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3177A -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3177A
KR20140063177A KR1020120130223A KR20120130223A KR20140063177A KR 20140063177 A KR20140063177 A KR 20140063177A KR 1020120130223 A KR1020120130223 A KR 1020120130223A KR 20120130223 A KR20120130223 A KR 20120130223A KR 20140063177 A KR20140063177 A KR 20140063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iphone
rim
hub
suppor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나영
Original Assignee
김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나영 filed Critical 김나영
Priority to KR1020120130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3177A/ko
Publication of KR20140063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Vehicle control means, e.g. steering-wheel or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아이폰을 차량 내에서 거치할 수 있는 아이폰 네비게이션 거치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치장치는, 차량 핸들(steering wheel)을 구성하는 림(rim) 및 허브(hub) 사이에 사선으로 설치되되; 상기 림의 내주면을 가압하도록 굴곡 형상으로 이루어진 림지지 패널, 상기 허브를 가압하도록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된 평탄 구조의 허브지지 패널, 상기 림지지 패널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림지지 패널을 상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제1 샤프트, 상기 허브지지 패널의 상부에 장착되고, 소정 각도로 굴절된 제2 사프트, 상기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 사이에 나사결합되며,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의 체결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한 고정 노브, 상기 제1 샤프트 또는 제2 샤프트의 외주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아이폰 네비게이션을 가압 고정하는 거치 패널로 이루어져; 상기 림과 허브를 상호 지지하도록 가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운행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아이폰을 차량 핸들의 림과 허브 사이에 장착하도록 거치대를 구현함에 따라, 아이폰에 탑재된 네비게이션의 사용 편의성을 도모하고, 고가의 아이폰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네비게이션 거치장치{IPHONE NAVIGATION HOLDER}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핸들(Steering wheel)의 원형 림(rim)과 허브 사이에 체결되고, 핸들의 회전 방향에 감응하는 차량 네비게이션 어플이 탑재된 아이폰을 거치시켜 운전중 네비게이션을 안정적으로 주시할 수 있는 아이폰 네비게이션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네비게이션 거치대는 차량의 전면유리창에 진공으로 흡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종래의 네비게이션은 차량의 전면 유리에 부착되는 흡착판과, 이 흡착판을 차량 전면유리창에 원터치로 밀착시키는 압력조절구와, 상기 흡착판의 후면 중앙부분에서 결합되어 단부에는 네비게이션이 장착되도록 장착부를 갖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네비게이션 거치대는 단지 흡착판을 차량의 전면유리창에 부착시켜 네비게이션 거치대를 차량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고정력이 매우 약할 뿐만 아니라, 흡착판이 압력조절구의 가압에 의하여 차량 유리에 부착되므로 비교적 온도가 높은 여름철 등에서는 장시간 경과할 경우에 흡착판의 부착력이 약화되어 거치대가 차량 유리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아이폰과 같은 휴대 전자기기에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 사용하는 사례가 많으며, 이러한 아이폰 네비게이션은 별도의 거치대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차량용 네비게이션 거치대에 적당히 안착시켜 사용한다. 따라서, 거치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아이폰 네비게이션이 이탈 파손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중 아이폰 네비게이션 이탈로 인한 안전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20785 '차량용 네비에기션 및 휴대용 PMP 거치대 조립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네비게이션을 포함하여 차량 운전 또는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각종 기능이 부가된 아이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아이폰 네비게이션 거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이폰을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를 차량 핸들의 림과 허브 사이에 장착함으로써, 운전자의 전방에 설치되고 운전자의 조작 거리를 최소화하여 차량 운전에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아이폰 네비게이션 거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아이폰 네비게이션 거치장치는,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아이폰을 차량 내에서 거치하기 위한 거치 장치에 있어서, 차량 핸들(steering wheel)을 구성하는 림(rim) 및 허브(hub) 사이에 사선으로 설치되되; 상기 림의 내주면을 가압하도록 굴곡 형상으로 이루어진 림지지 패널, 상기 허브를 