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381A - 랙 및 랙의 전력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랙 및 랙의 전력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381A
KR20140063381A KR1020130064047A KR20130064047A KR20140063381A KR 20140063381 A KR20140063381 A KR 20140063381A KR 1020130064047 A KR1020130064047 A KR 1020130064047A KR 20130064047 A KR20130064047 A KR 20130064047A KR 20140063381 A KR20140063381 A KR 20140063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main power
unit
power source
mal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8357B1 (ko
Inventor
하오옌 콴
수옌 왕
Original Assignee
인벤텍 (푸동)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텍 (푸동)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벤텍 (푸동)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63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15Redundant power supp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복수의 노드들을 갖는 랙의 전력제어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각 노드의 전력 정보가 수신된다. 전력 정보에 따라 복수의 노드들의 총 전력소비 값이 계산된다. 총 전력소비값과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에 따라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가 계산된다.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가 쌍으로 개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는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는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랙 및 랙의 전력제어방법{RACK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본원은 전력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랙 및 랙의 전력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해, 개개의 서버들의 성능 및 효율이 최근에 강조되고 있다. 이런 개념을 기초로, 서버들은 작업의 분할 및 별개의 동작을 고려해 설계된다. 즉, 각 서버 노드는 상태에 따라 그리고 에너지 절약 및 성능 간의 상쇄를 고려해 에너지 소비를 동적으로 조절한다.
그러나, 이 개념 하에서, 서버 노드들은 작업 분할에 제한받고 서로 협력할 수 없어, 종종 거의 성능이 동일한 상태에서 데이터 센터에 있는 모든 서버 노드들이 동시에 동작하는 시나리오가 되어, 전력소비가 과도해진다. 또한,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서버에 있는 모든 전원부들이 서버의 해당 서버 노드에 필요한 전원 전압을 제공하도록 개시된다. 그러나, 서버의 실제 동작 동안, 서버 노드들은 항상 전부하(full-load)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과도한 전력소비가 야기된다. 따라서, 서버의 전력소비를 효과적으로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관점에서, 본원은 서버의 전력소비를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한 랙 및 랙의 전력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실시예는 랙의 전력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랙은 복수의 노드들을 갖는다. 랙의 전력제어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노드들 각각의 전력 정보가 수신된다. 전력 정보에 따라 복수의 노드들의 총 전력소비 값이 계산된다. 총 전력소비값과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에 따라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가 계산된다.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가 쌍으로 개시되어,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는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는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지 않게 된다.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의 입력원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의 입력원은 다르다.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주요 전원부, 복수의 보조 전원부, 복수의 노드, 랙 매니지먼트 컨트롤러(RMC), 및 제어부를 구비하는 랙을 제공한다. 복수의 주요 전원부는 듀티 전압을 각각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보조 전원부는 듀티 전압을 각각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주요 전원부와 보조 전원부는 다른 입력원을 수신한다. 복수의 노드들은 전력 정보를 각각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노드에 연결된 RMC는 전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 정보에 따라 복수의 노드들의 총 전력소비값을 계산하며, 총 전력소비값과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에 따라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를 계산한다. RMC, 주요 전원부, 및 보조 전원부에 연결된 제어부는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를 수용하고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를 쌍으로 개시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는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는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지 않는다.
