수 있다. 버튼(331a)은 래치(331a)의 위치를 조절한다. 래치(331a)의 사이에는 버튼(331b)이 배치될 수 있다.
버튼(331b)은 래치(331a)의 간격을 조절한다. 버튼(331b)이 눌려지면 래치(331a)는 간격이 좁아진다. 버튼(331b)이 눌려지면 래치(331a)는 걸림돌기(315)의 이동경로에서 벗어난다. 탄성부재(331c)는 래치(331a)의 위치를 복원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조절부(332)는 프레임(32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 1 상부바스켓(311)을 프레임(320)으로부터 들어올린다.
조절부(332)는 프레임(320)의 측면에 배치된다. 조절부(332)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조절부(332)는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제 1 상부바스켓(311)의 밑면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조절부(332)는 제 1 상부바스켓(311)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절곡된다. 조절부(332)는 제 1 상부바스켓(311)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프레임(320)의 좌우측면에 연결된다.
조절부(332)는 제 1 상부바스켓(311)을 들어올리는 레버(332a) 를 포함한다. 레버(332a)는 프레임(32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부위로부터 신장되어 형성된다. 프레임(320)의 측벽에는 홀더(335)가 형성될 수 있다. 홀더(335)는 조절부(332)의 회전축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335)는 레버(332a)의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홀더(335)는 레버(332a)를 특정위치에서 구속한다. 홀더(335)는 레버(332a)를 고정하여 제 1 상부바스켓(311)의 높이를 고정한다.
레버(332a)는 회전돌기(332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돌기(332b)는 조절부(332)의 회전축에 배치된다. 회전돌기(332b)는 프레임(32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회전돌기(332b)는 레버(332a)와 연결된다.
레일(340)은 세척조(4) 내에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순서대로 나열된 제 1 레일(341), 제 2 레일(342), 제 3 레일(343) 및 제 4 레일(344); 및 제 1 레일(341), 제 2 레일(342), 제 3 레일(343) 및 제 4 레일(344)의 좌측 끝단과 우측 끝단을 각각 연결하도록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측면레일(346)들을 포함하고, 제 2 상부바스켓(312)의 전면 및 후면은 제 2 레일(342) 및 상기 제 3 레일(343)에 장착된다.
레일(340)은 세척조(4) 내에 배치된다. 레일(340)은 프레임(220)(120)을 지지한다. 레일(340)은 제 1바스켓(100) 및 제 2 상부바스켓(312)을 지지한다. 레일(340)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레일(340)은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340)은 복수로 배치된다.
레일(340)은 좌우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레일(340)은 전후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레일(34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순서대로, 제 1 레일(341), 제 2 레일(342), 제 3 레일(343) 및 제 4 레일(344)이 배치된다. 제 2 레일(342)과 제 3 레일(343)의 간격은 그 사이에 제 2 상부바스켓(312)이 배치될 수 있도록 충분히 넓다. 제 2 상부바스켓(312)과 나란히 배치된 제 1 상부바스켓(311)은 제 1 레일(341) 및 제 4 레일(344)에 의해 지지된다. 제 2 레일(342) 및 제 3 레일(343)은 프레임(320)의 전방 및 후방을 지지한다.