가압하도록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된 평탄 구조의 허브지지 패널, 상기 림지지 패널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림지지 패널을 상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제1 샤프트, 상기 허브지지 패널의 상부에 장착되고, 소정 각도로 굴절된 제2 사프트, 상기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 사이에 나사결합되며,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의 체결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한 고정 노브, 상기 제1 샤프트 또는 제2 샤프트의 외주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아이폰 네비게이션을 가압 고정하는 거치 패널로 이루어져; 상기 림과 허브를 상호 지지하도록 가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아이폰 네비게이션 거치장치는, 차량운행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아이폰을 차량 핸들의 림과 허브 사이에 장착하도록 거치대를 구현함에 따라, 아이폰에 탑재된 네비게이션의 사용 편의성을 도모하고, 고가의 아이폰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거치대에 아이폰을 거치함에 따라, 아이폰의 잦은 이탈로 인한 제품의 손상 및 차량 운행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 네비게이션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폰 네비게이션 거치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를 나타낸 설치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폰 네비게이션 거치를 위한 거치대(221)는 차량 핸들(steering wheel:200)을 구성하는 림(rim:211) 및 허브(hub:213) 사이에 사선으로 설치되되, 상기 림(211)과 허브(213)를 상호 지지하도록 가압설치된다. 이에, 아이폰 네비게이션(미도시함)은 핸들(200)의 허브(213)와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운전 중 아이폰 네비게이션의 주시 방향이 전방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221)가 림(211)과 허브(213) 사이에서 사선으로 설치됨에 따라, 운전자의 핸들 파지 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거치대(221)에 아이폰 네비게이션이 장착될 경우, 운전자는 아이폰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받거나, 필요에 따라 차량 운전을 도모하기 위한 부가 서비스 예컨대,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도로 현황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상기한 네비게이션 기능 이외에 별도의 부가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운전자는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그리고 전방주시 방향을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부가정보 선택을 위한 텃치가 자유롭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폰 네비게이션이 탑재된 상태에서 차량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핸들 조작이 이루어질 경우, 아이폰에 내설되는 자이로센서의 고유기능에 따라 화면의 방향이 재설정된다. 즉, 거치대(221)가 핸들에 장착되어 핸들과 같이 회전하더라도, 아이폰의 네비게이션 화면 또는 부가정보 화면은 운전자의 시야와 수평을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221)는 차량의 핸들(200)에 장착됨에 따라, 아이폰 충전을 위한 충전 배선이 핸들 허브(213) 또는 스티어링 컬럼에 의해 은닉되어 차량 인테리어의 미려함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아이폰은 그 크기가 소형화를 이루기 때문에, 상기 거치대(221)의 일단에는 메모지 장착을 위한 부설기구가 설치되거나, 펜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 등의 부설기구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221)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림(211)의 내주면을 가압하도록 굴곡 형상으로 이루어진 림지지 패널(311)과, 상기 핸들(200)의 허브(213)를 가압하도록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된 평탄 구조의 허브지지 패널(313)과, 상기 림지지 패널(311)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림지지 패널(311)을 상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제1 샤프트(315)와, 상기 허브지지 패널(313)의 상부에 장착되고, 소정 각도로 굴절된 제2 사프트(317)와, 상기 제1 샤프트(315) 및 제2 샤프트(317) 사이에 나사결합되며, 제1 샤프트(315) 및 제2 샤프트(317)의 체결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한 고정 노브(319)와, 상기 제1 샤프트(315) 또는 제2 샤프트(317)의 외주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아이폰 네비게이션을 가압 고정하는 거치 패널(331)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샤프트(315)와 림지지 패널(311) 사이에는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은 제1 샤프트(315)로부터 림지지 패널(311)이 지속적으로 탄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1 샤프트(315) 또는 제2 샤프트(317)의 종단은 수나사선을 형성하며, 고정노브(318)는 상기 제2 샤프트(317) 또는 제1 샤프트(315)에 이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고정노브(318)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선과 대응하는 암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샤프트(315) 또는 제2 샤프트(317)의 종단과 나사 결합한다.