본원의 또 다른 실시예는 랙 매니지먼트 컨트롤러(RMC)와 제어부를 구비하는 랙을 포함한다. 랙 매니지먼트 컨트롤러는 복수의 노드들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전력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전력 정보에 따라 복수의 노드들의 총 전력소비값을 계산하고 총 전력소비값과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에 따라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를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는 RMC, 주요 전원부 및 보조 전원부에 연결된다. 제어부는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를 수용하고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본원의 랙 및 랙의 전력제어방법에 따르면, 전력 정보에 따라 복수의 노드의 총 전력소비값이 계산되고, 총 전력소비값과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략값에 따라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가 계산되며,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가 쌍으로 개시되어,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는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는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전력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전원부에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 랙이 동작할 수 없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본원은 본 명세서에서 단지 예를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원을 국한하지 않는 하기의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완전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의 전력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의 또 다른 전력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을 위해, 본원의 실시예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많은 특정 세부내용들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이들 특정 세부내용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에서, 잘 알려진 구조 및 디바이스들은 도면을 간략히 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의 개략도이다. 랙(100)은 복수의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N), 복수의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N), 복수의 노드(130_1에서 130_M), RMC(140), 및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본원에서, N 및 M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고, N 및 M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N)는 각각 듀티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즉,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N)가 정상상태에 있을 경우, 이들은 가령 랙(100)에 1차 듀티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N)는 각각 듀티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즉,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N)가 정상상태에 있을 경우, 이들은 가령 랙(100)에 2차 듀티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즉,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N) 모두에서 오작동이 발생하면,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N)가 랙(100)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여, 랙(100)이 여전히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N)와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N)는 가령 500와트(W)의 동일한 최대 공급 전압값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N)의 입력원과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N)의 입력원은 다르다. 가령,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N)의 입력원은 예컨대 메인(즉, 공급 본관 또는 매전(commercial power))이며,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N)의 입력원은 예컨대 배터리 또는 다른 에너지 저장소자들이다.
복수의 노드(130_1에서 130_M)가 전력 정보를 제공하도록 각각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노드(130_1에서 130_M) 각각은 가령 베이스보드 매니지먼트 컨트롤러(BMC)와 연결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BMC는 복수의 노드(130_1에서 130_M)의 전력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복수의 노드(130_1에서 130_M)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게 구성된다. 전력 정보는 가령 전압, 전류, 전력소비 및 복수의 노드(130_1에서 130_M) 같은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연결 인터페이스는 가령 내부집적 인터페이스(I2C) 버스, 직렬 주변장치 인터페이스(SPI) 버스, 또는 다용도 입출력 포트(GPIO) 버스이다.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수의 노드(130_1에서 130_M)의 BMC에 연결된 RMC(40)는 전력 정보(즉, 전압, 전류, 전력소비 및 복수의 노드(130_1에서 130_M) 같은 것)를 수신하고 상기 전력 정보에 따라 복수의 노드(130_1에서 130_M)의 총 전력소비 값을 계산하도록 구성된다.
이 전력정보를 이용해, RMC(140)는 총 전력소비 값과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에 따라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를 계산한다.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은 가령 500W이다. 일반적으로,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는 가령 총 전력소비 값을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으로 나누어 구해진다.
일실시예로, 총 전력소비값이 1400W이고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이 500W라고 하면, RMC(140)는 총 전력소비값과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을 계산해 1400W/500W=2.8인 결과를 얻는다. 즉,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는 2.8개이다. 그러나, 0.8 전원부를 개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RMC(140)는 1전원부 미만을 1 전원부로 취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RMC(140)에 의해 구해진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는 3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총 전력소비값이 1600W이고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이 500W라고 하면, RMC(140)는 총 전력소비값과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을 계산해 1600W/500W=3.2를 얻는다. 즉,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는 3.2개이다. 이 실시예에서, RMC(140)에 의해 구해진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는 4이다.
RMC(140),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N), 및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N)에 연결된 제어부(150)는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를 수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를 쌍으로 시작하도록 복수의 제어신호를 발생하게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어부(150)는 가령 복합 프로그램 가능 논리소자(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CPLD)이다.
가령, RMC(140)에 의해 계산된 온되는 전원부의 계수가 3이라고 하면, 이에 따라 제어부(150)은 예컨대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3) 및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3)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해 제공하여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3) 및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3)를 개시한다.
즉, 제어부(150)는 쌍으로 전원부를 개시한다. 가령, RMC(140)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가 1이면, 제어부(150)는 이에 따라 주요 전원부(110_1) 및 보조 전원부(120_1)를 개시한다. RMC(140)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가 2이면, 제어부(150)는 이에 따라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2) 및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2)를 개시한다.