제 1 상부바스켓(311)은 제 1 레일(341) 및 제 4 레일(344)에 지지되어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제 1 레일(341), 제 2 레일(342), 제 3 레일(343) 및 제 4 레일(344)의 양측 끝단은 세척조(4) 하부방향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측면레일(346)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측면레일(346)은 좌우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측면레일(346)은 제 1 레일(341), 제 2 레일(342), 제 3 레일(343) 및 제 4 레일(344)의 좌우 끝단을 직선으로 연결한다. 측면레일(346)은 제 1 레일(341), 제 2 레일(342), 제 3 레일(343) 및 제 4 레일(344)의 좌우 끝단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측면레일(346)은 세척조(4)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측면레일(346)은 도어(2)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측면레일(346)은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레일(342) 및 제 3 레일(343)은 제 2 상부바스켓(312)의 전면 및 후면을 지지한다. 측면레일(346)은 제 1 및 제 2 상부바스켓(311, 312) 및 프레임(32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측면레일(346)은 롤러(36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측면레일(346)에는 롤러(360)가 배치되어 세척조(4) 내부에서 레일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측면레일(346)에는 롤러(360)가 배치된다. 롤러(360)는 측면레일(346)에 복수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측면레일(346)은 좌우로 배치되고, 일측에 배치된 측면레일(346)은 상하로 복수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일 측면은 프레임(320)과 연결되고, 타 측면은 프레임(320)이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340)에 걸림장착되는 후크(359)가 형성된 가이드패널(350)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패널(350)은 프레임(320)의 전면 및 후면과 연결된다. 가이드패널(350)은 프레임(320)의 전방 및 후방과 연결된다. 가이드패널(350)은 제 1 레일(341) 및 제 4 레일(344)과 연결된다. 가이드패널(350)은 프레임(320)을 제 1 레일(341) 및 제 4 레일(344)에 고정한다. 가이드패널(350)은 프레임(320)을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제 1 레일(341) 및 제 4 레일(344)과 연결한다.
가이드패널(350)은 후크(359)가 형성된다. 후크(359)는 가이드패널(350)에 복수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후크(359)는 가이드패널(350)의 상측에 복수로 형성된다. 후크(359)는 제 1 레일(341) 및 제 4 레일(344)에 걸림장착된다. 후크(359)는 프레임(320)이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제 1 레일(341) 및 제 4 레일(344)에 걸림장착된다.
가이드패널(350)은 프레임(32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배치된다. 가이드패널(350)은 프레임(320)의 전방 및 후방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4); 세척조(4)의 상측에 나란히 배치된 제 1 상부바스켓(311) 및 제 2 상부바스켓(312); 제 1 상부바스켓(311) 및 제 2 상부바스켓(312)의 하측에 배치되어, 식기가 수용되는 하측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바스켓(300); 하측수용공간(S1, S2)의 최대 높이를 증가시키기위해, 제 1 상부바스켓(311)을 상기 제 2 상부바스켓(312) 측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이동부(321, 323)를 포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H1은 하부바스켓(300)의 바닥면에서부터, 제 1 상부바스켓(311) 및 제 2 상부바스켓(312)의 바닥면까지의 높이이다. H2는 제 1 상부바스켓(311) 및 제 2 상부바스켓(312)의 높이이다. H3은 제 1 상부바스켓(311) 및 제 2 상부바스켓(312)의 상측면에서부터 세척조의 천장까지의 높이이다.
제 1 상부바스켓(311) 및 제 2 상부바스켓(312)이 나란히 배치된 경우, 하측수용공간(S1, S2)의 최대 높이는 H1 이다. 그러나, 제 1 상부바스켓(311)을 제 2 상부바스켓(312) 측으로 이동시킬 경우, 하측수용공간(S1, S2)의 최대 높이는 H1, H2 및 H3의 합인 H4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4); 식기가 수용되고, 세척조(4)의 상측에 나란히 배치된 제 1 상부바스켓(311) 및 제 2 상부바스켓(312); 식기가 수용되고, 제 1 상부바스켓(311) 및 제 2 상부바스켓(312)의 하측에 배치된 하부바스켓(300); 제 1 상부바스켓(311)을 상기 제 2 상부바스켓(312)과 ?쳐지도록 이동시켜, 하부바스켓(300)에 수용가능한 식기의 최대 높이를 제 1 상부바스켓(311)에 수용가능한 식기의 높이만큼 증가시키는 이동부(321, 323)를 포함한다.