한편, 상기 림지지 패널(311)과 허브지지 패널(313)의 밀착면은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재질의 패드가 부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거치대(221)는 차량의 진동을 지속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의 PB(Polybutyle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아이폰을 체결하기 위한 거치패널(331)은 아이폰을 지지하고, 배면에서 상기 제1 샤프트(315) 또는 제2 샤프트(317)와 체결되는 지지 프레임(337)과, 상기 지지 프레임(337)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아이폰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단자(333)와, 상기 지지 프레임(337)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아이폰의 상부를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단자(33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패널(331)은 아이폰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그 형상이 달리 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프레임(337)의 일측에는 아이폰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가 체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폰 네비게이션 거치대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림지지 패널(311)의 하부에는 상기 제1 샤프트(315)의 일단으로 인입되는 연장돌기(403)가 마련되고, 상기 연장돌기(403)의 외주부 일단에는 대향되게 구비된 걸림턱(405)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샤프트(315)는 중앙이 구획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연장돌기(403)가 인입 설치되는 인입구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턱(405)을 수용하여 림지지 패널(311)의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 유동하도록 유도하는 걸림홈(407)이 형성되되, 상기 림지지 패널(311)과 제1 샤프트(315) 사이에 스프링(401)이 삽설되며, 제1 샤프트(315)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노브(319)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40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샤프트(315)의 외주부 일단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수직연장 샤프트(431)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연장 샤프트(431)의 종단에는 상기 거치패널(331)과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볼(433)이 구비된다. 이에, 상기 거치패널(331)의 배면에는 결합돌기(453)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돌기(453)의 종단에는 상기 체결볼(433)이 억지끼움에 의해 수용되도록 삽설구(451)가 구비되어, 상기 거치패널(331)의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고정노브(319)는 중공형 구조를 가지며, 일단에는 상기 수나사부(409)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암나사부(421)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노브(319)의 타단에는 상기 제2 샤프트(317)가 인입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노브(319)와 제2 샤프트(317)는 단순 끼움결합에 의한 체결구조만으로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거치대(221)의 림지지 패널(311)은 상기 제1 샤프트(315)의 일단으로 끼움 결합하는데, 상기 림지지 패널(311) 및 제1 사프트(315) 사이에 스프링(401)을 장착한 후, 상기 연장돌기(403)의 걸림턱(405)이 상기 걸림홈(407)에 대응하도록 림지지 패널(311)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샤프트(315)에 인입 체결한다.
따라서, 상기 림지지 패널(311)은 걸림홈(407)의 홈 길이만큼 축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며, 상기 스프링(401)에 의해 상향으로 탄지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거치패널(331)은 결합돌기(453)의 삽설구(451)를 통해 상기 수직연장 샤프트(431)의 체결볼(433)과 가압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샤프트(315)의 하부에는 고정노브(319)를 체결하되, 제1 샤프트(315)가 고정노브(319)에 충분히 수용되어 적절한 길이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거치대(221)의 조립이 일부 완성되면, 상기 림지지 패널(311)을 핸들(200)의 림(211) 안측에 밀착하고, 상기 허브지지 패널(313)을 허브(213)의 적당한 위치에 안착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림지지 패널(311)과 허브지지 패널(313)은 핸들(200)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사선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샤프트(315)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샤프트(315)의 하부에 결합된 고정노브(319)의 하단이 제2 샤프트(317)를 수용하도록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221)는 스프링(401)에 의해 핸들의 림(211)과 허브(213) 사이에 가압 밀착된 상태이나, 고정이 견고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노브(319)를 회전시켜 제1 샤프트(315)의 수나사부(409)와 고정노브(319)의 암나사부(421)가 외향되게 신장하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노브(319)의 회전은 제2 샤프트(317)를 지지함과 동시에, 제1 샤프트(315)를 상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림지지 패널(311)이 핸들의 림(211) 하부를 가압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401)은 림지지 패널(311)을 상기 핸들의 림(211) 하부를 지속적으로 탄지함에 따라, 차량의 움직임이나 진동을 상쇄시켜, 림지지 패널(311)이 핸들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221)가 차량의 핸들에 고정 설치되면, 상기 아이폰 네비게이션을 상기 거치패널(331)에 장착한다. 거치패널(331)은 하나의 실시 예로서, 아이폰의 형상, 크기에 따라 이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단자(333) 및 가압단자(335)의 위치, 크기, 형상이 달리 될 것이다. 아이폰 네비게이션은 거치패널(331)의 지지단자(333) 및 가압단자(335)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가압단자(335)는 수직방향으로 탄지되기 위한 탄성구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단자(333)는 아이폰 네비게이션의 하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거치패널(331)과 같이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200 : 핸들 211 : 림(rim)