일반적으로, 제어신호는 가령 개시신호(DC_ON)와 전원신호(DC_Rapidon)를 포함하다. 개시신호(DC_ON)는 전원부의 개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가령, 개시신호(DC_ON)가 로우 레벨에 있으면, 전원부의 동작을 개시하는데 이용된다. 개시신호(DC_ON)가 하이 레벨에 있으면, 전원부의 동작을 멈추는데 사용된다.
전원신호(DC_Rapidon)는 전원부로부터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가령, 전원신호(DC_Rapidon)가 하이 레벨에 있으면, 전원이 예컨대 12.2V의 고전압을 제공하게 할 수 있어, 복수의 노드(130_1에서 130_M)는 고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이용해 동작한다.
전원신호(DC_Rapidon)가 로우 레벨에 있으면, 전원이 예컨대 11.9V의 저전압을 제공하게 할 수 있어, 복수의 노드(130_1에서 130_M)는 저전압을 제공하는 전원부를 이용해 동작하지 않는다.
예컨대, RMC(140)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가 1이면, 제어부(150)는 이에 따라 로우 레벨의 개시신호(DC_ON) 및 하이 레벨의 전원신호(DC_Rapidon)를 발생하여 주요 전원부(110_1)에 제공하고 로우 레벨의 개시신호(DC_ON) 및 로우 레벨의 전원신호(DC_Rapidon)를 발생하여 보조 전원부(120_1)에 제공해, 주요 전원부(110_1) 및 보조 전원부(120_1)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함으로써, 주요 전원부(110_1)는 고전압을 제공하고 보조 전원부(120_1)는 저전압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노드(130_1에서 130_M)는 주요 전원부(110_1)에 의해 제공된 듀티 전압으로 동작하고, 보조 전원부(120_1)는 대기한다. 다시 말하면, 보조 전원부(120)는 백업 전원부로 간주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이에 따라 주요 전원부(110_2에서 110_N) 및 보조 전원부(120_2에서 120_N)에 하이 레벨의 개시신호(DC_ON)를 발생해 제공하여, 주요 전원부(110_2에서 110_N) 및 보조 전원부(120_2에서 120_N)의 동작을 멈추게 한다. 따라서, 전력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RMC(140)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가 2이면, 제어부(150)는 이에 따라 로우 레벨의 개시신호(DC_ON) 및 하이 레벨의 전원신호(DC_Rapidon)를 발생하여 주요 전원부(110_1 및 110_2)에 제공하고 로우 레벨의 개시신호(DC_ON) 및 로우 레벨의 전원신호(DC_Rapidon)를 발생하여 보조 전원부(120_1 및 120_2)에 제공해, 주요 전원부(110_1 및 110_2) 및 보조 전원부(120_1 및 120_2)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함으로써, 주요 전원부(110_1 및 110_2)는 고전압을 제공하고 보조 전원부(120_1 및 120_2)는 저전압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노드(130_1에서 130_M)는 주요 전원부(110_1 및 110_2)에 의해 제공된 듀티 전압으로 동작하고, 보조 전원부(120_1 및 120_2)는 대기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이에 따라 주요 전원부(110_3에서 110_N) 및 보조 전원부(120_3에서 120_N)에 하이 레벨의 개시신호(DC_ON)를 발생해 제공하여, 주요 전원부(110_3에서 110_N) 및 보조 전원부(120_3에서 120_N)의 동작을 멈추게 한다. 따라서, 전력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개시된 후,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N) 및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N)는 각각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N) 및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N)가 정상인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전력양호신호를 전송한다. 그런 후, 전력양호신호는 제어부(150)로 전송될 수 있어,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N) 및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N)가 정상상태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이에 따라 제어부(150)가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이 실시예에서, 전력양호신호가 하이 레벨이면,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N) 및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N)가 정상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전력양호신호가 로우 레벨이면,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N) 및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N)는 정상상태에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3)가 개시되었다고 가정하면, 주요 전원부(110_2)로부터 제어부(150)에 의해 수신된 전력양호신호가 로우 레벨인 경우, 주요 전원부(110_2)에서 오작동 또는 손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RMC(140)에 비정상 상태를 보고할 뿐만 아니라 주요 전원부(110_4)에 제어신호(로우 레벨의 개시신호(DC_ON) 및 하이 레벨의 전원신호(DC_Rapidon))를 발생해 제공하여, 주요 전원부(110_4)를 개시한다.