제 1 상부바스켓(311) 및 제 2 상부바스켓(312)이 나란히 배치된 경우, 하부바스켓(300)에 수용가능한 식기의 최대 높이는 H1이다. 제 1 상부바스켓(311)에 수용가능한 식기의 최대높이는 H2와 H3의 합이다. 이동부는 하부바스켓(300)에 수용가능한 식기의 최대 높이를 H4로 형성한다. 이동부(321, 323)는 하부바스켓(300)에 수용가능한 식기의 최대 높이를 H4로 형성한다. 이동부(321, 323)는 하부바스켓(300)에 수용가능한 식기의 최대 높이를 H2와 H3의 합만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4); 식기가 수용되는 바스켓(311, 312); 바스켓(311, 312)을 수용하고 세척조(4)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320); 프레임(320)에 배치되어, 바스켓311, 312)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부(331, 332); 프레임(320)이 세척조(4) 내부에서 수평이동하여, 바스켓(311, 31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레일(400)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스켓(311, 312)은 제 1 상부바스켓(311) 및 제 2 상부바스켓(312)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를 활용하는 예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를 활용하는 다른 예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를 활용하는 또 다른 예이고,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를 활용하는 또 다른 예이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제 1 상부바스켓(311)과 제 2 상부바스켓(312)을 나란히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1 상부바스켓(311)과 제 2 상부바스켓(312)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제 1 상부바스켓(311)과 제 2 상부바스켓(312)에 수용가능한 식기의 최대 높이는 H2 및 H3의 합일 수 있다. 제 1 상부바스켓(311)과 제 2 상부바스켓(312)의 식기수용용량은 동일할 수 있다. 제 1 상부바스켓(311)과 제 2 상부바스켓(312)의 식기수용공간은 동일할 수 있다. S3 과 S4는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제 1 상부바스켓(311)의 어느 일측을 기울여 배치할 수 있다. 제 1 상부바스켓(311)의 높이는 어느 한쪽이 높을 수 있다. 제 1 상부바스켓(311)에 수용가능한 식기의 최대 높이는 어느 한쪽이 높을 수 있다. 제 1 상부바스켓(311)에는 어느 한쪽의 높이가 높게 형성된 식기를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제 1 상부바스켓(311)을 제 2 상부바스켓(312)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 1 상부바스켓(311)은 제 2 상부바스켓(312)의 대각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제 1 상부바스켓(311)에 수용가능한 식기의 최대 높이는 제 2 상부바스켓(312)에 수용가능한 식기의 최대 높이보다 높다. 예를 들어, 제 1 상부바스켓(311)에는 밥그릇이나 국그릇을 담을 수 있다. 제 2 상부바스켓(312)에는 수저나 젖가락등을 담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제 1 상부바스켓(311)을 제 2 상부바스켓(312)의 하단에 배치할 수 있다. 하부바스켓(300)에 수용가능한 식기의 최대 높이는 어느 일측이 높아질 수 있다. 이 경우, 하부바스켓(300)의 어느 한쪽의 수용가능한 식기의 최대 높이는 H4가 된다. 하부바스켓(300)의 다른 한쪽의 수용가능한 식기의 최대 높이는 H1에서 H2를 뺀 높이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도어(2)를 개방하고 프레임(220)을 전방으로 당겨 바스켓(200)을 노출시킨다. 바스켓(200)에는 식기를 수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바스켓(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바스켓(200)을 기울어지게 배치할 수도 있다. 조절부(230)는 프레임(220)의 전방 및 후방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우선 사용자가 바스켓(200)의 높이를 증가시킬 경우, 사용자는 레버(237)를 당긴다. 레버(237)는 회전돌기(235)를 회전시킨다. 회전돌기(235)는 연결부(233)와 연결되어있다. 레버(237)의 회전정도에 따라 지지부(231)도 회전한다. 지지부(231)는 회전돌기(235)를 회전축으로 프레임(220))의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회전한다.