213 : 허브(hub) 221 : 거치대
311 : 림지지 패널 313 : 허브지지 패널
315 : 제1 샤프트 317 : 제2 샤프트
319 : 고정노브 331 : 거치패널
333 : 지지단자 335 : 가압단자
337 : 지지 프레임 401 : 스프링
403 : 연장돌기 405 : 걸림턱
407 : 걸림홈 409 : 수나사부
421 : 암나사부 431 : 수직연장 샤프트
433 : 체결볼 451 : 삽설구
453 : 결합돌기

Claims (9)

  1.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아이폰을 차량 내에서 거치하기 위한 거치 장치에 있어서,
    아이폰 네비게이션을 고정하는 거치패널(331)과, 상기 거치패널(331)을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로 이루어지며, 차량 핸들(steering wheel:200)을 구성하는 림(rim:211) 및 허브(hub:213) 사이에 상기 샤프트가 사선으로 설치되어 상기 림(211)과 허브(213)를 상호 지지하도록 가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장치는,
    상기 림(211)의 내주면을 가압하도록 굴곡 형상으로 이루어진 림지지 패널(311);
    상기 허브(213)를 가압하도록 플렉시블 재질로 구성된 평탄 구조의 허브지지 패널(313);
    상기 림지지 패널(311)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림지지 패널(311)을 상향으로 탄지하기 위한 제1 샤프트(315);
    상기 허브지지 패널(313)의 상부에 장착되고, 소정 각도로 굴절된 제2 사프트(317);
    상기 제1 샤프트(315) 및 제2 샤프트(317) 사이에 나사결합되며, 제1 샤프트(315) 및 제2 샤프트(317)의 체결 길이를 신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한 고정 노브(319); 및
    상기 제1 샤프트(315) 또는 제2 샤프트(317)의 외주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아이폰 네비게이션을 가압 고정하는 거치 패널(33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315)와 림지지 패널(311) 사이에는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315) 또는 제2 샤프트(317)의 종단은 수나사선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노브(318)는 상기 제2 샤프트(317) 또는 제1 샤프트(315)에 이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고정노브(318)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선과 대응하는 암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샤프트(315) 또는 제2 샤프트(317)의 종단과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림지지 패널(311)과 허브지지 패널(313)의 밀착면은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재질의 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21)는 차량의 진동을 지속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의 PB(Polybutyle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패널(331)은 아이폰을 지지하고, 배면에서 상기 제1 샤프트(315) 또는 제2 샤프트(317)와 체결되는 지지 프레임(337);
    상기 지지 프레임(337)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아이폰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단자(333); 및
    상기 지지 프레임(337)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아이폰의 상부를 가압 고정시키는 가압단자(3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337)의 일측에는 아이폰 충전을 위한 충전 단자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337)의 일측에는 메모지 거치를 위한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KR1020120130223A 2012-11-16 2012-11-16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KR20140063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223A KR20140063177A (ko) 2012-11-16 2012-11-16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223A KR20140063177A (ko) 2012-11-16 2012-11-16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177A true KR20140063177A (ko) 2014-05-27

Family

ID=5089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223A KR20140063177A (ko) 2012-11-16 2012-11-16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31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9279B2 (en) Support for attaching a portable device to a vehicle rear-view mirror
KR101407844B1 (ko) 컵홀더를 구비한 휴대폰 거치대
KR101572101B1 (ko) 차량 핸들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120125931A (ko) 볼 조인트 및 이를 구비한 장치 거치대
KR100855391B1 (ko) 차량용 거치대
KR20120138564A (ko)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KR200455389Y1 (ko)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의 가변형 홀더
KR20130080201A (ko) 스마트폰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KR20140063177A (ko) 네비게이션 거치장치
CN203198866U (zh) 车载支架
KR20160004443U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CN109050423A (zh) 一种带手机支架的转向管柱护罩
KR101976645B1 (ko) 차량용 거치대
CN2916224Y (zh) 弹簧式倒车雷达固定装置
KR200454155Y1 (ko) 휴대폰 장착기구
KR20130057926A (ko) 장치 거치대
CN205311507U (zh) 一种用于夹持手机的车载手机支架
KR20080000283U (ko) 멀티미디어 장치용 거치대
KR100921437B1 (ko) 네비게이션 거치구조
KR20150017170A (ko) 차량용 멀티미디어기기 거치대
KR20130071039A (ko) 전자기기를 차량 내부에 위치시키는 거치대
KR101996591B1 (ko) 차량의 송풍구 설치용 모바일기기 거치대
KR20150146164A (ko) 무접점 충전기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20100031713A (ko) 차량용 네비게이션 거치대
US20210016721A1 (en) Electronic device holder for the car room mi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