그러나, 제어부(150)가 주요 전원부(110_4)에 제어신호를 발생해 제공한 후, 주요 전원부(110_4)로부터 제어부(150)에 의해 수신된 전력양호신호도 또한 로우 레벨인 경우, 이는 주요 전원부(110_4)에서 오작동(즉, 이상) 또는 손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따라서, 제어부(150)는 RMC(140)에 비정상 상태를 보고할 뿐만 아니라 주요 전원부(110_5)에 제어신호(로우 레벨의 개시신호(DC_ON) 및 하이 레벨의 전원신호(DC_Rapidon))를 발생해 제공하여, 주요 전원부(110_5)를 개시한다.
또한, 제어부(150)가 1차 전원부들 중 하나에서 오작동이 발생한 것이라 판단하면, 제어부(150)는 오작동이 발생한 주요 전원부가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N) 중 마지막 전원부, 즉, 주요 전원부(110_N)인지 더 판단한다. 오작동이 발생한 주요 전원부가 마지막 전원부(110_N)가 아니면, 제어부(150)는 이에 따라 다음 주요 전원부를 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제공한다.
오작동이 발생한 주요 전원부가 마지막 전원부(110_N)이면, 제어부(150)는 보조 전원부(120_1)에 하이 레벨의 전원신호(DC_Rapidon))를 발생해 제공하여, 저전압 제공에서 고전압 제공으로 보조 전원부(120_1)를 전환시켜, 랙(100)이 여전히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N)의 입력원에서 오작동이 발생하면(가령, 정전이 발생하면),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N)는 입력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로우 레벨의 전력양호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제어부(150)가 개시된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3)에 의해 발생된 모든 전력양호신호가 로우 레벨에 있다고 판단하면, 주요 전원부(110_1에서 110_3) 모두에서 오작동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대응하는 개수의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3)에 하이 레벨의 전원신호(DC_Rapidon))를 발생해 제공하여, 복수의 노드들(130_1에서 130_M)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으로서 저전압 제공에서 고전압 제공으로 보조 전원부(120_1에서 120_3)를 전환시켜, 랙(100)이 여전히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부에서 오작동이 발생할 때 랙(100)이 동작할 수 없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개시된 주요 전원부에 의해 발생된 전력양호신호 모두가 로우 레벨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주요 전원부(110_2)에서 오작동이 발생한 상기 동작예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질 수 있고, 세부내용은 여기서 재차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랙의 전력제어방법은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랙의 전력제어방법의 흐름도인 도 2를 참조하라. 이 실시예의 랙은 복수의 노드들을 갖는다. 단계(S210)에서, 복수의 노드 각각의 전력 정보가 수신된다. 단계(S220)에서, 전력 정보에 따라 복수의 노드의 총 전력소비값이 계산된다. 단계(S230)에서, 총 전력소비값과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에 따라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가 계산된다. 단계(S240)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가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에 따라 쌍으로 개시되어,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가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지 않게 된다.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랙의 전력제어방법의 흐름도인 도 3을 참조하라. 이 실시예의 랙은 복수의 노드들을 갖는다. 단계(S302)에서, 복수의 노드 각각의 전력 정보가 수신된다. 단계(S304)에서, 전력 정보에 따라 복수의 노드들의 총 전력소비값이 계산된다. 단계(S306)에서, 총 전력소비값과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에 따라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가 계산된다. 단계(S308)에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가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에 따라 쌍으로 개시되어,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가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지 않게 된다.
단계(S310)에서,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에 의해 발생된 전력양호신호가 수신된다. 단계(S312)에서, 전력양호신호에 따라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에 오작동이 발생했는지 판단된다.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에서 오작동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모두에서 오작동이 발생했는지 판단하도록 단계(S314)가 수행된다.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모두에서 오작동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 중에 해당하는 전원부의 개수만큼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도록 전환하게 단계(S316)가 수행된다.