지지부(231)는 바스켓(200)의 밑면을 지지한다. 지지부(231)는 바스켓(200)을 프레임(220)의 하단에서 상단방향으로 들어올린다. 레버(237)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굽어진 걸림부(243)를 따라 만곡부(245)를 향해 이동한다. 만곡부(245)를 따라 이동하던 레버(237)는 만곡부(245)의 측면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버(237)는 만곡부(245)에 삽입장착된다. 만곡부(245)는 돌출턱(24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버(237)의 이동은 제한된다. 따라서 바스켓(200)은 일정높이를 유지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조절부(230)를 이용하여 바스켓(200)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사용자가 바스켓(200)의 높이를 감소시킬 경우, 사용자는 해제부(247)를 누른다. 홀더(240)는 전체적으로 적당한 탄성력을 갖는 재질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해제부(247)가 눌려지면 만곡부(245)도 눌려진다. 만곡부(245)와 함께 돌출턱(244)도 내려간다. 따라서, 레버(237)는 돌출턱(244)으로부터 해제된다.
바스켓(200)은 중력방향으로 향해 지지부(231)에 힘을 가하므로, 지지부(231)는 자연스럽게 회전한다. 지지부(231)의 회전으로 레버(237)도 회전한다. 레버(237)는 제한부(249)에 의해 회전이 정지된다. 지지부(231)와 함께 바스켓(200)도 하향이동 하므로, 바스켓(200)은 높이가 낮아진다.
상기와 같은 작용단계를 통해 사용자는 바스켓(200)의 일측의 높이만을 조정하거나, 바스켓(200) 양측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바스켓(200)의 높이가 조절되면, 바스켓(200)과 세척조(4)의 상부와의 높이도 달라지므로 바스켓(200)에 담을 수 있는 식기의 용량이나, 식기의 높이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바스켓(200)을 상하로 복수로 배치한 경우, 상부에 배치된 바스켓(200)의 높낮이를 달리하면, 하부에 배치된 바스켓(200)의 식기수용용량도 조절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식기세척기 2: 도어
3: 캐비닛 4: 세척조
100: 바스켓 105: 걸림돌기
120: 프레임 130: 조절부
131: 래치 133: 탄성부재
135: 삽입부 140: 버튼
141: 누름부 150: 가이드 패널
151: 지지패널 153: 장착부
155: 가이드클램프 157: 수직이동홈
159: 후크 200: 바스켓
220: 프레임 230: 조절부
231: 지지부 233: 연결부
235: 회전돌기 237: 레버
240: 홀더 241: 홀더지지부
243: 걸림부 244: 돌출턱
245: 만곡부 247: 해제부
249: 제한부 250: 가이드패널
259: 후크 260: 조절부지지대
261a: 회전홀 261b: 회전홀
270: 조절부 271: 홀더지지부
273: 걸림부 275: 회전돌기
277: 레버 280: 일체형 프레임
281: 프레임리브 300: 하부바스켓
311: 제 1 상부바스켓 312: 제 2 상부바스켓
315: 걸림돌기 S1: 제 1 하측수용공간
S2: 제 2 하측수용공간 320: 프레임
321: 이동부 323: 이동부
331: 조절부 331a: 래치
331b: 버튼 331c: 탄성부재
332: 조절부 332a: 래버
332b: 회전돌기 335: 홀더
340: 레일 341: 제 1 레일
342: 제 2 레일 343: 제 3 레일
344: 제 4 레일 346: 측면레일
350: 가이드패널 359: 후크
360: 롤러

Claims (18)

  1.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식기가 수용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을 수용하고, 상기 세척조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바스켓의 적어도 일단을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들어올리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바스켓의 전방 및 후방의 높이를 조절하는 식기세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바스켓의 밑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소정의 회전 반경을 갖도록 상기 지지부와 이격되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돌기; 및
    상기 회전돌기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 및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프레임의 좌우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식기세척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돌기가 삽입되는 회전홀이 형성된 조절부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연결부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의 회전 정도를 조절하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연결부와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상기 바스켓의 상하이동시 상기 레버가 상기 회전돌기의 연직방향을 경유하며 피봇운동하도록 형성된 식기세척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가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홀더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지지되는 홀더지지부;