다른 한편으로,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중 어느 하나에서 오작동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오작동이 발생한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중 마지막 전원부인지 판단하도록 단계(S318)가 수행된다. 오작동이 발생한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중 마지막 전원부가 아니면,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중 나머지 해당하는 개수를 개시하도록 단계(S320)가 수행된다.
오작동이 발생한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중 마지막 전원부이면,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중 해당하는 개수의 전원부만큼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도록 전환하게 단계(S322)가 수행된다. 단계(S312)에서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에 전혀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의 동작을 유지하도록 단계(S324)가 수행된다.
본원의 랙 및 랙의 전력제어방법에 따르면, 전력 정보에 따라 복수의 노드들의 총 전력소비값이 계산되고, 총 전력소비값과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에 따라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가 계산되며,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가 쌍으로 개시되어,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는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는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전력 절감이 달성될 수 있고, 전원부에 오작동이 발생할 경우 랙이 동작할 수 없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100: 랙
110_1에서 110_N: 주요 전원부
120_1에서 120_N: 보조 전원부
130_1에서 130_M : 노드
140: RMC
150: 제어부

Claims (20)

  1. 복수의 노드들을 갖는 랙의 전력제어방법으로서,
    복수의 노드들 각각의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전력 정보에 따라 복수의 노드들의 총 전력소비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총 전력소비값 및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에 따라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를 계산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가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지 않도록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를 쌍으로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의 입력원과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의 입력원은 다른 랙의 전력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에 의해 발생된 전력양호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전력양호신호에 따라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에서 오작동이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에서 오작동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의 나머지 해당 개수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랙의 전력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의 나머지의 해당 개수를 개시하는 단계 전에,
    오작동이 발생한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의 마지막 전원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오작동이 발생한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의 마지막 전원부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의 나머지 해당 개수를 개시하는 단계와,
    오작동이 발생한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의 마지막 전원부인 것으로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 중에 해당 개수의 전원부만큼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도록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랙의 전력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오작동이 발생한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의 마지막 전원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전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모두에서 오작동이 발생했는지 판단하는단계와,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모두에서 오작동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 중에 해당 개수의 전원부만큼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도록 전환하는 단계와,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모두에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오작동이 발생한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중 마지막 전원부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랙의 전력제어방법.
  5. 듀티 전압을 각각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주요 전원부와,
    듀티 전압을 각각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보조 전원부와,
    전력 정보를 각각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노드들과,
    복수의 노드들에 연결되고, 전력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전력 정보에 따라 복수의 노드들의 총 전력소비값을 계산하고 총 전력소비값과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에 따라 온되는 전원부들의 개수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랙 매니지먼트 컨트롤러와,
    랙 매니지먼트 컨트롤러, 주요 전원부 및 보조 전원부에 연결되고,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를 수용하고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주요 전원부들 중 적어도 하나와 보조 전원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쌍으로 개시함으로써, 주요 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고 보조 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지 않게 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주요 전원부의 입력원과 보조 전원부의 입력원이 다른 랙.
  6. 제 5 항에 있어서,
    제어신호는 개시신호와 전원신호를 포함하는 랙.
  7. 제 5 항에 있어서,
    개시된 후, 주요 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와 보조 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제어부에 전력양호신호를 발생해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전력양호신호에 따라 주요 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오작동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주요 전원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오작동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의 나머지 해당 개수를 개시하는 랙.
  8. 제 7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오작동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상기 주요 전원부의 마지막 전원부인지 더 판단하고, 오작동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상기 주요 전원부의 마지막 전원부가 아니면,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의 나머지 해당 개수를 개시하며,
    오작동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상기 주요 전원부의 마지막 전원부이면,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들의 나머지의 해당 개수만큼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도록 전환되는 랙.
  9. 제 8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모든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에서 오작동이 발생했는지 더 판단하고,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모두에서 오작동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의 나머지의 해당 개수만큼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도록 전환되고,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모두에서 오작동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오작동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상기 주요 전원부의 마지막 전원부인지 판단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의 나머지의 해당 개수를 개시할지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의 나머지의 해당 개수만큼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도록 전환할지 판단하는 랙.
  10. 복수의 노드들에 결합되고, 전력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전력 정보에 따라 복수의 노드들의 총 전력소비값을 계산하고 총 전력소비값과 단일 전원부의 최대 공급전력값에 따라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를 계산하도록 구성된 랙 매니지먼트 컨트롤러(RMC)와,
    랙 매니지먼트 컨트롤러, 주요 전원부 및 보조 전원부에 연결되고,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를 수용하고 온되는 전원부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하는 랙.
  11. 제 10 항에 있어서,
    듀티 전압을 각각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주요 전원부와,
    듀티 전압을 각각 제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보조 전원부를 더 구비하고,
    주요 전원부의 입력원과 보조 전원부의 입력원이 다른 랙.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복수의 노드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가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를 쌍으로 개시하도록 발생되는 랙.
  13. 제 10 항에 있어서,
    제어신호는 개시신호와 전원신호를 포함하는 랙.
  14. 제 10 항에 있어서,
    개시된 후,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가 각각 제어부에 전력양호신호를 발생해 전송하는 랙.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전력양호신호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에 오작동이 발생했는지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에서 오작동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의 나머지 해당 개수를 개시하는 랙.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오작동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상기 주요 전원부의 마지막 전원부인지 더 판단하는 랙.
  17. 제 16 항에 있어서,
    오작동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상기 주요 전원부의 마지막 전원부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의 나머지의 해당 개수를 개시하는 랙.
  18. 제 17 항에 있어서,
    오작동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상기 주요 전원부의 마지막 전원부라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의 나머지 해당 개수만큼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도록 전환되는 랙.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모두에서 오작동이 발생했는지 더 판단하고,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모두에서 오작동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의 나머지 해당 개수만큼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도록 전환되는 랙.
  20. 제 19 항에 있어서,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 모두 중 어느 하나에서 오작동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는 오작동이 발생한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가 상기 주요 전원부의 마지막 전원부인지 판단하여, 적어도 하나의 주요 전원부의 나머지의 해당 개수를 개시할지 또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전원부의 나머지의 해당 개수만큼 복수의 노드들에 듀티 전압을 제공하도록 전환할지 판단하는 랙.
KR1020130064047A 2012-11-15 2013-06-04 랙 및 랙의 전력제어방법 KR1014583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460312.1A CN103809724A (zh) 2012-11-15 2012-11-15 机柜与其电源控制方法
CN201210460312.1 2012-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381A true KR20140063381A (ko) 2014-05-27
KR101458357B1 KR101458357B1 (ko) 2014-11-04

Family

ID=4848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047A KR101458357B1 (ko) 2012-11-15 2013-06-04 랙 및 랙의 전력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23394B2 (ko)
JP (1) JP2014099151A (ko)
KR (1) KR101458357B1 (ko)
CN (1) CN103809724A (ko)
DE (1) DE102013103291A1 (ko)
GB (1) GB25080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6499B (zh) * 2013-05-31 2017-03-08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机柜与其电源控制方法
US9461709B2 (en) 2014-06-30 2016-10-04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server power line communication
CN105700655A (zh) * 2014-11-24 2016-06-22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机柜服务器系统及其电源管理方法
US9588571B2 (en) * 2015-07-08 2017-03-07 Quanta Computer Inc. Dynamic power supply management
CN105914867A (zh) * 2016-05-12 2016-08-31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一种机柜的供电装置及一种机柜
US10846184B2 (en) * 2018-04-23 2020-11-24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to predict and prevent power supply failures based on data center environmental behavior
US10877539B2 (en) 2018-04-23 2020-12-29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to prevent power supply failures based on data center environmental behavior
US11079947B2 (en) 2019-02-09 2021-08-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suring hardware-management-console powerup after external AC power loss
RU2710288C1 (ru) * 2019-04-09 2019-12-25 ЭйАйСи ИНК. Способ удаленного сброса ненорм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стоек, применяемых в дата-центре