    일측은 상기 홀더지지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바스켓을 상향이동시키는 레버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레버가 걸림 고정되도록 하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만곡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만곡부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만곡부에 삽입장착될 수 있도록 만곡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식기세척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가 걸림장착되는 식기세척기.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개구된 상측 끝단은 돌출턱이 형성되어 상기 레버의 복원을 억제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만곡부를 하향이동시켜 상기 만곡부에 고정된 상기 레버가 탈거되도록 상기 만곡부로부터 연장된 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측으로 볼록하게 굽어져 상기 레버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식기세척기.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을 하향이동시키는 레버의 회전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및 상기 프레임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삽입되는 회전홀이 형성된 식기세척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는 상기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하는 프레임 리브가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8.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식기가 수용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을 수용하고, 상기 세척조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 및
    대략 "U"자 형태로 절곡되어 만곡된 부분이 상기 바스켓의 밑면을 지지하는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회전 정도에 따라 상기 바스켓의 적어도 일측을 들어올리는 식기세척기.
KR1020120131080A 2012-11-19 2012-11-19 식기세척기 KR102002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80A KR102002505B1 (ko) 2012-11-19 2012-11-19 식기세척기
DE102013112714.2A DE102013112714B4 (de) 2012-11-19 2013-11-18 Geschirrspüler
FR1361301A FR2998157B1 (fr) 2012-11-19 2013-11-18 Lave-vaisselle
US14/083,612 US9241608B2 (en) 2012-11-19 2013-11-19 Adjustable dishwasher basket
CN201310589000.5A CN103829902B (zh) 2012-11-19 2013-11-19 洗碗机
GB1320401.1A GB2508730B (en) 2012-11-19 2013-11-19 Dishwasher
GB1507580.7A GB2522573B (en) 2012-11-19 2013-11-19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080A KR102002505B1 (ko) 2012-11-19 2012-11-19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120A true KR20140064120A (ko) 2014-05-28
KR102002505B1 KR102002505B1 (ko) 2019-07-22

Family

ID=4988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080A KR102002505B1 (ko) 2012-11-19 2012-11-19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41608B2 (ko)
KR (1) KR102002505B1 (ko)
CN (1) CN103829902B (ko)
DE (1) DE102013112714B4 (ko)
FR (1) FR2998157B1 (ko)
GB (2) GB252257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641A (ko) * 2015-08-18 201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170108789A (ko) * 2016-03-18 201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식기 랙
KR20200055460A (ko) * 2018-11-13 2020-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10170B1 (en) * 2012-09-26 2017-08-02 Foshan Shunde Midea Washing Appliances Mfg. Co., Ltd. Tray supporting apparatus for dishwasher, cutlery tray assembly and dishwasher
CN106137084B (zh) * 2015-03-27 2020-06-30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搁架及具有该搁架的洗碗机
SE539820C2 (en) * 2015-04-15 2017-12-12 Diskomat Ab Dishwasher accessory for a dishwasher basket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using said accessory
CN107440664B (zh) * 2016-05-30 2020-12-18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及安装在该洗碗机内用于支撑器具的支撑架
US10426315B2 (en) * 2017-02-21 2019-10-01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CN109946855A (zh) * 2017-12-21 2019-06-28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眼镜架和洗碗机
KR102512217B1 (ko) * 2018-05-10 2023-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20032389A1 (en) 2018-08-07 2020-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412A (ko) * 2006-07-12 200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바구니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20080044078A (ko) * 2006-11-15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랙
US20100078048A1 (en) * 2006-11-23 2010-04-01 Bsh Bosch Und Siemens Haugeräte Gmbh Cutlery basket for a dishwasher and dishwash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2085A (en) * 1971-12-27 1974-07-02 Gen Electric Dishwashing machine rack level adjustment system