RU2709677C1 (ru) * 2019-04-09 2019-12-19 ЭйАйСи ИНК. Способ удаленного сброса ненормального состояния стоек, применяемых в дата-центре
US11237611B2 (en) * 2020-05-08 2022-02-01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real-time workload power supply units and enhanced redundancy reporting
US11669141B2 (en) * 2021-05-28 2023-06-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uting system including power nodes
DE102021122493B3 (de) 2021-08-31 2022-05-19 Fujitsu Client Computing Limited Systemkomponente, elektronisches Gerät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s Steuersignals
WO2023041207A1 (de) * 2021-09-17 2023-03-23 SCHWEPPENHÄUSER, Klemens Datensicherungsvorrichtung
CN114860053A (zh) * 2022-04-29 2022-08-05 京东科技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机柜供电的方法、装置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1724B2 (ja) * 2005-01-12 2011-06-15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源制御方式と装置、電源装置、及び電子装置
KR100942281B1 (ko) * 2007-10-17 2010-02-16 (주)이에스테크인터내셔널 랙형 서버 시스템의 자동 전원 분배 장치
JP4743242B2 (ja) * 2008-09-08 2011-08-10 日本電気株式会社 給電システム及び給電方法
EP2393210B1 (en) * 2009-02-17 2018-09-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ower supply and power supply system
US8732508B2 (en) * 2009-03-31 2014-05-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termining power topology of a plurality of computer systems
CN101995859A (zh) * 2009-08-12 2011-03-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节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2011103034A (ja) * 2009-11-10 2011-05-26 Nec Corp 電源供給制御装置、電源供給システム、電源供給方法および電源供給プログラム
JP2011125124A (ja) * 2009-12-09 2011-06-23 Sanyo Electric Co Ltd サーバーとサーバーに収納される無停電電源装置
JP5450136B2 (ja) * 2010-02-03 2014-03-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給電システム
JP2011221724A (ja) * 2010-04-08 2011-11-04 Hitachi Ltd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CN102347633B (zh) * 2010-08-03 2013-12-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源模块和电源系统
CN102478935A (zh) * 2010-11-29 2012-05-30 英业达股份有限公司 机架式服务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36866A1 (en) 2014-05-15
GB2508041A (en) 2014-05-21
GB2508041B (en) 2015-02-18
US9223394B2 (en) 2015-12-29
CN103809724A (zh) 2014-05-21
GB201306128D0 (en) 2013-05-22
DE102013103291A1 (de) 2014-05-15
JP2014099151A (ja) 2014-05-29
KR101458357B1 (ko) 201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357B1 (ko) 랙 및 랙의 전력제어방법
US9436249B2 (en) Rack and power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40132070A1 (en) Rack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US9300171B2 (en) Emergency power supply apparatus
US9641025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ster selection logic in UPS parallel system
US8522077B2 (en) Power supply grid switch
JP2003092845A (ja) 電気装置に電力を供給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9281714B2 (en)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and recording medium having power supply control program stored therein
JP6678342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蓄電装置
JP2017016656A (ja) インテリジェント型電力配置機能を備えたネットワーク設備
EP3370291A1 (en) Fuel cell device, fuel cell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fuel cell system, and controller
TWI497274B (zh) 機櫃與其電源控制方法
KR20190107425A (ko) 무순단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WO2004098017A1 (en) Sequencing power supplies on daughter boards
CN210608666U (zh) 一种冗余电源的控制装置及供电系统
TWI477032B (zh) 機櫃與其電源控制方法
TWI482395B (zh) 機櫃與其電源控制方法
JP6757700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この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を有する蓄電システム及び配線方法
JP2010148297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KR101818969B1 (ko) 그리드 전원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핫 스왑 장치
JP5753117B2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JP6175815B2 (ja) 多重電源装置、多重電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003362B (zh) 电源系统的控制方法和相关装置
EP3831645A1 (en) Battery charging station and method for managing batteries
CN112051916A (zh) 服务器电源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