US4097099A (en) * 1976-12-29 1978-06-2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rack supporting and adjusting apparatus
US5480035A (en) * 1994-02-07 1996-01-02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rack with adjustable shelf
US5860716A (en) * 1997-03-28 1999-01-19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Dishwasher rack adjustment mechanism
DE20117421U1 (de) * 2001-10-24 2002-01-03 Hettich Paul Gmbh & Co Korbartiger Behälter eines Haushaltsgerätes
JP3645884B2 (ja) * 2002-11-05 2005-05-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浄機
KR20040076668A (ko) 2003-02-26 2004-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0739563B1 (ko) * 2003-08-20 2007-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랙(rack) 높이 조절장치
SE0401122D0 (sv) * 2004-04-29 2004-04-29 Electrolux Home Prod Corp Basket lifting arrangement for a dishwasher
DE102006055349B3 (de) * 2006-11-23 2008-03-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ägermechanismus für einen Geschirrkorb
US7731805B2 (en) * 2006-11-30 2010-06-08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rack lift system
KR101318361B1 (ko) * 2006-12-29 2013-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7775378B2 (en) * 2007-05-04 2010-08-1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dishwasher rack and associated method
US8674883B2 (en) 2011-05-24 2014-03-1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Antenna using through-silicon via
US8567882B1 (en) * 2013-01-09 2013-10-29 General Electric Company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rack assemblies of applian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412A (ko) * 2006-07-12 200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바구니 높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20080044078A (ko) * 2006-11-15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랙
US20100078048A1 (en) * 2006-11-23 2010-04-01 Bsh Bosch Und Siemens Haugeräte Gmbh Cutlery basket for a dishwasher and dishwash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641A (ko) * 2015-08-18 2017-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170108789A (ko) * 2016-03-18 201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를 위한 접을 수 있는 식기 랙
KR20200055460A (ko) * 2018-11-13 2020-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WO2020101202A1 (ko) * 2018-11-13 2020-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US11751750B2 (en) 2018-11-13 202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ck assembly and dishwasher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37905A1 (en) 2014-05-22
GB2522573A (en) 2015-07-29
GB201320401D0 (en) 2014-01-01
FR2998157A1 (fr) 2014-05-23
GB2522573B (en) 2016-03-30
CN103829902A (zh) 2014-06-04
US9241608B2 (en) 2016-01-26
DE102013112714B4 (de) 2019-01-31
FR2998157B1 (fr) 2017-03-31
DE102013112714A1 (de) 2014-05-22
CN103829902B (zh) 2017-01-11
GB201507580D0 (en) 2015-06-17
GB2508730A (en) 2014-06-11
GB2508730B (en) 2015-09-09
KR102002505B1 (ko)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505B1 (ko) 식기세척기
KR101961373B1 (ko) 식기세척기
KR20140064119A (ko) 식기세척기
US10022037B2 (en) Dishwasher with vertically adjustable dish rack
US9579009B2 (en) Dishwasher with vertically adjustable dish rack
US9241604B2 (en) Adjustable dishwasher conduit valve system
US10722101B2 (en) Dishwasher with slidable tine assembly
KR102512217B1 (ko) 식기세척기
WO2008060029A1 (en) Dishwasher having rack assembly with movable shelves
EP2242415A1 (en) Height adjustable rack for a dishwasher
US11089936B2 (en) Dishwasher and home appliance
KR20140115653A (ko) 식기세척기
US10602909B2 (en) Stable height adjuster mechanism
KR20200016773A (ko) 식기세척기
KR20230067345A (ko) 식기세척기
JP3546809B2 (ja) 食器洗浄機
KR101783612B1 (ko) 식기처리기
JP2003070712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